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314A -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314A
KR20020036314A KR1020000066451A KR20000066451A KR20020036314A KR 20020036314 A KR20020036314 A KR 20020036314A KR 1020000066451 A KR1020000066451 A KR 1020000066451A KR 20000066451 A KR20000066451 A KR 20000066451A KR 20020036314 A KR20020036314 A KR 20020036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subframe
frame
sub frame
cro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한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6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6314A/ko
Publication of KR2002003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3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후방차체에 있어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변경시켜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방차체의 하부로 배치되는 후방 서브프레임(10)과, 이 후방 서브프레임(10)의 좌/우측 선단부위에 마운팅부재(12)를 매개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14), 이 사이드프레임(14)의 후미에서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 및, 상기 서브프레임(10)과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 사이에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보강프레임(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subframe structure for rear car body}
본 발명은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를 변경시켜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여러 가지의 패널과 프레임이 상호 적절하게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특히 차체의 프레임 구조는 이의 구조적인 강성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인 바, 이로 인해 상기 차체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제안되어 주행이나 충돌시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4륜 구동형의 차량에 있어서 후방차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퍼렌셜 조립체가 지지되어 장착되는 후방 서브프레임(10)과, 이 후방 서브프레임(10)의 좌/우측 선단부위에서 마운팅부재(12)를 매개로 결합됨과 더불어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14;도시의 편의상 한쪽부위만 도시함) 및, 이 사이드프레임(14)의 후미에서 차체의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브프레임(10)은 차체의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전/후방부재(10a,10a')와, 이 전/후방부재(10a,10a')의 좌/우측 선단부위에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접합되는 측방부재(10b)로 구성되어 대략 "#"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10)은 전/후방부재(10a,10a')의 양측 선단부위에 각각 마운팅부재(12)를 장착하고 있는 바, 이 마운팅부재(12)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4)과도 결합되어 상기 서브프레임(10)을 사이드프레임(14)상에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서브프레임(10)상으로 입력된 충격력을 상기 사이드프레임(14)측으로 전달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8은 후방차체에 장착되어 후륜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후방차체를 갖춘 4륜 구동형의 차량에서는 주행중 상기 서브프레임(10)을 사이드프레임(14)상에 장착시켜 주는 마운팅부재(12)상에서 상하방향으로 극심한 하중이 전달되는 바, 이 하중은 주행중 후륜(18)을 통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이 서브프레임(10)을 지나 사이드프레임(14)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 4륜 구동형의 차량에서는 상기 서브프레임(10)을 사이드프레임(14)상에 장착시켜 주는 마운팅부재(12)로 주행중 전달되는 충격력이 차체의 내구성을 상당히 위협하는 실정이었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은 구조의 후방차체를 갖춘 4륜 구동형의 차량에서는 주행중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충시켜 차체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차체 프레임구조가 필요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후방차체에 있어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변경시켜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방차체의 하부로 배치되는후방 서브프레임과, 이 후방 서브프레임의 좌/우측 선단부위에 마운팅부재를 매개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 이 사이드프레임의 후미에서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리어엔드 크로스멤버 및, 상기 서브프레임과 리어엔드 크로스멤버 사이에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에서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서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서브프레임10a,10a'-전/후방부재
10b-측방부재12-마운팅부재
14-사이드프레임16-리어엔드 크로스멤버
20-보강프레임20a-보강부재
20b-마운팅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서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인 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세한 기술을 위해 종래 후방차체를 도시한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륜 구동형의 차량에 있어 후방차체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도록 된 디퍼렌셜 조립체(도시안됨)가 지지되어 장착되는 후방 서브프레임(10)과, 이 후방 서브프레임(10)의 좌/우측 선단부위에서 각각 마운팅부재(12)를 매개로 결합됨과 더불어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14;도시의 편의상 한쪽부위만 도시함) 및, 이 사이드프레임(14)의 후미에서 차체의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브프레임(10)은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후방부재(10a,10a')와, 이 전/후방부재(10a,10a')의 좌/우측 선단부위에 각각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접합되는측방부재(10b)로 구성되어, 상기 서브프레임(10)은 대략 "#"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10)은 전/후방부재(10a,10a')의 양측 선단부위에 각각 마운팅부재(12)를 장착하고 있는 바, 이 마운팅부재(12)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4)과도 결합되어 상기 서브프레임(10)을 사이드프레임(14)상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프레임(10)과 상기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 사이에는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보강프레임(20)이 설치되는 바, 이 보강프레임(20)은 상기 서브프레임(10)을 형성하는 후방부재(10a')에 일측 선단이 접합되면서 타측 선단이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다수개의 보강부재(20a)와, 이 보강부재(20a)의 타측 선단에 장착된 마운팅부재(20b)로 구성된다.
즉, 상기 마운팅부재(20b)는 상기 보강프레임(20)의 보강부재(20a)를 상기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상에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10)과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 사이에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어 설치되는 보강프레임(20)은 이의 상부에 스페어 타이어(도시안됨)를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스페어 타이어의 지지를 위한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트를 차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8은 후방차체에 장착되어 후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후방차체를 갖춘 4륜 구동형의 차량에서는, 주행중 상기 후륜(18)을 통해 서브프레임(10)상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이마운팅부재(12)를 매개로 사이드프레임(14)으로는 물론, 상기 보강프레임(20)을 매개로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로도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기 후방차체의 내구성을 보다 더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행중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이 상기 서브프레임(10)으로부터 사이드프레임(14)과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상에 고르게 분산되어 전달되면, 주행의 안정성도 향상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성능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후방차체를 이루는 서브프레임(10)이 사이드프레임(14)은 물론, 보강프레임(20)을 매개로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와도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주행중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의 분산/흡수에 효과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10)과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 사이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20)상에 별도의 부재 없이도 스페어 타이어를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후방차체의 하부로 배치되는 후방 서브프레임(10)과, 이 후방 서브프레임(10)의 좌/우측 선단부위에 마운팅부재(12)를 매개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14), 이 사이드프레임(14)의 후미에서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 및, 상기 서브프레임(10)과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 사이에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보강프레임(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20)은 상기 서브프레임(10)의 후미에 일측 선단이 접합됨과 더불어 타측 선단이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다수개의 보강부재(20a)와, 이 보강프레임(20)의 타측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리어엔드 크로스멤버(16)상에 결합되는 마운팅부재(2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
KR1020000066451A 2000-11-09 2000-11-09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 KR20020036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451A KR20020036314A (ko) 2000-11-09 2000-11-09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451A KR20020036314A (ko) 2000-11-09 2000-11-09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314A true KR20020036314A (ko) 2002-05-16

Family

ID=1969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451A KR20020036314A (ko) 2000-11-09 2000-11-09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63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621A (ko) * 2001-11-21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승용차의 샤시프레임 보강구조
KR100507000B1 (ko) * 2001-12-06 2005-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샤시프레임 보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621A (ko) * 2001-11-21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승용차의 샤시프레임 보강구조
KR100507000B1 (ko) * 2001-12-06 2005-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샤시프레임 보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240737A (ja) 独立車輪懸架装置およびサブフレームを備える乗用車
KR100783877B1 (ko) 차량의 리어 서브 프레임의 링크 구조
KR20020036314A (ko) 후방차체의 서브프레임 구조
JP4083566B2 (ja) 不整地走行用車両の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支持構造
JP2001080540A (ja) 後輪クロスメンバの車体組立構造
KR100633325B1 (ko) 트럭의 캐빈 마운팅 보강구조
KR100901578B1 (ko) 차량의 트레일링아암 장착구조
JP2000255448A (ja) 車両のリアサブフレーム構造
KR100320867B1 (ko) 버스용 프론트 바디 보강 구조
KR200228192Y1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KR100373029B1 (ko) 차량의 프런트 서스펜션 크로스 멤버
CN211076054U (zh) 一种副车架
KR100391653B1 (ko) 자동차의 리어플로어조립체
KR200197873Y1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 장치
KR100203513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장치
KR100369126B1 (ko) 차량의 프론트 로워암 장착 어셈블리
JP4294400B2 (ja) キャブマウント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
JPS6311017Y2 (ko)
KR200156851Y1 (ko) 중형 버스용 차대 프레임
KR200251526Y1 (ko) 프레임 장착 자동차용 바디 마운팅 구조
KR100339226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서브 프레임장치
KR20020022169A (ko) 자동차의 분리형 리어 써스펜션 취부부 강성구조
KR20210038198A (ko) 차량용 후방구조
KR20040042176A (ko) 더블 위시본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팅구조
KR20050003577A (ko) 로워 스트러트바 일체형 차량의 서브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