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860A - 유기 발광물질/나노점토 복합소재로 제조된 전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물질/나노점토 복합소재로 제조된 전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860A
KR20020026860A KR1020017005364A KR20017005364A KR20020026860A KR 20020026860 A KR20020026860 A KR 20020026860A KR 1020017005364 A KR1020017005364 A KR 1020017005364A KR 20017005364 A KR20017005364 A KR 20017005364A KR 20020026860 A KR20020026860 A KR 20020026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luminescent device
poly
clay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오옥
이태우
Original Assignee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윤덕용
Publication of KR20020026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86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물질(organic luminescent material)의 발광효율(luminescent efficiency)과 안정성(stability)이 향상된 유기 발광물질과 나노점토가 블렌드된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organic luminescent material/clay nanocomposite)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기발광소자(electroluminescent devic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발광소자는 투명기판(transparent substrate)에 반투명 전극(semitransparent electrode)이 구비된 기판, 기판의 반투명 전극위에 구비되고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로 구성된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clay nanocomposite emitting layer) 및 상기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 위에 증착된 금속전극(metal electrode)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기발광소자는 발광효율 및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유기 반도체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유기 발광물질/나노점토 복합소재로 제조된 전기발광소자{Electroluminescent Device Employing Organic Luminescent Mayerial/Clay Nanocomposite}
전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전기발광소자는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현재에는 유기 고분자/무기물 나노복합체(organic polymer/inorganic nanocomposite)를 사용하는 고분자 발광소자(polymer light-emitting device)가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 발광소자는 ZnS, CdS 등의 반도체 무기물(semiconducting inorganic material)과 SiO2, TiO2등의 절연체형 무기물(insulating inorganic material)을이용하는데, 큐(W. Que)는 반도체 무기물인 ZnS를 이용한 발광고분자를 개시하였고, 맛투시(H. Mattoussi)의 문헌에는 동일한 반도체 무기물인 CdS를 이용한 발광고분자를 개시하였다 (참조: W. Que, Applied Physics Letters, 73:2727, 1998; H. Mattoussi, Journal of Applied Physics, 83:7965, 1998). 또한, 절연체 무기물인 SiO2를 이용한 발광고분자는 카터(S. A. Carter)의 문헌에 개시되었고, 동일한 절연체 무기물인 TiO2를 이용한 발광고분자는 고자노(L. Gozano)의 문헌에 개시되었는데(참조: S. A. Carter, Applied Physics Letters, 71:1145, 1997; L. Gozano, Applied Physics Letters, 73:3911, 1998), 상기 무기물을 고분자와 혼합하여 발광층으로 사용하였으며, 무기 나노물질(inorganic nanomaterial)이 전하수송(charge transport)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처럼 새로이 개발된 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이 종래의 발광효율보다 현저하게 향상되지 않았고, 또한 수분 등의 침투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함으로 인해 소자 안정성이 저하되었으며, 생산 단가가 높아서 실용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 발광소자의 단점을 해결한 새로운 발광소자를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발명의 요약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기 발광물질과 나노점토가 블렌드된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발광소재(luminescent material)로서 이용하여 전기발광(electroluminescence)소자를 제조할 경우, 제조된 전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이 향상되고, 전기발광소자의 안정성이 증가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유기 발광물질과 나노점토가 블렌드된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기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은 하기 첨부도면 및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해 진다.
도 1은 나노점토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소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발광소자의 시간에 따른 발광세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서로 다른 함량의 나노점토를 포함하는 각 전기발광소자의 양자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투명기판(transparent substrate)
2: 반투명 전극(semitransparent electrode)
3: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4: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clay nanocomposite emitting layer)
5: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6: 금속전극(metal electrode)
본 발명은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organic luminescent material/clay nanocomposite)로 제조된 전기발광소자(electroluminescent device)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기 발광물질의 발광효율과 안정성이 향상된 유기 발광물질과 나노점토가 블렌드된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물질과 나노점토가 블렌드된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는 유기 발광물질과 나노점토를 블렌드하여, 나노점토 속에 유기 발광물질을 침투(intercalation)시켜서 양자우물(quantum well)의 형태로 제조된다. 이때, 사용되는 나노점토는 수직방향으로는 0.2내지 2nm의 두께를 갖고, 수평방향으로는 50 내지 5,000 nm정도의 너비를 가지는 얇은 판이 적층된 구조를 지니는 라멜라 형의 무기물질(lamellar type inorganic material)로서, 적층된 판사이에 유기 발광물질이 침투되며(참조: 도 1), 몬트모리노나이트(montmorillonite, MMT), 라포나이트(laponite), 카오리나이트(kaolinite) 등의 나노점토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점토는 절연체(insulator)의 성격을 띄고 있으며, 2차원적인 판상 구조는 전하 수송을 막아서 판상 구조 안에 전하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발광효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나노점토의 2차원적인 판상 구조는 수분의 침투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므로,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에 사용되는 유기 발광물질로는 MEH-PPV(poly[2-methoxy-5-(2'-ethyl-hexyloxy)-p-phenylene vinylene]), poly(xylylidene tetrahydrothiophenium)(PTHT), poly(pyridyl vinylene phenylene vinylene)(PPyVPV), poly[1,4-(2,5-bis(1,4,7,10-tetraoxaundecyl))phenylene vinylene] 등의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p-phenylene vinylene)) 계 화합물의 유도체, poly[3-hexylthiophene-co-3-cyclohexylthiophene], poly[3-(4-methoxyphenyl)thiophene-2,5-diyl] 등의 폴리(티오펜)(poly(thiopehene)) 계 화합물의 유도체, dimethoxy-poly(p-phenylene), ladder poly(dihydrophenanthrene), ladder poly(1,4-phenylene-2,5-thienylene) 등의 폴리(파라-페닐렌)(poly(p-phenylene) 계 화합물의 유도체 또는 poly(9,9-dioctylfluorene),poly(2,7-bis(p-stiryl)-9,9'-di-n-hexylfluorene sebacate 등의 폴리(플로렌)(poly(fluorene)) 계 화합물의 유도체 등의 발광형 공액 고분자(conjugated polymer); 주사슬(main chain)은 공액구조로 이루어져 있지 않지만 곁사슬(side chain)은 안트라센(anthracene)을 비롯한 자체가 발광에 내는 성질을 가진 발광관능기(luminescent functional pendant)들이 치환되어 있는 발광형 비 공액 고분자; 발광성 알루미나 퀴논(Alq3) 등의 리간드 구조의 금속 착화합물(chelate metal complex), 루브렌(rubrene), 안트라센(anthracene), 페릴렌(perylene), 쿠마린(coumarin 6), 나일 레드(Nile Red), 방향족 다이아민(aromatic diamine), TPD(N, N'-diphenyl-N, 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TAZ(terbium tris(1-phenyl-3-methyl-4-(tertiarybutyryl)pyrazol-5-one)-triphenylphosphine oxide-[(tb-PMP)(3)Tb(Ph3PO)]/3-(4-biphenyl)-4-phenyl-5-(4-tert-butylphenyl)-1,2,4-triazole), DCM(dicyanomethylene)-2-methyl-6-(p-dimethylaminostyryl)-4H-pyran) 또는 상기 물질의 유도체인 유기 발광 단분자 물질; 폴리(메타-메틸아크릭산)(poly(m-methylacrylic acid)),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9-비닐카바졸)(poly(9-vinylcarbazole)) 등의 비발광형(non-emissive) 고분자, 상기 발광형 공액 고분자 또는 발광형 비공액 고분자와 유기 발광 단분자 물질의 블렌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소자는 투명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판에 ITO(indium tin oxide), PEDOT(polyethylene dioxythioph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등의 반투명 전극이 코팅 되어 있는 기판, 본 발명의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 및 알루미늄, 마그네슘, 리튬, 칼슘, 구리, 은, 금 또는 상기 금속의 합금(Alloy)인 금속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소자의 일 실시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소자는 유리판 등의 투명기판(1)에 반투명 전극(2)이 구비된 기판위에 본 발명의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가 스핀코팅된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4)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위에 금속전극(6)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발광의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반투명 전극(2)과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4) 사이에 정공수송층(3)을 구비하거나 및/또는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4)과 음극 금속전극(6) 사이에 전자수송층(5)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정공수송층은 폴리(9-비닐카바졸), 4,4'-dicarbazolyl-1,1'-biphenyl(CBP),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또는 NPB(4,4'-bis[N-(1-naphthyl-1-)-N-phenyl-amino]-biphenyl)를 포함하는 고분자 유도체;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과 피라졸린(pyrazoline)을 포함하는 저분자 유도체; 또는 정공수송 관능기(hole transporting moiety)를 포함하는 유기분자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전자수송층은 TPBI(2,2',2'-(1,3,5-benzenetriyl)tris[1-phe benzimidazole]), poly(phenyl quinoxzline), 1,3,5-tris[(6,7-dimethyl-3-phenyl)quinoxaline-2-yl]benzene(Me-TPQ), polyquinoline, tris(8-hydroxy quinoline)aluminum(Alq3), 6-N,N-diethylamino-1-methyl-3-phenyl-1H-pyrazolo[3,4-b]quinoline}(PAQ-NEt2) 또는 전자수송 관능기(electron transporting moiety)를 함유하는 유기분자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은 외부양자효율(external quantum efficiency)로서 표시되는데, 외부양자효율은 주입된 전자에 대하여 발광된 광자(photon)의 수를 %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전기발광소자에서는 함유된 나노점토의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외부양자효율이 측정되며, 기체침투율이 저하되어, 외부 기체의 침투에 의한 광발광 감소(Photoluminesce decay)가 현저히 감소하므로, 나노점토의 함량이 높을수록 전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전기발광소자의 발광세기의 변화측정
발광물질인 MEH-PPV(poly[2-methoxy-5-(2'-ethyl-hexyloxy)-p-phenylene vinylene])를 1,2-디클로로에탄(1,2-dichloroethane)에 용해시키고, 나노점토인 MMT를 MEH-PPV 용액과 질량비 1:1로 블렌드하고, 초음파세척기(sonicator)를 사용하여 MEH-PPV의 사슬(chain)이 MMT속으로 삽입(intercalation)되도록 하였다. 이어, 유리기판위에 150nm 두께로 박막을 형성하도록 스핀코팅하여 전기발광소자를제작하고, 340nm의 단파장의 빛을 쬐어 주면서, 광세기 측정기(Optical powermeter, Newport 1830-C)에 연결된 광다이오드(photo diode, Newport 818-UV)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발광세기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비교실시예 1: 나노점토가 포함되지 않은 발광소자의 발광세기의 변화측정
나노점토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광소재를 제작하고, 시간에 따라 발광세기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시예 1의 결과와 비교하였다(참조: 도 3). 도 3은 나노점토가 광발량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은 실시예 1의 결과를 나타내고, (■)은 비교실시예 1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듯이, 나노점토가 포함된 발광소자의 발광세기는 나노점토가 포함되지 않은 발광소자의 발광세기보다 비교적 천천히 감소하므로, 발광안정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전기발광소자의 외부양자효율의 측정
MMT와 MEH-PPV 용액의 혼합비가 1:2 또는 1:5(w/w)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전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이어, Keithley 236 Source measurement unit를 사용하여,실시예 1, 비교실시예 1 및 실시에 2에서 제작된 각 전기발광소자의 전류의 세기에 따른 외부양자효율의 변화를 측정하였다(참조: 도 4). 도 4는 각 전기발광소자의 외부양자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은 MMT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실시예 1의 전기발광소자의 외부양자효율의 변화를 나타내고, (●)은 MMT와 MEH-PPV 용액의 혼합비가 1:5(w/w)인 전기발광소자의 외부양자효율의 변화를 나타내며, (▲)은 MMT와 MEH-PPV 용액의 혼합비가 1:2(w/w)인 전기발광소자의 외부양자효율의 변화를 나타내고, (▼)는 MMT와 MEH-PPV 용액의 혼합비가 1:1(w/w)인 실시예 1의 전기발광소자의 외부양자효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보듯이, MMT와 MEH-PPV 용액의 혼합비가 1:1(w/w)인 전기발광소자의 외부양자효율은 최대 0.38%(photons/electrons)를 나타내었으나, MMT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실시예 1의 전기발광소자의 외부양자효율은 0.004%(photons/electrons)를 나타내므로, 나노점토가 혼합될 경우, 외부양자효율이 현저히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전기발광소자의 제작(I)
발광물질인 poly(xylylidene tetrahydrothiophenium,PTHT)와 나노점토인 MMT를 질량비 1:1로 블렌드한 물질을 ITO기판위에 150nm의 두께로 스핀코팅하고, 17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열증착기(thermal evaporator)를 사용하여, 5Å/s의 증착속도와 100nm의 두께로 알루미늄 전극을 증착하여 전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전기발광소자의 제작(II)
발광물질로 MEH-PPV(poly[2-methoxy-5-(2'-ethyl-hexyloxy)-p-phenylene vinylene])을 사용하고, 120nm의 두께로 스핀코팅하며, 칼슘전극을 증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전기발광소자의 제작(III)
발광물질로 알루미나 퀴논(Alq3)을 폴리(9-비닐카바졸)(poly(9-vinylcarbazole))에 질량비5%로 도핑한 물질을 사용하고, 120nm의 두께로 스핀코팅하며, 마그네슘전극을 증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전기발광소자의 제작(IV)
ITO기판위에 정공 수송물질인 폴리(9-비닐카바졸)(PVK)을 코팅하고, 그 위에 발광 물질인 MEH-PPV와 나노점토가 질량비1:1로 블렌드된 물질을 100nm의 두께로 스핀코팅한 다음, 그 위에 전자 수송물질인 알루미나퀴논(Alq3)을 열증착 방법으로 10Å/s의 증착속도와 50nm의 두께로 증착시킨 후, 그 위에 동일한 열증착 방법으로 5Å/s의 속도로 100nm두께의 알루미늄 전극을 형성하여, 전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유기 발광물질의 발광효율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기 발광물질과 나노점토가 블렌드된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 및 상기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발광소자는 투명기판에 반투명 전극이 구비된 기판, 기판의 반투명 전극위에 구비되고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로 구성된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 및 상기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 위에 증착된 금속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기발광소자는 발광효율 및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유기 반도체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유기 발광물질과 나노점토를 블렌드하여, 양자우물의 형태로 제조된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
  2. 제 1항에 있어서,
    나노점토는 수직방향으로는 0.2 내지 2nm의 두께를 갖고,
    수평방향으로는 50 내지 5,000nm정도의 너비를 가지는 얇은 판이
    적층된 구조를 지니는 라멜라 형의 무기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
  3. 제 1항에 있어서,
    나노점토는 몬트모리노나이트(montmorillonite, MMT), 라포나이트
    (laponite) 또는 카오리나이트(kaolini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
  4. 제 1항에 있어서,
    유기 발광물질은 발광형 공액 고분자; 발광형 비공액 고분자;
    유기발광 단분자 물질; 또는, 공액 고분자, 발광형 비공액 고분자
    또는 비발광형 고분자와 유기 발광 단분자 물질의 블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
  5. 제 4항에 있어서,
    발광형 공액고분자는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계의 유도체, 폴리
    (티오펜)계의 유도체, 폴리(파라-페닐렌)계의 유도체 또는 폴리
    (플로렌)계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
  6. 제 4항에 있어서,
    발광형 비공액고분자는 주사슬(main chain)은 공액구조로 이루어져
    있지 않지만 곁사슬(side chain)은 자체가 발광을 내는 성질을 가진
    발광 관능기들이 치환되어 있는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
  7. 제 4항에 있어서,
    유기 발광 단분자 물질은 리간드 구조의 금속 착화합물,
    루브렌(rubrene), 안트라센(anthracene), 페릴렌(perylene), 쿠마린
    (coumarin 6), 나일 레드(Nile Red), 방향족 다이아민
    (aromatic diamine), TPD(N, N'-diphenyl-N,N'-bis-(3-methylphenyl)-
    1,1'-biphenyl-4,4'-diamine), TAZ(terbium tris(1-phenyl-3-methyl-
    (tertiarybutyryl)pyrazol-5-one)-triphenylphosphine oxide-tb-PMP))
    (Ph3PO)]/3-(4-biphenyl)-4-phenyl-5-(4-tert-butylphenyl)-1,2,4-
    iazole), DCM(dicyanomethylene)-2-methyl-6-(p-dimethylaminostyryl)
    H-pyran) 또는 상기 물질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
  8. 제 4항에 있어서,
    발광형 고분자는 폴리(메타-메틸아크릭산)(poly(m-methylacrylic
    acid)), 폴리스티렌(polystyrene) 또는 폴리(9-비닐카바졸)(poly
    (9-vinylcarbaz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
  9. 투명기판에 반투명 전극이 구비된 반투명 전극위에 제 1항의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가 스핀코팅된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이 구비되고, 그 위에 금속전극이 증착된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발광소자.
  10. 제 9항에 있어서,
    투명기판은 유리, 석영(quartz), 투명한 플라스틱인 PET(polyethylene
    terephtalate)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발광소자.
  11. 제 9항에 있어서,
    반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e oxide), PEDOT(polyethylene
    dioxythiophene) 또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발광소자.
  12. 제 9항에 있어서,
    금속전극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리튬, 칼슘, 구리, 은, 금 또는 이들
    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발광소자.
  13. 투명기판에 반투명 전극이 구비된 반투명 전극위에 정공수송층이 구비되어 있고, 그 위에 제 1항의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가 스핀코팅된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이 구비되며, 그 위에 금속전극이 증착된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발광소자.
  14. 제 13항에 있어서,
    정공수송층은 폴리(9-비닐카바졸), 4,4'-dicarbazolyl-1,1'-biphenyl
    (CBP),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
    4,4'-diamine) 또는 NPB(4,4'-bis[N-(1-naphthyl-1-)-N-phenyl-
    amino]-biphenyl)를 포함하는 고분자 유도체;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과 피라졸린(pyrazoline)을 포함하는
    저분자 유도체; 또는,
    정공수송 관능기(hole transporting moiety)를 포함하는 유기분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발광소자.
  15. 투명기판에 반투명 전극이 구비된 반투명 전극위에 제 1항의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가 스핀코팅된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이 구비되고, 그 위에 전자수송층이 구비되며, 그 위에 금속전극이 증착된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발광소자.
  16. 제 15항에 있어서,
    전자수송층은 TPBI(2,2',2'-(1,3,5-benzenetriyl)tris
    [1-phe benzimidazole]), poly(phenyl quinoxzline), 1,3,5-
    tris[(6,7-dimethyl-3-phenyl)quinoxaline-2-yl]benzene(Me-TPQ),
    polyquinoline, tris(8-hydroxy quinoline)aluminum(Alq3), {6-N,N-
    diethylamino-1-methyl-3-phenyl-1H-pyrazolo[3,4-b]quinoline}(PAQ-
    NEt2) 또는 전자수송 관능기(electron transporting moiety)를
    함유하는 유기분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발광소자.
  17. 투명기판에 반투명 전극이 구비된 반투명 전극위에 제 14항의 정공수송층이구비되어 있고, 그 위에 제 1항의 유기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가 스핀코팅된 점토 나노복합체 발광층이 구비되며, 그 위에 제 16항의 전자수송층이 구비되고, 그 위에 금속전극이 증착된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발광소자.
KR1020017005364A 2000-03-30 2001-03-30 유기 발광물질/나노점토 복합소재로 제조된 전기발광소자 KR200200268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466A KR20010095437A (ko) 2000-03-30 2000-03-30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20000016466 2000-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860A true KR20020026860A (ko) 2002-04-12

Family

ID=196601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466A KR20010095437A (ko) 2000-03-30 2000-03-30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20017005364A KR20020026860A (ko) 2000-03-30 2001-03-30 유기 발광물질/나노점토 복합소재로 제조된 전기발광소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466A KR20010095437A (ko) 2000-03-30 2000-03-30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593688B2 (ko)
JP (1) JP2003528971A (ko)
KR (2) KR20010095437A (ko)
DE (1) DE10191387B4 (ko)
WO (1) WO200107292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051B1 (ko) * 2002-08-31 2005-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 구조의 나노점을 갖는 광전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95625B1 (ko) * 2002-04-23 2005-06-16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용 공액성 고분자-무기물 나노복합체 조성물
KR100972289B1 (ko) * 2003-12-29 2010-07-23 사천홍시현시기건유한공사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20173B1 (ko) * 2011-05-12 2013-10-22 삼성전기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2974B1 (ko) * 2012-03-30 2014-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변환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및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437A (ko) 2000-03-30 2001-11-07 윤덕용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AU2002315208A1 (en) * 2001-06-12 2002-12-23 University Of Florida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near-infrared radiation
KR100458162B1 (ko) * 2002-03-02 2004-11-2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양자 우물 또는 초격자 구조를 가지는 산화아연계 나노선
KR100478524B1 (ko) * 2002-06-28 2005-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분자 및 저분자 발광 재료의 혼합물을 발광 재료로사용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7074534B2 (en) * 2002-07-10 2006-07-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ic charge transport compositions and electronic devices made with such compositions
JP4509787B2 (ja) * 2002-09-24 2010-07-21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ポリマー酸コロイドを伴って製造される水分散性ポリチオフェン
WO2004029176A1 (en) * 2002-09-24 2004-04-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ng organic polymer/nanoparticle composit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7462298B2 (en) * 2002-09-24 2008-12-0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ater dispersible polyanilines made with polymeric acid colloids for electronics applications
US7317047B2 (en) * 2002-09-24 2008-01-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ng organic polymer/nanoparticle composit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7390438B2 (en) * 2003-04-22 2008-06-2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ater dispersible substituted polydioxythiophenes made with fluorinated polymeric sulfonic acid colloids
KR100537966B1 (ko) 2003-04-30 2005-12-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노복합체를 발광층으로 이용하는 고분자 전기발광 소자
US20040232378A1 (en) * 2003-05-20 2004-11-25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Electro-rheological fluid comprising polyaniline-clay nanocomposite
DE10349063A1 (de) * 2003-10-22 2005-05-25 Studiengesellschaft Kohle Mbh Lumineszierende transparente Kompositmaterialien
US7351358B2 (en) 2004-03-17 2008-04-0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ater dispersible polypyrroles made with polymeric acid colloids for electronics applications
GB0411572D0 (en) * 2004-05-24 2004-06-23 Cambridge Display Tech Ltd Light-emitting device
JP4341529B2 (ja) * 2004-11-05 2009-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7670506B1 (en) 2004-12-30 2010-03-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otoactive compositions for liquid deposition
CN100368457C (zh) * 2005-06-09 2008-02-13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制备聚苯撑乙烯撑粘土纳米复合物的方法
KR101356296B1 (ko) 2005-06-28 2014-02-06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높은 일 함수의 투명한 도체
WO2007002740A2 (en) 2005-06-28 2007-01-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uffer compositions
TWI257946B (en) * 2005-08-31 2006-07-11 Chunghwa Picture Tubes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aterial of hole transport layer
US20070176539A1 (en) * 2006-02-01 2007-08-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LED with area defined multicolor emission within a single lighting element
KR100833489B1 (ko) 2006-02-21 2008-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리콘 나노 점을 이용한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07096892A2 (en) * 2006-02-27 2007-08-30 Techni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undation Ltd. Color controlled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0774200B1 (ko) * 2006-04-13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718372B2 (ja) * 2006-05-19 2011-07-06 旭化成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JP2007311615A (ja) * 2006-05-19 2007-11-29 Asahi Kasei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8062553B2 (en) * 2006-12-28 2011-11-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s of polyaniline made with perfuoropolymeric acid which are heat-enhanced and electronic devices made therewith
US8153029B2 (en) * 2006-12-28 2012-04-1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ser (230NM) ablatable compositions of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made with a perfluoropolymeric acid applications thereof
US20080191172A1 (en) * 2006-12-29 2008-08-14 Che-Hsiung Hsu High work-function and high conductivity compositions of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US8241526B2 (en) 2007-05-18 2012-08-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queous dispersions of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containing high boiling solvent and additives
KR100989123B1 (ko) 2008-10-15 2010-10-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561402B1 (ko) 2009-03-12 2015-10-16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코팅 도포를 위한 전기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JP5587980B2 (ja) 2009-04-21 2014-09-10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導電性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作製されたフィルム
EP2421919A4 (en) 2009-04-24 2014-01-22 Du Pont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AND FILMS MANUFACTURED THEREFROM
CN103824939A (zh) * 2012-11-19 2014-05-28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合物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CN112538290B (zh) * 2020-10-19 2022-02-08 浙江大学 一种自烧结液态金属墨水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7A (en) * 1976-06-24 1978-01-05 Mitsubishi Paper Mills Ltd Photographic paper support
JP2721254B2 (ja) * 1989-12-19 1998-03-04 株式会社東芝 電場発光蛍光体の製造方法
US5326692B1 (en) * 1992-05-13 1996-04-30 Molecular Probes Inc Fluorescent microparticles with controllable enhanced stokes shift
GB9226475D0 (en) * 1992-12-18 1993-02-10 Cambridge Display Tech Ltd Chromophoric polymeric compositions
EP1271669A3 (en) * 1994-09-06 2005-01-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a transparent structured electrode layer made from a conductive polymer
US5719467A (en) * 1995-07-27 1998-02-17 Hewlett-Packard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5593788A (en) * 1996-04-25 1997-01-14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high operational stability
AU732936B2 (en) * 1997-02-03 2001-05-03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Fluorescent materials and their use
WO2000034380A1 (en) * 1998-12-07 2000-06-15 Eastman Chemical Company A polymer/clay nanocomposite having improved gas barrier comprising a clay material with a mixture of two or more organic cation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6384121B1 (en) * 1998-12-07 2002-05-07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meter/clay nanocomposite comprising a functionalized polymer or oligomer and a process for preparing same
JP3865996B2 (ja) * 1999-04-07 2007-01-10 富士フイルム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特定のシラン化合物及びそれらからなる発光素子材料、及び、それを含有する発光素子。
JP2001021850A (ja) * 1999-07-06 2001-01-26 Sony Corp 固体変位素子、光学素子及び干渉フィルター
JP4362913B2 (ja) * 1999-12-16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駆動システム
KR20010095437A (ko) * 2000-03-30 2001-11-07 윤덕용 발광물질/점토 나노복합소재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TWI254063B (en) * 2000-05-09 2006-05-01 Ind Tech Res Inst sPS nanocomposite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US6573651B2 (en) * 2000-12-18 2003-06-03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Highly efficient OLEDs using doped ambipolar conductive molecular organic thin film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625B1 (ko) * 2002-04-23 2005-06-16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용 공액성 고분자-무기물 나노복합체 조성물
KR100491051B1 (ko) * 2002-08-31 2005-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 구조의 나노점을 갖는 광전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72289B1 (ko) * 2003-12-29 2010-07-23 사천홍시현시기건유한공사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20173B1 (ko) * 2011-05-12 2013-10-22 삼성전기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2974B1 (ko) * 2012-03-30 2014-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변환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및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437A (ko) 2001-11-07
DE10191387T1 (de) 2002-08-01
US20030211359A1 (en) 2003-11-13
WO2001072925A1 (en) 2001-10-04
US20020041151A1 (en) 2002-04-11
US6593688B2 (en) 2003-07-15
JP2003528971A (ja) 2003-09-30
DE10191387B4 (de)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6860A (ko) 유기 발광물질/나노점토 복합소재로 제조된 전기발광소자
JP4846126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のような水及び/又は酸素に敏感な素子のための、遮蔽性の改善されたプラスチック基板
US7740771B2 (en) Methods of determining a composition ratio of an organic white-light-emitting blend material
Gong et al. Electrophosphorescence from a polymer guest–host system with an Iridium complex as guest: Förster energy transfer and charge trapping
Doi et 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poly (dialkoxy-p-phenylene vinylenes) as a light emitting material
JP2004095546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KR20020034981A (ko) 단일 이온 전도체를 이용한 유기/고분자 전기발광소자
TW200423815A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08508727A (ja) 白色光発光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装置
Jin et al. Blue electroluminescence in blend of polymers containing carbazole and 1, 3, 4-oxadiazole units
KR100274871B1 (ko)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표시소자2
de Brito et al. Development of polymeric active layer for RGB light-emitting devices: a review
WO2005004547A1 (ja) 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Tao et al. Novel main-chain poly-carbazoles as hole and electron transport materials in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KR20000032064A (ko)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재료로서 채용하고있는 표시소자
JP5812302B2 (ja) 有機発光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2466243B1 (ko) 유기 발광 조성물, 소자 및 방법
Nam et al. Photoluminescence and electroluminescence properties of poly (9-vinylcarbarzole) doped with anthracence derivatives containing bis (ethynylphenyl oxadiazole) or bis (vinylphenyl oxadiazole) substituents
KR100484496B1 (ko) 유기염이 도핑된 전하 주입층을 이용하는 유기/고분자전기발광소자
JP2003243175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表示装置
Lee et al. Characteristics of a single‐layer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a carrier‐transporting copolymer and a nonconjugated light‐emitting polymer
Chen et al. Novel light‐emitting polymers containing donor and acceptor architectures
Vasilopoulou et al.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based on a blue emitting polyfluorene
KR100710986B1 (ko) 청색발광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발광소자
JP2008518457A (ja) ルミネッセント電荷輸送層を備える発光ダイオ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