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762A - 구조편집장치, 영상구조편집장치, 오브젝트의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컨텐츠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구조편집장치, 영상구조편집장치, 오브젝트의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컨텐츠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762A
KR20020025762A KR1020010059944A KR20010059944A KR20020025762A KR 20020025762 A KR20020025762 A KR 20020025762A KR 1020010059944 A KR1020010059944 A KR 1020010059944A KR 20010059944 A KR20010059944 A KR 20010059944A KR 20020025762 A KR20020025762 A KR 20020025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content
target
package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238B1 (ko
Inventor
유키 와키타
다카유키 쿠니에다
노조무 다카하시
키요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인포메이션 브로드캐스팅 래보러토리스, 인코포레이션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97170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51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576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234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591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59181A/ja
Application filed by 인포메이션 브로드캐스팅 래보러토리스, 인코포레이션,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인포메이션 브로드캐스팅 래보러토리스,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25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범위를 갖는 데이타(세그먼트)를 구조의 단위로서 미리작성한 구조에 대해서, 가능한 원래의 구조정보를 이용하면서 손질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구조편집장치 및 영상구조편집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정보 중 임의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하는 제1지정수단과,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포함되는 임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2지정수단과,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위치를 분할위치로 하고,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를 분할위치에서 전반세그먼트(번호4)와 후반세그먼트(번호23)의 2개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대상세그먼트를 2개의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세그먼트분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구조편집장치, 영상구조편집장치,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컨텐츠관리방법 및 기록매체{STRUCTURE EDIT APPARATUS, VIDEO STRUCTUER EDIT APPARATUS, CONTENTS STRUCTURE MANAGEMENT METHOD OF OBJECT, CONTENTS STRUCTURE DISPLAY METHOD, CONTENTS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구조편집장치, 영상구조편집장치,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컨텐츠관리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범위가 설정된 데이타(세그먼트)의 구조화에 있어서, 구조생성후에 실행되는 수정을 위한 편집기능을 구비한 구조편집장치, 영상구조편집장치 및 그 장치의 각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구조편집장치는 대상데이타로써 영상스트림(음성을 포함한 데이타를 포함)을 처리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영상구조편집장치에서 취급하는 영상구조의 생성 및 편집기능은 영상관리, 검색결과의 브라우즈, 다이제스트 작성등에 이용된다. 또한, 범위가 설정된 데이타의 편집으로서는 예를 들어 작업공정표의 편집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제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내용의 관리, 표시 및 편집과 동시에, 오브젝트의 구성을 정의한 스키머정의로 관리하고 표시하여,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내용을 편집가능하도록 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응요분야로서는, 예를 들면, XML형식으로 기술된 문서의 표시, 편집방법에 관한 응용이 있다. 이런 구조화문서의 형식은 기본적으로 <태그></태그>로 둘러싼 부분의 기입글자로 구성되어 있고, 사전에 스키머정의에 의해서 태그의 종류마다의 구조가 정의되어 있다. 이때에, 어떤 태그로 둘러쌓인 부분을 오브젝트라고 고려되면, <태그>의 안에는 속성이 기술될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오브젝트로서의 적용범위는 폭넓고, 그 구조가 정의되어 있어 계층구조를 나타내고 있다면 어떤 것이라도 본 발명의 오브젝트로서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직에 있어서도, 부품의 구성에 있어서도, 폴더의 관리에 있어서도, 그 구조와 구성을 정의하고, 계층구조로 도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오브젝트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데이타와 음성데이타등, 예를 들면 복수파일로 이루어진 하나의 컨텐츠를 논리컨텐츠로서 취급하고, 원래 컨텐츠의 파일뿐만 아니라, 관련된 데이타와, 처리에 필요한 여러가지 데이타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타, 및 내용기술파일등을 일괄하여 관리하고,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데이타형식의 데이타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컨텐츠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영상만의 영상스트림과, 영상과 음성을 포함한 영상스트림에 있어서도, 영상스트림을 구조화하여 구조정보를 작성하고, 그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관리, 편집, 활용하기 위한 각종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첫번째로, 영상스트림을 구조화하는 예로 하여, 예를 들면, 영상스트림중 임의 프레임의 범위를 세그먼트로서 정의하고, 하나의 세그먼트로 정의된 범위와 동일한 범위를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경우에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을 패키지로서 정의하는 것에 의하여, 영상스트림의 계층구조를 작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영상편집장치에 있어서는 영상의 표시예로서, 시계열로 영상스트림을 나열하여 영상을 화상아이콘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종종 이용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영상편집장치는 영상 자체를 편집하기 위한 것이고, 구조화된 영상스트림의 구조요소를 이용하여 영상스트림을 편집하거나, 구조 자체를 재구성하는 장치는 제공되어 있지 않다.
바꿔말하면, 영상편집소프트웨어나 비선형영상기에서는 각 비디오클립을 배치하고, 중합시켜 편집하는 과정으로 최대한 미세한 축척의 경우에는 연결프레임을 일렬로 나열하여 표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각 비디오소재를 중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영상스트림을 구조화하거나, 구조화된 영상스트림의 구조를 재구성하기위한 사용이 쉬운 지원툴은 제공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영상스트림 중 임의 프레임의 범위를 세그먼트로 정의하고, 하나의 세그먼트로 정의된 범위와 동일한 범위를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경우에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을 패키지로 정의하는 것에 의해 영상스트림의 계층구조를 정의한 구조정보를 이용하고, 영상스트림의 구조를 편집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두번째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인스턴스화된 오브젝트의 친자관계를 트리(木)구조로 표시하는 것은 직감적으로 알기쉽기때문에 일반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예를들어, 퍼스널컴퓨터의 파일열람화면을 보면 명확하다. 또한, 구조화문서의 하나인 XML문서의 편집소프트웨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인스턴스화된 오브젝트의 친자관계는 트리(木)구조로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있어서는 실제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구조와 오브젝트의 스키머정의에 의한 구조를 각각으로 표시한다. 이 때문에,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트리구조 중에 새로운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경우, 스키머로부터 오브젝트의 종류를 선별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스키머의 트리구조로부터 오브젝트를선택하여 오브젝트의 트리구조로 드롭(drop)하는 방법, 선택한 오브젝트에 관하여 그 하위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오브젝트의 종류를 다른 파레트와 같은 형태로 표시하고, 그것으로부터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반영시키는 방법등이 제공되어 있다.
도 58은, 종래의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구조와 오브젝트의 스키머정의에 의한 구조를 별개로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XML을 확장한 언어MPEG-7편집어플리케이션을 예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화면 좌측(4001)에 스키머, 화면우측 상부(4002)에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 화면 우측 하부(4003)에는 현재 정의하고 있는 classification이 가질수 있는 오브젝트가 열거되어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화면우측 하부(4003)으로부터 선택하여 추가, 삭제를 행하면서 오브젝터의 내용을 편집한다.
세번째로, 어떤 영상을 고려할 때, 어떤 표현형식이라도 그 영상을 나타내는 것은 인간에게 있어서 하나로 생각될 수 있다. 그것이 복수의 파일로 구성되어있던지, 하나의 파일이던지, 목적하는 영상이라는 것은 변하지 않는다. 영상컨텐츠의 데이타형식에는 DV형식, MPEG-1, MPEG-2, Real Media, Motion JPEG등이 있고, 각각 특생을 갖고 있지만, 어느 데이타형식이라도 내용은 동일하다. 더하여, 이것에 대하여 논리구조나 내용을 설명하는 기술을 작성하는 경우, 그 파일형식에는 존재하지 않게된다.
그렇지만, 현실에서 기억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영상컨텐츠인지 텍스트컨텐츠인 데이타종류등 하나의 데이타형식으로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출력하여 얻더라도, 그 데이타형식에 대응할 수 없는 시스템의 수취측에서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컨텐츠를 배송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고화질의 영상등은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보관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타형식이 고화질은 얻어지지만, 데이타량이 별로 적지않은 데이타형식이거나 하면, 배송된 데이타량이 불필요하게 크게 된다. 이때, 전송시간이 길어져 버리거나, 취출하여 편집하고자 하여도 보관되어 있는 데이타형식에서는 편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컨텐츠 관리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컨텐츠가 덱스트 데이타의 경우라면, 하나의 데이타형식으로 파일을 등록,보관하고, 그것을 프라이머리데이타로 하고, 그 프라이머리데이타를 다른 데이타형식, 예를 들어 PDF든지, FTS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타를 생성하여 그 생성한 데이타도 프라이머리데이타와 동일한 문서ID로 관리하여 두고, 파일을 취출할때에는 문서ID만이 아니라, 데이타형식도 지정시키는 것에 의해, 수취측이 재생할 수 없는 사태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있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을 고려하면, 복수의 물리적인 파일로부터 노리적인 파일을 구성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 및 본 출원인이 제안한 영상구조편집장치에 의하면, 컨텐츠의 구조를 작성하기 위한 기능은 제공되어 있지만, 작성한 구조에 대하여, 그 구조를 수정하기 위한 특화된 기능은 제공되어 있지 않다.
또한, 영상에 한하지 않고, 범위를 가진 데이타(세그먼트)를 구조의 단위로하여 데이타의 구조를 작성하면, 다음에 세밀한 부분에 대해서 수정할 필요(요구)가 발생하면, 재편집하기 위해 사용이 쉬운 기능을 가진 장치는 제공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세그먼트를 더 미세하게 분할할때에 새로운 세그먼트의 경계가 정해지지 않은 것을 알게된 경우에는, 공들여 생성한 세밀한 구조를 제거한 후, 새로운 세그먼트의 범위변경을 한 후에 고쳐작성할 필요가 있기때문에, 작성한 구조에 대하여 수정을 행하는 것이 복잡하고, 작업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실제의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구조와 오브젝트의 스키머정의에 의한 구조를 별개로 표시하여 두고,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트리구조 중에 새로운 오브젝트를 추가하는데는, 별도로 표시되어 있는 스키머를 참조하여, 스키머로부터 목적하는 오브젝트의 종류를 가릴 필요가 있기때문에, 추가/변경할 오브젝트의 계층이 다층인 경우나, 종류가 다른 명칭의 오브젝트의 종류가 다수존재하는 경우에는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스키머정의는 각 오브젝트의 구조를 단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뿐, 인스턴스의 형태를 이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트리구조의 계층에 있는 각 오브젝트의 위치관계를 이해하기 어렵고, 조작성 및 작업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스키머정의가 정의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든다.
1. 오브젝트A는 오브젝트B를 하나 가진다.
2. 오브젝트B는 오브젝트C를 하나 가진다.
3. 오브젝트C는 오브젝트A를 하나이상 복수개 가진다.
종래의 방법에서 이 스키머구조를 표시하면, 오브젝트A, B, C를 루트로 하는 구조를 3개 나열하는 것이 되지만, 이것으로부터는 오브젝트A가 순환참조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
더하여, 상술한 종래의 컨텐츠관리방법에 있어서는, 컨텐츠가 텍스트데이타인 경우, 수취측이 재생할 수 없다라는 사태의 발생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영상컨텐츠나 음성컨텐츠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않고, 독립된 하나 또는 복수의 파일을 논리컨텐츠로서 완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처리에 응하여 자동적으로 적절한 데이타형식이 선택되고, 그 데이타형식의 컨텐츠를 취출하거나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한 것으로서, 범위를 갖는 데이타(세그먼트)를 구조 단위로 미리작성한 구조에 대해서, 가능한 원래의 구조정보를 이용하면서 손질이나 수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구비한 구조편집장치 및 영상구조편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구조와 스키머정의에 의한 구조를 조합하여 직감적으로 이해되기 쉽게 하고, 조작성,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한 것으로서, 영상 컨텐츠나 음성컨텐츠를 포함하여 보관된 각종 데이타종류의 컨텐츠에 대해서 이용자가 데이타형식을 의식하지 않아도 처리에 적절한 데이타형식의 컨텐츠를 취출하거나하는 것이 가능한 컨텐츠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영상구조정보의 일예를 보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보인 컴퓨터의 블럭구성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의 영상구조편집장치로 사용하는 구조정보의 구조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의 구조표시소프트웨어에 의한 구조편집화면의 표시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의 구조표시소프트웨어에 의한 구조편집화면의 표시예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영상스트림의 계층구조를 구조표시소프트웨어로 구조편집화면에 표시한 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 분할처리 및 패키지의 분할처리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 분할처리 및 패키지의 분할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9는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의 분할처리 및 패키지의 분할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의 분할처리 및 패키지의 분할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의 경계이동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의 경계이동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의 경계이동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의 경계이동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의 경계이동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의 경계이동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의 경계이동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8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 경계이동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9는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 머지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0은 제1실시예의 패키지계층상승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1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계층하락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2는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계층상승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제거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4는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제거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5는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제거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6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제거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7은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제거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8은 제1실시예의 패키지제거처리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9는 분할위치나 이동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선분표시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세그먼트분할처리를 행하기 위한 조작다이알로그의 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31은 분할위치와 이동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선분표시의 설명도이다.
도 32는 세그먼트경계이동처리를 행하기 위한 조작다이알로그의 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33은 프레임연결표시화면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개요를 보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5는 제2실시예의 오브젝트편집장치에 대한 블럭구성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보인 오브젝트 내용편집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모듈의 개략적인 기능블럭도이다.
도 37은 제2실시예의 스키머정의의 예로 한 메모리상의 관리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관리상태를 오브젝트내용구조표시모듈로 표시한 표시화면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39는 오브젝트「CreationMetaInformation」이 반복하여 나타나느 표시화면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40은 선택지중에서 선택되어 있는 오브젝트와, 그 외의 선택지의 오브젝트의 표시아이콘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41은 제2실시예에서의 속성값 설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42는 제2실시예에서의 「인스턴스추가」의 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43은 제2실시예에서의 「인스턴스추가」의 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44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더미오브젝트의 MediaDuration을 실재하는 인스턴스로 추가하는 경우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45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더미오브젝트의 MediaDuration을 실재하는 인스턴스로 추가하는 경우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46은 실재하는 오브젝트를 제거하는 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47은 실재하는 오브젝트의 선택변경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48은 다른 실시예의 표시화면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49는 다른 실시예의 표시화면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을 조직구조디자인규칙에 응용한 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51은 제3실시예의 일예를 보인 아이콘관리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컨텐츠관리방법이 실시되는 정보처리장치의 하드웨어구성도이다.
도 53은 제3실시예의 일예를 보인 컨텐츠관리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54는 제3실시예의 일예를 보인 컨텐츠관리방법의 다른 설명도이다.
도 55는 제3실시예의 일예를 보인 컨텐츠관리방법의 다른 설명도이다.
도 56은 제3실시예의 일예를 보인 컨텐츠관리방법의 다른 설명도이다.
도 57은 제3실시예의 일예를 보인 컨텐츠관리방법의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도 58은 종래의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구조와 오브젝트의 스키머정의에 의한 구조를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영상구조편집장치 (구조편집장치)
101 : 컴퓨터
102 : 표시화면
103 : 기억부
207 : 구조해석소프트웨어
208 : 구조편집소프트웨어
209 : 구조표시소프트웨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관련된 구조편집장치는, 배열된 데이타중 임의 데이타의 범위를 세그먼트로 하여 정의하고, 하나의 세그먼트로 정의된 범위를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으로 표현한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을 패키지로 정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배열된 데이타의 계층구조를 정의한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열된 데이타의 구조를 편집하는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정보 중에 임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하는 제1지정수단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포함된 임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2지정수단과, 상기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상기 위치를 분할위치로 하여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를 상기 분할위치에서 전반세그먼트와 후반세그먼트, 2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상기 대상세그먼트를 상기 2개의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세그먼트분할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세그먼트분할수단이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를 분할위치에 기초해서 전반세그먼트와 후반세그먼트의 2개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대상세그먼트를 상기 2개의 세그먼트로 치환한다. 따라서, 분할된 세그먼트가 있는 경우에 대상세그먼트로 지정하고, 분할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수정(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2와 관련된 구조편집장치는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분할수단이 상기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갖는경우, 해당하는 패키지를 상기 전반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전반패키지와 상기 후반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후반패키지의 2개 패키지로 분할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구조정보의 계층구조에 있어서, 대상세그먼트 아래의 층에 패키지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상세그먼트의 분할에 대응시켜 해당하는 패키지도 2개로 분할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관련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정수단은 상기 구조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대상세그먼트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팅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구조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분할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팅디바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표시상에 분할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선분을 표시하고,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가능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1지정수단의 포인팅디바이스로 대상세그먼트를 지정하면, 제2지정수단이 대상세그먼트의 표시 위에 분할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선분을 표시하고, 제2지정수단의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켜 분할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청구항 4와 관련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 3중 하나에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직전 세그먼트의 종료위치와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가 같고, 또한 대상세그먼트의 종료위치와 다음 세그먼트의 개시위치가 같은 경우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의 이동을 지정하는 제3지정수단과, 상기 제3지정수단으로 경계의 이동이 지정된 경우 상기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상기 위치를 이동위치로 하고, 지정된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를 이동시키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경계의 이동이 지정된 경우에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이 제3지정수단으로 지정된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의 경계를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이동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청구항5에 관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4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경게이동수단은 상기 경계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 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시키지않는 제1경계이동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에 접한 다른 세그먼트의 종료위치 또는 개시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경계이동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 생성된 틈을 채우도록 새로운 세그먼트를 투입하는 제3경계이동중에서 선택가능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세그먼트 경계이동수단으로 경계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3개의 경계이동 방법을 선택가능하여, 제1경계이동이 선택되면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또한, 제3경계이동이 선택되면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에 인접한 다른 세그먼트의 종료위치 또는 개시위치를 이동시킨다. 더하여, 제3경계이동이 선택되면,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기 위해 생성된 틈을 채우도록 새로운 세그먼트를 투입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관련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구비한 경우, 해당하는 패키지중의 세그먼트 경계도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구비하는 경우,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이 해당하는 패키지 중의 세그먼트 경계도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따라서 이동시킨다.
또한, 청구항 7에 관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표시 위치에 이동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선분을 표시하고,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킨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2지정수단의 포인팅디바이스로 이동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선분을 자유롭게 평행이동시켜 이동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청구항 8에 관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세그먼트가 하위계층에 패키지이하의 구조요소를 갖는 경우, 상기 세그먼트분할수단 또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에 의해서 자(子)계층의 세그먼트를 분단하는 경우의 처리로, 분단된 세그먼트이하의 구조요소를 삭제하는 제1의 분단, 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하는 제2의 분단, 및 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한 후, 양옆의 세그먼트에 머징하는 제3의 분단중에서 선택가능하고, 또한, 이런 처리는 말단의 자계층까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세그먼트분할수단 또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에 의해서 자계층의 세그먼트를 분단하는 경우에 3개의 분단처리를 선택할 수 있어, 제1분단을 선택하면, 분단된 세그먼트 이하의 구조요소를 삭제한다. 또한 제2분단을 선택하면 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하고, 분할된 세그먼트의 하위에 다시 분단될 세그먼트가 있다면, 반복적으로 말단의 세그먼트까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3분단을 선택하면, 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한 후, 양옆의 세그먼트를 머지하고, 분할한 세그먼트의 하위에 다시 분단된 세그먼트가 있으면, 반복적으로 말단의 세그먼트까지 동일하게 처리한다.
또한, 청구항 9와 관련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세그먼트의 머지를 지정하는 제4지정수단과, 복수의 세그먼트를 머지하여 하나의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세그먼트머지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1지정수단은 동일한 패키지 내에 서로 인접한 복수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할 수 있고, 상기 세그먼트머지수단은 상기 제1지정수단으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지정되고, 더하여 상기 제4지정수단으로 머지가 지정된 경우에, 지정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머지하여, 시계열적으로 선두 세그먼트의 개시위치로부터 최후 세그먼트의 종료위치까지를 1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0에 관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정보중 임의 패키지를 대상패키지로 지정하는 제5지정수단과, 상기 제5지정수단으로 대상패키지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대상패키지의 구성요소인 모든 세그먼트를 상기 대상패키지의 상위 세그먼트 대신에 치환하여, 상기 대상패키지를 1계층 상승시키는 패키지계층상승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1에 관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 10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세그먼트의 계층하락을 지정하는 제6지정수단과, 복수의 세그먼트로부터 새로운 패키지와 새로운 세그먼트를 작성하여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세그먼트를 배치하고 상기 새로운 패키지를 상기 새로운 세그먼트의 하위 계층으로 배치하는 세그먼트계층하락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1지정수단은 동일한 패키지 내부의 서로 인접한 복수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가능하고, 상기 세그먼트계층하락수단은 상기 제1지정수단에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지정되고, 또한 상기 제6지정수단에서 계층하락이 지정된 경우에, 상기 새로운 세그먼트로 상기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합친 범위의 세그먼트를 작성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세그먼트 대신에 치환하고, 그 아래에 새로운 패키지를 작성하고, 상기 복수의 대상세그머트를 그 아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2와 관련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 11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세그먼트의 계층상승을 지정하는 제7지정수단과, 복수의 세그먼트를 1 계층위의 세그먼트로 이동시키는 세그먼트상승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지정수단은 동일 패키지 내부의 서로 인접한 복수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가능하고, 상기 세그먼트계층상승수단은 상기 제1지정수단으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지정되고, 또한, 상기 제7지정수단으로 계층상승이 지정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포함되는 패키지의 상위 세그먼트를 모(親)세그먼트로 하고, 상기 모세그먼트를 상기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합친 범위의 새로운 세그먼트와 그 이외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 세그먼트를 상기 새로운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3에 관련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1내지 청구항12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세그먼트의 삭제를 지정하는 제8지정수단과, 상기 제8지정수단으로 삭제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대상 세그먼트이하의 구조요소를 삭제하는 세그먼트삭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4에 관련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13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삭제수단으로 대상세그먼트이하의 구조요소를 삭제한 후의 틈의 처리로, 후처리없이, 직전의 세그먼트경계를 연장시키는 제1의 처리, 그 다음 세그먼트경계를 연장하는 제2의 처리,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내의 한점을 지정하고 직전 또는 그다음의 세그먼트 경계를 지정한 위치까지 연장하는 제4의 처리중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5에 관련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패키지의 삭제를 지정하는 제9지정수단과, 상기 제5지정수단으로 대상패키지가 지정되고, 또한 상기 제9지정수단으로 삭제가 지정된 경우에 대상패키지 이하의 구조요소를 삭제하는 패키지삭제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6에 관련된 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 1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열된 데이타가 영상스트림인 것이다.
또한, 청구항 17에 관련된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영상스트림중 임의 프레임의 범위를 세그먼트로 정의하고, 하나의 세그먼트로 정의된 범위를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으로 표현한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집합을 패키지로 정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영상스트림의 계층구조를 정의한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스트림의 구조를 편집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정보 중 임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하는 제1지정수단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포함되는 임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2지정수단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포함되는 임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2지정수단과, 상기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상기 위치를 분할위치로 하여,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를 상기 분할위치에서 전반세그먼트와 후반세그먼트, 2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상기 대상세그먼트를 상기 2개의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세그먼트치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8에 관련된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17에 기재된 영상정보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분할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갖는경우, 해당하는 패키지를 상기 전반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전반패키지와 상기 후반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후반패키지의 2개 패키지로 분할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9에 관련된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기재된 영상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정수단은, 상기 구조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대상세그먼트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팅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구조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분할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팅디바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표시 위에 분할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선분을 표시하고,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켜 분할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0에 관련된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19에 기재된 영상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할위치가 프레임단위일때, 조작다이알로그 상에 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A, 종료프레임B, 분할후보로 된 프레임C와 그 직전의 프레임D를 ADCB의 순서로 나열하여 프레임수와 함께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1에 관련된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17 내지 청구항 20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상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직전 세그먼트의 종료위치와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가 같고, 또한 대상세그먼트의 종료위치와 다음 세그먼트의 개시위치가 같은 경우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의 이동을 지정하는 제3지정수단과, 상기 제3지정수단으로 경계의 이동이 지정된 경우, 상기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상기 위치를 이동위치로 하고, 지정된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를 이동시키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22에 관한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21에 기재된 영상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은 상기 경계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 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시키지않는 제1경계이동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에 접한 다른 세그먼트의 종료위치 또는 개시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경계이동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기 위해 생성된 틈을 채우도록 새로운 세그먼트를 투입하는 제3경계이동중 선택가능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23에 관련된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22에 기재된 영상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구비한 경우, 해당하는 패키지내의 세그먼트 경계도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4에 관한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상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표시 위치에 이동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선분을 표시하고,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켜 이동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5에 관한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24에 기재된 영상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위치가 프레임단위일때, 조작다이알로그 상에 직전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A, 종료프레임B, 대상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C와 종료프레임D, 그 다음 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E와 종료프레임F를 프레임수와 함께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6에 관한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4에 기재된 영상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사기 세그먼트분할수단 또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을 통해서 세그먼트분할 또는 세그먼트 경계의 이동이 있는 경우에 상기 조작다이알로그에 표시되는 각 프레임의 갱신표시에 관해서, 갱신버튼을 누르는 경우만 갱신하던지, 설정한 갱신타이밍으로 갱신할지를 선택가능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27에 관한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청구항 26에 기재된 영상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재생버튼 및 프레임후보 선택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재생버튼을 누르면 그 시점의 대상세그먼트가 재생되고, 상기 프레임후보 선택버튼을 누르면 그 시점에서 지정되어 있는 후보프레임의 주변이 프레임연결표시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8에 관련된 기록매체는, 상기 청구항1 내지 청구항 16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의 각 수단으로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그 프로그램을 기계(機械)판독가능하게 되고,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7의 동작을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0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은, 각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가 0 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이루어지는 트리구조의 친자관계로 표현하여 두고, 또한, 오브젝트의 종류마다 각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 및 오브젝트의 종류가 스키머정의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관리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마다 그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상기 스키머정의로 정의된 자오브젝트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자오브젝트의 리스트는 자오브젝트로서 실제로 존재하는 모든 오브젝트의 인스턴스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자오브젝트로서 존재가능한 오브젝트를 유지하여 두고, 더하여 각 오브젝트에는 실제로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인스턴스인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자오브젝트로서 존재가능한 오브젝트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정보가 보관하고, 임의 오브젝트를 개시오브젝트로 한 경우, 상기 개시오브젝트의 자오브젝트 리스트, 상기 자오브젝트의 리스트에 보관된 각 오브젝트의 자오브젝트 리스트, 그 자오브젝트의 리스트에 보관되어 있는 각 오브젝트의 자오브젝트 리스트를 순차관리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개시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1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은, 청구항 30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자오브젝트로서 존재가능한 오브젝트는 동일한 종류의 오브젝트 마다 하나씩 관리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2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은, 청구항 30 또는 청구항 31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에 있어서, 어느 오브젝트의 스키머정의에 의해서, 해당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복수 종류의 오브젝트 중에, 어느 하나가 배타적으로 선택가능한 관계인 복수의 오브젝트가 조재하는 경우, 상기 어느 오브젝트는 상기 자오브젝트 리스트외에 상기 어느 하나가 배타적으로 선택가능한 관계인 복수의 오브젝트를 선택지리스트로 관리하고, 복수의 선택지 중에서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항되어 있는 경우, 선택되어 있는 해당 오브젝트만을 모오브젝트의 자리스트로 관리하고, 그것 이외의 선택지로 되는 오브젝트를 상기 선택되어 있는 해당 오브젝트의 선택지리스트중에,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자오브젝트로서 존재가능한 오브젝트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3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은, 각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가 0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이루어진 트리구조의 친자관계로 표현하여 두고, 또한, 오브젝트의 종류별로 각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 및 오브젝트의 종류가 스키머 정의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표시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자오브젝트로 보관하는 오브젝트를 트리구조로 표시하고, 또한, 그 목구조의 노드에 오브젝트의 종류를 표시하는 문자열을 표시하여 오브젝트구조를 표시하고, 표시되어 있는 트리구조로부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해서 해당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의 종류와 값을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내용과 구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4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은, 청구항 33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에 있어서, 오브젝트가 실제로 유지하고 있는 인스턴스오브젝트뿐만아니라, 유지되어 있지 않아도 그 스키머정의로부터 유지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종류별로 하나씩 트리구조안에 동시에 표시하고, 또한, 인스턴스오브젝트와 그이외의 오브젝트를 별개의 아이콘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5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은 청구항 33 또는 34에 개지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에 있어서, 루트인 오브젝트가 유지할 가능성이 있는 오브젝트가 각각 다시 오브젝트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트리구조를 계층적으로 표시하고, 이 때, 표시할 계층레벨을 지정하면, 실존하는 인스턴스오브젝트이하의 지정한 계층레벨까지를 표시하고, 그로부터 하위층의 구조를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6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은, 청구항 33 내지 3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에 있어서, 오브젝트가 가질 수 있는 자오브젝트의 종류의 스키머정의에 있어서, 복수종류의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는 경우 그 선택지의 모두를 자노드로서 트리구조중에 표시하고, 선택지 중 실제로 선택되어 유지되고 있다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그 외의 선택지를 별도의 아이콘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7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은 청구항 33 내지 청구항 36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지정한 후 「검색」을 지시하면, 해당하는 오브젝트전체를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8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은, 청구항 33 내지 37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에 있어서,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자오브젝트의 종류의 스키머정의에 있어서, 같은 종류의 자오브젝트를 복수개 구비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복수개 구비할 수 있는 최대수까지는 최소수의 자오브젝트를 상기 트리구조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39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은, 각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가 0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이루어지는 트리구조의 친자관계로 표현하고, 또한, 오브젝트의 종류별로 각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 및 오브젝트의 종류가 스키머정의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편집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자오브젝트로서 유지하는 오브젝트를 트리구조로 나타내고, 또한, 그 트리구조의 노드에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여 오브젝트구조를 표시하고, 표시되어 있는 트리구조로부터 트리구조에서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하여 해당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의 종류와 속성값을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내용과 구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속성값에 대해서, 변경할 값을 입력하여 변경을 지정하면, 해당하는 오브젝트의 속성값을 입력값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0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은, 청구항 39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에 있어서, 트리구조중에 실존하는 오브젝트를 하나 지정한 후, 「인스턴스추가」를 지정하면, 동일한 종류의 오브젝트의 인스턴스를 작성않고, 같은 종류의 오브젝트를 상기 지정한 오브젝트의 형제노드로 트리구조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1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은, 청구항 40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에 있어서, 스키머정의에 의해서 복수개를 갖는 것이 허락된 오브젝트와, 승인되지 않은 오브젝트는 미리 표시색, 아이콘등으로 구별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가 허락되지 않은 오브젝트에 대한 「인스턴스추가」의 표시를 수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2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은, 청구항 39 내지 41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에 있어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구비할 수 있는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더미오브젝트를 하나 지정한 후, 「추가」를 지정하면, 상기 더미오브젝트를 실제의 인스턴스로 변경하고, 트리구조중의 표시도 실제의 인스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3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은, 청구항 42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더미오브젝트뿐만아니라, 그 선조인 오브젝트가 더미오브젝트인 경우도 이것을 차차 실제 인스턴스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4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은, 청구항 39 내지 4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에 있어서, 실제로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지정한 후, 「삭제」를 지정하면, 상기 지정된 오브젝트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는 그 오브젝트이하를 삭제하여 트리구조로부터 제거하고, 그 오브젝트가 단일인 경우에는 그 오브젝트이하의 노드를 더미오브젝트로 변경하고, 트리구조내에 표시아이콘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5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은 청구항 39 내지 청구항 4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에 있어서, 선택되지 않은 선택지를 나타내는 더미오브젝트를 하나 지정한 후, 「선택변경」을 지시하면, 그때까지 선택되어 있던 오브젝트를 선택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로 변경하고, 상기 지정한 오브젝트를 선택되어 있는 오브젝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6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은, 청구항 39 내지 청구항 4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에 있어서, 편집된 오브젝트의 내용을 MPEG-7 또는 XML등의 기술용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7에 관한 기록매체는, 상기 청구항 30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8에 관한 기록매체는 상기 청구항 33 내지 청구항 38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9에 관한 기록매체는, 상기 청구항 39 내지 청구항 4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0에 기재된 발명은,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의 데이타형식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컨텐츠관리방법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파일로 이루어진 오리지날 컨텐츠의 데이타와, 그 오리지날 컨텐츠의 데이타와는 다른 데이타형식으로 표현한 데이타를 결정하여, 논리적인 하나의 컨텐츠로서 일괄관리하도록 구성한다. 이 발명에서는,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의 데이타형식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컨텐츠방법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파일로 이루어진 오리지날 컨텐츠의 데이타와, 그 오리지날 컨텐츠의 데이타와 다른 데이타형식으로 표현한 복수의 데이타가 결정되어, 논리적인 하나의 컨텐츠로 일관관리된다.
또한, 청구항 5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0에 개지된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가 영상데이타 또는 음성데이타인 경우, 오리지널 컨텐츠의 파일과, 처리에 적합한 데이타형식의 파일, 또는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등록한 파일을 일괄하여 관리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컨텐츠가 영상데이타 또는 음성데이타인 경우, 오리지널 콘턴체의 파일과, 처리에 적합한 데이타형식의 파일, 또는 이용자의 용구에 따라 등록한 파일이 일괄적으로 관리된다.
또한, 청구항 5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처리를 데이타편집, 내용기술작업, 또는 배송이라는 구성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오리지날 컨텐츠의 파일과, 데이타편집, 내용기술작업, 또는 배송에 적합한 데이타형식의 파일이 일괄적으로 관리된다.
또한, 청구항 5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1 또는 청구항 5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오리지널 컨텐츠의 등록이후, 논리컨텐츠를 특정한 처리요구에 따라서 요구된 처리에 적절한 데이타형식의 파일을 작성하던지 또는 자유로운 타이밍으로 미리 상정한 복수의 데이타형식의 파일을 자동적으로 작성하도록 구성한다. 이 발명에서는, 오리지널 컨텐츠의 등록이후, 논리컨텐츠를 특정한 처리요구에 따라서 요구된 처리에 적절한 데이타형식의 파일이 작성되던지, 또는 자유로운 타이밍으로 미리 상정한 복수의 데이타형식의 파일이 자동적으로 작성된다.
또한, 청구항 5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3에 기재된 발명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리지널 컨텐츠가 복수의 데이타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의 오리지널 컨텐츠의 데이타로 이루어진 논리컨텐츠에 대한 각 데이타의 분할위치와 분할한 길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구비하고, 그 관리정보를 포함하여 일괄하여 관리하도록 구성한다. 이 발명에서는 오리지널 컨텐츠가 복수의 데이타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복수의 오리지널 컨텐츠의 데이타로 이루어지는 논리컨텐츠에 대한 각 데이타의 분할위치와 분할된 길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포함하여 일괄적으로 관리된다.
또한, 청구항 5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논리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리지날 컨텐츠 각각의 데이타가 하나의 파일의 일부이던지, 또는 오리지날 컨텐츠 각각의 데이타사이의 내용에 중복되도록 구성한다. 이 발명에서는, 논리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리지널컨텐츠 각각의 데이타가 하나의 파일의 일부이거나, 또는 오리지널컨텐츠 각각의 데이타 사이의 내용에 중복되거나 해도 좋다.
또한, 청구항 5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5에 기재된 발명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컨텐츠를 나타내는 내용기술정보로서, 내용에 대해서 속성을 기술하도록 구성한다. 이 발명에서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내용기술정보로서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청구항 5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내용기술정보가 논리구조를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이 발명에서는 내용기술정보가 논리구조로 기술된다.
또한, 청구항 58에 개지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5에 기재된 발명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일괄하여 관리할 대상으로 된 데이타로서, 청구항 56 또는 청구항 57에 기재된 내용기술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 발명에서는 일괄하여 관리할 대상으로 되는 데이타로서 청구항 56 또는 청구항 57에 기재된 내용기술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청구항 5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8에 기재된 컨텐츠 관리방법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프로그래밍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이 발명에서는,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8에 기재된 컨텐츠 관리방법의 어느하나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예를 들면 착탈가능한 기록매체에 기억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 영상구조편집장치,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컨텐츠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에 대하여,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의 순서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 및 영상구조편집장치를, 영상구조편집장치로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는, 범위를 갖는 세그먼트의 구조화에 있어서, 구조생성후에 행하는 수정을 위한 편집에 관한 것이고, 특히, 대상데이타로서 영상스트림(음성을 포함한 것을 포함한다)를 취급하는 것이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는, 범위를 갖는 세그먼트의 구조편집이라는 점에서 보면, 대상 데이타가 범위를 갖는 것이라면 좋고, 그 데이타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에를 들어, 대상데이타로서 작업공정표와 같이, 시간분할(범위)과 그 시간에 있어서의 작업공정(작업내용)을 구비하는 데이타의 편집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대상데이타를 영상으로 한정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는, 영상을 구조화하여 내용을 기술하고, 그 구조정보를 영상검색이나 영상편집, 검색결과브라우즈, 다이제스트작성에 이용하는 기술에 이용되는 것이다.
구조생성후에 행하는 수정에서는, 모세그먼트의 범위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그 이하의 계층에 존재하는 자 세그먼트의 정보를 유지한 그대로 모세그먼트의 경계를 변경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미리작성한 구조에 대해서, 가능한 원래의 정보를 이용하면서 손질이나 수정을 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우선, 제1실시예에 의한 영상구조편집장치에 대해서,
(1) 영상구조편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2) 구조정보의 구성
(3) 구조표시소프트웨어에 의한 구조정보의 표시예
(4) 구조편집소프트웨어 기능의 구체적인 설명
(5) 세그먼트의 대표범위 및 대표프레임의 복사/이동처리,
의 순서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영상구조편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도 1은 제1실시예에 의한 영상구조편집장치(100)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영상구조편집장치(100)는, 영상스트림 및/또는 영상스트림을 구조화한 구조정보를 기억한 기억부(103)로부터 영상스트림을 입력하여 영상스트림의 구조를 해석함과 동시에,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영상스트림의 구조를 표시화면(102)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컴퓨터(101)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204는 키보드, 205는 포인팅디바이스인 마우스를 나타낸다.
기억부(103)로서는, 컴퓨터(101) 내에 내장된 하드디스크를 이용하도 좋지만, 여기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101)와 접속되어 있는 영상정보라이브러리나, 플로피디스크, CD-ROM, MO, DVD등의 기록매체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억부(103)는, 영상스트림 또는 구조정보중 어느 한쪽이 기억되어 있는 것과, 영상스트림과 구조정보의 양쪽이 기억되어 있는 것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영상구조편집장치(100)에서 구조편집을 행하기 전에, 대상인 영상스트림과 구조정보를 컴퓨터(101)내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좋다.
도 2는, 도 1에 표시한 컴퓨터(101)의 블럭구성도이다. 컴퓨터(101)는, 후술하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하는 CPU(201)와, 부팅프로그램등을 기억한 ROM(202)과, CPU(201)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203)과, 각종 입력조작을 행하기 위한 키보드(204) 및 마우스(205)와, 영상스트림의 해석과정이나 영상스트림의 구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화면(102)을 구비한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등의 표시장치(206)와, 제1실시예에 관한 영상구조편집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조해석소프트웨어(207), 구조편집소프트웨어(2080, 구조표시소프트웨어(209)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데이타를 기억한 하드디스크(210)와, 도 1에 표시한 기억부(103)와 컴퓨터(101)을 접속하는 각종 드라이버, 네트워크어댑터등의 인터페이스부(211)와, 상기 각부를 접속하는 버스(212)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영상구조편집장치(100)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예를 표시한 것이고, 후술하는 제1실시예의 각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시스템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영상스트림을 해석하여 구조정보를 생성하고, 그 구조를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구조표시방법의 기본적인 기술로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특원평10-249598호(일본국 특허3208116호)에서 제안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더하여 영상스트림의 구조화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적어도, 영상스트림 중의 임의 범위를 세그먼트로서 정의하고, 어떤 세그먼트로 정의된 범위에 포함되는 범위 또는 동일한 범위를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경우에,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을 패키지로 정의하고, 또한, 이런 복수의 세그먼트를 상기 어떤 세그먼트의 부분세그먼트로 정의하는 것에 의하여, 영상스트림의 전체를 구조화한 것을 대상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각 수단과 상기 가부의 대응관계에 대해서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지정수단, 제2지정수단, 제3지정수단, 제4지정수단, 제5지정수단, 제6지정수단, 제7지정수단, 제8지정수단, 제9지정수단은 기본적으로 표시장치(206)와 마우스(205)와 구조편집소프트웨어(208)로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그먼트분할수단,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 세그먼트머징수단, 패키지계층상승수단, 세그먼트계층하락수단, 세그먼트계층상승수단, 세그먼트제거수단, 패키지제거수단, 복사/이동처리수단 및 속성복사/이동수단은, 컴퓨터(101)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으로 실현시키고, 제1실시예에서는 구조해석소프트웨어(207), 구조편집소프트웨어(208) 및 구조표시소프트웨어(209)에 대응한다.
(2) 구조정보의 구성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영상구조편집장치로 사용하는 구조정보의 구조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영상스트림의 전체 구조의 입구를 루트 R로 정의하고, 이 루트 R의 아래에 계층적으로 존재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요소로서 영상스트림 중의 임의 범위를 세그먼트 S로 정의하고, 어떤 세그먼트 S로 정의된 범위에 포함되는 범위(즉, 세그먼트 S의 일부에 상당하는 범위) 또는 동일한 범위를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 S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경우에, 이런 복수의 세그먼트 S의 집합을 패키지 P로 정의한다.
즉, 도 3에 표시한 구조예에 있어서, 루트 R의 바로 아래에 있는 제1계층에는, 영상 전체를 표시하는 패키지 P(부호 A참조)와 그 패키지 P를 구성하는 하나의 세그먼트 S가 존재한다.
또한, 제2계층에는, 패키지 P (부호 B 참조)와 그 패키지 P를 구성하는 6개의 세그먼트 S와, 패키지 P (부호 C 참조)와 그 패키지 P를 구성하는 3개의 세그먼튼 S와, 패키지 P (부호 D 참조)와 그 패키지 P를 구성하는 2개의 세그먼트 S로 존재한다.
또한, 제3계층에는, 패키지 P(부호 E 참조)와 그 패키지 P를 구성하는 3개의 세그먼트 S와, 패키지 P(부호 F 참조)와 그 패키지 P를 구성하는 2개의 세그먼트 S와, 패키지 P(부호 G 참조)와 그 패키지 P를 구성하는 하나의 세그먼트 S와, 패키지 P (부호 H 참조)와 그 패키지 P를 구성하는 2개의 세그먼트 S와, 패키지 P (부호 I 참조)와 그 패키지 P를 구성하는 5개의 세그먼트 S가 존재한다.
또한, 제4계층에는, 패키지 P (부호 J 참조)와 그 패키지 P를 구성하는 2개의 세그먼트 S가 존재한다.
또한, 도 3의 구성예에서는, 계층으로서 제1계층 ~ 제4계층이 존재하지만, 이 계층의 깊이 및 각 계층의 패키지 P의 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하위 계층의 세그먼트로 정의된 범위의 일부의 범위 또는 동일한 범위를 하위의 복수 세그먼트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경우에, 이런 복수의 세그먼트를 하위 계층의 세그먼트에 대한 부분세그먼트로 정의한다.
이어서, 패키지 P를 어떤 기준으로 생성할지에 대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보인 구조의 영상스트림이 영화를 기록한 영상스트림인 경우에, 제2계층의 3개 패키지 가운데, 첫번째 패키지 P (부호 B 참조)는 영상을 정화면의 특징에 의해 나눈 것이고, 두번째 패키지 P (부호 D 차조)는 시간으로 나눈 것이다. 이 예에서는, 모세그먼트(상위계층의 세그먼트)를 분할하는 형식으로 부분세그먼트(모세그먼트의 한 계층 아래의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있는데, 하나의 패키지를 구성하는 부분세그먼트의 범위는 서로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부분세그먼트의 범위를 모으면 모세그먼트의 범위로 된다.
또한, 상술한 영상스트림의 구조는, 미리 생성된 구조정보로부터 유출 또는 판독되어도 되고, 영상스트림을 읽어들이고 그 장에서 직접 구조화하여 구조정보를 생성하여도 된다.
(3) 구조표시소프트웨어에 의한 구조정보의 표시예
도 4는 제1실시예의 구조표시소프트웨어(209)에 의한 구조편집화면(401)의 표시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이 구조표시소프트웨어(209)가 본 발명의 구조구성표시수단에 해당하고, 이하에 보인 바와 같이, 구조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스트림의 계층구조를 표시한다. 정확하게, 여기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표시화면(102)의 1 화면 사이즈로 전체의 구조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영상스트림을 예로 하고, 더하여 구조표시소프트웨어(209)의 기본적인 기능만을 표시한 구조편집화면(401)을 보인다.
구조편집화면(40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패키지를 노드(301a)로 하여, 구조정보를 트리형태의 친자관계로 표시한 구조정보(301)를 표시하는 구조표시부(401A)와, 각 패키지의 범위를 보이는 패키지식별표시(302a) 및 상기 패키지식별표시(302a)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각 세그먼트의 범위를 나타내는 세그먼트식별표시(302b)로 이루어진 구성정보(302)를 해당하는 노드의 표시행에 맞춰 표시함과동시에, 각 세그먼트의 범위를 수치눈금에 대응시켜 인식하기 위한 스케일(303)을 표시하는 구성표시부(401B)로 구성된다. 또한, 304는 구조표시부(401A)와 구성표시부(401B)가 대응하는 표시행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쉽도록 행표시부를 나타내고, 305는 선택한 세그먼트의 재생을 지정하는 재생버튼아이콘을 나타낸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화면(102)의 표시예를 참조하여,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보인바와 같은 영상스트림의 구조를 표시화면(102)에 표시하면, 도 5와 같이 된다. 여기에서, 구조표시부(401A)에 표시된 구조정보(301) 및 구성표시부(401B)에 표시된 구성정보(302)는, 이하의 ①~⑤의 규칙(조건)에 기초해서 표시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각 노드(301a)를 구별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노드를 표시하는 □(점선의 □)의 표시내에 도 3에 보인 부호 A~J를 기재한다. 같은 이유로 패키지 식별표시(302a) 및 세그먼트 식별표시(302b)를 PA, SA등으로 기재한다.
규칙①
트리형태의 친자관계에 있어서, 동일한 계층에 속하는 노드는 동일한 표시행 또는 표시열로 표시되고, 각각 직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 규칙①은, 이상과 같은 바꿔말할 수 있다. 즉, 구조정보(301)의 트리형태의 친자관계의 배치에 있어서, 임의의 패키지를 모패키지로 할 경우에, 모패키지의 구성요소의 하나인 세그먼트의 범위와 같은 범위를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으로 표현한 자패키지가 복수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복수개의 자패키지끼리를 형제 패키지로 정의하고, 이런 형제 패키지를 표시하는 복수의 노드를 종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하고, 또한이런 노드를 선으로 연결하여 표시한다. 또한, 트리형태의 친자관계에 있어서, 임의의 패키지를 모패키지로 한 경우에, 모패키지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세그먼트중 어느 하나의 세그먼트의 범위와 동일한 범위를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으로 표현한 자패키지가 복수개 정의되어 있고, 또한, 해당 복수의 자패키지의 범위가 중첩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런 복수의 자패키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노드끼리를 횡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하고, 또한, 이런 노드를 선으로 연겨라여 표시한다.
따라서, 도 5에 있어서, 노드B와 노드C와 노드D는 동일한 표시열에 표시되고, 또한,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계층이며, 이들 노드B,C,D에 대응한 패키지는 형제패키지이다. 또한, 노드G와 노드H와 노드I는 동일한 표시행으로 표시되고, 또한,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계층인지만, 이들 노드G,H,I에 대응한 패키지는 형제패키지가 아니다.
규칙②
트리형태의 친자관계에 있어서, 영상스트림의 전체를 표시하는 패키지의 노드는 최상위의 패키지로 정의하고, 대응하는 노드를 구조정보(301)(구조표시부(401A))의 좌측 상부에 배치한다. 따라서, 영상 전체를 표시하는 패키지P를 나타내는 노드A가 구조정보(301)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규칙③
트리형태의 친자관계에 있어서, 임의 패키지를 모패키지로 할때에, 모패키지의 구성요소의 하나인 세그먼트의 범위와 동일한 범위를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의집합으로 표현한 자패키지가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자패키지를 나타내는 노드를 모패키지를 나타내는 노드의 우측 아래에 배치하고, 도한, 이들 노드를 점선하여 연결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면, 노드E를 모패키지로 한 경우, 그 자패키지인 노드J는 구조표시부(401A)의 표시에 있어서 노드E의 우측 아래에 배치되고, 또한 노드E와 점선으로 연결된다.
규칙④
트리형태의 친자관계에 있어서, 형제패키지를 모패키지로 한 자패키지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하는 자패키지를 나타내는 노드를 해당하는 형제패키지를 나타내는 노드의 우측 하부에 배치하고, 또한, 해당하는 형제패키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형제패키지를 우측 하부에 배치한 자패키지의 위치보다 아래가 되도록 배치한다.
따라서, 도 5에 있어서, 노드E와 노드F와노드J에 주목하면, 노드E와 노드F 각각의 패키지는, 형제패키지의 관계에 있고, 노드E와 노드J 각각의 패키지는 모패키지와 자패키지의 관계에 있다. 이때문에, 노드E의 우측 아래에 노드J가 배치되고, 노드F는 노드J가 존재하는 행의 다음 행에 배치되어 있다.
규칙⑤
구성표시부(401B)는, 화면의 횡방향을 시계열방향으로 하고, 구조표시부(401A)의 행표시부(304)로 특정되는 각 노드에 대응하는 행에, 해당하는 패키지의 범위에 대응한 길이이고, 또한, 시계열상에 해당하는 위치에 작은 형상의 패키지식별표시(302a)를 표시한다. 또한, 패키지식별표시(302a)로 표시된 패키지를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별로, 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된 길이이고, 또한 시계열상에해당하는 위치에 블럭형태의 세그먼트식별표시(302b)를 표시한다.
따라서, 도 5에 있어서, 예를 들면, 노드A에 대응하는 패키지식별표시(부호PA)는, 노드A와 동일한 행이고, 또한, 영상스트림의 전체를 나타내는 길이의 작은 형상으로 표시된다. 또한, 노드A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식별표시(부호SA)는 노드A와 동일한 행으로, 세그먼트의 범위(여기에서는 영상스트림의 전체)에 대응한 길이의 블록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노드E에 대응하는 패키지식별표시(부호PE)는, 노드E와 동일한 행에, 노드E에 대응하는 패키지의 길이로, 시계열상의 해당하는 위치에 작은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노드E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식별표시(부호SE1~SE3)는 노드E와 동일한 행에, 각각의 세그먼트의 범위이고, 또한 시계열상에 해당하는 위치에 블럭형태로 표시된다.
제1실시예의 영상구조편집장치(100)는, 구조표시소프트웨어(209)로 규칙①~⑤를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정보 내부의 논리구조를 시각화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 세그먼트가 갖는 범위를 나누고 합치는 것을 직감적으로 알기쉽고, 복수의 패키지의 구조나 세그먼트의 구성을 간단하게 비교검사할 수 있고, 더하여 구조정보 전체의 구조 내에 있어서의 각 패키지 또는 세그먼트의 범위나 배치를 직감적으로 또한 정량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실시예의 구조표시소프트웨어(209)를 응용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후술하는 구조편집소프트웨어(208)에 의한 세그먼트의 추가, 제거, 범위번경등의 편집결과를 수시로 반영하여 표시하는 것이 쉽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표시방법을 이용하여 편집한 구조는 검색이나 브라우저를 위한 정보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후일, 이용하기 위하여 다시 기억부(103)에 보관해도 된다.
(4) 구조편집소프트웨어 기능의 구체적인 설명
이어서, 도 6 내지 도 31의 표시화면예를 참조하여, 구조편집소프트웨어(208)의 영상스트림구조의 수정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제1실시예에 있어서 구조편집소프트웨어(208)은 후술한 구조표시소프트웨어(209) 및 및 구조해석소프트웨어(207)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수정기능을 실현한다.
도 6은, 영상스트림의 계층구조를 구조표시소프트웨어(209)로 구조편집화면(401)에 표시한 에를 보인다.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4계층의 구조를 구비한 영상스트림의 예로 들고, 더하여 구성표시부(401B)에 표시되어 있는 각 세그먼트는 번호를 기술하여 식별하도록 한다.
도 6의 구조편집화면(401)에서는, 제1계층의 패키지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를 (번호 2)로 하고, 제2계층의 패키지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를 (번호 4,5,6,7)로 하고, 제3계층의 패키지내의 세그먼트 (번호5)에 대응한 패키지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를 (번호 10, 11,12,13)으로 하고, 제3계층의 패키지 중 세그먼트(번호 6)에 대응한 패키지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를 (번호 20,21,22)로 하고, 제4계층의 패키지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를 (번호15,16)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세그먼트를 분할하는 수정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할수정처리1)
예를 들어, 도 6의 제2계층의 세그먼트(번호 4)를 선두로부터 400프레임의 위치에서 분할한 경우, 마우스(205)를 이용하여 구조편집화면(401)에 표시된 구조표시부(401A)의 세그먼트(번호 4)를 클릭한다. 이에 의하여, 세그먼트(번호 4)가 대상세그먼트로서 지정된다. 다음으로, 마우스(205)를 이용하여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포함되는 임의 위치(여기에서는, 400프레임의 위치)를 클릭한다. 계속해서, 세그먼트분할아이콘(도시하지 않음)을 지정하면, 구조편집소프트웨어(208)이, 직전에 클릭된 위치를 분할위치로 하여, 대상세그먼트(번호 4)의 범위를 분할위치에서 전반세그먼트와 후반세그먼트 2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대상세그먼트(번호4)를 2개의 세그먼트(번호4, 번호23)로 치환한다.
즉, 여기에서는, 전반세그먼트가 원래의 대상세그먼트의 번호(번호 4)를 이어받아, 후반세그먼트에 새로운 세그먼트의 번호(번호23)가 부여된 예를 보이지만, 분할하여 생성한 2개의 세그먼트에 새로운 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세그먼트(번호4)는 그 아래 계층에 패키지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하위 세그먼트는 세그먼트(번호4)의 분할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분할수정처리2)
이어서,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구비하는 경우의 분할수정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6의 세그먼트(번호 6)을 대상세그먼트로 지정한 경우, 대상세그먼트(번호6)는 패키지T0를 구비하여 두고, 대상세그먼트(번호6)의 아래 계층에는 패키지T0를 구성하는 3개의 세그먼트(번호20,21,22)가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패키지를 전반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전반패키지와, 후반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후반패키지, 2개의 패키지로 분할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번호6)위에 분할위치M을 지정하면, 대상세그먼트(번호6)의 범위를 분할위치M에서 전반세그먼트(번호6)와 후반세그먼트(번호23)의 2개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패키지T0를 전반세그먼트(번호6)에 대응하는 패키지T1과 후반세그먼트(번호23)에 대응하는 패키지T2로 분할한다.
즉, 대상세그먼트가 아래 계층에 패키지이상의 구조요소를 갖는 경우에는, 하위 계층의 세그먼트를 분단하는 경우의 처리로서, 다음의 3가지 분단방법이 있다.
제1분단:분단된 세그먼트 이하의 구조요소를 제거한다(도 9 참조).
제2분단: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한다(도 10 참조).
제3분단: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한 후, 양옆의 세그먼트에 머징한다(도 8 참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세그먼트를 전반세그먼트(번호 6)과 후반세그먼트(번호23)의 2개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패키지T0를 전반세그먼트(번호6)에 대응하는 패키지T1과 후반세그먼트(번호23)에 대응하는 패키지T2로 분할하는 경우가 제3분단에 해당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위치M으로 분단된 세그먼트(번호21)를 제거한다는 것이 제1분단에 해당한다. 이 경우, 분단후의 패키지는 전반세그먼트(번호6)의 아래계층의 세그먼트를 묶은 것을 패키지T3로 하고, 후반세그먼트(번호23)의 하위 계층의 세그먼트를 묶은 것을 패키지T4로 하여 생성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단된 세그먼트(번호21)를 분할하여, 세그먼트(번호21)와 세그먼트(번호24)를 생성하는 것이 제2의 분단에 해당한다.
상기 제1~제3의 분단처리는, 대상세그먼트의 하위 계층의 세그먼트에서 분할위치M으로 분단되는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마지막 층의 자세그먼트까지 반복적으로 적용된다.
더하여, 제1~제3의 분단처리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지는, 예를 들어, 도 10의 풀다운메뉴(1001)로부터 마우스(205)로 원하는 처리를 선택하는 것으로 쉽게 실현할 수 있다.
(경계이동처리1)
다음으로, 세그먼트의 경계를 이동시키는 경계이동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경계이동처리1에서는, 대상세그먼트의 바로 아래 세그먼트의 종료위치와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가 같고, 더하여 대상세그먼트의 종료위치와 다음 세그먼트의 개시위치가 같은 경우에, 마우스(205)를 이용하여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의 이동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우스(205)를 이용하여 경계의 이동을 지정하면, 지정된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를 이동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제3계층의 세그먼트(번호21)의 개시위치측의 경계(도면중의 좌측 경계위치)를 지정하고, 그 경계를 선두로부터 1760프레임의 위치로 변경(이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든다. 우선, 마우스(205)를 이용하여 구조편집화면(401)에 표시된 구조표시부(401A)의 세그먼트(번호21)를 클릭한다. 이것에 의하여, 세그먼트(번호21)가 대상세그먼트로 지정된다. 이어서, 마우스(205)를 이용하여 대상세그먼트(번호21)의 좌측 경계위치를 클릭한다. 계속해서, 경계이동아이콘(도시하지 않음)을 지정한 후, 임의의 위치를 이동위치M0로 클릭하면, 구조편집소프트웨어(208)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세그먼트(번호21)의 좌측 경계위치를 이동위치M0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대상세그먼트(번호21)의 양옆 세그먼트(번호20,번호22)는 경계의 이동위치를 추종하여, 그 세그먼트의 범위가 변경된다.
경계의 이동처리에 있어서는, 대상세그먼트와 그것에 인접하는 세그먼트와의 경계를 어느 정도로 이동시키는 지에 의해서, 2개의 경계이동방법이 존재한다.
제1의 경계이동 :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바꿔말하면, 이동에 의해서 빈 영역을 그대로 둔다(도 12 참조)
제2의 경계이동 :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에 인접한 다른 세그먼트의 종료위치 또는 개시위치를 이동시킨다(도 11 참조).
제3의 경계이동 :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생성된 틈을 채우도록 새로운 세그먼트를 투입한다(도 13 참조).
도 6에 있어서, 대상세그먼트로서 세그먼트(번호 20)을 지정하고, 대상세그먼트(번호20)의 우측 경계위치(종료위치)를 지정한 후, 이 경계를 선두로부터 1760프레임의 위치로 변경(이동)시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번호20)과 세그먼트(번호21)의 사이의 이동에 의해서 빈 영역이 그대로 빈상태로 된다. 이것이 제1경계이동에 해당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세그먼트(번호21)과 그 양옆 세그먼트(번호20, 번호22)의 경계가 보통 함께 이동하는 것이 제2경계이동에 해당된다.
더하여, 도 6에 있어서, 대상세그먼트로서 세그먼트(번호20)를 지정하고, 대상세그먼트(번호20)의 우측 경계위치(종료위치)를 지정한 후, 이 경계를 선두로부터 1760프레임의 위치로 변경(이동)시키면, 도 13에 보인바와 같이, 세그먼트(번호20)와 세그먼트(번호21) 사이의 이동에 의해서 비게 된 영역에 새로운 세그먼트(번호23)가 투입되는 것이지만, 제3의 경계에 해당한다.
더하여, 제1~제3의 경계이동처리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것인지는, 예를 들어, 도 13의 풀다운메뉴(1001)로부터 마우스(205)로 원하는 처리를 선택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경계이동처리2)
경계이동처리2에서는, 세그먼트의 경계이동에 있어서,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갖는 경우에, 해당하는 패키지중의 세그먼트의 경계도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따라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도 14의 세그먼트(번호 6)의 좌측 경계위치를 이동위치M7까지 이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면, 대상세그먼트(번호6)가 패키지T8을 구비하고 있고, 인접하는 세그먼트(번호5)가 패키지T7을 구비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대상세그먼트(번호6)의 좌측 경계위치를 이동위치M7까지 이동시키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세그먼트(번호6)의 촤측 경계위치의 이동에 의해서, 패키지T8의 세그먼트(번호20)의 좌측 경계위치도 이동위치M7까지 이동한다. 같은식으로 패키지T7의 세그먼트(번호13)의 우측 경계위치가 이동위치M7까지 이동한다.
(경계이동처리3)
세그먼트의 경계이동에 있어서,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구비하는 경우, 대상세그먼트의 경계이동과 연동하여, 해당하는 패키지의 겨계도 변경되기때문에, 대상세그먼트의 걍계이동시에 일단 패키지를 전개하여, 이동후의 패키지의 경계(범위)에 따라서, 패키지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경계의 이동처리에 있어서, 대상세그먼트가 하위 계층에 패키지이하의 구조요소를 갖는 경우, 대상세그먼트의 경계이동에 의해서 하위의 계층의 세그먼트의 분단이 발생한다. 이 경우의 분단 처리로서도, 다음의 3개 분단방법이 있다.
제1분단 : 대상세그먼트의 경계이동에 이해서 분단된 세그먼트 이하의 구조요소를 제거한다(도 16 참조).
제2분단 : 대상세그먼트의 경계이동에 의해서 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한다(도 17 참조).
제3분단 : 대상세그먼트의 경계이동에 의해서 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한 후,양옆의 세그먼트에 머징한다(도 18 참조).
도 16에 보인 바와 같이, 세그먼트(번호 6)의 좌측 경계위치를 이동위치M8까지 이동시키면, 이동위치M8로 세그먼트(번호21)가 분단된다. 이 분단된 세그먼트(번호21)를 제거한 것이, 제1의 분단에 해당한다. 이 경우, 분단후의 패키지는 세그먼트(번호10, 11, 12, 13, 20)로 이루어지는 패키지T9와, 세그먼트(번호22)로 이루어진 패키지T10가 생성된다.
또한 도 17에 보인 바와 같이, 이동위치M8로 분단된 세그먼트(번호21)를 분할하여, 세그먼트(번호21)와 세그먼트(번호23)를 생성하는 것이 제2의 분단에 해당한다.
또한, 도 18에 보인 바와 같이, 이동위치M8로 분단된 세그먼트(번호21)를 2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분할한 전반세그먼트를 세그먼트(번호20)으로 머지하고, 분할한 후반세그먼트를 세그먼트(번호22)로 머지하는 것이, 제3분단에 해당한다.
상기 제1~제3분단 처리는, 대상세그먼트의 하위 계층의 세그먼트에 이동위치M로 분단되는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마지막 단의 자세그먼트까지 반복적으로 적용된다.
(머지처리)
이어서, 복수의 세그먼트를 머지하여 1개의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세그먼트머지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그먼트의 머지처리는, 우선, 머지(병합)하는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지정하고, 머지처리아이콘(도시하지 않음)을 선택하면, 지정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머지하여, 시계열적으로 선두의 세그먼트의 개시위치로부터 최후 세그먼트의 종료위치까지를 1개의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6의 세그먼트(번호5)와 세그먼트(번호6)을 머지하는 대상세그먼트로 지정하고, 이어서, 머지처리아이콘(도시하지 않음)을 지정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세그먼트(번호5)와 대상세그먼트(번호6)이 병합되어, 1개의 세그먼트(번호5)로서 치환된다. 이때, 대상세그먼트가 하위계층에 패키지이하의 구조요소를 갖는 경우, 대상세그먼트의 머지에 의해서 패키지의 병합이 행해진다. 도 19의 예에서는, 머지에 의해서 생성된 새로운 1개의 세그먼트(번호5)의 하위 패키지가 병합되어, 세그먼트(번호10,11,12,13,20,21,22)로 이루어진 1개의 패키지가 생성된다. 즉, 대상으로 된 세그먼트에 자패키지가 1개라도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1개로 병합되어, 각 패키지의 자세그먼트 모두가 관리된다.
(패키지계층상승처리)
이어서, 패키지계층상승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패키지계층상승처리에서는, 대상패키지를 지정하고, 대상패키지의 구성요소인 모든 세그먼트를 대상패키지의 상위 세그먼트 대신에 치환하여, 대상패키지를 1계층 상승시킨다.
예를 들어, 도 6의 패키지T20을 대상패키지로 지정하고, 이어서, 패키지계층상승처리아이콘(도시하지 않음)을 지정하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키지T20의 상위의 대상세그먼트(번호5)가 패키지T20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번호10, 11, 12, 13)으로 치환된다. 그 결과, 대상패키지T20은 1계층 위의 패키지T21에 포함되어, 1계층 상승한 것이 된다. 또한, 이 패키지의 계층상승에 의해서, 도 6에서 제3계층으로 치환되어 있는 세그먼트(번호10,11,12,13)이 제2계층으로 이동하고, 제4계층을 치환되어 있는 세그먼트(번호15,16)이 제3계층으로 이동한다.
(세그먼트계층하락처리)
세그먼트계층하락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에서는, 어떤 계층에 존재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지정하고, 이들 복수의 세그먼트로부터 1개의 세로운 패키지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들 복수의 세그먼트를 머지(병합)한 1개의 새로운 세그먼트를 작성하여, 복수의 세그먼트가 존재하고 있던 계층에 새로운 세그먼트를 배치하고, 새로운 패키지(즉, 복수의 세그먼트)를 새로운 세그먼트 아래의 계층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바꿔말해서, 복수의 세그먼트가 1개의 하위 계층으로 이동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6의 제2계층에 존재하는 세그먼트 중에서 3개의 세그먼트(번호5,6,7)가 대상세그먼트로 지정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여기에서, 대상세그먼트로 지정가능한 복수의 세그먼트는 같은 패키지내부에서 인접한 복수의 세그먼트인 것이 조건이다. 바꿔말해서, 대상세그먼트로서 지정하기 쉬운 2개의 세그먼트의 사이에 다른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실시예의 세그먼트계층하락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세그먼트계층하락 처리를 행하던가, 다른 처리와 조합하여 원하는 세그먼트계층하락처리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
제2계층에서 대상세그먼트(번호5,6,7)을 지정하고, 이어서, 세그먼트계층하락처리아이콘(도시하지 않음)을 지정하면, 도 21에 보인 바와 같이, 새로운 세그먼트로 세그먼트(번호23)가 생성되어, 세그먼트(번호23)가 제2계층의 대상세그먼트(번호5,6,7)의 위에 배치된다. 동시에, 대상세그먼트(번호5,6,7)로 1개의 패키지T22가 작성되고, 새로운 패키지T22가 제2계층의 세그먼트(번호23)의 아래(제3계층)에 배치된다. 이때, 도 21로부터 명백해진 바와같이, 세그먼트(번호5,6)과 같은, 하위계층에 패키지등의 구성요소를 갖는 경우에는, 세그먼트(번호5,6)가 1계층 하락하는 것에 따라서, 각각 1계층식 아래로 이동시킨다.
(세그먼트계층상승처리)
다음으로, 세그먼트계층상승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그먼트계층상승처리에서는, 어느 계층에 존재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지정하고,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포함되는 패키지의 상위 세그먼트를 모세그먼트로하고, 모세그먼트를 복수의 대상세그먼를 합한 범위의 새로운 세그먼트와 그 이외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새로운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6의 제3계층에 존재하는 세그먼트 중에서 3개의 세그먼트(번호 11,12,13)가 대상세그먼트로 지정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여기에서, 대상세그먼트로 지정가능한 복수의 세그먼트는 같은 패키지내부에 인접한 복수의 세그먼트인 것을 조건으로 한다.
제3계층에서 대상세그먼트(번호11,12,13)을 지정하고, 계속해서, 세그먼트계층상승처리아이콘(도시하지 않음)을 지정하면, 지정된 제3계층의 대상세그먼트의 모세그먼트(번호5)가 대상세그먼트(번호11,12,13)을 합한 범위의 새로운 세그먼트와 그이외의 세그먼트로 분할된다. 이때, 새로운 세그먼트가 새로운세그먼트를 포함하여 2개로 분할되는 경우에는 새로운 세그먼트이외의 세그먼트에 모세그먼트의 번호가 붙여진다. 또한, 새로운 세그먼트가 새로운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3개로 분할되는 경우에는, 새로운 세그먼트이외의 세그먼트로 새로운 세그먼트의 개시우치측의 세그먼트로 모세그먼트의 번호가 붙여지고, 종료위치측의 세그먼트로 새로운 세그먼트의 번호가 붙여진다.
그 후, 제2계층의 새로운 세그먼트가 제3계층의 대상세그먼트(번호11,12,13)로 치환되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가 1계층 상승한다. 이때, 대상세그먼트가 아래의 계층에 패키지등의 구성요소를 갖는 경우에는, 하위 구성요소도 대상세그먼트의 1계층상승에 추종하여, 각각 1계층씩 위로 이동된다.
(세그먼트제거처리)
다음으로, 세그먼트제거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그먼트제거처리에서는, 대상세그먼트로서 지정된 세그먼트를 삭제한다. 이 때, 대상세그먼트 이하의 구성요소를 제거한 후의 틈을 처리하는 것으로, 다음의 ① ~ ④의 처리방법이 존재한다.
① 후처리하지 않는다.
② 바로 전의 세그먼트경계를 연장한다(제1의 처리).
③ 바로 다음의 세그먼트 경계를 연장한다(제2의 처리)
④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내의 한 점을 지정하고, 바로 전,후의 세그먼트경계를 지정한 위치까지 연장한다(제3의 처리).
도 6에 있어서 세그먼트(번호6)의 삭제가 지정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①후처리가 없는 경우에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번호6)의 제거에 의해서 세그먼트(번호6)로부터 하위의 구성요소가 모두 제거된 상태로 된다.
②제1처리의 경우에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세그먼트(번호6)이 존재하고 있던 제2계층에서는, 바로 전의 세그먼트(번호5)의 세그먼트경계를 세그먼트(번호7)까지 연장한다. 이때, 제3계층에서는, 세그먼트(번호13)의 세그먼트경계를 제3계층에서 제거된 세그먼트(번호22)의 우측 경계위치까지 연장해도 된다. 또는, 도 25와 같이, 제3계층은 제거한 그대로이어도 된다.
③제2처리의 경우에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세그먼트(번호6)가 존재하고 있던 제2계층에서는, 바로 후의 세그먼트(번호7)의 세그먼트경계를 세그먼트(번호5)까지 연장한다. 또한, 제3계층에서는, 세그먼트(번호22)의 바로 다음에는 세그먼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대로 세그먼트(번호20,21,22)를 제거한다.
④제3처리의 경우에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내의 한 점M30을 지정하고, 바로 전의 세그먼트(번호5) 및 바로 다음의 세그먼트(번호7) 경계를 지정한 위치까지 연장한다.
즉, ①~④의 처리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것인는, 예를 들어, 풀다운메뉴(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마우스(205)로 원하는 처리를 선택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패키지제거처리)
다음으로, 패키지의 제거에 대해서 설명한다. 패키지제거처리에서는, 대상패키지이하의 구성요소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패키지T20을 대상패키지로 지정하면, 도 28과 같이 패키지T20 이하의 구조요소가 제거된다.
즉, 상기 설명에서는, 분할위치와, 이동위치를 지정하는 경우의 선분표시등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지만, 도 29 및 31에 보인 바와 같이, 계층구조에 있어서 제1계층으로부터 최하위 계층까지, 이동위치나 분할위치를 넓게 보기 위하여, 선분표시D10~D12를 표시하고, 마우스(205)로 이들 선분표시D10~D12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켜 위치를 결정하면, 각인성이 향상되어, 작업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도 20은, 세그먼트분할처리를 행하기 위한 조작다이알로그(500)의 예를 보인다. 조작다이알로그(500)는 세그먼트분할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프레임단위로 엄격하게 세그먼트를 수정할 때에 유효하다. 조작다이알로그(500)의 표시타이밍은 예를들어, 대상세그먼트를 지정하고, 세그먼트분할처리를 지정하면 화면표시된다. 도면에 있어서, 501은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프레임, 502는 대상세그먼트의 종료위치프레임, 504는 분할후보로 된 프레임(도 29의 선분표시D10로 지정한 분할위치의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503은 분할후보로 되는 프레임의 바로 전의 프레임이다.
또한, 505는 분할위치를 지정할 때의 분할위치프레임의 프레임수를 입력하기 위한 수치입력부를 표시한다. 이 수치입력부(505)에 분할위치프레임으로서 프레임수를 입력하거나, 선분표시D10을 이동시키거나 하면, 503 및 504 표시프레임이 변경된다.
506은 대상세그먼트의 재생을 지정하는 재생버튼을 표시하고, 507은 세그먼트분할을 실행하는 경우에 분할후보로 된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프레임후보선택버튼을 나타낸다. 이 프레임후보선택버튼(507)을 클릭하면, 도 33에 보인 프레임연결표시화면(700)이 표시된다. 프레임연결표시화면(700)에는 그 시점에서 지정되어 있는 후보프레임(프레임504)의 주변이 연결프레임으로서 표시된다.
도 32는, 세그먼트경계이동처리를 행하는 때의 조작다이알로그(600)의 예를 보인다. 조작다이알로그(600)는, 이동위치가 프레임단위로 언젠가 세그먼트경계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프레임단위로 엄격하게 세그먼트를 수정할 때 유효하다. 조작다이알로그(600)의 표시타이밍은 예를 들어, 대상세그먼트를 지정하고, 세그먼트경계이동처리를 지정하면 화면표시된다. 도면에 있어서, 601 및 602는 도 31의 선분표시D11,D12에 대응한다.
또한, 604가 대상세그먼트, 604a가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프레임(개시프레임), 604b가 대상세그먼트의 종료위치프레임(종료프레임)을 나타내고, 603이 대상세그먼트 바로 전의 세그먼트, 603a가 바로 전 세그먼트의 개시위치프레임, 603b가 대상세그먼트 바로 전의 종료위치프레임을 나타내고, 605가 대상세그먼트 바로 다음 세그먼트, 605a가 바로 다음 세그먼트의 개시위치프레임, 605b가 대상세그먼트 바로 다음의 종료위치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더하여, 607a 및 607b는 이동위치를 지정할때의 이동위치프레임의 프레임수를 입력하기 위한 수치입력부를 나타낸다. 수치입력부(607a)로 이동위치의 후보로 된 프레임수를 입력하면, 경계601(선분표시D11)이 입력된 프레임수의 위치에 이동하고, 603b 및 604a의 표시프레임이 변화한다. 수치입력부(607b)로 이동위치의 후보로 된 프레임수를 입력하면, 경계602(선분표시D12)가 입력된 프레임수의 위치로 이동하여, 604b 및 605a의 표시프레임이 변화한다.
606a 및 606b는 세그먼트의 경계이동을 행할 때 이동위치의 후보로 될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프레임후보선택버튼을 나타낸다. 프레임후보선택버튼(606a)을 클릭하면, 도 33에 보인 프레임연결표시화면(700)이 표시된다. 이때 프레임연결표시화면(700)에는 그 시점에서 지정되어 있는 후보프레임의 주변이 연결프레임으로 표시된다.
분할위치나, 이동위치가 프레임단위일때, 분할프레임 혹은 경계프레임을 적합하게 결정하기 위해서는, 주변프레임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프레임연결표시화면(700)에서의 인식, 선택이 유효하다. 프레임수의 특정은, 프레임수만의 입력인터페이스만이라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는 별도의 방법으로 후보가 된 프레임의 직후를 인식하지 않으며, 효율이 나쁘다. 특히, 대충 수동으로 지정하여 작성한 세그먼트에 대해서, 컷트점(분할위치)이 어긋나는 것을 수정하는 처리의 경우에는, 프레임연결표시화면(700)상에서 컷트검출알고리즘을 이용하면 후보점이 얻어져, 작업의 효율이 상승한다. 이 조작은 시각적으로도 이해하기 쉽다. 영상을 참조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재생에 의해서 프레임 연결표시화면의 대상으로 되는 위치를 발견하여 같은 식으로 작업하는 것으로, 적절한 프레임을 선택하기 쉽다는 잇점이 있다.
더하여, 도 32에 있어서, 608은 조작다이알로그(600)에 표시되는 각 프레임(603a, 603b, 604a, 604b, 605a, 605b)의 갱신표시를 갱신버튼(608)을 누른경우에만 갱신할지, 설정한 갱신타이밍으로 갱신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도면중의 『Always』의 체크박스 ?를 선택한 상태(∨점 마크)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세그먼트경계의 변경이 어느정도 표시가 갱신되지만, 『Always』의 체크박스 ?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점 없음)로 하면, 갱신 타이밍(변경 시간간격)의 설정다이알로그(도시하지 않음)가 표시되어, 설정다이알로그로 변경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때에 「갱신하지 않음」을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갱신타이밍을 변경시간간격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갱신하지 않음」을 지정하면 갱신버튼을 누룬 타이밍에서만 표시갱신이 행해지기때문에, 표시의 갱신을 생략하여, 더욱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 및 제1실시예의 영상구조편집장치(구조편집장치)의 각 수단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CD-ROM, MO, DVD등의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컴퓨터에 의해서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하는 것에 의해서 실행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를 통해서 배포되거나, 또는 인터넷등의 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배포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오브젝트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및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을 오브젝트편집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제2실시예로서,
(10 제2실시예의 개요
(2) 제2실시에의 오브젝트 편집장치의 구성
(3) 제2실시예의 동작예
(4) 다른 실시형태
의 순서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제2실시예의 개요
제2실시예는, 각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가 0개 또는 적어도 1개의 오브젝트로 이루어진 트리구조의 친자관계로 표현되고, 또한, 오브젝트의 종류별로 각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 및 오브젝트의 종류가 스키머정의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의 관리, 표시 또는 편집을 행하는 것이다. 즉, 오브젝트가 0개 이상의 속성과 0개 이상의 다른 오브젝트로 구성되고, 오브젝트의 종류에 의해서 갖을 수 있는 속성과 오브젝트의 종류가 스키머정의에 의해 미리 정의되어 있을 때, 오브젝트의 실제 구성과 내용을, 그 정의정보(스키머정의)로 조합하여 관리하고, 그것을 시각화시켜 이해하기 쉽게 표시하고, 편집하는 것이다.
이것을 이용하여 실제 인스턴스로서의 오브젝트의 내용을 표시하고, 그 편집을 용이하게 하거나, 편집결과를 출력하여 내용을 참조하거나, 보관하여 재이용하거나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동시에, 오브젝트의 구성을 정의한 스키머정보를 관리하고, 이해하기 쉽게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구조와 스키머정의에 의한 구조를 조합하여,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표시한다.
스키머정의는 각 오브젝트의 구조를 단적으로 보이는 것뿐, 인스턴스의 형태는 정하고 있지 않다. 에를 들어, 다음의 정의를 고려한다.
1. 오브젝트A는 오브젝트B를 1개 갖는다.
2. 오브젝트B는 오브젝트C를 1개 갖는다.
3. 오브젝트C는 오브젝트A를 1개 이상 복수개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으로 이 스키머구조를 표시하면, 오브젝트A,B,C를 루트로 하는 구조를 3개 나열하는 것이 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표시에서는, 오브젝트C가 오브젝트A를 갖는 것에 의해, 오브젝트A가 순환참조되고 있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스키머구조와 인스턴스오브젝트의 구조를 조합하여 표시한다. 이때, 기본적으로는 인스턴스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키머구조만이 표시되는 것으로 도지만, 본 발명의 표시방법은 표시계층레벨=4의 경우, 도 34에 보인 바와 같이 표시되어 실제 인스턴스의 샘플구조에 가깝고,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된다. 여기에서 표시계층레벨을 증가시키면, 그 레벨수에 따라서 오브젝트A(도면중의 ObjectA)의 아래에 B, C가 조합된다.
(2) 제2실시예의 오브젝트 편집장치의 구성
도 35는, 제2실시예의 오브젝트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및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을 적용한 오브젝트 편집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여기에서는, 오브젝트편집장치로서 XML오브젝트편집에디터를 예로 든다.
오브젝트편집장치로서의 역할을 다하는 컴퓨터(1101)는, 후술하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하는 CPU(1201)와, 부팅프로그램등을 기억한 ROM(1202)과, CPU(1201)의 작업영역로서 사용하는 RAM(1205)와, 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화면을 구비한 CRT나 액정디스플레이등의 표시장치(1206)과, 본 발명의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및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소프트웨어(1207) 및 그 외의 각종 어플레이케이션프로그램이나 데이타를 기억한 하드디스크(1210)과, 도시하지 않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1101)와 접속되어 있는 외부장치나, 플로피디스크, CD-ROM, MO, DVD등의 기억매체와의 사이에서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각종드라이버, 네트워크어댑터등의 인터페이스부(1211)와, 상기 각부를 접속하는 버스(1212)를 구비하고 있다.
도 36은 도 35에 보인 오브젝트내용구조편집소프트웨어(1207)를 구성하는 모듈의 개략적인 기능블럭도를 나타내고, 기록매체로부터 바이너리나, 텍스트로 기술된 오브젝트내용을 읽어들이는 오브젝트내용판독모듈(1301)과, 기록매체로부터 오브젝트 스키머정의를 읽어들이는 오브젝트스키머정의판독모듈(1302)와, 오브젝트내용판독모듈(1301) 및 오브젝트스키머정의판독모듈(1302)를 통해서 오브젝트 내용 및 오브젝트 스키머 정의를 입력하고, 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표시하는 오브젝트 내용구조 표시모듈(1303)과, 오브젝트내용구조표시모듈(1303)이 표시하고 있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모듈(1304)과, 오브젝트내용구조표시모듈(1303)으로 표시중 또는 편집모듈(1304)의 편집후의 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이록매체로 출력하는 오브젝트내용기록모듈(1305)로 구성된다.
(3) 제2실시예의 동작예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제2실시예의 오브젝트 편집장치는 MPEG-7 속성기술편집을 포함하는 XML오브젝트편집에디터로서 동작한다. 우선, 오브젝트내용판독모듈(1301) 및 오브젝트스키머정의판독모듈(1302)를 통해서, 오브젝트의 스키머정의와 오브젝트의 내용을 기록매체로부터 읽어들여, 메모리(RAM(1203) 또는 하드디스크(1210))상에서 관리한다. 이 예에서는, 스키머정의와 오브벡트의 내용의 양쪽을 기록매체로부터 읽어들이고 있지만, 스키머정의만을 읽어들이고, 오브젝트는 신규로 작성하여도 된다. 또한, 특별히 스키머정의에 맞춰서 동적으로 동작을 갱신할 필요가 있으면, 스키머정의는 고정으로 고려하여 기록매체로부터 읽어들이지않아도 상관없다.
이하에 오브젝트내용판독모듈(1301)로 입력한 입력데이타(오브젝트의 내용구조)의 예를 보인다.
<MovieMmcLogica1Content id="MovieTool">
<CreationMetaInformation id="">
<Classification id="">
<PackagedType CSLocation="file:///PackageType.csv">
aaa
</PackagedType>
</Classification>
</CreationMetaInformation>
</MovieMmcLogica1Content>
이이서, 스키머정의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의 ①~⑧은, 제2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스키머정의의 일부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을 나타내는다. 오브젝트의 구조는 이 스키머정의에 따라서 관리된다. 즉, 특별히 기술되지 않으면 복수는 불가능한 것으로 한다.
① MovieMmcLogica1Content의 정의
오브젝트로서 갖는 가능성이 있는 것은 이하대로이다. 또한, 속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IPR
·CreationMetaInformation
·UsageMetaInformation
·MediaTime
② CreationMetaInformation의 정의
오브젝트로서 갖을 가능성이 있는 것은 이하대로이다. 그리고, 속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Creation
·Classification
·RelatedMaterial
③ Classification의 정의
오브젝트로서 구비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이하대로이다. 또한, 속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Genre
·PackagedType 복수가능
·Purpose
·AgeClassification
·MarketClassification
④ PackageType의 정의
오브젝트로서 구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은 없다. 속성으로서 갖을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ControlledTerm::CSName
·ControlledTerm::CSTermID
·ControlledTerm::CSLocation
·ControlledTerm::CTermElement
⑤ MediaTime의 정의
오브젝트로서 구비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이하대로 이다. 즉, 속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MediaTimePoint 또는 MediaRelTimePoint 또는 mediaRelIncrTimePoint중 하나
·MediaDuration 또는 MediaIncrDuration중 하나
⑥ MediaTimePoint의 정의
오브젝트로서 구비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없다. 속성으로서 갖는 것은 이하대로이다.
·Year
·Month
·Day
·Hour
·Min
·Sec
·Frame
⑦ RelatedMaterial의 정의
오브젝트로서 갖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 이하대로이다. 즉, 속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MediaType
·MediaLocator
·MediaInformation
·CreationMetaInformation (*반복하도록 주의)
·UsageMetaInformation
⑧ 그외의 상세한 정의는 생략한다.
이어서, 상기 ①~⑧의 스키머에 따른 메모리 상의 관리상태를 도 37에 보이고, 더하여, 이것을 오브젝트내용구조표시모듈(1303)에 의해, 표시한 표시화면(1501)을 도 38에 보인다. 즉, 도 37에 있어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선택되어 있는 오브젝트(인스턴스오브젝트)를 점으로 표시하고, 도면중의 부호 1401, 1403, 1406 및 1407이 인스턴스오브젝트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새로운 오브젝트를 「MovieMmcLogica1Content」1401라고 하고, 「MovieMmcLogica1Content」1401이 오브젝트로서 갖을 가능성이 있는 4개의 오브젝트를, 그 자리스트로 하여, 「IPR」1402, 「CreationMetaInformation」1403, 「UsageMetaInformation」1404, 「MediaTime」1405와 같이 관리하고 있다. 또한, 선택되어 있는 오브젝트와 그 외의 후보로 된 선택지는, 모노드로부터 보면 한 묶음의 관계이다. 이들의 정리를 표시하기 위한 특수한 오브젝트를 준비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도 37에 보인바와 같이, 오브젝트로 선택지리스트를 준비하고, 선택되어 있는 오브젝트가 그 정리를 대표하는 형태로 모노드의 자리스트로 관리되는 형태를 채용한다.
또한, 도 38의 표시화면(1501)에 있어서, 실재하는 인스턴스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노드는 아이콘 「유」로 표시하고, 실제로는 보관하고 있지만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오브젝트의 종류를 표시하는 노드는 아이콘 「무」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7의 부호 1401, 1403, 1406 및 1407에 상당하는 오브젝트의 노드는 아이콘 「유」1502로 표시하고, 도 37의 부호 1404, 1405와 같이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의 노드는 아이콘 「무」1503으로 표시된다.
이이서, 도 39의 표시화면(1601)을 참조하여, 오브젝트 「CreationMetaInformation」1602가 반복하여 나타내는 상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계층레벨이 3이기때문에, 「유」노드로부터 3계층까지 표시되고, 그것으로부터 하위에 대해서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 계층레벨의 지정은,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다이알로그화면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40의 표시화면(1701)을 참조하여, 선택지중에서 선택되어 있는 오브젝트와, 그외 선택지의 오브젝트의 표시아이콘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MediaTimePoint」 1702, 「MediaRelTimePoint」 1703, 「MediaRelIncrTimePoint」 1704 중, 「MediaTimePoint」1702가 선택되어 있고, 이것은 실재하는 인스턴스인 것이 「유」아이콘 (1702A)로부터 이해된다. 또한, 이것에 이어서 2개의 오브젝트 1703, 1704는 「선택」아이콘(1702B)에 의해 선택지인 것을 알수있다.
이 예에서, 또한 별도의 선택지그룹「MediaDuration」1705, 「MediaIncrDuration」1706이고, 「MediaDuration」1705가 디폴트로 선택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어느것이라도 가능성을 나타내는 더미오브젝트로, 실재하는 인스턴스는 아니다.
다음으로, 도 41을 표시화면(1801)을 참조하여, 속성값의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1의 「MediaTimePoint」1802의 시각을 다이알로그(1803)에서 수정하고, Up버튼(1804)를 클릭하면 실제의 데이타에 반영된다.
도 42의 표시화면(1901)에서 기존의 오브젝트「PackagedType」1902를 지정하여 Add버튼(1904)을 클릭하는 것으로 「인스턴스추가」를 지시하면, 도 43의 표시화면(1901)에 보인바와 같이, 같은 오브젝트의 종류「PackagedType」으로 별도의 인스턴스오브젝트(1903)이 그 아래에 작성된다. 즉, 「PackagedType」는「Classification」의 아래에 복수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지시가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Classification」자신은 「CreationMetaInformation」의 아래에 복수로 존재할 수 없기때문에 Add버튼(1904)이 활성화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44의 표시화면(2101)을 참조하여, 가능성을 보이는 더미오브젝트 MediaDuration을 실재하는 인스턴스로서 추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MediaDuration」2102를 지정하고, 속성값을 입력하여 Up버튼(2103)을 클릭하는 것으로 「추가」를 지시하면, 도 45의 표시화면(2201)과 같이, 「MediaDuration」2202로 인스턴스오브젝트가 추가된다.
또한, 표시화면상에 「유」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는 실재하는 오브젝트를 지정하고, Ers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 「제거」를 지시하면, 「유」아이콘이 「무」아이콘으로 변경되어, 해당하는 오브젝트가 제거된다. 예를 들면, 도 42에 보인바와 같이, 「CreationMetaInformation」이 실재하는 오브젝트인 경우에, 「CreationMetaInformation」을 지정하고, 도 46의 표시화면(2301)에 보인 Ers버튼(2302)을 클릭하는 것으로 도 46과 같이 「CreationMetaInformation」2303이 「무」아이콘으로 표시된다. 즉, 「CreationMetaInformation」이 제거되어 가능성을 보이는 더미오브젝트로 되어, 「무」아이콘으로 표시된다.
이어서, 예를 들어, 도 40의 표시화면(1701)상에서 「MediaTimePoint」1702를 지정하여 「선택변경」을 지시하면, 도 47에 보인 바와같이, 그때까지 선택되어 있던 「MediaTimePoint」1702가 선택지를 나타내는 「선택」1702B로 되고, 대신에 「MediaRelTimePoint」1703이 「유」1702A로 된다. 이 시점에서 실재로 인스턴스오브젝트로서 선택되어 있는 것은 「MediaRelTimePoint」1703이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의 오브젝트편집장치로 편집한 오브젝트내용을, 오브젝트내용기록모듈(1305)가 MPEG-7로서 출력한 예를 이하에 보인다. 즉, 오브젝트의 내용은 후일 재이용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보관한다.
<LogicalContent id="MovieTool">
<MediaTime>
<MediaTimePoint>
2000-1127T06:35:03:0F3 O
</MediaTimePoint>
<MediaIncrDuration timeunit="P0DT0H0MOSIN30F">
379200
</MediaIncrDuration>
</MediaTime>
<CreationMetaInformation id="">
<Classification id="">
<PackagedType CSLocation="file:///PackagedType.csv">
aaa
</PackagedType>
<PackagedType CSLocation="file:///PackagedType.csv">
abc
</PackagedType>
</Classification>
</CreationMetaInformation>
</LogicalContent>
상술한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친자관계가 있는 오브젝트끼리를 리스트로 관리하는 것만이 아니라, 즉 실제의 인스턴스의 친자관계만이아닌 스키머정의에 의한 오브젝트의 구조를 하나의 리스트로 동시에 관리하고, 표시하기 위한 인스턴스 오브젝트의 구조와 스키머정의에 이한 구조를 조합시켜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표시하고, 조작성, 작업효율의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종래로부터 인스턴스화된 오브젝트의 친자관계를 트리구조로 표시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것이고, 또한, 선택한 오브젝트와 관계되고, 그 하위에 갖을수 있는 오브젝트의 종류를 파레트와 같은 형태로 표시하는 형태도 기존의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서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으면 갖을 수 있는 오브젝트의 자식으로서 1계층밖에 후보로 되는 오브젝트의 종류를 알수없기 때문에, 그그 앞에, 스키머를 나타내는 트리구조를 별도로 참조하지 않으면 무엇을 갖는가가 이해되지 않는다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에 반해서, 제2실시예에서는, 오브젝트가 자오브젝트로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오브젝트의 종류를 동시에 그 트리구조에 노드로 표시하는 것으로, 스키머로 정의된 오브젝트의 구조와 동시에 실제 오브젝트의 구조를 표시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오브젝트의 구조로서 계층구조로 표시된 친자관계 중에 같은 종류의오브젝트가 2번 발견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반복이 영구적으로 일어나버려, 표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표시계층레벨을 결정하는 것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유저가 필요에 따라서 동적으로 표시계층레벨을 지정할 수 있기때문에, 대신 가지런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선택되어 있는 오브젝트와, 그 외의 선택지가 알기쉽도록 시각화되어, 그외의 선택지가 갖는 속성도 확실하여 선택하기 쉽다.
더하여, 스키머정의에 의한 오브젝트의 종류와 관계가 복잡한 경우에는, 대량의 오브젝트가 표시될 가능성이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도 그 중에서 필요한 오브젝트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속성값이 어떤 오브젝트의 속성인지가 일목연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그위에 그 속성값을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속성값을 편집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또한, 어떤 오브젝트를 복수로 존재시키고자 하는 경우나, 추가,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것이 가능한지 아닌지 스키머정의를 확인할 필요없이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양자가 거의 동이하게 조작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 지정한 더미오브젝트의 선조도 또한 더미오브젝트이더라도, 필요한 오브젝트(계열)이 한번의 조작으로 모두 인스턴스화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 즉, 종래의 파레트방식의 경우에는, 실재하는 오브젝트가 갖는 후보오브젝트만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것이 불가능하다.
더하여, 편집한 오브젝트내용을 MPEG-7등의 언어에 의해서 기술하여 파일로 보존하는 것으로, 이것을 재이용하여 다시 편집하거나, 교환하거나, 읽어들인 정보를 다시 검색하는 등,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에 이용할 수 있다.
(4) 그외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48 및 도 49는, 다른 실시예의 표시화면(2501)을 보인것이다. 여기에서, 오브젝트의 구조표시부(2502A)와, 인스턴스표시부(2502B)와, 속성편집부(2502C)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와는, MPEG-7의 스키머가 바뀌어있기 때문에 모두 동일하지는 않지만, CreationInformation(CreationMetaInformation로부터 변경), Creation, RelatedMaterial등이 나열된다. 여기에서도 CreationInformation은 역시 RelatedMaterial의 아래에 반복되고 있다.
또한, 도 48의 표시화면(2501)에서는, 오브젝트의 구조표시부(2502A)에 체크박스(2503)가 추가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체크박스(2503) 전부가 체크되어 있다.
도 49에 있어서, 하나의 choic(1602)의 체크박스(2601)의 체크가 빠져있다. 이것에 의해서, 바로아래에 표시된 자노드는 인스턴스인 '유'만으로 된다. 도 48에 있는 '무'의 「CreationInformationRef」2510은 표시되지 않는다.
그런데, 인스턴스표시부(2502B)는 실제의 인스턴스를 표시하고, 태그의 본체(예, <aaa bbb="sss" ccc="ttt">xxx</aaa>의 xxx의 부분)을 마우스클릭에 의해서 입력하여 편집한다.
속성편집부(2502C)는 상기 예라면 이하와 같은 표형식의 윈도우로,
bbb sss
ccc ttt
sss, ttt를 입력,편집하면 인스턴스 표시부(2502B)에 내용이 반영된다.
오브젝트의 구조표시부(2502A)는 오브젝트의 구조를 표시하는 윈도우로 오브젝트 자신의 존재를 증가시키거나 제거하거나(인스턴스화하거나 제거하거나)하는 것을 행한다. 그 결과는 인스턴스표시부(2502B)에 반영된다.
다음으로, 속성편집부(2502C)에 표시할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오브젝트의 횡방향에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문자열로 표시한다. 정확하게는 표시가 번잡해지므로, 최대한 필요한 것만(태크명, 형식명)을 횡으로 표시하고, 다른 정보는 오브젝트의 선택시에 별도의 장소(예를 들면 화면좌측 아래)에 「종류=값」의 열형식으로 표시한다.
표시할 내용은 이하의 것이다.
-오브젝트의 태그명
도 48의 mpeg7:CreationInformation
-오브젝트의 형식명
도 48의 mpeg7:CreationInformationType
-출현가능빈도(최소가능출현수, 최대가능출현수)
도 48의 minOccurs=0
도 48의 maxOccurs=Unbounded(무제한의 의미)
이상은 스키머로부터 결정된 정보이다. 이 외에, 다음과 같은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동일한 부모의 아래에, 실제로 동일한 종류의 것이 인스턴스화되어 있는 개수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체크박스(2503)를 ∨점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ON/OFF를 준비하는 것에 의해서, 유저로서 필요하지 않은 가능성오브젝트를 보이지 않게 하거나 만들지 않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메모리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처럼의 일람성이 손실되는(체크하지 않으면 아래가 보이지 않는다) 점은 '지정노드단계체크ON으로 전개' 라는 메뉴를 준비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을 채용하면 내부에서는 on demand의 타이밍에서 하위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제2실시예의 표시동작의 규칙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a. 체크박스를 사용한 표시
오브젝트의 체크박스가
OFF : 그 바로 아래에는 인스턴스오브젝트 (유)밖에 표시하지 않는다.
ON : 그 바로 아래에는, 인스턴스오브젝트 (유)로 붙여 가능성이 있는 오브젝트를 모두 표시한다.
b. +-의 의미는 종래의 트리표시와 동일.
+ : 자 노드가 존재하지만 전개되어 있지 않음
- : 자노드가 존재하고 전개되어 있음
표시없음 자식이 없는 말단노드
c. 유무의 의미는 종래와 동일.
유 : 실제로 존재하는 인스턴스
무 : 가능성을 보이는 오브젝트
도 48의 오브젝트의 구조표시부(2502A)의 구조 생성타이밍으로서는, 메모리효율상승을 도모하기 위하여, 체크박스(2503)가 온으로 되는 타이밍에서 그 아래의 가능성오브젝트(무)를 모두 생성한다. 또한, OFF로 되는 타이밍에서 가능성오브젝트 (무)는 모두 제거된다.
즉, 종래의 방법에서는, 트리의 표시상태에 관계없이 상위로부터 지정레벨계층만큼의 가능성오브젝트를 자동적으로 생성하고 있었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이번에 필요하지 않는 가능성오브젝트는 필요에 따라서 동적으로 작성, 파기하는 것으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48 및 도 49의 표시화면에 있어서, 이상의 d. ~ e.의 처리가 있던 경우의 표시화면의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d. 노드가 '유'로 변하였다(인스턴화)
이때, '유'로 변한 노드가 복수로 존재할 수 있는 노드의 경우에는 한번 더 자신과 동일한 노드를 '무'로 만들고, 형제로 하여 자신의 다음에 붙인다. 다음으로 동일한 종류의 노드를 인스턴화하는 경우는, 그 '무'를 인스턴화한다. 존재할수 있는 최대수를 초과하지 않는 동안은, 그 타이밍으로 또한 '무'가 이루어진다.
한편, 복수로 존재할 수 없는 노드의 경우에는 자신만 '유'로 된다. '무'는 증가하지 않는다.
e. 노드의 제거
복수로 존재할 수 있는 노드의 경우에는, 상기 d.의 반대. '유'를 제거할때, 자신이외로 하나, 동일한 종류의 '무'만 존재한다. 자신만 제거한다('무'는 반드시 남긴다). 또한, 제거대상은 '유'이지 않으면 안된다. 더하여, 최종적으로, 가능성을 나타내는 노드는 최저 1개 남기면 된다.
복수로 존재할 수 없는 노드의 경우에는, 자신만 '무'로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오브젝트」는 그 구조가 규칙으로 정의되어, 속성과 그 이외의 오브젝트를 관리하는 것이라면 어느것이라도 좋다. 따라서, 응용가능한 다른 실시예로서, 조직도나, 부품도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예를 들수 있다.
·클라스계층, 속성오브젝트의 표시, 편집
·조직도, 부품도의 표시, 편집
도 50은 본 발명을 조직구조 디자인툴에 응용한 예를 보이고, 표시화면(2701)에 있어서는, 각사의 각 조직도에 있어서의 각부, 각과, 각계등의 그룹이 본 발명의 오브젝트에 해당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제2실시예의 오브젝트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및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은, 상술한 설명에서 보인 순서에 따라서미리 준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CD-ROM, MO, DVD 등의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 기록되어 제공된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배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해 제3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1은 제3실시예의 일예를 보인 컨텐츠관리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또한, 도 52는 이와 같은 컨텐츠관리시스템이 실시되는 하드웨어구성도를 보이고, 예를 들어, 퍼스널컴퓨터등 정보처리장치의 하드웨어구성도를 보인다.
도 52에 보인바와 같이, 이 정보처리장치는 데이타와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3011)와, 메모리(301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작동하여 장치 전체를 제어하거나,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관리등을 행하는 CPU(3012)와, 데이타와 프로그램을 기억하여 두는 외부기억장치(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장치)(3013)와, 키보드와 마우스등을 구비하여 데이타와 지정사항등을 입력하는 입력장치(3014)와, 각종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장치(3015)와, 착탈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프로그램과 영상데이타등을 읽어들이는 데이타판독장치(30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51에 보인바와 같이, 컨텐츠관리시스템은, 외부 기억장치(3013)에 기억하여 둔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관리부(3001)와, 데이타판독장치(3016)등으로 입력한 데이타를 파일관리부(3001)를 통해서 파일로 등록하는 파일등록부(3002)와, 파일등록부(3002)에 의해 등록되어, 파일관리부(3001)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파일의 데이타를 다른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파일형식변환부(3003)와, 이용자로부터 지정된 파일등을 파일관리부(3001)을 통해 취출하는 파일취출부(3004)와, 후술하는 논리컨텐츠의 일부를 물리파일(종래의 일반적인 파일로, 영상데이타, 음성데이타, 텍스트 데이타등 컨텐츠의 파일을 여기에서는 이와 같이 부른다.)로 매핑하는 매핑부(3005)와, 물리파일중의 매핑부분을 취출하는 부분추출부(3006)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우선, 파일등록부(3002)에 의해 컨텐츠를 등록하는 경우에 대해, 도 53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53에 도시한 예에서는 전체 길이 45분의 오리지널 컨텐츠(데이타형식이 에를 들어, MPEG-2인 영상데이타로, 각각 25분의 길이인 2개의 물리컨텐츠이고, 중간에 5분의 중복부분이 있다)를 등록한다. 이 등록시에는, 입력장치(3014)에 의해, 논리컨텐츠명으로서 타이틀을 붙이고, 2개의 영상컨텐츠를 논리컨텐츠로서 배당할때의 배당위치와 배당길이를 시간으로 지정한다.
도 53(a)는 지정된 배당위치와 배당길이를 보이는 표로, 각각 시(h), 분(m), 초(s)등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표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 도 53(b)이다. 도 53에서 명백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제1파일은 25분 중에 중복부분을 제거하여 20분을 배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논리컨텐츠 전체를 구성하는 개개의 오리지널컨텐츠의 데이타는, 하나의 물리파일의 일부이어도 좋고, 또는 오리지널 컨텐츠의 각 데이타간의 내용에 중복이 있어도 된다.
이 컨텐츠관리시스템의 파일관리부(3001)는 상기와 같은 2개의 물리파일과 도 53(a)에 보인 값을 세트로 관리한다.
또한, 파일관리부(3001)는 등록된 논리컨텐츠에 대해서 관리용 논리컨텐츠ID(식별정보)를 할당하고, 논리컨텐츠ID, 타이틀, 및 각 물리파일을 도 54에 보인바와 같이 대응시켜 관리한다(도 54에는 후술하는 다른 데이타형식의 컨텐츠와 파일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도 54에 보인바와 같은 구성의 논리컨텐츠를 복수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관리테이블을 작성하여 관리한다. 즉, 도 54에 보여진 각 파일에 대해서는 파일명을 관리대상으로 포함한다.
또한, 이 컨텐츠관리시스템에서는, 파일형식변환부(3003)가 상기와 같이하여 등록한 오리지널 컨텐츠(도 54에 보인 예에서는 「영상컨텐츠(오리지널)」에 대응되고 있는 2개이 물리파일의 컨텐츠)의 데이타 형식을, 내용기술용의 영상컨텐츠로서 예를 들어 MPEG-1형식, 배송용 영상컨텐츠로서 예를 들어 Real Media 형식의 파일을 작성하고, 도 54에 보인 논리컨텐츠의 일부로서 추가하여, 관리한다. 도 54에 보인 예에서는, 「영상컨텐츠(내용기술용)」(후술하는 내용기술파일로부터 참조되는 컨텐츠)에 대응하고 있는 2개의 물리파일의 컨텐츠이다. 결국, 이 컨텐츠관리시스템에서는, 컨텐츠를 어떻게 처리할것인가(어떻게 이용할지)에 의해, 처리에 적합한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한 것을 준비하고 있는다. 예를 들어, 배송용의 영상컨텐츠는 화질보다도 데이타전송시간을 중시하여, MPEG-2형식보다도 데이타량이 적은 Real Media형식으로 변환한다.
또한, 이 실시예의 컨텐츠관리시스템에서는, 컨텐츠가 어떤 것인가를 이용자가 알기쉽도록 제시하거나, 이 정보처리장치내에 있는 컨텐츠검색시스템으로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타에 대한 검색을 쉽게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기 위한 내용기술파일을 논리컨텐츠에 붙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내용기술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내용기술시스템을 도 51에 보인 컨텐츠관리시스템과는 별도로 이 실시예의 정보처리장치내에 설치하고 있다. 그래서, 내용기술파일을 작성할때에는, 이 내용기술시스템이 파일취출부(3004)에 대해서 하나의 논리컨텐츠를 지정한 내용기술용 데이타요구를 꺼낸다. 그렇게 하면, 파일취출부(3004)는 내용기술용으로 이용하는 영상데이타인 MPEG-1형식의 물리파일명 리스트(복수일 가능성도 있다)를 취출하고, 이것을 내용기술시스템에 전달한다. 즉, MPEG-1형식의 물리파일은 오리지널 컨텐츠의 MPEG-2 형식에 비해서 데이타량이 적게 되고, 내용기술용으로는 문제없는 품질이다.
완성한 메타데이타로서의 내용기술파일은, 파일등록부(3002)를 통해서 논리컨텐츠에 추가, 등록한다. 즉, 이 메타데이타는 정보(컨텐츠)의 속성(내용)에 대한 데이타로, 영상데이타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MPEG-1형식의 영상컨텐츠를 참조하기 위한 컨텐츠파일명 이외에, 타이틀, 그 영상을 촬영한 일자, 작성자, 목적, 녹화한 날짜, 권리정보, 영상의 길이등이 속성으로서 포함되어 있다. 또한, 내용기술은 도 55에 보인 바와 같이, 대항목 색인, 소항목 색인과 같은 논리구조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이 정보처리장치내의 배송시스템이 하나의 논리컨텐츠를 요구한 경우, 이 컨텐츠관리시스템은 파일취출부(3004) 또는 부분취출부(3006)를 통해서, 배송용으로서 준비한 Real Media 형식의 물리파일을 제공한다. 이때, 논리컨텐츠 전체가 아니라, 일부의 범위가 지정된 경우에는, 컨텐츠관리시스템내의 매핑부(3005)가 지정된 범위를 물리파일에 대해서 매핑한다. 예를 들어, 전체로 60분의 논리컨텐츠가 있고, 도 56에 보인바와 같이, 그 논리컨텐츠가 20분씩 3개의 물리파일 A, B, C 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논리컨텐츠의 선두로부터 10분째부터 30분째까지의 범위가 지정된다면, 파일A의 10분째부터 최후까지와, 파일B의 선두로부터 10분째까지를 합쳐 20분의 부분에 매핑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실제로 필요한 물리파일명과 범위의 쌍이 결정되고, 부분취출부(3006)을 통해서 상기 예에서는 다음에 보인바와 같이 리스트가 배송시스템에 전달된다.
A : (10, 20)
B : (0, 10)
즉, 도 54에 보인내용기술용의 영상컨텐츠와 배송용 영상컨텐츠를 작성, 등록하는 시기는 오리지널컨텐츠를 등록한 때에도 좋고, 오리지널 컨텐츠의 등록이후, 논리컨텐츠를 특정한 상기와 같은 처리요구(내용기술용 데이타요구와 배송시의 요구)에 따라서, 그 때에, 요구된 처리에 적합한 데이타형식의 물리파일을 작성,등록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57에 보인 동작플로우에 따라서, 등록시의 동작플로우를 설명한다. 우선, 입력장치(3014)에 의해, 예들들어 영상컨텐츠를 논리컨텐츠로 할당할 때의 배당위치, 배당길이, 타이틀등 지정사항을 이용자에게 입력시킨다(S1). 그래서, 착탈가능한 기록매체등으로부터 읽어들인 등록대상의 예를들어 2개의 물리컨텐츠로 이루어진 영상컨텐츠를 파일등록부(3002)에 전달한다(S2).
계속해서, 파일등록부(3002)는 입력된 지정정보에 따라서, 예를 들어 도 53(a)에 보인바와 같이, 2개의 컨텐츠를 1개의 논리컨텐츠로 정리한다(S3).
다음으로, 파일등록부(3002)가 개개의 물리파일을 파일관리부(3001)을 통해서 등록하고, 파일관리부(3001)이 논리컨텐츠에 대해서 관리용의 논리컨텐츠ID(식별정보)를 할당하여, 논리컨텐츠ID, 타이틀, 및 각 물리파일명을 도 54에 보인바와 같이 대응시켜 관리테이블에 등록한다(S4). 더하여, 전달된 컨텐츠를 외부기억장치(3013)에 기억시킨다(S5).
이상, 영상데이타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음성데이타에 대해서도 같은 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오리지널 컨텐츠를 데이타편집에 적절한 데이타형식, 예를들어 각 프레임이 독립하여 있는 AV1형식이나 MotionJPEG형식으로 변환한 영상컨텐츠를 논리컨텐츠에 붙이는 것이 가능하다. MPEG-2형식은 각 프레임이 독립하여 있지 않기때문에, 편집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도 54에는 보이지 않았지만,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관련된 파일을 파일등록부(3002)를 통해서 등록하고, 상기와 같이 하여, 논리컨텐츠에 추가하여,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처리에 적합한 데이타형식의 선택은, 이용자가 행할 필요는 없고, 요구된 처리의 종별에 따라서 컨텐츠관리시스템이 데이타형식을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처리의 종별에 따라서, 미리 최적의 데이타형식을 테이블등에 설정하여 두고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관리방법에 따라서 프로그래밍한 프로그램을 예를 들어 착탈가능한 기록매체에 기억하고, 그 기록매체를 지금까지 본발명에 의한 컨텐츠관리가 가능하지 않았던 퍼스널컴퓨터등 정보처리장치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이 정보처리장치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관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1 ~ 청구항 16)는, 구조화를 행하여 생성한 논리구조에 대해, 내용을 직접 수정할때, 어떤 계층의 세그먼트와 패키지라도 간단하게 손질할 수 있고, 또한 그 자세그먼트이하의 구성을 가능한 생긴 그대로 처리할 수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구조생성의 작업이 쓸모없어지지 않고, 대충 처리를 행한 후 세밀한 부분을 손질하게 한, 인간의 자연스런 작업 흐름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이 좋다. 바꿔말해서, 범위를 갖는 데이타(세그먼트)를 구조의 단위로 미리 작성한 구조에 대해서, 가능한 원래의 구조정보를 이용하면서 손실하거나, 수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구비한 구조편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1)는, 세그먼트분할수단이,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를 분할위치에 기초하여 전반세그먼트와 후반세그먼트, 2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대상세그먼트를 그 2개의 세그먼트로 치환하기 위하여, 분할하고자한 세그먼트가 있는 경우에 대상세그먼트로서 지정하고, 분할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수정(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2)는 구조정보의 계층구조에 있어서 대상세그먼트의 아래 층에 패키지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상세그먼트의 분할에 대응시켜 해당하는 패키지도 2개로 분할하기 위하여, 원래의 구조정보를 이용하면서 손질이나 수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3)은 제1지정수단의 포인팅디바이스로 대상세그먼트를 지정하면, 제2지정수단이 대상세그먼트의 표시상에 분할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선분을 표시하고, 제2지정수단의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켜 분할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분할작업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고, 작업을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보로 되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하고, 스스로 이동시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4)는, 경계의 이동이 지정된 경우에,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 제3지정수단으로 지정된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를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이동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원래의 구조정보를 이용하면서 간단하게 손실이나 수정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5)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으로 경계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3개의 경계이동 방법을 선택할 수 있고, 제1의 경계이동방법이 선택되면,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또한, 제2의 경계이동방법이 선택되면,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류위치에 접한 다른 세그먼트의 종료위치 또는 개시위치를 이동시키며, 더하여, 제3의 경계이동방법이 선택되면,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생성된 틈을 채우도록 새로운 세그먼트를 투입하기 때문에, 수정의 내용에 따라서 경계이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기 때문에, 작업성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6)은,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갖는 경우,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이 해당하는 패키지중의 세그먼트의 경계도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따라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더하여, 작업성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7)은, 제2지정수단의 포이팅디바이스로 이동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선분을 자유롭게 평행이동시켜 이동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동 작업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보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기쉽게 표시하고, 자신이 이동시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8)는, 세그먼트분할수단 또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에 의해서 자계층의 세그먼트를 나누는 경우에 3개의 분단처리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제1의 분단방법을 선택하면, 분단된 세그먼트이하의 구조요소를 제거하고, 또한, 제2의 분단방법을 선택하면, 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하여 분할한세그먼트의 하위에 더하여 분단된 세그먼트가 있으면, 말단의 세그먼트까지 반복적으로 처리되고, 더하여, 제3분단방법이 선택되면, 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한 후, 양옆의 세그먼트로 머지하고, 분할한 세그먼트의 하위에 더 분단될 세그먼트가 있으면, 말단의 세그먼트까지 반복실행하기 때문에, 수정 내용에 따라서 경계이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성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생성되어 있는 계층을 갖는 세그먼트를 조작하는 경우에, 그 자계층이하의 구조가 파기되어버리면, 지금까지의 작업이 쓸모없게 된다. 목적에 부합한 형태로 그 자식이하의 구조요소의 정보를 살리고, 조작의 의미가 있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이 쉽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9)는, 세그먼트머지수단이, 제1지정수단으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지정되고, 또한, 제4지정수단으로 머지가 지정된 경우에, 지정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머지하고, 시게열적으로 선두의 세그먼트의 개시위치로부터 최후의 세그먼트의 종료위치까지를 1세그먼트로서 치환하기 때문에, 수정의 내용에 따라서 세그먼트의 병합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10)은, 구조정보 중의 임의 패키지를 대상패키지로서 지정하는 제5지정수단과, 제5지정수단으로 대상패키지가 지정된 경우에, 대상패키지의 구성요소인 모든 세그먼트를 대상패키지의 상위 세그먼트 대신에 치환하여, 대상패키지를 1계층 상승시키는 패키지계층상승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패키지를 1계층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성 및 조작성의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11)은, 세그먼트계층하락수단이, 제1지정수단으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지정시키고, 또한, 제6지정수단으로 계층하락이 지정된 경우에 새로운 세그먼트로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합친 범위의 세그먼트를 작성하고, 복수의 대상세그먼트 대신에 치환하여, 그 아래에 새로운 패키지를 작성하고,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그 아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세그먼트를 1계층 하락시킬 수 있고, 작업성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12)는, 세그먼트계층상승수단이, 제1지정수단으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지정되고, 또한 제7지정수단으로 계층상승이 지정된 경우에,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포함되는 패키지의 상위 세그먼트를 모세그먼트로 하고, 모세그먼트를 복수의 대상세그먼를 합친 범위의 새로운 세그먼트와 그 이외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새로운 세그먼트로 치환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세그먼트를 1계층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성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13)는, 세그먼트의 제거를 지정하는 제8지정수단과, 제8지정수단으로 제거가 지정된 경우에, 대상세그먼트 이하의 구조요소를 제거하는 세그먼트제거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세그먼트의 제거를 행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14)는, 세그먼트제거수단으로 대상세그먼트이하의 구조요소를 제거한후의 틈에 대한 처리로서, 후처리없이, 바로전의세그먼트경계를 연장하는 제1처리, 바로 다음의 세그먼트 경계를 연장하는 제2처리,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내에 한점을 지정하고, 직전/후의 세그먼트 경계를 지정한 위치까지 연장하는 제4처리중 어느하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정내용에 따라서 세그먼트의 제거를 행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15)는, 패키지의 제거를 지정하는 제9지정수단과, 제5지정수단으로 대상패키지가 지정되고, 또한, 제9지정수단으로 제거가 지정된 경우에, 대상패키지이하의 구조요소를 제거하는 패키지제거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수정내용에 따라서 패키지의 제거를 행하는 것일 가능하여, 조작성 및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편집장치(청구항 16)은, 배열된 데이타가, 영상스트림이기 때문에, 청구항1 내지 청구항 15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를 영상구조편집장치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청구항17)은, 구조정보중 임의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하는 제1지정수단과,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포함되는 임의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2지정수단과,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위치를 분할위치로 하고,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를 분할위치로 전반세그먼트와 후반세그먼트, 2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대상세그먼트를 2개의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세그먼트분할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분할하고자 하는 세그먼트가 있는 경우에 대상세그먼트로 지정하고, 분할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수정(분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청구항 18)는,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갖는 경우, 해당하는 패키지를 전반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전반패키지와 후반패키지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후반패키지, 2개의 패키지로 분할하기 때문에, 원래의 구조정보를 이용하면서 간단하게 손질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청구항 19)는 대상세그먼트의 표시 위에 분할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선분을 표시하고,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켜 분할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분할 작업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보로 되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기윕게 표시하여, 자신이 이동시켜 위치를 결정할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청구항 20)는, 분할위치가 프레임단위이기 때문에, 조작다이알로그상에, 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A, 종료프레임B, 분할후보로되는 프레임C와 그 직전의 프레임D를 ADCB의 순서로 나열하여 프레임수와 함께 표시하기 때문에, 후보로 되는 경계위치의 전후프레임이 시계열로 표시되오, 후보프레임변경할때에 표시가 갱신되기때문에, 실제로 조작대상으로 되는 프레임이 적절한지 어떤지를 일목연하게 판단할 수 있어, 조작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청구항 21)는, 경계의 이동이 지정된 경우에,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이 제3지정수단으로 지정된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를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이동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원래의 구조정보를 이용하면서 간단하게 손질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청구항22)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으로경계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3개의 경계이동 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 제1경계이동방법을 선택하면,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또한, 제2경계이동방법이 선택되면,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도는 종료위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에 접한 다른 세그먼트의 종료위치 또는 개시위치를 이동시키고, 더하여, 제3의 경계이동방법이 선택되면,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생성된 틈을 채우도록 새로운 세그먼트를 투입하기 때문에, 수정내용에 따라서 경계이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청구항 23)은,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구비한 경우, 해당하는 패키지중의 세그먼ㅌ의 경계도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따라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더하여 작업성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청구항 24)는, 대상세그먼트의 표시 위에 이동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선분을 표시하고,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켜 이동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이동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보로 되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기쉽게 표시하고, 자신이 이동시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청구항 25)는, 이동위치가 프레임단위일때, 조작다이알로그상에, 바로전 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A, 종료프레임B, 대상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C와 종료프레임D, 바로 다음의 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E와 종료프레임F를 프레임수와 함께 표시하기 때문에, 후보로 되는 경계위치의 전후프레임이 시계열적으로 표시되어, 후보프레임 갱신시에 표시가 갱신되므로, 실제로 조작대상으로 되는 프레임이 적절한지 어떤지를 일목연하게 판단할 수 있고, 조작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청구항 26)는, 세그먼트분할수단 또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을 통해서 세그먼트분할 또는 세그먼트경계의 이동이 있던 경우에, 조작다이알로그상에 표시되는 각 프레임의 갱신표시에 관해서, 갱신버튼을 누른 경우에만 갱신하던가, 설정한 갱신타이밍으로 갱신할지 선택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표시갱신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것으로 표시를 위한 처리를 생략하여,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리 원하는 프레임수를 알고있어 표시가 불필요한 경우등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편집장치(청구항 27)는, 재상버튼 및 프레임후보선택버튼을 구비하고, 재생버튼을 누르면, 그 시점의 대상세그먼트가 재생되고, 프레임후보선택버튼을 누르면, 그 시점에서 지정되어 있는 후보프레임의 주변이 프레임연결표시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분할프레임 또는 경계프레임을 주변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변프레임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프레임연결표시화면에서의 인식, 선택이 용이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청구항 28)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중 어느하나에 기재된 각 수단을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때문에, 그 프로그램을 기계로 판독가능하게되어, 청구항1 내지 청구항 16의 동작을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청구항 29)는, 청구항 17~27중 어느하나에 기재된 각 수단을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때문에, 그 프로그램을 기계판독가능하게 되어, 청구항17~27의 동작을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는 기록매체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오브젝트 내용관리방법, 오브젝트내용구조표시방법 및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은, 상술한 설명으로 나타낸 순서에 따라서 미리 준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CD-ROM, MO, DVD등의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된다.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배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청구항30~32)는, 오브젝트별로, 그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스키머정의로 정의된 자오브젝트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자오브젝트의 리스트가 자오브젝트로서 실제로 존재하는 모든 오브젝트의 인스턴스와,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자오브젝트로서 존재가능한 오브젝트를 유지하여 두고, 더하여, 각 오브젝트에는 실제로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인스턴스인지,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자오브젝트로서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옵젝트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정보를 유지하여 두고, 임의의 오브젝트를 개시오브젝트로 한 경우에, 개시오브젝트의 자오브젝트의 리스트, 해당 자오브젝트의 리스트에 유지되는 각 오브젝트의 자오브젝트의 리스트, 그 자오브젝트의 리스트에 유지되어 있는 각 오브젝트의 자오브젝트의 리스트를 순차관리하는 것에 의해서, 개시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관리하기 때문에, 인스턴스오브젝트의 구조와 스키머정의에 의한 구조를 조합하여 직감적으로 알기쉽게 표시하여, 조작성,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자오브젝트로서 존재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동일한 종류의 오브젝트별로 하나씩 관리하는 것에 의하여, 관리용 메모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되어 있는 오브젝트만을 모오브젝트의 자리스트로 관리하고, 그이외의 선택지로 되는 오브젝트를 선택되어 있는 자오브젝트의 선택지리스트중에,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자오브젝트로서 존재할 수 있는 오브젝트로서 관리하는 것에 의해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의 표시나, 편집을 행할때 표시를 보기쉽고, 편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청구항33~38)은, 오브젝트가 자오브젝트로서 유지하는 오브젝트를 트리구조로 표시하고, 또한, 그 트리구조의 노드에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여 오브젝트구조를 표시하고, 표시되어 있는 트리구조로부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해서 해당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의 종류와 값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당 오브젝트의 내용과 구조를 표시하기 때문에, 인스턴스오브젝트의 구조와 스키머정의에 의한 구조를 조합하여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표시하고, 조작성,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가 실제로 유지하고 있는 인스턴스 오브젝트만이 아니고, 유지하고 있지 않아도 그 스키머정의로부터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오브젝트를 종류별로 하나씩 트리구조내에 동시에 표시하고, 또한, 인스턴스 오브젝트와 그 이외의 오브젝트를 별도의 아이콘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에 의해, 더하여 시각적인 인식을 향상시키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루트로 되는 오브젝트가 유지할 가능성이 있는 오브젝트가, 각각 도한 오브젝트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트리구조를 계층적으로 표시하고, 이때, 표시할 계층레벨을 지정하면, 실재하는 인스턴스 오브젝트이하, 지정한 계층레벨까지를 표시하고, 그보다 하위 층의 구조를 생략하는 것에 의해, 조작성 및 작업성을 ㄷ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자오브젝트의 종류의 스키머정의에 있어서, 복수종류의 오브젝트 중 어느하나를 갖을 수 있는 경우, 그 선택지의 모두를 자노드로서 트리구조중에 표시하고, 선택지 중 실제로 선택되어 유지하고 있것이라면, 선택되어 있는 그 외의 선택지와를 별도의 아이콘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에 의해, 더하여 조작성,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지정한 후, 「검색」을 지시하면,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모두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성, 작업효율의 향상을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자오브젝트의 종류의 스키머정의에 있어서, 동일한 종류의 자오브젝트를 복수개 갖는 것이 가능한 경우, 복수로 갖을것이 가능한 최대수 또는 최소수의 자오브젝트를 트리구조 내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조작성, 작업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청구항39~46)은, 오브젝트가 자오브젝트로서 유지하는 오브젝트를 트리구조로 나타내고, 또한, 그 트리구조의 노드에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여 오브젝트구조를 표시하고, 표시되어 있는 트리구조로부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해서 해당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의 종류와 속성값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 해당 오브젝트의 내용과 구조를 표시하고, 표시된 속성값에 대해서, 변경할 값을 입력하여 변경을 지정하면, 해당하는 오브젝트의 속성값을 입력치로 갱신하기 때문에, 인스턴스오브젝트의 구조와 스키머정의에 의한 구조를 조합하여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하고, 조작성,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트리구조중에 실재하는 오브젝트를 하나 지정한 후, 「인스턴스추가」를 지시하면, 동일한 종류의 오브젝트의 인스턴스를 작성하고, 동일한 종류의 오브젝트를 지정한 오브젝트의 형제노드로서 트리구조 내에 표시하기 때문에, 조작성 및 작업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키머정의에 의해서 복수로 갖는 것이 허락된 오브젝트와 허락되지 않은 오브젝트를 미리 표시색, 아이콘등으로 구별하여 표시하고, 복수가 허락되지 않은 오브젝트에 대한 「인스턴스추가」의 지시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조작성 및 작업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갖을 수 있는 오브젝트의 종류를 보이는 더미오브젝트를 하나 지정한 후, 「인스턴스추가」를 지시하면, 더미오브젝트를 실제의 인스턴스로 변경하고, 트리구조내의 표시도 실제의 인스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변경하기 때문에, 조작성 및 작업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정된 더미오브젝트뿐만 아니라, 그 선조로 된 오브젝트가 더미오브젝트인 경우도, 이들을 차차로 실제의 인스턴스로 변경하기 때문에, 조작성 및 작업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지정한 후, 「삭제」를 지시하면, 지정된 오브젝트가 복수로 존재한 경우에는 그 오브젝트이하를 제거하여 트리구조의 표시에서 없애고, 그 오브젝트가 단일인 경우에는 그 오브젝트이하의 노드를 더미오브젝트로 변경하여, 트리구조내의 표시아이콘을 변경하기 때문에, 조작성 및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되어 있지 않은 선택지를 나타내는 더미오브젝트를 하나 지정한 후, 「선택변경」을 지시하면, 지금까지 선택되어 있던 오브젝트를 선택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로 변경하고, 지정한 오브젝트를 선택되어 있는 오브젝트로 변경하기 때문에, 조작성 및 작업성의 향상을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편집된 오브젝트의 내용을 MPEG-7 또는 XML 등의 기술언어로 출력하기 때문에, 또한 작업성 및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청구항 47)는, 청구항 30~32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어,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어들여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청구항 30~32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청구항48)는, 청구항 33 ~ 38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어,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어들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청구항33~38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청구항 49)는, 청구항 39 ~ 46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어,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어들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청구항 39 ~ 4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관리방법(청구항 50)에 의하면,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의 데이타형식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컨텐츠관리방법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파일로 이루어진 오리지널 컨텐츠 데이타와, 그 오리지널 컨텐츠 데이타와는 다른 데이타형식으로 표현한 복수의 데이타가 정리되어, 논리적인 하나의 컨텐츠로서 일괄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영상컨텐츠나 음성컨텐츠등 복수파일로 되는 긴 컨텐츠를 포함하는 보관된 각종 데이타종류의 컨텐츠에 대해서, 이용자는 데이타형식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의도한 단위로 컨텐츠를 취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고, 논리적인 컨텐츠단위로 등록, 제거,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가 영상데이타 또는 음성데이타형식의 파일, 또는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등록한 파일이 일괄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데이타형식을 의식하지 않고도 처리에 적절한 데이타형식의 컨텐츠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간단한 파일을자유롭게 정리하여 등록하여 두고,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오리지널 컨텐츠의 파일과, 데이타편집, 내용기술작업, 또는 배송에 적절한 데이타형식의 파일이 일괄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그와 같은 처리에 적합한 데이타형식의 컨텐츠를 데이타형식을 의식하지 않고도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1 또는 청구항 5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오리지널 컨텐츠의 등록이후, 논리컨텐츠를 특정한 처리요구에 따라서 요구된 처리에 적합한 데이타형식의 파일이 작성되거나, 또는 자유로운 타이밍으로 미리 상정한 복수의 데이타형식 파일이 자동적으로 작성되므로, 처리에 적합한 데이타형식의 파일을 사람이 번거롭지 않게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3에 기재된 발명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리지널 컨텐츠가 복수의 데이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오리지널 컨텐츠의 데이타로 이루어진 논리컨텐츠에 대한 각 데이타의 배당위치와 배당길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포함하여 일괄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논리적인 스트림으로서 전체가 정확히 연결되어 논리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논리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리지널 컨텐츠의 개개 데이타가 하나의 파일의 일부이거나, 또는 오리지널컨텐츠의 개개 데이타 사이의 내용에 중복이 있어도 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의도에 맞춰 논리컨텐츠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5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5에 기재된 발명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컨텐츠를 나타내는 내용기술정보로서, 속성이 기술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컨텐츠가 어떤것인가를 용이하게 알수있고, 컨텐츠검색시스템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데이타에 대한검색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논리구조를 갖는 표현형식으로 속성이 기술되기 때문에, 컨텐츠가 더 이해하기 쉽게 된다. 또한, 청구항5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5에 기재된 발명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대상이 되는 데이타로서, 청구항 56 또는 청구항 57에 기재된 내용기술정보가 포함되기 때문에, 그 내용기술정보가 대상인 논리컨텐츠로부터 내용기술정보를 취출할 수 있고, 따라서, 내용기술정보가 취출되기 쉽게 된다.
또한, 청구항 5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8에 기재된 컨텐츠관리방법중 어느하나를 실시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이 예를 들어, 착탈가능한 기록매체에 기억되기때문에, 그 기록매체를 지금까지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컨텐츠관리가 가능한 퍼스널컴퓨터등의 정보처리장치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그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도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8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9)

  1. 배열된 데이타중 임의 데이타의 범위를 세그먼트로 정의하고, 하나의 세그먼트로 정의된 범위를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으로 표현한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을 패키지로 정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배열된 데이타의 계층구조를 정의한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열된 데이타의 구조를 편집하는 구조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정보 중에 임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하는 제1지정수단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포함된 임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2지정수단과,
    상기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상기 위치를 분할위치로 하여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를 상기 분할위치에서 전반세그먼트와 후반세그먼트, 2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상기 대상세그먼트를 상기 2개의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세그먼트분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분할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갖는 경우, 해당하는 패키지를 상기 전반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전반패키지와, 상기 후반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후반패키지의 2개 패키지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정수단은 상기 구조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대상세그먼트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팅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구조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분할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팅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표시상에 분할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선분을 표시하고,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직전 세그먼트의 종료위치와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가 같고, 또한 대상세그먼트의 종료위치와 다음 세그먼트의 개시위치가 같은 경우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의 이동을 지정하는 제3지정수단과,
    상기 제3지정수단으로 경계의 이동이 지정된 경우, 상기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상기 위치를 이동위치로 하고, 지정된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를 이동시키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은 상기 경계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 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시키지 않는 제1경계이동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에 인접한 다른 세그먼트의 종료위치 또는 개시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경계이동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 생성된 틈을 채우도록 새로운 세그먼트를 투입하는 제3경계이동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구비한 경우, 해당하는 패키지 내의 세그먼트의 경계도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표시 위치에 이동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선분을 표시하고,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8. 제 1, 2, 5, 6,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세그먼트가 하위계층으로 패키지이하의 구조요소를 갖는 경우, 상기 세그먼트분할수단 또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에 의해서 자(子)계층의 세그먼트를 분단하는 경우의 처리로 하여, 분단된 세그먼트이하의 구조요소를 삭제하는 제1의 분단,
    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하는 제2의 분단, 및
    분단된 세그먼트를 분할한 후, 양옆의 세그먼트에 머징하는 제3의 분단의 3가지 방식에서 선택가능하고, 또한, 이런 처리는 말단의 계층까지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9. 제 1, 2, 5, 6,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세그먼트의 머지를 지정하는 제4지정수단과, 복수의 세그먼트를 머지하여 하나의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세그먼트머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지정수단은 동일한 패키지 내부에 서로 인접한 복수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가능하고,
    상기 세그먼트머지수단은 상기 제1지정수단으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지정되고, 또한 상기 제4지정수단으로 머지가 지정된 경우에, 지정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머지하여, 시계열적으로 선두 세그먼트의 개시위치로부터 최후 세그먼트의종료위치까지를 1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10. 제 1, 2, 5, 6, 7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구조정보중 임의 패키지를 대상패키지로 지정하는 제5지정수단과,
    상기 제5지정수단으로 대상패키지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대상패키지의 구성요소인 모든 세그먼트를 상기 대상패키지의 상위 세그먼트 대신에 치환하여, 상기 대상패키지를 1계층 상승시키는 패키지계층상승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11. 제 1, 2, 5, 6,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세그먼트의 계층하락을 지정하는 제6지정수단과, 복수의 세그먼트로부터 새로운 패키지와 새로운 세그먼트를 작성하여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세그먼트를 배치하고 상기 새로운 패키지를 상기 새로운 세그먼트의 하위 계층으로 배치하는 세그먼트계층하락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지정수단은 동일한 패키지 내부의 서로 인접한 복수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가능하고,
    상기 세그먼트계층하락수단은 상기 제1지정수단으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지정되고, 또한 상기 제6지정수단으로 계층하락이 지정된 경우에, 상기 새로운 세그먼트로 상기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합친 범위의 세그먼트를 작성하고, 상기 복수의 대상세그먼트 대신에 치환하여, 그 아래에 새로운 패키지를 작성하고, 상기복수의 대상세그머트를 그 아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12. 제 1, 2, 5, 6,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세그먼트의 계층상승을 지정하는 제7지정수단과, 복수의 세그먼트를 1 계층위의 세그먼트로 이동시키는 세그먼트상승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지정수단은 동일 패키지 내부의 서로 인접한 복수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가능하고,
    상기 세그먼트계층상승수단은 상기 제1지정수단으로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지정되고, 또한, 상기 제7지정수단으로 계층상승이 지정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대상세그먼트가 포함되는 패키지의 상위 세그먼트를 모(母)세그먼트로 하고, 상기 모세그먼트를 상기 복수의 대상세그먼트를 합친 범위의 새로운 세그먼트와 그 이외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대상 세그먼트를 상기 새로운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13. 제 1, 2, 5, 6,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세그먼트의 삭제를 지정하는 제8지정수단과,
    상기 제8지정수단으로 삭제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대상 세그먼트이하의 구조요소를 삭제하는 세그먼트삭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삭제수단에서, 대상세그먼트이하의 구조요소를 삭제한 후의 틈에 대한 처리로, 후처리없이, 직전의 세그먼트경계를 연장시키는 제1의 처리, 그 다음 세그먼트경계를 연장하는 제2의 처리, 및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내의 한점을 지정하고 직전 또는 그 다음의 세그먼트 경계를 지정한 위치까지 연장하는 제3의 처리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패키지의 삭제를 지정하는 제9지정수단과,
    상기 제5지정수단으로 대상패키지가 지정되고, 또한 상기 제9지정수단으로 삭제가 지정된 경우에 대상패키지 이하의 구조요소를 삭제하는 패키지삭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16. 제 1, 2, ,5, 6, 7, 14,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된 데이타가 영상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편집장치.
  17. 영상스트림중 임의 프레임의 범위를 세그먼트로 정의하고, 하나의 세그먼트로 정의된 범위를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으로 표현한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집합을 패키지로 정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영상스트림의 계층구조를 정의한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스트림의 구조를 편집하는 영상정보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정보 중 임의 세그먼트를 대상세그먼트로 지정하는 제1지정수단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포함되는 임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2지정수단과,
    상기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상기 위치를 분할위치로 하여,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범위를 상기 분할위치에서 전반세그먼트와 후반세그먼트, 2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상기 대상세그먼트를 상기 2개의 세그먼트로 치환하는 세그먼트치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분할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갖는 경우, 해당하는 패키지를 상기 전반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전반패키지와, 상기 후반세그먼트의 범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후반패키지의 2개 패키지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정수단은, 상기 구조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대상세그먼트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팅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구조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분할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팅디바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표시 위에 분할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선분을 표시하고,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켜 분할우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위치가 프레임단위일때, 조작다이알로그 상에서, 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A, 종료프레임B, 분할후보로 된 프레임C와 그 직전의 프레임D를 ADCB의 순서로 나열하여 프레임수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
  21. 제 17, 18,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직전 세그먼트의 종료위치와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가 같고, 또한 대상세그먼트의 종료위치와 다음 세그먼트의 개시위치가 같은 경우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의 이동을 지정하는 제3지정수단과,
    상기 제3지정수단으로 경계의 이동이 지정된 경우, 상기 제2지정수단으로 지정된 상기 위치를 이동위치로 하고, 지정된 개시위치측의 경계 또는 종료위치측의 경계를 이동시키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은 상기 경계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 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시키지않는 제1경계이동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에 접한 다른 세그먼트의 종료위치 또는 개시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경계이동과,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세그먼트의 개시위치 또는 종료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 생성된 틈을 채우도록 새로운 세그먼트를 투입하는 제3경계이동중에서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가 패키지를 구비한 경우, 해당하는 패키지내의 세그먼트 경계도 대상세그먼트의 범위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
  24. 제 17, 18, 20, 22,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정수단은 상기 대상세그먼트의 표시 위에 이동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선분을 표시하고, 포인팅디바이스로 선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평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위치가 프레임단위일 때, 조작다이알로그 상에서 직전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A, 종료프레임B, 대상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C와 종료프레임D, 그 다음 세그먼트의 개시프레임E와 종료프레임F를 프레임수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세그먼트분할수단 또는 세그먼트경계이동수단을 통해서 세그먼트분할 또는 세그먼트 경계의 이동이 있는 경우에, 상기 조작다이알로그에 표시되는 각 프레임의 갱신표시에 관해서, 갱신버튼을 누르는 경우만 갱신하던지, 설정한 갱신타이밍으로 갱신할 지가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재생버튼 및 프레임후보 선택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재생버튼을 누르면 그 시점의 대상세그먼트가 재생되고, 상기 프레임후보 선택버튼을 누르면 그 시점에서 지정되어 있는 후보프레임의 주변이 프레임연결표시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구조편집장치.
  28. 제 1, 2, 5, 6, 7, 14,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편집장치의 각 수단으로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29. 제 17 항 내지 제 27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상구조편집장치의 각수단으로서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30. 각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가 0 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이루어지는 트리구조의 친자관계로 표현하여 두고, 또한, 오브젝트의 종류마다 각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 및 오브젝트의 종류가 스키머정의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관리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별로 그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상기 스키머정의로 정의된 자오브젝트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자오브젝트의 리스트는 자오브젝트로서 실제로 존재하는 모든 오브젝트의 인스턴스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자오브젝트로서 존재가능한 오브젝트를 유지하여 두고, 더하여 각 오브젝트에는 실제로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인스턴스인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자오브젝트로서 존재가능한 오브젝트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정보를 유지하고,
    임의 오브젝트를 개시오브젝트로 한 경우, 상기 개시오브젝트의 자오브젝트 리스트, 상기 자오브젝트의 리스트에 보관된 각 오브젝트의 자오브젝트 리스트, 그 자오브젝트의 리스트에 보관되어 있는 각 오브젝트의 자오브젝트 리스트를 순차관리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개시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자오브젝트로서 존재가능한 오브젝트는 동일한 종류의 오브젝트 마다 하나씩 관리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어느 오브젝트의 스키머정의에 의해서, 해당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복수 종류의 오브젝트 중에, 어느 하나가 배타적으로 선택가능한 관계인 복수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어느 오브젝트는 상기 자오브젝트 리스트외에 상기 어느 하나가 배타적으로 선택가능한 관계인 복수의 오브젝트를 선택지리스트로 관리하고,
    복수의 선택지 중에서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항되어 있는 경우, 선택되어 있는 해당 오브젝트만을 모오브젝트의 자리스트로 관리하고, 그것 이외의 선택지로 되는 오브젝트를 상기 선택되어 있는 해당 오브젝트의 선택지리스트중에,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자오브젝트로서 존재가능한 오브젝트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33. 각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가 0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이루어진 트리구조의 친자관계로 표현하여 두고, 또한, 오브젝트의 종류별로 각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 및 오브젝트의 종류가 스키머 정의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표시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자오브젝트로 보관하는 오브젝트를 트리구조로 표시하고, 또한, 그 트리구조의 노드에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여 오브젝트구조를 표시하고, 표시되어 있는 트리구조로부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해서 해당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의 종류와 값을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내용과 구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오브젝트가 실제로 유지하고 있는 인스턴스오브젝트뿐만아니라, 유지되어 있지 않아도 그 스키머정의로부터 유지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종류별로 하나씩 트리구조안에 동시에 표시하고, 또한, 인스턴스오브젝트와 그 이외의 오브젝트를 별개의 아이콘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루트인 오브젝트가 유지할 가능성이 있는 오브젝트가, 각각 또한 오브젝트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트리구조를 계층적으로 표시하고, 이때, 표시할계층레벨을 지정하면, 실존하는 인스턴스오브젝트이하의 지정한 계층레벨까지를 표시하고, 그로부터 하위층의 구조를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36.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오브젝트가 가질 수 있는 자오브젝트의 종류의 스키머정의에 있어서, 복수종류의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는 경우 그 선택지의 모두를 자노드로서 트리구조중에 표시하고, 선택지 중 실제로 선택되어 유지되고 있다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그 외의 선택지를 별도의 아이콘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37.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지정한 후 「검색」을 지시하면, 해당하는 오브젝트 전체를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38.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자오브젝트의 종류의 스키머정의에 있어서, 같은 종류의 자오브젝트를 복수개 구비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복수개 구비할 수 있는 최대수 또는 최소수의 자오브젝트를 상기 트리구조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39. 각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가 0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이루어지는 트리구조의 친자관계로 표현하, 또한, 오브젝트의 종류별로 각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 및 오브젝트의 종류가 스키머정의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를 편집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자오브젝트로서 유지하는 오브젝트를 트리구조로 나타내고, 또한, 그 트리구조의 노드에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여 오브젝트구조를 표시하고, 표시되어 있는 트리구조로부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하여 해당 오브젝트가 갖을 수 있는 속성의 종류와 속성값을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내용과 구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속성값에 대해서, 변경할 값을 입력하여 변경을 지정하면, 해당하는 오브젝트의 속성값을 입력값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트리구조중에 실재하는 오브젝트를 하나 지정한 후, 「인스턴스추가」를 지정하면, 동일한 종류의 오브젝트의 인스턴스를 작성하고, 같은 종류의 오브젝트를 상기 지정한 오브젝트의 형제노드로 트리구조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스키머정의에 의해서 복수개를 갖는 것이 허락된 오브젝트와, 승인되지 않은 오브젝트는 미리 표시색, 아이콘등으로 구별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가 허락되지 않은 오브젝트에 대한 「인스턴스추가」의 표시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
  42. 제 39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구비할 수 있는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더미오브젝트를 하나 지정한 후, 「추가」를 지정하면, 상기 더미오브젝트를 실제의 인스턴스로 변경하고, 트리구조중의 표시도 실제의 인스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지정된 더미오브젝트뿐만아니라, 그 선조인 오브젝트가 더미오브젝트인 경우도 그들을 차차 실제의 인스턴스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
  44. 제 39, 40, 41,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제로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지정한 후, 「삭제」를 지정하면, 상기 지정된 오브젝트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는 그 오브젝트이하를 제거하여 트리구조로부터제거하고, 그 오브젝트가 단일인 경우에는 그 오브젝트이하의 노드를 더미오브젝트로 변경하고, 트리구조내에 표시아이콘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
  45. 제 39, 40, 41, 4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되지 않은 선택지를 나타내는 더미오브젝트를 하나 지정한 후, 「선택변경」을 지시하면, 그때까지 선택되어 있던 오브젝트를 선택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로 변경하고, 상기 지정한 오브젝트를 선택되어 있는 오브젝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
  46. 제 39, 40, 41, 4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집된 오브젝트의 내용을 MPEG-7 또는 XML등의 기술용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
  47. 제 30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48. 제 33 항 내지 제 38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판독가능한 기록매체.
  49. 제 39 항 내지 제 46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편집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50.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의 데이타형식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컨텐츠관리방법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파일로 이루어진 오리지날 컨텐츠의 데이타와, 그 오리지날 컨텐츠의 데이타와는 다른 데이타형식으로 표현한 데이타를 정리하여, 논리적인 하나의 컨텐츠로서 일괄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관리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컨텐츠가 영상데이타 또는 음성데이타인 경우, 오리지널 컨텐츠의 파일과, 처리에 적합한 데이타형식의 파일, 또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등록한 파일을 일괄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관리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를 데이타편집, 내용기술작업, 또는 배송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관리방법.
  53. 제 51 항 또는 제 52 항에 있어서,
    오리지널 컨텐츠의 등록이후, 논리컨텐츠를 특정한 처리요구에 따라서 요구된 처리에 적절한 데이타형식의 파일을 작성하던지 또는 자유로운 타이밍으로 미리 상정한 복수의 데이타형식의 파일을 자동적으로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관리방법.
  54. 제 50 항 내지 제 5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리지널 컨텐츠가 복수의 데이타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의 오리지널 컨텐츠의 데이타로 이루어진 논리컨텐츠에 대한 각 데이타의 배당위치와 배당길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구비하고, 그 관리정보를 포함하여 일괄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관리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리지널컨텐츠 각각의 데이타가 하나의 파일의 일부이던지, 또는 오리지널 컨텐츠 각각의 데이타사이의 내용에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관리방법.
  56. 제 50 항 내지 제 5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텐츠를 나타내는 내용기술정보로서, 내용에 대해서 속성을 기술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관리방법.
  57. 제 56 항에 있어서,
    내용기술정보가 논리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관리방법.
  58. 제 50 항 내지 제 52 항, 제 5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괄하여 관리할 대상으로 된 데이타로서, 청구항 56 또는 청구항 57에 기재된 내용기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관리방법.
  59.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50 항 내지 제 58 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컨텐츠 관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10059944A 2000-09-28 2001-09-27 구조편집방법, 영상구조편집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컨텐츠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KR100694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97170 2000-09-28
JP2000297170A JP3505138B2 (ja) 2000-09-28 2000-09-28 構造編集装置、映像構造編集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各手段としてコンピュータ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JP-P-2000-00315765 2000-10-16
JP2000315765A JP2002123415A (ja) 2000-10-16 2000-10-16 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JP-P-2001-00059191 2001-03-02
JP2001059191A JP2002259181A (ja) 2001-03-02 2001-03-02 オブジェクトの内容構造管理方法、オブジェクトの内容構造表示方法、オブジェクトの内容構造編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762A true KR20020025762A (ko) 2002-04-04
KR100694238B1 KR100694238B1 (ko) 2007-03-14

Family

ID=2734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944A KR100694238B1 (ko) 2000-09-28 2001-09-27 구조편집방법, 영상구조편집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컨텐츠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20020059349A1 (ko)
EP (2) EP1376585A3 (ko)
KR (1) KR100694238B1 (ko)
CN (3) CN14956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1065A1 (en) * 2001-11-27 2003-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onversation threads in electronic mail
JP4326753B2 (ja) * 2002-06-14 2009-09-09 株式会社リコー 映像情報インデキシング支援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437664B2 (en) * 2002-06-18 2008-10-14 Microsoft Corporation Comparing hierarchically-structured documents
JP2004135256A (ja) * 2002-08-09 2004-04-30 Ricoh Co Ltd 情報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情報ファイル生成方法、情報ファイル生成装置、情報ファイル生成プログラム、これを記憶する記憶媒体、情報ファイル再生方法、情報ファイル再生装置、情報ファイル再生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憶する記憶媒体
US7337401B2 (en) * 2002-12-18 2008-02-26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element representation with simplified view
JP4226889B2 (ja) 2002-12-20 2009-02-18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方法
JP3912676B2 (ja) * 2003-02-27 2007-05-0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ファイル管理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272662A (ja) * 2003-03-10 2004-09-30 Ricoh Co Ltd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方法、コンテンツ管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
JP3938368B2 (ja) 2003-09-02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データの編集装置および動画像データの編集方法
JP4450591B2 (ja) * 2003-09-16 2010-04-1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編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396242B2 (ja) * 2003-11-28 2010-0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リンク構造情報作成装置及び方法
DE102004028792A1 (de) * 2004-06-15 2006-01-12 Siemens Ag Verfahren zur grafischen Darstellung von Gegenständen und technischen Prozessen auf einem Bildschirm, und hierzu eingesetztes Computerprogramm
US20060041503A1 (en) * 2004-08-21 2006-02-23 Blair William R Collaborative negotiatio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extended commerce
JP4151640B2 (ja) * 2004-10-22 2008-09-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編集装置
KR100632584B1 (ko) * 2004-12-2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챕터 설정 장치 및 방법
JP4277817B2 (ja) * 2005-03-10 2009-06-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操作履歴表示装置、操作履歴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456596B2 (en) * 2005-08-19 2008-11-25 Cisco Technology, Inc. Automatic radio site survey using a robot
US7728836B2 (en) * 2006-05-05 2010-06-01 Sap Ag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time dependent information
US20080249994A1 (en) * 2006-11-28 2008-10-09 Calder Group, Inc. System and process for server side stateless data interchange
JP5003131B2 (ja) * 2006-12-04 2012-08-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20090240628A1 (en) * 2008-03-20 2009-09-24 Co-Exprise,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 Negotiation
JP4702475B2 (ja) * 2008-12-25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CN103092813A (zh) * 2011-10-31 2013-05-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三次元程序显示系统及方法
JP2013178748A (ja) * 2012-02-01 2013-09-09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変換処理方法
CN102722547B (zh) * 2012-05-25 2015-04-22 任伟峰 一种利用虚拟现实场景实现信息管理的方法及装置
USD775176S1 (en) 2012-06-01 2016-12-27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collaborative resources on a computing device
USD720361S1 (en) 2012-06-01 2014-12-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collaborative resources
USD755209S1 (en) 2012-11-13 2016-05-03 Karl Storz Imaging, Inc. Medical imaging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2070S1 (en) 2012-11-13 2016-03-22 Karl Storz Imaging, Inc. Medical imaging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8885S1 (en) 2012-11-13 2015-09-15 Karl Storz Imaging, Inc. Medical imaging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2057S1 (en) * 2013-04-01 201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0841S1 (en) * 2013-07-01 2015-10-13 Yandex Europe Ag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showing an image search engine results page
USD767609S1 (en) 2014-04-25 2016-09-27 Karl Storz Gmbh & Co. Kg Medical imaging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1115S1 (en) * 2015-03-09 2016-11-08 Sentinel Asset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70108996A1 (en) * 2015-10-14 2017-04-20 Ad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Organizing a Tree Structure
US10217489B2 (en) * 2015-12-07 2019-02-26 Cyberlink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track management in a media editing tool
USD803237S1 (en) * 2015-12-31 2017-11-21 Zijilai Innovative Services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3847S1 (en) * 2015-12-31 2017-11-28 Zijilai Innovative Services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2035S1 (en) * 2015-12-31 2018-07-03 Zijilai Innovative Services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3860S1 (en) * 2016-03-11 2018-07-24 Magnet Forensics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5525S1 (en) * 2016-03-22 2017-12-19 Branch Banking And Trust Company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1576618S (ko) * 2016-04-26 2017-05-22
USD826951S1 (en) * 2016-05-18 2018-08-28 Cyberlink Corp. Display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2678S1 (en) * 2016-05-19 2018-07-10 Zijilai Innovative Services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1908S1 (en) * 2017-06-12 2020-04-21 Unisys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etwork status
USD864982S1 (en) * 2017-07-20 2019-10-29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7479789A (zh) * 2017-08-10 2017-12-15 积成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iec61850对象信息的展示及交互方法
USD870770S1 (en) * 2017-11-01 2019-12-24 Senseonics, Incorpora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1441S1 (en) * 2017-11-01 2019-12-31 Senseonics, Incorpora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90272607A1 (en) * 2018-03-04 2019-09-05 AbsolutePay LLC Nacha compliant secure fund transfer
US11048672B2 (en) 2018-09-27 2021-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inary large object platform for interactively analyzing and editing structural metadata
USD934910S1 (en) * 2019-05-22 2021-11-02 Shanghai Dalong Technology Co., Ltd. Portion of a monitor displayed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447268B (zh) * 2020-03-24 2022-11-25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文件结构转换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D960901S1 (en) * 2020-10-30 2022-08-16 Zoox,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69822S1 (en) 2020-11-11 2022-11-15 Aspen Operating, LL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TWD216941S (zh) * 2020-11-13 2022-02-01 大陸商北京安博盛贏教育科技有限責任公司 顯示螢幕之具變化外觀之圖形化使用者介面
TWD216940S (zh) * 2020-11-13 2022-02-01 大陸商北京安博盛贏教育科技有限責任公司 顯示螢幕之具變化外觀之圖形化使用者介面
US11675349B2 (en) 2020-11-30 2023-06-13 Zoox, Inc. User interface for remote vehicle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63A (ja) * 1991-07-19 1993-02-05 Toshiba Corp 動画像管理装置
WO1993007554A1 (en) * 1991-10-07 1993-04-15 Eastman Kodak Company A compositer interface for arranging the components of special effects for a motion picture production
US5245436A (en) * 1992-02-14 1993-09-1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des in digital video sequences
US5999173A (en) * 1992-04-03 1999-12-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diting with video clip representations displayed along a time line
US5442744A (en) * 1992-04-03 1995-08-15 Sun Micro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editing multimedia information
AU4279893A (en) * 1992-04-10 1993-11-18 Avid Technology,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enting and editing multimedia compositions
JPH0778804B2 (ja) * 1992-05-28 1995-08-23 日本アイ・ビー・エム株式会社 シーン情報入力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404316A (en) * 1992-08-03 1995-04-04 Spectra Group Ltd., Inc. Desktop digital video processing system
EP0590759B1 (en) * 1992-08-12 1998-1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video segment boundaries
JP3206619B2 (ja) * 1993-04-23 2001-09-10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CA2095448C (en) * 1993-05-04 1998-05-05 Phillip J. Beaudet Window management system utilizing icons and miniature windows
US5521841A (en) * 1994-03-31 1996-05-28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Browsing contents of a given video sequence
JP3320197B2 (ja) * 1994-05-09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及びその方法
US5983236A (en) * 1994-07-20 1999-11-09 Nam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edia presentation
US5600775A (en) * 1994-08-26 1997-02-04 Emo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notating full motion video and other indexed data structures
US5680619A (en) * 1995-04-03 1997-10-21 Mfactory, Inc. Hierarchical encapsulation of instantiated objects in a multimedia authoring system
JPH0916457A (ja) * 1995-06-28 1997-01-17 Fujitsu Ltd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検索システム
US5956453A (en) * 1996-04-12 1999-09-21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Method of editing moving image and apparatus of editing the same
US5907846A (en) * 1996-06-07 1999-05-25 Electronic Data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relational databases using objects
US5781188A (en) * 1996-06-27 1998-07-14 Softimage Indicating activeness of clips and applying effects to clips and tracks in a timeline of a multimedia work
US6138123A (en) * 1996-07-25 2000-10-24 Rathbun; Kyle R.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parallel data structures
US6249316B1 (en) * 1996-08-23 2001-06-19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temporary group of images on a digital camera
US5812135A (en) * 1996-11-05 1998-09-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organization of nodes in a partial view of hierarchical information
EP0843311A3 (en) * 1996-11-15 2000-01-26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editing image information with aid of computer and editing system
JPH10174044A (ja) * 1996-12-09 1998-06-26 Sony Corp 映像管理システム
US6061054A (en) * 1997-01-31 2000-05-09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for multimedia presentation development based on importing appearance, function, navigation, and content multimedia characteristics from external files
US6597377B1 (en) * 1997-02-25 2003-07-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eb links objects
US6173317B1 (en) * 1997-03-14 2001-01-09 Microsoft Corporation Streaming and displaying a video stream with synchronized annotations over a computer network
CA2202106C (en) * 1997-04-08 2002-09-17 Mgi Software Corp. A non-timeline, non-linear digital multimedia composition method and system
US6154213A (en) * 1997-05-30 2000-11-28 Rennison; Earl F. Immersive movement-based interaction with large complex information structures
US6195458B1 (en) * 1997-07-29 2001-02-2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content-based temporal segmentation of video
US6360234B2 (en) * 1997-08-14 2002-03-19 Virage, Inc. Video cataloger system with synchronized encoders
US7295752B1 (en) * 1997-08-14 2007-11-13 Virage, Inc. Video cataloger system with audio track extraction
US6463444B1 (en) * 1997-08-14 2002-10-08 Virage, Inc. Video cataloger system with extensibility
JP3613543B2 (ja) * 1997-11-11 2005-01-2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動画像編集装置
JPH11175757A (ja) * 1997-12-05 1999-07-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US6023511A (en) * 1998-01-27 2000-02-08 Infosec Information Security Co., Ltd. Cryptosystem for encrypting digital image or voice file
US6714909B1 (en) * 1998-08-13 2004-03-30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ultimedia content indexing and retrieval
US6771875B1 (en) 1998-09-03 2004-08-03 Ricoh Company Ltd. Recording medium with video index information recorded therein video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which uses the video index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ith audio index information recorded therein audio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which uses the audio index information and a video retrieval system
US7263671B2 (en) * 1998-09-09 2007-08-28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annotating multimedia information
US6738075B1 (en) * 1998-12-31 2004-05-18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interactive slide show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6317141B1 (en) * 1998-12-31 2001-11-13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eterogeneous media objects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6462754B1 (en) * 1999-02-22 2002-10-08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ng and linking video documents
JP3484096B2 (ja) * 1999-03-03 2004-01-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有向グラフの論理的ズーム装置における論理的ズーム方法
US6249570B1 (en) * 1999-06-08 2001-06-19 David A. Glowny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storing telephone call information
KR100741300B1 (ko) * 1999-07-06 2007-07-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디오 시퀀스 구조의 자동 추출 방법
US7058647B1 (en) * 1999-08-31 2006-06-06 Charles E. Hill & Associates Electronic presentation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6559871B1 (en) * 1999-09-29 2003-05-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synchronous tree navigator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associated methods
US6549922B1 (en) * 1999-10-01 2003-04-15 Alok Srivastava System for collecting, transforming and managing media metadata
US7016540B1 (en) * 1999-11-24 2006-03-21 Ne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ation, classification, and summarization of video images
US6976229B1 (en) * 1999-12-16 2005-12-13 Rico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ytelling with digital photographs
US7334191B1 (en) * 2000-05-09 2008-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gmentation and detection of representative frames in video sequences
AU2001288495A1 (en) * 2000-08-29 2002-03-13 Eloquent Tool for collaborative edit/search of dyanamic objects
US7296231B2 (en) * 2001-08-09 2007-11-13 Eastman Kodak Company Video structuring by probabilistic merging of video segments
JP3852568B2 (ja) * 2001-09-11 2006-11-29 ソニー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プレゼンテーション作成装置および方法
US6859211B2 (en) * 2001-09-13 2005-02-22 Terry H. Friedlander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online interactive story
US7058649B2 (en) * 2001-09-28 2006-06-06 Intel Corporation Automated presentation layer content management system
US7242809B2 (en) * 2003-06-25 2007-07-10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video segmentation and dynamic segment labeling
US7225208B2 (en) * 2003-09-30 2007-05-29 Iron Mountain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acking up data files
US7487524B2 (en) * 2003-11-19 2009-02-03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corporated Administrative Agenc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of images
JP4727383B2 (ja) * 2005-10-27 2011-07-2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5642A (zh) 2004-05-12
EP1376585A3 (en) 2004-02-04
US20020059349A1 (en) 2002-05-16
CN1495643A (zh) 2004-05-12
CN1168033C (zh) 2004-09-22
EP1193713A2 (en) 2002-04-03
EP1193713A3 (en) 2002-05-08
US20040237027A1 (en) 2004-11-25
US20040250211A1 (en) 2004-12-09
EP1376585A2 (en) 2004-01-02
CN1359081A (zh) 2002-07-17
KR100694238B1 (ko)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238B1 (ko) 구조편집방법, 영상구조편집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관리방법, 오브젝트의 내용구조표시방법, 컨텐츠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JP5149570B2 (ja)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353457B2 (en) Graphical access to data objects
US8701002B2 (en) Hierarchical display and navigation of document revision histories
US5537528A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scene information
US10452768B2 (en) Managing source annotation metadata
US8533593B2 (en) Hierarchical display and navigation of document revision histories
US20070185876A1 (en) Data handling system
US20040001106A1 (en) System and process for creating an interactive presentation employing multi-media components
US20120271867A1 (en) Hierarchical display and navigation of document revision histories
US200600051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ally illustrating external data sourc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visual hierarchy in an electronic workspace
JP2009123022A (ja) 文書管理装置、文書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4246879A (ja) フロー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フローデータ生成装置
EP1721265A1 (en) Data handling system
JP3478331B2 (ja) 構造表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05225185A (ja) 文書処理装置
US7313761B1 (en) Tree-style hierarchical control with graphical depiction of non-hierarchical interrelationships
JP3783301B2 (ja) 構造化データ処理装置
JPWO2017043664A1 (ja) 情報管理装置並びにファイル管理方法
JP3505138B2 (ja) 構造編集装置、映像構造編集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各手段としてコンピュータ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108649A (ja) トレース解析を支援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製品
JP7287486B2 (ja) 可視化データへの付箋の付与及び復元
JP2585311B2 (ja) プログラム作成方法
JP5113303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表示制御方法
JP3569634B2 (ja) グラフィック図表示方式および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321

Effective date: 200606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100164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321

Effective date: 2006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