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254B1 -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254B1
KR100797254B1 KR1020010046763A KR20010046763A KR100797254B1 KR 100797254 B1 KR100797254 B1 KR 100797254B1 KR 1020010046763 A KR1020010046763 A KR 1020010046763A KR 20010046763 A KR20010046763 A KR 20010046763A KR 100797254 B1 KR100797254 B1 KR 100797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il
segment
moving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634A (ko
Inventor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2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21C47/267Scrap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21C47/30Drums or other coil-holders expansible or contract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핫 코일의 제조시 코일의 내권부에 삽입되는 슬리브를 불량코일에서 부터 자동적으로 분리시키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1)는, 베이스(10)상에 이동토록 설치되고, 끼움부(24)가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세그멘트수단(22)을 포함하고, 상기 세그멘트수단(22)의 내측에는 강판 흡착수단(26)이 설치되는 강판 세그멘트부(20);및,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되는 이동 플레이트(42)의 하측에는 이동블록(44)이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록(44)의 하측에는 슬리브(S)내에 삽입 고정되어 슬리브를 클램핑하는 슬리브 클램핑수단(46)이 설치되는 슬리브 클램핑 및 이동부(4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불량코일에 삽입된 슬리브를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슬리브,슬리브 분리장치, 강판코일,불량코일,슬리브 내권부

Description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SLEEVE FROM BAD STRIP COIL}
도 1은 본 발명인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슬리브 분리장치의 세그멘트부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슬리브 분리장치의 클램핑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슬리브 분리장치의 클램핑수단에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슬리브 분리장치 10.... 베이스
20.... 강판 세그멘트부 22.... 세그멘트수단
24.... 끼움부 26.... 강판 흡착수단
40.... 슬리브 클램핑 및 이동부 42.... 이동 플레이트
44.... 이동블록 46.... 클램핑수단
60.... 스크랩 처리부 62.... 회전 플레이트
64.... 스크랩박스
본 발명은 강판의 코일링(COILING) 작업시 강판의 내권부에 삽입되기 위하여 페이오프릴(PAY OFF REEL)에 삽입되는 슬리브를 불량코일의 테일부로 부터 자동적으로 분리시키어 슬리브를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슬리브가 분리된 불량강판의 스크랩부분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슬리브(SLEEVE)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작업후 연속주조공정을 거쳐 생산된 슬라브는 여러단계의 압연공정을 거쳐 일정두께의 강판(STRIP)으로 제조된후, 페이 오프 릴로서 코일형태로 감기어 핫-코일로 제조되는데, 이때 강판을 코일로 감기위하여는 코일의 내권부에 통상적으로 원통상의 스틸 슬리브가 페이오프릴에 삽입된후, 그 외권부에 강판이 감기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강판의 코일링작업시 불량강판이 페이오프릴에 감기는 경우가 종종 있어 불량강판의 내권부에 삽입된 슬리브를 불량강판 즉, 코일의 테일부로 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불량코일에 삽입된 슬리브를 코일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강제로 코일의 테일부를 작업장소에 펼치도록 한후, 슬리브를 코일테일부에서 부터 수작업으로 분리시겼다.
결국, 종래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슬리브를 코일 테일부에서 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그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것은 물론, 슬리브의 분리후에는 불량강판을 적정길이로 절단하여 스크랩박스에 투입시키는 후처리작업이 필요하였고, 특히 작업자가 날카로운 강판의 모서리에 의하여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았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국내 등록실용 제 20-186061호에서는 슬리브를 코일에서 부터 분리시킥 위한 슬리브 분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그러나 이와 같은 슬리브 분리장치는 지지대상에 올려 놓은 코일 테일부를 실린더등으로 회전시키면서 날카로은 돌부가 강판의 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코일을 회전시키어 슬리브를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슬리브의 분리속도가 상당히 지연되고, 슬리브가 분리된 강판의 후처리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권부에 슬리브가 감긴 코일 테일부를 다른 세그멘트수단으로서 재권선하면서 슬리브를 보다 신속하게 코일 테일부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 테일부로 부터의 슬리브 분리작업이 용이한 것에 더하여, 분리된 슬리브는 별도의 야적장소에 신속하게 운반시키고, 슬리브가 분리된 불량코일의 테일부는 레일 이송하는 스크랩박스에 자동적으로 낙하시킴으로서, 불량코일의 후처리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베이스 와.
상기 베이스상에 구동수단으로서 다수개가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다수의 세그멘트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그멘트수단은 구동수단의 작동시 서로 맞물리는 끼움부를 갖추고, 상기 세그멘트수단의 내측에는 코일을 풀면서 재권선시키는 다수의 강판 흡착수단이 설치되는 강판 세그멘트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되는 이동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이동블록이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의 하측에는 슬리브내에 삽입 고정되어 슬리브를 클램핑하는 슬리브 클램핑수단이 설치되어 분리된 슬리브를 클램핑 이동시키는 슬리브 클램핑 및 이동부으로 구성된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트부의 하측으로 베이스상에 절첩 가능토록 설치 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토록 배치된 스크랩박스를 포함하는 스크랩 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슬리브 분리장치의 세그멘트부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슬리브 분리장치의 클램핑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슬리브 분리장치의 클램핑수단에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인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베이스(10)와 강판 세그멘트부(20) 및 슬리브 클램핑 및 이동부(40)로서 나누어 질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스크랩 처리부(60)를 구비하는데,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10)(20)(40)(60)들을 보다 상세하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 에서는 상기 베이스(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베이스 (10)는 서로 대향하는 사각블록(10a)(10b)이 중앙을 가로 지르는 고정판 (10c)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다음,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강판 세그멘트부(20)는 도 2 및 도 3에서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세그멘트부(20)는, 상기 베이스(10)상에 구동수단으로서 다수개가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다수의 세그멘트수단(22)을 포함하고, 상기 세그멘트수단(22)은 구동수단의 작동시 서로 맞물리는 끼움부(24)를 갖추고, 상기 세그멘트수단(22)의 내측에는 코일(C)을 풀면서 재권선시키는 다수의 강판 흡착수단(26)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그멘트부(20)의 세그멘트수단(22)은 상기 베이스(10)상에 전후 및 좌우측에 각각 브라켓트로서 수평 장착된 구동구단인 실린더(23)의 전방에 각각 일체로 고정되는 4개(22a)(22b)(22c)(22d)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3)는 세그멘트(22)들을 수평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힘을 갖는 유압실린더가 바람직하고, 베이스(10)의 양측 브라켓트(10d)와 상기 고정판(10c)상에 견고하게 수평장착된다.
또한, 상기 세그멘트수단(22)의 끼움부(24)는 세그멘트수단(22)들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암,수 끼움부(24a)(24b)로 이루어 지는데, 도면에서는 3 부분의 암 끼움부(24a)에 한쌍의 수 끼움부(24b)가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23)의 전진시 서로 끼워지는 끼움부(24)들에 의하여 상기 세그멘트수단(22)들로 형성되는 원의 그 직경은 가변되고, 이와 같은 가변되는 세그멘트수단(22)은 다음에 설명하겠지만, 불량코일의 내권부 직경에 따라 손쉽게 조정하게 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판 흡착수단(26)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세그멘트수단(22)의 내측에 4개(26a)(26b)(26c)(26d)가 설치되어 있고, 다음에 작용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순차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풀리는 강판이 세그멘트(22)들의 내측으로 감기어 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강판 흡착수단(26)의 일측에는 상기 세그멘트수단(22)들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코일(C)을 슬리브(S)에서부터 풀도록 하는데에 강판 선단부를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돌부(28)가 각각 설치된다.
다음, 도 1 및 도 4 에서는 상기 슬리브 클램핑 및 이동부(40)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슬리브 클램핑 및 이동부(4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되는 이동 플레이트(42)의 하측에는 이동블록(44)이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록(44)의 하측에는 슬리브(S)내에 삽입 고정되어 슬리브를 클램핑하는 슬리브 클램핑수단(46)이 설치되어 분리된 슬리브(S)를 클램핑 이동시킨다.
즉,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42)는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설치된 레일(42a)을 따라 체인 구동으로 이동하는 구동휠(42b)에 연결된 브라켓트(42c)의 하측에 연결되어 레일(42a)을 따라 전후 이동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휠(42b)은 도 1 에서 요부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 상측에 지지된 구동모터(42b")로서 회전하는 체인(42b')으로서 레일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42b")의 구동시 상기 구동휠은 이동하여 일체로 이동 플레이트(42)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44)은 상기 이동플레이트(42)의 하측에 설치된 실린더(44a)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44b)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실린더(44a)는 이동블록(44)의 안정적인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전후 및 좌우측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블록(44)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44b)에 장착된 모터 (48a)의 기어(48b)와 맞물리는 구동기어(48c)가 설치되어 모터 구동시 상기 이동블록(44)은 베어링(48d)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 플레이트(44b)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도 4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 크램핑 및 이동부(40)의 상기 슬리브 클램핑수단(46)은, 크게 작동링크(46d) 및 클래핑패드(46e)로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작동링크(46d)는 상기 이동블록(44)에 장착된 로터리실린더(46a')의 로드(46a")가 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록(44)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파이프(46b)의 상측에 위치되는 이동단(46c)과 상기 고정파이프(46b)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단(46c')사이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고, 중앙부분이 고정파이프(46b)의 개구(46b')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클램핑패드(46e)는 상기 작동링크(46d)의 중앙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어 실린더(46a')의 작동시 고정파이프(46b)의 외곽 슬리브(S) 내권부에 밀착되는데,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클램핑패드(46e)는 슬리브 (S)의 내권부에 긴밀하게 밀착하는 탄성고무로 된 패드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리브 분리장치(1)는 추가적으로 스크랩 처리부(60)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스크랩 처리부 (60)는 상기 세그멘트부(20)의 하측으로 베이스(10)상에 절첩 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 (62)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62)의 하측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토록 배치된 스크랩박스(64)를 포함한다.
즉, 상기 회전 플레이트(62)는 베이스(10)의 상부 모서리부분에 힌지블록 (62c)으로서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구동모터(62b)로서 풀리작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와이어(62a)가 상기 회전 플레이트(62)의 내측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어 상기 구동모터(62b)의 구동시 상기 회전플레이트(62)는 수평상태에서 아래로 회전하여 결국 세그멘트수단(22)들의 내측에 전자석 흡착된 코일 스크랩이 낙하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랩 박스(64)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레일(64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작업자가 밀어서 이동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모터 및 구동휠을 설치하여 레일(64a)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44)의 하부에는 코일(C)의 유무를 감지하는센서(S')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을 코일링하는 권취작업시 강판의 내권부에 끼워지는 슬리브(S)를 코일작업의 불량시 강판코일(C)에서 부터 분리시킬때에, 별도의 작업자 수작업없이 지동적으로 신속하게 분리토록 한 본 발명의 슬리브 분리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동 플레이트(42)의 하측에는 이동블록(44)이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이동블록(44)의 하측에는 슬리브 클램핑수단(46)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동블록(44)의 하측에 설치된 센서(S')에 의하여 먼저 상기 클램핑수단(46)에 의하여 슬리브(S)가 고정된 불량코일(C)의 유무가 파악된다.
한편,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설치된 레일(42a)을 따라 체인 구동으로 이동하는 구동휠(42b)에 연결된 브라켓트(42c)의 하측에 상기 이동플레이트(42)는 상기 레일(42a)을 따라 전후 이동토록 된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휠(42b)은 레일 상측에 지지된 구동모터(42b")로서 회전하는 체인(42b')이 연결되고, 결국 상기 구동모터(42b")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휠(42b)은 이동되면서 일체로 상기 이동플레이트(42)를 이동시킨다.
다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42)의 하측에 설치된 실린더(44a)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44b)의 하부에 이동블록(44)이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실린더(44a)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44)은 안정적인 상,하방향으로이동하는데, 이때 보다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는 전후 및 좌우측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44)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44b)에 장착된 모터(48a)의 기어(48b)와 맞물리는 구동기어(48c)가 설치되어 모터 구동시 상기 이동블록(44)은 베어링(48d)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 플레이트(44b)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블록(44)은 회전 및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도 1, 도 4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 크램핑부(40)의 상기 슬리브 클램핑수단(46)은 상기 이동블록(44)과 일체로 상하 이동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링크(46d)에는 상기 이동블록 (44)에 장착된 로터리실린더(46a')의 로드(46a")가 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록(44)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파이프(46b)의 상측에 위치되는 이동단(46c)과 상기 고정파이프 (46b)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단(46c')사이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고, 중앙부분이 고정파이프(46b)의 개구(46b')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46a')의 작동에 따라 일체로 작동링크(46d)들은 상,하측의 이동단(46c) 및 고정단(46c')사이에서 이동하면서, 그 중앙부분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된 클램핑패드(46e)는 고정파이프 (46b)에 형성된 개구(46b')를 통하여 고정파이프(46b)의 표면에서 멀어지거나 좁아지게 되고, 결국 슬리브(S)의 내권부에 밀착되면서 슬리브(S)를 고정하는 것이다.
다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상에 실린더(23)로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세그멘트수단(22)의 암,수 끼움부(24a)(24b)에 의하여 코일의 직경에 따라 직경이 조정되는 것이다.
즉, 세그멘트수단(22)의 끼움부(24)는 세그멘트수단(22)들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암,수 끼움부(24a)(24b)로 이루어 져, 암 끼움부(24a)에 한쌍의 수 끼움부 (24b)가 삽입되면서 실린더(23)의 전진시는 그 간격이 좁아지고, 반대로 실린더 (23)가 후진하면 서로 멀어지면서 전체적인 직경을 조정하는 것이다.
한편, 4개의 세그트수단(22)의 내측에는 4개의 흡착수단(26) 즉, 4개의 전자석블록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전자석블록들은 순차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면서 강판이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그멘트(22)들의 내측부에 감기어 진다.
이때, 상기 강판 흡착수단(26)인 전자석블록들의 일측에는 고정돌부(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코일(C)의 선단부를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불량코일(C)의 내권부에 클램핑수단(46)의 패드(46e)가 슬리브의 내권부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앞에서 설명한 이동블록(44)이 회전하면 슬리브(S)에 감긴 코일(C)의 끝부분이 원심력에 의해 세그멘트(22)들의 내측 흡착수단(26) 즉, 전자석블록의 고정돌부(28)에 코일강판(C)의 끝부분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블록 (44)이 계속회전하면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차 코일강판(C)들은 모두 풀리어 세그멘트수단(22)들에 고정되고, 슬리브(S)만이 클램핑패드(46e)가 내권부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44)의 이동으로 슬리브(S)는 적치장소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세그멘트(22)의 흡착수단(26) 즉 전지석블록의 전원이 차단되면, 불량코일(C) 즉, 스크랩은 베이스(10)사이에 고정된 회전 플레이트(62)상에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상부 모서리부분에 힌지블록(62c)으로서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구동모터(62b)로서 풀리작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와이어(62a)가 상기 회전 플레이트(62)의 내측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어 구동모터(62b)를 구동시키면, 상기 회전플레이트(62)는 수평상태에서 아래로 회전하고, 결국 앞에서 설명힌 불량코일(C)은 그 하측에 위치되는 스크랩박스(64)내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스크랩박스(64)로서 후처리장소로 용이하게 이동 처리토록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에 의하면 전후 및 회전하는 이동블륵(44)의 하측으로 크램핑수단(46)으로서 슬리브를 고정한 상태에서 세그멘트(22)들의 내측 흡착수단(26) 즉, 전자석블록으로서 불량코일(C)을 슬리브(S)에서 부터 풀어서 회전플레이트(62)를 통하여 스크랩박스(64)내에 낙하시키어 처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에 의하면, 불량강판이 감긴 슬리브를 코일의 재 권선작업을 통하여 분리시키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슬리브와 코일을 분리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분리된 슬리브를 원하는 야적장소로 운반 적재하여 용이하게 재사용하도록 하면서, 불량 코일은 재 권선된 상태로 스크랩박스에 투입한후, 상기 박스 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불량코일의 후처리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슬리브와 코일의 분리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면서 별도의 수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자가 강판 모서리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상에 구동수단으로서 다수개가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다수의 세그멘트수단(22)을 포함하고, 상기 세그멘트수단(22)은 구동수단의 작동시 서로 맞물리는 끼움부(24)를 갖추고, 상기 세그멘트수단(22)의 내측에는 코일(C)을 풀면서 재권선시키는 다수의 강판 흡착수단(26)이 설치되는 강판 세그멘트부(20);및,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되는 이동 플레이트(42)의 하측에는 이동블록(44)이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록(44)의 하측에는 슬리브(S)내에 삽입 고정되어 슬리브(S)를 클램핑하는 슬리브 클램핑수단(46)이 설치되어 분리된 슬리브(S)를 클램핑 이동시키는 슬리브 클램핑 및 이동부(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트부(20)의 하측으로 베이스(10)상에 절첩 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62)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62)의 하측으로 레일(64a)을 따라 이동토록 배치된 스크랩박스(64)를 포함하는 스크랩 처리부(6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트부(20)의 세그멘트수단(22)은 상기 베이스 (10)상에 전후 및 좌우측에 각각 수평 장착된 구동구단인 실린더(23)의 전방에 각각 일체로 고정되는 4개(22a)(22b)(22c)(22d)로 이루어 지고, 상기 세그멘트수단 (22)의 끼움부(24)는 세그멘트수단(22)들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암,수 끼움부 (24a)(24b)로 이루어 져, 실린더(23)의 전진시 서로 끼워져 세그멘트수단(22)들이 호형으로 그 직경이 가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세그멘트수단(22)들의 내부에 설치되는 강판 흡착수단(26)인 전자석블록으로 이루어 지며, 상기 전자석블록(26)의 일측에는 강판단부가 걸리어 지지되는 고정돌부(28)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42)는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설치된 레일(42a)을 따라 체인 구동으로 이동하는 구동휠(42b)에 연결된 브라켓트 (42c)의 하측에 연결되어 레일(42a)을 따라 전후 이동토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블록(44)은 상기 이동플레이트(42)의 하측에 설치된 실린더(44a)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44b)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록(44)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44b)에 장착된 모터(48a)의 기어(48b)와 맞물리는 구동기어(48c)가 설치되고, 모터 구동시 상기 이동블록 (44)은 베어링(48d)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 플레이트(44b)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클램핑수단(46)은, 상기 이동블록(44)에 장착된 로터리실린더(46a')의 로드(46a")가 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록(44)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파이프(46b)의 상측에 위치되는 이동단(46c)과 상기 고정파이프(46b)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단(46c')사이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고, 중앙부분이 고정파이프(46b)의 개구(46b')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작동링크(46d) 및,
    상기 작동링크(46d)의 중앙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어 실린더(46a')의 작동시 고정파이프(46b)의 외곽 슬리브(S) 내권부에 밀착되는 클램핑패드(46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KR1020010046763A 2001-08-02 2001-08-02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KR100797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763A KR100797254B1 (ko) 2001-08-02 2001-08-02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763A KR100797254B1 (ko) 2001-08-02 2001-08-02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34A KR20030012634A (ko) 2003-02-12
KR100797254B1 true KR100797254B1 (ko) 2008-01-23

Family

ID=2771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763A KR100797254B1 (ko) 2001-08-02 2001-08-02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4539A (zh) * 2021-07-01 2021-10-22 深圳市艾迪模塑有限公司 一种旋转模塑成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06Y1 (ko) * 1995-07-31 2000-04-01 이구택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
KR200186061Y1 (ko) * 1999-12-27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철제 슬리브와 코일의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06Y1 (ko) * 1995-07-31 2000-04-01 이구택 불량 냉연코일의 자동 제거장치
KR200186061Y1 (ko) * 1999-12-27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철제 슬리브와 코일의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34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3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retaining core plugs in paper rolls
JP2008195518A (ja) 電線束取り装置
CN110371795B (zh) 一种电缆回收用收卷装置
KR100797254B1 (ko) 슬리브의 불량코일 자동 분리장치
KR100798069B1 (ko) 코일 자동 포장장치
EP0950008B1 (en) Rota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wire from a bale
CA2449864A1 (en) Method and device in winding of a web
KR100829805B1 (ko) 코일 포장용 회전장치
KR200313250Y1 (ko) 박판고착부의 스틸슬리브 제거장치_
KR100544471B1 (ko) 코일 외권의 밴드 자동제거장치
KR100419649B1 (ko) 텐션릴 슬리브 인입장치
JP2564245Y2 (ja) フィルム巻回体回収装置
CN111810759A (zh) 一种排水管道封堵装置
JP3091162B2 (ja) 柱状コンクリート成形用型枠からの付属品取外し装置
KR20020019769A (ko) 더미 슬라브 자동 인출장치
KR20020041065A (ko) 코일형 강판 체결용 밴드의 제거장치
JPH09289716A (ja) 送電線の撤去、回収装置と、送電線の巻取り装置
KR20050019322A (ko) 코일 슬리브와 스크랩 분리장치
JP2767571B2 (ja) アンカープレート掃除機
JPS59174218A (ja) コイル外周端部切断装置
KR101009007B1 (ko) 코일 슬리브 회수장치
KR19980014814U (ko) 코일 슬리브 자동 분리장치
JPH0741523Y2 (ja) スプール・コイル端末分離抜取り装置
JPH10263697A (ja) コイル先端位置決め装置
KR100784178B1 (ko) 스틸밴드의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