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289B1 -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289B1
KR100972289B1 KR1020030098982A KR20030098982A KR100972289B1 KR 100972289 B1 KR100972289 B1 KR 100972289B1 KR 1020030098982 A KR1020030098982 A KR 1020030098982A KR 20030098982 A KR20030098982 A KR 20030098982A KR 100972289 B1 KR100972289 B1 KR 10097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cyclic aromatic
organic
doped
aromatic hydro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7945A (ko
Inventor
정복현
이주철
박재용
Original Assignee
사천홍시현시기건유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천홍시현시기건유한공사 filed Critical 사천홍시현시기건유한공사
Priority to KR102003009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2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자 발광(Electroluminescent; 이하“EL”이라 칭함)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량의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가 도핑된 알루미늄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aluminum tris(8-hydroxyquinoline))을 전자 수송층으로 사용하여 전자 전달 효과를 향상시킨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의 기본 구성에 대한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의 구성에 대한 계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20 : 기판 11, 21 : 양전극
13, 23 : 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 15, 25 : 유기 발광층
17 : Alq3의 전자 수송층 19, 29 : 전자 주입층
27 :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가 도핑된 Alq3의 전자 수송층
111, 121 : 금속 음전극
본 발명은 유기 전자 발광(Electroluminescent; 이하“EL”이라 칭함)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량의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가 도핑된 알루미늄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aluminum tris(8-hydroxyquinoline);이하“Alq3”라 칭함)을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이하"ETL"이라 칭함)으로 사용하여 전자 수송 효과를 향상시킨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이란, 장치를 통과하는 전류에 반응하여 광반사를 일으키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말하며, 통상적으로는 유리 기판 위에 투명 양극층(transparent anode; 이하 "ITO층"이라 칭함)과 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 (hole injection layer/hole transporting layer; 이하 "HIL/HTL"이라 칭함"), 유기 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이하"EIL"이라 칭함) 및 금속 음극층(cathode)등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 및 음극층에 전압을 걸어 줌으로써, 주입되는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recombination)하여 들뜬 상태가 된 다음 다시 바닥상태로 에너지 전이되는 과정에서 빛이 발생되는 원리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 1 은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계략도이다.
먼저, 석영 등의 투명 재질로 형성된 투명 기판 (10) 상에 양전극(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HIL/HTL(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유기 발광층(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 발광층 상부에 ETL(17)이 형성되 어 있고, 그 상부에 EIL(19)과 금속 음전극(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양전극(11)은 일 함수가 커서 정공 주입이 용이하고, 가시 광선 범위에서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인디움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및 인디움 아연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등과 같은 금속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양전극 상부에 형성된 HIL/HTL에서 HIL은 소자 내에 정공의 주입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쿠퍼 프탈로시아나인(copper phthalocyanine; CuPC) 또는 4,4,4-트리(3-메틸페닐-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4,4',4"-Tris(3-methylphenyl -phenylamino)-triphenylamine ; m-MTDATA) 등으로 형성하며, HTL은 양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을 발광층을 수송하기 위해 α-NPD 또는 TPD(N,N'-dipheny-N,N'-bis(3-methyl phenyl)-1,1'-diphenyl-4,4'-diamine 등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층(15)에서는 음전극과 양전극으로부터 공급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발광이 일어나는데, 발광층에 적용되는 상기 유기 물질의 고유 파장 및 호스트(host)와 주입물(dopant)의 구성비를 조절하면 원하는 소자의 발광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발광색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 (red) 의 경우 DCJTB(4-dicyanomethylene-6-cp-julolidinostyryl-2-tert-butyl-4H-pyran)을 이용하고, 녹색 (green)의 경우 PPV(poly(phenylene vinylene))을 이용하며, 청색 (blue)의 경우 PPP, PF, PFV 및 spiro-PF 등으로 형성한다.
그러면, 상기 발광층으로 양전극에서 정공이 이동하고, 금속 전극의 음전극에서 전자가 주입되어, 이동하면서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상기 여기자로부 터 특정한 파장의 색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ETL(17)은 음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를 원활하게 수송하는 것으로, 1,2,4-트리아졸(1,2,4-triazole)이나 전자 수송체로서의 특성을 가지는 Alq3으로 형성하여 음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가 원활하게 수송되도록 한다.
상기 음전극은 일 함수가 낮은 마그네슘이나, 칼슘등의 금속을 이용하거나, 일 함수는 높지만 공정 시 안정되고 증착이 용이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ETL 형성 물질인 Alq3은 하기 식 1과 같이 Al과 세 개의 8-하이드록시 퀴놀레이트(8-hydroxy-quinolate)가 결합된 안정한 구조이기는 하지만, HTL의 이동도에 비하여 1/100 정도의 낮은 속도를 갖는다.
그래서, 상기 Alq3만을 이용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면, 정공의 이동도에 비해 전자 이동도가 낮기 때문에, 발광 영역에서의 정공과 전자가 결합(recombination) 되는 반응되는 것이 낮아져서 소자의 효율이 낮아진다.
[식 1]
Figure 112003050354767-pat00001
그러므로, 안정한 구조를 가지면서, 높은 전자 이동도를 얻을 수 있는 전자 수송층 형성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량의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가 도핑된 Alq3을 이용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함으로써, 전자 전달 효과가 높은 유기 EL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정량의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가 Alq3에 도핑되도록 Alq3과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를 함께 증착하여 형성한 ETL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된 양극층;
상기 양극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HIL/HTL;
상기 정공 수송층 상부에 형성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ETL/EIL; 및
상기 EIL 상부에 형성된 음극층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ETL은 일정량의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가 도핑된 Alq3으로 이루어진 유기 EL 소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로는 루브렌(rubrene), 1,4,5,12-헥사페닐안트라센, 2,4,9,10-테트라페닐안트라센, 1,2,3,4-테트라페닐나프타렌, 3,4-디페닐페릴렌, 2,3,6,11-테트라페닐트리페닐렌, 6,6,13,13-테트라페닐-6,13-디하이드로펜타센, 헥사페닐벤젠, 코로넨(coronene), 펜타센(pentacene) 및 6,13-디페닐펜타센 등이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2의 루브렌을 사용한다.
[식 2]
Figure 112003050354767-pat00002
또한, 상기 ETL은 주재료로 Alq3 대신 하기 식 3의 BAlq(bis(8-bydroxyquinaldine)aluminum biphenoxide) 및 하기 식 4의 Bebq2(bis(10-hydroxybenzo[h]qunolinato berylium)를 이용할 수 도 있다.
[식 3]
Figure 112003050354767-pat00003
[식 4]
Figure 112003050354767-pat00004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와 상기 Alq3을 동시에 증착시켜 본 발명의 ETL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증착 조건은 열증착법을 이용하여 도시에 열을 가하여 증착하는데, 이때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는 Alq3 총 중량에 대해 1 : 0.5wt% 내지 30wt%, 바람직하게는 1 : 0.5wt% 내지 20wt%의 양으로 도핑 공정을 수행한다.
또한, Alq3 대신 BAlq 또는 Bebp2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는 각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해 1 : 0.5wt% 내지 30 wt%, 바람직하게는 1 : 0.5wt% 내지 20 wt%의 양으로 도핑공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가 도핑된 Alq3으로 ETL을 형성하는 경우, 기체(amorphous) 상태인 Alq3 층만이 증착 되었을 때 생길 수 있는 빈 공간에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가 채워져 전자 수송 경로를 만들어 주므로, 전자 전달 속도가 증가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폴리사이클릭 탄화수소가 도핑된 Alq3으로 형성된 ETL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먼저, 소정의 기판(20) 상부에 양전극(2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HIL/HTL(23)을 형성한다.
그 후, HIL/HTL(23) 상부에 유기 발광층(25)을 형성한다.
그리고, 유기 발광층(25) 상부에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와 상기 Alq3을 동시에 증착시켜 ETL(27)을 형성한 다음, 그 상부에 EIL(29) 및 음전극(121)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음전극, HIL/HTL, 발광층, EIL 등은 일반적인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이루는 ETL층은 일정량의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와 Alq3를 동시에 증착시켜 형성하므로, 높은 전자 이동도를 얻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정공의 이동도와 전자 이동도가 같아 정공과 전자의 결합 반응이 향상되어 유기 EL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기판;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된 양극층;
    상기 양극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부에 형성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 및
    상기 전자 주입층 상부에 형성된 음극층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가 도핑된 Alq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자 발광(Electroluminescent; 이하“EL”이라 칭함)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는 루브렌(rubrene), 1,4,5,12-헥사페닐안트라센, 2,4,9,10-테트라페닐안트라센, 1,2,3,4-테트라페닐나프타렌, 3,4-디페닐페릴렌, 2,3,6,11-테트라페닐트리페닐렌, 6,6,13,13-테트라페닐-6,13-디하이드로펜타센, 헥사페닐벤젠, 코로넨(coronene), 펜타센(pentacene) 및 6,13-디페닐펜타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는 Alq3 총 중량에 대해 0.5wt% 내지 30wt%를 이용하여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가 도핑된 BAlq (bis(8-bydroxyquinaldine)aluminum biphenoxide) 또는 Bebq2 (bis(10-hydroxybenzo[h]qunolinato beryliu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는 BAlq 총 중량에 대해 0.5wt% 내지 30wt%를 이용하여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는 Bebq2 총 중량에 대해 0.5wt% 내지 20wt%를 이용하여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KR1020030098982A 2003-12-29 2003-12-29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7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982A KR100972289B1 (ko) 2003-12-29 2003-12-29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982A KR100972289B1 (ko) 2003-12-29 2003-12-29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945A KR20050067945A (ko) 2005-07-05
KR100972289B1 true KR100972289B1 (ko) 2010-07-23

Family

ID=3725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982A KR100972289B1 (ko) 2003-12-29 2003-12-29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2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697A (ko) * 1997-12-01 1999-07-26 고또오 슈운기찌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소자
KR20010067077A (ko) * 1999-08-20 2001-07-12 사토 히로시 유기전계표시장치
KR20020026860A (ko) * 2000-03-30 2002-04-12 윤덕용 유기 발광물질/나노점토 복합소재로 제조된 전기발광소자
KR20020063335A (ko) * 2001-01-27 2002-08-03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적색 유기 발광소자용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697A (ko) * 1997-12-01 1999-07-26 고또오 슈운기찌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소자
KR20010067077A (ko) * 1999-08-20 2001-07-12 사토 히로시 유기전계표시장치
KR20020026860A (ko) * 2000-03-30 2002-04-12 윤덕용 유기 발광물질/나노점토 복합소재로 제조된 전기발광소자
KR20020063335A (ko) * 2001-01-27 2002-08-03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적색 유기 발광소자용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발광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945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847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blue phosphorescent molecule as an emitter
EP2276085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457576B1 (ko) 안정한 백색 발광 οled 디바이스
KR100730190B1 (ko)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6514B1 (ko) 유기발광장치
JP4050300B2 (ja) 有機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9765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有機電界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1453874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1517903B1 (ko) 고성능 광대역 οled 디바이스
JP2007173780A (ja) 有機発光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030981A2 (en) Long lifetim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structures
JP2003059668A (ja) 有機発光デバイス
KR20090092112A (ko) 유기 발광 소자
JP6060361B2 (ja) 有機発光素子
JP2006156941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KR20090050369A (ko) 유기 발광 소자
KR100741098B1 (ko)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5458554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KR20140144997A (ko) 유기 발광 소자
KR20120068746A (ko) 유기el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94775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1999709B1 (ko) 유기 발광 소자
KR20090131550A (ko) 유기 발광 소자
KR100972289B1 (ko)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64759B1 (ko) 유기 el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