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672A - 반지 - Google Patents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672A
KR20020036672A KR1020010048140A KR20010048140A KR20020036672A KR 20020036672 A KR20020036672 A KR 20020036672A KR 1020010048140 A KR1020010048140 A KR 1020010048140A KR 20010048140 A KR20010048140 A KR 20010048140A KR 20020036672 A KR20020036672 A KR 20020036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roove
jewel
wear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717B1 (ko
Inventor
마타노치아키
Original Assignee
마타노 치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타노 치아키 filed Critical 마타노 치아키
Publication of KR2002003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개의 반지로 2종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반지 장착자에 대하여 장착시에 위화감을 전혀 느끼게 하지 않는 반지를 제공한다. 링 형상 본체부(1)의 제 1 부분 P1에는 제 1 홈부(2)가 형성되고,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진 제 1 보석(4)이 제 1 홈부(2) 내에 파묻힌다. 한편, 제 1 부분 P1에 대향한 제 2 부분 P2에는 제 2 홈부(3)가 형성되고, 블루 사파이어 등의 제 2 보석(5)이 제 2 홈부(3) 내에 파묻힌다. 반지(10)의 제 1 사용예에서는, 제 1 보석(4)이 손등 측에 오도록 반지(10)를 손가락에 낀다. 이 상태에서는 손바닥 측에 있는 제 2 보석(5)은 손가락 등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 상태로 반지(10)를 대략 반회전시키면, 이번은 제 2 보석(5)이 손등 측에 오는 제 2 사용예가 실현된다.

Description

반지{RING}
본 발명은, 마렛지 링(매리지(marriage) 링이라고도 칭함)이나 이니셜(initial) 링과 같은 패션(fashion) 링으로 대표되는 반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2 WAY RING」이라고 칭하는 반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마렛지 링의 시장에서는, 링 형상의 반지 본체부의 외주면측에 다이아몬드가 파묻혀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반지 본체부의 내주면측에도 블루 사파이어가 파묻혀 있는 물건이 상품화되고 있다(제 1 종래기술이라 칭함). 이러한 상품이 시장에서 유통되어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이유는, 결혼할 때에 청색의 물건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행복해진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고, 그 때문에 블루 사파이어가 마렛지 링 속에 들어가 있는 것은 여성에게 있어서는 기쁘다고 느껴지는 점에 있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링 형상의 반지 본체부의 외주면측에 다이아몬드가 부착됨과 동시에, 그 다이아몬드의 근방 주변부에 블루 사파이어 등의 별도의 돌이설치되어 있다고 하는 반지도, 보석 업계에서 상품화되어 있다(제 2 종래기술이라 칭함).
그러나, 제 1 종래기술에서는, 반지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는, 블루 사파이어를 볼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블루 사파이어도 외측에 보이는 편이 여성의 심리와 매치한다고 말할 수 있어, 이 제 1 종래기술은 여성의 심리에 매치할 수 없는 것이다. 아울러, 제 1 종래기술에 의하면, 그때마다의 기분에 따라서 다이아몬드와 블루 사파이어를 구별지어 사용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 내지는 반지 장착자의 심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제 2 종래기술에서는, 블루 사파이어 등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점은 생기지 않지만, 다이아몬드와 블루 사파이어 등을 구별지어 사용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점에서는, 제 2 종래기술도 또한 제 1 종래기술과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마렛지 링에 관해서 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션 링에 관해서도 생기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안 사항을 극복하려고 주어진 것으로, 한 개의 반지로 2종류의 사용이 가능한, 더구나, 반지 장착자에 대하여 장착시에 위화감을 전혀 느끼지 않게 하는 구조를 구비한 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 1의 반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제 2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 1의 반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반지를 왼손의 약지에 끼웠을 때 제 1 사용예에서의 손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1의 반지를 왼손의 약지에 끼웠을 때 제 2 사용예에서의 손등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제 2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 6의 반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링 형상 본체부2 : 제 1 홈부
3 : 제 2 홈부4 : 제 1 보석
5 : 제 2 보석6 : 외주면
7 : 내주면8 : 복수의 제 2 홈부
81 : 제 1의 제 2 홈부82 : 제 2의 제 2 홈부
83 : 제 3의 제 2 홈부9 : 보석
10, 20 : 반지P1 : 제 1 부분
P2 : 제 2 부분P3 : 제 3 부분
P4 : 제 4 부분D1 : 제 1 방향
D2 : 제 2 방향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대향한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부분 및 제 4 부분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1 홈부가 뚫려 있고, 상기 제 2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2 홈부가 뚫려 있고, 상기 제 1 홈부와 상기 제 2 홈부는 서로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 1 홈부 내에 고정된 제 1 보석과, 상기 제 2 홈부 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보석과는 그 재질이 다른 제 2 보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석이 노출된 외측면은 상기 제 1 홈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고, 상기 제 2 보석이 노출된 외측면도 상기 제 2 홈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고,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에는 다른 홈부 및 다른 보석은 일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대향한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부분 및 제 4 부분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1 홈부가 뚫려 있고, 상기 제 2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서로 분리한 복수의 제 2 홈부가 상기 외주면을 따라 순차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 1 홈부 내에 고정된 보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석이 노출된 외측면은 상기 제 1 홈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제 2 홈부는, 해당 복수의 제 2 홈부를 그들의 위쪽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사람의 이니셜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에는 다른 홈부 및 다른 보석은 일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지(10)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나타낸 제 1 방향 D1 및 제 2 방향 D2에서 반지(10)를 바라보았을 때, 반지(1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본원 발명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 반지(10)를, 「2 WAY RING」(2 웨이 링)이라 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의 도면을 참조하여, 반지(10)의 구조를 설명한다.
반지(10)는, 크게 구별하여 링 형상 본체부(1)와,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진 제 1 보석(4)과, 예를 들면 블루 사파이어와 같은 제 1 보석(4)과는 그 재질이 다른 제 2 보석(5)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링 형상 본체부(1)는, 공통의 곡률 중심 PO를 갖는 외주면(6) 및 내주면(7)을 갖는 반지 본체이다. 그리고, 링 형상 본체부(1)의 일부분인 제 1 부분 P1에는, 해당 제 1 부분 P1의 외주면(6)으로부터 내주면(7)측을 향하여, 제 1 홈부 또는 제 1 오목부(2)가 뚫려 있다. 그 때, 제 1 홈부(2)의 깊이는, 제 1 보석(4)이 해당 제 1 홈부(2) 내에 완전히 끼워 넣어지거나 완전히 파묻히는 값으로 설정된다.
더구나, 곡률 중심 PO를 통해 전면적으로 제 1 부분 P1에 대향한 링 형상 본체부(1)의 제 2 부분 P2에도, 해당 제 2 부분 P2의 외주면(6)으로부터 내주면(7)측을 향하여, 제 2 홈부 또는 제 2 오목부(3)가 뚫려 있다. 따라서, 제 1 홈부(2)의)저면과 제 2 홈부(3)의 저면은 서로 전면적으로 대향하고 있다. 여기서도, 제 2 홈부(3)의 깊이는, 제 2 보석(5)이 해당 제 2 홈부(3) 내에 완전히 끼워 넣거나 완전히 파묻힌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 1 홈부(2)의 저면의 중심과 곡률 중심 PO를 연결한 제 1 중심축 A1과, 제 2 홈부(3)의 저면의 중심과 곡률 중심 PO를 연결한 제 2 중심축 A2가 이루는 교차각도 θ는 약 180°이다.
또한, 제 1 부분 P1과 제 2 부분 P2 사이의 제 3 부분 P3 및 제 4 부분 P4에는, 즉, 제 1 부분 P1과 제 2 부분 P2로 끼워져 양쪽 부분 P1, P2를 이을 수 있는 양쪽 부분 P3, P4에는, 다른 홈부 및 다른 보석은 조금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부분 P1 및 제 2 부분 P2 이외의 링 형상 본체부(1)의 다른 부분에는, 다른 홈부 및 다른 보석은 일체 설치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 1 보석(4)은, 제 1 홈부(2) 내에 끼워 넣어지고 제 1 홈부(2)로부터 가압을 받음으로써 고정된다. 그 때, 제 1 보석(4)이 노출된 외측면 4OS는, 제 1 홈부(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경우는 없다. 바꾸어 말하면, 외측면 4OS는, 제 1 홈부(2)의 가장자리 부분 2E를 둘레로 하는 곡률면(그 곡률 중심은 전술한 점 PO이다)으로부터 외측으로는 돌출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2 보석(5)은, 제 2 홈부(3) 내에 끼워 넣어지고 제 2 홈부(3)로부터 가압을 받음으로써 고정된다. 그 때, 제 2 보석(5)이 노출된 외측면 5OS는, 제 2 홈부(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경우는 없다. 바꾸어 말하면, 외측면 5OS는, 제 2 홈부(3)의 가장자리 부분 3E를 둘레로 하는 곡률면(그 곡률중심은전술한 점 PO이다)으로부터 외측으로는 돌출하지는 않는다.
이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부터, 제 1 방향 D1에서 반지(10)를 바라보았을 때의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제 1 보석(4)의 외측면 4OS만을 볼 수 있을 뿐이다. 반대로, 제 2 방향 D2에서 반지(10)를 바라보았을 때의 상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 2 보석(5)의 외측면 5OS만을 볼 수 있을 뿐이다.
여기서,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반지(10)를 왼손의 약지에 끼웠을 때의 제 1 사용예에서의 손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사용예에서는, 반지 장착자 및 타인에게 있어서는, 링 형상 본체부(1)의 외주면(6) 내에 파묻힌 상태에 있는 제 1 보석(4)만을 볼 수 있을 뿐이고, 제 2 보석(5)은 전혀 볼 수 없는 상태에 있다. 더구나, 제 1 사용예는, 손바닥 측에 위치한 (제 1 보석(4)의 정확히 뒤편에 위치하는) 제 2 보석(5)은, 링 형상 본체부(1)의 외주면(6)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는 아니므로, 왼손의 약지를 구부렸을 때에 제 2 보석(5)이 왼손의 약지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지 않고, 아울러, 반지 장착자의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반지 장착자는, 제 2 보석(5)이 손바닥 측에 있는 데도 불구하고 위화감을 조금도 느끼지 않게 되어, 마치 제 1 보석(4)만이 링 형상 본체부(1)의 외주면(6) 내에 파묻힌 한 개의 반지를 현재 끼우고 있는 것 같은 감각을 가질 수 있다. 더구나, 제 3 자인 타인에 대하여, 반지 장착자는, 제 1 보석(4)만이 링 형상 본체부(1)의 외주면(6) 내에 파묻힌 한 개의 반지를 현재 끼우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제 1 사용예로부터, 반지 장착자가, 제 1 보석(4)이 정확히 뒤편의 손바닥 측으로 옮기도록 반지(10)의 링 형상 본체부(1)를 대략 반회전시킨 상태, 즉, 반지(10)의 제 2 사용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제 2 사용예에서의 손등을 나타낸 평면도가 도 5이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 2 사용예에 있어서는, 반지 장착자 및 타인에게 있어서는, 링 형상 본체부(1)의 외주면(6) 내에 파묻힌 상태에 있는 제 2 보석(5)만을 볼 수 있을 뿐이고, 제 1 보석(4)은 전혀 볼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리고, 제 2 사용예에서는 손바닥 측에 위치한 제 1 보석(4)은 링 형상 본체부(1)의 외주면(6)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는 없기 때문에, 왼손의 약지를 구부렸을 때에 제 1 보석(4)이 왼손의 약지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고, 아울러, 반지 장착자의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반지 장착자는, 제 1 보석(4)이 실제로는 손바닥 측에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조금도 위화감을 느끼지 않게 되어, 마치 제 2 보석(5)만이 링 형상 본체부(1)의 외주면(6) 내에 파묻힌 별도의 한 개의 반지를 현재 끼우고 있는 것 같은 감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3 자인 타인에 대하여, 반지 장착자는, 제 2 보석(5)만이 링 형상 본체부(1)의 외주면(6) 내에 파묻힌 별도의 한 개의 반지를 현재 끼우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반지(10)는, ① 간단히 링 형상 본체부(1)를 대략 반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한 개의 반지로써 2종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기능과, ② 제 1 및 제 2 사용예의 각각에 있어서, 손바닥 측에 위치하는 보석의 존재를 반지 장착자에게 전혀 걱정시키는 경우가 없는, 즉, 반지 장착자는 전혀 위화감 없이 각 사용예를 즐길 수 있다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들의 기능에 의해, 반지 장착자는, 그때마다의 기분에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예 각각을 자유롭고 간단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장이나 주위의 상황에 맞추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예 중 어느 하나를 간단히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2개의 반지를 따로따로 구입할 필요성이 없는 점에서 경제적이다. 더구나, 반지 장착자는, 본 반지(10)가 갖는 상기 기능 ①을 사용함으로써, 실제로는 한 개의 반지밖에 가지고 있지 않는데에도 불구하고, 타인에 대하여, 마치 2개의 반지를 반지 장착자가 갖고 있는 것과 같은 이미지를 갖게 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변형예)
(1) 도 1의 예에서는, 제 1 부분 P1 및 제 2 부분 P2 내지는 제 1 홈부(2) 및 제 2 홈부(3)가 서로 전면적으로 대향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제 1 부분 P1 및 제 2 부분 P2 내지는 제 1 홈부(2) 및 제 2 홈부(3)는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요점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예에 있어서 손바닥 측의 보석이 손등 측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가 실현되도록 제 1 부분 P1 및 제 2 부분 P2 내지는 제 1 홈부(2) 및 제 2 홈부(3)의 설치가 결정되면 된다.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예에서 손바닥 측의 보석이 손등 측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가 실현되는 것만으로는, 「대향한다」라고 말하는 개념은 비본질적 부분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2) 제 1 홈부(2) 및 제 2 홈부(3)의 종단면 형상은, 도 1과 같이자형일 필요성은 없고, 임의의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면, 제 1 홈부(2) 및 제 2 홈부(3)의 종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되도록 제 1 홈부(2) 및 제 2 홈부(3)를 형성하여도된다.
(3) 도 1의 링 형상 본체부(1)의 제 1 부분 P1의 두께와 제 2 부분 P2의 두께는, 서로 동일할 필요성은 없다. 요점은, 각 부분 P1, P2의 두께는, 대응한 홈부가 형성 가능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4) 도 1의 링 형상 본체부(1)의 외주면(6)의 곡률 중심과 내주면(7)의 곡률 중심은 동일할 필요성은 없고, 링 형상 본체부(1)의 두께는 똑같을 필요성도 없다.
(5) 도 1의 구조는, 패션 링에 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6) 제 1 보석(4) 및 제 2 보석(5)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고정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행하여도 된다.
(7) 제 1 보석(4) 및 제 2 보석(5)이라고 하는 보석 또는 돌이란, 동시에 천연석 및 인공석의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8)「제 1 보석(4)과는 그 재질이 다른 제 2 보석(5)」이란, 제 1 보석(4)과는 간단히 빛깔이 다른 동종류의 보석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제 1 보석(4)은 청색의 사파이어이고, 제 2 보석(5)은 연한 녹황색의 사파이어인 경우이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지(20)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 2 방향 D2에서 반지(20)를 바라보았을 때의, 반지(2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제 1 방향 D1에서반지(20)를 바라보았을 때의 평면도는, 도 2와 동일하다. 여기서도, 본원 발명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 반지(20)를, 「2 WAY RlNG」(2 웨이 링)이라고 칭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의 도면을 참조하여, 반지(20)의 구조를 설명한다.
반지(20)는, 크게 구별하여, 링 형상 본체부 1A와,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진 보석(9)을 구비하고 있다.
이중에서, 링 형상 본체부 1A는, 공통의 곡률 중심 PO를 갖는 외주면(6) 및 내주면(7)을 갖는 반지 본체이다. 그리고, 링 형상 본체부 1A의 부분인 제 1 부분 P1에는, 해당 제 1 부분 P1의 외주면(6)으로부터 내주면(7)측을 향하여, 1개의 제 1 홈부 내지는 제 1 오목부(2)가 뚫려 있다. 그 때, 제 1 홈부(2)의 깊이는, 보석(9)이 해당 제 1 홈부(2) 내에 완전히 끼어 넣어지거나 완전히 파묻힌 값으로 설정된다.
아울러, 곡률 중심 PO를 통해 전면적으로 제 1 부분 P1에 대향한 링 형상 본체부 1A의 제 2 부분 P2에는, 해당 제 2 부분 P2의 외주면(6)으로부터 내주면(7)측을 향하여, 각각이 서로 분리한 복수의 제 2 홈부 내지는 제 2 오목부 8(81, 82, 83)가, 외주면(6)을 따라서 순차로 뚫려 있다. 이 경우의 각 제 2 홈부(81, 82, 83)의 깊이는, 제 1 홈부(2)의 깊이와 같은 정도 내지는 그것보다도 얕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 2 홈부 8(81, 82, 83)은, 각인은 없다. 이와 같이 제 1 홈부(2)의 저면과 각 제 2 홈부(8)의 저면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홈부(8)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의 제 2 홈부(8)를 그들의 위쪽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사람의 이니셜을 형성하도록 뚫려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서는, 제 1의 제 2 홈부(81)는 이니셜 중의 「M」을 형성하고 있고, 제 2의 제 2 홈부(82)는 이니셜 중의 「·」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 3의 제 2 홈부(83)는 이니셜 중의 「K」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 1 부분 P1과 제 2 부분 P2의 사이의 제 3 부분 P3 및 제 4 부분 P4에는, 즉, 제 1 부분 P1과 제 2 부분 P2로 끼워져 양쪽 부분 P1, P2를 이을 수 있는 양쪽 부분 P3, P4에는, 다른 홈부, 다른 이니셜 및 다른 보석은 조금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부분 P1 및 제 2 부분 P2 이외의 링 형상 본체부 1A의 다른 부분에는, 다른 홈부, 다른 이니셜 및 다른 보석은 일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반지(20)의 제 1 사용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1 사용예 상태는, 정확히 도 4에 대응하고 있다. 즉, 제 1 사용예에서는, 반지 장착자 및 타인에게 있어서는, 링 형상 본체부 1A 내에 파묻힌 상태에 있는 보석 9만을 볼 수 있을 뿐이고, 이니셜은 숨겨져 볼 수 없는 상태에 있다. 또한, 제 1 사용예에는 손바닥 측에 위치하는 이니셜은 복수의 제 2 홈부(8)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왼손의 약지를 구부렸을 때에 이니셜이 왼손의 약지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더라도 위화감을 주는 경우는 없고, 이니셜이 반지 장착자의 신체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였을 때에도 위화감을 주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반지 장착자는, 위화감을 조금도 느끼지 않고, 마치 보석(9)만이 링 형상 본체부 1A의 외주면(6) 내에 파묻힌 한 개의 반지를 현재 끼우고 있는 감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3 자인 타인에 대하여, 반지 장착자는 보석(9)만이 링 형상 본체부 1A의 외주면(6) 내에 파묻힌 한 개의 반지를 현재 끼우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반지(20)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반지(20)를 뒤집은 상태에 해당하는 제 2 사용예에서는, 반지 장착자 및 타인에게 있어서는, 링 형상 본체부 1A의 외주면(6) 내에 홈으로서 형성된 상태에 있는 이니셜만을 볼 수 있을 뿐이고, 보석(9)은 전혀 볼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리고, 제 2 사용예에서는 손바닥 측에 위치하는 보석(9)은, 링 형상 본체부 1A의 외주면(6)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는 없기 때문에, 왼손의 약지를 구부렸을 때에 보석(9)이 왼손의 약지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고, 반지 장착자의 신체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는 경우도 없다. 이 때문에, 반지 장착자는, 보석(9)이 실제로는 손바닥 측에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조금도 위화감을 느끼지 않게 되어, 마치 복수의 제 2 홈부(8)로 이루어진 이니셜만이 링 형상 본체부 1A의 외주면(6) 내에 형성된 별도의 한 개의 반지(이니셜 링)를 현재 끼우고 있는가와 같은 감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3 자인 타인에 대하여, 반지 장착자는, 이니셜만이 링 형상 본체부 1A의 외주면(6) 내에 홈부로서 형성된 별도의 한 개의 반지(이니셜 링)를 현재 끼우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반지(20)는, ① 간단히 링 형상 본체부 1A를 대략 반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한 개의 반지로써 마렛지 링과 이니셜 링이라고 하는 2종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기능과, ② 제 1 사용예일 때(마렛지 링의 사용시) 및 제 2 사용예일 때(이니셜링의 사용시)의 각각에 있어서, 손바닥 측에 위치하는 보석 또는 이니셜 부분의 존재를 반지 장착자에게 전혀 걱정하게 하는 일이 없는, 즉, 반지 장착자는 전혀 위화감 없이 각 사용예를 즐길 수 있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기능에 의해, 반지 장착자는, 그때마다의 기분에 따라서 자유롭고 용이하게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예의 각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장이나 주위의 상황에 맞추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예 중 어느 하나를 간단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반지를 따로따로 구입할 필요성이 없는 점에서 경제적이다. 더구나, 반지 장착자는, 본 반지(20)가 갖는 상기 기능①을 사용함으로써, 실제로는 한 개의 반지밖에 갖고 있지 않는 데에도 불구하고, 타인에 대하여, 마치 2개의 반지를 반지 장착자가 갖고 있는 것과 같은 이미지를 갖게 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의 변형예 (1) 내지 (7)(단, 변형예(6) 및 (7)에서는 보석(9)에 관해서만 타당함)의 각각의 사고방식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도 타당하다.
청구항 1 및 2에 따른 각 반지에 의하면, ① 한 개의 반지로써 2종류의 링의 사용을 가능함과 동시에, ② 각 사용예에서 반지 장착자에게 전혀 위화감을 갖게 하는 일 없이 반지 장착자는 각 사용예를 즐길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2)

  1.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대향한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부분 및 제 4 부분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1 홈부가 뚫려 있고,
    상기 제 2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2 홈부가 뚫려 있고,
    상기 제 1 홈부와 상기 제 2 홈부는 서로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 1 홈부 내에 고정된 제 1 보석과,
    상기 제 2 홈부 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보석과는 그 재질이 다른 제 2 보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석이 노출된 외측면은 상기 제 1 홈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고,
    상기 제 2 보석이 노출된 외측면도 상기 제 2 홈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으며,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에는 다른 홈부 및 다른 보석은 일체 설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2.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대향한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부분 및 제 4 부분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1 홈부가 뚫려 있고,
    상기 제 2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 2 홈부가 상기 외주면을 따라 순차로 뚫려 있고,
    상기 제 1 홈부 내에 고정된 보석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석이 노출된 외측면은 상기 제 1 홈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제 2 홈부는, 해당 복수의 제 2 홈부를 그들의 위쪽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사람의 이니셜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에는 다른 홈부 및 다른 보석은 일체 설치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KR10-2001-0048140A 2000-11-10 2001-08-10 반지 KR100426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43549A JP3158117B1 (ja) 2000-11-10 2000-11-10 指 輪
JPJP-P-2000-00343549 2000-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672A true KR20020036672A (ko) 2002-05-16
KR100426717B1 KR100426717B1 (ko) 2004-05-22

Family

ID=1881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140A KR100426717B1 (ko) 2000-11-10 2001-08-10 반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20056290A1 (ko)
JP (1) JP3158117B1 (ko)
KR (1) KR100426717B1 (ko)
FR (1) FR2816486B1 (ko)
IT (1) ITTO200109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258A (ko) * 2002-05-13 2002-06-20 이상미 다용도 태극 반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1278B2 (en) * 2003-05-07 2005-02-08 Jerry Keenan Gemstone encased in ring
US20050097921A1 (en) * 2003-11-12 2005-05-12 Kuniya Maruyama Copper colored jewel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pper colored jewelry
US20060000236A1 (en) * 2004-07-01 2006-01-05 Vicki Chan Jewelry arrangement
JP2008054733A (ja) * 2006-08-29 2008-03-13 Isao Ebara リング
US20080184739A1 (en) * 2007-02-07 2008-08-07 Chi Huynh Gemstone setting including a gem faceted to display a plurality of images from an outer focal region
JP5096827B2 (ja) * 2007-07-26 2012-12-12 真一 小栗 指輪
USD780011S1 (en) 2015-03-13 2017-02-28 Soroosh Pajand R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1687A (en) * 1927-01-03 1928-08-21 Speidel Chain Co Band bracelet
US3307374A (en) * 1963-10-16 1967-03-07 Bernard A Kirshbaum Set of finger rings with interfitting portions
JPS6033889A (ja) * 1983-08-02 1985-02-21 株式会社エデイ−コ−ポレ−シヨン 貴金属指輪の製造方法
JPS61111315U (ko) * 1984-12-26 1986-07-14
DE8704923U1 (de) * 1987-04-02 1987-07-16 Daniek, Dieter Alois, 3000 Hannover Fingerring
JPS63175917U (ko) * 1987-05-07 1988-11-15
US5361606A (en) * 1991-08-22 1994-11-08 Pan American Diamond Corp. Magnifying gem holder
JPH07289321A (ja) * 1994-04-26 1995-11-07 Toyo Retsukusu Kk 装飾体の製造方法
US5548976A (en) * 1994-11-18 1996-08-27 Christopher Designs, Inc. Precious stone mounting and method therefor
US5560224A (en) * 1994-12-21 1996-10-01 Tessler; Mark Jewelry mounting relatively large stones higher than relatively small stone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9224725A (ja) * 1996-02-26 1997-09-02 Kyowa:Kk 指 輪
JPH1075809A (ja) * 1996-09-05 1998-03-24 Tomoko Takagi 指 輪
JPH11219145A (ja) * 1997-11-26 1999-08-10 Mitsuhiro Fujiwara 物品と物品付帯者との照合のための方法
US6212908B1 (en) * 1999-05-24 2001-04-10 Yianni Melas Jewelry ring with security aspect
DE29909668U1 (de) * 1999-06-02 1999-08-12 Steckhan-Rosien, Almut, 30163 Hannover Fingerring
US6260383B1 (en) * 1999-06-28 2001-07-17 Warren Metallurgical, Inc. 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258A (ko) * 2002-05-13 2002-06-20 이상미 다용도 태극 반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16486B1 (fr) 2006-01-06
FR2816486A1 (fr) 2002-05-17
US20020056290A1 (en) 2002-05-16
US20030188548A1 (en) 2003-10-09
KR100426717B1 (ko) 2004-05-22
JP3158117B1 (ja) 2001-04-23
JP2002142815A (ja) 2002-05-21
ITTO20010951A1 (it) 200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3490A (en) Hinged insert ring
KR100426717B1 (ko) 반지
US20040154143A1 (en) Magnetic clasp
US20190014869A1 (en) Foldable Ring
KR101971171B1 (ko) 장식보석의 심미감이 개선된 난집
KR101345128B1 (ko) 펜던트
KR20010058405A (ko) 스톤 인 스톤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US20050193769A1 (en) Ring
JP3147796U (ja) 装身具の装飾体
KR200273301Y1 (ko) 퍼즐 반지
KR200276911Y1 (ko) 장식용 반지
KR200397723Y1 (ko) 아이콘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한 반지
USD1008072S1 (en) Jewelry pendant or charm
USD980238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0397718Y1 (ko) 조립식 반지
CN217337628U (zh) 一种镶嵌基座及首饰
KR20090011868U (ko) 장신구
CN216363955U (zh) 一种首饰及一种首饰套件
USD1010493S1 (en) Charm or a pendant for inclusion in an earring, a necklace, a bracelet, a ring, an anklet, or another jewelry item
JP3234182U (ja) ゴルフボール型装飾具
JP3120194U (ja) リング状宝飾品
KR200220483Y1 (ko) 귀걸이
WO1999039606A3 (fr) Bague comprenant au moins un element ornemental amovible
KR200260827Y1 (ko) 패션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