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679A -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679A
KR20020026679A KR1020000057907A KR20000057907A KR20020026679A KR 20020026679 A KR20020026679 A KR 20020026679A KR 1020000057907 A KR1020000057907 A KR 1020000057907A KR 20000057907 A KR20000057907 A KR 20000057907A KR 20020026679 A KR20020026679 A KR 20020026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ck
dpd
objective lens
err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온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5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6679A/ko
Priority to US09/968,678 priority patent/US7012859B2/en
Priority to JP2001306060A priority patent/JP2002163829A/ja
Publication of KR2002002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67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7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tracking pull-in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PD 에러 신호로 트랙킹을 제어하는 디스크의 경우 상기 DPD 에러 신호의 기울기로 디스크 상의 대물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검출하고 이를 트랙킹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미러 신호의 검출이 용이하지 않는 디스크 구조 특히, 재생시 DPD 에러 신호로 트랙킹을 제어하는 디스크에서 대물렌즈의 진행 방향을 쉽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랙 서보를 온시킬 때 온시키고자 하는 TE의 위상이 랜드인지 그루브인지를 알 수 있으므로 서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자동 브레이크를 걸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yback of optical record medium}
본 발명은 광기록 매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밀도 광 기록매체에서 대물렌즈의 방향을 검출하여 서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기록 매체 즉, 광 디스크를 기록 재생하는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는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등과 같은 광 디스크를 기록 매체로 하여 상기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상기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된 DVD 중 DVD-RW, DVD-R, DVD-RAM 등은 재기록 가능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Rewritable Digital Versatile Disc)이다.
이 중 상기 DVD-RAM은 랜드와 그루브에 모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반면, DVD-RW/R은 그루브에만 데이터를 기록한다. 즉, DVD-RW/R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DVD-RAM의 헤더 영역 대신 랜드 트랙을 프리 피트(pre-pit)시켜 그루브 트랙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록하고, 랜드 트랙에는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다. 즉, 랜드에 미리 그루브 트랙의 물리적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피트 형태로 기록한다.
도 1은 상기된 DVD 계열 광 디스크들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 블록도로서, 광 픽업(102)은 서보 제어부(104)의 제어에 의해 대물 렌즈에 집광된 광빔이 광 디스크(101)의 신호 트랙 위에 놓이게 하고, 또한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하여 들어온 광을 다시 대물렌즈로 집광한 후 포커스 에러 신호와 트랙킹 에러 신호의 검출을 위해 광 검출기로 입사한다.
상기 광 검출기는 다수개의 광 검출 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광 검출소자에서 얻은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가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3)로 출력된다.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3)는 상기 광 검출기의 각각의 광 검출소자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로부터 데이터 재생을 위한 RF 신호,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FE) 신호, 트랙킹 에러(TE) 신호 등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RF 신호는 재생을 위해 데이터 디코더(도시되지 않음)로 출력되고, FE, TE와 같은 서보 에러 신호는 서보 제어부(104)로 출력된다.
상기 서보 제어부(104)는 포커스 에러(FE)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포커싱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를 포커스 서보 구동부(105)로 출력하고, 트랙킹 에러(TE)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트랙킹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를 트랙킹 서보 구동부(106)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포커스 서보 구동부(105)는 광 픽업(102) 내의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킴에 의해 광 픽업(102)을 상하로 움직여 광 디스크(101)가 회전과 함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추종해가도록 한다.
상기 트랙킹 서보 구동부(106)는 광 픽업(102) 내의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킴에 의해 광 픽업(102)의 대물렌즈를 래디얼(radial) 방향으로 움직여서 빔의 위치를 수정하고, 소정의 트랙을 추적한다.
이때,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3)와 서보 제어부(104)에서 DVD 계열의 광 디스크에 사용되고 있는 트랙킹 제어는 일반적으로 3빔법, 푸시-풀(push-pull ; PP)법, 위상차 검출(differential phase detection ; DPD)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 중 상기 푸시-풀법은 광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의 광 검출소자를 트랙 방향에 따라 2분할한 후 양 광 검출소자의 광량 밸런스로부터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것은 피트에 의해 회절, 반사되어 다시 대물렌즈에 입사한 빛의 강도분포가 피트와 스포트와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피트의 그림자가 양 광 검출소자에 균등하게 검출되면 트랙킹 에러 신호(TE)는 0이 되며, 이 상태를 트랙킹 온(또는 온 트랙)이라 한다. 반대로, 광빔이 트랙 중심에서 좌우로 벗어나면서 트랙킹 에러 신호(TE)가 + 또는 - 값을 갖는 상태를 트랙킹 오프(또는 오프 트랙)라 한다.
이때, 상기 푸시-풀법은 몇가지 조건이 있다. 그 중 하나는 빛의 파장을 λ라 하고, 피트의 깊이가일 때 즉, 피트에 의한 회절이 가장 유효하고 변조도가최대로 될 때에는 상기 푸시-풀법으로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얻을 수 없다. 즉, 피트의 깊이가일 때의 패턴은 대칭 패턴이 되므로, 2분할된 광 검출기로부터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얻을 수 없다.
한편, 상기 DPD법은 상기 푸시-풀법을 개량한 것이다. 상기 DPD법도 푸시-풀법과 마찬가지로 빔과 피트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른 빛의 강도 분포를 사용하지만, 대신 4분할 광 검출기를 사용한다.
즉, 상기 DPD법에서는 상기 빛의 강도 분포를 4개로 분할한 광 검출기로 받아서 위상차를 검출하여 트랙킹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피트 깊이의 영향이 적은 것, 일 예로,의 피트 깊이에서도 트랙킹 에러 신호가 나오며, 광 검출기 상에서 빔이 움직이더라도 그 영향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
일 예로, 상기 광 검출기가 도 2와 같이 광 디스크의 신호트랙방향(또는 탄젠셜(tangential) 방향이라고도 함.)과 래디얼(radial) 방향으로 특정분할, 즉 4분할한 4개의 광 검출 소자(PDA,PDB,PDC,PDD)로 구성되어 있다면, 상기 광 검출기는 각각의 광 검출 소자(PDA,PDB,PDC,PDD)에서 얻은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 a,b,c,d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DPD법은 상기 광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로부터 얻은 RF 신호(즉, a+b+c+d)를 기준으로 (a+c)의 전기신호와 (b+d)의 전기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트랙킹 에러 신호를 얻는다. 이를 hetero dyne법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푸시-풀 에러 신호는 푸시-풀법으로 얻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의미하고, DPD 에러 신호는 DPD법으로 얻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의미한다.
이때, 재생 전용인 DVD-ROM에서는 DPD법에 의해 트랙킹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DVD-ROM의 경우 피트의 깊이가이기 때문에 푸시-풀법으로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DVD-R이나 DVD-RW는 신호가 기록된 영역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DPD법으로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하며,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푸시-풀법으로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DVD-RAM의 경우에는 프리피트 영역만 DPD법으로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하고, 그 외의 영역에서는 푸시-풀법으로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한다.
따라서, 상기된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가 이러한 DVD 계열 광 디스크를 제어함에 있어서 랜드와 그루브의 판별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일 예로, 이미 데이터가 기록된 DVD-RW/R의 경우는 래디얼 콘트라스트(Radial Contrast ; 이하 RC라 칭함.) 차이에 의해 미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미러 신호를 이용하여 트랙(피트, 그루브)과 미러(land)를 구별하여 제어에 사용하고 있다.
이는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대물렌즈 방향이 외주 방향이면서 광 픽업의 헤드가 그루브 센터에 있을때가 트랙 온을 하기가 가장 좋은 시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RC가 작아서 이를 검출하기 힘든 디스크(예, DVD-RW/R 또는, DVD-ROM의 재생시)에서는 미러 검출이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L/G 판별이 어렵다. 즉, L/G 사이의 반사 광량의 차가 몇 % 이상이 되어야 L/G 판별이 이루어지는데 디스크의 고밀도화, 고배속화로 인해 RC 확보가 어려우면서 미러 신호의 검출이 제대로 안 된다.
일 예로, DVD-R/RW의 경우 재생시 RC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으므로 L/G 판별이 안되고 또한,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트랙 온시에 서보가 불안정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DPD 에러 신호로 트랙킹을 제어하는 디스크의 경우 상기 DPD 에러 신호의 기울기로 디스크 상의 대물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검출하고 이를 트랙킹 제어에 이용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광 검출기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 내지 도 9는 도 3의 각 부의 동작 파형도로서,
(a)는 DPD 에러 신호의 파형도
(b)는 업퍼 슬라이싱된 신호의 파형도
(c)는 로우어 슬라이싱된 신호의 파형도
(d)는 상기 (c)와 (d)를 배타적 오아링한 신호의 파형도
(e)는 대물렌즈 방향 신호의 파형도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의 방향 신호의 예를 보인 타이밍도
(b)는 본 발명에 따른 DPD 에러 신호로부터 검출한 TZC 신호의 파형도
(c)는 (a)의 대물렌즈 방향 신호에 따라 생성되는 브레이크 펄스의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DPD 신호 생성부 202 : TZC 생성부
203 : 업퍼 슬라이싱부 204 : 로우어 슬라이싱부
205 : 배타적 오아 게이트 206 : 대물렌즈 방향 검출부
207 : 브레이크 펄스 생성부 208 : 트랙 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은, 광 픽업에서 출력되는 반사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DPD법으로 트랙킹 에러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 방향과 - 방향에 대한 기울기 차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기울기 차로부터 트랙 온 시점을 결정하고 트랙 온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울기 차 산출 단계는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를 제 1 기준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상태의 제 1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를 제 2 기준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또는 로우 상태의 제 2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제 2 논리 신호를 배타적 오아링하여 제 3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액티브 구간 내에서 발생되는 제 3 논리 신호들의 타임들을 비교하여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 방향과 - 방향에 대한 기울기 차를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 온 단계는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라이징 시점에서 발생되는 제 3 논리 신호의 타임과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폴링 시점에서 끝나는 제 3 논리 신호의 타임의 비로부터 대물렌즈의 진행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 온 단계는 상기 대물렌즈의 진행 방향이 외주 방향으로 판별되고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기울기 차에 의해 위상 변화율이 작은 방향으로 판별된 트랙 센터에서 트랙 온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 온 단계는 대물렌즈의 방향이 검출되면 상기 대물렌즈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브레이크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 매체의 재생 제어 장치는, 광 픽업에서 출력되는 반사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DPD법으로 트랙킹 에러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를 제 1 기준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상태의 제 1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비교부와,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를 제 2 기준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상태의 제 2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비교부와, 상기 제 1, 제 2 논리 신호를 배타적 오아링하여 제 3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연산부와,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액티브 구간 내에서 발생되는 제 3 논리 신호들의 타임들을 비교하여 대물렌즈의 진행 방향을 검출하고 이를 트랙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라이징 시점에서 발생되는 제 3 논리 신호의 타임과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폴링 시점에서 끝나는 제 3 논리 신호의 타임의 비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내주 방향으로 판별하고, 작으면 외주 방향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물렌즈의 이동 방향이 외주 방향으로 판별되고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기울기 차에 의해 위상 변화율이 작은 방향으로 판별된 트랙 센터에서 트랙 온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대물렌즈의 방향이 검출되면 상기 대물렌즈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브레이크 펄스를 생성하는 브레이크 펄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 광 빔이 피트 열을 지날때와 피트가 없는 랜드(또는 미러)을 지날때는 DPD 에러 신호의 위상차의 변화율이 크게 다르다. 즉, 피트열(또는 그루브 트랙)을지날때는 RF를 기준으로 해서 대각 성분의 위상 기울기가 완만하여 이의 중심에서 트랙 서보를 걸게 되며, 미러(또는 랜드) 영역을 지날때는 대각 성분의 위상 변화율이 커서 그 기울기가 급격히 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DPD 에러 신호의 기울기를 구하여 대물렌즈의 방향을 검출하고 이를 트랙 제어에 이용하는데 있다.
도 3은 이러한 DPD 에러 신호를 이용한 광 기록매체의 트랙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광 픽업(102) 내의 광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 a,b,c,d를 입력받아 DPD법으로 트랙킹 에러 신호(DPD_TE)를 생성하는 DPD 신호 생성부(202), 상기 DPD 에러 신호(DPD_TE)로부터 트랙 제로 크로스(TZC) 신호를 생성하는 TZC 생성부(202), 상기 DPD 에러 신호(DPD_TE)를 기 설정된 업퍼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는 업퍼 슬라이싱부(203), 상기 DPD 에러 신호(DPD_TE)를 기 설정된 로우어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는 로우어 슬라이싱부(204), 상기 업퍼, 로우어 슬라이싱부(204)에서 슬라이싱된 두 신호를 배타적 오아링하는 배타적 오아 게이트(205), 상기 배타적 오아 게이트(205)의 출력과 로우어 슬라이싱부(204)의 출력으로부터 대물렌즈의 이동 방향을 검출하는 대물렌즈 방향 검출부(206), 상기 대물렌즈 방향 및 상기 TZC 신호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펄스를 생성하는 브레이크 펄스 생성부(207), 및 상기 브레이크 펄스 또는 TE 신호로부터 트랙킹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트랙킹 제어부(208)로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나가는 방향이 그루브 센터일 때 도 3의 각 부의 동작 파형도로서, 터닝 포인트 부분이 달라지는 DPD 에러 신호의 예들을 보인 것이다. 이때, 이때, 그루브 트랙(즉, 피트가 형성된 트랙)을 지날때는 RF 기준으로 대각 성분의 위상 기울기가 완만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a)는 DPD 에러 신호, (b)는 업퍼 슬라이싱된 신호, (c)는 로우어 슬라이싱된 신호, (d)는 상기 (c)와 (d)를 배타적 오아링한 신호, (e)는 대물렌즈 방향 신호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는 나가는 방향이 랜드 센터일 때 도 3의 각 부의 동작 파형도로서, 터닝 포인트 부분이 달라지는 DPD 에러 신호의 예들을 보인 것이다. 이때, 랜드 트랙을 지날때는 RF 기준으로 대각 성분의 위상 기울기가 급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a)는 DPD 에러 신호, (b)는 업퍼 슬라이싱된 신호, (c)는 로우어 슬라이싱된 신호, (d)는 상기 (c)와 (d)를 배타적 오아링한 신호, (e)는 대물렌즈 방향 신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광 픽업(102) 내의 광 검출기의 구성이 도 2와 같다면, DPD 신호 생성부(201)는 상기 광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 a,b,c,d를 입력받아 RF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RF 신호를 기준으로 RF 슬라이스 포인트에서 (a+c),(b+d)의 위상차를 구하여 도 4 내지 도 9의 (a)와 같은 DPD 에러 신호(DPD_TE)를 검출한다. 그리고, TZC 생성부(202)는 상기 DPD 에러 신호(DPD_TE)를 내부 기준 레벨 즉, 센터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TZC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TZC 신호는 트랙 크로스 시점에서 온/오프되는 신호이다.
한편, 업퍼 슬라이싱부(203)는 상기 DPD 에러 신호(DPD_TE)가 기 설정된 업퍼 슬라이스 레벨보다 크면 도 4 내지 도 9의 (c)와 같이 하이 상태의 신호를 배타적 오아 게이트(205)로 출력하고, 로우어 슬라이싱부(204)는 상기 DPD 에러신호(DPD_TE)가 기 설정된 로우어 슬라이스 레벨보다 크면 도 4 내지 도 9의 (d)와 같이 하이 상태의 신호를 상기 배타적 오아 게이트(205)로 출력함과 동시에 대물렌즈 방향 검출부(206)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업퍼 슬라이스 레벨은 트랙 센터 레벨보다 크게 설정되고, 로우어 슬라이스 레벨은 트랙 센터 레벨보다 작게 설정된다.
상기 배타적 오아 게이트(205)는 상기 업퍼 슬라이스된 DPD 에러 신호와 로우어 슬라이스된 DPD 에러 신호를 배타적 오아링하여 즉, 두 신호가 같은 레벨(예, 00 또는, 11)일때는 로우를, 다른 레벨(예, 01 또는, 10)일 때는 하이를 도 4 내지 도 9의 (e)와 같이 대물렌즈 방향 검출부(206)로 출력한다.
상기 대물렌즈 방향 검출부(206)는 상기 로우어 슬라이싱된 신호를 윈도우로 해서, 상기 배타적 오아 게이트(205)의 출력으로부터 대물렌즈의 방향을 검출한다. 즉, 상기 로우어 슬라이싱된 신호의 라이징 에지에서 발생하는 상기 배타적 오아 게이트(205)의 펄스 타임을 T1, 상기 로우어 슬라이싱된 신호의 폴링 에지 신호에서 끝나는 상기 배타적 오아 게이트(205)의 펄스 타임을 T2로 한 후, 상기 T1와 T2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대물렌즈의 방향을 검출한다. 즉, T2/T1의 비를 구하면, DPD 에러 신호(DPD_TE)의 라이징과 폴링의 위상 차이를 구할 수 있다.
만일, T2/T1 < 1-△이면 외주 방향으로 대물렌즈가 이동하는 경우이다. 즉, 대물렌즈가 트랙에 대해서 외주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경우이다.
그리고, T2/T1 > 1+△이면 내주 방향으로 대물렌즈가 이동하는 경우이다. 즉, 대물렌즈가 트랙에 대해서 내주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이다.
이때, 상기 대물렌즈 방향 검출부(206)는 판별 결과에 따른 로직 신호를 출력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대물렌즈의 이동 방향이 외주 방향일때는 로우, 내주 방향일 때는 하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1-△ < T2/T1 < 1+△이면 대물렌즈가 트랙을 느리게 크로스하는 전환점 즉, 터닝 포인트이다. 즉, 상기 터닝 포인트는 대물 렌즈와 트랙 크로스의 전환점 즉, 내주에서 외주로 또는, 외주에서 내주로 바뀌는 부분이다.
이때, 도 4 내지 도 9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닝 포인트에서는 DPD 에러 신호가 여러 종류로 생성될 수 있는데, 상기 대물렌즈 방향 검출부(206)는 상기 로우어 슬라이싱된 신호와 배타적 오아 게이트(205)의 출력으로부터 터닝 포인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로우 슬라이싱된 신호 내 즉, 윈도우 내에서 상기 배타적 오아 게이트(205)가 2개의 펄스를 생성하면 정상적인 상태로 판별하여 대물렌즈 방향 검출을 계속 수행하고, 만일 상기 배타적 오아 게이트(205)가 윈도우 내에서 펄스를 다수개(예, 3개) 발생하거나, 한 개 발생하면 외주 -> 내주, 내주 -> 외주로 전환되는 터닝 포인트로 판별한다. 그리고, 터닝 포인트로 판별되면 상기 대물렌즈 방향 검출부(206)는 대물렌즈 방향 신호를 절환한다.
상기 대물렌즈 방향 검출부(206)에서 검출한 대물 렌즈의 방향 신호는 브레이크 펄스 생성부(207)와 트랙 제어부(208)로 출력된다.
상기 브레이크 펄스 생성부(207)는 상기 TZC 생성부(202)에서 출력되는 TZC 신호와 상기 대물렌즈 방향 검출부(206)에서 출력되는 대물렌즈의 방향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펄스를 발생한다. 일 예로, 도 10의 (a)와 같이 상기 대물렌즈 방향검출부(206)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즉, 대물렌즈가 외주 방향으로 진행한다고 판별되면 도 10의 (b)와 같은 TZC 신호와 역상으로 도 10의 (c)와 같이 브레이크 펄스를 발생하고, 로우 신호가 출력되면 즉, 대물렌즈가 내주 방향으로 진행한다고 판별되면 상기 TZC 신호와 동상으로 브레이크 펄스를 발생하여 트랙 제어부(208)로 출력한다. 이러한 브레이크 펄스는 결국 TE 신호의 역상이 된다. 여기서, 브레이크 펄스가 TE 신호의 역상이 되어야 하는 것은 TE 신호의 방향과 반대로 브레이크 펄스를 인가해야 트랙킹 액츄에이터에 브레이크가 걸리기 때문이다.
상기 트랙킹 제어부(208)는 노말 서보시에는 상기 TE 신호로부터 트랙킹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트랙 점프 또는 프리 러닝 후의 트랙 온시에는 상기 브레이크 펄스 생성부(207)에서 생성된 브레이크 펄스로 트랙킹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트랙킹 제어를 한다. 이로써, 안정되고 빠른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된 바와 같이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대물렌즈 방향이 외주 방향이면서 광 픽업의 헤드가 그루브 트랙의 센터에 있을때가 트랙 온을 하기가 가장 좋은 시점이므로, 상기 트랙 제어부(208)는 상기 대물렌즈 방향 검출부(206)에서 대물렌즈의 방향이 검출되면 현재 트랙이 랜드인지 그루브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대물렌즈의 방향이 외주이면서 현재 트랙이 그루브일 때 상기 그루브 트랙의 센터에서 트랙 온을 한다.
여기서, 상기 L/G 판별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 T1과 T2를 이용하여 판별한다.
즉, 도 4 내지 도 9와 같이 데이터가 기록되는 그루브 트랙에서는 RF를 기준으로 대각 성분의 위상 기울기가 완만하며, 랜드 트랙에서는 위상 기울기가 급격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트랙 제어부(208)는 상기 T1과 T2의 타임 즉, 펄스 폭을 비교하여 큰 쪽을 그루브 트랙으로 판정한다. 즉, 상기 그루브 트랙은 랜드 트랙에 비해 RF 신호를 기준으로 대각 성분의 위상 변화율이 작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러 신호가 잘 검출되지 않는 DVD 계열의 디스크(예, DVD-ROM, DVD-RW/R)를 재생할 때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DPD 에러 신호로 트랙킹을 제어하는 디스크의 경우 상기 DPD 에러 신호의 기울기로 디스크 상의 대물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검출하고 이를 트랙킹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미러 신호의 검출이 용이하지 않는 디스크 구조 특히, DVD 에러 신호로 트랙킹을 제어하는 디스크에서도 대물렌즈의 진행 방향을 쉽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랙 서보를 온시킬 때 온시키고자 하는 TE의 위상이 랜드인지 그루브인지를 알 수 있으므로 서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빠른 트랙 서보 안정화를 위해 자동 브레이크를 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된 이유들로 인해 트랙 미끄러짐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시스템을 안정화시키고, 이로써 보다 안정되고 빠른 데이터 억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3)

  1. 광 픽업에서 출력되는 반사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DPD(differential phase detection)법으로 트랙킹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로부터 트랙 제로 크로스(TZC) 신호를 생성하여 광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 방향과 - 방향에 대한 기울기 차를 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울기 차로부터 트랙 온 시점을 결정하고 트랙 온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차 산출 단계는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를 제 1 기준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상태의 제 1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를 제 2 기준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상태의 제 2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제 2 논리 신호를 배타적 오아링하여 제 3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액티브 구간 내에서 발생되는 제 3 논리 신호들의 타임들을 비교하여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 방향과 - 방향에 대한 기울기 차를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레벨은 트랙 센터 레벨보다 크고, 제 2 기준 레벨은 상기 트랙 센터 레벨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온 단계는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라이징 시점에서 발생되는 제 3 논리 신호의 타임과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폴링 시점에서 끝나는 제 3 논리 신호의 타임의 비로부터 대물렌즈의 진행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온 단계는
    상기 대물렌즈의 진행 방향이 외주 방향으로 판별되고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기울기 차에 의해 위상 변화율이 작은 방향으로 판별된 트랙 센터에서 트랙 온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온 단계는
    대물렌즈의 방향이 검출되면 상기 대물렌즈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브레이크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펄스는 대물렌즈의 방향에 따라 상기 TZC 신호와 역상 또는 동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8. 광 픽업에서 출력되는 반사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DPD(differential phase detection)법으로 트랙킹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로부터 트랙 제로 크로스(TZC) 신호를 생성하여 광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를 제 1 기준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상태의 제 1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비교부;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를 제 2 기준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상태의 제 2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비교부;
    상기 제 1, 제 2 논리 신호를 배타적 오아링하여 제 3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연산부;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액티브 구간 내에서 발생되는 제 3 논리 신호들의 타임들을 비교하여 대물렌즈의 진행 방향을 검출하고 이를 트랙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레벨은 트랙 센터 레벨보다 크고, 제 2 기준 레벨은 상기 트랙 센터 레벨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라이징 시점에서 발생되는 제 3 논리 신호의 타임과 상기 제 2 논리 신호의 폴링 시점에서 끝나는 제 3 논리 신호의 타임의 비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내주 방향으로 판별하고, 작으면 외주 방향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1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물렌즈의 이동 방향이 외주 방향으로 판별되고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기울기 차에 의해 위상 변화율이 작은 방향으로 판별된 트랙 센터에서 트랙 온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물렌즈의 방향이 검출되면 상기 대물렌즈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브레이크 펄스를 생성하는 브레이크 펄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장치.
KR1020000057907A 2000-10-02 2000-10-02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20026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907A KR20020026679A (ko) 2000-10-02 2000-10-02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US09/968,678 US7012859B2 (en) 2000-10-02 2001-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1306060A JP2002163829A (ja) 2000-10-02 2001-10-02 光記録媒体の再生制御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907A KR20020026679A (ko) 2000-10-02 2000-10-02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679A true KR20020026679A (ko) 2002-04-12

Family

ID=1969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907A KR20020026679A (ko) 2000-10-02 2000-10-02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12859B2 (ko)
JP (1) JP2002163829A (ko)
KR (1) KR200200266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4192A (ja) * 2002-05-01 2005-08-1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密度再生専用光ディスクとそれによる光ディスク装置及び方法
EP2270783A3 (en) * 2002-07-02 2013-05-29 LG Electronics Inc. High-density optical disc and method for restricting playback of the high-density optical disc in optical disc apparatus
KR101051000B1 (ko) * 2003-02-19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불법 복제 판별방법
ATE346358T1 (de) * 2003-05-16 2006-12-15 Thomson Licensing Verfahren zum abgleich der verstärkung eines linsen-positions-signales und eine entsprechende vorrichtung zum lesen und/oder schreiben eines optischen aufnahmemediums
CN100382165C (zh) * 2003-05-21 2008-04-1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在光盘驱动器中进行径向跟踪的方法
JP2005293637A (ja) * 2004-03-31 2005-10-20 Sony Corp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信号検出方法
JP4626691B2 (ja) * 2008-09-11 2011-02-09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判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4019A (ja) * 1991-11-15 1993-06-11 Taiyo Yuden Co Ltd コンパクトデイスク装置のスレツド暴走防止回路
JPH06309677A (ja) * 1993-04-27 1994-11-04 Omron Corp 光学式情報処理装置
JPH1196563A (ja) * 1997-09-17 1999-04-09 Sony Corp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KR19990056972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트래킹밸런스 자동조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111805A (ko) * 2000-06-13 2001-12-20 구자홍 광 기록매체의 서보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3869A (en) * 1981-09-28 1984-04-17 Rca Corporation Track jump servo system for disc player
JPS59191144A (ja) * 1983-04-14 1984-10-30 Sony Corp 光ピツクアツプのトラツキングサ−ボ回路
JPH067413B2 (ja) * 1985-07-03 1994-01-26 株式会社リコー 光ピツクアツプのトラツキング制御方式
US4982393A (en) * 1987-08-31 1991-01-0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provided with means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tracking servo
JPH02103790A (ja) * 1988-10-11 1990-04-16 Pioneer Electron Corp トラッキングサーボ装置
JPH02198036A (ja) * 1989-01-27 1990-08-06 Olympus Optical Co Ltd 光情報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における光スポットの移動方向検出装置
US5245598A (en) * 1990-06-27 1993-09-14 Burroughs Alan C Method and apparatus for seek operations in an optical recording system including holding a focus error signal at track crossings
JP2598166B2 (ja) * 1990-12-19 1997-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媒体駆動装置
US5978329A (en) * 1995-06-07 1999-11-02 Discovision Associates Technique for closed loop servo operation in optical disc tracking control
JPH09288832A (ja) * 1996-04-22 1997-11-04 Toshiba Corp トラッキングエラー信号生成回路
US5956304A (en) * 1997-08-15 1999-09-21 Cirrus Logic, Inc. Differential phase error detector using dual arm correlation for servo tracking in an optical disk storage device
US6351437B1 (en) * 1998-11-17 2002-02-26 Sanyo Electric Co., Ltd. Tracking servo circuit
JP3776620B2 (ja) * 1999-03-24 2006-05-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方向検出装置及び方向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4019A (ja) * 1991-11-15 1993-06-11 Taiyo Yuden Co Ltd コンパクトデイスク装置のスレツド暴走防止回路
JPH06309677A (ja) * 1993-04-27 1994-11-04 Omron Corp 光学式情報処理装置
JPH1196563A (ja) * 1997-09-17 1999-04-09 Sony Corp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KR19990056972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트래킹밸런스 자동조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111805A (ko) * 2000-06-13 2001-12-20 구자홍 광 기록매체의 서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48235A1 (en) 2002-04-25
US7012859B2 (en) 2006-03-14
JP2002163829A (ja) 200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47393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JP3560410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KR100298929B1 (ko) 정보기록/재생방법및장치
KR100359825B1 (ko) 광 기록매체의 서보 방법
KR100379399B1 (ko) 광 기록매체의 헤더 영역 검출 방법 및 장치와 이를이용한 기록 재생 방법
KR20020026679A (ko)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51965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628171B1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686066B1 (ko) 광 기록매체의 제어 장치
KR100594739B1 (ko) 프리-피트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651969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 방법
KR100651966B1 (ko) 광 기록매체의 트랙킹 제어 방법 및 장치
JP3736412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686001B1 (ko) 광 기록매체의 비기록 영역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565716B1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547976B1 (ko) 광기록매체의 재생장치
KR20010111809A (ko) 광 기록매체의 미기록 영역 판별 방법
JP3660203B2 (ja) 信号再生方法および信号再生装置ならびに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565717B1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07711A (ko) 광 기록매체의 트랙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0587266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KR100577151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20042200A (ko) 광 기록 재생기의 서보 제어 방법
KR100698105B1 (ko) 광 기록매체의 랜드/그루브 트랙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0617208B1 (ko) 광 기록재생기 및 트랙 점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