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483Y1 - 귀걸이 - Google Patents

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483Y1
KR200220483Y1 KR2020000030954U KR20000030954U KR200220483Y1 KR 200220483 Y1 KR200220483 Y1 KR 200220483Y1 KR 2020000030954 U KR2020000030954 U KR 2020000030954U KR 20000030954 U KR20000030954 U KR 20000030954U KR 200220483 Y1 KR200220483 Y1 KR 200220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auxiliary ring
auxiliary
ring
ear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병룡
Original Assignee
백병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병룡 filed Critical 백병룡
Priority to KR2020000030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483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보조링으로 구성된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착용부(1)와 장식부(2)로 구성된 공지의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2)를 환형의 고리체로 형성하며, 야광물질의 합성수지재로된 외피(11)의 내부에 탄성질의 금속재로된 철심(12)을 형성하여서된 보조링(R)을 구성하며, 보조링(R)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부(13)를 통하여 상기 장식부(12)에 보조링(R)을 연결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여러가지 색상으로된 다수개의 보조링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두운 곳에서도 선명하게 타인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귀걸이{A PENDANT}
본 고안은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귀걸이는 여성들이 아름다움을 연출하기 위하여 귀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귀걸이는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매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사용자의 취양에 따라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없었다.
즉, 여성들이 하나의 귀걸이를 매일 착용하는 일은 드물고 패션에 따라 매일 새로운 귀걸이를 착용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다수개의 귀걸이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매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고정된 형태의 디자인으로 구성된 귀걸이를 선택하여야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귀걸이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없으므로 그 연출이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귀걸이는 조명이 있는 곳에서는 육안으로 식별되나, 어두운 곳에서는 식별되지 못하므로 그 기능을 전혀 발휘할 수 없었다.
근래에는 귀걸이의 외면에 야광물질을 코팅한 것이 있으나, 이러한 귀걸이는 전체외형이 작은 귀걸이의 특성때문에 밝기가 미약한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하나의 귀걸이로써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어두운 곳에서도 귀걸이에서 빛이 발광되므로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착용부 2 : 장식부 E : 귀걸이
11 : 외피 12 : 철심 13 : 개구부
R : 보조링
본 고안은 장식부와 착용부로 구성된 공지의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를 환형의 고리체로 형성하며, 야광물질의 합성수지재로된 외피의 내부에 철심을 형성하여 보조링을 구성하며, 상기 장식부에 보조링을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장식부에 다수의 보조링을 연결하므로서 다양한 형태를 연출할 수 있으며, 보조링이 야광물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전체적으로 확연히 식별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클립 또는 핀 형태로된 착용부(1)와 환형의 고리형태로된 장식부(2)로써 귀걸이(E)를 구성한다.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광물질의 합성수지로된 외피(11)를 형성하고, 탄성질의 금속재로된 철심(12)을 외피(11)의 내부에 형성하여서 보조링(R)을 구성한다.
상기 보조링(R)은 그 일단부를 절결하여 개구부(13)를 형성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링(R)의 절결단부가 겹쳐지도록 개구부(13a)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다수개의 보조링(R)을 장식부(2)에 끼우는 것으로서, 보조링(R)을 좌우로 벌리면 개구부(13)가 개방되므로 개구부(13)를 통하여 장식부(2)에 끼우며, 좌우로 벌렸던 힘을 제거하면 철심(12)의 탄성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개구부(13)가 폐쇄되어 장식부(2)로부터 보조링(R)이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여러가지의 색상으로된 다수개의 보조링(R)을 장식부(2)에 걸어끼우므로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장식부(2)로부터 보조링(R)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링(R)을 좌우로 벌려 개구부(13)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조링(R)을 상하로 연결하면 새로운 분위기가 연출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보조링(R)의 연결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여러가지의 색상과 크기로된 다수개의 보조링(R)을 이용하여서 창의적이고 독특한 분위기를 임의로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링(R)의 외피(11)가 야광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선명하게 빛을 발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행시 또는 움직일때에 다수의 보조링(R)의 요동되므로 주의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색상과 다양한 크기로된 다수개의 보조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형태로 분해조립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귀걸이로써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 빛이 발산되므로 타인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악세서리써 효과가 상승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실용화 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착용부(1)와 장식부(2)로 구성된 공지의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2)를 환형의 고리체로 형성하며, 야광물질의 합성수지재로된 외피(11)의 내부에 탄성질의 금속재로된 철심(12)을 형성하여서 보조링(R)을 구성하며, 보조링(R)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부(13)를 통하여 상기 장식부(12)에 보조링(R)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KR2020000030954U 2000-11-06 2000-11-06 귀걸이 KR200220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54U KR200220483Y1 (ko) 2000-11-06 2000-11-06 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54U KR200220483Y1 (ko) 2000-11-06 2000-11-06 귀걸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511A Division KR20020035278A (ko) 2000-11-06 2000-11-06 귀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483Y1 true KR200220483Y1 (ko) 2001-04-16

Family

ID=7306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954U KR200220483Y1 (ko) 2000-11-06 2000-11-06 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4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0483Y1 (ko) 귀걸이
KR20020035278A (ko) 귀걸이
KR20010058405A (ko) 스톤 인 스톤
KR100426717B1 (ko) 반지
KR200369884Y1 (ko) 손톱 장신구
JP3147796U (ja) 装身具の装飾体
KR200201501Y1 (ko) 장식구가 구비되는 모자
KR200186243Y1 (ko) 구슬형 보석 착탈용 목걸이
KR200215563Y1 (ko) 투명몸체를 이용한 발광식 장신구
KR200496325Y1 (ko) 네오디움 자석을 이용한 건강밴드
KR20170111311A (ko) 장식용 타이캡
KR200166100Y1 (ko) 장신구의 구조
KR200220261Y1 (ko) 인조손톱의 결착이 용이한 손톱 링
KR20020022186A (ko) 투명몸체를 이용한 발광식 장신구
KR200272563Y1 (ko) 커플 반지
KR100485392B1 (ko)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KR200307250Y1 (ko)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KR200238058Y1 (ko) 헤어밴드_
KR200322652Y1 (ko)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장신구
KR200210243Y1 (ko) 전자발광 요소를 포함하는 악세서리
KR200310442Y1 (ko) 커플링
KR200233862Y1 (ko) 장신구
KR200193581Y1 (ko) 장식미를 갖는 목걸이 구조
KR200341080Y1 (ko) 다목적 신발
KR200287693Y1 (ko) 고리장식을 갖는 부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