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171B1 -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171B1
KR100628171B1 KR1019990018896A KR19990018896A KR100628171B1 KR 100628171 B1 KR100628171 B1 KR 100628171B1 KR 1019990018896 A KR1019990018896 A KR 1019990018896A KR 19990018896 A KR19990018896 A KR 19990018896A KR 100628171 B1 KR100628171 B1 KR 10062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cus
tracking error
error signal
level
focus serv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745A (ko
Inventor
박상온
홍성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171B1/ko
Priority to JP2000095944A priority patent/JP2000298857A/ja
Priority to US09/538,748 priority patent/US6625093B1/en
Publication of KR2000007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745A/ko
Priority to US10/623,654 priority patent/US7319648B2/en
Priority to JP2003292488A priority patent/JP2004039247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48Attaching valve members to screw-spindles
    • F16K1/482Attaching valve members to screw-spindles with a collar on the spindle or a groove in the spindle, by which a fixing element is supported, the spindle reaching into the valve member
    • F16K1/485Attaching valve members to screw-spindles with a collar on the spindle or a groove in the spindle, by which a fixing element is supported, the spindle reaching into the valve member with a groove in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랙 센터로부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헤더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디포커스 옵셋에 따라 달라지므로 그 특성을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 기록/재생중에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변화로부터 디포커스를 검출하고 보상함으로써, 기록 및 재생시 디포커스로 인한 데이터의 품질 저하를 막고, 포커스 서보를 빨리 안정화시켜 리얼 타임 기록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디포커스, 트랙킹 에러

Description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recording/playing of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재기록가능 디스크에서 각 섹터의 시작 위치에 프리포맷되는 헤더의 배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포커스 제어를 위한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의 광 픽업의 광 검출기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디포커스 옵셋 변화에 의해 헤더 1,2 영역과 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예를 그래프로 보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디포커스 옵셋 변화에 의해 헤더1,2 영역과 헤더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 변화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광 디스크 202 : 광 픽업
203 : 에러 신호 생성부 204 : 디포커스 검출부
205 : 서보 제어부 206 : 포커스 구동부
본 발명은 고밀도 광기록 매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기록매체의 디포커싱을 검출하고 이를 보상하는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유롭게 반복적으로 재기록 가능한 광 기록 매체 예컨대, 광 디스크로는 재기록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Rewritable Compact Disc ; CD-RW)와 재기록 가능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Rewritable Digital Versatile Disc ; DVD-RW, DVD-RAM,DVD+RW) 등이 있다.
상기된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 특히, DVD-RAM은 랜드(Land)와 그루브(Groove)의 구조로 된 신호 트랙을 두어, 정보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공 디스크에서도 트랙킹 제어를 할 수 있게 하며, 최근에는 기록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랜드와 그루브의 트랙에 각각 정보신호를 기록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록/재생하는 광 픽업의 레이저 광 파장을 단파장화하고, 집광하는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크게하여 기록 재생하는 광빔의 크기를 작게한다.
또한, 이러한 고밀도 광 디스크에서는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신호 트랙간의 거리 즉, 신호트랙피치를 작게 하고 있다.
이때, 재기록 가능형 디스크의 경우 최초의 디스크에는 아무런 정보가 없으므로 디스크 제어 및 기록이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랜드와 그루브에 디스크 트랙을 만들고 해당 트랙을 따라 정보를 기록하게 하며, 랜덤 억세스와 회전 제어를 위한 정보를 별도로 디스크에 기록하여 놓음으로써, 정보 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공 디스크에서도 트랙킹 제어를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정보는 도 1과 같이 각 섹터마다 섹터의 시작 위치에 헤더 영역을 프리 포맷팅(pre-formatting)하여 기록할 수도 있고, 트랙을 따라 워블링(Wobbling) 형상으로 기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워블링이란 일정한 클럭을 변조하여 디스크에 가할 정보 예를 들면, 해당 위치의 정보, 디스크의 회전 속도에 대한 정보 등을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워에 공급함으로써, 해당 레이저의 광빔의 변화에 의해 제어 정보가 트랙의 경계면에 기록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각 섹터의 시작 위치에 프리포맷되는 헤더 영역은 다시 4개의 헤더 필드(헤더 1 필드 ∼ 헤더 4 필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4개의 헤더 필드는 트랙 센터로부터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으며, 도 1은 그 한 예로서, 하나의 트랙에서 첫 번째 섹터에 대한 헤더 필드의 구조이다. 도 1을 보면,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유저 영역의 트랙 경계면은 워블링 형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광 기록재생장치에서도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광픽업을 통해 포커스 제어를 한다.
이때, 포커스 제어 즉, 포커스 서보시 광 초점이 디스크 면으로부터 어긋나 있게되면(이하, 디포커스라 칭함.) 기록 및 재생시 데이터 품질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동작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포커스 서보는 광 픽업 내의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킴에 의해 광 픽업을 상하로 움직여 광 디스크가 회전과 함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추종해가도록 한다. 즉,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따라 집광하는 대물렌즈를 상하 예컨대, 포커스축 방향으로 구동시킴에 의해 대물렌즈와 광 디스크와의 거리 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런데, DVD-RAM과 같이 랜드와 그루브에 모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에서는 랜드와 그루브의 깊이차에 의해 포커스 옵셋이 다르므로 포커스 에러 신호가 제로일지라도 디포커스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랜드와 그루브의 깊이차에 의해 랜드의 트랙에서 포커싱이 맞았더라도 옵셋 조정이 안되어 있으므로 이를 그대로 그루브의 트랙에 적용하면 포커싱이 안될 수 있다. 또한, 그루브의 트랙에 포커싱을 맞추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랜드의 트랙에서는 랜드와 그루브의 깊이차에 의해 포커싱이 맞지 않는 디포커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포커스 에러 신호만으로 디포커스 상태를 알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지터 특성이 나빠지고 BER(Bit error rate)이 커진다. 만일 이 상태로 기록을 하게되면 랜드와 그루브의 기록 특성이 바뀔수 있어 상기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록 및 재생시 데이터 품질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동작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헤더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변화량으로 디포커스를 검출하여 보상하는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은, 기록 가능한 데이터 영역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형상 구분을 위해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헤더 영역이 비기록 영역으로서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에서, 상기 비기록 영역내의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구간으로부터 각각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가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대칭인지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대칭이라고 판별되면 포커스-온으로 판정하고, 대칭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디포커스로 판정하여 그 결과치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치로부터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의 기준 레벨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의 기준 레벨은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트랙 센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커스 서보 단계는 위상이 서로 다른 두 트랙킹 에러 신호가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의 기록재생 방법은, 기록 가능한 데이터 영역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형상 구분을 위해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헤더 영역이 비기록 영역으로서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에서 상기 비기록 영역 내의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일정 기준값 이상이면 포커스-온으로 판정하고, 일정 기준값 이하이면 디포커스로 판정하여 그 결과치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치로부터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 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커스 서보 단계는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일정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 가능한 데이터 영역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형상 구분을 위해 위상이 상이한 제1, 제2 헤더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의 제1, 제2 헤더 영역으로부터 각각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하여 제1, 제2 트랙킹 에러 신호로 출력하는 서보 에러 생성부와, 상기 제1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제1 전위차를 구하고, 제2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제2 전위차를 구한 후 상기 두 전위차의 변화량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디포커스를 판별하는 디포커스 검출부와,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의 결과치로부터 디포커스를 보상하는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포커스 서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는 상기 제1 전위차와 제2 전위차가 비대칭이면 디포커스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는 상기 제1 전위차가 디포커스가 없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디포커스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는 상기 제2 전위차가 디포커스가 없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디포커스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는 상기 제1, 제2 전위차가 대칭을 이루면서 제1, 제2 전위차가 각각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포커스-온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커스 서보는 상기 제1, 제2 전위차가 대칭을 이루면서 제1, 제2 전위차가 각각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헤더가 트랙 센터로부터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트랙킹 에러 신호의 기준레벨과 상기 위상이 서로 다른 각 헤더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의 레벨차로부터 디포커스를 검출하여 보상하는데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포커스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포커스와 관련된 부분만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보면,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한 광 디스크(201), 상기 광 디스크(201)에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광 픽업(202), 상기 광 픽업(202)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로부터 고주파(RF)(또는 리드 채널 1이라고도 함.) 신호 및 서보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에러 신호 생성부(203), 상기 에러 신호 생성부(203)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디포커스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하는 디포커스 검출부(204),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204)에서 검출된 디포커스의 크기 및 방향으로부터 포커스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서보 제어부(205), 및 상기 포커스 구동 신호에 따라 광 픽업(202)을 제어하여 디포커스를 보상하는 포커스 구동부(20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 픽업(202)에는 빔의 광량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 검출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광 검출기는 일 예로 도 3에서와 같이 광 디스크(201)의 신호트랙방향과 래디얼 방향으로 특정분할, 즉 4분할한 4개의 광 검출소자(PDA,PDB,PDC,PDD)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광 디스크(201)는 신호 트랙이 랜드(Land)와 그루브(Groove)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랜드 또는 그루브의 트랙뿐만 아니라 랜드와 그루브의 트랙에 모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각 섹터의 시작 위치에는 헤더1,2 필드와 헤더 3,4 필드가 서로 엇갈리게 프리포맷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헤더 1,2 필드의 위상은 헤더 3,4 필드와 역상이다.
따라서, 광 디스크(201)가 장착되거나 기록/재생 중에 광 픽업(202)의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광한 레이저 광은 회전하는 광 디스크(201)의 신호 트랙위에 놓이게 되고, 여기서 반사되는 광은 광 검출기로 입사된다.
상기 광 검출기는 다수개의 광 검출 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광 검출소자에서 얻은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가 에러 신호 생성부(203)로 출력된다.
만일 광 검출기가 도 3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면 광 검출기는 각각의 광 검출기 소자(PDA,PDB,PDC,PDD)에서 얻은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 a,b,c,d를 에러 신호 생성부(203)로 출력한다.
상기 에러 신호 생성부(203)는 상기 전기신호 a,b,c,d를 조합하여 데이터 재생에 필요한 고주파(RF) 신호, 서보 제어에 필요한 리드 채널2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등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RF) 신호는 상기 광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a+b+c+d)하여 얻을 수 있고, 상기 리드 채널2 신호는 상기 광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a+d)-(b+c)하여 얻을 수 있으며, 트랙킹 에러(TE) 신호는 상기 리드 채널 2신호를 가공하여 얻을 수 있다.
만일, 상기 광 검출기가 트랙 방향으로 2분할된 경우라면 양 포토 다이오드(I1,I2)의 광량 밸런스로부터 고주파(RF) 신호(=I1+I2), 리드 채널 2신호(=I1-I2)를 검출한다. 즉, 도 3의 a+d가 I1, b+c가 I2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헤더1,2 영역과 헤더3,4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과 기준 레벨과의 차를 이용하여 디포커스를 검출한다. 여기서, 기준 레벨은 유저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센터 레벨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에러 신호 생성부(203)에서 검출된 서보 에러 신호 중 트랙킹 에러(TE) 신호는 디포커스 검출부(204)로 출력된다.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204)는 헤더1,2 영역과 헤더3,4 영역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각각 샘플링한 후 기준 레벨과의 차를 검출한다.
이때, 하기의 표 1은 틸트 제로(즉, 메카니즘 0) 상태에서 디포커스 및 디트랙을 조절하여 서보 에러 신호가 잘 나오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출력된 것으로, 틸트와 디트랙 옵셋은 고정한 상태에서 디포커스 옵셋 변화에 의한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디포커스[ ] 헤더1,2[V] 헤더3,4[V]
0.00
1.00
2.00 1.50 1.70
3.00 1.50 2.70
4.08 2.20 3.30
5.00 2.30 3.70
6.00 2.10 3.70
7.00 1.60 3.10
8.00 1.10 2.70
9.00
10.00
도 4는 상기 표 1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으로, 헤더 1,2 영역에서 검출된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와 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된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레벨과의 전위차가 가장 크게 나올때가 디포커스가 없는 경우이다.
즉, 트랙킹 에러 신호는 헤더 구간에서 이를 추종하기 위해 상하로 크게 변화를 일으키는데, 디포커스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헤더 1,2와 헤더 3,4를 지날 때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크지만, 디포커스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헤더 1,2와 헤더 3,4를 지날 때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작아진다.
따라서, 미리 디포커스가 없는 상태에서의 임계값(Th1)을 설정한 후 헤더 1,2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TE) 신호와 기준레벨과의 전위차(헤더 1,2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전위 - 기준 레벨의 전위=Vp1)가 기설정된 임계값(Th1)보다 큰지 유무로 디포커스를 검출할 수 있다.
즉, Vp1 ≥Th1이면 디포커스되어 있지 않다고 즉, 포커스-온으로 판정하고, Vp1 < Th1이면 디포커스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는, 헤더 3,4 영역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미리 디포커스가 없는 상태에서의 임계값(Th2)을 설정한 후 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TE) 신호와 기준레벨과의 전위차(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전위 - 기준 레벨의 전위=Vp2)가 기설정된 임계값(Th2)보다 큰지 유무로 디포커스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p2 ≥Th2이면 포커스-온으로 판정하고, Vp2 < Th2이면 디포커스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한편, 헤더 1,2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TE) 신호와 기준레벨과의 전위차(헤더 1,2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전위 - 기준 레벨의 전위=Vp1)와 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TE)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전위 - 기준 레벨의 전위=Vp2)를 비교하여도 디포커스 유무를 알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그 예들을 보인 경우로서, 틸트는 제로이면서 트랙킹 온과 포커스 온인 상태에서 디포커스 옵셋만 변화시키면서 검출한 트랙킹 에러 신호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보면, 좌측에 나타나는 신호가 헤더 1,2 영역에서 검출된 트랙킹 에러 신호(VHD12)이고, 우측에 나타나는 신호가 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VHD34)이며, 실시예로 유저 영역의 트랙킹 에러 신호의 센터 레벨에서 검출된 전압(VTE)이 기준 레벨의 전압이 된다.
여기서, 디포커스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헤더 1,2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Vp1=VHD12- VTE)와 상기 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Vp2=VHD34 - VTE)가 도 5b와 같이 거의 동일하면서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제일 크다. 즉, 상기 헤더 1,2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Vp1=VHD12- VTE)와 상기 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Vp2=VHD34-VTE)가 대칭을 이루면서 각각의 전위차도 제일 크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4022160324-pat00009
VHD12 - VTE ≥ Th1,
VHD34 - VTE ≥ Th2
만일, 도 5a, 도 5c와 같이 헤더 1,2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Vp1)와 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Vp2)가 다르면 즉, 비대칭을 이루거나 또는 각각의 전위차가 기설정된 임계값(Th1 또는 Th2)보다 작으면 디포커스가 발생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4022160324-pat00010
VHD12 - VTE < Th1 또는,
VHD34 - VTE < Th2
이와 같이 헤더 1,2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Vp1)와 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Vp2)를 각각 구한 후 두 전위차의 크기를 비교하면 디포커스의 크기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204)는 상기된 과정으로 디포커스 유무를 검출하여 서보 제어부(205)로 출력하고, 상기 서보 제어부(205)는 디포커스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상기 헤더 1,2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Vp1=VHD12- VTE)와 상기 헤더 3,4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Vp2=VHD34-VTE)가 대칭을 이루면서 각각의 전위차가 기설정된 임계값(Th1,Th2)과 같아지도록 포커스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포커스 구동부(206)로 출력한다.
상기 포커스 구동부(206)는 상기 포커스 구동 신호에 따라 광 픽업내의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킴에 의해 대물렌즈와 광 디스크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때, 본 발명은 임계값들을 미리 설정하여 놓으면 실제 데이터 기록재생시에 디포커스 유무를 판별하고 보상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포커스 서보의 빠른 안정화로 리얼 타임 기록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트랙 센터로부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헤더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디포커스 옵셋에 따라 달라지므로 그 특성을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 기록/재생중에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 변화로 디포커스를 검출하고 보상함으로써, 기록 및 재생시 디포커스로 인한 데이터의 품질 저하를 막고, 포커스 서보를 빨리 안정화시켜 리얼 타임 기록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31)

  1. 기록 가능한 데이터 영역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형상 구분을 위해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비기록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를 기록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기록 영역내의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구간으로부터 각각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가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대칭인지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대칭이라고 판별되면 포커스-온으로 판정하고, 대칭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디포커스로 판정하여 그 결과치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치로부터 디포커스를 보상하여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기준 레벨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센터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서보 단계는
    상기 위상이 서로 다른 구간으로부터 각각 검출된 두 트랙킹 에러 신호가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5. 기록 가능한 데이터 영역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형상 구분을 위해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비기록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를 기록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기록 영역 내의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일정 기준값 이상이면 포커스-온으로 판정하고, 일정 기준값 이하이면 디포커스로 판정하여 그 결과치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치로부터 디포커스를 보상하여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서보 단계는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일정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 레벨 검출 단계는
    상기 비기록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전위와 기준 레벨과의 전위차를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레벨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센터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 레벨 검출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비기록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비기록 영역에서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0. 기록 가능한 데이터 영역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형상 구분을 위해 위상이 상이한 제1, 제2 헤더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를 기록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제1 전위차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헤더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제2 전위차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구한 제1, 제2 전위차의 변화량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디포커스를 검출하고 그 결과치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결과치로부터 디포커스를 보상하는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기준 레벨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센터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 검출 단계는
    상기 제1 전위차와 제2 전위차와의 차 값이 기 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크면 디포커스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서보 단계는
    상기 제1 전위차와 제2 전위차와의 차 값이 기 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아지도록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 검출 단계는
    상기 제1 전위차가 디포커스가 없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디포커스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서보 단계는
    상기 제1 전위차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 검출 단계는
    상기 제2 전위차가 디포커스가 없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제3 임계값보다 작으면 디포커스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서보 단계는
    상기 제2 전위차가 상기 제3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 검출 단계는
    상기 제1, 제2 전위차가 대칭을 이루면서 제1, 제2 전위차가 각각 기 설정된 제2,제3 임계값 이상이면 포커스-온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서보 단계는
    상기 제1, 제2 전위차가 대칭을 이루면서 제1, 제2 전위차가 각각 기 설정된 제2,제3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20. 기록 가능한 데이터 영역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형상 구분을 위해 위상이 상이한 제1, 제2 헤더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를 기록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헤더 영역으로부터 각각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하여 제1, 제2 트랙킹 에러 신호로 출력하는 서보 에러 생성부와,
    상기 제1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제1 전위차를 구하고, 제2 트랙킹 에러 신호와 기준 레벨과의 제2 전위차를 구한 후 상기 두 전위차의 변화량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디포커스를 판별하는 디포커스 검출부와,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의 결과치로부터 디포커스를 보상하는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포커스 서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의 기준 레벨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센터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는
    상기 제1 전위차와 제2 전위차가 비대칭이면 디포커스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는
    상기 제1 전위차가 디포커스가 없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디포커스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는
    상기 제2 전위차가 디포커스가 없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디포커스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 검출부는
    상기 제1, 제2 전위차가 대칭을 이루면서 제1, 제2 전위차가 각각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포커스-온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서보는
    상기 제1, 제2 전위차가 대칭을 이루면서 제1, 제2 전위차가 각각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
  27. 기록 가능한 데이터 영역 사이에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비기록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를 기록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기록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구간으로부터 각각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에서 디포커스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포커스가 확인되면,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가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대칭인지 유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가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대칭이라고 판별되면 포커스-온으로 판정하고, 대칭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디포커스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30. 기록 가능한 데이터 영역 사이에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비기록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를 기록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기록 영역 내의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과 기설정된 일정 기준값을 비교하여 디포커스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디포커스가 판정되면, 포커스 서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커스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일정 기준값 이상이면 포커스-온으로 판정하고, 일정 기준값 이하이면 디포커스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KR1019990018896A 1999-03-30 1999-05-25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62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896A KR100628171B1 (ko) 1999-05-25 1999-05-25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JP2000095944A JP2000298857A (ja) 1999-03-30 2000-03-30 光記録媒体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US09/538,748 US6625093B1 (en) 1999-03-30 2000-03-30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record for optical recording medium
US10/623,654 US7319648B2 (en) 1999-03-30 2003-07-22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record for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3292488A JP2004039247A (ja) 1999-03-30 2003-08-12 光記録媒体の記録・再生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896A KR100628171B1 (ko) 1999-05-25 1999-05-25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745A KR20000074745A (ko) 2000-12-15
KR100628171B1 true KR100628171B1 (ko) 2006-09-27

Family

ID=1958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896A KR100628171B1 (ko) 1999-03-30 1999-05-25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716B1 (ko) * 1999-05-25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577166B1 (ko) * 1999-09-15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기록 재생기의 서보 제어 방법
JP3671873B2 (ja) * 2001-06-27 2005-07-13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KR101027401B1 (ko) * 2009-07-23 2011-04-11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포커스 서보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4019A (ja) * 1991-11-15 1993-06-11 Taiyo Yuden Co Ltd コンパクトデイスク装置のスレツド暴走防止回路
JPH1027354A (ja) * 1996-07-11 1998-01-27 Sony Corp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
KR100346685B1 (ko) * 1998-09-03 2002-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트랙검출방법및장치,이를이용한트랙킹제어방법및장치,그리고이에적합한디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4019A (ja) * 1991-11-15 1993-06-11 Taiyo Yuden Co Ltd コンパクトデイスク装置のスレツド暴走防止回路
JPH1027354A (ja) * 1996-07-11 1998-01-27 Sony Corp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
KR100346685B1 (ko) * 1998-09-03 2002-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트랙검출방법및장치,이를이용한트랙킹제어방법및장치,그리고이에적합한디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745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95184A (ja) 光記録媒体の記録再生方法
KR100359825B1 (ko) 광 기록매체의 서보 방법
US73196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record for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28171B1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265237B1 (ko) 쉘로우/딥-그루브 방식 광디스크의 트래킹 방법 및 그 장치
KR100595149B1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KR20020026679A (ko)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JP5623948B2 (ja) 推奨記録条件の決定方法及び記録調整方法
KR100565717B1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617204B1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KR100565716B1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556495B1 (ko) 광 디스크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617205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0285633B1 (ko)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587268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0577151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577166B1 (ko) 광 기록 재생기의 서보 제어 방법
KR100651965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556473B1 (ko) 틸트 제어 방법
KR100587266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KR100587267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KR100577165B1 (ko) 광 기록 재생기의 서보 제어 방법
US20060209621A1 (en)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556496B1 (ko) 광 디스크 트랙킹 제어 방법
KR20010057845A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