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250Y1 -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 Google Patents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250Y1
KR200307250Y1 KR20-2002-0038177U KR20020038177U KR200307250Y1 KR 200307250 Y1 KR200307250 Y1 KR 200307250Y1 KR 20020038177 U KR20020038177 U KR 20020038177U KR 200307250 Y1 KR200307250 Y1 KR 200307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air
lower side
present
opening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혼쥬얼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혼쥬얼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혼쥬얼리
Priority to KR20-2002-0038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2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2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4Ornamental butt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추 악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추 외면을 세련되고 미려하게 장식하여 보다 품위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면에 금과 은, 보석류 등의 귀금속재가 부착 설치되는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 하측에 설치되고, 하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채 외측에서 상기 공간부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적어도 한쌍 이상의 개방핀이 설치되며, 상기 개방핀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내주연에 조임와이어가 설치된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A button accessories for seperation and combination}
본 고안은 단추 악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추 외면을 세련되고 미려하게 장식하여 보다 품위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추는 의류나 가방 등에 부착되어 옷을 여미거나 혹은 가방을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단추도 하나의 장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단추의 모양과 형상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특히 단추 자체에 다양한 보석을 설치하여 장식효과를 한층 향상시키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추 자체에 다양한 모양과 형상 그리고 보석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단추의 형상과 모양이 단조로워 다양하게 디자인된 단추의 제조가 극히 제한적이며, 상기 귀금속재를 단추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외면으로 드러나는 단추의 면이 극히 협소하여 보석을 이용한 각종 디자인의 연출도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다양하게 디자인 된 단추의 경우 자신이 선호하는 의류 및 가방 등에 항상 부착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동일한 단추를 다수개 구비하여도 가격과 설치되는 의류 및 가방과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어 실제로는 다른 다수의 의류나 가방등에 설치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단추 악세서리가 2001년 9월 27일 출원되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260775로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추(1)의 상부에 올려져 고정됨과 더불어 다양한 형상의 장식재료로 꾸며진 장식 몸체(5)와, 이 장식 몸체(5)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직접 단추(1)에 체결되는 한 쌍의 탄성밴드(6)와, 이 탄성밴드(6)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탄성밴드(6)에 끼워져 탄성밴드(6)를 조여줄 수 있도록 된 조임 구슬(7) 및, 상기 탄성밴드(6)의 각 선단에 부착설치되어 탄성밴드(6)의 선단을 상기 장식 몸체(5)의 후방에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밴드 고정부재(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장식 몸체 후방에 탄성밴드가 설치되고 탄성밴드 선단에 밴드고정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부재를 이용해 단추에 체결한 후에 상기 탄성밴드를 조임하도록 조임구슬이 설치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단추 악세서리는 단추에 착용시 단추와 의류 및 가방등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매우 협소한 경우 상기 탄성밴드가 단추 후면으로 잘 끼워지지 않아 강제로 단추를 소정만큼 늘어뜨린 다음 탄성밴드를 삽입해야 하며, 상기 탄성밴드를 착용하고 외출시 주위 물체 및 주변 사람들의 옷소매나 가방 등에 의해 상기 악세서리가 걸림될 경우에는, 상기 단추를 조임하고 있는 탄성밴드가 느슨해지면서 단추와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악세서리를 분실할 우려도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추 외면을 세련되고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단추 외면에 설치하여 보다 품위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용 단추 악세사리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단추외면과 견고한 고정력을 갖는 탈부착용 단추악세사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용 단추 악세사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측면 결합단면도,
도 4는 단추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저면 작용 상태도이다.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단추 5: 몸체
6: 탄성밴드 7: 구슬
8: 밴드고정부재 10: 장식부
12: 귀금속재 20: 고정부
21: 관통공 22: 가이드홈
24: 개방핀 25: 단턱
28: 조임와이어 30: 단추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면에 금과 은, 보석류 등의 귀금속재가 부착 설치되는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 하측에 설치되고, 하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채 외측에서 상기 공간부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한쌍의 개방핀이 설치되며, 상기 개방핀에 의해 가이드홈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내주연에 한쌍의 조임와이어가 설치된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용 단추 악세사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단추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저면 작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의류 및 가방 등의 단추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장식부(10)와 고정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식부(10)는 금이나 은, 각종 보석류 등의 귀금속재(12)가 외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상기한 장식부(10)는 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장식부(10)의 하측에는 의류 및 가방 등에 설치된 단추와 견고한 고정력을 갖기 위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고정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에는 개방핀(24)과 조임와이어(28)로 설치되는데, 상기 개방핀(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0) 외측에 일측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개방핀(24)의 타측은 공간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개방핀(24)은 고정부(2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쌍이 설치되며, 상기 공간부로 돌출된 개방핀의 타측 단부에는 외력 및 흔들림에 의해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단턱(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0)의 내주연에는 조임와이어(28)가 설치된다. 상기 조임와이어(28)는 일정탄성력을 갖는 금속재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이 구비되고, 고정부(20) 내측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22)이 고정부 내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2)에는 한쌍의 조임와이어(28)가 서로 밀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조임와이어(28)의 밀착부위는 고정부의 관통공(21)과 동일축선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의류 및 가방 등의 단추에 악세사리를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부(20)에 한쌍으로 설치된 개방핀(24)을 고정부(20)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개방핀(24)이 전진하면서 한쌍의 조임와이어(28)가 가이드홈(2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고정부(20) 내측에 단추(3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며, 확보된 공간을 통해 단추(30)를 일정각도 기울여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임와이어(28)는 개방핀(24)의 반지름 직경만큼 고정부의 가이드홈(22)을 따라 압축되어 서로 양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단추(30)가 삽입되어 개방핀(24)을 가압하지 않게 되면 상기 조임와이어(28)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 하면서 개방핀(24)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개방핀(24)은 원위치 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단추 악세서리를 언제나 자신이 원하는 의류 및 가방 등에 끼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보다 세련되고도 분위기 있는 연출이 시간과 장소에 구분되지 않고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는 단추 외면을 세련되고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단추 외면에 설치하여 보다 품위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의류 및 가방등에 설치시 단추외면과 견고한 고정력을 갖게 됨에 따라 분실 등으로 인한 피해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용 단추 악세사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라면 여러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히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외면에 금과 은, 보석류 등의 귀금속재가 부착 설치되는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 하측에 설치되고, 하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채 외측에서 상기 공간부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한쌍의 개방핀이 설치되며, 상기 개방핀에 의해 가이드홈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내주연에 한쌍의 조임와이어가 설치된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KR20-2002-0038177U 2002-12-23 2002-12-23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KR200307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177U KR200307250Y1 (ko) 2002-12-23 2002-12-23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177U KR200307250Y1 (ko) 2002-12-23 2002-12-23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699A Division KR100485392B1 (ko) 2002-12-23 2002-12-23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250Y1 true KR200307250Y1 (ko) 2003-03-12

Family

ID=4933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177U KR200307250Y1 (ko) 2002-12-23 2002-12-23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2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7250Y1 (ko)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KR100485392B1 (ko) 탈부착용 단추 악세서리
KR20100002967U (ko) 자성체가 구비된 장식구 분리형 액세서리
KR200475055Y1 (ko) 챙 장식용 악세사리
CN211581805U (zh) 环状佩饰
KR200240225Y1 (ko) 귀걸이용 보석고정구
KR20150069149A (ko) 장식구 연결구조 및 장식용 클립
CN220403315U (zh) 一种多功能弹力卡扣配件及首饰
KR19990050970A (ko) 손톱장신구
JP3224771U (ja) 身飾品
JP3071869U (ja) 宝石などの装飾部材を取替え可能とした装身具
KR200260775Y1 (ko) 단추 장식용 장식구
CN209528093U (zh) 一种具有简易固定结构的卡扣手镯
KR20060092399A (ko) 휴대기기 목걸이 및 이를 채택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KR102113743B1 (ko) 단추
KR200369884Y1 (ko) 손톱 장신구
KR200284387Y1 (ko) 장신용 악세서리
KR200186243Y1 (ko) 구슬형 보석 착탈용 목걸이
KR200307967Y1 (ko) 탈부착용 넥타이 장식구
KR100338387B1 (ko) 단추를 이용한 장신구 및 그 이용방법
KR200286030Y1 (ko) 장신구용 보석고정구
KR200205454Y1 (ko) 액세서리용 보석의 알집
KR200275992Y1 (ko) 장신구용 팔찌
KR200371085Y1 (ko) 탄성머리핀용 장식커버
KR200277085Y1 (ko) 장식 교체구조를 갖는 장신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