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766Y1 -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_ - Google Patents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766Y1
KR200286766Y1 KR2019980024930U KR19980024930U KR200286766Y1 KR 200286766 Y1 KR200286766 Y1 KR 200286766Y1 KR 2019980024930 U KR2019980024930 U KR 2019980024930U KR 19980024930 U KR19980024930 U KR 19980024930U KR 200286766 Y1 KR200286766 Y1 KR 200286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crew fixing
trimming
moving body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060U (ko
Inventor
이재정
황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24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76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766Y1/ko

Links

Landscapes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연 및 전기강판 코일의 되감기(recoiling) 라인에서 고온 소둔이나 크레인 등의 사용으로 발생된 코일 표면 가장자리부의 결함부분을 전단하거나 2,3차 가공을 위해 양 사이드부의 트리밍시 기존의 센터 포지션 콘트롤외에 에지 포지션 콘트롤 기능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류 모터(100)의 회전축(102)에 연결되어 있는 제 2감속기(110)와, 상기 제 2감속기(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1쌍의 스크류 고정블록(120)(120')과, 외면에 C.P.C 유닛(14)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 고정 블록(120)(1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이동 몸체(130)와, 상기 좌우 이동 몸체(130)와 스크류 고정 블록(120)(120')을 관통하는 스크류 축(140) 및 스플라인(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여 기존의 센터 포지션 콘트롤 기능에 에지 포지션 콘트롤 기능이 부가되어 스트립의 에지를 감지하여 스트립의 양 에지부가 서로 그 폭을 달리하여도 그 결함부위만큼 트리밍하여 스크랩처리함에 따라 사이드 트리밍시 발생되는 스크랩량을 최소화하여 스트립의 생산 단가를 줄이고 제품 실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
본 고안은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연 및 전기강판 코일의 되감기(recoiling) 라인에서 고온 소둔이나 크레인 등의 사용으로 발생된 코일 표면 가장자리부의 결함부분을 전단하거나 2,3차 가공을 위해 양 사이드부의 트리밍시 기존의 센터 포지션 콘트롤외에 에지 포지션 콘트롤 기능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강판 코일의 되감기 라인은 제품의 최종 공정 라인으로서, 센터 포지션 콘트롤(Center Position Control;C.P.C)은 스트립이 라인 센터 위치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실린더에 의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사이드 트리머(Side Trimmer) 선단부에서 제품 에지부를 셋팅하는 트리머 나이프(knife) 가동 범위내에서 운전 가능케 되며, 트리밍후의 제품 권취면을 콘트롤하게 된다.
전기강판 방향성 코일의 생산 폭은 990㎜∼998㎜이나 전 공정의 결함도에 따라 850㎜에서 880, 914, 950㎜의 폭으로 생산하고 있다.
종래에는 990㎜의 결함 코일을 950㎜의 폭으로 트리밍하기 위해서 워크 사이드(work side;작업자 반경)와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모터 구동 반경)로 각 20㎜씩 전단하면 결함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서 914㎜로만 생산해 왔다.
즉, 결함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워크, 드라이브 사이드측 각 37㎜를 트리밍 할 경우, 990-74=914㎜로 생산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되감기 라인에서의 사이드 트리밍 작업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되감기 라인에서의 사이드 트리밍 설비 개략 레이 아웃도로서, 진행중인 스트립(10)을 권취하는 디코일러(Decoiler)(12) 후방에 C.P.C 유닛(14)이 설치되어 있고, 권취면을 콘트롤하고 풀어 주는 리코일러(Recoiler)(16) 후부에서 사이드 트리머(1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C.P.C 유닛(14)은 베이스(14a)에 리시브 센서(receive sensor)(14b)와 센드 센서(send sensor)(14c)가 롤러(14d)와 벨트 풀리(14e) 및 고정판(14f)을 통하여 타임 벨트(14g)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벨트 풀리(14e) 타측부에는 센서 모터(14h)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C.P.C 유닛(14)은 스트립(10)의 위치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제어반의 제어에 의해 센서 모터(14h)가 정,역구동하면서 상기 타임 벨트(14g)에 부착된 양 센서(14b)(14c)를 이동시켜서 스트립(10)의 에지(edge) 위치를 감지하여 디코일러(12)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실린더(22) 및 리코일러(16)를 동작시켜서 진행중인 스트립(10)의 위치를 라인 센터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이러한 종래의 사이드 트리밍 작업과정에 있어서는 상기 디코일러(12) 후방에 설치된 사이드 트리머(18)가 스트립(10)의 좌우 양측 스크랩양을 조절하지 않고 단지 스트립(10)이 라인 센터 방향을 따라 진행되도록 하고 있다.
생산 공정을 거치는 동안 고온(약 1,210℃)에서 장시간 직립 형태로서 안착 소둔되는 코일은 그 자체 하중에 의하여 하부가 찌그러지거나 에지부에 손상이 발생되고, 코일의 권취 불량시 크랙이 과다 발생된다.
이러한 결함을 후공정에서 사이드 트리머(18)를 통하여 스크랩하게 되며, 기 설치되어 있는 C.P.C 유닛(14)은 단지 스트립(10)을 라인 센터에 맞도록 콘트롤하는 기능만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C.P.C 유닛(14)으로 사이드 트리머(18) 폭을 셋팅하면 워크 및 드라이브 사이드 측의 편차를 조절할 수 없게 되어 결함이 많은 쪽(드라이브 사이드 측)의 트리밍 양만큼 상대적으로 양호한 반대쪽(워크 사이드 측)도 같은 폭만큼 트리밍(도 1의 A, A'부)하여 스크랩시키게 된다.
즉, 기존의 C.P.C 유닛(14)은 스트립(10)의 좌우폭 에지를 동일한 폭으로 트리밍하도록 하는 기능밖에 수행하지 못하므로 좌우의 스크랩 량을 조절할 수 없어서, 사이드 트리머(18)가 결함 반대쪽의 양호한 부분까지 동일폭으로 스크랩시켜서 톤당 생산 단가가 올라가고 실수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는 하부 베이스, 21은 지지부, 24는 감속기, 26은 엔트리(ENTRY) CPC, 28은 드럼 쉐어(DRUM SHEAR), 30은 웰더(WELDER), 32는 노처(notcher), 34는 조작 스위치, 36은 엑시트 쉐어(EXIT SHEAR), 38은 브레이크 롤(BRAKE ROLL)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트립의 좌우 다른 폭을 갖는 에지를 그 폭만큼 트리밍하여 생산 단가를 줄이고 실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되감기 라인에서의 사이드 트리밍 작업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되감기 라인에서의 사이드 트리밍 설비 개략 레이 아웃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트립, 12 : 디코일러,
14 : C.P.C, 16 : 리코일러,
18 : 사이드 트리머, 100 : 교류 모터,
110 : 제 2감속기, 120,120' : 스크류 고정 블록,
130 : 좌우 이동 몸체, 140 : 스크류 축,
150 : 스플라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류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 2감속기와, 상기 제 2감속기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1쌍의 스크류 고정블록과, 외면에 C.P.C 유닛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 고정 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이동 몸체와, 상기 좌우 이동 몸체와 스크류 고정 블록을 관통하는 스크류 축 및 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에서 종래 기술내용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는 교류 모터(100)의 회전축(102)에 연결되어 있는 제 2감속기(110)와, 상기 제 2감속기(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1쌍의 스크류 고정블록(120)(120')과, 외면에 C.P.C 유닛(14)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 고정 블록(120)(1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이동 몸체(130)와, 상기 좌우 이동 몸체(130)와 스크류 고정 블록(120)(120')을 관통하는 스크류 축(140) 및 스플라인(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류 모터(100)의 회전축(102)은 제 2감속기(110)의 구동축(미도시)과 연결되어 있고, 반 부하측 외면에는 수동 핸들(104)이 장착되어 있으며, 하부의 지지판(106)은 지지부(21) 상면에 고착된 베이스(160)에 볼트고정되어 있다.
상기 좌우 이동 몸체(130)의 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전술한 C.P.C 유닛(14)의 베이스가 볼트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감속기(110)와 소정 거리 이격설치된 스크류 고정 블록(120)(120')은 각각 베이스(160)에 볼트고정되어 있고, 상기 좌우 이동 몸체(130)는 상기 스크류 고정블록(120)(120') 사이에서 베이스(160)의 상면과 접촉되어 좌우 미끄럼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 축(140)은 좌우 이동 몸체(130)의 스크류 홀(130a)과 일측 스크류 고정 블록(120)을 관통하여 상기 제 2감속기(110)의 구동축과 커플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플라인(spline)(150) 또한 좌우 이동 몸체(130)를 관통하여 그 양단이 스크류 고정 블록(120)(12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행중인 스트립(10)의 위치가 라인 센터로 유지된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모터(100)를 정,역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교류 모터(100)에 제 2감속기(110)를 통하여 연결된 스크류 축(140)이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 축(140)에 결합된 좌우 이동 몸체(130)가 베이스(160)의 상면과 미끄럼 접촉하면서 스크류 고정 블록(120)(120') 사이에서 좌우 이동한다.
이때, 상기 좌우 이동 몸체(130)의 측면에는 C.P.C 유닛(14)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C.P.C 유닛(14) 또한 좌우 이동 몸체(130)와 같이 이동한다.
상기 C.P.C 유닛(14)은 스트립(10)이 라인 센터 유지 상태에서 벗어나 드라이브 사이드측으로 이동되어 도 4의 C부위 폭만큼의 에지부가 발생되었을 경우, 제어반의 제어에 의해 센서 모터(14h)가 정,역구동하면서 양 센서(14b)(14c)를 이동시켜서 스트립(10)의 에지 위치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에 의해 작업자는 유압실린더(22) 및 디코일러(12)를 작동시켜서 진행중인 스트립(10)의 위치를 드라이브 사이드 측으로 이동시킨 후, 사이드 트리머(18)의 트리밍 폭을 C부위 폭만큼 셋팅하여 트리밍하고, 상대적으로 에지가 적은 쪽(워크 사이드측)은 트리밍 양을 적게 할 수 있다.(도 4의 D,E부 참조)
즉, 디코일러(12)를 통해 스트립(10)을 이동시켜서 좌우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에지를 그 형성폭만큼 트리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990㎜의 결함 코일을 950㎜의 폭으로 트리밍하기 위해서 워크 사이드와 드라이브 사이드로 각 20㎜씩 일률적으로 전단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부위까지 스크랩처리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양호한 부위의 스크랩 처리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스트립(10)의 생산 단가를 줄이고 제품 실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플라인(150)은 그 양단이 상기 스크류 고정 블록(120)(1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좌우 이동 몸체(130)가 스플라인(150)의 외면을 타고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좌우 이동 몸체(13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고, 상기 수동 핸들(104)은 필요시(교류 모터의 고장등)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를 수동 조작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센터 포지션 콘트롤 기능에 에지 포지션 콘트롤 기능이 부가되어 스트립의 에지를 감지하여 스트립의 양 에지부가 서로 그 폭을 달리하여도 그 결함부위만큼 트리밍하여 스크랩처리함에 따라 사이드 트리밍시 발생되는 스크랩량을 최소화하여 스트립의 생산 단가를 줄이고 제품 실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1. 스트립을 권취하는 디코일러 후방에 센터 포지션 콘트롤 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권취면을 콘트롤하고 풀어 주는 리코일러 후부에서 코일에 발생된 에지 결함을 스크랩하는 사이드 트리머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교류 모터(100)의 회전축(102)에 연결되어 있는 제 2감속기(110)와, 상기 제 2감속기(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1쌍의 스크류 고정블록(120)(120')과, 외면에 C.P.C 유닛(14)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 고정 블록(120)(1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이동 몸체(130)와, 상기 좌우 이동 몸체(130)와 스크류 고정 블록(120)(120')을 관통하는 스크류 축(140) 및 스플라인(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
KR2019980024930U 1998-12-14 1998-12-14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_ KR200286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930U KR200286766Y1 (ko) 1998-12-14 1998-12-14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930U KR200286766Y1 (ko) 1998-12-14 1998-12-14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060U KR20000012060U (ko) 2000-07-05
KR200286766Y1 true KR200286766Y1 (ko) 2002-11-18

Family

ID=6950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930U KR200286766Y1 (ko) 1998-12-14 1998-12-14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7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804B1 (ko) * 2001-12-20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통판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060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107B1 (ko) 금속가공물의 측부 및 단부에 형성된 산화 생성물의 제거방법 및 그장치
EP0772507B1 (en) Edge inspection system
KR100732680B1 (ko) 콤팩트한 원형 커터 전단기
KR200286766Y1 (ko) 사이드 트리밍 결함폭 조정장치_
US4266989A (en) Cutting tool guiding system for metal cutting machines
JP3052505B2 (ja) ドラム式走間剪断機
KR200227124Y1 (ko) 강판불량부자동절단장치
KR19990016300U (ko) 자동 슬리터
KR200301067Y1 (ko) 코일밴드 절단장치
KR100391444B1 (ko) 블랭크 가이드 롤러의 자동 위치 제어장치
KR20040012081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JPS61244405A (ja) エツジ切削機
KR100910484B1 (ko) 강판의 폭에 대응하는 절단강판 서포트장치
KR100815791B1 (ko) 코일의 내경 불량부 절단장치
KR101388938B1 (ko) 강판의 논스톱 사이드 트리밍장치
KR100302959B1 (ko) 압연판자동전단장치
KR19990000124U (ko) 핀치롤 표면형상 가공장치
KR100822973B1 (ko)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접속 폭 차 감소장치
US3421395A (en) Device for edge trimming metal sheet material in shearing lines
KR20050005621A (ko) 미절단 칩 분리 및 제거장치
JPH035017A (ja) 帯板スリット材のスリット隙間調整装置
JPH07164302A (ja) 研削ベルトの蛇行防止方法
JPS638843B2 (ko)
SU1013159A2 (ru) Машина дл термической резки с программ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KR100854853B1 (ko) 절단기의 칼날 교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