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196A - 츄잉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츄잉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196A
KR20020023196A KR1020010085630A KR20010085630A KR20020023196A KR 20020023196 A KR20020023196 A KR 20020023196A KR 1020010085630 A KR1020010085630 A KR 1020010085630A KR 20010085630 A KR20010085630 A KR 20010085630A KR 20020023196 A KR20020023196 A KR 20020023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hewing
additives
gum
flav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민
박원철
Original Assignee
박원민
박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민, 박원철 filed Critical 박원민
Priority to KR102001008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196A/ko
Publication of KR20020023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196A/ko
Priority to KR10-2002-0079116A priority patent/KR100499828B1/ko
Priority to AU2002359050A priority patent/AU2002359050A1/en
Priority to CNB028263871A priority patent/CN1288991C/zh
Priority to PCT/KR2002/002460 priority patent/WO2003055325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3/36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vitamins, 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6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lollipops
    • A23G3/566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lollipops products with an edible support, e.g. a corne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4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2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4/12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vitamins, 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1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aerated products
    • A23G4/184Chewing gum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aerated products products with a supported structure
    • A23G4/18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aerated products products with a supported structure products with an edible support, e.g. a sti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10Securing foodstuffs on a non-edible supporting member

Abstract

①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IPC Section A 23G
IPC Section A 23P
②발명의 목적
기존 비의료용 추잉검의 주성분인 검베이스(Gum Base)의 Problem을 극복하는 Solution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추가 혜택까지 제공
③발명의 구성
목재 및 첨가물로 이루어진 기재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바
3분류(츄잉바 베이스와 그 제조방법/ 향미 첨가물/ 기능성 첨가물)로 구성
④발명의 효과
저작계 근육이완으로 긴장해소,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근육긴장 해소, 정신적 긴장(Psychic tension)해소, 감정적이며 신체적인 스트레스(Emotional and Physical stress)해소, 입안 악취제거, 향미를 즐기기(Enjoy Taste & sweet smell), 두뇌활동촉진 및 TMD, 점착성때문에 타물질 표면에 부착되어 끼치는 재정적 시간적 문화적 손해를 유발할 수 있는 기존 츄잉껌베이스(gumbase)의 문제점을 해결

Description

츄잉바 및 그 제조방법{Chewing Ba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속하는 기술분야를 현존체계로 분류하자면 아래와 같다
IPC Section A 23G
IPC Section A 23P
구체적으로,
저작계 근육이완으로 긴장해소,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근육긴장 해소, 정신적 긴장(Psychic tension)해소, 감정적이며 신체적인 스트레스(Emotional and Physical stress)해소, 입안 악취제거, 향미를 즐기기(Enjoy Taste & sweet smell), 두뇌활동촉진, TMD(동통을 포함)를 유발할 수 있는 츄잉껌베이스(gum base)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입에 물고 가볍게 씹는(chewing) 타입의 츄잉바(Chewing Bar) 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종래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굳이 비교 대상을 찾자면 본발명과 그 접근방식(Approach Aspect)이 다르지만 단순비교로서 두가지가 있다
첫째, 본발명과 상이하나 본문 용어설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의료분야에서는 의료용 스프린트(Splint)를 들수 있다 치과에서 진료되는 치과술식이며, 일반 대중에게는 스포츠빅스타들의 긴장해소, 근육이완, 스트레스해소 및 경기력향상 등을 위해 착용되는 경우가 언론을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으며, TMD를 앓고 있는 환자들의 착용으로 환자들 중심으로 인지된 술식이다
둘째, 본발명과 상이하나 일반 수퍼마켓에서 구입할 수 있는 츄잉껌이다
크게 3종(specimen1, specimen2, specimen3.) 으로 나눌 수 있다.
Specimen1. 관용적 츄잉껌
Specimen2. 저점착성 츄잉껌
Specimen3. 비점착성 츄잉껌으로 나눌수 있으며,
그 기능은 씹고자 하는 본능을 만족시켜주며, 향미와 씹는 기분을 즐기도록하며, 최근에는 자일리톨등의 각종 첨가물을 첨가하여 기능성(예를 들면, 충치예방,구취제거,졸음예방)을 추가시킨 제품까지 나오고 있으나,
3종 모두 그 츄잉껌의 기본 베이스 머티리얼(Chewing Gum Base Material)의 대부분은 합성수지 이다
따라서 그 기능성에 한계가 분명하며(Limited Effectiveness), 일정한 형태없이 씹어대는데로 변하는 Elastomer 및 합성중합체이므로 Unfavorable effects(unfavorable results)가 동시 다종 다수 동반된다.
일례를 들면 본문 용어설명에서 상기한바와 같이 형태가 일정치않는 일레스토머이므로 계속적으로 씹어대도록 저작계를 유도시킨다 따라서 저작계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쉽게 설명하면, 저작계의 근육(Muscle), 측두하악관절(TMJ), 인대(Ligaments), 근신경계(Neuromusclular) 및 저작계정렬구성계에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과활동을 부추겨서 TMD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더욱 쉽게 설명하면 츄잉껌을 6~7분이상만 계속 입안에 넣고 있어보면 얼마나 씹어대는지, 그리고 얼마나 턱관절에 무리(본인은 제일 처음 통증으로 느끼며, 그 이후 시간과 씹어대는 저작횟수가 증가할수록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바라지않던 부작용 예를 들면 이명, 작열감 등등)가 오는지는 츄잉껌을 씹어본 누구나 알 수 있는 극명한 사실이다.
또한 비점착성껌또한 기본 껌베이스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여러조건에서 비점착성의 효용을 보이고 있지만 그 한계성또한 일레스토머 및 합성중합체를 뛰어넘을수는 없는 것이다. 예를 들면 특1997-7004480의 데이터로서 콘크리트위 온도섭씨70도에서 2일동안 부착후 90%까지 떼어내는 성공적 실험실내 실험을 Report하였는데, 이것이 과연 현실적으로 얼마나 효용가치가 있는지는 실제 상황과 비교해보면 쉽게 알수있다 즉 우리나라 여름철 아스팔트 및 보도의 온도와 몇년씩 수많은 자동차와 사람들로 밟혀대서 붙어버리는 현실과 비교했을때 그 효용성이 의문시되고 현실적 Effectiveness를 실제로(제거에 필요한 금전적, 시간적 혜택을) 느낄수 있을까?
또한 관점(Aspect)을 달리하여, 문화적 측면에서 볼때 그 효용성은 더욱 차이 를 보인다
즉, 껌을 세계에 전파시킨 미국의 문화는 수업시간에 학생이 껌을 아무런 거리낌없이 씹어대어도 어떠한 주위의 제재를 받지 않는다. 하지만 그외의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츄잉껌을 수업시간에 국한된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공공장소와 많은 사람들속에서 씹거나 씹는 소리를 내는 것이 타인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여, 주위의 따가운 눈총을 받는 문화시민으로서의 자질을 의심받으며, 특히 그 폐기(씹은 껌을버리는)와 관련해서 위반시에는 벌금까지 부과되는 현실이다.
따라서 저작계에 무리가 가는지도 모르게 본능적으로 씹어대도록 유도하고, 스트레스를 풀려고 씹은 껌을 통해 오히려 본인의 신체에 스트레스를 주고, 타인의 불쾌감을 조성하여 주위의 눈총을 받아 격식을 갖추기가 불가능하며, 문화성자질을 의심받게 만들며, 폐기와 관련해서는 법적 벌금까지 부과받는 껌베이스의 개선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 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3종(specimen1, specimen2, specimen3.) 각각의 Problem 과 이에 대한 Solution Additional Adavantage of New Effectiveness(새로운 효과의 추가 혜택) 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즉, 종래 츄잉껌 기재 조성물의 단점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효과의 추가 혜택까지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Chewing Bar를 발명하는 것이다 콜럼부스의 신대륙발견을 범인들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비아냥거릴 때, 콜럼부스는 탁자위에 달걀을 깨뜨려 세우면서 단순한 발견이 아닌 새로운 생각의 발명임을 입증하였듯, 국익의 초석인 21C 신대륙 지적 재산권을 장려 보호하는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하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과제는 고정관념을 깨고 새로운 Chewing Bar 문화 를 세우는 것이다
specimen1.관용적 츄잉껌 (PROBLEM) 본 발명 Chewing Bar (SOLUTION)
Major Composition 검베이스(gum base 즉,합성수지 합성중합체, 일레스토머) Wooden(木材) Bar
Difference 구강내의 체온과 타액(Saliva)으로 연화시켜 香味가 녹아서 나옴. 즉, Acitive Chewing 반복적으로 씹어대야만 본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저작계가 부실한 환자 및 노약자, 특히 인공치, 틀니를 끼고 계신분은 사용하기 어렵다 구강내의 체온과 타액으로 香味가 녹아서 나옴 즉, 가볍게 턱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씹어도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또한 저작계가 부실한 환자 및 노약자, 인공치, 틀니를 끼고 계신분도 쉽게 즐기며 사용할수있다
results 무정형의 검베이스는 저작계를 자극하여 계속적으로 씹어대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치과에 내원하는 TMD환자들중에서 상당수는 츄잉껌등을 장시간 장기간 습관적, 신경질적 및 강박적 등으로 씹다가 참을 수 없는 동통에 도달해서야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가 상당수이다. 즉 검베이스의 장기 장시간 저작은 TMD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TMD환자에게 치과의사는 껌을 금기사항으로 지도하는 것이다 유정형의 목재 츄잉바는 계속적으로 씹어대도록 저작계를 자극하지 않는다 즉 입에 물고 가볍게 씹는 기분을 즐길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장기간 사용하여도 저작계의 근육, 신경, 건, 관절 및 구성계에 과활동과 긴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결국 TMD를 유발시킬 검베이스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additonal 무정형이므로 몇번 씹어대면, 향미등의 첨가물들이 쉽게 연화되어 나온다 따라서 맛, 향 및 기능성첨가물들의 기능유지 시간이 짧다 유정형이므로 씹어대어도, 향미등의 첨가물들이 쉽게 연화되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맛, 향 및 기능성첨가물들의 기능유지 시간이 길다
Stickiness 점착성 비교적 고온에서의 천연고무엘라스토머,천연검엘라스토머,합성고무엘라스토머,소수성합성중합체,수지검물질과 일반적 온도에서도 fat, wax, 일레스토머 용매 수지에의해 발생하는 Unfavorble Effect. 즉 본문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역효과 발생 고온이든 일반적 온도이든 또한 부착되버린 기간(시간)에 상관없이 그 어떻한 점착성도 발생하지 않는다 즉 제거를 위한 불필요한 시간적 경제적 경비를 요하지 않는다.
specimen2.저점착성 츄잉껌 (PROBLEM) 본 발명 Chewing Bar (SOLUTION)
Major Composition 검베이스(gum base 즉,합성수지 합성중합체, 일레스토머) Wooden(木材) Bar
Difference 구강내의 체온과 타액(Saliva)으로 연화시켜 香味가 녹아서 나옴. 즉, Acitive Chewing 반복적으로 씹어대야만 본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저작계가 부실한 환자 및 노약자, 특히 인공치, 틀니를 끼고 계신분은 사용하기 어렵다 구강내의 체온과 타액으로 香味가 녹아서 나옴 즉, 가볍게 턱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씹어도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또한 저작계가 부실한 환자 및 노약자, 인공치, 틀니를 끼고 계신분도 쉽게 즐기며 사용할수있다
results 무정형의 검베이스는 저작계를 자극하여 계속적으로 씹어대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치과에 내원하는 TMD환자들중에서 상당수는 츄잉껌등을 장시간 장기간 습관적, 신경질적 및 강박적 등으로 씹다가 참을 수 없는 동통에 도달해서야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가 상당수이다. 즉 검베이스의 장기 장시간 저작은 TMD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TMD환자에게 치과의사는 껌을 금기사항으로 지도하는 것이다 유정형의 목재 츄잉바는 계속적으로 씹어대도록 저작계를 자극하지 않는다 즉 입에 물고 가볍게 씹는 기분을 즐길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장기간 사용하여도 저작계의 근육, 신경, 건, 관절 및 구성계에 과활동과 긴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결국 TMD를 유발시킬 검베이스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additonal 무정형이므로 몇번 씹어대면, 향미등의 첨가물들이 쉽게 연화되어 나온다 따라서 맛, 향 및 기능성첨가물들의 기능유지 시간이 짧다 유정형이므로 씹어대어도, 향미등의 첨가물들이 쉽게 연화되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맛, 향 및 기능성첨가물들의 기능유지 시간이 길다
Stickiness 점착성 비교적 고온에서의 천연고무엘라스토머,천연검엘라스토머,합성고무엘라스토머,소수성합성중합체,수지검물질과 일반적 온도에서도 fat, wax, 일레스토머 용매 수지에의해 발생하는 Unfavorble Effect. 즉 본문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역효과 발생 고온이든 일반적 온도이든 또한 부착되버린 기간(시간)에 상관없이 그 어떻한 점착성도 발생하지 않는다 즉 제거를 위한 불필요한 시간적 경제적 경비를 요하지 않는다.
US3984574/US4357355/US4518615/US5266336/US4794003/US4721620/US5116626 자연치아, 인조 치과용 제품(특히 틀니), 충전제, 얼굴등 특정 부분에 잘 달라붙지 않는 특허이다 하지만 역시 껌베이스의 한계와 지방 왁스 일레스토머용매수지의 상당한 점착성의 한계는 분명하다 Wooden bar가 베이스머티리얼이므로 자연치아, 인조 치과용 제품(특히 틀니), 충전제, 얼굴등 특정 부분뿐만 아니라 껌베이스의 한계를 극복하며 추가 효과까지 제공한다
specimen3.비점착성 츄잉껌 (PROBLEM) 본 발명 Chewing Bar (SOLUTION)
Major Composition 검베이스(gum base 즉,합성수지 합성중합체, 일레스토머) Wooden(木材) Bar
Difference 구강내의 체온과 타액(Saliva)으로 연화시켜 香味가 녹아서 나옴. 즉, Acitive Chewing 반복적으로 씹어대야만 본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저작계가 부실한 환자 및 노약자, 특히 인공치, 틀니를 끼고 계신분은 사용하기 어렵다 구강내의 체온과 타액으로 香味가 녹아서 나옴 즉, 가볍게 턱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씹어도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또한 저작계가 부실한 환자 및 노약자, 인공치, 틀니를 끼고 계신분도 쉽게 즐기며 사용할수있다
results 무정형의 검베이스는 저작계를 자극하여 계속적으로 씹어대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치과에 내원하는 TMD환자들중에서 상당수는 츄잉껌등을 장시간 장기간 습관적, 신경질적 및 강박적 등으로 씹다가 참을 수 없는 동통에 도달해서야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가 상당수이다. 즉 검베이스의 장기 장시간 저작은 TMD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TMD환자에게 치과의사는 껌을 금기사항으로 지도하는 것이다 유정형의 목재 츄잉바는 계속적으로 씹어대도록 저작계를 자극하지 않는다 즉 입에 물고 가볍게 씹는 기분을 즐길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장기간 사용하여도 저작계의 근육, 신경, 건, 관절 및 구성계에 과활동과 긴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결국 TMD를 유발시킬 검베이스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additonal 무정형이므로 몇번 씹어대면, 향미등의 첨가물들이 쉽게 연화되어 나온다 따라서 맛, 향 및 기능성첨가물들의 기능유지 시간이 짧다 유정형이므로 씹어대어도, 향미등의 첨가물들이 쉽게 연화되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맛, 향 및 기능성첨가물들의 기능유지 시간이 길다
Stickiness 점착성 비교적 고온에서 원하지않는 불필요한(Unfavorable effect) 점착성을 일으키는 천연고무엘라스토머,천연검엘라스토머,합성고무엘라스토머,소수성합성중합체,수지검물질로 구성. 즉 본문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역효과 발생 고온이든 일반적 온도이든 또한 부착되버린 기간(시간)에 상관없이 그 어떻한 점착성도 발생하지 않는다 즉 제거를 위한 불필요한 시간적 경제적 경비를 요하지 않는다.
PCT/US95/013890 자연치아, 인조 치과용 제품(특히 틀니), 충전제, 얼굴등 특정 부분뿐만 아니라, 지방 왁스 일레스토머용매수지를 배제하여 상당한 점착성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하지만, 껌베이스의 한계는 역시 분명하다 Wooden bar가 베이스머티리얼이므로 자연치아, 인조 치과용 제품(특히 틀니), 충전제, 얼굴등 특정 부분뿐만 아니라 껌베이스의 한계를 극복하며 추가 효과까지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의 설명(Terminology)>*
Gum(검) : 1.치은(齒冽<しぎん>,齒肉<しにく>,치경(齒莖)이라고도 한다.) 잇몸(Gingiva) The Gingiva is one portion of the oral mucosa. it is also the most peripheral component of the periodontium. Gingiva begins at the mucogingival line, and covers the coronal aspect the mucogingival line is absent; the gingiva here is a part of the keratinized, non-mobile palatal mucosa. the gingiva ends at the cervix of each tooth, surrounds it and forms there the epithelial attachment by means of a ring of specialized epithelial tissue(junctional epithelium)
2.검, 고무. 여러 가지 식물의 점성물질(粘性物質). 고무를 가수분해하면 헥소스, 펜토스, 우론산으로 된다. Ex1.Sterculia Gum.Sterculiaurens또는 벽오동(碧梧桐)속(屬)의 다른 종류로부터 나오는 고무모양의 삼출물을 건조시킨것으로서 부피형성 설사제로 쓰인다.
추잉검(Chewing Gum) :씹으면서 풍미를 즐길 수 있도록, 치클과 그 비슷한 탄성물질을 가미한 것. 향미와 씹는 기분을 즐기는 껌. 발상지는 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빈과 마찬가지로 멕시코로 알려져 있다. 300년경에 중앙아메리카에 살고 있던 마야족 중에는 사포딜라의 수액의 고체화(Solidified)된 치클(Chicle) 을 씹으며 즐기는 습관이 있어 이것이 추잉검의 최초의 것이라고 전한다. 마야족의 이러한 습관은 이후 아메리칸 인디언에게도 전파돼 아파치족, 코만치족에 이어 케네벡사람들에게 전수됐으며 이후 콜럼부스의 신대륙 발견과 함께 널리 전파됐다고 한다. 지중해 연안 사람들은 일찍이 고대부터 치아청결과 구취제거를 위해 유향나무의 달콤한 진을 씹었는데, 추잉 검은 이러한 습관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뉴잉글랜드 식민지 사람들도 인디언에게서 같은 목적으로, 향과 떫은 맛이 있는 젓나무 진을 씹는 전통을 배웠다. 그 후 1860년경부터 멕시코의 장군 S.아나, 미국의 T.애덤스와 J.콜건 등에 의하여 연구 ·개량되어 현재의 것과 같은 껌이 되었다. 치클을 가장 처음 상품화한 사람은 19세기경 미국인 토마스 애담스(Tomas Adams)인데,「치클껌왕」으로 불리고 있는 애담스는 치클을 타이어에 이용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치클라텍스는 탄력성이 부족하고 경화되지 않아 강에 버리려다가 약국에서 파라핀왁스로 만들어진 츄잉껌 보고 껌을 만들어 상품화했다고 하며, 같은시기에 약국을 경영하는존 콜간(John Colgan)이란 사람이 치클에 향료를 넣어 만드는 일을 생각해 내었으며 이후 많은 사람들에 의해 치클에 향료, 설탕, 첨가물 등을 넣는 것이 고안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맛있고 기능이 뛰어난 츄잉껌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일례를 들자면, 풍선껌은1928년 Walter E. Diemer가 분홍색 색소를 첨가해 만든 것이 그대로 일반화됐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 풍선껌이 유럽의 암시장에서 거래된 이후 유럽의 암시장을 핑크마켓(Pink Market)이라고도 일컫게 될정도로 인기를 얻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츄잉껌은 오직 미국에서만 생산되 미군들에 의해 유럽 및 세계 각국에 대중화되어 향미와 단물을 빨아먹는 것, 풍선껌 ·당의(糖衣)껌 ·캔디껌 및 무가당껌의 종류로 나눌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대부분 껌제품은 천연수지나 합성수지 (Solid!, Not Liquid! 고체이다!, 액체가 아니다!) 에 감미와 향료 등을 혼합하여 구강 내의 체온과 타액으로 적절한 도수로 연화 (Soften) 시켜, 감미와 향료 등이 녹아서 나오게 배합된 것이다.(* 사포딜라 sapodilla <Achras zapota> 추잉검나무 라고도 한다. 습한 열대지방에서 자라며, 높이 약 20m이고 잎은 어긋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길이 4∼15cm, 나비 2.5∼6cm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이고 지름 8∼10cm로 노란빛을 띤 갈색에서 붉은 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2∼6개가 들어 있으며, 열매가 달고 향기가 좋기 때문에 날로 먹거나 통조림 등을 만든다. 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젖 같은 즙이 나오며 이것의 고체화(Solidified!)된 것을 치클(Chicle) 이라 하고 껌을 만드는 원료로 쓴다.)
Elastomer 탄성중합체 彈性重合體 : 외력(外力)을 가해서 잡아당기면 몇 배나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는(반대로 압축해도 마찬가지이다)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로서,엘라스토머라고도 한다. H.L.피셔가 탄성이 현저한 고분자에 붙인 이름이다. 이와 반대로 현저한 소성(塑性)을 나타내는 고분자물질을 소성중합체(plastomer)라고도 한다. 탄성중합체의 대표적인 것에 탄성고무라고 하는 가황(加黃)고무가 있다. 이 경우힘을 가하면 늘어나는 것은, 긴 선상(線狀) 고분자 사이가 미끄러져서 전체적으로 길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거기에는 다리(가황고무에서는 예를 들면 -S-S-라는 황이다)가 걸쳐져 있기 때문에, 가하던 힘을 멈추면 변형되었던 다리의 관계가 분자운동에 의해서 원래의 안정된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쇠막대기를 큰 힘으로 잡아늘이는 것은 원자 사이의 거리가 억지로 늘어나는 것이므로, 이것과 사정이 전혀 다르다.1964년경에 화학적 결합이 없는 탄성중합체가 탄생하였다. 하나는 탄성섬유(일반명 스판덱스)인데, 이것은 고무와 같은 고분자를 우레탄 결합으로 더욱 중합체로 만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우레탄기(基)가 상호간에 강하게 잡아당겨서 탄성고무에서의 황의 다리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그후에 나타난 열가소체(熱可塑體:thermoelastomer)로서, 다리걸침이 없는 탄성고무이다. 예를 들면, 부타디엔과 스티렌을 블록적으로 혼성중합[共重合]시킨 것 등이다. 폴리스티렌은 단단한 블록 부분이 되어 서로 강하게 끌어당겨서 다리의 구실을 하고 있다.
천연 고무 엘라스토머 : 고무 라텍스, 구아율 등과 같은 탄성중합체
천연 검 엘라스토머 : 치클, 제루통(jelutong), 발라타(balata), 구타페르카(guttapercha), 레치 카스피(lechi caspi), 소르바(sorva), 펜다르(pendare), 페릴로(perillo), 레체 데 바카(leche devaca), 니거 구타(niger gutta), 투누(tunu), 치키불(chiquibul), 크라운 검(crown gum) 등과 같은 탄성중합체
합성 고무 엘라스토머 :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등과 같은 탄성중합체
Hydrophobic(소수성) 합성 중합체 :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라우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탄성중합체
수지 검 물질 : 천연고무일레스토머/천연검일레스토머/합성고무일레스토머/소수성합성중합체들의 다양한 혼합물과같은 수종의 Gum
Chewing Gum Base :천연 고무 엘라스토머/ 천연 검 엘라스토머/ 합성 고무 엘라스토머/ Hydrophobic(소수성) 합성 중합체/ 수지 검 물질로 구성된다
구성 비율은 최종 산물의 구하고자하는 츄잉껌의 Texture(질감), 점조성(Consistency), 저작성(Masticating, Chewing), 점착성(Stickiness), 풍미방출성, 저작팽창성, Springiness(탄력성, Flexible), 막형성능(Membrane Formation)및 탄성능(Elasticity)에따라 변화한다
즉, 츄잉껌 조성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Major composition of Chewing Gum.
Fat(지방) : 목화씨와 대두유를 포함하는 수소화된 또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식물성 기름, 수소화된 또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동물성 지방, 코코아 버터 등과같은 지방은 검 기재의 점도를 감소시켜 점착성이 생기게 한다 즉, 츄잉껌에 유연성(favorable), 가소화(Favorable), Stickiness(점착성/Unfavorable), 풍미방출저하(Unfavorable)를 제공한다
Wax(왁스) : 파라핀 왁스, 미세 결정성 왁스, 석유 왁스, 천연 왁스등과 같은 왁스는 츄잉검의 Masticatory(저작성) 탄성을 개선(Favorable), 또한 점도를 감소시켜 점착성(Unfavorable)을 증대시킨다
엘라스토머 용매 수지 : 수소화된 로진, 이량화 로진, 또는 중합 로진을 포함하는 로진 또는 변형 로진의 메틸, 글리세롤, 또는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및 폴리테르펜과 α-피넨 또는 β-피넨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테르펜수지 등과 같은 엘라스토머 용매 수지는 츄잉껌의 유연성(favorable), 가소성(favorable), Bulkiness(저작 팽창감, favorable), 점착성(Unfavorble) 제공한다
Stickiness(점착성) : 천연고무엘라스토머,천연검엘라스토머,합성고무엘라스토머,소수성합성중합체,수지검물질,fat, wax, 일레스토머 용매 수지에의해 발생하는 Unfavorble Effect 로서 다음과 같다 즉, Mastication중에는 자연치아, 인조 치과용 제품(틀니)에 쉽게 달라붙어 불쾌감을 유발하며, 폐기시에는 의류, 보도, 벽, 콘크리트, 대리석, 나무, 마루, 아스팔트 포장도로, 카페트, 가죽, 머리카락 및 천과 같은 각종 표면에 강력하게 부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흔적이 추하게 얼룩으로 장기간 남으며 인적/물적 제거 비용또한 상당하다 그로 인해, 판매자들이 종래의 츄잉검을 영화관, 연극장, 병원, 호텔, 세미나실, 학회실, 공공건물, 학교, 일정규모이상의 빌딩, 광장, 공원, 각종 경기장(야구,축구,농구...), 학원, 버스휴게소, 공항, 휴게실, 각종 복합상가/사무실, 대합실, 기차역, 놀이공원 및 유원지와 같은 많은 운집장소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것이 금지되어, 일례로 싱가포르는 츄잉검의 판매를 국가차원에서 강력히 금지하며 허락된 제한 장소를 위반시 상당한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따라서 판매자는 판매를 충분히 할수 없고, 구매자는 많은 장소에서 껌을 Chewing하고 싶은 욕구를 제재당하므로 생산자/판매자/구매자(소비자) 모두 큰 피해를 보고 있다. 따라서, 점착성을 전혀 가지지 않는 조성물과 새로운 효과의 추가 혜택까지 제공하는 새로운 츄잉바는 많은 생산자/판매자/소비자로부터 호응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Minor Composition of Chewing Gum (츄잉껌의 소량 구성분/츄잉껌의 소량기재 조성물) : Filler충전제, Plasticizer가소제, Surfactant계면활성제, 유동조절제, Emusifying Agent유화제, 유연제, 감미료, 풍미제, Antioxidant산화 방지제酸化防止劑, Coloring agent착색제着色劑
Filler충전제 :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알루미나, 활석, 인산 삼칼슘, 합성 및 천연 점토, 및 이들의 혼합물들이다. 일반적 다용도 1st Choice 충전제는 탄산칼슘이다. 충전제의 함유량은 최종 츄잉검에 요구되는 풍미 방출성, 인테그리티 및 비점착성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충전제는 검기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고 약 30 중량%, 보통 5 내지 30 중량%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0 중량%, 가장 최적의 상태를 위해서는 약 10 중량%의 양으로 검 기재 조성물에 사용된다
Plasticizer가소제 : 최종 츄잉검에 저작 팽창성(chewing bulkiness) 및 유연성과 같은 바람직한 다양한 Texture & Consistency를 제공한다.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리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가소제의 양은 최종 츄잉검에 요구되는 저작 팽창성 및 유연성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어야 한다. 전형적으로, 가소제는 검 기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 내지 약 15 중량%, 일반적으로는 약 4 내지 약 12 중량%, 가장 최적의 상태를 위해서는 약 7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Surfactant계면활성제 : 수성-소유성 평형(HLB)이 약 7보다 커야 한다.적합한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 라우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4) 소르비탄 모노 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5)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등이다. 첨가 양은 최종 츄잉검에 요구되는 유연성 및 비점착성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는 츄잉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1.5 중량%, 최적의 상태를 위해서는 약 1.0 중량%의 양으로 츄잉검 조성물에 사용된다.
유동조절제 : 무정형 실리카, 훈증(fumed) 실라카, 침전성 알루미나, 천연 및 합성 점토, 활석, 셀룰로오스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들이다. 최종 츄잉검에 요구되는 유동성및 비점착성에따라 종류와 양이 결정되며 바람직한 츄잉검의 유동성은 최종 츄잉검이 저작되는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츄잉검이 실질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는 정도이다. 따라서, 츄잉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1.5 중량%, 최적의 상태를 위해서는 약 0.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Additional Plasticizer추가가소제 : 80~85°C로 용융된 Chewing Gum Base 기재를 캐틀에 투입한 후 추가 되는 가소제.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리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추가가소제는 츄잉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0.8 중량%의 양으로 츄잉검 조성물에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가 추가가소제로서 사용될 때 사용되는 양은 약 0.15 내지 약 0.25 중량%이다.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리드가 추가가소제로서 사용될 때 바람직한 양은 약 0.6 중량%이다.
Emusifying Agent유화제 : 유화제는 츄잉검 조성물의 비혼화성 성분을 단일 계로 분산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이다. 레시틴, 글리세롤, 글리세를 모노올레이트, 지방산의 락틸릭 에스테르, 글리세롤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락틸화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 디 트리-스테아릴아세테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사이트레이트, 스테아르산, 스테아릴 모노글리세리딜 사이트레이트, 트리아시틸 글리세린, 트리에틸 사이트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들이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레시틴과 스테아르산이다. 일반적으로,유화제는 츄잉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고 약 2 중량%의 양으로 츄잉검 조성물에 사용된다.
유연제 : 글리세린, 고과당 옥수수시럽, 옥수수 시럽, 소르비톨 용액, 수소화 전분 가수분해물, 비-수소화된 면실유와 같은 완전히 불포화된 식물성 기름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유연제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미국 약전(USP) 등급과 같은 무수 글리세린이다. 글리세린은 단맛을 가지는 시럽성 액체로 사탕수수 당의 감미도의 60% 정도를 가진다. 글리세린의 흡습성이 있기 때문에, 무수 글리세린은 츄잉검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통해 무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연제는 츄잉검 조성물의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 중량%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츄잉검 조성물에 사용된다. 완전히 불포화된 식물성 기름을 유연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츄잉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를 초과해서는 안되며, 초과하는 경우 Unfavorable Effect를 유발한다.
감미甘味료 : 당류 감미료의 예로는 단당류, 이당류, 및 크실로오소, 리보오스,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프락토오스, 레불로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전분, 옥수수 시럽 및 고과당 옥수수 시럽과같은 다당류등이다.
당알콜 감미료의 예로는 소르비톨, 크실리톨, 만니톨, 이소말트 및 수소화 전분 가수분해물등이다.
강력 감미료의 예로는 US특허4619834에 개시된 바와 같이 a) 디히드로칼콘스, 모넬린, 스테오비오시드, 감초, 디히드로플라베놀 및 L-아미노디카르복실산 아미노알켄산 에스테르 아미드와 같은 수용성 천연 강력 감미료 및 이들의 혼합물, b) 나트륨 또는 칼슘 사카린염, 시클라메이트염, 3,4-디히드로-6-메틸-1,2,3-옥사티아진-4-온-2,2-디옥시드의 나트륨염, 암모늄염 또는 칼슘염, 3,4-디히드로-6-메틸1,2,3-옥사티아진-4-온-2,2-디옥시드의 칼륨염(Acesulfam-K),유리산 형태의 사카린등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수용성 사카린염을 포함하는 수용성 인공 감미료, c) 1-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아스파탐) 및 US특허3492131에 기재된물질, L-알파아스파틸-N-(2,2,4,4-테트라메틸-3-티에타닐)-D-알라닌아미드 수화물(알라탐), L-아스파틸-L-페닐-글리세린과 L-아스파틸-L2,5-디히드로페닐-그리신의 메틸에스테르, L-아스파틸-2,5-디히드로-L-페닐알라닌, L-아스파틸-L-(1-시클로헥센)-알라닌 등과 같은 L-아스파르트산 유도감미료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디펩티드 기재 감미료, d) 예를 들어 수크라로스의 제품명으로알려진 클로로데옥시수크로오스 유도체 또는 클로로데옥시칼락토스크로오스의 유도체와 같은 클로로데옥시당 유도체와 같은 보통 당(수크로오스)의 염화 유도체와 같은 천연 수용성 감미료에서 유도된 수용성 강력 감미료(여기에서, 클로로데옥시수크로오스 또는 클로로데옥시갈락토수크로오스 유도체의 예로는 1-클로로-1'-데옥시수크로오스, 4-클로로-4-데옥시-α-D-갈락토피라노실-α-D-프락토푸라노시드, 또는 4-클로로-4-데옥시갈락토수크로오스; 4-클로로-4-데옥시-α-D-갈락토피라노실-1-클로로-1-데옥시-β-D-프락토-푸라노시드, 또는 4, 1'-디클로로-4, 1'-디데옥시갈락토수트로오스; 1', 6'-디클로로-1', 6'-디데옥시수크로오스; 4-클로로-4-데옥시-α-D-갈락토피라노실-1, 6-디클로로-1, 6-디데옥시-β-D-프록토푸라노시드, 또는 4, 1', 6'-트리클로로-4, 1', 6'-트리데옥시갈락토수크로오스; 4, 6-디클로로-4, 6-디데옥시-α-D-갈릭토피라노실-6-클로로-6-데옥시-β-D-프락토푸라노시드, 또는 4, 6, 6'-트리클로로-4, 6, 6'-트리데옥시갈락토수크로오스; 6,1', 6'-트리클로로-6, 1', 6'-트리데옥시수크로오스; 4, 6-디클로로-4, 6-디데옥시-α-D-갈락토-피라노실-1, 6-디클로로-1, 6,-디데옥시-β-D-프락토푸라노시드, 또는 4, 6, 1', 6'-테트라클로로-4, 6, 1', 6'-테트라데옥시갈락토-수크로오스;및 4, 6, 1', 6'-테트라데옥시-수크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 토마오코우스다니엘리(thaumaoccous danielli)(Thaumatin Ⅰ 및 Ⅱ)와 같은 단백질 기재 강력 감미료를 포함한다.
츄잉검 조성물에 사용되는 감미료의 양은 특정 츄잉검을 위해 선택된 감미료의 종류에 따라 변할 것이다. 그러므로, 주어진 모든 감미료는 요구되는 감미도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당류 감미료 및 당알콜은 일반적으로,츄잉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강력 감미료는 일반적으로, 츄잉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고 약 1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0.4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풍미제 : 스피아민트유, 계피유, 동록유(메틸살리실레이트), 박하유(薄荷油 peppermint oil), 레몬, 오렌지, 라임 및 그래이프프루트(Grape Fruit)를 포함하는 감귤류오일;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딸기, 로즈베리, 체리, 자두, 파인애플 및 살구를 포함하는 과일 에센스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모든 자연,인공 또는 합성 풍미제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양은 요구되는 풍미의 유형과 강도에 따른다. 일반적으로, 츄잉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풍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Food Antioxidant식품산화 방지제食品酸化防止劑 : 산소의 작용에의한 자동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서, 과이액지(脂)·시스테인염산염·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노르디히드로구아자레트산·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갈산[沒食子酸]프로필 등이다. 특히 식품산화방지제는 지방질이나 비타민 A,D 등을 함유한 식품의 산패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품첨가물로서 지방질이나 여기에 녹는 비타민 A,D 등을 함유한 식품은 시간이 경과하면 이들 성분이 산화되어 산패(酸敗)라는 변질현상을 가져오는데 이것을 사용하여 변질을 막는다. 산화방지제로는 아스코르브산 ·에리소르브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HA) ·갈산프로필 등이 있다. 이 밖에 그 자신은 산화방지효과가 없지만 산화방지제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시트르산과 같은 유기산이 있는데 이것들을 상승제라 한다. 산화방지제는 지방질이 자동산화를 일으키고 연쇄적으로 산화가 진행되는 것을 중단시키는 구실을 한다.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 식품과 사용량이 각각 식품위생법에 제한되어 있다.
Coloring agent착색제着色劑 : 껌의 빛깔을 내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서, 천연색소와 인공색소가 있는데, 천연색소는 예로부터 사용된 황색의 심황 ·치자 ·사프란, 녹색의 엽록소 등이 있다. 엽록소는 가루차 ·쑥과 같은 녹색식물을 이용한 것이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인공색소이며, 이에는 타르계 색소와 비타르계 색소가 있다. 타르계 색소는 원래 직물의 염료로서 합성된 것으로 유해한 것이 많기 때문에 사용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현재 허가되어 있는 것은 식용색소 녹색 3호 ·적색 2호 ·적색 3호 ·청색 1호 ·청색 2호 ·황색 4호·황색 5호뿐이다. 목적하는 빛깔을 내기 위해서는 허가된 색소들을 배합한다. 비타르계 색소는 천연색소를 화학합성하거나 화학 처리한 것으로 β-카로틴 ·수용성 안나토 ·황산구리 ·산화제이철 ·캐러멜, 구리 및 철 클로로필린나트륨 ·산화티타늄 등이 허가되어 있다.
Xylitol자일리톨 : 천연 소재 감미료로서 설탕과 비슷한 단맛을 내며 뛰어난 청량감을 주는 것으로, 채소나 야채 중에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 내에서는 포도당 대사의 중간 물질로 생성되며, 상업적으로는 자작나무나 떡갈나무 등에서 얻어지는 자일란, 헤미셀룰로즈 등을 주원료로하여 생산되고 있으며 그 주산지는 임산 자원이 풍부한 핀란드다 자일리톨은 대표적인 충치유발균인 Streptococcus Mutans(스트렙토코쿠스 뮤턴스. Gram positive인 보통 혐기성으로 치과의사에게 가장 잘 알려진 충치 유발균의 하나)의 성장을 억제하고 치아 표면의 세균막인 Plaque(프라그, 치면세균막) 형성을 감소시키며 프라그 내에서의 산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충치 예방 기능을 한다 고농도의 용액은 치아에서 Enamel(법랑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미 이탈된 법랑질이 재침착 하도록 한다는 Report도 있다 불소와 함께 사용할 경우 충치 예방 효과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고도 한다 이러한 자일리톨의 구강 보건 상 장점은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연구 결과를 통해 잘 알려져 있으며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아 국가를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의 치과의사 협회에서는 자일리톨이 다량 함유된 제품에 대하여 공식적인 인증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불소와 불화나트륨(F, NaF) : 불소성분은 지질에 250∼600ppm의 농도가 존재한다. 지각에서는 13번째로 많은 요소이며 바다 물에서는 12번째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불소이용이 환경을 오염 시킬 수는 없다. 불소용액 양치법은 0.05% 불화나트륨 용액으로 매일 양치하는 방법과 0.2불화나트륨 용액으로 일주일에 한번씩 하는 방법이 있다 유아의 경우 입안의 양치 물을 뱉는 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0.05% 불화나트륨 용액을 택하며 초등학교, 중학교학생의 경우에는 0.05% 불화나트륨 용액으로 매일 양치하는 방법이 있고 0.2% 불화나트륨 용액으로 1주일에 1번 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불소용액양치법으로 40∼50%의 충치 예방 효과를 얻었다. 불소용액의 양치과정은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이를 3분간 닦은 후 1분간 약 10cc의 불소나트륨용액을 입에다 물고 꿀꺽거리는 방법과 이를 닦지 않고 1분간 약 10cc의 불소나트륨용액을 입에 물고 꿀꺽거리는 방법이다. 이를 닦은 후에 1분간 불소나트륨 용액장치를 하는 방법은 이닦기를 습관화하여 잇몸병까지 예방할 수 있고 이를 잘 닦음으로 해서 충치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칫솔질후에 불소용액 양치를 하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과의사협회의 공식입장과 국민홍보주력과 반향되게 일부 시민단체의 안전성과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로 반대입장을 표명하는 사람도 있으나 현재까지 학계에서는 공인된 바 없다 즉 불소는 독성이 강한 원소이나 충치를 예방할 목적으로 인체에 미량의 불소를 투여했을 경우 아무런 위해 작용을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될 필수 영양소로 알려져 있다. 식염은인간의 생리현상을 유지하는데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그리고 적절히 사용하면 약물이 되나 많이 사용하면 독작용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불소도 인체내의 골과 치아에 존재하며 충치에 대한 저항성을 유지하는 영양소다. 이전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번에 250∼1000㎎의 불화물을 섭취하면 구토증세가 나타난다. 따라서 불소용액 양치 후에 입안에 10∼15%의 불소나트륨 용액이 남아있을 수 있는데 0.05% 불화나트륨 10cc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총불소량 2.26㎎중에서 0.23∼0.34㎎정도만이 입안에 남을 수 있어 안전하다. 0.2% 불화나트륨 10cc로 양치하는 경우에도 총 불소량 9.05㎎중에서 0.91∼1.36㎎ 정도가 입안에 남을 수 있어 안전하다.
녹차 綠茶 (green tea) : 발효시키지 않은 찻잎[茶葉]을 사용해서 만든 차로서녹차를 처음으로 생산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곳은 중국과 인도이다. 그 후 일본 ·실론 ·자바 ·수마트라 등 아시아 각 지역으로 전파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중국에 이어 일본이 녹차 생산국으로 자리잡고 있다. 차는 제조과정에서의 발효 여부에 따라 녹차 ·홍차 ·우룽차로 나뉜다. 어떤 차를 제조하든 차나무의 잎을 원료로 사용한다. 새로 돋은 가지에서 딴 어린잎을 차 제조용으로 사용하며, 대개 5월 ·7월 ·8월의 3차례에 걸쳐 잎을 따는데, 5월에 딴 것이 가장 좋은 차가 된다. 차나무는 상록수로 비교적 따뜻하고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 잘 자란다. 녹차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딴 잎을 즉시 가열하여 산화효소를 파괴시켜 녹색을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수분을 증발시켜 잎을 흐늘흐늘하게 말기 좋은 상태로 말린다. 예전에는 사람이 가마솥에서 직접 잎을 손으로 비벼 말았다. 그 후 가열을 계속하여 대부분의 수분을 제거하여 어느 정도 바삭바삭하게 만든다. 근래에 와서는 증열기 ·조유기(粗蘭機) ·유염기(蘭捻機) ·재건기(再乾機) ·정유기(精蘭機) ·건조기 등을 사용하여 차를 제조한다.
녹차엑기스의 성분과 효능
성분 효능
카페인 이뇨, 강심, 각성, 피로회복 작용
타닌산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상승억제, 단백질 침전작용
비타민C 생체기능의 활성화, 괴혈병 예방
비타민E 생식기능의 촉진
루틴 혈관벽의 강화
에피갈 카테킨 가레트 항돌연변이, 항종양작용, 과산화지질의 억제
불소 충치예방
녹차 추출 엑기스 혈당저하
녹차 프라보노이드 입내제거
은행 銀杏과 은행잎 : 지름 약 2cm이다. 은행나무는 암구딴그루로서로서 10월에 암그루에 달린 열매가 황색으로 익는다. 열매 바깥쪽의 외과피(外果皮)는 다육성으로 악취가 난다. 외과피의 안쪽에 2개의 모서리가 있는 흰색의 단단한 중과피를 가진 달걀 모양 원형의 종자가 있다. 이것을 은행 또는 백자(白子)라 한다. 중과피 안쪽에 갈색피막의 내종피가 있고 이 속에 청록색의 배젖이 있는데 인(仁)이라고 한다.이 배젖의 성분은 탄수화물 34.5%, 단백질 4.7%, 지방 1.7% 외에 카로틴, 비타민 C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 밖에 청산배당체(靑酸配糖體)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은행을 많이 먹으며 중독을 일으키는 수가 있다. 은행을 볶아서 그냥 먹거나 술안주로 하고 신선로 등 여러 음식에 고명으로 이용한다. 한방에서는 백과(白果)라 하여 진해·거담 등의 효능이 있어 해수·천식·유정(遺精)·소변의 백탁(白濁) ·잦은 소변 등에 처방하며 자양제(滋養劑)로도 복용한다.
은행잎은 현재 순환계 질환예방, 노화방지제,악취제거제 , 경피흡수촉진제, 해독제, 빈혈치료제 등에서 은행잎을 재료로한 국제 특허가 무려 90여 종류에 달하고 있다. 이는 은행나무의 쓰임이 많고 은행잎 엑스제가 의약품으로 각광받고 있다는 좋은 증거이다. 은행나무를 이용한 의약품등은 세계적으로 연간 약10억$(한화 약 1조 2000억원)에 달하는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예컨대, 독일은 1986년 은행잎을 재료로 한 단일 상품으로 판매순위 2위를 차지했다. 연간 30% 이상의 판매성장의 경이적인 기록과 함께 1989년에는 약 4억2,000만 마르크(한화 2,5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프랑스에서도 은행잎엑스제 타나칸(Tanakan)이 125의 성장률로 약 8억프랑(한화1,7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그런가하면 열매인 은행은 볶아서 그냥 먹거나 신선로 등의 여러 음식에 고명으로 이용되고 과자의 재료가 되기도 하며 날 것으로 먹기도 한다. 옛날에는 처녀가 시집가는 날 새벽에 어머니가 볶은 은행을 딸에게 먹이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장수를 돕는 식품이거나 기침과 천식을 다스리고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준다. 한방과 민간에서는 껍질을 벗겨말린 씨를 백과(白果)라 하여 폐와 위를 깨끗하게 해주거나 진해, 거담에 약제로 쓰고 있다. 옛 서적에는 진해제로 쓰며 ,소변의 빈도를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는 내용이 있다. [본초강목]에는 '은행을 익혀서 먹으면 폐를 온하게 하고, 천식과 기침을 진정시킨다 '라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중약대사전]에도 은행잎은 심장의 기능을 돕고 폐에 효험이 있으며 설사를 멎게하고 가슴앓이, 가래,천식,수양성하리(水樣性下痢) 등을 치료 하는데 널리 이용되었다는 내용이 있다. 은행의 성분은 탄수화물이 주가 되는데 특히 녹말이 많고 자당이 다음으로 많다. 단백질의 함량도 많고, 지방은적지만 레시틴을 함유하며 소량의 에르고스테롤도 함유한다. 비타민은 곡물보다 조금 많고 카로틴이나 비타민C도 소량있으며 소화율도 좋은 편이다. 그런데 은행을 많이 먹으면 중독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이것은 청산 배당체에 의한 것이다. [산림경제]에는 과식하면 소화기를 해치고 중독성이 있다고 기록돼 있는데 ,어른은 1회에 10~15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잎에도 여러가지 화합물이 들어 있는데 ,특히 방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부틸산이 들어 있어서 잎을 책속에 넣어두면 책에 좀이 먹지 않으며, 몇몇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은 사람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많은 의약품이 시판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은행(열매) 생산량은 1996년의경우 803톤이다. 지역별로는 충남이 331톤으로 전체생산량의 41%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전북 경기의 순이다. 1996년의 은행잎 생산량은 2,383이며, 충남지역의 생산이 가장 많다. 요즈음 우리나라에서 수확되는 잎은 대부분 독일 등으로 수출되고 있다. 국내의 판로는 아직 부진하지만 제약회사 등으로 판매망을 넓힐 경우 소득원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은행은 중국에서 수천년 동안 식품과 약품 두 가지로 사용돼 왔는데 ,요즘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은행의 푸른잎 , 유럽에서 20년간 걸쳐 연구된 내용이 지난해 [미국의학협회]학술잡지(1997년 10월22/29일자) 에 발표되었는데 , 그핵심 내용은 '경미 또는 심한 치매 환자에게 은행잎을 복용시켰을 경우 사고력과 대인 관계가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또한 뇌로 들어가는 혈액의 양이 불충분해서 생기거나 혹은 뇌신경의 이상으로 인해 유발되는 인식 장애의 경우 은행잎 추출물이 일련의 증상들, 예를 들면 현기증,이명(귀가 울리는 증상) ,두통,기억력 상실, 집중력 장애,혼동 등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은행잎은 다리에 공급되는 혈액의량이 충분치 않아서 걸을 때에 생기는 통증,이른바 간헐성 파행증이라고 하는 증상으로 인한 다리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더욱 놀라운 것은 항우울제의 복용으로 인한 발기부전에도 은행잎이 효과가 있다는 증거들이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은행잎 추출물의 치매 예방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으며, 이러한 연구는 수행하기에 비용이 너무나 많이 든다. 하지만 어떤 60대의 사람은 '은행잎 추출물을 정기적으로 복용함으로써 기억력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는 확신하는 얘기도 한다. 현재까지 은행잎 추출물을 장기간 복용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안심하고 복용해도 좋을 듯하다. 단 하나의 문제점은 비용이 많이 나간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머리가 좋아지기를 기대하면서 은행잎 추출물제제를 복용해서는 안 된다. 은행잎 추출물이 정상적인 사람의 두뇌에 현저한 영향을 준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미약하다. 생약(生藥)의 경우 대부분 특정한 성분이나 작용기전을 확인하기란 힘들다. 현재 확인된 바로는 은행잎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우리 몸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산화작용을 통해 세포에 손상을 가져온다)을 생성하는 효소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뇌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또한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제로서 이미 형성되어 있는 모든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마지막으로 은행잎에 함유된 테르펜 유도체(방향성물질)들은 뇌혈관의 혈전 생성 및 신경 손상 방지와 뇌로 유입되는 혈액의 량을 증가시키는 등 일종의 보호막 역할을 한다. 그동안 치매에 주로 사용돼 왔던 합성물질인 타크린(tacrine)과 달리 은행잎은 부작용이 거의 없다. 은행잎 치료를 받던 1만 632명중 2%도 안되는 사람들이 가벼운 위장장애,두통,알레르기 증상과 같은 부작용을 호소하였다. 120~240mg의 은행잎 추출물 제제를 하루 2~3회에 나누어서 복용한다. 효과는 더딘 편이어서 증상의 개선을 나타내기까지는 8주 이상이 소요된다. 은행잎과 같이 복용하면 안되는 약물은 없으나 ,만약 혈전생성 억제생약(마늘,생강,흰국화)이나 와파린과 같은 약을 복용하는 경우는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은행잎 제제를 구입할 때는 제품포장에 24/6이라고 표시된 제품을 구입하도록 한다. 이 숫자는 플라보노이드 24%와 테르펜 유도체 6%를 함유하고 있다는 표시이다. 그리고 공정을 거치지 않은 은행잎을 차나 기타 다른 형태로 복용할 경우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은행잎산(酸)이라고 하는 물질이 알레르기를 유발하는데 이는 은행잎 추출물 제제의 공정과정에서 제거되는 것인데 옻나무 알레르기 유발물질과 유사한 물질이다. 은행나무는 2억년전 삼첩기(Triassic)말기나 쥬라기(Jurassic)초기 부터 지구상에 존재해온 Gink-goales 로 알려진 식물군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종이며 Darwin은 이것을 "살아있는 화석"이라 칭하기도 하였다. Ginkgo Biloba 나무군들은 Permian시대 동안에 고대양치류 종자로부터 진화된 것으로 , 빙하기 이후의 대변동 3기와 4기 동안에 동아시아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은행나무와 다른 Ginkgoales가 자취를 감추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은행나무는 수려함, 휴식공간의 제공등 외형적인 것 뿐만 아니라 음식물(종자), 약용,연료용,서양장기의 인형(Chessmen)과 훌륭한 동양식의 칠기로도 이용되곤 하였다. 이렇듯 그 효용성이 높아감에 따라 세부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그 관심의 촛점은 이 식물이 어떻게 해서 오랜 세월이 지나는 동안 변화 및 변이(mutation)없이 유지될 수 있었는가 하는 것으로 압축되었다. 이러한 의문점에 대한 Brookhaven 국립연구소의 A.H. Sparrow 박사의 탐구결과 , 조사와 화학물질이 은행나무 유전자(gene)의 변이를 일으킬 수도 있으나, 중요한 것은 은행나무의 생육주기(generation)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그 변이가 최소화되어 진다는 것이다. 즉, 은행나무는 20년 이상이 되어야만 번식을 위한 재생산을 할수 있으며 이것은 1,000년 이상 지속된다. 결론적으로 은행나무는 재생산(reproduction) 기간이 짧은 다른 식물군에 비해 그 특징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가 적다는 것이다. 또한 은행나무는 모든 심한 해충들과 질병들에 저항성이 강하며 도시의 smoke와 매연등의 산업공해에 대해서 높은 저항성을 가지고 있는 식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입증할 만한 data는 은행나무 뿌리의 alcoholic extracts가 유럽의 옥수수좀인 Pyranstamubilatis 유충의 성장을 강하게 저해하는 것이 Wisconsin대학의 S .D. Berk 교수에 의해 관찰되었으며 ,Verginia대의 R .T. Major 교수의 연구실에서 관찰한 결과에 따르면 일본 딱정벌레는 은행나무의 잎을 갉아 먹는 것 보다 아사쪽을 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Boyce Thompson 식물연구소와의 공동연구결과 은행잎의 acetone ex-tract가 식물체에 손상을 입히는 Erwinia Amylo-vora, E.coli, P.phaseolicola, Xanthomonas phaseoli, B.Pumilus 등의 세균 성장을 정지시키는 것이 관찰 되었고 , 뿌리 의alcohol extract가 Southern Bean Mosaic Virus 와 Tabacco Mosaic Virus의 감염증상이 저해됨을 J. W. Mitchell등이 밝혀내었으며 곰팡이에 대한 저항성 연구결과 2-hexenal과 nonaromatic hydrocarbone 으로서 carbonyl group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oil이 Monilinia fructicola등의 곰팡이의 생육을 크게 저하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잎의 cuticle층에 있는 waxy 한 물질이 곰팡이의 포자발아를 감소시키는 것이 Johas-ton과 Sproston의 연구로 밝혀졌다. 은행나무(Ginkgo biloba L.)는 일명 "Living Fossil" 이라고 불릴만큼 오랜기간동안 변화되지 않고 생존하는 식물로서 18세기 전에는 동양이외에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현재는 유럽, 미주 등 다른대륙에도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극동지역, ,특히 한국산은행나무잎은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매년 다량의 건조 은행잎이 수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잎에서 얻은 은행잎 엑기스는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되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성인병 ,특히 노인성치매 , 뇌혈관 및 말초혈관장애의 치료목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약재로 사용되는 은행잎은 낙엽이 되기 전의 가장 완숙한 푸른 잎으로서, 보통 9~10월 사이에 수집하여 그늘에서 건조하거나 급속탈수법으로 건조한 것이다. 이 푸른 잎의 성상을 보면 길이 3~8cm,너비 4~8cm, 잎자루 2~7cm이고 초록색을 띄며 , 엽맥은 부채살 모양으로 잘게 갈라진 평행맥인데 , 선단 중간에서 2개로 갈라져 있고 엽연은 끝쪽 부분에 얕게 1~3개로갈라져 있다. 기부는 쐐기형이고 마른 잎은 부서지기 쉽다. 좋은 품질의 것은 생잎일 경우 짙은 녹색을 띠면서 모양이 완전하며 성숙된 것이고 , 건잎일 경우 황록색을 띠며 부서지지 않은 것일 수록 좋다. 현대의약품으로 개발되어 각광받기 전에 동양에서는 은행잎이 심장을 돕고 폐에 효험이 있으며 설사를 멎게하는 등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어 특히 가슴앓이(현대의학적으로 보면 협심증 등 심장질환), 가래 및 천식, 그리고 수양성 하리,白滯,象皮症 등을 치료하는데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는 은행잎이 혈액순환 촉진 및 혈관확장 작용 , 항균작용, 항알레르기 효과 등을 지니고 있어서 위와 같은 질환치료에 고대로부터 장기간 사용해 왔음을 추리할 수 있다. 이런 관계로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순환기계 질환등에 치료약물로서 장기간 이용되어 오래된 원이을 규명하기 위하여 많은 과학자들이 1900년대 초부터 성분 및 약효연구를 꾸준히 해 왔다. 지금까지 이 식물의 잎으로부터 수많은 종류의 화합물들이 밝혀졌고 현재에도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몇몇 제약회사에서 은행잎 엑기스 개발에 대한 초보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훌륭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독성,약리 및 임상실험등의 체계적인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외국에서는 특히 , 유럽지역에서는 현재 은행잎 엑기스제제(정제, 액제, 좌제 , 주사제 등) 의 단미제 및 복합제로 연간 5억불 이상의 매출고를 기록하고 있으며 , 이에 대한 화학적, 약리학적, 임상학적인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선 화학적인 연구 결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은행잎 엑기스의 주 유효성분인 Ginkgoflavongly-cosides 의 각 성분에 대한 분리 및 함량 분석연구와 은행잎 엑기스에도 소량함유되고 있으며 최근들어 약리적으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는 Ginkgolides 및 Bilobalide에 대한 분리 및 특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항암 효과가 있음이 밝혀진 Seven Long Chain Phenols 화합물인 Anacardic Acid, Bilobol 및 Cardanol을 1986년 일본의 Tokyo약대 Itokawa등에 의해 분리 .확인 되었으며 그 밖의 특이 화합물인 Bilobetin,Ginkgetin ,Isoginkgetin, Sciadopity 등의 Biflavones이 검출되는 등 은행잎에 들어 있는 유효 생리활성 물질들에 대한 화학적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 지고 있다. 약리학적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은행잎을 의약품으로 처음 연구 개발한 곳은 독일 Dr .Schwabe社로 Peter 등 연구원들이 1966년 최초의 주성분인 Ginkgoflavonoids 를 분리 발표하면서 그들이 말초 및 뇌혈관 순환장애에 치료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 후 계속적인 약리작용 및 기전을 연구한 결과 말초혈관 확장 및 혈액순환 촉진, 혈관의 저항감소 및 콜레스테롤 감소, 혈관항경련작용등 혈액 및 혈관에 대한 약리작용을 알아냈으며 최근 프랑스 연구소에서 뇌혈류량 증가, 뇌대사 촉진 등의 뇌기능 순환개선 작용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리고 최근 새로운 혈소판 응집촉진물질(Platelet-Activating Factor)이 발견되면서 은행잎과 은행나무 뿌리에 소량함유 되어있는 Ginkgolides의 혈소판 응집저해작용에 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러 유명한 생화학자, 약리학자들에 의해 깊이 연구되고 있고 그 결과 현재 혈소판 응집저해 , 수술 및 저혈압 등에 의한 쇼크 방지, 항알레르기(천식치료효과 등), 면역기는 증가, Prostaglandin 생성저해 등 PAF-Antagonist는 향후 알레르기, 암, 류마치스 등의 인간이 정복하지 못한 불치질환이나 그 영역에 획기적인 예방약물로 기대되고 있어 은행나무에 함유하고 있는 Ginkgolides는 앞으로 인류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약물이 될 것이다.
또한 은행잎에서만 존재하는 Bilobalide화합물은 현재 독일에서 새로운 신경계 약물로서 깊이 연구하고 있는데 주로 뇌신경계, 척수신경계, 근신경계 및Neurotransmitter에 대한 약효를 입증하여 향후 노인성치매, 노인성천식 , 심장질환 등과 같은 노인성질환의 치료약물로써 , 그리고 퇴행성 뇌 및 척수신경계 질환의 치료제로써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밖에 은행나무에 특이하게 존재하는 유효생리활성물질에 대해서도 항암 ,Anti-Viral, Anti-Feedant 등의 많은 약리학적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어 머지않아 또 새로운 분야의 물질이 발견될 것을 의심치 않는다. 특히 Ginkgoflavonglycosides 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은행잎 Ex. 에 대한 생체내 이용과정 및 약리학적 연구가 각국에서 많은 약리학자 ,생리학자들에 의해 1960년 말부터 깊이 진행되어 왔다.
목재(木材 Wood) : 여러 가지 이용 목적으로 벌채한 수목.
학술적인 개념은 수목이 생장함에 따라 형성층(形成層)세포의 분열증식에 의해 형성층 내측에 형성되는 목질 부분이며, 리그닌화(化)한 무수한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목재는 수목의 뿌리 ·줄기 ·가지 등 나무 전체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지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통 목재로 이용되는 부분은 수간(樹幹)이다.
구성 : 목재는 침엽수재 ·활엽수재로 크게 구별하며 침엽수재를 연재(軟材), 활엽수재를 경재(硬材)라 하기도 한다. 한대 ·온대산재는 나이테[年輪]가 형성되어 있고, 수간의 중심부는 심재(心材), 그 외부는 변재(邊材)로 구성되어 있다. 침엽수재는 헛물관[假導管] ·유세포(柔細胞) ·수지구(樹脂溝) ·방사조직(放射組織)으로 구성되어 있고, 활엽수재는 물관[導管] ·목섬유(木纖維) ·유세포 ·방사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사조직은 수간의 종축에 직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기타 조직은 종축에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다. 침엽수에서는 조직의 대부분을 헛물관이 차지하고, 활엽수에서는 물관이 10∼20%, 목섬유가 40∼70%를 차지한다.
화학적 성분 :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이 주성분이고, 소량의 회분 ·수지(樹脂) ·유지(油指) ·정유(精油) ·타닌 ·색소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함유율에 있어서 셀룰로오스는 침엽수 ·활엽수 모두 50%, 헤미셀룰로오스는 침엽수 20%, 활엽수 30%, 리그닌은 침엽수 30%, 활엽수 20% 정도이다. 목재의 원소조성(元素組成)은 침엽수 ·활엽수가 모두 탄소 50%, 수소 6%, 나머지는 대부분이 효소(酵素)이고 질소 ·회분은 1% 이하이다.
비중 : 수종(樹種)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침엽수는 0.3∼0.5, 활엽수는 0.5∼0.9 정도로 일반적으로 침엽수보다 활엽수의 비중이 크다. 주요 수종별 비중은 삼나무 0.4, 소나무 ·해송 0.5, 오동나무 0.3, 참나무류 0.65, 가시나무 0.9 정도이다.
수축 : 접선방향(接線方向)이 가장 크고, 다음이 반지름방향, 섬유방향이 가장 작다. 대체적인 수축비는 10:5:1 정도이고, 함수율(含水率) 1%당 수축률은 접선방향이 0.2∼0.4%, 반지름방향이 0.1∼0.2% 정도이다.
연소 : 목재의 착화점(着火點)은 약 270℃, 자연발화점은 400℃ 정도이며, 완전건조목재(完全乾燥木材) 1g 당 4,500kcal의 발열량을 나타낸다.
기계적 성질 : 목재의 강도는 대개 비중에 비례하며, 압축강도는 침엽수가 300∼500kg/cm2, 활엽수가 400∼700kg/cm2이며, 인장강도는 침엽수가 700∼1,000kg/cm2, 활엽수가 900∼2,000kg/cm2이다. 휨강도는 침엽수가 400∼800kg/cm2, 활엽수가 500∼1,200kg/cm2 이지만 전단강도는 침엽수가 30∼80kg/cm2, 활엽수가 70∼170kg/cm2 이다.
장점 :Coloring착색 ·흡습(吸濕) 및 연소가 쉬운 점, 가볍고 가공하기 쉬우며 비중에 비해 강도가 크고 열 및 전기의 전도가 잘 안 되며, 외관이 아름답고 음향적 성질이 우수한 점등을 들 수 있다.
용도 : 건축 ·가구 ·포장상자 ·선박 ·차량 ·갱목(坑木) ·침목(枕木) ·전주 ·악기 ·운동구 ·합판 ·펄프 ·숯 ·연료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건류(乾溜)하여 목(木)가스 ·목타르와 아세트산(酸) ·메탄올 ·크레오소트 등 화학약품의 원료를 생산한다.
규격 : 목재의 생산 ·거래 및 이용의 원활화와 합리화를 기하기 위하여 목재의 형량(形量) ·품등(品等) 구분 등의 기준을 정한 규정이다. 한국에서는 1967년 3월 1일 농림부 고시 제1595호로 목재규격을 제정 공시하였으나 규격의 복잡성, 목재취급자의 인식부족, 규격 미적용 업체의 제재조치(制裁措置) 미흡으로 현재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요 : 목재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인류 문명의 발달 초기 부터이다. 그 이유는 생활 주변에서 가장 쉽게 얻을 수 있고 쓰기 좋은 형태로 손질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근대에 와서는 제기류, 건축물, 가구, 그릇, 악기, 등의 기구 및 구조재로서 목재가 가진 가공성, 취급의 용이성과 강도가 충분히 발휘되고 있으며 그 가공법과 보존법은 일찍부터 개발되어 왔음을 볼 수 있다. 근래에는 목재의 단점을 보완한 합판, 합성수지 마감판 등 현대적이고 대량생산적인 성격의 재료가 속속 개발되고 있어 강도, 내구력, 생산성 경제성, 균일성 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가공기계나 공구, 가공방법등도 혁신적인 발전을 가져왔으며 장구한 세월 동안 인류와 친숙해온 목재는 현재에도 그 매력을 잃지 않고 있으며, 다양하고도 상품성이 높은 재료로서 풍부한 장래성 을 기대 할 수 있다.
목재의 분류 : 나무는 식물의 분류학상 현화식물에 속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할수 있다.
은화식물 : 일정한 발육을 한 뒤에 꽃이 피어나고 열매가 열리며, 씨가 생기는 고등 식물
현화식물
나자식물 : 침엽수{소나무류, 화백나무, 은행나무, 전나무, 비자나 무 삼나무, 가문비 나무, 편백, 미전나무 (cypress), 적삼(red wood), 미노송(ceder), 솔 송나무(hemloc)}
피자식물 : 쌍떡잎식물 활엽수{자작나무, 느릅나무, 대추나무, 참죽, 팽나무, 회양목, 단풍 물푸레, 상수리, 동백, 떡갈나무, 벚나무, 백향단, 모과나무, 계수나무, 오동나무, 나왕(red lauan, white lauan), 마호가니, 흑단(ebony), 자단(red sandal wood), 티이크 등}
외떡잎 식물{죽(竹), 야자, 종려}
나자식물(裸子植物) : 피자식물과 함께 현화식물을 구성하는 식물로서 소철, 해송, 소나무 등이며 그 특징은 밑씨가 밑씨껍질에 싸여 있지 않고 겉으나 나와 있다. 그러므로 씨는 생기나 열매는 맺지 못한다. 현재 700여종이 있으며 열대지방을 중심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다. 침엽수(針葉樹)--송백과 식물에 속하는 것으로 연재(soft wood)가 많고 비교적 가공이 쉽다. 춘재와 추재의 구분이 뚜렷하고 아름다운 것이 많으나 결이 곧아서 비교적 단조로운 편이며 춘재와 추재의 강도차이가 심하여 가공상 난이한 점도 있다. 수목이 곧게 자라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대장재를 얻기에 용이하며 취재율도 높아 70%에 가깝다. 벌목 후의 건조도 빨라 건축 및 토목재로 많이 사용되며 나무마다 독특한 향취가 있고 수액의 점도가 높아 토목재로 사용할 때 부패방지 역할도 한다.
2. 피자식물(被子植物) 밑씨가 씨방내에 저장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 속씨식물이라고 하며, 이것을 다시 쌍떡잎 식물과 외떡잎 식물로 구분한다.
가. 쌍떡잎 식물
떡잎이 두 개이며, 가장 우세한 식물군으로 활엽수가 여기에 속하며 종류는 약 20만여종에 달한다. 활엽수(闊葉樹)--송백과 이외의 식물로 재질이 비교적 경질(hard wood)의 것이 많다. 건조에 상당한 시일이 걸리며 건조시 변형이 심하다. 중공이 커서 종단면에서 보면 작은 홈으로 , 횡단면에서 보면 구명으로 보인다. 이 중공(中空)의 배열 형식에 따라 환공재, 복사공재, 무늬모양재로 구별된다. 도관배열이 나뭇결의 상태를 결정지어 재목을 구별하는 표시가 된다. 이와 같이 활엽수는 구성이 복잡하여 똑같은 재료속에서도 나이테의 패턴이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불규칙한 것이 많다. 따라서 표면의 아름다움을 살리고자 할 때는 제재를 할 때부터 나이테를 고려해야 한다. 활엽수는 횡방향으로 퍼지면서 성장하는 것이많아 취재율을 50%이하로 낮게 하는 요인이 되며 대장재를 얻기 힘들다.
나. 외떡입 식물
떡입이 한 개이다. 대나무, 종려나무, 야자나무등이 재료로 쓰이고 재료마다 특유한 탄성이 있어 공업재료 및 공예재료로 애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난과, 백합과, 수선과, 붓꽃과, 화본과 식물등이 여기에 속한다.
목재의 생장과 조직
나무는 뿌리, 줄기 , 잎의 세 부분으로 형성되며 뿌리는 나무를 땅 위에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영양분과 수분의 흡수. 공급을 맡는다. 줄기는 영양분과 수분의 통로이며 저장소이고 공예재료로서 가장 긴요하게 쓰이는 부분이 된다. 잎에서는 햇볕을 받아 탄소 동화작용을 하여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만든다. 즉 엽록소와 햇볕과 탄산가스가 작용하여 영양성분이 만들어진다.
세포(細胞, cell) : 목재는 몇 가지의 모양이 다른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목재의 줄기에 평행하는 세로세포와 이것을 결속하는 가로세포가 있어 이들이 서로 결합하여 나무의 생활과 강도를 지배한다.
나이테 : 나무 껍질 바로 안쪽에 있는 형성층이 각종 세포를 외부로 형성하여 성장한다. 이성장은 봄에서부터 여름가지 왕성하고 , 가을부터 겨울까지는 쇠약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세포중에서 넓고 유연한 세포층을 춘재(春材)라 하고, 좁고 견고한 세포층을 추재(秋材)라고 한다. 이 두가지의 세포층에 의하여 목재의 횡단면상에 동심원 형태의 조직이 나타난다. 한 춘재부에서 추재부를 거쳐 다음 춘재부에 이르는 일대(一帶)를 나이테라 하며, 이러한 나이테의 수로써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다. 열대산의 목재는 우계(雨季)와 관련하여 나무의 나이를 안다. 평균연령의 폭은 침엽수는 0.5 - 5m/m 의 범위이고 왈엽수 는 1.5 - 60 m/m의 범위이다. 나이테의 추재부가 밀접하게 배열된 목재는 강도가 높다. 추재의 세포는 크기가 서로 다른데 그 차가 심한 목재는 나이테가 명료하다. 일반적으로 나이테가 명료한 것은 침엽수가 대부분이고 활엽수 중에서 밤나무, 참나무, 느티나무 등이 있으며 나이테가 명료하지 않은 것은 단풍 ,나왕, 티이크, 마호가니 등이다.
변재(邊材, sap wood)와 심재(心材, heart wood) : 목재면에 나타나는 조직 생태를 말하는 것으로 짙고 견고한 가운데 부분을 심재라고 하며, 껍직쪽의 옅은 색 부분을 변재라고 한다. 변재는 무르고 연하여 수액과 탄력성이 많으나 변형이 심한 편이고 심재는 무거우며 내구성이 풍부하고 일반적으로 변재보다 질이 좋다.그러나 심재는 나무의 속을 포함하고 있어 갈라지기 쉽다. 전나무 , 당측백나무, 솔송나무등은 변재와 심재가 모두 흰색이다.
나무의 색깔 : 목재의 색깔은 세포막과 세포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색물질 때문에 나타난다. 대체로 짙은 색의 목재가 엷은 색보다 내구력이 크며, 같은 종류의 나무라 할지라도 산지. 생육조건 등에 따라 색이 다르다.
(1) 목재의 변색 : 목재의 색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목재를 대기중에 방치하였을 때 광선과 산소의 접촉으로 퇴색되는데, 이는 주로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다.
(2) 광택 : 광선이 반사될 때 느껴지는 시각적 감각을 의미하며 , 정반사일 때에는 광택도가 크고, 난반사일경우에는 광택도가 작다. 즉 곧은결이 무늬결보다 광택이 높다.
목재의 향기 : 나무는종류에 따라 고유의 향기와 맛이 있다. 향기는나무중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에 의하여 나는 냄새이며, 건조하면 향기가 줄어든다. 또나무중에 포함된 화학성분에 의하여 맛을 느낄수가 있다. 보통 신만 또는 쓴만, 떫은 맛이난다. 세포막에 함유된 수용성 성분을 물속에 침윤시켜 용출시키듣지 공기중에서 산화시키면 맛을 잃는다
목재의 상처 : 나무가 자랄 때의 생리적 원인, 기후의 변화, 해충류와 이밖에 벌채 후에 생긴 결함을 흠이라 하는데, 이러한 흠이 많으면 이용가치가 줄어든다. 흠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갈라짐 : 나무가 살아 있을 때 생기는 것과 벌목후의 고르지 못한 건조 때문에 생기는 것이 있다. 목재의 마무리 면에서 갈라지는 것을 목구할(目口割)이라고 하며, 수심에서 바깥쪽으로 방사선 모양으로 갈라지는 수심할(樹心割)과 나이테에 이어져 갈라지는 윤상할 등이 있다.
(2) 옹이 : 껍질의 흔적인데 섬유의 이상발달에 의해 생긴다. 나이테가 밀집하고 송진이 많아서 단단하며 대패질이 곤란하고, 나무의 질을 저하 시킨다.
(3) 혹 : 균류의 작용으로 섬유의 일부가 부자연스럽게 발달하여 생긴 것.
(4) 송진구멍 : 나이테 사이에 송진이 모여서 돋은 것으로 소나무에 특히 많고 여름철엔 흘러서 처치가 곤한해진다.
(5) 껍질백이(人皮) : 나무의 상처등으로 껍질이 나무내부로 몰입된 것.
(6) 썩정이 : 노목의 속이 비거나, 벌목후 환기가 불충분할 때에 여러군데가 썩어서 얼룩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목재의 일반적인 성질
모든 재료에는 그들만이 지니고 있는 특성과 공통적인 성질이 있고 그 재료가 되기까지의 공정과 제법도 또한 각기 다르다. 그러므로 재료의 특성을 알아야만 소재의 올바른 선택 및 활용에 대처 할 수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그에 관한 일반적성질을 살펴보지 않으면 안된다
응력(應力, stress), 의(strain), 강도(强度, strength) : 한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재료는 구조물이 외력을 받았을 경우, 잘 저항하고 구조물 본래의 사명을 다 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지녀야만 한다. 강도란 외력을 받았을 때 절단, 좌절, 또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이것에 저항 할 수 있는 응력을 나타내는 척도를 말한다. 대체로 고체는 외력을 받았을 때 변형, 즉 의가 생기고 이것에 대응하여 내부 저항력, 즉 응력이 생긴다. 이 응력에는 직접 응력과 전단응력이 있다.
강성(强性, rigidity) : 강성은 탄성한계 이내의 변형에 대한 목재의 저항으로 이 크기는 가한 힘과 힘에 의한 변형의 크기로 측정한다. 외력을 받고 변형이 되는 정도를 강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 파괴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강도와는 구별하여야 한다.
탄성(彈性, elasticity), 소성(塑性, plasticity) : 외력을 받아서 변형을 일으킨 재료가 외력을 제거했을 때 완전히 원형으로 복귀도면 완전한 단성체라 하고, 전혀 원형으로 복귀되지 않는다면 완전한 소성체라고 말한다. 대체로 대부분의 재료는 엄밀한 의미에서 그 성질이 양자의 중간에 속하고 완전한 탄성체 또는 소성체라고 말할 수 없다. 또한 온도의 고저에 따라 갑자기 성질이 변하는 것도 있다.
인성(靭性, toughness), 취성(脆性, britleness) : 파괴될때까지 고강도의 압력에 견딜수 있는 재료와 큰 변형을 나타내는 재료가 있다. 즉 압연강, 고무등은 인성이 큰 재료이고 이와 반대로 작은 변형에도 파괴되는 철, 유리 등은 취성이 큰 재료라고 말 한다.
연성(延性, ductility), 전성(展性, malleability) : 인장하중을 받으면 파괴될때까지 크게 늘어나는 것이 있다. 이런 종류의 재료는 연성이 크다고 하고 고강도의 응력을 받아서 연성을 나타내는 재료는 인성이 큰 재료이다. 또 어떤 재료는 해머등으로 쳐서 얇은 판으로 펼수 있는데 이런 종류의 재료는 전성이 크다고 말한다.
유동성(유동성, creep flow) : 많은 재료들은 고온에서 점성액상(粘性液狀) 상태를 나타내고 하중을 받으면 유동한다. 납과 같이 실온으로 일어나는 것도 있으나 거의 일정한 온도를 넘음으로서 일어난다.
내구성(內久性, durability) : 어떤 구조물이나 기계, 공예품을 막론하고 그 사용재료가 영구적이기를 희망하지만 재료의 내구성을 해롭게 하는 원인이 대단히 많기 때문에 그에 대한 방지를 소흘히 해서는 안된다. 철, 강철의 녹, 목재의 균류(菌類), 부패 기계,공구의 마모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재료의 수명이 짧아 지는 것이 많다. 가능한 재료의 선택과 관리를 잘 하여 내구성을 높여 주어야 할 것이다.
피로성(疲勞性, fatigueness) : 피로한도(疲勞限度, fatigue limit)이상으로 계속 응력을 가하면 재료가 파괴된다. 그러나 그 응력이 일정한도 이하이면 아무리 반복되어도 파괴됨이 없이 오래 갈 수 있다. 이 응력의 한도를 피로한도라고 한다.
균질성(均質性, uniformity) : 재료 중에는 조직이 매우 균일한 것과, 강도 강성 기타 각종 성질이 각 부분마다 다르고 또 국부적으로 다른 물질을 함유하는 불균질성의 것이 있다. 재료의 불균등은 응력집중의 원인이 되고 계속해서 하중을 받는 부분에서는 파괴의 원인이 되는 수가 많다.
재료의 파괴 : 제품을 이루고 있는 여려 재료들은 다음 네 가지 원인에 따라 파괴가 된다.
(1) 탄성 : 탄성을 잃음으로 영구의 가 일어나 본래의 모습을 잃는다.
(2) 균열 : 균열의 발생은 파괴의 원인이 되는데 대개 점차적으로 발생된다.
(3) 자연마모 및 부식 : 재료의 마멸에 의한 파괴는 물리적, 기계적 원인에 의한 것이고, 그 외 금속의 부식, 목재가 부패되는 것 같은 유기적 원인에 의한 것도 있으며, 화재는 모든 것을 태워 버리므로 제일 큰 파괴가 된다.
역학적 성질
목재의 무게와 비중
목재의 밀도와 무게는 목재속의 수분에 따라 좌우된다. 목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단위용적의 무게로 표시 하는데 , 목재의 실질부분의 비중은 약 1.54이다. 목재는 다른 재료와 달리 세포의 간격이 크므로 경량이면서 세포간격의 대소에 따라 비중이 다르게 나타난다. 심재부위와 변재부위의 비중, 목재의 함수율에 의한 비중도 달라지며 그 관계는 아래와 같다.
(1) 전건비중 : 전건재의 중량/전건재의 용적
(2) 기건비중 : 기건재의 중량/기건재의 용적
(3) 생재비중 : 생재의 중량/생재의 용적
또한 목재의 비중은 목재의 물리적 성질과 강도를 죄우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비중이 큰 것이 단단하며 수축, 팽창, 변형이 크고 색채도 진한 것이 많다.
비중 0.3 - 0.5 연재 경재(輕材)
오동나무, 삼송, 피나무, 백나무,노송, 왜전나무, 가문비 나무, 전나무 , 미송 계수나무, 후박나무, 참피나무, 적삼목, 미삼목, 미전나무, 미왜전, 기죠
비중 0.6 - 0.7 보통재
비자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뽕나무, 적나왕, 티이크, 배그티칸, 마호가니, 개능소화, 졸참나무, 오우크
비중 0.8 - 중재.경재(硬材)
흑단, 장미목, 떡갈나무, 아피톤, 마르멜로
함유 수분
목재중의 함수율(含水率)에 따라 재질이 변화되어 목재에 함유된 수분은 자유슈와 결합수로 나뉜다. 자유수란 세포내의 강 및 세포간수에 포함된 것으로 이동이 용이하며 건조되는 경우 떨어져 나간다. 결합수는 세포막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으로 목재와의 결합이 강하여 건조를 어렵게 한다. 건조된 목재를 증기중에 방치하면 수분은 세포막에 흡수되며 더 이상 흡수될 수 없는 한계에 달한다. 이대의 함수율을 함유포화점 이라 한다. 이때 흡수된 수분은 결합수이며 함유포화점은 30% 전후이다.
미국에서의 목제품의 함수율 예
목 제 품 명 함 수 율 (%)
캐 비 닛 3 - 6
가 구 4 - 10
선 실 의 의 장 6 - 11
객 차 의 내 부 5 - 6
마 루 판 6 - 10
기 둥 6 - 10
합 판 2 - 9
운 동 구 7 - 10
장시간 사용한 목제 함수율 예
목 재 명 칭 수 종 함 수 율 (%)
책 상 다 리 사 오 지 11.3
책 상 다 리 졸 참 나 무 12.0
의 자 다 리 사 오 지 12.1
의 자 다 리 졸 참 나 무 12.7
미 닫 이 창 살 삼 목 12.0
덧 문 마 루 턱 졸 참 나 무 11.8
고 건 축 물 노 송 나 무 12.3
고 건 축 물 느 티 나 무 13.2
Shirinkage & Expansion수축과 팽창
목재를 건조시키면 수축이 된다. 수축된 양과 수축되기 전의 양과의 백분율을 수축률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무거운 목재는 수축이 크고 섬유방향으로 수축하여, 직각방향으로 상당량이 늘었다 줄었다 한다. 대개 섬유방향 : 무늬결 방향 : 곧은결 방향의 수축률의 비는 1:10:20이다.
균열 목재의 표면에서 내부까지 건조할 때 균열이 생긴다. 균열은 주로 수선이 이어진 데서 생기며, 곧은 결에서는 넓이가 넓은데 나타나고 무늬결에서 좁은 양쪽면에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목재를 급히 건조시켰을 때는 목재의 안팎에 수분의 차가 생기므로 균열이 생긴다.
주요 수종의 수축 팽창률
수종 기건비중 수축.팽창률(함수율 1% 변화시)
판목면 정목면 체적
삼송 0.44 0.29 0.14 0.48
회목 0.44 0.26 0.12 0.38
홍송 0.61 0.29 0.16 0.45
흑송 0.60 0.27 0.12 0.39
오동 0.32 0.22 0.09 0.31
갈나무 0.63 0.24 0.18 0.51
괴목 0.66 0.29 0.16 0.45
사오지 0.66 0.32 0.15 0.47
열과 전기에 대한성질 : 목재는 수분의 증가에 따라 경질 재일수록 연전도율이 증가한다. 그러나 수분의 증감이 크지 않다면 열에 대한 변형은 극히 미세하며 열의 전도율도 판목과 정목과의 차이가 미세하다. 목재는 일반적으로 180도씨 전후에서 열분해가 시작되어 가연성 기체가 발생하고 250도씨에서 290도씨에서 화기를 접근시키면 발화되고(착화점) 350도씨에서 450도씨가 되면 화기가 없어도 자연발화(발화점)된다. 이러한 목재에 내화성을 높여주기 위해서 인산암모늄, 염화암모늄, 붕사, 명반, 규산소오다, 요소포르말린수지, 등 내화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목재의 중량이 증가하고 흡수성이 커지면 외관을 해칠 우려가 많다.
내구성 : 모든 재료는 풍우, 일광에 노출되면 풍화,마모, 충해, 탈색 등의 현상이 있다. 목재가 변질되기까지는 그 환경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환경에 견디는 저항성, 즉 내구성에 큰 영향을 준다.
(1) 풍우 : 외기에 노출된 목재가 수분 , 자외선, 먼지등의 영향으로 변색, 마모를 일으켜 춘재부에 균열이 생겨 파손을 일으킨다. 주로 표면부분에서 많이 생기며 오랜 기간이 지나면 추재부분도 파손되어 내부로 진행되어간다.
(2) 부패 : 부패균의 번식조건은 온도, 수분, 공기의 조건이 맞을 때이다. 번식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24 - 36도이고 45도씨 까지는 생존하나 45도이상에서는 사멸한다. 균의 발생이 가능한 최저 습도는 85%, 목재의 함수율로는 20%정도이다. 함수율이 생목재의 포화 함수율 (25-30%)을 초과하여 40-50%정도가 되면 균 성장의 최적 함수율이 된다.
(3) 충해 : 흰개미 종류와 엽먹기 벌래가 있는데 흰개미 벌레는 연질부분만침식시킨다. 기건재를 침식시키는 벌레는 엽먹기 벌레로 심재보다 변재부위에 특히 심하다.
소리에 대한 성질 : 진동으로 에너지의 일부가 내부마찰에 의해 감퇴 한다. 감퇴율은 비중이 작은 것이 큰것보다 작다. 소리가 목재에 닿으면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흡수되며 일부는 반사된다. 목관악기등은 이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흡음률은 비중이 작은 것이 크며 일반적으로 목재는 방음재료로 적합하다.
화학적 성질 : 목재의 화학적 성분 목재의 주된 성분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및 리그닌이다. 기타 세포의 내강 혹은 특수한 조직에 존재하는 회분, 질소화합물, 유지, 정유, 탄닌, 색소등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셀룰로오스중의 각 원소의 양은 나무의 종류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1) 셀룰로오스 : 목재를 구성하는 유기성분으로 제지, 인견 등의 원료로 쓰인다.
(2) 헤미셀룰로오스 : 목재를 구성하는 탄수화물중 셀룰로오즈 이외의 물질이다
(3) 리그닌 : 식물의 물관(도관)과 섬유 사이에 축적되는 물질로서 이에 의해 세포가 단단해 진다.
물리적 성질 : 목재는 크기, 모양에 따라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모양이 변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서는 외력에 대한 내부 저항력이 생긴다. 외력이 증가하여 분자 사이의 결합력을 이겨낼 때에는 파괴된다. 이 내부 저항력을 목재의 강도라 하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1) 인장강도 : 목재를 잡아끄는 외력에 대한 내부저항을 말하는데 조직의 평행방향이 목재의 강도중 가장크며 섬유의 직각방향이 가장 작다
(2) 휨강도 : 양 끝을 받치고 위에서 하중을 가하면 중심부가 휘며 결국은 부러진다. 휨강도는 압축, 인장 및 전단 등의 외력이 복합하여 작용한다. 처음에는 압축면이 파괴되고, 반대측에서는 인장되며 중간층은 전단력이 생긴다. 목재의 휨하중에 저항하는 목재강도의 크기는 압축강도의 약 1.75배이다.
(3) 전단강도 : 한 물체의 일부를 남은 부분뒤에 올려놓았을 때 이 단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저항력을 말한다, 목재의 전단력은 섬유의 직각방향이 평행방향보다 강하다.
(4) 경도 : 마멸에 대한 내부저항을 말하며 경도는 목구면(木口面)이 제일 높고 정목과 판목면은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비중이 큰 목재가 경도가 높다. 목구의 경도는 정목의 약 3배 정도이다.
(5) 압축강도 : 목재에 압력을 가할 때의 내부 저항력을 말한다. 탄성한계이내의 변형에 대한 목재의 저항으로 이 크기는 가한 힘과 힘에 의한 변형의 크기로 측정한다.
목재의 식별과 선택 : 목재는 종류에 따라 잎의 모양 , 나무 껍질, 줄기형상, 조직 , 성질이 다르지만 원목 혹은 제재된 상태의 목재의 명칭을 알아내기는 쉬운 일이 아니며 좋은 목재를 선택하기도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충분히 관찰을 한 후 선택해야 한다.
가 , 목재 식별방법
- 껍질의 두께와 성질, 모양
- 나이테와 재색
- 향기의 유무 및 특수성
- 무겁거나 가벼운 차이의 정도
- 도관의 형태와 수지구의 유무
- 광택의 강약
- 단단한 정도
나. 좋은 목재 선택법
목재는 재목이 성장하는 과정에서부터 벌채, 운반, 건조, 제재에 이르기까지 장시간에 걸쳐서 정상적인 과정을 거쳤을 때 얻어지는 것이므로 용도에 맞는 목재를 선택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다음 사항은 좋은 목재를 선택하는 몇가지 요령이다.
- 나무의 속부분을 포함하지 않은 심재
- 건조가 잘 된 것(비중과 재료의 무게를 비료해서 가벼운 것은 부패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 목재의 균일한 고유색, 광택이 있을 것
- 나이테가 원형에 가깝고 재질이 균일한 것(나이테의 변형이 큰 재료는 섬유의 불균질이 많음)
- 고유의 향취
- 옹이, 균열등이 없을 것
- 두드려 보아서 음이 맑을 것
주요목재의 성질과 용도
각 수종별 강도비교
갈라지는 강도의 구분 수 종
대단히 갈라지기 쉬운것 화백 노송 적송 왜전 계수 후박
갈라지기 쉬운것 물푸레 칠엽수 녹나무 가시나무 솔송나무
갈라지기 어려운것 오리나무 오동 북사시나무 자작나무 구실잣밤나무
대단히 갈라지기 어려운것 은행 동백 회양목
목재의 경도
경도 수 종
최경 북가시나무, 가시나무, 회양목, 상수리 나무, 리구넘바이티, 흑단
심경 느티나무, 개비계지나무
경 너도밤나무, 녹나무, 자작나무, 솔송나무, 계수나무, 후박나무
연 홍송 섬잣나무 회나무 노송 으루 칠엽수 비자나무 낙엽송 호도나무
심연 오동나무, 가문비나무, 일본개분비, 벚나무
최연 땅드릅
한국의 수목 : 우리나라는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해 있고 남북으로 긴 반도를 이루고 있어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크고, 기온의 상승과 강수량의 증가가 대채로 일치하여 현재 약 4,000여종에 달하는 많은 수목이 자라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가 북대륙 동아 식물계에 속하고 있어 편의상 북부=아고산 침엽 수림대, 중부=낙엽활엽수림대, 남부=상록확엽수림대 및 제주도, 울릉도 의 세 구역으로 나눈다.
아고산 침엽수림대 : 북부는 대륙과 직접 연속되는 지역으로 장백산맥, 낭림산맥의 고원지대가 거의 전역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 그 식물의 모양은 대륙과 비슷하며 고산 식물이 많다. 특히 백두산 일대와 압록강, 두만강 유역의 삼림지대에서는 침엽수림이 많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이깔나무, 가문비나무, 잣나무 등 이 있고 습지에는 좀자작나무. 진퍼리버들 등이 있다. 포오리나무 종류와 자작나무 종류도 이 지방에서 흔히 볼수 있는 식물이다. 이 외에도 분비나무, 종이나무, 찝방나무, 잎갈나무, 신팽이나무, 거제수 나무, 누운잣나무 등 한 대림이 많다.
낙엽활엽수림대 : 중부는 원산만과 장산곶을 이은 선의 남쪽과, 영일만과 태안반도를 이은 선의 북쪽사이를 말한다. 이구역에는 졸참나무, 노간주나무, 마타리, 억새등이 번성하고, 금강산과 설악산에는 중부지방의 특산인 금강초롱이 있다.영동지방과 호남지방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주요 서식 수종은 개서나무, 보얀목, 너도밤나무, 산초나무, 줄사철나무, 떡갈나무, 서나무, 고로쇠나무, 느릅나무, 참피나무,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음나무, 신갈나무, 물참나무, 졸참나무, 개암나무, 단풍나무, 느티나무, 참나무, 달피나무, 벚꽃나무, 회양목 등 많은 수종이 있다. 이외에도 침엽수로는 해송 굴피나무 팽나무 소나무 향나무 전나무, 물박달나무, 잣나무 등 많은 수종이 있다.
상록활엽수림대 : 남해안 일부와 제주도, 울릉도 , 죽도, 거제도, 완도, 주도 등지를 만한다. 기후가 온화하여 실물의 종류가 풍부하며 특히 다도해에는 남부의 특색인 동백나무, 대나무,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탱자나무 등이 있다. 그리고 남부내륙에는 비자나무, 개비자나무, 쥐똥나무, 붉나무, 층층나무, 딱총나무, 회화나무, 참빗살나무, 누리장나무 등 있있으며 이 외에도 드릅나무, 찔레나무, 은행나무, 때죽나무, 화살나무, 느티나무, 사시나무등의 온대림이 존재한다. 특히 완도부근의 주도는 지름이 100m에 불과한 섬으로써 102종의 수목이 분포되어 있다.
제주도에는 식물의 종류가 풍부한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녹나무, 소귀나무, 붓순, 구상나무 등이 있다. 한라산에는 해발 500m까지 상록 활엽수가 있고 그 위의 중부에는 낙엽활엽수가 자라며, 상부에는 들쭉나무, 시로미, 백지향, 누은향나무, 바늘 엉겅퀴등이 있다.
울릉도는 굴거리나무, 감탕나무, 동백나무 같은 상록활엽수가 있고 섬피나무, 섬황경피, 너도밤나무, 섬벗나무, 큰노루귀같은 특산물도 있다.
목재의 수종 및 용도
오리나무(Alder) 뚜렷한 목리의 옅은 적갈색에서 거의 흰색까지의 재색. 작업성은 적단풍 및 미국 튜울립나무와 비슷하다. 용도 - 가구, 가구부품 및 심재에 쓰인다.
백물푸레나무(White Ash) 일반적으로 무거우며 강하고 단단하고 견고하고 충격에 강하다. 변재는 밝은색으로 흰색에 가까우며 심재는 회색 및 갈색에서 밝은 갈색,또는 갈색 줄무늬가 섞인 담황색에 이르기 까지 다양함. 용도 - 가구용 널판, 마루바닥, 실내장식, 목공예품, 휨가공, 손잡이 및 운동기구등에 널리 쓰임
백양나무(Aspen) 심재와 변재간의 뚜렷한 구별이 없고 거의 흰색에서 밝은 회갈색까지의 재색. 목리는 통직하며 나무갗은 곱고 균일하다. 목재는 가볍고 부드러우며 강도는 약한편이다. 용도 - 건축용재, 단판, 펄프용재 및 심판재
참피나무(Basswood) 목리는 뚜력하지 않으면서 치밀하고 흰 크림색에서 엷은 갈색까지의 재색, 가볍고 부드러운 목재로서 접작성이 좋고 가공작업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용됴-포장재료, 목재용기, 목재장식품, 모울딩, 창문차양판,악기, 성냥, 심판재 및 단판등에 사용
미국너도밤나무(Beech,American) 통직한 목리형태를 갖고 흰색의 얇은 변재층과 적갈색의 심재로 구성되어있다. 목재는 단단하고 강하며 치밀한 목리를 지니고 도장, 착색 및 표팩이 용이하다. 용도 - 가구, 마루바닥, 손잡이, 목재용기, 휨가공품 및 장난감
백자작나무(Birch,Paper) 북부 및 서부지역에서 생장한다. 목재는 단단하고 가벼우며 강하고 목리는 매우 치밀하다. 자작나무의 다른 종류들과 마찬가지로 도장성이 매우 좋다. 용도 - 단판, 실감재, 실패, 이쑤시개 및 펄프용재
황자작나무(Birch,Yellow) 붉은 색조를 띤 크림색에서 밝은 갈색까지의 재색으로 거의 흰색의얇은 변재층을 갖는다. 황자작나무는 목리는 뚜력하나 현저하지 않으며 치밀하게 배열되어있다. 이 목재는 매우 다양한 용도를 가지며 도장성이 매우좋다. 용도 - 가구, 널판, 목공예품 및 수납장
벗나무(Cherry) 벗나무의 목리의 특성은 다른 많은 수종들처럼 인상적이거나 독특하지는 않다. 그러나 벗나무는 마감 작업성이 탁월하고 균일한 나무갗으로 인하여 도장성이 매우 좋다. 용도 - 가구, 고급무늬판, 목공예품, 수납장, 목재용기 및 장식품
미루나무(Cottonwood) 가끔나타나는 어두운 줄무늬를 갖는 흰크림색의 미루나무는 약한 광택이 있으며 몰리가 항상 뚜력하지는 않다. 목재의 가동성은 매우 좋으나 연마작업시 목섬유가 재면에서 솜털모양으로 일어섬으로써 거친 재면이 되는 경향이 있다. 용도 - 가구부품, 심재, 벽널판, 선적용 포장용기, 농기구부품, 목재용기 및 실내장식물
낙우송(Cypress) 미국내에서 생산되는 목재들 중 재식 및 무게와 내구성 면에서 가장 변이가 심한 목재중의 하나이다. 변재는 연한 황색을 띤 흰색이며 심재는 밝은 색에서 어두운 색 또는 적갈색가지의 변이를 갖는다.목재내의 기름성분으로인하여 내구성이 가장 높은 목재들중의 하나로 평가받는다. 용도 - 벽널판, 실내장식용재, 널판, 들보 및 기둥
더글라스(Douglas-Fir) 침엽수중 가장 견고한 목재로써 건축재로 널리 사용됩니다. 결은 직선으로 대체로 견고하다 용도 - 건축재, 적층재, 합판, 고급베니아, 내부장식용, 케비싯, 파렛트, 상자, 사닥다리, 마루용재등.
느릅나무(Elm) 회백색에서 밝은 갈색까지의 좁은 변재충과 적갈색에서 암갈색까지의 샘재로 구성. 목리의 형태는 매우 뚜렷하며 목재는 무겁고 강하며 거친 나무갗을 갖는다. 용도 - 가구, 휨가공품, 목재장식품, 목공예품, 포장용기 및 벽널판
엥겔만 스프러스(Engelmann Spruce) 침엽수중 가장 무게가 가벼운 수종으로 상업용으로 많이 쓰입니다. 가벼운 무게에 의해 강도성의 있고 그의 백색의 갈색으로 부드러운 결과 곧은 조직으로 가공하기에 쉽다. 용도 - 건설자재, 홉판 펄프자재 패널링과 목공품으로 쓰입니다. 비교적 옹이 모양이 적고 균등하게 퍼져있어 독특한 자연미로 끝맺음이 필요한 용도에 적절합니다.
흑고무나무(Gum,Black) 흰색의 변재와 황색또는 갈색의 뚜렷하지 못한 형태의 줄무늬를 갖는 심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나멜을 포함하여 도장성이 매우 좋다. 용도 - 가구, 실내설비, 목공예품 수납장 및 목재장식품
적고무나무(Gum,Sap and Red) 적고무나무(Sap gum)의 변재부 목재로서 종종 특징적인 수액에 의한 착색부를 지니는 것으로 연분홍색의 재색을 갖는다. 이목재는 단순한 목리의 형태를 나타내며 섬유가 솜털모양으로 일어서는 경향이 있다. 붉은 고무나무는 그 심재로서 어두운 줄무늬를 갖는다. 용도 - 가구 및 수납장
팽나무(Hackberry) 슈가베리(Sugarberry)와 근연관계에 있는 수종으로 느릅나무과에 속한다. 팽나무는 뚜력한 목리와 황색의 재식을 가지는 것으로 물푸레나무와 비슷하다. 목재는 거친 나무갗을 나타내며 무겁고 중간종도의 경도를 지닌다. 용도 - 가구, 벽널판, 수납장, 실내설비, 모재장식품 및 포장용기
솔송나무(Hem-Fir) 솔송나무목재 자연적으로 내구성이 강한 서부산 목재보다 더 강도가 높고 목리가 곧고 견고하며 가공이 쉽고 비교적 송진이 적고 패널링에 곧장 사용되며 문짝이나 지붕창, 문짝틀 굽도리널 몰딩에 않이 사용된다. 솔송나무는 구조용 목재로도 적합하며 건조된 프레임용 솔송나무는 수축되거나 갈라지는 일이 거의 없고 거의 모든 도장을 잘 받는다.
히코리(Hickory) 및 피칸(Pecan) 히코리는 미국동부의 활엽수림중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속하는 일곱가지 수종들 중에서 다섯가지는 진짜 히코리이고 두가지는 피카인 히코리이다. 진짜 히코리의 목재는 매우 무겁고 단단하며 강하고 회력에 의한 변형이 잘 생기지 않는다. 충격에 대한 저항성도 높으며 수축률도 크다. 용도 - 가국, 벽널판, 목공예품, 휨가공품, 손잡이 및 스키
로지우드 파인(Lodgepole Pine) 비교적 곧은 결이며 가공성이 비교적 용이하고 부드러운 감촉으로 제조됩니다. 용도 - 묵재, 내부판넬용, 목공등
경단풍나무(Maple,Hard) 모든 경단풍나무들의 목재는 서로 비슥하다, 약간 적살색을 띤 희고 얇은 변재와 크림색에서 밝은 적갈색의 심재를 갖는다. 목재는 무겁고 강하며 이력에 의한 변형이 잘 발생하지 않고 총격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 건조중에 수축이 크게 발생하고 조색처리가 쉽고 광택이 잘난다. 용도 - 제재목, 벽널판, 마루바닥, 가구, 손잡이, 실내장식제, 수납장, 목재용기 및 장식품
연단풍나무(Maple, Soft) 모든 연단풍나무들의 목재는 서로 비슷하며 비록 경단풍나무보다 25%정도 연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같은 용도에서 사용되고 동일한 도장성을 가지고 있다. 에나멜 도장과 갈색계통의 착색처리에 적하다. 용도 - 제재목, 널판, 가구 및 수납장
적참나무(Red Oak) 적참나무는 나무갗 밀도, 평규수고 및 직경이 생산지역에 따라 변이가 심하다. 또 다공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액체를 저장하는 통의 제조에는 적합하지 않다. 목재는 무겁고 단단하며 외력에 의한 변형이 잘 생기지 않고 놉은 충격저항성을 갖는다. 용도 - 건축내장재, 벽널판, 가구마루바닥, 건구류, 상자, 운반용기, 관, 제재목, 손잡이, 팰릿, 농기구, 선박 및 목재용기등
백참나무(White Oak) 백장나무는 무겁고 매우 단단하하며 강하다. 방사조직은 적참나무의 것보다 더 현저하며 더 길다. 심재의 도관구멍으로는 액체가 스며들 수 없기 때문에 액체를 저장하는 통의 제작에 적합하다. 용도 - 건축내장재, 벽널판, 가구, 마루바닥, 건구류, 제재목, 손잡이, 상자 및 운송용기
서부적삼나무(Western Red Cedar) 수종중 가장 대형의 나무로 진이 전혀없고 향이 강하다. . 심재는 적갈색과 담황색이며 어느 기후에나 잘 견딘다. 변재는 백색에 가깝고 상업용으로 중요시되는 침엽수중 가장 가벼운 중량으로 내부장식, 패널링, 올외 파티오, 담 또는 싱글과 세이크로 쓰입니다.
남부황소나무(Southern Yellow Pine) 남부황소나무는 황색을 띤 흰색의 넓은 변재와 적갈색의 좁은 잼재에 의하여 구별돤다. 목리형태는 깨끗한 것으로부터 많은 옹이에 의해 아름다운 외관을 나타내는 목리를 지니는 것까지 변이가 있다. 중간정도의 무게, 경도, 강도, 강성도 및 충격강도를 나타낸다. 용도 - 건축골조, 덮개, 마루바악, 장선, 실내장식용재 및 가구
백소나무(White Pine) 노란색조의 흰 변재와 밝은 크림색에서 약간의 적갈색을 띤 심재로 구성된 백소나무는 가볍고 통직한 목리를 가지며 가공성은 좋으나 강도는 떨어진다. 용도 - 수납장, 실내장식 마감재 및 목재용기
폰데로사파인(Pinus Ponderosa) 폰데로사 목재의 특징은 부드러운 결과 밝은 색깐인데 이것이 남부지방의 옐로우 파인과의 차이점이다. 대채로 강하고 결이 곧으며 목공종류 특히 창틀문짝, 몰딩, 선반, 파넬링, 가구용등에 쓰인다.
레드우드(Redwood) 심재는 내구성이 있고 살구색에서 적갈색이며 변재는 거의 백색에 가깝다. 결은 곧고 균일하며 적당한 강도와 견고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공에 용이하고 신축율이나 팽창율이 적어 목용통, 물탱크 제작에 쓰이며 내부용도로는 파넬링, 블라인드, 문짝등에 쓰입니다.
녹나무(Sassafras) 물푸레나무와 비슷한 목리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옅은 갈색의 재색, 목재는 향이 있으며 부드럽고 가벼우며 약하고 외력에 의해 거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상태에서 파괴되는 성질을 나타낸다. 용도 - 벽널판, 가구, 목재장식품, 울티리널
시트카스프러스(Sitka Spruce) 견고성 중량, 성능은 중간정도이고 맑고 직선적인 결의 특징으로 고급 피아노, 목재기타통, 목공, 선박용으로 가벼움과 강도가 중요시 되는 용도에 쓰인다. 그외에 틀, 합판, 펄프자재용으로 사용됨
미국플라타너스[양버짐나무](Sycamore, American) 재색은 거의 흰색에서 연한 적갈색가지의 변이를 나타낸다. 플라타너스는 나무갗이 거칠고 교차목리를 가지며 무게, 경도, 강도, 강성도, 및 충격저항 등에서 중간 정도로 평가된다.. 선반가공성이 매우 좋다
버드나무(Willow) 재색은 흐린 흰색에서 어두운 갈색까지의 변이를 보인다. 버드나무는 어느정도 가볍고 연하며 매우 약하고 낙은 충격강도를 가지며 못 보유력은 낯지만 못질시 잘 갈라지지 않는다. 공구에 의한 가공성과 접착성이 미우 좋다. 용도 - 상자, 운반용기, 목재용기 및 장식품
튜립우드(Tulipwood) 목공작업에 대한 성질이 우수하며 도장과 착색이 잘 되며 연삭 및 가공하기가 쉽다. 용도 - 내장용, 가구, 액자, 장난감용으로 널리 이용
웨스턴헴럭(Western Hemlock) 웨스턴 헴럭은 침엽수중 비교적 강한 강도로써 건축, 장식, 합판등 펄프용재로 사용. 백색에 보라색기가 섞여있고 소생시기에는 백색이나 황색을 띄우며 후생시기에는 점차적으로 짙은 갈색을 띤다. 용도 - 산업용이나 완제품 목재로 쓰임
TMJ : Temporomandibular Joint측두하악관절(턱 관절)
귀와 인접하는 곳으로 흔히 악 관절, 또는 측두하악관절이라 하며, 외국에서는 TMJ(Tempromandibular joint)라 하며, 이 곳의 장애를 TMD(Tempromandibular disorder)또는 TMJ SYNDROME이라고 하며, 우리 인체의 두개골의 상악과 하악이 입을 벌릴 때나 다물 때, 만나는 귀 앞에 있는 기관으로 인체에서 단 하나뿐인 양측성 관절이며, 측두 골(Temporal bone)과 하악골(Mandible)로 구성된다.
뇌신경 12 개중 9 개가 이곳을 지나가므로 인체에서 아주 복잡한 기관이다. 미국에서의 통계에 의하면 미국 국민들이 두통으로 인하여 지출하는 연간 의료비는 전체 치과 의료비의 2배 이상이라 한다. 두통을 야기하는 질환들 중 악 관절 증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많으며 악 관절이 원인인 두통은 반드시 치과 의사에 의하여 치료가 되어져야 하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많은 환자들이 정형외과,내과,신경과등 다른 분야의 의사들에 의하여 잘못 치료되고 있다고 한다. 즉, 허리가 아프면 물리치료, 또는 내복약으로 해결한다. 국내에서는 일부치과의사, 한의사만이 열심히 임상적으로 활용 중이다.
Masticatory System : 저작계 는 씹는것, 말하는것 및 삼키는것에대해 일차적 책임기능을 가지고 있는 인체의 기능적 단위이다 그 구성체는 또한 맛을 감지하고 호흡하는 역할에도 기여한다 이 시스템은 뼈, 관절, 인대, 치아들 및 근육으로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복합 신경컨트롤시스템은 이 모든 구조적 요소들을 조정하고 조율한다 기능적해부학요소는 치아들, 지지조직들, 골격들, 측두하악관절, 인대들 그리고 근육들이다. 기능적 신경해부학적요소와 생리학적 구성은 크게 나누어 근육들과 신경학적 요소이다
TMD : Temporomandibular Disorder측두하악관절장애. 복잡한 시스템일수록 기능적 악관절장애가 일어날 가능성은 커진다 저작계(masticatory system)에서 상기한 바와같이저작계는 극도로(Extremely) 복잡하다 따라서 각개인마다 일생동안 복합증이 없이 원활히 기능한다면 그것은 주목할만한 드문(remarkable) 일이다일단 복합증세가 발생하면 시스템자체만큼이나 복합증세를 보인다 용어학(Terminology)적 측면에서 변화과정은 최초Costen syndrome에서 발전하여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로 일반화 되었으며 이후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syndrome, occlusomandibular disturbance, myoarthropath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pain-dysfunction syndrome, myofascial pain-dysfunction syndrome, temporomandibular pain-dysfunction syndrome 으로 발전하였다가 craniomandibular diorders와 TMD로 발전하였다기능장애란 기관의 부분적 장해, 손상 또는 이상을 말하며 증후군은 함께 일어나는 일련의 증세들을 말한다 어떤 증상들이 기능장애증후군에 포함되는지에 관해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그외 악관절 및 근육기능장애를 하나의 증후군으로서 총괄하여 생각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측두하악관절의 병인론은 전통적으로 원심전위된 하악의 과폐쇄와 연관이 있었다Monson은 하악의 후퇴는 청각기관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신경말단에 압력을 가해 이 관절 부위에 동통을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원심전위설은 저작계의 기능이상과 관련된 다양한 동통을 유발하는 증상들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였다Costen은 치아의 소실에 따른 하악의 과폐쇄에 의해 야기된다고 믿어지는 여러가지 증상들을 열거하였다 이 장애와 연관된 증상으로는 청각손상(지속적 또는 간헐적),귀에서의 거북하고 걸리는 것같은 감각(식사중에일어나는),이명현상(tinnitus), 현기증(vertigo), 그리고 귀부근과 내부의 동통 등이 있다 후두와(vortex occiput)에 국한된 두통은 Eustachian tube의 폐색과 연관이 있다 이측두신경(auriculotemporal nerve)과 고삭신경(chorda tympani)의 침해는 또한 인후, 혀, 코의 측면, 그리고 공동(sinus)에 동통과 작열감을 일으킨다고 여겨진다 이들 증상들의 대부분은 Costen의 논문발표 이전에 논의된 적이 있다 1920 년경 몇몇 연구자들은 구치소실을 수복하지 않으면 측두하악관절에손상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1921년 Monso의 원심전위설 또한 원심으로 이동한 과두가 귀의 구조물에 압력을 가해청각마비(deafness)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했다 1920 년Wright 에 의해 출판된 비슷한 보고도 있다 또한 Costen의 논문이전에 발간된Goodfriend와 Decker의 논문에 Costen이 열거한 것과 비슷한 증상들이 나열되어 있다Costen의 증후군(특히 열거한 증상들에 대한 그의 설명들)은 처음부터 심한 비판을 받았다Sicher와 다른 해부학자들은 Costen의 증후군에 대한 해부학적 기초가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납득이 갈만한 설명을 했다 Costen이 생각한 것처럼 과두와 postglenoid spine사이에서 이측두신경의 주요가지의 침해는 일어날 수 없다 귀구조물에 직접압력이 가해지거나 Eustachian tube가 막히게 되어 고삭신경이 침해되는 것은 둘다 구치의 소실로는 야기될 수 없다 Schwartz는 측두하악관절과 근육장애를 가진 2,500명의 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결과로"우리가 찾은 증상들은 Costen에 의해 강조된 것들도 아니었고, 그가 묘사한 증상들도 아니었다 Costen증후군의 각 증상들을 대할 때 우리는 그것들을 교합폐쇄와 연관시킬 수 없었다"고 말했다 Costen이 주장한 과두의 후방이동에 의한 이측두신경의 침해가 받아들여지고 있지는 않지만,일부에서는 아직도 측두하악관절과 인접한 구조의 기능적 부조화와 연관된 다양한 병리적 그리고 임상적 소견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는데 후방전위와 하악과폐쇄설(mandibular overclosure)을 지지하고 있다Sicher는 외상성 측두하악관절염과 연관된 퇴행성변화가 과두의 정상위치후방에 있는 연조직과 활액막융모(synovial villi)를과두와가 후방침해(distal impingement)한 결과라고 믿었다 주장하는 바에 의하면후방전위와 과폐쇄가 정상적으로는 관절에 영양을 주고 윤활하게 하는 활액(synovial fluind)생산을 방해한다 그래서 조직병리 연구자들이 보통 말하는 관절의 퇴행성 변화는 활액막의 대사와 기능이 방해받기 때문이라고 한다전위설의 지지자들은 관절주위의 동통을 관절낭과 주변에 분포하는 신경말단의 퇴화와 자극에 의한 것으로 여긴다관절로부터 떨어진 부위의 동통을 "연관통(referred pain)"이라고 묘사해 왔다 이것은측두하악관절 부위의 동통이 공동(sinuses)이나 두부와 경부근육으로부터 동통이 전해진 것으로 생각될 수 있음을 말한다해부학적으로 측두하악관절과 귀의 장애를 연관시키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Pinto는 인대에 의해서 : Thonner 는 관절와(glenoid fossa)의 열구를 통과하여 내이(inner ear)로 들어가는 내측상악동맥(itneranl maillary artery)으로부터의 혈액공급에 의해서 : 그리고 Myrhaug는 이소골(ossicular) chain고 등곡(stapes)의 footplate에 작용하여 미로내압(intralabyrinthine pressure)을 증가시키는 고막장근(tensor tympani muscle)의 증가된 긴장도에 연관되었다고 생각했다 이들 기전들가운데 한 가지나 그 이상은 교합치료 후에 현기증과 귀울림이 개선되는 점을 설명하는 것은 가능하다 하악근육에서 근안면유발기전(myofacialtrigger mechanism)을 차단하여 일부 환자에서 거북감(stuffness), 청각상실, 그리고 귀울림(tinnitus)이 제거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들 관찰에 대한 만족한 설명을 제공해 주지는 못한다 현기증(vertigo) 또한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nd msucle)에서 근안면 유발부위에의해 야기된다 따라서저작계의 현기증(vertigo)과 기능이상의 근육경련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을수도 있다 Costen의 학설은 거의 대부분 반증되어서 다른 설명들이 그가 생각한 "증후군"에 포함되는 증상들의 대부분에 적용되고 있다 일부는 외상성 측두하악관절염을원인불명인 다른 형태의 관절염(arthritis 또는 arthrosis)의 변형이라고 여긴다 이 개념은 열(heat), 고온요법(diathermy), X-ray, corticoid의 주입, hyaluronidase, 또는 관절원판의 적출과 같은다양한 형태의 증상적 치료의 기초가 된다 다른 사람들은 근육의 기능이상과 피로가 측두하악관절과 그 인접한 구조물에서의 동통의 원인이 된다고 여긴다악관절 및 근육기능장애는 기능이상이 원인인 이러한 모든 통통을 가리킨다고 생각된다 교합은 아마 이 증후군에서 적거나 2차적인 역할을 하며 정신적 긴장과 근육경련이 동통의 주요원인 으로 생각된다Lsakin은 동통기능이상증후군(pain dysfunction syndrome)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Laskin에따르면관절에 병소를 가진 환자들은 이 증후군에서 제외된다 지금까지 언급한 어떤 개념도 기능이상을 지닌 측두하악관절과 근육동통에 관한 모든 임상적, 조직병리학적, 그리고 근전도적 관찰에 따르는 논리적이고 일반적으로 적용할 만한 설명을 제공해주지 못한다. 임상적으로 관찰하였을때 악간 간격(interocclusal space)이나 freeway space의 증가가 외상성 측두하악관절염이나 근육통의 원인이되거나 기여한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 그러나 bite를 올려주기 위해 고안된 시술의 결과로 악간 간격에 어떤 침해가 생겼을 때 교합간섭으로 근신경기전에 해로운 정보 (disturbing input)를 증가시키는 것처럼 보인다 악간 간격을 증가시키면 교합간섭으로부터의 해로운 자극을 적게 해주어 교합간섭에 대한 내성은 커진다 아무런 감섭이 없다면 안정위의 교합고경과 교합위의 교합고경간의 차이는 예전에 생각했던 것만큼 결정적인 요소가 못된다 특히 악간 간격이 증가된 경우에도 지난 40년동안 수백명의 악관절 및 근육기능장애 환자의 임상적 경험에 의하면 거의 모든 환자가 교합고경을 변화시키거나 변화시키지 않고 교합치료한 결과 증상들이 일부 또는 완전히 완화됨을 경험하였다 Cobin이 몇년전 보고한 것처럼 하악을 이전의 중심교합위의 원심이나 외측인 안정된 교합관계로 재위치시켜주는 교합조정이나 다른 형태의 교합치료는 종종 장해가 되는 증상들을 완화시켜준다 물론 증상이 처음 위치에서 원심전위에 의한 것이라면 하악을 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치료는 이런 증상을 경감시키지 못한다한 비교 해부학적 그리고 방사선학적 연구에서 관절의 손상은 이전에 아팠던 측두하악관절의 외측이나 내측면으로 심하다고 밝혀졌다 이것은 이 관절에 후방압력요소보다는 오히려 측방압력요소가 가해졌음을 가리킨다 이 연구에서 관절의 외측면에서의대부분의 병리학적 변화는 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지 않았다중심위에서 중심교합위로의 측방활주(lateral slide)는 종종 과두의 내측과 전방으로 운동하는 측에 동통을 유발시킨다 활주후에 과두는 관절의 후면보다 오히려 전방과 측면에 놓인다(후방전위의 반대위치) 의치제작에서 하악의 실험적인 전방전위는 근육과 측두하악관절의 동통을 일으킨다 측두하악 관찰에서 편측동통을가진 대부분의 환자는 병에 이환된 쪽으로만 저작하려 하는데, 이것이 반대쪽으로 씹는 것보다 고통이 덜하기 때문이다 평형측 과두보다 작업측과두에 압력이 덜 가해지고, 측방기능운동시에 평형측 과두는 전방으로 운동한다 환자가 동통 때문에 평형측 기능을 하는 쪽의 사용을 피하는 사실은 동통이 관절의 후방부보다 오히려 전방부에서 접촉되어 야기됨을 나타내준다 이갈이를 하고 상악 견치절단에 마모면을 가진 환자에서 아픈 관절은 종종 대각선으로 견치의 반대편 쪽이다 이것은 견치를 갊으로 해서 생긴 동통은 관절의 후방압력에 의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반대편이나 평형측에 있는 관절의 전방과 내측면에 가해지는 지나친 스트레스로 인한 것임을 나타내준다 원숭이의 실험에서 occlusal splint로 하악을 전방전위로 고정시킨다 ; 과두의 경부에 외측익돌근(external pterygoid muscle)이 종지(insertion)하는 부위의 골흡수는 이 근육이 교합전위의 결과 지나치게 활동적으로 되는 것을 나타낸다관절부위의 동통은 이같은 과활동성과 근육이 종지하는 건(tendon)에 비정상적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일부 생길 수 있다원숭이에서 기능에 대한 가장 심한 간섭은 실험적인 측방교합전위 후에 일어나고 전방이나 후방전위로 일어나지 않는다 교합접촉시에 전치만이 남아 있는 사람들은 심한 수직피개가 된 경향이 있고 가끔 측두하악관절기능이상과 근육증상들을 가진다 비록 이것이 후방전위론과 과피개 이론(overclosure theory)에 대한 증명으로 여겨지지만 중요한 것은 이런 환자가 flat bite plane에 놓여질 때 그들의 하악이 그 증상들이 진정되면서 더 후방으로이동하는 것이다 이 현상에 대한 더욱 그럴듯한 설명은 환자가 하악을 상악 전치에 대해서 저작하기 위해 더욱 더 전방으로 유지하려하고 이런 상황에서 하악골은 더욱 더 전방으로 이동 한다는 것이다 필요에 의해 이렇게 앞으로 저작하는 것은 외측익돌근과 과두 경부의 이 근육부착부를 과활동으로 유도한다 환자가 전방치아로 접촉하기 위해 앞으로 씹지 않고과두를 정상위치에 둘 수 있을 때 증상은 완화된다 ; 문제는 과두의 후방전위보다는 오히려 전방전위인 것으로 보인다 과두의 위치는 확실히 동통과 근육긴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근전도에 의하면 후방측두근섬유의비정상적으로 증가된 활동은 외상성 측두하악관절염과 보통 관련이 있다 이 관계는손상된 관절의 전면 또는 측면으로 아프게 접촉되지 않도록 과두를 Splinting 또는 holding하려는 시도일 것이다 적당한 교합조정이나 bite plane사용후에 후방 측두근섬유에 국한된 과긴장은 없어진다 가끔 기록할 수 있는 정적인 접번축(hinge axis)은 위치가 변하고 중심위에서 악골과 치아사이의 관계도 변화될 수 있다정적인 접번축은 관절와 속으로 상방과 전방으로 이동한다 ; 전방개교교합이 있다면 최후방구치는 조기 접촉된다 동통이 진정된 후에 정상적인 과두위치로의 조정은 과두의 하방과 후방위치가 관절통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어쨋든 증명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무릎관절에서 sprained ligament는 무릎의 기능적인 운동을 바꾸지만 이 변형된 보호적인 운동방식이 처음 위치에 아픈 손상을 야기시킴을 의미하는것은 아니다 측두하악관절과 근육통을 가진 환자에서정적인 접법축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환자의 정상적인 중심위가 존재함을 증명하지는 않는다; 측두하악관절 방사선사진에서 과두의 분명한 후방위치 또한 이들 관절의 정상적인 해부학적 다양성 때문에 의미가 없다 몇년 전에 주장되었듯이 bite를 올려서 과두가 방사선 사진상으로 관절와의 가운데 오도록 하는시도는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근육활동과 과두위치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서 말하였듯이 과두는 경직성 근활동에 의해 후방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 관계 또한 방사선상으로 증명된다 그러나 이 증거는 과두의 이 후방위치가 동통을 유발한다고 증명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기능적 측두하악관절과 근육장해와 연관된 동통은 관절구조, 특히 관절의 주변전방과 측방부의 외상성 손상 결과이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근육활동의 결과이다 기능적 장해를 가진 환자가 자주 경험하는 찌르는 듯한 신경성 형태(neuralgic type)의 동통은아마 관절구조와 연관된 신경말단의 자극으로 인해 야기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저작계의 다른 부분에서 동통이 전달된 것일 수도 있다 악골근육의 종지와 부착부위에서의 끌어당기는 동통이나 둔통은 또한 근육의 과활동의 결과이며, 건과 종지부위의 신경요소로부터 동통반응을 일으킨다 기능적 장해와 동통의 원인은 정신적긴장과 교합의 부조화가 혼합된 것으로 근육의 과활동을 가져오며 저작계의 관절구조, 건, 그리고 근육에 외상성손상을 가져온다 후방전위, 과피개교합(overclosure), 그리고 교합교경의 소실은 기능이상적 동통의 특이한 원인이 아니다 관절에서의 병리학적 변화는 가끔 이들 요인들과 관련된 간접적 퇴화보다는 오히려 직접적 외상의결과이다 외부원인(extrinsic)으로나 또는 저작계내(intrinsic)의 기능적 장해로부터의 손상은 측두하악관절, 그 인접한 구조, 그리고 관절의 기능에 관련된 근육에서 불편감과 동통을 일으킨다 저작계에서 기능이상적 동통의 원인이라고 제안되는 다양한 학설이 있지만 가장 흔히 배경이 되는 요인은 어떤 형태의 이갈이와 함께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근육긴장이라는 것이 더욱 분명해지고 있다 즉 정신적긴장(Psychic tension)과 감정적이며 신체적인 스트레스(Emotional and Physical Stress)이다 외적인 손상을 제외한 측두하악관절의 손상은 비정상적인 근육활동과 저작계 여러 부분의 정렬에 관련된 부조화의 결과이다 좌절감, 정신적 스트레스, 정서적 긴장, 교합간섭, 또는 동통과 같이 기본적인 근육활동이나 긴장을 증가시키는 어떠한 것도 측두하악관절과 인접한 근육에 기능장해와 동통을 일으킬 수 있다 스트레스하에서 근육긴장이 증가된다고 알려져왔다 과거에 신체적 임무를주어서 교근과 측두근의 활동변화를 측정한 Yemm의 잘 조절된 실험에서 이 개념을 설명하였다 정상적인 피험자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 치아접촉의 빈도와 시간이 더 길어진다 많은 연구자들은 측두하악관절과 근육기능이상을 가진 환자에서 악골근육의 과활동을 보고하였다 이관찰과 보고에 기초를 두고 보면 기능이상 환자와 비교대상자(control subject)사이에 교합이상이나 결핍의 빈도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고 중추신경계의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근육과활동성은 근육에 손상을 주어 국소적이고 인접한 구조에서 손상된 기능, 동통, 그리고 압통(tenderness)을 일으킨다 만약 교합과 관절간에 조화된 관계가 있고 생리학적 근육긴장을 가진 사람이라면 empty movement시에 측두하악관절의 구성요소에 최소한의 스트레스만이 있게 된다 emptry movement는 연하나 흔히 있는 치아접촉시의 접촉을 말한다 단단한 음식이나 다른 물질을 저작할 때 측두하악관절의 평형측에 심한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측두하악관절뿐만아니라 저작계의 다른 부분내의 조직은 기본적 근신경반사(neuromuscular reflex)와 근신경계에 의한 근육기능과 힘의조정을 통해서 일반적으로 보호를 받는다 이 경우에 관절은 저작력과 보호적 반사의 근신경조정(neuromuscular coordination)에의해 손상을 가하는 힘으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그러나 근육긴장과 자극에 대한 반응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될때 관절뿐만 아니라 근육과 인대의 외상성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다 앞에서 살명한 바와같이 기초적 근육활동의 이와 같은 증가는 정서적 긴장과 연관이 있다 심한 망상체자극(reticular stimulation)은 저작근과 안면표정근을 크게 수축시켜려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망상체자극이 적은 경우보다 유해자극에 관한 정보(nociceptive inflow)가 덜 효과적이게 한다 중추신경계를 과도하게 자극하여 보호적 반사의 효율이 감소되는 것은 측두하악관절기능이상의 원인론에서 저작계와 중추신경계 사이의 상호작용을 부분적으로 설명해준다 손상을 받으면 손상된 조직으로부터의 동통은 근육활동을 증가시키고 결국 손상력은 증가되어 외상은 더욱 증가된다 근육긴장과 손상의 이 악순환은 보통 이갈이의 어떤 형태로 표현되며, 외상성 측두하악관절염과 관련된 기능적 장해의 발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증가된 활동은 신체 대부분의 다른 근육에서보다 저작근과 안면표정근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안면표정근과 악골근육이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노여움, 공포, 그리고 공격성과 기타 정서적표현에 관여되기 때문이다 기능이상을 가진 환자에서 개인성격(personality characteristics), 동통에의 반응성, 스트레스하에서의 반응, 그리고 전신적인 근육긴장과 같은 정신적 요인들을 연구하여 왔다 근심과 이갈이, 걱정과 다른 많은 성격상의 특성들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이 보고 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중 기능이상 이전의 환자의 정신적 상태를 보고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 상관관계는 각 연구마다 미약하며 다양하고 ; 개인 특성(personality traits)과 기능이상간의 아무런 원인-결과관계가 세워져 있지 않다 더구나 발견된 동통의 형태는 근경련으로 인한 것이기보다는 근의 과활동성으로부터 오는 것 같다.
진공동결건조 : 3중점(三重點) 이하의 압력에서는 상(相)의 변태가 고기평형선(固氣平衡線) 위에서 발생하여, 수분은 고상(固相:얼음)에서 승화에 의해 직접 기화·제거된다. 이와 같은 승화에 의한 탈수건조법을 진공동결건조(vacuum freeze drying)라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원료(액체·반고체·고체 등)는 동결상태하에서 조작되므로 탈수에 따라 졸아들거나 표면경화 등의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재료의 형태와 조직 등의 물리적·화학적 변화가 극히 적다. 또 밀폐장치 안에서 저온으로 다루어지므로 미생물 등에 의한 오염도 적어 유리하다. 진공동결건조는 의약품·미생물 제품·식품 등의 제품에 공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질 높은 보존, 인스턴트 식품의 제조법으로도 응용되고 있다
REFERENCE
1.Westesson PL, et al: Cryosectional observations of functional anatom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ral Surg 1989; 68;247
2.Sahler LG, et al: Microangiography of the rabbit temporomandibularjoint in the open and close positions. J Oral Maxillofac Surg 1990; 48;831
3.Shengyi T, Yinghua X: Biomechanical properties and collagen fiber orientation fo TMJ discs in dogs: Part 1. Gross anatomy and collagen fibers orientation of the disc. J Craniomandb Disord Facial Oral Pain 1991;5;28
4.Jeffrey P. Okeson: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3rd edition 1997
5.Boyd Rl, et al: Temporomandibular joint forces measured at the condyle of Macaca arctoides.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0; 97;472
6.Williamson EH: Teh masticator silent period: its use in diagnosis and treatment in dysfunctions. J Cli Orthod 1982;16:686
7.Mcnamara DC: Inhibitory effects in the masticatory neuromusculature of human subjects at median occlusal position. Arch Oral Biol 1976; 21:329
8.Bell WE: Orofacial Pains, ed 4. Chicago, Year Book Medical Publishers Inc, 1989, pp50-63.
3분류(츄잉바 베이스와 그 제조방법/ 향미 첨가물/ 기능성 첨가물)로 구성되어 있다
츄잉바 베이스 : 상기한 바와 같이 목재
츄잉바 제조방법 : 목재를
가) 벌목하는 단계
나) 뒤틀리거나 좀이 슬지 않도록 海水에 통째로 1~3년 동안 담그었다가 꺼내어 조각을 내고, 다시 소금물에 삶았다가 그늘에 말리는 단계
다) 입에 물고 가볍게 씹을 수 있도록 W12 ×D2 ×H47mm 로 성형하는 단계
라) 인체에 무해하도록 표면을 Grinding & Polishig 하는 단계
마) 인체에 무해하도록 고압증기소독(Autoclave)으로 섭씨121도 15lb/inch. 15minutes 및 섭씨134도 30lb/inch. 3minutes로 소독하는 단계
바) 식음가능한 정수된 물을 Kettle에 넣어 섭씨 80도씨로 가열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을 용해시킨 후, 상기 가공한 목재를 7~22분동안 담궈놓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이 목재에 침윤되도록 하는 과정
사)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진공동결건조하는 단계
아) 요구되는 풍미의 유형과 강도에 따라 표면에 추가 식용색소, 추가 향미 첨가물 및 추가 기능성 첨가물을 도포하는 단계
자)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밀봉포장하는 단계
향미 첨가물 : 감미료, 풍미제로 이루어진다
감미료는 당류 감미료, 당알콜 감미료 및 강력 감미료를 포함한다
당알콜 감미료는 소르비톨과 만니톨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풍미제는 스피아민트유, 계피유, 동록유(메틸살리실레이트), 박하유, 레몬, 오렌지, 라임 및 그래이프프루트(Grape Fruit)를 포함하는 감귤류오일;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딸기, 로즈베리, 체리, 자두, 파인애플 및 살구를 포함하는 과일 에센스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모든 자연, 인공 또는 합성 풍미제를 포함한다
기능성 첨가물 : 자일리톨, 녹차 엑기스 및 동엽록소나트륨의 혼합물, 은행잎 엑기스, 불화나트륨을 포함한다
<실시예1>
자작나무를 벌목하여 뒤틀리거나 좀이 슬지 않도록 해수에 통째로 3년동안 담그었다가 꺼내어 조각을 내고 다시 소금물에 삶았다가 그늘에 말린후 입에 물고 가볍게 씹을 수 있도록 W12 ×D2 ×H47mm 로 성형한다. 인체에 무해하도록 표면을 Grinding & Polishig 한다 인체에 무해하도록 고압증기소독(Autoclave)으로 섭씨121도 15lb/inch. 15minutes로 소독한다 식음가능한 정수된 물을 Kettle에 넣어 섭씨 80도씨로 가열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을 용해시킨 후, 상기 가공한 목재를 7분동안 담궈놓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이 목재에 침윤되도록 한다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진공동결건조한다 표면에 식용색소 추가 향미 첨가물 추가 기능성 첨가물을 도포한다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밀봉포장한다
*<중량%>*
목재23~33중량%, 솔비톨분말40~55중량%, 자일리톨10~17중량%, 만니톨15중량%, 페퍼민트 풍미제0.5~2.0중량%
<실시예2>
산벚나무를 벌목하여 뒤틀리거나 좀이 슬지 않도록 해수에 통째로 2년동안 담그었다가 꺼내어 조각을 내고 다시 소금물에 삶았다가 그늘에 말린후 입에 물고 가볍게 씹을 수 있도록 W11 ×D1.7 ×H45mm 로 성형한다. 인체에 무해하도록 표면을 Grinding & Polishig 한다 인체에 무해하도록 고압증기소독(Autoclave)으로 섭씨134도 30lb/inch. 3minutes로 소독한다 식음가능한 정수된 물을 Kettle에 넣어 섭씨 85도씨로 가열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을 용해시킨 후, 상기 가공한 목재를 17분동안 담궈놓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이 목재에 침윤되도록 한다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진공동결건조한다 표면에 식용색소 추가 향미 첨가물 추가 기능성 첨가물을 도포한다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밀봉포장한다
*<중량%>*
목재22~22.5중량%, 자일리톨77중량%, 박하유 풍미제0.5~1.0중량%
<실시예3>
돌배나무를 벌목하여 뒤틀리거나 좀이 슬지 않도록 해수에 통째로 1년동안 담그었다가 꺼내어 조각을 내고 다시 소금물에 삶았다가 그늘에 말린후 입에 물고 가볍게 씹을 수 있도록 W11.7 ×D1.9 ×H43mm 로 성형한다. 인체에 무해하도록 표면을 Grinding & Polishig 한다 인체에 무해하도록 고압증기소독(Autoclave)으로 섭씨134도 30lb/inch. 3minutes로 소독한다 식음가능한 정수된 물을 Kettle에 넣어 섭씨 83도씨로 가열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을 용해시킨 후, 상기 가공한 목재를 22분동안 담궈놓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이 목재에 침윤되도록 한다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진공동결건조한다 표면에 식용색소 추가 향미 첨가물 추가 기능성 첨가물을 도포한다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밀봉포장한다
*<중량%>*
목재22~32중량%, 솔비톨분말44~58중량%, 자일리톨10~15중량%, 스피아민트유 풍미제0.5~3.0중량%, 녹차 엑기스 0.02~0.03중량%, 불화나트륨0.0002~0.001중량%
<실시예4>
자작나무를 벌목하여 뒤틀리거나 좀이 슬지 않도록 해수에 통째로 1년동안 담그었다가 꺼내어 조각을 내고 다시 소금물에 삶았다가 그늘에 말린후 입에 물고 가볍게 씹을 수 있도록 W12 ×D2 ×H47mm 로 성형한다. 인체에 무해하도록 표면을 Grinding & Polishig 한다 인체에 무해하도록 고압증기소독(Autoclave)으로섭씨121도 15lb/inch. 15minutes 소독한다 식음가능한 정수된 물을 Kettle에 넣어 섭씨 85도씨로 가열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을 용해시킨 후, 상기 가공한 목재를 20분동안 담궈놓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이 목재에 침윤되도록 한다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진공동결건조한다 표면에 식용색소 추가 향미 첨가물 추가 기능성 첨가물을 도포한다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밀봉포장한다
*<중량%>*
목재22~32중량%, 솔비톨분말44~58중량%, 자일리톨10~15중량%, Menthol풍미제0.5~3.0중량%, 은행잎 엑기스 0.1~2.0중량%
본 발명 Solution이 제공하는 효과는,
저작계 근육이완으로 긴장해소,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근육긴장 해소, 정신적 긴장(Psychic tension)해소, 감정적이며 신체적인 스트레스(Emotional and Physical stress)해소, 입안 악취제거, 향미를 즐기기(Enjoy Taste & sweet smell), 두뇌활동촉진 및 TMD(동통을 포함), 점착성때문에 타물질 표면에 부착되어 끼치는 재정적 시간적 문화적 손해를 유발할 수 있는 기존 츄잉껌베이스(gum base)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점착성으로 인해 일어나는 검베이스와 지방 왁스 일레스토머 용매수지의 부작용 즉, Stickiness(점착성) 천연고무엘라스토머,천연검엘라스토머,합성고무엘라스토머,소수성합성중합체,수지검물질,fat, wax, 일레스토머 용매 수지에의해 발생하는 Unfavorble Effect 로서 다음과 같다 즉, Mastication중에는 자연치아, 인조 치과용 제품(틀니)에 쉽게 달라붙어 불쾌감을 유발하며, 폐기시에는 의류, 보도, 벽, 콘크리트, 대리석, 나무, 마루, 아스팔트 포장도로, 카페트, 가죽, 머리카락 및 천과 같은 각종 표면에 강력하게 부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흔적이 추하게 얼룩으로 장기간 남으며 인적/물적 제거 비용또한 상당하다 그로 인해, 판매자들이 종래의 츄잉검을 영화관, 연극장, 병원, 호텔, 세미나실, 학회실, 공공건물, 학교, 일정규모이상의 빌딩, 광장, 공원, 각종 경기장(야구,축구,농구...), 학원, 버스휴게소, 공항, 휴게실, 각종 복합상가/사무실, 대합실, 기차역, 놀이공원 및 유원지와 같은 많은 운집장소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것이 금지되어, 일례로 싱가포르는 츄잉검의 판매를 국가차원에서 강력히 금지하며 허락된 제한 장소를 위반시 상당한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따라서 판매자는 판매를 충분히 할수 없고, 구매자는 많은 장소에서 껌을 Chewing하고 싶은 욕구를 제재당하므로 생산자/판매자/구매자(소비자) 모두 큰 피해를 보고 있다. 따라서, 점착성을 전혀 가지지 않는 조성물과 새로운 효과의 추가 혜택까지 제공하는 새로운 츄잉바는 많은 생산자/판매자/소비자로부터 호응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치 저작 가능한 젤라틴캡슐특허와같이 발명의 구성은 간단(Simple)하고 실시기재는 쉬우나(Easy) 그 효과(Effectiveness)는 분명(Clear)하여 전 세계 어느 누구에게나 호응받는 발명이다. 즉 Specimen1. 관용적 츄잉껌 Specimen2. 저점착성 츄잉껌 Specimen3. 비점착성 츄잉껌 모두그 기능은 씹고자 하는 본능을 만족시켜주며, 향미와 씹는 기분을 즐기도록하며, 최근에는 자일리톨등의 각종 첨가물을 첨가하여 기능성(예를 들면, 충치예방,구취제거,졸음예방)을 추가시킨 제품까지 나오고 있으나, 3종 모두 그 츄잉껌의 기본 베이스 머티리얼(Chewing Gum Base Material)의 대부분은 합성수지 이다
따라서 그 기능성에 한계가 분명하며(Limited Effectiveness), 일정한 형태없이 씹어대는데로 변하는 Elastomer 및 합성중합체이므로 Unfavorable effects(unfavorable results)가 동시 다종 다수 동반된다.
본문 상기한 바와 같이 형태가 일정치않는 일레스토머이므로 계속적으로 씹어대도록 저작계를 유도시킨다 따라서 저작계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쉽게 설명하면, 저작계의 근육(Muscle), 측두하악관절(TMJ), 인대(Ligaments),근신경계(Neuromusclular) 및 저작계정렬구성계에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과활동을 부추겨서 TMD를 유발시키는 가능성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치과내원TMD환자에게 츄잉껌은 금기사항으로 환자에게 지도/지시하는 것은 그만큼 Risk Factor임을 경험적으로 알기 때문이다 더욱 쉽게 설명하면 츄잉껌을 6~7분이상만 계속 입안에 넣고 있어보면 얼마나 씹어대는지, 그리고 얼마나 턱관절에 무리(본인은 제일 처음 통증으로 느끼며, 그 이후 시간과 씹어대는 저작횟수가 증가할수록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바라지않던 부작용 예를 들면 이명, 작열감 등등)가 오는지는 츄잉껌을 씹어본 누구나 알 수 있는 극명한 사실 이다. 또한 비점착성껌또한 기본 껌베이스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여러조건에서비점착성의 효용을 보이고 있지만 그 한계성또한 일레스토머 및 합성중합체를 뛰어넘을수는 없는 것이다. 예를 들면 특1997-7004480의 데이터로서 콘크리트위 온도섭씨70도에서 2일동안 부착후 90%까지 떼어내는 성공적 실험실내 실험을 Report하였는데, 이것이 과연 현실적으로 얼마나 효용가치가 있는지는 실제 상황과 비교해보면 쉽게 알수있다 즉 우리나라 여름철 아스팔트 및 보도의 온도와 몇년씩 수많은 자동차와 사람들로 밟혀대서 붙어버리는 현실과 비교했을때 그 효용성이 의문시되고 현실적 Effectiveness를 실제로(제거에 필요한 금전적, 시간적 혜택을) 수여받기에 부족하다 또한 관점(Aspect)을 달리하여, 문화적 측면에서 볼때 그 효용성은 더욱 차이 를 보인다 즉, 껌을 세계에 전파시킨 미국의 문화는 수업시간에 학생이 껌을 아무런 거리낌없이 씹어대어도 어떠한 주위의 제재를 받지 않는다. 하지만 그외의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츄잉껌을 수업시간에 국한된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공공장소와 많은 사람들속에서 씹거나 씹는 소리를 내는 것이 타인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여, 주위의 따가운 눈총을 받는 문화시민으로서의 자질을 의심받으며, 특히 그 폐기(씹은 껌을 버리는)와 관련해서 위반시에는 벌금까지 부과되는 현실이다.
따라서 저작계에 무리가 가는지도 모르게 본능적으로 씹어대도록 유도하고, 스트레스를 풀려고 씹은 껌을 통해 오히려 본인의 신체에 스트레스를 주고, 타인의 불쾌감을 조성하여 주위의 눈총을 받아 격식을 갖추기가 불가능하며, 문화성자질을 의심받게 만들며, 폐기와 관련해서는 법적 벌금까지 부과받는 껌베이스의 개선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 이다
결국, 21세기 고부가 가치산업인 지식정보산업의 대표적 일례인 외국 특허권에 대해 로열티를 지급하면서 전통적 제조업에만 매달려 오던 것을 지양하고, 국내 특허권을 활성화한다는 대한민국특허청의 근본취지를 기반으로, 무형자산인 지적재산권을 취득하여 시야를 세계시장으로 넓혀, 본 발명의 전세계 국제 출원을 통해 國益 創出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9)

  1. 검베이스(Gum Base)가 목재(木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바
  2. 제1항에 있어서, '목재 검 베이스'는
    목재를
    가) 벌목하는 단계
    나) 뒤틀리거나 좀이 슬지 않도록 海水에 통째로 1~3년 동안 담그었다가 꺼내어 조각을 내고, 다시 소금물에 삶았다가 그늘에 말리는 단계
    다) 입에 물고 가볍게 씹을 수 있도록 W(6~12) ×D(1~2) ×H(35~50)mm 로 성형하는 단계
    라) 인체에 무해하도록 표면을 Grinding & Polishig 하는 단계
    마) 인체에 무해하도록 고압증기소독(Autoclave)으로 섭씨121도 15lb/inch. 15minutes 및 섭씨134도 30lb/inch. 3minutes로 소독하는 단계
    바) 식음가능한 정수된 물을 Kettle에 넣어 섭씨 80도씨로 가열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을 용해시킨 후, 상기 가공한 목재를 7~22분동안 담궈놓아 향미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이 목재에 침윤되도록 하는 과정
    사)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진공동결건조하는 단계
    아) 요구되는 풍미의 유형과 강도에 따라 표면에 추가 식용색소, 추가 향미 첨가물 및 추가 기능성 첨가물을 도포하는 단계
    자) 질높은 식품보존을 위해 밀봉포장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바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향미 첨가물은
    감미료, 풍미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바
  4. 제3항에 있어서, 감미료는
    당류 감미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바
  5. 제3항에 있어서, 감미료는
    당알콜 감미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바
  6. 제5항에 있어서, 당알콜 감미료는
    소르비톨과 만니톨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바
  7. 제3항에 있어서, 감미료는
    강력 감미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바
  8. 제3항에 있어서, 풍미제는
    스피아민트유, 계피유, 동록유(메틸살리실레이트), 박하유, 레몬, 오렌지, 라임 및 그래이프프루트(Grape Fruit)를 포함하는 감귤류오일;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딸기, 로즈베리, 체리, 자두, 파인애플 및 살구를 포함하는 과일 에센스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모든 자연, 인공 또는 합성 풍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바
  9. 제2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물은
    자일리톨, 녹차 엑기스, 은행잎 엑기스, 불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바
KR1020010085630A 2001-12-27 2001-12-27 츄잉바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3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630A KR20020023196A (ko) 2001-12-27 2001-12-27 츄잉바 및 그 제조방법
KR10-2002-0079116A KR100499828B1 (ko) 2001-12-27 2002-12-12 츄잉바 및 그 제조방법
AU2002359050A AU2002359050A1 (en) 2001-12-27 2002-12-27 Chewing bar and producing procedure thereof
CNB028263871A CN1288991C (zh) 2001-12-27 2002-12-27 条状口香糖及其生产方法
PCT/KR2002/002460 WO2003055325A1 (en) 2001-12-27 2002-12-27 Chewing bar and producing procedur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630A KR20020023196A (ko) 2001-12-27 2001-12-27 츄잉바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109U Division KR200298867Y1 (ko) 2002-07-15 2002-07-15 츄잉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196A true KR20020023196A (ko) 2002-03-28

Family

ID=197176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630A KR20020023196A (ko) 2001-12-27 2001-12-27 츄잉바 및 그 제조방법
KR10-2002-0079116A KR100499828B1 (ko) 2001-12-27 2002-12-12 츄잉바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116A KR100499828B1 (ko) 2001-12-27 2002-12-12 츄잉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20020023196A (ko)
CN (1) CN1288991C (ko)
AU (1) AU2002359050A1 (ko)
WO (1) WO20030553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047B1 (ko) * 2005-03-30 2007-02-12 정두수 고지혈증 치료용 한약 추출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0772A (zh) * 2015-05-27 2015-09-23 闭炳春 一种防蛀牙口香糖及其制备方法
USD796775S1 (en) 2015-09-09 2017-09-12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Confection
CN114223774A (zh) * 2021-12-24 2022-03-25 中国农业科学院都市农业研究所 一种含木姜叶柯提取物的无糖口香糖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7108A (en) * 1981-06-12 1983-06-07 Warner-Lambert Company Non-stick chewing gum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KR910004373A (ko) * 1989-08-11 1991-03-28 와따나베 히로시 감열기록체
DK167553B1 (da) * 1989-09-22 1993-11-22 Vecata As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gummibase til tyggegummi
KR960000040A (ko) * 1994-06-23 1996-01-25 이인순 식물성 자연섬유를 생지로 한 식품 검(gum)
KR0159252B1 (ko) * 1995-01-18 1998-11-16 김규식 여러가지 색상과 무늬를 갖는 껌의 제조방법
KR100228744B1 (ko) * 1997-05-10 1999-11-01 한수길 츄잉껌 조성물
KR19990068720A (ko) * 1999-06-14 1999-09-06 윤소란 쑥으로만든먹는옛날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047B1 (ko) * 2005-03-30 2007-02-12 정두수 고지혈증 치료용 한약 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55325A1 (en) 2003-07-10
CN1610505A (zh) 2005-04-27
KR20030057313A (ko) 2003-07-04
CN1288991C (zh) 2006-12-13
KR100499828B1 (ko) 2005-07-11
AU2002359050A1 (en) 200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th Ethnobotany of the Ojibwe Indians
Roberts Edible & medicinal flowers
CN105685360B (zh) 一种清咽改善口腔环境的黑木耳压片糖果
CN104872209B (zh) 一种生产有机猪肉的猪舍熏蒸剂及其使用方法
CN101283763A (zh) 一种五香槟榔干的制作方法
CN107509844A (zh) 一种养生石榴茶的制作方法
Patel et al. Chewing gum as a drug delivery system
Jacobs The original Buddhist psychology: What the Abhidharma tells us about how we think, feel, and experience life
CN105056096A (zh) 补肾活血通络酒及其制备方法
KR20020023196A (ko) 츄잉바 및 그 제조방법
CN101716008A (zh) 一种具有护肝养肝功能的醋饮料
Leyel Herbal delights
KR101201785B1 (ko) 스테비아잎을 이용한 발효차 제조방법
KR20170034880A (ko) 기능성 탄산 발효 효소, 발효 방법 및 그 조성물.
Nyerges Guide to wild foods and useful plants
Touyz Demystifying apples in health and dentistry
KR101491732B1 (ko) 홍시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홍시 아이스크림 제조방법
KR20170085703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내 항염 및 구취 제거용 조성물
KR10085225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9530A (ko) 헛개식초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식초분말
KR20080033826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구아바 과일 침출 차
Lone Tree diversity and economic importance of forest trees of Kashmir (Jammu and Kashmir), India
McBride The Herbal Kitchen: Bring Lasting Health to You and Your Family with 50 Easy-to-find Common Herbs and Over 250 Recipes
Smith et al. Native American Medicine
Kellogg et al. The Americ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