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429A -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429A
KR20020025429A KR1020000057216A KR20000057216A KR20020025429A KR 20020025429 A KR20020025429 A KR 20020025429A KR 1020000057216 A KR1020000057216 A KR 1020000057216A KR 20000057216 A KR20000057216 A KR 20000057216A KR 20020025429 A KR20020025429 A KR 20020025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main shaft
winding
cold rolled
roll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룡
남광현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57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5429A/ko
Publication of KR2002002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42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2Tongs or gripp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el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의 연속소둔작업시 소둔로에서 발생되는 연속강판의 불량부를 간단하게 권취시키는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자가 초기 강판 불량부를 권취장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자동적으로 강판 불량부를 권취하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에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 메인기어판(32)과 상기 기어판(32)을 통하여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는 메인샤프트 (34)를 갖는 구동부(30) 및, 상기 메인샤프트(34)를 따라 그 외곽으로 확장 및 수축토록 다수개가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강판 불량부(10)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52)이 형성되는 권취바아(54)를 구비하여 강판 불량부(10)를 자동적으로 권취토록 하는 강판 권취부(50)로서 구성되는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APPARATUS FOR COILING BAD PORTION OF COLD ROLLED STEEL SHEET}
본 발명은 냉연강판 제조라인에서 강판의 연속소둔작업시 소둔로에서 발생되는 연속강판의 불량부를 간단하게 권취시키는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작업자가 초기 강판 불량부를 권취장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자동적으로 강판 불량부를 권취하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강판의 제조공정에는 강판의 설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소둔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소둔작업은 코일강판을 용접접합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해야 하고, 도 1에서는 이와 같은 강판의 연속소둔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릴(TENSION REEL)(110)에서 풀리는 코일강판(100)은 소둔로(120)를 거쳐 소둔작업이 수행된후, 페이오프릴(PAY OFF REEL)(130)에서 다시 코일로 권선되는데, 이와 같은 강판의 연속소둔시에는 소재자체의 결함, 설비의 작동불량(TROUBLE) 및 작업자의 라인운전불량으로 강판의 불량부가 발생되는데,예를 들어 소둔로(120)의 온도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 또는 강판의 접합을 위한 용접작업의 불량에 의한 연속강판의 파단발생등이 대표적이며, 이는 결국 소둔라인을 코일자체의 불량원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소둔라인에서 강판의 불량부는 제거하여야 하는데 특히 소둔로(130)내에서 발생된 강판의 불량부는 그 제거가 어려운 것이고, 도 2에서는 이와같은 종래의 냉연강판 불량부 제거작업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둔로(120)의 하측으로 형성된 개구부 (122)를 통하여 여러명의 작업자가 강판 불량부(100')를 강제로 당기어 소둔로 (120)내의 강판 불량부(100')를 제거하는 것이다.
결국, 종래와 같은 소둔작업시의 강판 불량부(100') 제거작업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대략 22-26 m 높이의 소둔로(120) 내 강판 불량부를 제거함으로써, 그 작업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면서 라인가동율을 저하시키고, 특히 연속 강판에 의한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그 목적은, 냉연강판의 연속소둔작업시 발생되는 강판 불량부를 간단하게 권취시면서 제거토록 하여 강판 불량부의 제거작업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동시에, 신속한 강판 불량부의 제거작업으로 수둔라인의 가동율을 향상시키어 냉연강판제조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이동식으로 제작하여 소둔로의 강판 불량부 발생지점에서 간편하게 사용토록 한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연강판 라인의 연속소둔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냉연강판 불량부의 소둔로 제거작업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권취장치에 있어서, 강판 권취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권취장치 권취부를 도시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권취장치에 있어서, 구동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의 (a)및 (b)는 본 발명인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에 따른 강판 고정 및 권취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강판불량부 권취장치10.... 강판 불량부
20.... 베이스22.... 구동휠
30.... 구동부32.... 메인기어판
34.... 메인샤프트50.... 권취부
52.... 고정홈54,54a.... 권취바아
55.... 가이드바아56.... 캡
58.... 링크 62.... 가이드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연속소둔시 발생되는 냉연강판 불량부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 메인기어판과 상기 기어판을 통하여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는 메인샤프트를 갖는 구동부 및,
상기 메인샤프트를 따라 그 외곽으로 확장 및 수축토록 다수개가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강판 불량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권취바아를 구비하여 강판 불량부를 자동적으로 권취토록 하는 강판 권취부로서 구성되는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권취장치에 있어서, 강판 권취부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권취장치 권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권취장치에 있어서, 구동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의 (a)및 (b)는 본 발명인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에 따른 강판 고정 및 권취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에서는 본 발명인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1)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1)는 크게 베이스(20)와 구동부(30) 및 권취부(50)로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구성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는 상기 베이스(2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베이스 (20)는, 그 하부 각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구동휠(22)로서 이동가능하고, 동시에 상기 베이스(20)의 전,후측에 고정볼트(24)가 장착되는 고정판(26)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20)는 이동후 위치 고정토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20)는 사각형상의 철골 구조물이고, 상기 베이스(20)의 상부 일측에는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장치(1)의 단계적인 작동을 위한 제어판(28)이 설치된다.
다음, 도 3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구동부(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동부(30)는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에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 메인기어판(32)과 상기 기어판(32)을 통하여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는 메인샤프트(3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의 메인기어판(32)은, 상기 베이스(20)상에 설치된구동모터(36)의 구동기어(36a)와 맞물리는 기어(32a)가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샤프트(34)는 상기 베이스(20)상에 전,후측에 설치된 브라켓트 (38)(40)에 베어링(38a)(40a)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샤프트(34)의 일단부에는 상기 메인기어판(32) 중앙의 개구 내주면에 형성된 작동기어(42)가 맞물리고 베이스(20)에 장착된 실린더(44)와 연결되어 전후 이동 및 회전력 전달을 가능토록 하는 스플라인(46)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샤프트(34)는 모터 및 실린더 작동시 전후 및 회전 가능토록 된다.
다음, 도 3 4,5 및 도 7에서는 상기 강판 권취부(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권취부(50)는 상기 메인샤프트(34)를 따라 그 외곽으로 확장 및 수축토록 다수개가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강판 불량부(10)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52)이 형성되는 권취바아(54)를 구비하여 강판 불량부(10)를 자동적으로 권취토록 한다.
한편, 상기 권취부(50)의 권취바아(54)는, 상기 메인샤프트(34)의 전단부 및 상기 메인샤프트(34)에 설치된 가이드바아(55)의 홈(55a)을 통하여 연결된 갭 (56a)(56b)에 링크(58) 연결되고, 상기 권취바아(54)의 후단부에는 상기 메인샤프트(34)에 장착된 호형 가이드판(62)에 다수개 형성된 가이드홈(64)에 안착되는 가이드판(66)이 설치되어 메인샤프트(34)의 구동 및 전후 이동시 수축,확장 및 회전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권취바아(54)중 적어도 하나의 권취바아(54a) 내측에는 상기 권취바아(54a)에 형성된 고정홈(52)을 통하여 삽입된 강판 불량부(10)의 단부를 견고하게 절곡 고정하는 사각 고정바아(60)가 장착되는데, 상기 고정바아(60)의 길이방향으로 각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권취바아(54a)에 형성된 고정홈(52)을 통하여 삽입된 강판 불량부(10)의 단부를 절곡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단(60a)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연강판의 연속소둔 작업시 작업자의 운전미숙, 연속 강판의 용접불량 및 기타 원인으로 인한 강판 불량부(10)가 발생하면 이를 신속하게 권취시키면서 소둔로(2)내의 강판 불량부(10)를 제거토록 한 본 발명인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12 라인으로 강판이 이송되는 소둔로(2)의 강판 불량부(2a) 배출위치까지 장치(1)를 이동시키는데, 상기 장치(1)의 베이스(20)에는 구동휠(22)이 설치되어 있어 간단하게 이동시킬수 있고, 위치를 정한후에는 베이스(20)의 전후측에 설치된 고정판(26)에 체결된 고정볼트(24)로서 베이스(20)를 고정한다.
다음, 도 3,5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소둔로(2)의 개구부(2a)에서 강판 불량부(10)를 취출한후, 하나의 권취바아(54a)에 형성된 고정홈(52)에 상기 강판 불량부(10)의 단부를 까우면, 상기 권취바아(54a)의 내측으로 삽입된 사각 고정바아(60)의 고정단(60a)으로서 강판 불량부(10)의 단부가 권취바아(54a)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도 3,4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0)상에 설치된 제어판(28)을 통하여 구동모터(36)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36)의 구동기어 (36a)는 메인기어판(32)의 외주면 기어(32a)를 구동시키어 메인기어판(32)을 구동시키고, 결국 상기 메인기어판(32)의 중앙 개구 내주면에 형성된 작동기어(42)는 상기 베이스(20)상에 설치된 브라켓트(38)(40)에 베어링(38a)(40a)을 통하여 메인샤프트(34)의 스플라인(46)과 맞물리어 있어, 상기 구동모터(36)의 구동시 상기 메인샤프트(34)가 일체로 구동하고, 이는 상기 메인샤프트(34)에 연결된 4개의 권취바아(54)(54a)를 구동시키어 강판 불량부(10)가 권취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메인샤프트(34)의 후방으로 로터리 조인트를 개재하여 연결된 유압실린더(44)가 작동함에 따라 즉, 실린더(44)가 전진하면 상기 메인샤프트(34)의 단부 및 중앙에 설치된 가이드바아(55)의 홈(55a)을 통한 캡(56a)(56b)에 링크(58) 연결된 상기 권취바아(54)(54a)는 확장되고, 반대로 실린더(44)가 후진하면 상기 권취바아들은 수축된다.
따라서, 초기에는 실린더(44)를 전진시키어 권취바아(54)(54a)들을 약간 수축시킨 상태에서 강판 불량부(10)의 초기 권취작업을 수행하고 어느정도 강판 불량부(10)가 권취되면 상기 실린더(44)를 후진 작동시키어 확장되는 권취바아 (54)(54a)는 강판 불량부(10)의 내경부를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여 계속적인 강판 권취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강판 불량부(10)의 권취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실린더(44)를 전진시키어 권취된 강판 불량부 코일을 용이하게 장치(1)로 부터 취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샤프트(34)에는 호형의 가이드판(62)이 설치되어 있어 일측면에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홈(64)에는 상기 권취바아(54)(54a)의 후방으로 나사 결합된 가이드판(66)이 삽입되어 상기 권취바아(54)(54a)의 수축 및 확장시 보다 안정적으로 흔들림없이 수행토록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36)와 실린더(44)의 작동은 사전에 설정된 제어판(28)의 프로그램(PLC)로서 밸도의 작업자없이 단계적으로 수행되는데, 예를 들어 권취작업기 초기 강판 불량부(10)의 권취바아(54a)후에는 저속으로 메인샤프트(34)를 회전 구동시키고 어느정도 권취작업이 수행되면 고속으로 강판 불량부(10)의 권취작업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프트(34)는 회전 및 전후진 작동을 수행하므로 메인기어판(32)의 내주면 작동기어(42)와 맞물리는 부분인 스플라인(46)은 일정길이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그 길이는 권취바아(54)(54a)의 수축 및 확장에 따른 실린더(44)의 스트로트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종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강판 불량부를 소둔로(2)에서 부터 당겨서 제거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인 장치(1)는 원하는 위치에서 보다 신속하게 강판 불량부(10)를 권취 추출토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권취된 강판 불량부(10)의 처리작업도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에 의하면, 냉연강판의 연속소둔작업시 발생되는 강판 불량부를 간단하게 권취시면서 제거토록 하여 강판 불량부의 제거 작업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동시에, 신속한 강판 불량부의 제거작업으로 수둔라인의 가동율을 향상시키어 냉연강판제조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이동식으로 제작하여 소둔로의 강판 불량부 발생지점에서 간편하게 사용토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연속소둔시 발생되는 냉연강판 불량부(10)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에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 메인기어판(32)과 상기 기어판(32)을 통하여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는 메인샤프트(34)를 갖는 구동부(30); 및,
    상기 메인샤프트(34)를 따라 그 외곽으로 확장 및 수축토록 다수개가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강판 불량부(10)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52)이 형성되는 권취바아(54)를 구비하여 강판 불량부(10)를 자동적으로 권취토록 하는 강판 권취부(5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의 메인기어판(32)은, 상기 베이스(20)상에 설치된 구동모터(36)의 구동기어(36a)와 맞물리는 기어(32a)가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샤프트(34)는 상기 베이스(20)상에 전,후측에 설치된 브라켓트 (38)(40)에 베어링(38a)(40a)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34)의 일단부에는 상기 메인기어판(32) 중앙의 개구 내주면에 형성된 작동기어(42)가 맞물리고 베이스 (20)에장착된 실린더(44)와 연결되어 전후 이동 및 회전력 전달을 가능토록 하는 스플라인(46)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샤프트(34)는 모터 및 실린더 작동시 전후 및 회전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50)의 권취바아(54)는, 상기 메인샤프트(34)의 전단부 및 상기 메인샤프트(34)에 설치된 가이드바아(55)의 홈(55a)을 통하여 연결된 갭(56a)(56b)에 링크(58) 연결되고, 상기 권취바아(54)의 후단부에는 상기 메인샤프트(34)에 장착된 호형 가이드판(62)에 다수개 형성된 가이드홈(64)에 안착되는 가이드판(66)이 설치되어 메인샤프트(34)의 구동 및 전후 이동시 수축,확장 및 회전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바아(54)중 적어도 하나의 권취바아(54a) 내측에는 상기 권취바아(54a)에 형성된 고정홈(52)을 통하여 삽입된 강판 불량부(10)의 단부를 견고하게 절곡 고정하는 사각 고정바아(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KR1020000057216A 2000-09-29 2000-09-29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KR20020025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216A KR20020025429A (ko) 2000-09-29 2000-09-29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216A KR20020025429A (ko) 2000-09-29 2000-09-29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429A true KR20020025429A (ko) 2002-04-04

Family

ID=1969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216A KR20020025429A (ko) 2000-09-29 2000-09-29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542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96B1 (ko) * 2002-05-29 2008-08-0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제품의 내권부 풀림 방지장치
KR100870764B1 (ko) * 2002-08-29 2008-11-26 주식회사 포스코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
KR100931656B1 (ko) * 2002-12-18 2009-12-1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내경부의 판 처짐 복원장치
KR101008151B1 (ko) * 2003-12-26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집적기의 코일 정리장치
CN108516424A (zh) * 2018-06-04 2018-09-11 博尔塔拉蒙古自治州飒博尔农业科技有限公司 滴灌带回收组件及滴灌带回收装置
CN109704136A (zh) * 2019-02-22 2019-05-03 博尔塔拉蒙古自治州飒博尔农业科技有限公司 收卷组件锁定装置、收卷装置及滴灌带回收装置
CN114803718A (zh) * 2022-04-13 2022-07-29 安徽金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线缆生产用盘线装置
CN117228390A (zh) * 2023-11-13 2023-12-15 济南中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涂布机收卷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96B1 (ko) * 2002-05-29 2008-08-0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제품의 내권부 풀림 방지장치
KR100870764B1 (ko) * 2002-08-29 2008-11-26 주식회사 포스코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
KR100931656B1 (ko) * 2002-12-18 2009-12-1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내경부의 판 처짐 복원장치
KR101008151B1 (ko) * 2003-12-26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집적기의 코일 정리장치
CN108516424A (zh) * 2018-06-04 2018-09-11 博尔塔拉蒙古自治州飒博尔农业科技有限公司 滴灌带回收组件及滴灌带回收装置
CN108516424B (zh) * 2018-06-04 2024-04-12 新疆飒博尔农业科技有限公司 滴灌带回收组件及滴灌带回收装置
CN109704136A (zh) * 2019-02-22 2019-05-03 博尔塔拉蒙古自治州飒博尔农业科技有限公司 收卷组件锁定装置、收卷装置及滴灌带回收装置
CN109704136B (zh) * 2019-02-22 2024-04-12 新疆飒博尔农业科技有限公司 收卷组件锁定装置、收卷装置及滴灌带回收装置
CN114803718A (zh) * 2022-04-13 2022-07-29 安徽金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线缆生产用盘线装置
CN117228390A (zh) * 2023-11-13 2023-12-15 济南中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涂布机收卷装置
CN117228390B (zh) * 2023-11-13 2024-01-16 济南中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涂布机收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5429A (ko)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KR200216112Y1 (ko) 코일내경부의 처진강판 교정장치
JP2000352447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用プーリベルト組付装置
CN211283021U (zh) 一种钢踏板加工用带钢开卷机构
KR200174706Y1 (ko)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
KR100509620B1 (ko) 앤드마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권취용 텐션릴 장치
KR960015727B1 (ko) 열연코일의 텔레스코프(Telescope) 교정방법 및 교정장치
KR100423426B1 (ko)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KR20000013988U (ko) 컨베이어 시스템의 더스트 커버장치
CN210709844U (zh) 一种新型钢带角料收卷机
KR200194331Y1 (ko) 코일 파편 제거장치
JPH03281001A (ja) リバース式冷間圧延設備
KR100802042B1 (ko) 러버 슬리브 회전 및 인입 고정장치
KR100721861B1 (ko) 환도 통과 스트립 유도장치
KR20030021626A (ko) 강판코일의 내, 외부 권취불량부 교정장치
KR20040089372A (ko) 열연코일 교정장치
JP2000167620A (ja) 電縫溶接管のサイジングスタンド
KR200180050Y1 (ko) 스트립 권취기의 에이프론 가이드장치
CN221026763U (zh) 一种多工位收卷机
CN211275940U (zh) 一种钢材加工用冷轧处理钢材卷取机
RU2193934C2 (ru) Хвостовая часть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CN219859684U (zh) 一种料带收卷装置
KR200196321Y1 (ko) 스트립 인출장치
JPH089095Y2 (ja) 温室用ビニ−ル布の巻取装置
KR100805061B1 (ko) 브라이들롤 강판 패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