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53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530A
KR20020024530A KR1020010056130A KR20010056130A KR20020024530A KR 20020024530 A KR20020024530 A KR 20020024530A KR 1020010056130 A KR1020010056130 A KR 1020010056130A KR 20010056130 A KR20010056130 A KR 20010056130A KR 20020024530 A KR20020024530 A KR 20020024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predetermined
state
light emission
total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2081B1 (ko
Inventor
고지마아야히또
가메야마시게끼
구리야마히로히또
가나자와요시까즈
우에다도시오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2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09G3/29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by varying the frequency of sustain pulses or the number of sustain pulses proportionally in each subfield of the whole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패턴에 기인하는 패널의 열 파괴나 화면의 잔상을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하는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선택적으로 발광을 행하는 복수의 셀을 구비하고, 발광 횟수에 따라 표시 휘도가 결정되고, 1 화면의 표시 프레임에 있어서의 각 셀의 총 발광 횟수를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총 발광 횟수의 변화를 감시하고,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 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부(24, 25)와,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는 총 발광 횟수를 감소시키고,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는 총 발광 횟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 횟수에 따라 표시 휘도가 결정되고, 1 화면의 표시 프레임에 있어서의 각 셀의 총 발광 횟수가 변화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박형화, 표시해야 할 정보나 설치 조건의 다양화, 대화면화 및 고정밀화의 요구가 현저해져,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는, LCD, 형광 표시관, EL, PDP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각종 방식이 있다. 형광 표시관, EL, PDP 등에서는 계조 표시를 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하나의 표시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며, 각 서브 프레임 기간을 웨이티드하여 다르게 하고, 계조 데이터의 각 비트를 대응하는 서브 프레임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하, PDP를 예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PDP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PDP 자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발명에 관한 서브 프레임 방식에 따른 계조 표시와 전력 제어에 대하여 일반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PD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패널(10)에서는 복수의 X 전극과 Y 전극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들과 직교하도록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X 전극은 공통으로 접속되고, X 측 공통 드라이버(11)에 의해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인가된다. 복수의 Y 전극은 각각 Y 측 스캔 드라이버(12)에 접속되며, 어드레스 기간에는 순서대로 스캔 펄스가 인가된다. Y 측 스캔 드라이버(12)에는 Y 측 공통 드라이버(13)가 접속되고, 리세트 기간이나 유지 방전(서스테인) 기간에는 Y 전극에 공통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어드레스 전극은 어드레스 드라이버(14)에 접속되며, 어드레스 기간에는 스캔 펄스에 동기하여 어드레스 펄스가 인가되고, 스캔 펄스로 선택된 행의 표시 셀을 점등할지의 여부가 선택된다. 제어부(15)는 내부에 표시 데이터 제어부(16), 스캔 드라이버 제어부(17) 및 표시/전력 제어부(18)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 Vsync, 도트 클럭 및 표시 데이터가 공급된다. 제어부(15)는 CPU를 구비하며, 상기된 각 부는 하드웨어나 CPU에 의한 소프트웨어로 실현된다. 어드레스 드라이버(14)에는 표시 데이터 제어부(16)로부터 어드레스 펄스 데이터가 공급된다. X 측 공통 드라이버(11), Y 측 스캔 드라이버(12) 및 Y 측 공통 드라이버(13)는 스캔 드라이버 제어부(17)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는 소위 「어드레스/유지 방전 기간 분리형·기입 어드레스 방식」의 PD 장치에서의 1 서브 프레임의 구동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브 프레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를 참조하여, PD 장치에서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1 서브 프레임은 리세트 기간과 어드레스 기간 또한 유지 방전 기간(서스테인 기간)으로 분할된다. 리세트 기간에서는 모든 셀이 동일한 상태가 된다.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Y 전극에 순차적으로 스캔 펄스를 인가하고, 그것에 동기하여 표시 데이터(어드레스 데이터)에 따라 어드레스 전극에 어드레스 펄스를 인가한다. 점등하는 셀의 어드레스 전극의 어드레스 펄스를 인가하는 경우도, 점등하지 않은 셀의 어드레스 전극의 어드레스 펄스를 인가하는 경우도 있다. 어드레스 펄스를 인가된 셀에서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하여 셀의 전극에 벽 전하가 축적되거나 소거된다. 이것을 모든 라인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모든 셀은 서브 프레임의 표시 데이터에 대응한 상태로 설정되고, 점등 셀의 X 전극과 Y 전극에 유지 방전(서스테인 방전)에 필요한 벽 전하가 축적된다. 서스테인 기간에서는 Y 전극과 X 전극에 교대로 유지(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되고, 벽 전하가 축적된 셀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셀이 발광한다. 이 경우, 유지 방전 기간의 장단, 즉 서스테인 펄스의 횟수에 따라 휘도가 결정된다.
PDP 에서는, 점등할지의 여부의 2치의 상태밖에 취할 수 없기 때문에, 발광횟수를 바꾸어 계조를 표현한다. 그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화면의 표시에 상당하는 1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점등하는 서브 프레임을 조합함에 따라 행한다. 각 서브 프레임의 휘도는 그 서스테인 펄스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각 서브 프레임의 휘도비는, 동화상 가짜 윤곽의 문제를 저감시키기 위해 특수한 비율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휘도비가 2의 누승 관계의 서브 프레임 구성은, 서브 프레임 수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는 계조 수가 최대이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3인 경우에는 6개의 서브 프레임(SF) 0∼ 서브 프레임(SF : 5)의 서스테인 펄스 수의 비율은 1:2:4:8:16:32로 되어 있고, 이들을 조합함에 따라 64 계조를 표현할 수 있고, 6 비트의 표시 데이터의 각 비트를 순서대로 SF0∼SF5에 대응시킨다. 예를 들면, 어떤 셀의 표시 데이터가 25 단계째(16진수 표시로 1A)인 경우에는, SF1, SF3 및 SF4를 점등시키고, 그 외의 SF0, SF2, SF5는 점등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1 표시 프레임의 모든 서브 프레임의 서스테인 펄스를 합계한 펄스 수를, 총 발광 펄스 수 n이라고 한다. 바꿔 말하면, 총 발광 펄스 수 n은, 모든 서브 프레임을 점등했을 때의 서스테인 펄스 수로서, 1 셀이 1 표시 프레임사이에 최대한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한 펄스 수이며, 서스테인 주파수라고도 한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각 화소의 계조 데이터가 연속한 형식으로서, 그 상태에서는 서브 프레임의 형식으로 변화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도 1의 표시 데이터 제어부(16)에 설치된 프레임 메모리에 기억하고, 서브 프레임의 형식에 따라 판독되어, 어드레스 드라이버(14)로 공급된다. 각 서브프레임에서는 도 2의 동작이 행해지고, 각 서브 프레임으로는 서스테인 기간의 길이(즉 서스테인 펄스 수)만 다르다.
밝은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1 표시 프레임 전체의 발광 펄스 수가 증대하고, 소비 전력, 즉 소비 전류가 증대한다. 화면 전체의 1 표시 프레임에서의 최대 발광 펄스 수는 모든 셀을 총 발광 펄스 수로 점등할 때이고, 표시 부하율은 1 표시 프레임에서의 모든 셀의 발광 펄스 수의 합계가 이 최대 발광 펄스 수에 대한 비율을 나타낸다. 표시 부하율은, 모든 셀을 흑 표시할 때가 0%이고, 모든 셀을 최대 휘도로 표시할 때가 100% 이다.
PD 장치에서는, 서스테인 기간에 흐르는 전류가 큰 비율을 차지하므로, 1표시 프레임의 발광 펄스 수의 총 량이 증대하면 소비 전류가 증대한다. 각 서브 프레임의 서스테인 펄스 수가 고정이라고 하면, 즉 총 발광 펄스 수 n이 일정하다고 하면, 표시 부하율의 증가에 따라 소비 전력 P (또는 소비 전류)가 증대한다.
PD 장치에서는 소비 전력의 한계가 정해져 있다. 표시 부하율이 최대가 될 때, 즉 모든 셀을 최대 휘도로 표시할 때에도, 소비 전력이 한계 이하가 되도록 총 발광 펄스 수 n을 설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화상의 표시 부하율은 십수%로부터 수십% 정도이고, 표시 부하율이 100%에 가까워지는 일은 거의 없어, 통상의 표시가 어두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표시 부하율에 따라 총 발광 펄스 수 n을 변화시키고, 소비 전력 P가 한계를 넘지 않은 범위에서 가능한 한 밝은 표시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전력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도 4는 제어부(15) 내에 실현되는 종래의 전력 제어부(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그 제어에 의한 총 발광 펄스 수 n과 소비 전극 P의 표시 부하율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제어부(20)는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1 프레임의 시간(1 프레임 길이)을 연산하는 프레임 길이 연산부(21)와, 표시 데이터로부터 부하율을 연산하는 부하율 연산부(22)와, 1 프레임 길이와 부하율로부터 총 발광 펄스 수 n을 연산하는 서스테인 주파수 연산부(23)를 구비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입력 화상 신호는 표시 데이터 제어부(16)에서 프레임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 때, 서브 프레임 형식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의 표시 프레임에 전개되고, 표시하는 서브 프레임에 따라 각 표시 프레임으로부터 판독되어, 어드레스 드라이버(14)로 공급된다. 표시 데이터 제어부(16)는 입력 화상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에 기억할 때에, 각 서브 프레임마다의 점등 화소 수를 카운트하고, 표시 부하율을 산출한다. 따라서, 부하율 연산부(22)는 표시 데이터 제어부(16) 내에 형성된다.
전력 제어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부하율이 A를 넘지 않을 때에는 총 발광 펄스 수 n을 n0으로 하고, 표시 부하율이 A를 넘었을 때에는 총 발광 펄스 수 n을 감소시켜 소비 전력 P가 한계를 넘지 않도록 제어한다. 감소시킨 총 발광 펄스 수 n은 소정의 비율에 따라 각 서브 프레임의 유지 펄스 수로 하여 할당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표시 프레임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6개의 SF0∼SF5를 포함하고, 그 유지 방전 펄스 수가 1:2:4:8:16:32이고, n0이 504라고 하면, 표시 부하율이 A 이하일 때에는 SF0∼SF5의 서스테인 펄스 수는,8:16:32:64:128:256이다. 표시 부하율이 A를 넘어서, 총 발광 펄스 수 n을 252로 감소되면, SF0∼SF5의 서스테인 펄스 수는 4:8:16:32:64:128로 한다. 표시 부하율이 더욱 증대하면 각 서브 프레임 SF0∼SF5의 서스테인 펄스 수를 더욱 감소시킨다. 또, 도 6에서는 비율이 유지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나누어 떨어지지 않은 서스테인 펄스 수가 될 때에는 소수 이하의 값을 사사오입하여 산출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 장치에서는, 각 셀에서의 발광 및 방전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발생하는 열량은 단위 시간당 발광 횟수에 비례한다. 그 때문에, 표시 패턴에 의해서는 국소적으로 큰 량의 열이 발생되고, 패널면 상에서 온도 분포를 발생시키고, 큰 온도 경사가 발생한 부분에서는 열 파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열 파괴의 원인이 되는 패턴은, 예를 들면 높은 콘트라스트의 정지 화상이다. 또한, 이러한 패턴이 장시간 표시되면, 열 파괴에 이르지 않아도 그 패턴 부분의 형광체 등이 열화하여 잔상이라고 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개평8-248919호 공보, 특개평9-10870호 공보 및 특개2000-10522호 공보는, 연속한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열 파괴나 잔상을 발생시키는 표시 패턴을 검출하고, 이러한 표시 패턴의 경우에는 휘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제어를 행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표시 데이터를 비교하여 열 파괴나 잔상을 발생시키는 표시 패턴인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화상 데이터를 비교할 필요가 있어, 방대한 양의 연산 처리량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연산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있어, 장치의 비용을 증가시킨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열 파괴나 잔상을 방지 가능하게 한 표시 장치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PD 장치의 구동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3은 PDP에서 계조 표시하기 위한 어드레스/유지 방전 분리형 어드레스 방식의 타이밍도.
도 4는 종래의 전극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의 전극 제어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6은 총 서스테인 펄스 수가 변화한 경우의 각 서브 프레임에 대한 서스테인 펄스 수의 할당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도면.
도 12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제6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제7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제8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11 : X 측 공통 드라이버
12 : Y 측 스캔 드라이버
13 : Y 측 공통 드라이버
14 : 어드레스 드라이버
15 : 제어부
16 : 표시 데이터 제어부
17 : 스캔 드라이버 제어부
18 : 표시/전력 제어부
20 : 전력 제어부
23 : 서스테인 주파수 연산부
24 :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
25 : 시간 판정부
26 : 서스테인 주파수 제어부
상기된 바와 같이, 열 파괴나 잔상을 발생시키는 표시 패턴은 높은 콘트라스트의 정지 화상이지만, 고휘도 부분이 큰 면적을 차지하는 패턴인 경우에는, 표시 부하율이 커지기 때문에 상술된 전력 제어에 의해 총 발광 횟수(총 발광 펄스 수)가 저하한다. 그 때문에, 고휘도 부분의 각 셀의 발열량은 저하하므로, 온도 경사는 그만큼 커지지 않고, 열 파괴나 잔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고휘도 부분의 면적이 작은 패턴인 경우에는, 표시 부하율은 작고, 총 발광 펄스 수는 큰 값인 상태이다. 그 때문에, 고휘도 부분의 각 셀의 발열량은 크고, 온도 경사가 커져 열 파괴나 잔상이 발생한다.
본원 발명자는, 이 점에 주목하여 본원 발명을 이루었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르면, 총 발광 펄스 수가 큰 값 그대로인 상태가, 높은 빈도로 발생한 경우에는, 고휘도 부분의 면적이 작은 패턴이 빈번하게 표시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그와 같은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는 총 발광 펄스 수(서스테인 주파수)를 감소시켜, 열 파괴나 잔상을 방지한다.
물론, 고휘도 부분의 면적이 작은 패턴이라도 고휘도 부분이 이동하는 패턴이나, 전체적으로 한결같이 어두운 패턴인 경우에는, 총 발광 펄스 수가 큰 값 그대로인 상태가, 높은 빈도로 발생하지만, 열 파괴나 잔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이러한 패턴인 경우에도 총 발광 펄스 수를 감소시키게 되지만, 표시 상에서는 특별히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총 발광 펄스 수가 큰 값 그대로인 상태가, 높은 빈도로 발생한 경우에는 총 발광 펄스 수를 감소시키지만, 그와 같은 상태가 아니었을 때, 즉 총 발광 펄스 수가 소정의 어떤 값을 하회한 상태가 높은 빈도로 발생한 경우에는 총 발광 펄스 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한다.
총 발광 펄스 수가 큰 값 그대로인 상태 및 작은 값 그대로인 상태가 높은 빈도로 발생한 경우를 어떻게 정의할지는, 예를 들면 총 발광 펄스 수가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유지 기간 이상 연속했을 때 및 총 발광 펄스 수가 소정의 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억제 기간 이상 연속했을 때로 한다. 또한, 다른 정의 예로는 소정의 누적 기간 내의 제1 상태의 누적 시간이 제1 소정치 이상일 때 및 소정의 누적 기간 내의 제2 상태의 누적 시간이 제2 소정치 이상일 때로 한다.
또한, 상기된 판정 조건 외에 계조 레벨도 판정 조건 외에 표시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계조 레벨이 소정 레벨을 넘은 상태가 소정의 유지 기간 이상 연속했을 때에만 총 발광 펄스 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해도 좋다. 그렇다면, 밝은 부분이 화면의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지를 판정하여, 어두운 표시일 때에는 총 발광 펄스 수를 감소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누적 시간을 판정하는 경우, 제1 상태의 누적 시간 및 제2 상태의 누적 시간부터,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반복되는지를 검출하고, 반복을 검출했을 때에는 제1 소정치 및 제2 소정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작 개시 시와 일정 시간 경과 후의 평균적인 패널 온도에는 상당한 차가 있기 때문에, 장치의 전원 투입으로부터의 동작 시간에 따라 제1 소정치 및 제2 소정치를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패널의 냉각을 위한 냉각 팬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총 발광 펄스 수가 큰 값 그대로인 제1 상태가 높은 빈도로 발생했을 때에 냉각 팬을 가동 또는 가속하여, 총 발광 펄스 수가 어떤 값을 하회한 상태인 제2 상태가 높은 빈도로 발생했을 때에, 냉각 팬을 정지시키거나 감속시킨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장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광 횟수에 따라 표시 휘도가 결정되고, 1 화면의 표시 프레임에서의 각 셀의 총 발광 횟수를 소비 전력 등에 따라 변화시키는 형식의 표시 장치이면, 어떠한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의 PD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제어부(15)가 도 7과 같은 구성의 전력 제어부(20)를 구비한다. 다른 부분은, 지금까지 설명한 종래예와 동일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제어부(20)는 도 4의 종래의 전력 제어부와 마찬가지로, 프레임 길이 연산부(21)와, 부하율 연산부(22)와, 서스테인 주파수 연산부(23)를 구비하고, 또한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24)와 시간 판정부(25)와 서스테인 주파수 제어부(26)를 구비한다.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24)와 시간 판정부(25)와 서스테인 주파수 제어부(26)는 CPU에서 실현된다.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들 부분의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 S1에서,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24)는 종래와 동일한 수법으로 구해진 서스테인 주파수 Fsus를 프레임마다 감시하고, 소정의 기준치 Fth와 비교한다. 이 기준치 Fth는 패널의 열 파괴 방지 또는 잔상 방지라는 목적에 맞추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고휘도 부분과 저휘도 부분이 인접하는 고콘트라스트의 패턴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기준치 Fth 이하의 총 발광 펄스 수(서스테인 주파수)로 점등하면 열 파괴 또는 잔상이 발생하지 않은 값으로 설정된다. Fsus>Fth, 즉 서스테인 주파수가 기준치 Fth를 넘는 경우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Fsus<Fth, 즉 서스테인 주파수가 기준치 Fth를 하회하는 경우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3에서, 시간 판정부(25)는 연속 Over 시간 k를 증가시켜, 연속 Under 시간 m을 클리어한다. 또한, 단계 S5에서, k가 유지 기간 Tover보다 큰지를 판정하고, 크지 않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서스테인 주파수 Fsus를 유지하여 그대로 종료하고, 다음 프레임까지 대기한다. 큰 경우에는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 서스테인 주파수 제어부(26)는 서스테인 주파수 Fsus를 임의로 설정되는 상수α만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서스테인 주파수 Fsus가 감소한다. 상수α는, 장치의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단계 S9에서, 시간 판정부(25)는, 연속 Under 시간 m을 증가시키고, 연속 Over 시간 k를 클리어한다. 또한, 단계 S11에서 m이 억제 기간 Tunder보다 큰지를판정하고, 크지 않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서스테인 주파수 Fsus를 유지하여 그대로 종료하고, 다음 프레임까지 대기한다. 큰 경우에는,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 서스테인 주파수 제어부(26)는 서스테인 주파수 Fsus를 임의로 설정되는 상수α만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서스테인 주파수 Fsus가 증가한다. 또, 상수α를 대신하여 다른 상수β를 사용하여, 서스테인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경우와 다른 변화량으로 해도 좋다.
이상의 제어에 의해, 높은 서스테인 주파수가 장시간 계속된 경우에, 허용 레벨까지 서스테인 주파수가 저감되므로, 과도의 온도 상승이 방지되어, 열 파괴나 잔상이 방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20)는, 도 4의 종래의 전력 제어부와 마찬가지로, 프레임 길이 연산부(21)와, 부하율 연산부(22)와, 서스테인 주파수 연산부(23)를 구비하고, 또한 가중 평균 연산부(27)와 소비 전력 판정부(28)와 시간 판정부(25)와 서스테인 주파수 제어부(26)를 구비한다. 가중 평균 연산부(27)와 소비 전력 판정부(28)와 시간 판정부(25)와 서스테인 주파수 제어부(26)는 CPU에서 실현된다. 제2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20)의 제어 동작을 도 10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다.
제2 실시예에서는, 서스테인 주파수를 대신하여 표시 데이터의 가중 평균 MW를 감시한다. 단계 S21에서 가중 평균 연산부(27)는 프레임마다의 가중 평균을 연산한다. 가중 평균은, 서브 프레임별로 변환된 표시 데이터로부터 연산할 수 있으며, 이 값으로부터 소비 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중 평균은 각 서브 프레임의 부하율에 웨이티드를 곱한 것의 합을 평균한 것이다.
단계 S23에서, 소비 전력 판정부(28)는 기준 전력치에 상당하는 가중 평균 기준치 MWth와 표시 프레임의 가중 평균 MW를 비교한다. 단계 S23에서의 처리 동작은 서스테인 주파수 Fsus와 기준치 Fth를 대신하여, 가중 평균 MW와 가중 평균 기준치 MWth를 사용하는 것외에는, 도 8의 단계 S1과 동일하고, 후처리도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20)는 도 7의 제1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 외에, 계조 레벨 판정부(29)를 구비하는 점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계조 레벨 판정부(29)도 CPU에서 실현된다. 제3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20)의 제어 동작을 도 12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20)의 제어 동작이란 서스테인 주파수 Fsus가 기준치 Fth를 넘는지 판정하는 S41 후에, 계조 레벨 GS가 기준치 GSth를 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S43을 설치하고, 서스테인 주파수 Fsus가 기준치 Fth를 넘거나 계조 레벨 GS가 기준치 GSth를 넘은 경우만 Over 시간을 증가시키고, 그 외일 때에는 Under 시간을 증가시키는 점이 다르다. 단계 S437, 계조 레벨 판정부(29)에 의해 행해진다. 제1 실시예의 처리 동작에서는, 서스테인 주파수가 클지는 판정할 수 있지만, 밝은 부분이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지는 판정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하여, 제3 실시예에서는 계조 레벨 GS가 기준치 GSth를넘는 경우만 Over 시간을 증가시키므로, 어두운 표시일 때에는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계조 레벨 GS는 서브 프레임별로 전개된 표시 데이터로부터 연산할 수 있다.
또, 제3 실시예의 계조 레벨을 판정하는 구성은, 제2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고, 도 9의 전력 제어부에 계조 레벨 판정부를 설치하고, 도 10의 플로우차트의 단계 S23 후에, 도 12의 단계 S43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로부터 제3 실시예에서는, 서스테인 주파수 또는 가중 평균이 기준치 이상인 상태가 어느 기간 연속한 경우에 서스테인 주파수를 감소시키고, 기준치 이하인 상태가 어느 기간 연속한 경우에 서스테인 주파수를 증가시켰지만, 이 제어에서는 반복 패턴이나, 서스테인 주파수 또는 가중 평균이 기준치를 넘어서 변동하는 상태가 계속된 경우에 기능하지 않는다. 그러나, 패턴이 주기적으로 표시되었을 때에도 열 파괴나 잔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된 상태의 누적 시간을 판정함으로써 이러한 경우를 검출하여 서스테인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여기서는 프레임 길이 연산부(21)와 부하율 연산부(22)와 서스테인 주파수 연산부(23)는 생략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20)는 도 4의 종래의 전력 제어부 외에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24)와 제1 카운터(31)와 제2 카운터(32)와 유지 기간 판정부(34)와 억제 기간 판정부(35)와 서스테인 주파수 제어부(36)를 구비한다. 이들의 부분도 CPU로 실현된다. 도 1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들 부분의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24)가 단계 S61과, 제1 카운터(31)가 단계 S63을, 제2 카운터(32)가 단계 S69를, 유지 기간 판정부(34)가 단계 S65를, 억제 기간 판정부(34)가 단계 S71을, 서스테인 주파수 제어부(36)가 단계 S67과 S73을 행한다.
도 8의 플로우차트와 비교하면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제4 실시예의 제어 동작은, 단계 S69의 연속 Under 시간 m을 증가시킬 때에 연속 Over 시간 k를 클리어하지 않고, S73의 서스테인 주파수 Fsus를 증가시킬 때에 연속 Over 시간 k를 클리어하는 점이 다르다. 제4 실시예의 제어 동작에서는 연속 Over 시간 k는 가령 서스테인 주파수 Fsus가 일시적으로 기준치 Fth를 하회해도 클리어되지 않지만, 연속 Under 시간 m은 서스테인 주파수 Fsus가 일시적이라도 기준치 Fth를 넘으면 클리어된다. 이에 따라, 서스테인 주파수 Fsus가 주기적으로 기준치 Fth를 넘을지가 우선적으로 판정되고, 그와 같은 상태가 주기적이기는 하지만 빈번하게 발생했을 때에는 서스테인 주파수 Fsus를 감소시켜 열 파괴나 잔상을 방지한다. 이것에 대하여, 서스테인 주파수 Fsus의 증가는 서스테인 주파수 Fsus가 연속하여 기준치 Fth를 하회한 경우에만 행해진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5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는 도 13의 제4 실시예의 구성 외에, 도 9의 가중 평균 연산부와 소비 전력 판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5 실시예의 제어 동작에서는 제4 실시예의 제어 동작을, 서스테인 주파수를 대신하여 표시 데이터의 가중 평균 MW를 감시하여 행하는 점이 다르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반복 패턴 등의 표시가 계속된 경우라도, 소비 전력이 기준 전력 내에 들어가도록 서스테인 주파수가 증감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제4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에 반복하여 표시 판정부(33)를 추가한 구성이다. 도 17은 반복 표시 판정부(33)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반복 패턴이 있는 주기로 표시되는 경우, 주기에 따라 유지 기간 Tover와 억제 기간 Tunder를 가변으로 하면, 더욱 표시 패턴에 적합한 서스테인 주파수의 제어가 가능하다. 그래서 그와 같은 경우에는 임의의 주기로 부하가집중하고 있는 동안과 그렇지 않은 시간을 검출하여, 그 대소 비교를 행하여 연속 Over 시간 k와 연속 Under 시간 m을 증감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부하가 집중하고 있는 시간 k0이 그렇지 않은 시간 m0보다도 긴 경우에, 유지 기간을 짧게 하여 서스테인 주파수를 빨리 감소시킨다. 반대로, k0이 m0보다도 짧은 경우에는, 유지 기간을 길게 하여 고휘도 상태가 비교적 길게 유지되도록 한다. 제6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어 동작이 행해진다.
단계 S101에서 주기 카운터 T1을 증가시키고, 단계 S103에서 T1이 임의의 주기 Tprd를 넘었는지 판정하고, 넘은 경우에는 단계 S105로 진행하며, 넘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다음 프레임까지 대기한다. 단계 S105에서 Over 시간 k가 앞 주기의 Over 시간 k0과 동일한지 판정하고, 동일한 경우에는 단계 S107로 진행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다음 프레임까지 대기한다. 단계 S107에서 Under 시간 m이 앞 주기의 Under 시간 m0과 동일한지 판정하고, 동일한 경우에는 단계 S109로 진행하며,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다음 프레임까지 대기한다. 단계 S109에서는 Over 시간 k0과 Under 시간 m0 중 어느 쪽이 클지 판정하고, k0>m0일 때에는 단계 S111에서 유지 기간을 감소시키고, k0<m0일 때에는 단계 S113에서 유지 기간을 증가시킨다.
제4 실시예로부터 제6 실시예에서는, PD 장치의 전원 투입으로부터의 동작 시간을 고려하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동작 개시 시와 일정 시간 경과 후의 평균적인 패널 온도에는 상당한 차가 있기 때문에, 동작 시간을 따라 유지 기간 및 억제 기간을 가변으로 하는 편이, 고휘도를 유지하는 데에 효율적이다. 제7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한 제어 동작을 실현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제4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에 제3 카운터(37)와 동작 시간 판정부(38)를 추가한 구성이다. 도 19는, 제3 카운터(37)와 동작 시간 판정부(38)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121에서 전원이 투입되고, 단계 S123에서 동작 시간 Topr이카운트된다. 단계 S125에서는, 동작 시간 Topr가 임의로 설정된 시간 T0을 넘었는지 판정하고, 넘으면 단계 S127로 진행하여 유지 기간 Tover에 상대적으로 작은 값 a를 설정하여 짧게 하고, 넘지 않으면 단계 S129로 진행하여 유지 기간 Tover에 상대적으로 큰 값 b를 설정하여 길게 한다. 또한, 단계 S131∼S135에서 마찬가지로 계조레벨 GS가 기준 GSth를 넘으면 억제 기간 Tunder에 상대적으로 작은 값 c를 설정하여 짧게 하고, 넘지 않으면 억제 기간 Tunder에 상대적으로 큰 값 d를 설정하여 길게 한다. 여기서는, 동작 시간과 계조 레벨에 따라 유지 기간과 억제 기간의 길이를 변화시켰지만, 표시율이나 휘도에 따라서도 발열량이나 방열 조건이 변하므로 이들에 따라 억제 기간을 가변으로 해도 좋다.
PD 장치에서는, 패널의 냉각을 위해 냉각 팬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냉각 팬은 상황에 따라 동작시키거나, 상황에 따라 동작 조건(예를 들면, 가속 회전/감속 회전)을 변경시킨다. 그래서, 서스테인 주파수가 높은 유지 기간 중에는 냉각 팬을 가동시키거나 가속하고, 억제 기간 중에는 냉각 팬을 정지시키거나 감속함으로써, 패널의 온도 상승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8 실시예에서는, 더욱 냉각 팬의 제어를 행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PD 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제4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의 구성으로, 유지 기간 판정부(34)가 냉각 팬의 가동 또는 가속 신호를 출력하고, 억제 시간 판정부(35)가 냉각 팬의 정지 또는 감속 신호를 출력하는 점이 다르다. 도 21은, 제8 실시예의 전력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의 제4 실시예의 플로우차트와 비교하여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단계 S149, S151, S159가 가해지는 점이 다르다. 단계 S147에서 서스테인 주파수 Fsus를 감소시킨 후에는, 단계 S149에서 냉각 팬을 감속시킨다. 단계 S145에서 연속 Over 시간 k가 유지 기간 Tover보다 작다고 판정됐을 때에는 단계 S151에서 냉각팬을 가속시킨다. 또한, 단계 S157에서 서스테인 주파수 Fsus를 증가시킨 후에는, 단계 S159로 냉각 팬을 감속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실시예의 특징 부분을 조합한 변형예가 가능하고, 특히 제3 실시예로부터 제8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더욱 특징 부분을 부가한 구성을 갖지만, 이들의 특징 부분에 제2 실시예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개시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구성은 이하와 같다.
〔부기 1〕 선택적으로 발광을 행하는 복수의 셀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횟수에 따라 표시 휘도가 결정되고, 1 화면의 표시 프레임에서의 각 셀의 총 발광 횟수를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총 발광 횟수의 변화를 감시하고, 상기 총 발광 횟수의 발생 빈도를 판정하는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와,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부기 2〕 부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상기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 상기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 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표시 장치.
〔부기 3〕 부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는 상기 총 발광 횟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는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부기 4〕 부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상기 제1 상태가 소정의 유지 기간 이상 연속했을 때에 상기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상기 제2 상태가 소정의 억제 기간 이상 연속했을 때에 상기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표시 장치.
〔부기 5〕 부기 4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상기 제1 상태의 누적 시간 및 상기 제2 상태의 누적 시간부터,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가 반복되는지를 검출하고, 반복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소정의 유지 기간 및 상기 소정의 억제 기간을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부기 6〕 부기 4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전원 투입으로부터의 동작 시간을 계수하고, 상기 동작 시간에 따라 상기 소정의 유지 기간 및 상기 소정의 억제 기간을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부기 7〕 부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소정의 누적 기간 내의 상기 제1 상태의 누적 시간이 제1 소정치 이상일 때에 상기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상기 소정의 누적 기간 내의 상기 제2 상태의 누적 시간이 제2 소정치 이상일 때에 상기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표시 장치.
〔부기 8〕 부기 7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상기 제1 상태의 누적 시간 및 상기 제2 상태의 누적 시간부터,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가 반복되는지를 검출하고, 반복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제1 소정치 및 상기 제2 소정치를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부기 9〕 부기 7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전원 투입으로부터의 동작 시간을 계수하고, 상기 동작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소정치 및 상기 제2 소정치를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부기 10〕 부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계조 레벨의 발생 빈도를 판정하는 계조 레벨 판정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 및 상기 계조 레벨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
〔부기 11〕 부기 10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상기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 상기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표시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계조 레벨이 제3 기준치를 초과한 제3 상태가 제3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3 상태가 각각 제1 빈도 및 제3 빈도이상 발생했을 때에, 상기 총 발광 횟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부기 12〕 부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냉각 팬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냉각 팬은,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표시 장치.
〔부기 13〕 부기 12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상기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이상 발생했는지, 상기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 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냉각 팬은,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가 상기 제1 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할 때에는 가동되거나 가속되고,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가 상기 제2 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할 때에는 정지되거나 감속되는 표시 장치.
〔부기 14〕 선택적으로 발광을 행하는 복수의 셀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횟수에 따라 표시 휘도가 결정되고, 1 화면의 표시 프레임에 있어서의 각 셀의 총 발광 횟수를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1 화면의 표시 프레임에 있어서의 각 셀의, 표시 데이터의 가중 평균을 감시하고, 상기 가중 평균의 발생 빈도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제1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부기 15〕 부기 14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부는, 상기 가중 평균이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 상기 가중 평균이 소정의 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표시 장치.
〔부기 16〕 부기 15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는 상기 총 발광 횟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는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부기 17〕 부기 15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상기 제1 상태가 소정의 유지 기간 이상 연속했을 때에 상기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상기 제2 상태가 소정의 억제 기간 이상 연속했을 때에 상기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표시 장치.
〔부기 18〕 부기 17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부는, 상기 제1 상태의 누적 시간 및 상기 제2 상태의 누적 시간부터,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가 반복되는지를 검출하고, 반복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소정의 유지 기간 및 상기 소정의 억제 기간을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부기 19〕 부기 17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전원 투입으로부터의 동작 시간을 계수하고, 상기 동작 시간에 따라 상기 소정의 유지 기간 및 상기 소정의 억제 기간을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부기 20〕 부기 15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부는, 소정의 누적 기간 내의 상기 제1 상태의 누적 시간이 제1 소정치 이상일 때에 상기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상기 소정의 누적 기간 내의 상기 제2 상태의 누적 시간이 제2 소정치 이상일 때에 상기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표시 장치.
〔부기 21〕 부기 20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부는, 상기 제1 상태의 누적 시간 및 상기 제2 상태의 누적 시간부터,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가 반복되는지를 검출하고, 반복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제1 소정치 및 상기 제2 소정치를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부기 22〕 부기 20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전원 투입으로부터의 동작 시간을 계수하고, 상기 동작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소정치 및 상기 제2 소정치를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부기 23〕 부기 14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계조 레벨의 발생 빈도를 판정하는 계조 레벨 판정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판정부 및 상기 계조 레벨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
〔부기 24〕 부기 23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부는, 상기 가중 평균이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 상기 가중 평균이 소정의 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표시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계조 레벨이 제3 기준치를 초과한 제3 상태가 제3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3 상태가 각각 제1 빈도 및 제3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 상기 총 발광 횟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부기 25〕 부기 14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냉각 팬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냉각 팬은, 상기 제1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표시 장치.
〔부기 26〕 부기 25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부는, 상기 가중 평균이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이상 발생했는지, 상기 가중 평균이 소정의 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냉각 팬은, 상기 제1 판정부가 상기 제1 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할 때에는 가동되거나 가속되며, 상기 제1 판정부가 상기 제2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다고 판정할 때에는 정지되거나 감속되는 표시 장치.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표시 패턴에 기인하는 패널의 열 파괴나 화면의 잔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선택적으로 발광을 행하는 복수의 셀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횟수에 따라 표시 휘도가 결정되며, 1 화면의 표시 프레임에서의 각 셀의 총 발광 횟수를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총 발광 횟수의 변화를 감시하고, 상기 총 발광 횟수의 발생 빈도를 판정하는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와,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상기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 상기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 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는 상기 총 발광 횟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는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계조 레벨의 발생 빈도를 판정하는 계조 레벨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 및 상기 계조 레벨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는 상기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 상기 총 발광 횟수가 소정의 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표시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계조 레벨이 제3 기준치를 초과하는 제3 상태가 제3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3 상태가 각각 제1 빈도 및 제3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 상기 총 발광 횟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냉각 팬을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 팬은 상기 서스테인 주파수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선택적으로 발광을 행하는 복수의 셀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횟수에 따라 표시 휘도가 결정되며, 1 화면의 표시 프레임에서의 각 셀의 총 발광 횟수를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1 화면의 표시 프레임에서의 각 셀의, 표시 데이터의 가중 평균을 감시하고, 상기 가중 평균의 발생 빈도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제1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부는 상기 가중 평균이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 상기 가중 평균이 소정의 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는 상기 총 발광 횟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상태가 상기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는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소정의 계조 레벨의 발생 빈도를 판정하는 계조 레벨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판정부 및 상기 계조 레벨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총 발광 횟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부는 상기 가중 평균이 소정의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제1 상태가 소정의 제1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 상기 가중 평균이 소정의 제2 기준치를 하회한 제2 상태가 소정의 제2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표시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계조 레벨이 제3 기준치를 초과한 제3 상태가 제3 빈도 이상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3 상태가 각각 제1 빈도 및 제3 빈도 이상 발생했을 때에, 상기 총 발광 횟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냉각 팬을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 팬은 상기 제1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10056130A 2000-09-25 2001-09-12 표시 장치 KR100792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90981 2000-09-25
JP2000290981A JP3556163B2 (ja) 2000-09-25 2000-09-25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530A true KR20020024530A (ko) 2002-03-30
KR100792081B1 KR100792081B1 (ko) 2008-01-04

Family

ID=1877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130A KR100792081B1 (ko) 2000-09-25 2001-09-1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20020154073A1 (ko)
EP (2) EP1959418B1 (ko)
JP (1) JP3556163B2 (ko)
KR (1) KR100792081B1 (ko)
CN (1) CN1160682C (ko)
DE (2) DE60143976D1 (ko)
TW (1) TW5110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530B1 (ko) * 2003-10-06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디피 모듈의 팬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5316B2 (en) * 2001-10-25 2007-05-0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CN101118722B (zh) * 2002-03-12 2010-10-06 日立等离子显示器股份有限公司 等离子体显示装置
JP4236422B2 (ja) * 2002-07-12 2009-03-11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
US7102596B2 (en) * 2002-09-12 2006-09-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US8441415B2 (en) 2003-12-17 2013-05-1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line load effect
JP4625642B2 (ja) 2004-02-19 2011-02-02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266330A (ja) * 2004-03-18 2005-09-29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5137325B2 (ja) * 2006-04-27 2013-02-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20080042997A (ko) * 2006-11-13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0957286B1 (ko) * 2007-01-15 2010-05-12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8955B1 (ko) * 2007-02-27 2011-07-12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CN101681586A (zh) * 2007-03-30 2010-03-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体显示装置以及该等离子体显示装置所使用的驱动方法
KR100917735B1 (ko) * 2007-11-28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WO2009098771A1 (ja) * 2008-02-07 2011-05-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CN102576509A (zh) * 2009-10-13 2012-07-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显示装置的驱动方法、等离子显示装置以及等离子显示系统
KR20120060241A (ko) * 2009-12-14 2012-06-11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US9940904B2 (en) * 2013-10-23 2018-04-10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termining an adjustment for a visual output
JP2018060007A (ja) * 2016-10-04 2018-04-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07240376A (zh) * 2017-07-07 2017-10-1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背光控制方法、装置与液晶显示设备
US11227561B2 (en) * 2020-03-01 2022-01-18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isplay driver circuit suitable for applications of variable refresh rat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79004D1 (en) * 1983-06-30 1989-02-23 Ibm Method of storing characters in a display system
US6081254A (en) * 1993-08-12 2000-06-27 Hitachi, Ltd. Color correction system of imaging apparatus
JP3455265B2 (ja) * 1994-01-25 2003-10-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
JP3405422B2 (ja) * 1994-08-19 2003-05-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表示面焼付き防止回路
US5594660A (en) * 1994-09-30 1997-01-14 Cirrus Logic, Inc. Programmable audio-video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systems
US5956014A (en) * 1994-10-19 1999-09-21 Fujitsu Limited Brightness control and power control of display device
JPH08248819A (ja) 1995-03-10 1996-09-27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記録装置
EP2105912A3 (en) * 1995-07-21 2010-03-17 Canon Kabushiki Kaisha Drive circuit for display device with uniform luminance characteristics
JP2900997B2 (ja) 1996-11-06 1999-06-02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ユニットの消費電力制御のための方法と装置、それを備えた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3672697B2 (ja) 1996-11-27 2005-07-20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207423A (ja) 1997-01-24 1998-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JPH10232647A (ja) * 1997-02-20 1998-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JP3238365B2 (ja) * 1998-01-07 2001-12-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3642170B2 (ja) * 1998-02-02 2005-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温度制御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3160243B2 (ja) * 1998-02-16 2001-04-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3544855B2 (ja) * 1998-03-26 2004-07-21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ユニットの消費電力制御方法と装置、その装置を含む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00010522A (ja) * 1998-06-19 2000-01-14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輝度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6380943B1 (en) 1998-09-18 2002-04-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display apparatus
JP3270435B2 (ja) * 1999-10-04 2002-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輝度制御方法
JP2001134197A (ja) 1999-11-04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パネルの温度補償装置および温度補償方法
US6396508B1 (en) * 1999-12-02 2002-05-28 Matsushita Electronics Corp. Dynamic low-level enhancement and reduction of moving picture disturbance for a digital display
JP2001183987A (ja) * 1999-12-27 2001-07-06 Pioneer Electronic Corp 冷却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2044795A2 (en) * 2000-11-30 2002-06-06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on mode electrode voltage in lcos/lcd
EP1337117A1 (en) * 2002-01-28 2003-08-20 Thomson Licensing S.A. Stereoscopic projection system
US20050046759A1 (en) * 2002-01-28 2005-03-03 O'donnell Eugene Murphy Brighter light engine architectur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projec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530B1 (ko) * 2003-10-06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디피 모듈의 팬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43976D1 (de) 2011-03-10
TW511055B (en) 2002-11-21
EP1191511A3 (en) 2006-04-19
EP1959418A3 (en) 2008-10-01
US20100141691A1 (en) 2010-06-10
JP3556163B2 (ja) 2004-08-18
US7944407B2 (en) 2011-05-17
US8947324B2 (en) 2015-02-03
CN1160682C (zh) 2004-08-04
EP1959418A2 (en) 2008-08-20
CN1350280A (zh) 2002-05-22
JP2002099242A (ja) 2002-04-05
EP1191511A2 (en) 2002-03-27
US20050264489A1 (en) 2005-12-01
EP1959418B1 (en) 2011-01-26
US20080284687A1 (en) 2008-11-20
KR100792081B1 (ko) 2008-01-04
US20020154073A1 (en) 2002-10-24
EP1191511B1 (en) 2008-11-05
DE60136425D1 (de)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081B1 (ko) 표시 장치
KR10090037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
US6650307B1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panel display apparatus
JPH1020742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制御装置
JP431716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と駆動装置
JP4236422B2 (ja) 表示装置
KR1005613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그의 화상 처리방법
EP14630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JP509707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表示方法
JP2008003464A (ja)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7758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8742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1016488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816525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201103392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21519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