KR20020038149A -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 Google Patents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149A
KR20020038149A KR1020000068204A KR20000068204A KR20020038149A KR 20020038149 A KR20020038149 A KR 20020038149A KR 1020000068204 A KR1020000068204 A KR 1020000068204A KR 20000068204 A KR20000068204 A KR 20000068204A KR 20020038149 A KR20020038149 A KR 20020038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re
air
evaporator
internal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480B1 (ko
Inventor
이준강
유선재
한인철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102000006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48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85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door being a rotating disc or cylinder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의 경로상에 내,외기를 분리시키는 분리벽을 설치하고 이 분리벽 사이에 측면이 관통되고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된 한 쌍의 템프도어를 설치하여, 이들 템프도어가 분리벽 양측으로 공급되는 내,외기의 방향을 제어할 때 내,외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디포깅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냉,난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는 냉방모드시 제 1,2 템프도어(26)(26a)가 히터코어(24) 전방을 폐쇄하고 제 3 템프도어(26b)가 상기 히터코어(24) 후방을 폐쇄하여 블로어팬(22) 상부의 제 2 팬(33)에 의해 유입된 외기는 증발기(23)를 거쳐 상부통로(34)를 통해 디프로스트출구(28) 또는 벤트출구(29)를 지나 차실내로 공급되고, 내기는 증발기(23)를 통과하여 하부통로(35)를 통해 플로어출구(30)를 지나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되며,
난방모드상태에서 내기와 외기는 각각 제 1,2 템프도어(26)(26a)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분리벽(25)을 경계로 히터코어(24) 내부로 곧바로 공급되어 상기 히터코어(24)에서 열교환된 후 온도가 상승하여 디프로스트출구(28) 또는 벤트출구(29) 및 플로어출구(30)로 배출되어 차실내를 난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분리벽(25)에 의해 내,외기가 혼합되지 않게 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Air conditioning unit for supplying two-layer current}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장치의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의 경로상에 내,외기를 분리시키는 분리벽을 설치하고 이 분리벽 사이에 측면이 관통되고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된 한 쌍의 템프도어를 설치하여, 이들 템프도어가 분리벽 양측으로 공급되는 내,외기의 방향을 제어할 때 내,외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디포깅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냉,난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자동차 실내를 난방할 때는 창문에 발생된 성에방지를 위해 저습한 차가운 외기를 도입하기 때문에 실내공기 온도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 상부에는 외기를 공급하고, 하부에는 내기를 순환시키는 내,외기 이층 유동을 실현하여, 상부로 공급된 신선하고 저습한 외기가 유리창에 끼는 성에를 줄임으로써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탑승자에게 신선한 외부공기를 제공하고, 따뜻한 내기를 하부로 공급하여 차실내 난방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가 개발되었다.
도 1 은 종래(일본특허,평10-181336)의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1)를 보이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격벽(2)에 의해 내,외기입구(3)(4)가 양분되고 이들 내,외기입구(3)(4)에는 제 1 팬(5)과 제 2 팬(6)을 갖는 블로어팬(7)이 설치되어 케이스(8)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상기 내,외기입구(3)(4)로부터 케이스(8) 내부로 증발기(9)와 히터코어(1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히터코어(10)측 상부와 중앙에 냉,난방모드를 절환하는 제 1,2 템프도어(11)(12)가 연동되게 설치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1)는 냉방모드시 제 1,2 템프도어(11)(12)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히터코어(10) 전방을 차단함과 동시에 히터코어(10) 상부의 통로(13)를 개방하므로서 제 1 팬(5)과 제 2 팬(6)에 의해 유입된 내,외기가 증발기(9)를 지나면서 온도가 낮아진 후 각 출구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그리고 난방모드시에는 도 1 과 같이 상기 제 1,2 템프도어(11)(12)를 상향으로 회전시켜 히터코어(10) 전방을 개방하므로서 제 1 템프도어(11)가 분리벽 역할을 하도록 하여 제 1 팬(5)에 의해 하부로 유입된 내기가 히터코어(10) 하부를 지나 플로어출구(14)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실내온도를 높이게 되고, 제 2 팬(6)에 의해 유입된 외기는 히터코어(10) 상부를 지나 디프로스트출구(15)로 배출되어 디포깅 성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는 난방모드시 히터코어(10) 전방을 개방하는 제 1 템프도어(11)가 회전할 때 도어의 원활한 회전작동을 위해 그 선단부가 증발기(9)와 일정간격 틈(16)을 가지고 이격되므로 히터코어(10)로 공급되는 내,외기 일부가 상기 틈(16)에서 혼합되어 상측의 외기습도를 상승시켜 디포깅 성능을 저하시키고, 또한 하측의 내기온도를 낮추어 난방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공기제어 모드는 5모드,즉 Vent, Bi-Level, Floor, Mix, Def로 이루어지는데, 난방모드시 플로어출구(14)로 내기를 공급하기 위해 플로어도어(17)를 개방해야하고, 냉방모드시에는 히터코어(10)와 열교환되지 않도록 플로어도어(17)를 닫아야만 하므로 상기 5모드 중 플로어도어(17)가 개방되는 Floor와 Mix 모드에서 냉방일 때 플로어도어(17)가 닫히고 난방일 때 플로어도어(17)가 개방되는 두 개의 모드로 각각 분할되어 총 7모드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의 경로상에 내,외기를 분리시키는 분리벽을 설치하고, 이 분리벽 사이에 측면이 관통되고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된 한 쌍의 템프도어를 설치하여, 이들 템프도어가 분리벽 양측으로 공급되는 내,외기의 방향을제어할 때 내,외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디포깅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냉,난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는 몸체 선단부에 격벽에 분리된 내,외기입구가 관통되고, 몸체 상부에 상기 내,외기입구와 연통되게 디프로스트출구 및 벤트출구가 통공되어 각각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몸체 하부에 플로어출구가 통공되어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 격벽에 의해 1,2 팬이 구분되며, 제 1 팬이 외기입구에 제 2 팬이 내기입구에 대응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외기를 상기 케이스를 경유하여 자동차 내부로 공급하는 블로어팬; 상기 블로어팬 후방에 설치되어 차실내를 냉방할 수 있도록 통과하는 공기를 저온상태로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 후방에 설치되어 차실내를 난방할 수 있도록 통과하는 공기를 고온상태로 열교환시키는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의 근접된 후방 대략 중앙에서부터 히터코어 중앙을 경유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외기입구를 통해 유입된 각각의 공기를 분리시키는 분리벽; 상기 분리벽에 의해 공급되는 내,외기가 히터코어를 선택적으로 경유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벽 소정위치에 연동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히터코어 전방을 개폐하는 제 1,2 템프도어; 상기 히터코어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내,외기가 히터코어와 열교환되지 않도록 히터코어 후방을 차단하는 제 3 템프도어; 및
냉방모드시 상기 제 1,2 템프도어가 상기 히터코어 전방을 차단하고 제 3 템프도어는 상기 히터코어 후방을 차단하여,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내,외기가 분리벽에 의해 양측으로 분리되어 히터코어 상하부 외측에 형성된 상,하부통로를 지나 지정된 출구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되고, 난방모드시 상기 제 1,2 템프도어가 히터코어 전방을 개방하고 제 3 템프도어는 상기 히터코어 후방을 개방하여, 증발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외기가 히터코어를 지나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의 냉방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의 난방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템프도어 연동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구동축이 치합되어 연동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템프도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의 난방상태로서, 웜-플로어모드(Warm-Floor Mode)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의 난방상태로서, 웜-믹스모드(Warm-Mix Mode)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의 냉방상태로서, 쿨-플로어모드(Cool-Floor Mode)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의 냉방상태로서,쿨-믹스모드(Cool-Mix Mode)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공조유니트 21 : 케이스
22 : 블로어팬 25 : 분리벽
26 : 제 1 템프도어 26a : 제 2 템프도어
26b : 제 3 템프도어 27 : 내기입구
27a : 외기입구 34 : 상부통로
35 : 하부통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의 냉난방모드 절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20)는 케이스(21)의 입구에 차실내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블로어팬(2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로어팬(22) 후방으로 내,외기를 저온상태로 열교환시키는 증발기(23)와 이 증발기(23) 이격된 후방에 내,외기를 고온상태로 열교환시키는 히터코어(2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23)와 히터코어(24) 사이에는 분리벽(25)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1) 입구를 통해 동시에 유입된 내,외기를 혼합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분리벽(25) 사이에는 히터코어(24) 전방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1,2 템프도어(26)(26a)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냉,난방모드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히터코어(24) 후방에는 상기 히터코어(24) 후방을 개폐하는 제 3 템프도어(26b)가 설치되어 냉방모드시 증발기(23)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히터코어(24)와 열교환되지 않게 한다.
상기 케이스(21)는 몸체 선단부에 입구가 형성되는데, 이 입구는 격벽(21a)에 의해 양분되어 내,외기입구(27)(27a)로 구분된다. 이 케이스(21) 상부에는 외기를 차실내의 유리창 방향으로 공급하여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디프로스트출구(28)가 형성되고, 상기 디프로스트출구(28) 일측에는 내,외기를 차실내 상방향으로 공급하는 벤트출구(29)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내,외기를 차실내 하방으로 공급하는 플로어출구(30)가 형성되는데, 이들 각각의 출구(28)(29)(30)들은 도어(28a)(29a)(30a)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블로어팬(22)은 제 1,2 팬(32)(33)으로 양분되는데, 이들 제 1 팬(32)은 케이스(21)의 내기입구(27)에 설치되어 내기를 케이스(21) 하부로 순환시키게 되고, 상기 제 2 팬(33)은 외기입구(27a)에 설치되어 외기를 케이스(21) 상부로 통과시켜 차실내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 팬(32)(33)은 독립된 두 개의 블로어팬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몸체에 제 1,2 팬(32)(33)이 양분된 이단구조를 가진 블로어팬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증발기(23)와 히터코어(24)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통상의 열교환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외기를 양분시키는 분리벽(25)은 선단부가 상기 증발기(23)의 근접된 후방 대략 중앙에서부터 히터코어(24) 중앙을 경유하여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된 단부가 상기 벤트출구(29)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히터코어(24)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벤트출구(29) 또는 디프로스트출구(28)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그리고상기 분리벽(25)은 상기 케이스(21) 입구의 격벽(21a)과 동일방향으로 배치되어 난방시 증발기(23)를 지난 내,외기가 상기 히터코어(24)를 곧바로 통과토록하여 내,외기를 자연스럽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2 템프도어(26)(26a)는 상기 분리벽(25) 사이 소정위치에 연동수단에 의해 서로 연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히터코어(24)의 전방과 이 히터코어(24)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통로(34)(3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제 1,2 템프도어(26)(26a)는 도 4 와 같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36)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36) 양단부에서 양측으로 소정각도로 스틱형상의 프레임(37)이 연장되고, 상기 각 프레임(37)들 단부에는 상기 히터코어(24) 전방과 상,하부통로(34)(35)를 선택적으로 밀폐하여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부재(38)가 밀폐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1,2 템프도어(26)(26a)는 측방향에서 보았을 때 부채꼴 형상이나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구동축(36)과 차단부재(38) 사이가 관통되어 난방모드시 상기 차단부재(38)가 상,하통로(34)(35)를 차단할 때 상기 연통된 프레임(37) 사이로 증발기(23)를 통과한 내,외기가 프레임(37)을 통과하여 히터코어(24)로 공급된다.
상기 제 1,2 템프도어(26)(26a)를 연동되게 구동하는 연동수단은 도 4 내지 도 5 에서와 같이 각각의 구동축(36)에 기어(40)를 형성하여 이들 기어(40)의 치합으로 연동된다. 상기 연동수단은 이 외에도 링크를 이용하여 연동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3 템프도어(26b)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고 히터코어(24)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냉방모드시 히터코어(24) 하부와 케이스(21)와의 사이의 하부통로(35)를 흐르는 공기가 히터코어(24)와 열교환되지 않도록 히터코어(24) 후방을 개폐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의 상태는 냉방모드상태에서 내,외기를 벤트출구(29)와 플로어출구(30)로 공급하여 차실내를 냉방시키는 모드로서, 제 1,2 템프도어(26)(26a)가 히터코어(24) 전방을 폐쇄하고 제 3 템프도어(26b) 상기 히터코어(24) 후방을 폐쇄한 상태이다. 이러한 모드 상태에서 상기 블로어팬(22)에 의해 유입된 외기는 증발기(23)에서 열교환되어 공기 온도가 떨어지고 상부통로(34)를 통해 벤트출구(29)를 지나 차실내로 공급되고, 내기는 증발기(23)를 통과하여 하부통로(35)를 통해 플로어출구(30)를 지나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2 템프도어(26)(26a)는 서로 밀착되어 히터코어(24)의 전방을 폐쇄하게 되고, 제 3 템프도어(26b)는 히터코어(24) 후방을 차단하여 증발기(23)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히터코어(24)를 통과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벤트출구(29)로만 공기를 공급할 때는 플로어도어(30a)를 차단하게 되면 내,외기가 케이스(21) 내부에서 섞여 벤트출구(29)로만 배출되는데, 이 때 내,외기 습도차에 의한 급작스런 습도변화가 감소하므로 냉방모드시 내,외의 습도차가 클 때 흔히 발생하는 백무현상을 감소시켜 운전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도 3 은 제 1,2 템프도어(26)(26a)가 상,하부통로(34)(35)들을 차단하고 히터코어(24) 전방을 개방하는 난방모드 상태이다.
이러한 모드상태에서 블로어(22)의 제 1 팬(32)에 의해 유입된 내기는 증발기(23)를 통과하여 상기 분리벽(25)을 경계로 히터코어(24) 하부로 곧바로 공급되어 상기 히터코어(24)에서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플로어출구(30)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난방하고, 블로어 제 2 팬(33)에 의해 유입된 외기는 증발기(23) 상부를 통과하여 상기 분리벽(25)을 경계로 히터코어(24) 상부로 공급되어 상기 히터코어(24)에서 고온상태로 열교환된 후 디프로스트출구(28) 또는 벤트출구(29)로 배출되어 디포깅 및 차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분리벽(25)은 각 증발기(23)와 히터코어(24)에 근접되게 설치되므로 내,외기가 서로 혼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차실내로 공급되는 내,외기를 완벽하게 분리유지시켜 이층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20)는 상기 작동모드 외에도 여러 가지 모드로 작동되는데, 도 6 은 난방시 디프로스트출구(28)와 플로어출구(30)로 공기를 공급하는 웜-플로어모드(Warm-Floor Mode)로서, 제 1,2,3 템프도어(26)(26a)(26b)가 히터코어(24) 전후방을 개방하고 플로어도어(30a)가 플로어출구(30)를 개방하며 디프로스트도어(28a)는 디프로스트출구(28)를 대략 절반정도 개방한 상태가 되어, 증발기(23)를 통과한 내,외기는 상기 히터코어(24)를 지나면서 열교환된 후 디프로스트출구(28)와 플로어출구(30)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됨을 보이고 있는데, 이 때 공기는 플로어출구(30)로 대략 70-80%가 공급되고, 디프로스트출구(28)로 20-30%가 공급된다.
도 7 은 난방시 웜-믹스모드(Warm-Mix Mode)로서, 모든 조건이 도 6 과 같고 디프로스트도어(28a)가 디프로스트출구(28)를 절반이상 개방한 상태만 다르다. 따라서 증발기(23)를 통과한 내,외기는 상기 히터코어(24)를 지나 디프로스트출구(28)와 플로어출구(30)로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는데, 이 때 공기는 디프로스트출구(28)와 플로어출구(30)로 각각 50%정도 공급된다.
도 8 은 냉방시 쿨-플로어모드(Cool-Floor Mode)로서, 제 1,2,3 템프도어(26)(26a)(26b)가 히터코어(24) 전,후방을 폐쇄하고 디프로스트도어(28a)는 절반정도 개방되며, 또한 플로어도어(30a)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 1,2 팬(32)(33)에 의해 유입된 내,외기는 증발기(23)를 통과하면서 저온상태로 열교환된 후 상,하부통로(34)(35)를 통해 디프로스트출구(28)와 플로어출구(30)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됨을 보이고 있으며, 이 때 공기는 플로어출구(30)로 70-80%정도 공급되고 디프로스트출구(28)로 20-30%정도 공급된다.
도 9 는 냉방시 쿨-믹스모드(Cool-Mix Mode)로서, 모든 조건이 도 8 과 같고 디프로스트도어(28a)가 디프로스트출구(28)를 절반이상 개방한 상태만 다르다. 따라서 내,외기가 증발기(23)를 통과하여 히터코어(24) 양 외측의 상,하부통로(34)(35)를 통해 디프로스트출구(28)와 플로어출구(30)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는데, 이 때도 공기는 디프로스트출구(28)와 플로어출구(30)로 각각 50%정도 공급된다.
이상의 각 모드상태 설명에서와 같이 냉,난방시 플로어모드와 믹스모드시 플로어도어(30a)의 위치가 플로어출구(30)를 개방한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작동상태를 가진 본 발명은 플로어도어(30a)가 냉,난방모드에 관계없이 종래 일반적인 자동차 공조시스템의 작동 로직과 같으므로 통상의 자동차의 공조시스템의 작동 로직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에 분리벽이 설치되어, 상기 분리벽에 의해 히터코어 상부를 통과한 습도가 낮은 외기는 공급과정에서 내기와 혼합되지 않는 상태로 디프로스트 출구로 배출되어 운전자에게 신선한 공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유리창의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높은 디포깅 성능을 확보하게 되고, 히터코어 하부를 통과한 고온 다습한 내기는 외기와 혼합되지 않는 상태에서 플로어출구를 통해 공급되어 차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자동차에도 별도의 도어작동 컨트롤의 설계변경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3)

  1. 몸체 선단부에 격벽에 분리된 내,외기입구가 관통되고, 몸체 상부에 상기 내,외기입구와 연통되게 디프로스트출구 및 벤트출구가 통공되어 각각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몸체 하부에 플로어출구가 통공되어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
    격벽에 의해 1,2 팬이 구분되며, 제 1 팬이 외기입구에 제 2 팬이 내기입구에 대응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외기를 상기 케이스를 경유하여 자동차 내부로 공급하는 블로어팬;
    상기 블로어팬 후방에 설치되어 차실내를 냉방할 수 있도록 통과하는 공기를 저온상태로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 후방에 설치되어 차실내를 난방할 수 있도록 통과하는 공기를 고온상태로 열교환시키는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의 근접된 후방 대략 중앙에서부터 히터코어 중앙을 경유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외기입구를 통해 유입된 각각의 공기를 분리시키는 분리벽;
    상기 분리벽에 의해 공급되는 내,외기가 히터코어를 선택적으로 경유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벽 소정위치에 연동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히터코어 전방을 개폐하는 제 1,2 템프도어;
    상기 히터코어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내,외기가 히터코어와 열교환되지 않도록 히터코어 후방을 차단하는 제 3 템프도어; 및
    냉방모드시 상기 제 1,2 템프도어가 상기 히터코어 전방을 차단하고 제 3 템프도어는 상기 히터코어 후방을 차단하여,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내,외기가 분리벽에 의해 양측으로 분리되어 히터코어 상하부 외측에 형성된 상,하부통로를 지나 지정된 출구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되고, 난방모드시 상기 제 1,2 템프도어가 히터코어 전방을 개방하고 제 3 템프도어는 상기 히터코어 후방을 개방하여 증발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외기가 히터코어를 지나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템프도어는 일정길이를 갖으며 서로 연동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 양단부에서 양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프레임;
    상기 각 프레임 단부에 밀폐되게 고정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측면이 관통된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코어는 상기 증발기 직후방에 배치되어 내,외기의 풍량감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KR1020000068204A 2000-11-16 2000-11-16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KR10036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204A KR100365480B1 (ko) 2000-11-16 2000-11-16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204A KR100365480B1 (ko) 2000-11-16 2000-11-16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149A true KR20020038149A (ko) 2002-05-23
KR100365480B1 KR100365480B1 (ko) 2002-12-18

Family

ID=1969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204A KR100365480B1 (ko) 2000-11-16 2000-11-16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48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812B1 (ko) * 2001-12-21 2007-05-31 한라공조주식회사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KR100789022B1 (ko) * 2002-01-17 2007-12-26 한라공조주식회사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용 송풍유닛
KR100842208B1 (ko) * 2002-03-22 2008-06-30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KR100888346B1 (ko) * 2002-10-23 2009-03-10 한라공조주식회사 전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템프 도어 제어방법
KR100917172B1 (ko) * 2003-01-16 2009-09-15 한라공조주식회사 공조유니트
US9937769B2 (en) 2015-06-08 2018-04-10 Hyundai Motor Company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CN109177930A (zh) * 2018-09-17 2019-01-11 江永县元杰科技有限公司 汽车空调的除雾装置
US10207566B2 (en) 2015-10-08 2019-02-19 Hyundai Motor Company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wo condensers and a control door within a duct to selectively control airflow through said two condensers
US10239380B2 (en) 2015-12-09 2019-03-26 Hyundai Motor Company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812B1 (ko) * 2001-12-21 2007-05-31 한라공조주식회사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KR100789022B1 (ko) * 2002-01-17 2007-12-26 한라공조주식회사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용 송풍유닛
KR100842208B1 (ko) * 2002-03-22 2008-06-30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KR100888346B1 (ko) * 2002-10-23 2009-03-10 한라공조주식회사 전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템프 도어 제어방법
KR100917172B1 (ko) * 2003-01-16 2009-09-15 한라공조주식회사 공조유니트
US9937769B2 (en) 2015-06-08 2018-04-10 Hyundai Motor Company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US10207566B2 (en) 2015-10-08 2019-02-19 Hyundai Motor Company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wo condensers and a control door within a duct to selectively control airflow through said two condensers
US10239380B2 (en) 2015-12-09 2019-03-26 Hyundai Motor Company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CN109177930A (zh) * 2018-09-17 2019-01-11 江永县元杰科技有限公司 汽车空调的除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5480B1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0458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601835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484712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US8544533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having two-layered air flow
JP2002293128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空気調和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70050247A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
KR100574335B1 (ko) 좌우 독립 제어식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401649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365480B1 (ko)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JP2007506600A (ja) 自動車空調装置の空気案内ハウジング用ドア
JP417886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45077B1 (ko) 2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201299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1200755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JP369499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058939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538815B2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030084403A (ko)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기 조화 장치
JPS585615Y2 (ja) 車両用空調装置の暖房ユニツト
JP4524939B2 (ja) 空気通路開閉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1011568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2층 공기유동 템프도어 구조
KR1008213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21015001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50015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