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363A - 미닫이문용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용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363A
KR20020024363A KR1020000056090A KR20000056090A KR20020024363A KR 20020024363 A KR20020024363 A KR 20020024363A KR 1020000056090 A KR1020000056090 A KR 1020000056090A KR 20000056090 A KR20000056090 A KR 20000056090A KR 20020024363 A KR20020024363 A KR 20020024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itted
door
latch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6254B1 (ko
Inventor
안종섭
Original Assignee
안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섭 filed Critical 안종섭
Priority to KR10-2000-0056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25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 문을 닫으면 자동으로 록킹되고, 문을 열 때 레버를 회전시키면 레버가 소정의 각도까지만 회전되어 미닫이문을 열고닫기 편리한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는 미닫이 문(1)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문을 열 때 손잡이 레버(3)를 잡고 문의 개방 방향으로 밀면 손잡이 레버(3)의 회전에 의해 래치(50)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문이 개방되고, 닫을 때 래치(50)가 자동으로 문틀에 장착된 걸림부(5)에 자동으로 록킹되는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에 있어서,
손잡이 레버(3)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에 볼트(17, 18)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싱(20)과, 상기 케이싱(20)에 장착되어 래치(5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30)과, 상기 조절수단(30)의 조절판(31) 상부에 장착되는 캠(40)과, 상기 캠(40)의 홈(43)과 케이싱(20) 사이에 장착되는 제 1 스프링(46)과, 상기 래치(50)와 케이싱(20) 사이에 장착되는 제 2 스프링(47)과, 상기 케이싱(20)을 커버하는 커버(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APPARATUS FOR ROCKING A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 문을 닫으면 자동으로 록킹되고, 문을 열 때 레버를 회전시키면 레버가 소정의 각도까지만 회전되어 미닫이문을 열고닫기 편리한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는 문을 열고 닫기 위한 손잡이와 록킹장치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 제 168338호 "미닫이 문의 개폐장치"을 발명하였다. 상기 개폐장치는 스프링의 탄성 및 회전체의 원동기어 및 고리체의 종동기어에 의해 문이 록킹되거나 해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 제 168338호 "미닫이 문의 개폐장치"보다 그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시 소음이 더 적으며 상기 실용신안의 장점을 모두 갖춘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한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의 일례는 미닫이 문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문을 열 때 손잡이 레버를 잡고 문의 개방 방향으로 밀면 손잡이 레버의 회전에 의해 래치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문이 개방되고, 닫을 때 래치가 자동으로 문틀에 장착된 걸림부에 자동으로 록킹되는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에 있어서, 손잡이 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2개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어 래치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의 조절판 상부에 장착되는 캠과, 상기 캠의 홈과 케이싱 사이에 장착되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래치와 케이싱 사이에 장착되는 제 2 스프링과, 상기 케이싱을 커버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하 양단에 4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에서 안쪽으로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중앙의 양측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의 안쪽에 회전체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회전체의 중앙에 사각형 로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는 손잡이 레버에 연결되어 손잡이 레버에 의해 회전되며, 하부 둘레에 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부가 가이드에 걸리므로서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손잡이 레버에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스프링에 의해 돌부가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부의 회전각은 20 ∼ 30。이며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이며, 이것에 의해 손잡이 레버의 최대 회전각이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각각 2개의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가 상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4개의 돌부가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고정구멍에 일치되도록 2개의 볼트구멍이 상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돌부의 하부에 조절수단의 볼트헤드가 장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중앙에 사각형 로드가 끼워지는 센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은 케이싱의 센터구멍에 일치되게 중앙구멍이 형성된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의 상부 요홈에 끼워지는 사각너트와, 상기 사각너트에 체결되며 케이싱의 안착부에 헤드가 장착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은 케이싱의 센터구멍과 조절판의 중앙구멍을 관통하는 센터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제 1 스프링이 장착되는 홈이 형성되며, 하부에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축에는 사각형의 중공구멍이 형성되어 로드가 상기 중공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는 조절판의 하부구멍에 끼워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캠의 돌부에 걸리게 되는 제 1 토우와, 상기 돌출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요홈과, 상기 돌출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토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케이싱의 돌부에 끼워지는 4개의 구멍과, 볼트가 끼워지는 구멍과, 캠의 센터축과 일치되게 중앙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가 미닫이 문에 록킹된 상태에서 록킹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케이싱에 래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조절수단에 의해 래치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에서 래치가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에서 래치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는 미닫이 문(1)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문을 열 때 손잡이 레버(3)를 잡고 문의 개방 방향으로 밀면 손잡이 레버(3)의 회전에 의해 래치(50)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문이 개방되고, 닫을 때 래치(50)가 자동으로 문틀(5)에 장착된 걸림부(도시하지 않음)에 자동으로 록킹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는 손잡이 레버(3)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에 볼트(17, 18)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싱(20)과, 상기 케이싱(20)에 장착되어 래치(5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30)과, 상기 조절수단(30)의 조절판(31)에 형성된 구멍(32)에 끼워지는캠(40)과, 상기 캠(40)의 홈(43)과 케이싱(20) 사이에 장착되는 제 1 스프링(46)과, 상기 래치(50)와 케이싱(20) 사이에 장착되는 제 2 스프링(47)과, 상기 케이싱(20)을 커버하는 커버(60)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0)은 상하 양단에 4개의 체결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1)에서 안쪽으로 상기 볼트(17, 18)가 체결되는 고정구멍(12)이 형성되며, 중앙의 양측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가이드(13, 1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3, 14)의 안쪽에 회전체(15)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회전체(15)의 중앙에 사각형 로드(19)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체(15)는 손잡이 레버(3)에 연결되어 손잡이 레버(3)에 의해 회전되며, 하부 둘레에 돌부(16)가 형성되어 상기 돌부(16)가 가이드(13 또는 14)에 걸리므로서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5)는 손잡이 레버(3)에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돌부(16)가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돌부(16)의 회전각(a)은 20 ∼ 30。이며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이다. 이것에 의해, 이것에 의해 손잡이 레버(3)의 최대 회전각은 30。가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20)은 각각 2개의 구멍(21)이 형성된 플랜지부(22)가 상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커버(60)를 고정하기 위한 4개의 돌부(23a ∼23d)가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0)의 고정구멍(12)에 일치되도록 2개의 볼트구멍(24)이 상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돌부(23d)의 하부에 조절수단(25)의 볼트헤드(32)가 장착되는 안착부(25)가 형성되며 중앙에 사각형 로드(19)가 끼워지는 센터구멍(26)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수단(30)은 케이싱(20)의 센터구멍(26)에 일치되게 중앙구멍(32)이 형성된 조절판(31)과, 상기 조절판(31)의 상부 요홈(34)에 끼워지는 사각너트(35)와, 상기 사각너트(35)에 체결되며 케이싱(20)의 안착부(25)에 헤드(37)가 안착되는 볼트(3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절수단(30)의 작동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볼트(36)를 어느 한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판(31)의 상부 요홈(34)에 끼워진 사각너트(32)가 볼트(36)에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조절판(31)이 중앙구멍(32)을 축으로하여 반시계 방향(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래치(50)가 b 만큼 더 케이싱(20)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볼트(36)를 다른 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판(31)의 상부 요홈(34)에 끼워진 사각너트(32)가 볼트(36)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조절판(31)이 중앙구멍(32)을 축으로하여 시계방향(도 5의 화살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래치(50)가 케이싱(20)으로 들어가 래치(50)의 돌출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캠(40)은 케이싱(20)의 센터구멍(26)과 조절판(30)의 중앙구멍(32)을 관통하는 센터축(4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제 1 스프링(46)이 장착되는 홈(43)이 형성되며, 하부에 돌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축(42)에는 사각형의 중공구멍(41)이 형성되어 로드(19)가 상기 중공구멍(41)에 끼워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래치(50)는 조절판(31)의 하부구멍(33)에 끼워지는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캠(40)의 돌부(44)에 걸리게 되는 제 1 토우(52)와, 상기 돌출부(52)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요홈(53)과, 상기 돌출부(52)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토우(54)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60)는 케이싱(20)의 돌부(23a ∼23d)에 끼워지는 4개의 구멍(61)과, 볼트(17, 18)가 끼워지는 구멍(52)과, 캠의 센터축(51)과 일치되게 중앙 구멍(6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케이싱(20)의 센터구멍(26)에 중앙구멍(32)이 일치되게 조절판(31)이 장착되고, 상기 조절판(31)의 상부요홈(34)에 볼트(36)에 의해 체결된 사각너트(35)가 장착되고 상기 볼트(36)가 케이싱(20)의 안착부(25)에 안착된다. 그 후 상기 케이싱(20)의 센터구멍(26)과 조절판(31)의 중앙구멍(32)을 관통하여 캡(41)의 센터축(51)이 장착되고, 조절판(31)의 하부구멍(33)에 래치(50)의 회전축(51)이 장착되고, 상기 캠의 상부 요홈(43)과 케이싱(40) 사이에 제 1 스프링(46)이 장착되고, 래치(50)의 요홈(53)과 케이싱(40) 사이에 제 2 스프링(47)이 탄설된 후, 커버(60)의 각 구멍(61)이 케이싱(20)의 돌부(23a ∼23d)가 끼워져 케이싱(20)이 완전 조립된다. 그 후, 캠(40)의 센터축(42)의 사각형 중공구멍(41)이 끼워지고 볼트(17, 18)에 의해 케이싱(20)이 브라켓(10)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문이닫힐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래치(50)의 제 2 토우(54)가 문틀에 장착된 걸림부에 자동으로 록킹된다. 이 때 래치(50)는 제 2 스프링(47)의 장력을 이기게 된다.
또한, 닫힌 문을 열 때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래치(50)의 록킹이 해제될 때, 손잡이 레버(3)를 잡아당기면, 상기 손잡이 레버(3)는 최대 30。까지 회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 레버를 잡고 문을 열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회전체(15)의 돌부(16)가 가이드(13 또는 14)에 걸려 더이상 회전체(15)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손잡이 레버(3)의 회전에 의해 사각형 로드(1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사각형 로드(19)에 끼워진 캠(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 1 스프링(46)이 압축되고, 래치(50)의 제 1 토우(52)가 캠(40)의 돌부(44)를 넘어 측면(45)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래치(50)가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문틀(5)의 걸림부에서 록킹이 해제된다.
이와같이 작동하는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는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래치(50)의 길이를 조절하므로서 문틀의 걸림부에 완전하게 록킹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시 소음이 적으며 본출원인의 실용신안의 장점을 모두 갖는 효과가 있다.
위의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외에 여러 가지 방식을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벗어남 없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미닫이 문(1)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문을 열 때 손잡이 레버(3)를 잡고 문의 개방 방향으로 밀면 손잡이 레버(3)의 회전에 의해 래치(50)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문이 개방되고, 닫을 때 래치(50)가 자동으로 문틀의 걸림부에 자동으로 록킹되는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에 있어서,
    손잡이 레버(3)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에 볼트(17, 18)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싱(20)과, 상기 케이싱(20)에 장착되어 래치(5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30)과, 상기 조절수단(30)의 조절판(31) 상부에 장착되는 캠(40)과, 상기 캠(40)의 홈(43)과 케이싱(20) 사이에 장착되는 제 1 스프링(46)과, 상기 래치(50)와 케이싱(20) 사이에 장착되는 제 2 스프링(47)과, 상기 케이싱(20)을 커버하는 커버(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은 상하 양단에 4개의 체결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1)에서 안쪽으로 상기 볼트(17, 18)가 체결되는 고정구멍(12)이 형성되며, 중앙의 양측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가이드(13, 1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3, 14)의 안쪽에 회전체(15)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회전체(15)의 중앙에 사각형 로드(19)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체(15)는 손잡이 레버(3)에 연결되어 손잡이 레버(3)에 의해 회전되며, 하부 둘레에 돌부(16)가 형성되어 상기 돌부(16)가 가이드(13 또는 14)에 걸리므로서 회전이 정지되고, 손잡이 레버(3)에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스프링에 의해 돌부(16)가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케이싱(20)은 각각 2개의 구멍(21)이 형성된 플랜지부(22)가 상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커버(30)를 고정하기 위한 4개의 돌부(23a ∼23d)가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0)의 고정구멍(12)에 일치되도록 2개의 볼트구멍(24)이 상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돌부(23d)의 하부에 조절수단(25)의 볼트헤드(32)가 장착되는 안착부(25)가 형성되며 중앙에 사각형 로드(19)가 끼워지는 센터구멍(26)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30)은 케이싱(20)의 센터구멍(26)에 일치되게 중앙구멍(32)이 형성된 조절판(31)과, 상기 조절판(31)의 상부 요홈(34)에 끼워지는 사각너트(35)와, 상기 사각너트(35)에 체결되며 케이싱(20)의 안착부에 헤드(37)가 장착되는 볼트(36)로 구성되고,
    상기 캠(40)은 케이싱(20)의 센터구멍(26)과 조절판(30)의 중앙구멍(32)을 관통하는 센터축(4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제 1 스프링(46)이 장착되는 홈(43)이 형성되며, 하부에 돌부(44)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50)는 조절판(31)의 하부구멍(33)에 끼워지는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캠(40)의 돌부(44)에 걸리게 되는 제 1 토우(52)와, 상기 돌출부(52)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요홈(53)과, 상기 돌출부(52)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토우(54)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60)는 케이싱(20)의 돌부(23a ∼23d)에 끼워지는 4개의 구멍(61)과, 볼트(17, 18)가 끼워지는 구멍(52)과, 캠의 센터축(51)과 일치되게 중앙 구멍(6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16)의 회전각(a)은 20 ∼ 30。이며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축(42)에는 사각형의 중공구멍(41)이 형성되어 로드(19)가 상기 중공구멍(41)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문용 록킹장치.
KR10-2000-0056090A 2000-09-25 2000-09-25 미닫이문용 록킹장치 KR10037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090A KR100376254B1 (ko) 2000-09-25 2000-09-25 미닫이문용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090A KR100376254B1 (ko) 2000-09-25 2000-09-25 미닫이문용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363A true KR20020024363A (ko) 2002-03-30
KR100376254B1 KR100376254B1 (ko) 2003-03-15

Family

ID=1969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090A KR100376254B1 (ko) 2000-09-25 2000-09-25 미닫이문용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2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02B1 (ko) * 2007-04-13 2008-02-15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WO2011005768A2 (en) * 2009-07-07 2011-01-13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Sliding partition fasteners
KR101012497B1 (ko) * 2008-10-20 2011-02-08 (주)성림금속 창문 자동잠금장치
KR101020525B1 (ko) * 2008-07-25 2011-03-09 (주)명진 도어 자동잠금장치
KR101458924B1 (ko) * 2013-04-22 2014-11-07 (주)성림금속 도어용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8689Y2 (ko) * 1978-07-05 1981-05-01
JPS5926049Y2 (ja) * 1981-04-14 1984-07-30 松下電工株式会社 アコ−デオン式門扉用錠
JP2511798Y2 (ja) * 1991-11-28 1996-09-25 株式会社西製作所 錠 前
KR200147398Y1 (ko) * 1996-12-12 1999-10-01 이종학 창문의 잠금 장치
JPH10238188A (ja) * 1997-02-28 1998-09-08 Alpha Corp 戸先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02B1 (ko) * 2007-04-13 2008-02-15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020525B1 (ko) * 2008-07-25 2011-03-09 (주)명진 도어 자동잠금장치
KR101012497B1 (ko) * 2008-10-20 2011-02-08 (주)성림금속 창문 자동잠금장치
WO2011005768A2 (en) * 2009-07-07 2011-01-13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Sliding partition fasteners
WO2011005768A3 (en) * 2009-07-07 2011-05-05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Sliding partition fasteners
KR101458924B1 (ko) * 2013-04-22 2014-11-07 (주)성림금속 도어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6254B1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5965B2 (ko)
KR100376254B1 (ko) 미닫이문용 록킹장치
KR200488839Y1 (ko) 캐비넷 도어개폐장치
KR100456819B1 (ko) 천정점검구
JP2002357043A (ja) 蝶 番
KR200346760Y1 (ko)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JPH0247164Y2 (ko)
JPH07127324A (ja) 扉等開度調整器
KR200287052Y1 (ko) 랫치볼트 고정장치
WO2024116929A1 (ja) 扉用ヒンジ装置
US20050104387A1 (en) Latch handle device
JPH0978930A (ja) 自動復帰可能な蝶番
JPH0631522Y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用周辺機器の蓋回転角度調整機構
JPH0610051Y2 (ja) 障子の錠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960005220Y1 (ko) 방음문의 잠금장치
JPH0727665Y2 (ja) 電気・電子製品のコントロール部ドア用油圧ダンパ装置
JPS5830939Y2 (ja) ぜんまいばね装置のトルク調整装置
KR0118876Y1 (ko) 전기 취사기의 뚜껑 개방장치
JPH0536939Y2 (ko)
KR0132723Y1 (ko) 방음문 잠금장치
KR910008770Y1 (ko) 자동 경첩
JPS6016203Y2 (ja) 扉開閉装置
JPH08170466A (ja) 扉用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