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782A -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782A
KR20020025782A KR1020010060295A KR20010060295A KR20020025782A KR 20020025782 A KR20020025782 A KR 20020025782A KR 1020010060295 A KR1020010060295 A KR 1020010060295A KR 20010060295 A KR20010060295 A KR 20010060295A KR 20020025782 A KR20020025782 A KR 20020025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electrode
control gate
forming
insulating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스미마사타카
오구라세이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오구라 세이키
하로 엘에스아이 디자인 엔드 디바이스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오구라 세이키, 하로 엘에스아이 디자인 엔드 디바이스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7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영역에 있어서 확산층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셀 면적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기판(1) 상에 STI막(2)이 서로 간격을 두고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되며,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하고 각 STI막(2)과 교차하도록 복수의 콘트롤게이트 전극(4)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 상에 각 STI막(2) 사이의 활성영역이면서, 또 콘트롤게이트 전극(4)의 한 측면 상에는 부동게이트 전극(6)이 형성된다. 제조 시에는, 부동게이트 전극 형성용 제 2 다결정 실리콘막에 있어서 STI막 상의 불필요한 부분 및 소스 형성영역 상의 불필요한 부분을 한 번의 공정으로 제거하는 대신에, 스트라이프형상 활성영역의 전면을 피복하는 제 1 마스크와, 드레인 형성영역의 전면을 피복하는 제 2 마스크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제거한다.

Description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며, 특히 부동게이트 전극이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측면에 형성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으로 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플래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최근, 미국특허 제 5678901 호에, 플래시 EEPROM형 반도체기억장치의 드레인영역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된 부동게이트 전극과, 이에 인접하는 콘트롤게이트 전극을 갖는 메모리셀 구조가 제안되었다. 이 메모리셀은 드레인영역과 콘트롤게이트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채널 고온전자를 생성하며, 생성한 고온전자를 그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단차부 상의 부동게이트 전극으로 주입함으로써 기입을 실행한다.
이하, 드레인영역에 단차부를 갖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의 (a)~도 10의 (c)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이며, 도 10의 (a)는 평면구성을 나타내고, 도 10의 (b)는 활성영역을 포함한 단면구성을 나타내며, 도 10의 (c)는 소자분리 절연막을 포함한 단면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의 (a)~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반도체기판(101) 상에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STI)막(102)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게이트 절연막(103)을 개재하고 각 STI막(102)과 교차하도록 복수의 콘트롤게이트 전극(104)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01) 상에서 각 STI막(102)) 사이의 활성영역이면서, 또 각 콘트롤게이트 전극(104)의 한 측면 상에는, 용량 절연막 및 터널 절연막으로 될 절연막(105)을 개재하고 부동게이트 전극(106)이 형성된다.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성영역에 있어서 각 부동게이트 전극(106)의 아래쪽 영역에는 단차부(101a)가 형성된다. 또 활성영역에 있어서 부동게이트 전극(106) 쪽에는 드레인 확산층(107)이 형성되며, 활성영역의 부동게이트 전극(106) 반대쪽 영역에는 소스확산층(108)이 형성된다.
도 10의 (b) 및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레인 확산층(107)은 콘트롤게이트 전극(104)의 게이트폭 방향을 따라 끊기지 않고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는 드레인 확산층(107)을 셀간에서 공유함으로써, 드레인선을 반도체기판(101)에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드레인선을 반도체기판(101) 위쪽에 콘택트부를 개재하고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이 콘택트부를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셀면적에서 차지하는 콘택트부의 비율이 저감되므로 장치의 미세화가 가능해진다.
이하, 상기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도 17은 종래 반도체기억장치 제조방법의 공정순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각 도면에서 (a)는 평면구성을 나타내고, (b)는 활성영역을 포함한 단면구성을 나타내며, (c)는 STI막을 포함한 단면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도 11의 (a)~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기판(201) 상에, 서로 간격을 둔 복수의 장방형 STI막(20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2의 (a)~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201)을 열산화법으로 산화시켜 반도체기판(201) 상에 제 1 산화 실리콘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CVD법으로 제 1 산화 실리콘막 상에 제 1 다결정 실리콘막 및 제 1 절연막(205)을 순차 퇴적시킨다. 그 다음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콘트롤게이트 전극 형성용 마스크패턴(206)을 형성하고, 형성한 마스크패턴(206)을 이용하여 제 1절연막(205)과 제 1 다결정 실리콘막 및 제 1 산화 실리콘막을 에칭함으로써, 제 1 다결정 실리콘막으로부터 콘트롤게이트 전극(204)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1 산화 실리콘막으로부터 콘트롤게이트 절연막(203)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13의 (a)~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패턴(206)을 제거한 후 CVD법으로 반도체기판(201) 상의 전체 면에 제 2 절연막을 퇴적시키고, 퇴적시킨 제 2 절연막에 대하여 드라이 에칭으로 에치백을 실시하여, 콘트롤게이트 전극(204)의 측면 상에, 제 2 절연막으로 이루어지는 측벽 절연막(207)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4의 (a)~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201) 상에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반도체기판(201) 활성영역의 드레인 형성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패턴을 갖는 단차부 형성용 마스크패턴(208)을 형성하고, 형성한 마스크패턴(208)과 제 1 절연막(205) 및 측벽 절연막(207)을 마스크로 한 드라이 에칭법으로 반도체기판(201)의 드레인 형성영역에 단차부(201a)를 형성한다.
다음 도 15의 (a)~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패턴(208)을 제거한 후 습식 에칭으로 측벽 절연막(207)을 제거한다. 이어서 열산화법으로 콘트롤게이트 전극(204)의 측면 상 및 단차부(201a) 상을 산화시켜 용량절연막 및 터널절연막으로 될 제 2 산화 실리콘막(209)을 형성한다. 그 후 CVD법으로 제 2 산화 실리콘막(209) 상에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0A)을 퇴적시키고, 퇴적시킨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0A) 상에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콘트롤게이트 전극(204)의 게이트폭 방향을 따라 드레인 형성영역을 개구시키는 개구패턴을 갖는 마스크패턴(211)을형성한다. 이어서 마스크패턴(211) 및 제 1 절연막(205)을 마스크로 하여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0A)에 대한 드라이에칭으로써,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0A)으로부터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0B)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6의 (a)~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패턴을 제거한 후, 반도체기판(201) 상에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드레인 형성영역 및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0B)의 드레인 형성영역 상에 위치하는 부분을 마스크하는 마스크패턴(212)을 형성한다. 이어서 마스크패턴(212) 및 제 1 절연막(205)을 마스크로 하여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0A) 및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0B)에 대하여 드라이 에칭을 실시하여, 드레인 형성영역 상에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0B)으로 구성되며 단차부(201a)를 피복하는 섬상 부동게이트 전극(210C)을 형성한다.
다음 도 17의 (a)~도 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패턴(212)을 제거한 후, 제 1 절연막(205) 및 부동게이트 전극(210C)을 마스크로, 비소 이온을 주입하여 드레인 형성영역에 드레인 확산층(214)을 형성하고, 소스 형성영역에 소스 확산층(215)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 제조방법은, 이하 나타내는 2 가지의 문제를 갖고있다.
첫째로, 도 16의 (a) 및 도 16의 (b)의 마스크패턴(212)을 이용하여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0A) 및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0B)의 소자분리 절연막(202) 상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거할 때,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0B)으로부터 양호한형상의 부동게이트 전극(210C)을 얻기 위하여 이방성 에칭을 실시한다. 이 때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STI막(202) 상에 위치하는 제 2 다결정 실리콘(210A)의 상면 높이는, 콘트롤게이트 전극(204)의 막 두께를 200㎚로 하며, 제 1 절연막(205)의 막 두께를 150㎚로 하고,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0A)의 막 두께를 100㎚로 하면 450㎚ 정도가 된다. 이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0A)을 에칭으로 제거할 때,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0A)과 제 2 산화 실리콘막(209)의 에칭 선택비가 40 정도이므로, 도 18의 (a) 및 도 18의 (c)의 부호 201b로 나타낸 영역에 노출된, 막 두께 9㎚의 제 2 산화 실리콘막(209)이 찢어져버리고, 그 결과 반도체기판(201)이 에칭되어 각 STI막(202) 사이의 확산층이 단선 되어버린다는 제 1의 문제가 있다.
둘째로, 도 16의 (a)에 도시한 드레인 형성영역 및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0B)의 드레인 형성영역 상에 위치하는 부분을 마스크하는 마스크패턴(212)은, 실제 형상이 도 19에 도시한 마스크패턴(212A)과 같이 각 모서리부분이 둥글어짐에 의한 치수 정밀도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크패턴(212)의 치수 마진을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각 STI막(202)에서 콘트롤게이트 전극(204)의 게이트폭 방향의 폭 크기가 커져, 셀면적을 작게 할 수 없다는 제 2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확산층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하며, 셀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를 나타내는 부분적 평면도.
도 2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Ⅱb-Ⅱ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Ⅱc-Ⅱc선의 단면도.
도 3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Ⅲb-Ⅲ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Ⅲc-Ⅲc선의 단면도.
도 4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Ⅳb-Ⅳ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Ⅳc-Ⅳc선의 단면도.
도 5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Ⅴb-Ⅴ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Ⅴc-Ⅴc선의 단면도.
도 6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Ⅵb-Ⅵb선의 단면도이며, (c)는(a)의 Ⅵc-Ⅵc선의 단면도.
도 7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Ⅶb-Ⅶ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Ⅶc-Ⅶc선의 단면도.
도 8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Ⅷb-Ⅷ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Ⅷc-Ⅷc선의 단면도.
도 9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Ⅸb-Ⅸ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Ⅸc-Ⅸc선의 단면도.
도 10의 (a)~(c)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를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Ⅹb-Ⅹ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Ⅹc-Ⅹc선의 단면도.
도 11의 (a)~(c)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를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ⅩⅠb-ⅩⅠ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ⅩⅠc-ⅩⅠc선의 단면도.
도 12의 (a)~(c)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를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ⅩⅡb-ⅩⅡ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ⅩⅡc-ⅩⅡc선의 단면도.
도 13의 (a)~(c)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를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ⅩⅢb-ⅩⅢ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ⅩⅢc-ⅩⅢc선의 단면도.
도 14의 (a)~(c)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를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ⅩⅣb-ⅩⅣ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ⅩⅣc-ⅩⅣc선의 단면도.
도 15의 (a)~(c)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를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ⅩⅤb-ⅩⅤ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ⅩⅤc-ⅩⅤc선의 단면도.
도 16의 (a)~(c)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를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ⅩⅥb-ⅩⅥ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ⅩⅥc-ⅩⅥc선의 단면도.
도 17의 (a)~(c)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를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ⅩⅦb-ⅩⅦ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ⅩⅦc-ⅩⅦc선의 단면도.
도 18의 (a)~(c)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확산층 영역이 단선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며, (a)는 부분적 평면도이고, (b)는 (a)의 ⅩⅧb-ⅩⅧb선의 단면도이며, (c)는 (a)의 ⅩⅧc-ⅩⅧc선의 단면도.
도 19는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마스크패턴의 각 모서리부분이 둥글러져, 치수 정밀도가 열화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1 : 반도체기판 2, 12 : STI(소자분리절연)막
4 : 콘트롤게이트 전극 6, 21c : 부동게이트 전극
7, 25 : 드레인 확산층 8, 26 : 소스 확산층
11a : 활성영역 11b : 단차부
13 : 콘트롤게이트 절연막(제 1 절연막)
14 : 콘트롤게이트 전극(제 1 도전막)
15 : 질화실리콘막(제 3 절연막)
16, 19, 22, 23, 24 : 마스크패턴
17 : 용량 절연막(제 2 절연막)
18 : 측벽 절연막 20 : 터널 절연막(제 2 절연막)
21A : 제 2 다결정 실리콘막(제 2 도전막)
21B :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측벽형상 도전막)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셀의 소자분리 절연막을 스프라이프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부동게이트 전극 형성용 제 2 도전막의 소자분리 절연막 상 및 소스 형성영역 상의 불필요한 부분을 한 번의 공정으로 제거하는 대신, 제 2 도전막의 소자분리 절연막 상 부분과 소스 형성영역 상 부분을 나누어 제거하는 구성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는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며,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과,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되며 소자분리 절연막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의 활성영역과, 반도체기판 상에, 제 1 절연막을 개재하고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 및 복수의 활성영역과 각각 교차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콘트롤게이트 전극과, 각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한 측면 상이며 또 복수의 활성영역 별로 제 2 절연막을 개재하고 형성된 복수의 부동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며,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은, 서로 간격을 두고 또 복수의 콘트롤게이트 전극과 교차하여 끊기지 않고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반도체기억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이 서로 간격을 두고 또 복수의 콘트롤게이트 전극과 교차하여 끊기지 않고 연장되도록 형성되므로, 부동게이트 전극을 에칭으로 형성할 때, 반도체기판이 에칭되는 일이 없어지므로, 확산층 영역이 단선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기억장치는, 콘트롤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된 제 3 절연막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활성영역이, 그 상부에 부동게이트 전극이 피복되도록 형성된 단차부를 가지며, 활성영역의 단차부 상단에는 소스 확산층이 형성되고, 단차부 하단에는 드레인 확산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기입동작 시 발생하는 채널 고온전자의 부동게이트 전극으로의 주입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며, 반도체기판 상에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기판에 상기 소자분리 절연막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의 활성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반도체기판 상에 제 1 절연막 및 제 1 도전막을 순차 형성한 후, 형성된 제 1 도전막에 선택적으로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제 1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 및 복수의 활성영역과 각각 교차하는 콘트롤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반도체기판 상에, 소자분리 절연막 및 콘트롤게이트 전극을 포함한 전면에 걸쳐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막을 순차 형성한 후, 형성된 제 2 도전막에 선택적으로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제 2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며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한 측면 상이면서 또 활성영역 상에 부동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콘트롤게이트 전극 및 부동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하고 반도체기판에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활성영역에 소스 확산층 및 드레인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며, 부동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은, 제 2 도전막을 퇴적시킨 후,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한 측면 상에 제 2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측벽형상 도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측벽형상 도전막 및 제 2 도전막의 소자분리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제 2 도전막에서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다른 쪽 면 위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한 측면 상에, 측벽형상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섬상 부동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기억장치 제조방법에 의하면, 부동게이트 전극의 형성공정에서 측벽형상 도전막 및 제 2 도전막의 소자분리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거할 때, 활성영역 및 그 위쪽 부분을 연속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어, 마스크패턴이 고립패턴으로 되지 않으므로 패턴 모서리부분의 둥글어짐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이 마스크패턴의 치수 마진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소자분리 절연막에서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게이트폭 방향의 폭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셀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메모리 셀의 미세화 또는 고집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기억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자분리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을, 반도체기판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 1 목적도 달성되며, 각 소자분리 절연막 사이의 확산영역이 단선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기억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트롤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이, 제 1 도전막 상에 제 3 절연막을 형성한 후, 형성된 제 3 절연막 및 제 1 도전막에 에칭을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부동게이트 전극을 형성할 때의 에칭공정에서, 제 1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상면이 그 위에 형성된 제 3 절연막에의하여 확실하게 보호된다.
본 발명의 반도체기억장치 제조방법은, 콘트롤게이트 전극을 형성한 후이며 또 부동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전에,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측면에 제 2 절연막을 개재하고 측벽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측벽 절연막을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기판에서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한 측면 쪽 영역에 대하여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복수의 활성영역에 단차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평면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Si)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기판(1) 상에 얕은 트렌치구조를 갖는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STI)막(2)이 서로 간격을 두고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되며, 게이트 절연막(도시 생략)을 개재하고 각 STI막(2)과 교차하도록 복수의 콘트롤게이트 전극(4)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 상에서 각 STI막(2) 사이의 활성영역이면서 또 콘트롤게이트 전극(4)의 한 측면 상에는, 절연막(도시 생략)을 개재하고 또 게이트폭 방향 단부가 STI막(2) 상에 위치한 섬상 부동게이트 전극(6)이 형성된다. 여기서 절연막은 콘트롤게이트 전극(4)과 부동게이트 전극(6) 사이에 협재하는 부분이 용량절연막으로 되며, 활성영역과 부동게이트 전극(6) 사이에 협재하는 부분이 터널 절연막으로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활성영역에서 부동게이트 전극(6)의 아래쪽 영역에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또한 활성영역의 부동게이트 전극(6) 측에는 드레인 확산층(7)이 형성되며, 활성영역의 부동게이트 전극(6)의 반대 쪽 영역에는 소스 확산층(8)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 제조방법의 공정순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각 도면에서 (a)는 부분적인 평면구성을 나타내며, (b)는 (a)의 활성영역을 포함한 단면구성을 나타내고, (c)는 (a)의 STI막을 포함한 단면구성을 나타낸다.
우선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기판(11)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스트라이프형의 복수 STI막(12)을 형성함으로써, 기판면에 STI막(12)으로 분리된 스트라이프형 활성영역(11a)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3의 (a)~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11)을 열산화법으로 산화를 실시하여, 반도체기판(11) 상에 막 두께가 약 9㎚의 제 1 산화실리콘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CVD법으로 제 1 산화실리콘막 상에 막 두께 약 200㎚의 제 1 다결정 실리콘막 및 막 두께 약 150㎚의 질화실리콘막(15)을 순차 퇴적시킨다. 그 후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콘트롤게이트 전극 형성용 마스크패턴(16)을형성하고, 형성된 마스크패턴(16)을 이용하여 질화실리콘막(15)과 제 1 다결정 실리콘막 및 제 1 산화실리콘막에 드라이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제 1 다결정 실리콘막으로부터 콘트롤게이트 전극(14)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1 산화실리콘막으로부터 콘트롤게이트 절연막(13)을 형성한다.
다음 도 4의 (a)~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패턴(16)을 제거한 후, CVD법으로 반도체기판(11) 상에, 콘트롤게이트 전극(14) 및 질화실리콘막(15)을 포함한 전면에 걸쳐 막 두께 약 5㎚의 HTO(고온 열산화)막과 막 두께 약 10㎚의 질화실리콘막을 퇴적시켜 용량절연막(17)을 형성한다. 그 후 붕소와 인을 포함한 산화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BPSG막을 퇴적시키고, 퇴적된 BPSG막에 대하여 드라이에칭에 의한 에치백을 실시하여, 콘트롤게이트 전극(14)의 측면 상에 BPSG막으로 이루어지는 측벽 절연막(18)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5의 (a)~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반도체기판(11) 상에, 콘트롤게이트 전극(14)의 게이트폭 방향을 따라 활성영역(11a)의 드레인 형성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패턴을 갖는 단차부 형성용 마스크패턴(19)을 형성한다. 이어서 마스크패턴(19), 질화실리콘막(15) 및 측벽 절연막(18)을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기판(11)에 등방성 드라이에칭을 실시함으로써 반도체기판(11)의 드레인 형성영역에 깊이 약 40㎚의 단차부(11b)를 형성한다.
다음 도 6의 (a)~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패턴(19)을 제거한 후, 기상불화수소를 이용한 에칭으로 측벽 절연막(18)을 제거한다. 이어서 열산화법으로 단차부(11b)의 상부를 산화시켜 산화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터널절연막(20)을 형성하며, 그 후 CVD법으로 반도체기판(11) 상에, 콘트롤게이트 전극(14) 및 질화실리콘막(15)을 포함한 전면에, 막 두께 약 100㎚의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을 퇴적시킨다. 이어서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 상에, 콘트롤게이트 전극(14)의 게이트폭 방향을 따라 활성영역(11a)의 드레인 형성영역을 개구시키는 개구패턴을 갖는 마스크패턴(22)을 형성한다. 그 후 마스크패턴(22) 및 질화실리콘막(15)을 마스크로 하여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에 대하여 이방성 드라이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으로부터, 단차부(11b)를 피복하는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B)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7의 (a)~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패턴(22)을 제거한 후, 반도체기판(11) 상에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STI막(12)을 노출시키는, 즉 활성영역(11a)을 마스킹하는 마스크패턴(23)을 형성한다. 이어서 마스크패턴(23)을 이용하여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 및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B)에 대하여 이방성 드라이에칭을 실시함으로써, 활성영역(11a)의 드레인 형성영역 상에,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B)으로 이루어지며, 단차부(11b)를 피복하는 동시에 그 게이트폭 방향의 단부가 STI막(12) 상에 위치하는 섬상 부동게이트 전극(21C)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콘트롤게이트 전극 한 개당 복수의 부동게이트 전극(21C)이 형성된다.
다음 도 8의 (a)~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패턴(23)을 제거한 후,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콘트롤게이트 전극(14)의 게이트폭 방향을 따라 활성영역(11a)의 소스 형성영역 및 STI막(12)을 개구시키는 개구패턴을 갖는 마스크패턴(24)을 형성한다. 그 후 마스크패턴(24) 및 질화실리콘막(15)을 마스크로 하여 등방성 드라이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의 소스 형성영역 상 부분을 제거한다.
여기서, 도 7의 (a)~도 7의 (c)에 도시한,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 및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B)의 STI막(12) 상의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도 8의 (a)~도 8의 (c)에 도시한,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의 소스 형성영역 상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은, 그 순서를 서로 바꾸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9의 (a)~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패턴(24)을 제거한 후, 질화실리콘막(15) 및 부동게이트 전극(21C)을 마스크로 하여, 가속전압이 40keV이며 도즈량 6×1015/㎠를 주입조건으로 반도체기판(11)에 비소(As)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드레인 형성영역에 드레인 확산층(25)을 형성하며, 소스 형성영역에 소스 확산층(26)을 형성한다.
그 후, 금속배선공정, 보호막 형성공정 및 본딩패드 형성공정 등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콘트롤게이트 전극(14)과 교차하며 게이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메모리 셀의 소자분리용 STI막(12)이 스트라이프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 및 측벽형상 다결정 실리콘막(21B)의 STI막(12) 상에 위치하는 부분을에칭제거할 때, 노출된 터널 절연막(20)을 찢고 반도체기판(11)이 에칭되는 일이 없어지므로, 확산층 영역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동게이트 전극(21C) 형성용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에 대한 패터닝공정을 한 번에 실시하지 않고, 도 7의 (a)~도 7의 (c)의 공정에서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의 STI막(12) 상의 부분을 제거하고, 이어지는 도 8의 (a)~도 8의 (c)의 공정에서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의 소스 형성영역 상의 부분을 제거한다. 이로써 제 2 다결정 실리콘막(21A) 및 측벽형상 도전막(21B)의 STI막(12) 상 위쪽부분을 제거할 때에 활성영역(11a) 및 그 위쪽부분을 연속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으므로, 마스크패턴(23)이 고립패턴으로 되지 않는다. 때문에 패턴 모서리부분의 둥글어짐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져 치수 마진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각 STI막(12)의 콘트롤게이트 전극(14) 게이트폭 방향의 폭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그 결과 셀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마스크패턴의 치수 정밀도가 향상되고 셀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부동게이트 전극이 콘트롤게이트 전극과 기판 상에 병렬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초미세화 및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7)

  1.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과,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소자분리 절연막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의 활성영역과,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제 1 절연막을 개재하고 상기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 및 복수의 활성영역과 각각 교차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콘트롤게이트 전극과,
    상기 각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한 측면 상이며, 또 상기 복수의 활성영역 별로 제 2 절연막을 개재하고 형성된 복수의 부동게이트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은, 서로 간격을 두며 또 상기 복수의 콘트롤게이트 전극과 교차하여 끊기는 일없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된 제 3 절연막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영역은, 그 상부에 상기 부동게이트 전극이 피복되도록 형성된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활성영역에서의 상기 단차부 상단에는 소스 확산층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 하단에는 드레인 확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4. 반도체기판 상에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도체기판에 상기 소자분리 절연막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의 활성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제 1 절연막 및 제 1 도전막을 순차 형성한 후, 형성된 제 1 도전막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 및 복수의 활성영역과 각각 교차하는 콘트롤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상기 소자분리 절연막 및 콘트롤게이트 전극을 포함한 전면에 걸쳐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막을 순차 형성한 후, 형성된 제 2 도전막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2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한 측면 상이며 또 상기 활성영역 상에 부동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콘트롤게이트 전극 및 부동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하고 상기 반도체기판에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상기 활성영역에 소스 확산층 및 드레인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부동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 2 도전막을 형성한 후, 상기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한 측면 상에 상기 제 2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측벽형상 도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측벽형상 도전막 및 상기 제 2 도전막의 상기 소자분리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도전막의 상기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다른 측면 상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상기 한 측면 상에, 상기 측벽형상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섬상 부동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분리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복수의 소자분리 절연막을,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 1 도전막 상에 제 3 절연막을 형성한 후, 형성된 제 3 절연막 및 제 1 도전막에 대하여 에칭을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게이트 전극을 형성한 후이며 또 상기 부동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측면에 상기 제 2 절연막을 개재하고 측벽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측벽 절연막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콘트롤게이트 전극의 상기 한 측면 쪽 영역에 대하여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활성영역에 단차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10060295A 2000-09-29 2001-09-28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57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98306A JP2002110823A (ja) 2000-09-29 2000-09-29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0-00298306 2000-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782A true KR20020025782A (ko) 2002-04-04

Family

ID=1878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295A KR20020025782A (ko) 2000-09-29 2001-09-28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677203B2 (ko)
EP (1) EP1193763A2 (ko)
JP (1) JP2002110823A (ko)
KR (1) KR20020025782A (ko)
TW (1) TW50484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1160B2 (en) 2006-09-06 2011-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ertically mounted shelf assembly and accessories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694B1 (ko) * 2005-04-26 2006-07-2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10267732A (ja) * 2009-05-13 2010-11-25 Panasonic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101583948B1 (ko) 2014-06-24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양극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8952A (en) * 1991-06-07 1994-08-16 Sharp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memory
US5780341A (en) 1996-12-06 1998-07-14 Halo Lsi Design & Device Technology, Inc. Low voltage EEPROM/NVRAM transistors and making method
US6297129B2 (en) * 1997-04-22 2001-10-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ry, and methods of form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circuitry
JP3602691B2 (ja) 1997-06-27 2004-12-15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51860A (en) * 1998-01-16 2000-04-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6303438B1 (en) * 1998-02-02 2001-10-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ncreased hot electron injection efficiency
US5976927A (en) * 1998-04-10 1999-11-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Two mask method for reducing field oxide encroachment in memory arrays
US6074914A (en) * 1998-10-30 2000-06-13 Halo Lsi Design & Device Technology, Inc. Integration method for sidewall split gate flash transistor
US6473383B1 (en) * 1999-03-09 2002-10-29 Seagate Technology, Inc. Single source optical disc data storage system
US6440794B1 (en) * 1999-05-28 2002-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an array of DRAM cells by employing a self-aligned adjacent node isolation technique
TW484228B (en) * 1999-08-31 2002-04-21 Toshiba Corp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512263B1 (en) * 2000-09-22 2003-01-28 Sandisk Corporation Non-volatile memory cell array having discontinuous source and drain diffusions contacted by continuous bit line conductors and methods of forming
US6825058B2 (en) * 2001-06-28 2004-11-3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of fabricating trench isolated cross-point memory arr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1160B2 (en) 2006-09-06 2011-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ertically mounted shelf assembly and accessorie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77203B2 (en) 2004-01-13
EP1193763A2 (en) 2002-04-03
TW504847B (en) 2002-10-01
US20040036110A1 (en) 2004-02-26
US20020039823A1 (en) 2002-04-04
JP2002110823A (ja) 200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2636B2 (ja) スプリットゲート型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JP2003303906A (ja) 不揮発性メモリ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46405B1 (ko) 스플릿 게이트형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방법
US7271080B2 (e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cell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40046204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030127683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0150676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998512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206226B2 (en) Non-volatile memory element having memory gate and control gate adjacent to each other
KR100356821B1 (ko) 반도체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5450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플래쉬 메모리 소자
KR20020025782A (ko)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376863B1 (ko) 반도체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2383B1 (ko) 개선된 소거효율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330948B1 (ko)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90654B1 (ko) 수직형이이피롬셀및그제조방법
KR100519790B1 (ko)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메모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279001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KR100262001B1 (ko) 반도체장치의 플래쉬 이이피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303916B1 (ko) 플레쉬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KR20020094505A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0693A (ko)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KR20060062791A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84569A (ko)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메모리 셀 제조방법
KR20010084622A (ko) 반도체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