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706Y1 -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706Y1
KR200174706Y1 KR2019950019761U KR19950019761U KR200174706Y1 KR 200174706 Y1 KR200174706 Y1 KR 200174706Y1 KR 2019950019761 U KR2019950019761 U KR 2019950019761U KR 19950019761 U KR19950019761 U KR 19950019761U KR 200174706 Y1 KR200174706 Y1 KR 200174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eel
magnet
cylind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420U (ko
Inventor
남광현
김순룡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19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706Y1/ko
Publication of KR970004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마그네트 릴 및 로터리 실린더 형식의 실린더 유니트에 의하여 불량코일이 자동으로 감겨져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제품으로서의 효용가치가 없는 소재의 불량부를 자동으로 제거해 주어, 생산원가의 손실을 방지하고 불량부 처리시간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요인을 해소한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202)에 설치된 상하구동 실린더(204)에 의하여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코일 절단장치(200)와, 이 코일 절단장치(200)의 전방에 설치된 마그네트 벨트 컨베이어(300)로 구성된 불량 냉연코일의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벨트 컨베이어(300)의 선단부에 게이트 축(30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게이트 지지대(310)에 설치되는 게이트(320)와, 이 게이트(320)는 게이트 실린더(304)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베어링 블록(12)에 의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이 베어링 블록(12)과의 사이에 코일을 유도 인입하기 위한 디프렉터 롤(10)과, 양측 지지대(21)의 작동홈부(22) 내에 설치된 실린더(24)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코일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한 쌍의 핀치롤 유니트(20)와, 상하운동 및 정회전이 가능하고 역회전 불능의 스너버 롤(30)과, 이 스너버 롤(30)은 이 스너버 롤(30)을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32) 및 이 지지대 (32)를 동작시키기 위한 실린더(34)로 구성되며, 모터(42)와 이 모터(42)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44)와 왕복운동이 가능한 가변릴(46)과 로터리 조인트(48)로 구성되는 실린더 유니트(40)와, 불량코일(M2)을 감기 위하여 지지대(102)에 의하여 지지되고 릴이 자석화되는 마그네트 릴(50)과, 상기 실린더 유니트(40)의 축심과 마그네트 릴(50)의 축심은 동심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트 릴(50)에 접촉 및 비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젝트 홀더(60)와, 상기 마그네트 릴(50)의 하부에 설치되고 파워트랙(70)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랩 컨베이어(72)와, 상기 디프렉터 롤(10)과 핀치롤 유니트(20) 사이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설치된 연속테이블(8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소문과정에서 제품으로서의 효용가치가 없는 소재의 불량부를 자동으로 제거해 주어, 생산원가의 손실을 방지하고 불량부 처리시간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요인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마그네트 릴 및 리젝트 홀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프렉터 롤 12 : 베어링 블록
20 : 핀치롤 유니트 22 : 작동홈부
30 : 스너버 롤 40 : 실린더 유니트
42 : 모터 44 : 감속기
46 : 가변릴 48 : 로터리 조인트
60 : 리젝트 홀더 70 : 파워트랙
72 : 스크랩 컨베이어 80 : 연속테이블
10 : 베이스 프레임 200 : 코일 절단장치
202 : 베이스 300 : 마그네트 벨트 컨베이어
302 : 게이트 축 304 : 게이트 실린더
310 : 게이트 지지대 21, 32, 102 : 지지대
24, 32, 204 : 실린더 M1 : 불량코일
M2 : 정상코일
본 고안은 불량 내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그네트 릴 및 로터리 실린더 형식의 실린더 유니트에 의하여 불량코일이 자동으로 감겨져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제품으로서의 효용가치가 없는 소재의 불량부를 자동으로 제거해 주어, 생산원가의 손실을 방지하고 불량부 처리시간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요인을 해소한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제품(cold coil)이란 열간 압연된 코일을 소재로 하여 상온 상태에서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서 원하는 폭 및 두께로 재조하는 제품을 말한다.
또, 냉간가공(cole working)이란 금속의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행하는 소성가공을 말하며, 이 냉간가공을 하면 재결정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재료를 가공하면 단단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상기 냉간압연된 제품은 냉간압연시에 발생되는 조직의 파괴, 내부응력의 증가, 가공경화 등에 의하여 제품의 질이 저하되므로 실용화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냉간압연된 코일을 소재로 하여 일정한 열처리 과정(소둔 : annealing)을 통하여 제품의 질을 높이고 있다.
상기 소둔과정에서, 제품으로서의 효용가치가 없는 소재의 불량부를 자동으로 제거해 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종래 이러한 제거장치는 없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생산원가의 막대한 손실이 계속되고 있다.
2. 불량부 처리시간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내연코일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불량부를 자동으로 제거해주므로써 원가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불량 냉열코일이 자동 제거장치에 의하면, 베이스에 설치된 상하구동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코일 절단장치와, 이 코일 절단장치의 전방에 성치된 마그네트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된 불량 냉연코일의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벨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게이트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게이트 지지대에 설치되는 게이트와, 이 게이트는 게이트 실린더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베어링 블록에 의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이 베어링 블록과의 사이에 코일을 유도 인입하기 위한 디프렉터 롤과 , 양측 지지대의 작동홈부 내에 설치된 실린더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코일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한 쌍의 핀치롤 유니트와, 상하운동 및 정회전이 가능하고 역회전 불능의 스너버 롤과, 이 스너버 롤은 이 스너버 롤을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 및 이 지지대를 동작시키기 위한 실린더로 구성되며, 모터와 이 모터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와 왕복운동이 가능한 가변릴과 로터리 조인트로 구성되는 실린더 유니트와, 불량코일을 감기 위하여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고 릴이 자석화되는 마그네트 릴과, 상기 실린더 유니트의 축심과 마그네트 릴의 축심은 동심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트 릴에 접촉 및 비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젝트 홀더와, 상기 마그네트 릴의 하부에 설치되고 파워트랙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랩 컨베이어와, 상기 디프렉터 롤과 핀치롤 유니트 사이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설치된 연속테이블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소둔과정에서 제품으로서의 효용가치가 없는 소재의 불량부를 자동으로 제거해 주어, 생산원가의 손실을 방지하고 불량부 처리시간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요인을 해소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장치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은 제품의 불량부의 선단부를 인입 유도하는 디프렉터 콜(deflector roll), 20은 불량코일에 장력을 부여하는 핀치를 유니트, 30은 감겨진 냉연코일의 풀립 방지하기 위한 스너버 롤(sunbber roll), 40은 마그네트 릴(50)을 전후왕복운동하기 위한 실린더 유니트 60은 권치가 완료된 불량코일을 상기 그네트 릴(5)에서 제거해 주기 위한 리젝트 홀더(reject holder), 70은 스크립 컨베이어(scrap conveyor)(72)를 구동하기 위한 파워트랙(power track)이다.
상기 디프렉터 롤(10), 핀치롤 유니트(20) 및 마그네트 릴(50)의 구동측에는 구동모터가 연결설치됨은 당연하다. 부호 100은 상기 각 부품들을 유지 고정하는 H 빔 구조물인 베이스 프레임이다.
상기 디프렉터 롤(10)은 베어링 블록(12)에 의하여 설치되며 이 베어링 블록(12)과의 사이에 코일을 유도 인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핀치롤 유니트(20)는 양측 지지대(21)의 작동홈부(22) 내에 설치된 실린더(24)의 상하운도에 의하여 코일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너버 롤(33) 유압이나 전동기의 구성에 의하여 상하운동 및 회전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유니트(40)는 자체회전이 가능한 로터리 실린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32는 상기 스너버 롤(30)을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 설치된 지지대, 34는 이 지지대(32)를 동작시키기 위한 실린더이다.
제2도에서 부호 200은 코일 절단장치이며, 베이스(202)에 설치된 상하구동실린더(204)에 의하여 상하운동한다.
상기 디프렉터 롤(10)와 핀치롤 유니트(20) 사이에는 소정의 경사각도로 연속테이블(thereading table)(80)이 무한궤도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 절단장치(200) 전방에는 마그네트 벨트 컨베이어(3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 벨트 컨베이어(300)의 선단부에는 게이트 축(30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게이트 지지대(310)에 게이트(320)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304는 상기 게이트(320)를 동작시키기 위한 게이트 실린더이다.
제3도에는 마그네트 릴(50) 및 리젝트 홀더(6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마그네트 릴(50)은 불량코일(M2)을 최초로 권취하고자 할 때에 원활하게 감기기 위하여 전자석화되어 있고, 이 마그네트 릴(50)에 리젝트 홀더(60)가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마그네트 릴(50), 실린더 유니트(40) 및 리젝트 홀더(60)의 하부에는 파워트랙(70)이 설치되어 있는 데, 이것은 상기 마그네트 릴(50)로부터 분리되는 불량코일(M2)을 재처리하기 위하여 소정의 재처리장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무한궤도)이다.
상기 마그네트 릴(50)의 동력단에는 로터리 실린더 형식의 상기 실린더 유니트(40)가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42)와 이 모터(42)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44)와 왕복운동이 가능한 가변릴(46)과 로터리 조이트(48)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 왕복운동을 함과 동시에 회전가능하다. 제3도에서 부호 102는 상기 마그네트 릴(5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이다. 로터리 실린더(rotary cylinder)란 유압의 공급측 및 배출측 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로터리 조인트로 설계되며, 실린더 선단부의 릴(reel)과 함께 실린더 본체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현재 냉연 또는 열연설비의 대부분이 로터리 실린더가 장착된 릴(확장 및 축소장치)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 유압실린더와 다른 점은 실린더 전체가 회전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정상코일(M1)은 상기 마그네트 벨트 컨베이어(300)상에 안착되어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간다. 이것은 게이트 축(30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게이트 지지대(310)에 설치된 게이트(320)가 게이트 실린더(304)에 의하여 하향하므로써 가능하다.
여기에서, 불량코일(M2)이 발생하면 게이트 실린더(304)에 의하여 상기 게이트(302)가 상향작동하여 오픈 상태로 바뀌어 불량코일(M2)이 소정의 장치로 인입하도록 된다. 즉, 상기 게이트(302)에 의하여 불량코일(M2)은 연속 테이블(80)상으로 유도되고 상기 한 쌍의 핀치롤 유니트(20)의 실린더(24)의 상하운동 및 핀치롤의 회전에 의하여 불량코일(M2)에 장력을 부여하면서 진행한다. 즉, 핀치롤 유니트(20)를 통과한 것을 검지한 도시하지 않은 검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실린더(24)가 상승하여 핀치롤 유니트(20)에 있는 불량코일(M2)을 압착하고 이 핀치롤 유니트(20)의 구동측(drive side)에 설치된 구동모터가 회전하여 핀치롤 유니트(20)를 회전시키므로서 상기 불량코일(M2)에 장력(tension)을 부여한다.
상기 불량코일(M2)에 장력이 부여되는 타임, 즉 장력이 온(on) 되는 것을 검지한 것과 동시에 상기 스너버 롤(30)은 실린더(34)에 의하여 하강하고 자석화된 상기 마그네트 릴(50)로 인입하는 불량코일(M2)은 감겨지기 시작한다.
이 때 감겨지는 속도는 약 30MPM이고 운전자에 의해 불량코일(M2)의 권취완료 시점이 판단되어 완료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코일 절단장치(200)가 불량코일(M2)을 절단한다.
나머지 길이의 불량코일(M2)이 상기 마그네트 릴(50) 상에 감겨지므로써 불량코일(M2)의 권취는 완료된다.
이 권취완료 신호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유니트(40)의 모터(42) 및 이 모터(42)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44)의 회전은 정지하고 왕복운동이 가능한 가변릴(46)이 줄어 든다.
이 때, 상기 가변릴(46)의 축소(collapse)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트 릴(50) 상에 감겨진 불량코일(M2)의 일측부가 상기 리젝트 홀더(60)의 일측에 맞닿아 상기 가변릴(46)과 함께 실린더 유니트(40) 측으로 쏠리지 않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가변릴(46)과 함께 실린더 유니트(40) 측으로 쏠리지 않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가변릴(46)이 작동하여 길이가 줄어 들고 축소완료 신호에 의하여 상기 리젝트 홀더(60)가 이 리젝트 홀더(60) 구동용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마그네트 릴(50)에 소프트하게 접촉한다.
상기 접촉신호(touch signal)에 의하여 실린더 유니트(40)는 후퇴하고(reverse) 이에따라 상기 마그네트 릴(50)도 후퇴할 때에 상기 불량코일(M2)의 선단부가 상기 리젝트 홀더(60) 측면에 맞닿아 걸리게 된다.
이어서 상기 마그네트 릴(50)이 상기 불량코일(M2)에서 완전히 빠져 나오면 상기 불량코일(M2)은 아무런 지지부품이 없기 때문에 하부에 설치된 스크랩 컨베이어(72) 사으로 낙하하고 소정의 재처리장으로 이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에 의하면, 게이트에 의하여 코일의 진행방향이 바뀌고 핀치롤 유니트 마그네트 릴 로터리 실린더 형식의 실린더 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트 릴에 감겨지기 시작한 후, 코일 절단장치에 의하여 불량코일이 절단되고 리젝트 홀더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트 릴에 권취된 불량코일을 스크렙 컨베이어 상으로 낙하시키는 구조 및 방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둔과정에서, 제품으로서의 효용가치가 없는 소재의 불량부를 자동으로 제거해 주어, 생산원가의 손실을 방지하고 불량부 처리시간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요인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구조적인 상세한 내용 및 그로부터 얻어지는 다기능 잇점을 포함한 본 고안의 원리를 나타내었다. 본 고안의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를 소둔과정의 불량부 제거장치에 사용하는 것은ㅌ,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며, 청구범위에서 주요 구성 요소에 병기한 참조부호는 청구범위의 기술권리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

  1. 베이스(202)에 설치된 상하구동 실린더(204)에 의하여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코일 절단장치(200)와, 이 코일 절단장치(200)의 전방에 설치된 마그네트 벨트 컨베이어(300)로 구성된 불량 냉연코일의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벨트 컨베이어(300)의 선단부에 게이트 축(30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게이트 지지대(310)에 설치되는 게이트(302)와, 이 게이트(320)는 게이트 실린더(304)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베어링 블록(12)에 의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이 베어링 블록(12)과의 사이에 코일을 유도 인입하기 위한 디프렉터 롤(10)과, 양측 지지대(21)의 작동홈부(22) 내에 설치된 실린더(24)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코일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한 쌍의 핀치롤 유니트(20)와, 상하운동 및 정회전이 가능하고 역회전 불능의 스너버 롤(30)과, 이 스너버 롤(30)은 이 스너버 롤(30)을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32) 및 이 지지대(32)를 동작시키기 위한 실린더(34)로 구성되며, 모터(42)와 이 모터(42)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44)와 왕복운동이 가능한 가변릴(46)과 로터리 조인트(48)로 구성되는 실린더 유니트(40)와, 불량코일(M2)을 감기 위하여 지지대(102)에 의하여 지지되고 릴이 자속화되는 마그네트 릴(50)과, 상기 실린더 유니트(40)의 축심과 마그네트 릴(50)의 축심은 동심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트 릴(50)에 접촉 및 비접촉 가느하게 설치되는 리젝트 홀더(60)와, 상기 마그네트 릴(50)의 하부에 설치되고 파워트랙(70)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랩 컨베이어(72)와, 상기 디플렉터 롤(10)과 핀치롤 유니트(20) 사이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설치된 연속테이블(8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어장치.
KR2019950019761U 1995-07-31 1995-07-31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 KR200174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761U KR200174706Y1 (ko) 1995-07-31 1995-07-31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761U KR200174706Y1 (ko) 1995-07-31 1995-07-31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420U KR970004420U (ko) 1997-02-19
KR200174706Y1 true KR200174706Y1 (ko) 2000-04-01

Family

ID=1941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761U KR200174706Y1 (ko) 1995-07-31 1995-07-31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70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578B1 (ko) * 2001-10-31 2005-09-20 주식회사 포스코 업 커트 쉬어에서의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KR100721867B1 (ko) * 2001-07-20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박물열연코일 선단부의 불량부 제거 장치
KR100779711B1 (ko) * 2001-07-27 2007-11-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KR100797254B1 (ko) * 2001-08-02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CN114589214A (zh) * 2022-02-28 2022-06-07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下夹送辊缠辊处理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677A (ko) * 2001-05-29 2002-12-05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생산공정의 샘플과 스크랩 절단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67B1 (ko) * 2001-07-20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박물열연코일 선단부의 불량부 제거 장치
KR100779711B1 (ko) * 2001-07-27 2007-11-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KR100797254B1 (ko) * 2001-08-02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KR100515578B1 (ko) * 2001-10-31 2005-09-20 주식회사 포스코 업 커트 쉬어에서의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CN114589214A (zh) * 2022-02-28 2022-06-07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下夹送辊缠辊处理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420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4706Y1 (ko)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
CA1141287A (en) Strip severing apparatus
CN110385355A (zh) 热轧带钢取样方法及取样线
JPH0124704B2 (ko)
KR101530786B1 (ko) 코일 누름장치
KR100408658B1 (ko) 스트립 에지의 나이프 버 제거장치
JP3052505B2 (ja) ドラム式走間剪断機
KR20030053742A (ko)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0885205B1 (ko) 용접기
KR20040031143A (ko) 스트립 에지 스크랩 권취장치
JPH09295251A (ja) 切削倣い装置
KR200301067Y1 (ko) 코일밴드 절단장치
US5860345A (en) Transversely movable thread sled
CN219906266U (zh) 一种热处理钢带修边设备收放卷装置
JPH0645094B2 (ja) 鋼管の切断装置
KR20040090214A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롤 크리닝 장치
JP4603180B2 (ja) 圧延方法
JPH09174285A (ja) パイプ切断装置
KR20010045003A (ko) 텐션릴 슬리브 인입장치
KR200286766Y1 (ko)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_
JPH07156099A (ja) 紙管切断機
KR100815791B1 (ko) 코일의 내경 불량부 절단장치
KR101125813B1 (ko) 런아웃테이블의 불량테일 스트립 절단장치
JPS59174218A (ja) コイル外周端部切断装置
JPH05131302A (ja) 鋳塊表面切削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