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670A - 척, 비트, 그 조립체 및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척, 비트, 그 조립체 및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670A
KR20020020670A KR1020017005939A KR20017005939A KR20020020670A KR 20020020670 A KR20020020670 A KR 20020020670A KR 1020017005939 A KR1020017005939 A KR 1020017005939A KR 20017005939 A KR20017005939 A KR 20017005939A KR 20020020670 A KR20020020670 A KR 20020020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chuck
shank
openin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지. 쥬니어 무어스
알렌 브렐스포드
존 알. 코크란
Original Assignee
배리 이. 도이치
블랙 앤 덱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리 이. 도이치, 블랙 앤 덱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배리 이. 도이치
Publication of KR20020020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6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25B23/0035Connection means between socket or screwdriver bit and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8Means for retaining and guiding the tool bit, e.g. chucks allowing axial oscillation of the tool bit
    • B25D17/084Rotating chucks or sockets
    • B25D17/088Rotating chucks or sockets with radial movable locking elements co-operating with bit shaf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3Details relating to chucks with radially movable locking elements
    • B25D2217/0034Details of shank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3Details relating to chucks with radially movable locking elements
    • B25D2217/0038Locking members of special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9/00Chucks or sockets
    • Y10S279/904Quick change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9/00Chucks or sockets
    • Y10S279/906Self grasping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128Self-grasping
    • Y10T279/17162Yielding de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128Self-grasping
    • Y10T279/17171One-way-clutch type
    • Y10T279/17188Side de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761Side detent
    • Y10T279/17811Reciprocating slee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29More than one set of gripp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7Tool or Tool with support including detailed sha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94Tool-support
    • Y10T408/95Tool-support with tool-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Drilling Tool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Adornmen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Dowel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척(40)은 그 전방의 원통형 개구(48) 내에 각을 이루며 이격된 리브(166, 168, 170)들을 갖는 본체(42)를 포함한다. 로킹 요소(236)는 본체(42)의 통로(180) 내에서 이동가능하며, 통로(180)로부터 연장가능한 부분(242)이 리브(166)의 내측 첨단면(172)을 통해 개구(48) 내로 형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44)는 로킹 요소(236)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250)에 의해 편의되어 로킹 요소(236)의 부분(242)을 개구(48) 내로 수직으로 가압한다. 비트(62)에는 베이스 내에 형성된 포켓(114)을 가지며 자유 단부(112)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홈(100, 102, 104)을 구비한 섕크(96)가 형성되어 있다. 비트(62)는 홈(100, 102, 104)들이 리브(166, 168, 170)들의 적어도 부분들 상에 각각 구동적으로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척(40)의 개구(48) 내로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다. 로킹 요소(236)의 부분(242)은 포켓(114) 내에서 편의되게 위치되어 비트(62)를 척(40)에 로킹시킨다.

Description

척, 비트, 그 조립체 및 장착 방법{CHUCK, BIT, ASSEMBLY THEREOF AND METHODS OF MOUNTING}
수년간, 척은 수동 또는 동력구동 공구와 사용하기 위한 회전 비트의 장착을 포함한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비트를 파지하거나 장착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많은 경우에, 척은 척 본체의 개구 내에 장착된 다수의 가동적인 비트 맞물림 조오(jaw)를 포함한다. 조오는 척의 개구 내로 삽입된 비트의 섕크를 고정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비트는 수동 또는 동력구동 공구 상에 장착되는 척과 함께 차례로 보유된다. 이러한 척의 조오는 통상적인 척 키이와 같은 외부 도구의 사용에 의해서 또는 척 상의 회전 요소에 의해서 작동될 수도 있다.
과거의 다른 척들은 직접 삽입 장착 기술을 사용하여 비트가 척의 개구 내로 직접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면 비트는 척의 본체 내의 구조 및 비트 상의 구조에 의해 척에 조립되어 로킹된다.
전술한 척들 중 몇몇은 비트를 척의 비트 수용 개구 내로 직접 삽입함으로써비트를 수용하여 장착하는데 적합하지만, 개구는 통상 개구의 직경 또는 크기와 일치하는 공통 직경 또는 크기의 비트의 섕크만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래서, 작업 단부의 직경이 상이한 한 세트의 비트들은 각각 한 세트의 나머지 비트들의 섕크 직경과 동일한 척 장착 섕크 직경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사용된 크기의 범위보다 더 큰 비트 상에 가해지는 힘과 토오크를 조정하기에 충분하게 강하게 되게 하기 위해 비트 섕크가 한 세트 중 가장 작은 비트들에 필요한 것보다 더 크게 되어 비경제적으로 되는 상태를 초래한다.
그래서, 섕크 직경이 상이한 비트들에 대하여 직접 삽입 장착 기술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구조를 갖는 척이 필요하다.
또한, 상이한 직경의 척 장착 섕크가 형성된 비트에 대해서는, 직접 삽입 장착 기술을 사용할 때 척의 공통적인 구조와 각각의 비트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섕크에 대한 구조를 균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척 구조의 변수들이 일정하고 비트들의 구조의 변수들이 변동하는, 직접 삽입 장착 기술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척 및 비트 조립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척, 비트, 그 조립체, 및 비트를 척 내에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척의 구조, 비트의 구조, 조립된 척과 비트의 상관 구조, 비트를 척 내에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동력구동 드릴에 장착된 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환형 홈이 형성된 육각형의 척 장착가능한 섕크를 갖는 제1 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척 장착가능한 섕크 내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 제2 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척 장착가능한 섕크 내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 제3 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척 장착가능한 섕크 내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 제4 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비트의 섕크의 치수 변수들을 도시한, 도2의 제1 비트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비트의 섕크의 홈 내에 포켓이 형성된, 도3의 제2 비트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도7의 비트의 홈 내의 포켓과 그 치수 변수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비트의 섕크의 홈 내에 포켓이 형성된, 도4의 제3 비트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홈의 베이스 내에 포켓이 형성된, 도9의 비트의 섕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비트의 섕크의 홈 내에 포켓이 형성된, 도5의 제4 비트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도9 및 도11의 비트의 홈 내의 포켓과 그 치수 변수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도1의 척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도1 및 도13의 척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도2의 제1 비트의 섕크를 지지하는 도1 및 도13의 척의 구성요소들을 완전히 조립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6, 도17, 도18 및 도19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도1 및 도13의 척 내에 형성된 리브의 여러 가지 선택적인 형상을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도3의 제2 비트의 섕크를 지지하는 도1 및 도13의 척의 구성요소들을 완전히 조립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도3의 제2 비트의 섕크를 척으로부터 제거한 상태의 도1 및 도13의 척의 구성요소들을 완전히 조립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도3의 제2 비트를 도1 및 도13의 척에 조립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비트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포켓 내의 로킹 위치에 있는 도1 및 도13의 척의 로킹 요소의 한정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벡터 방향의 힘 성분을 갖는 비트의 포켓 내에 있는 도23의 로킹 요소의 한정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척에 비트를 조립하여 로킹하는 한 쌍의 로킹 요소들을 포함하는 도1 및 도13의 척의 구성요소들을 완전히 조립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이한 척 장착 섕크 직경을 갖는 비트들에 대하여 직접 삽입 장착 기술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일관된 구조를 갖는 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직접 삽입 장착 기술을 사용할 때 척의 일관된 구조와 각각의 비트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직경의 척 장착 섕크에 대해 균일한 구조를 갖는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척의 구조의 변수들이 일정하고 비트들의 구조의 변수들이 변동하는 직접 삽입 장착 기술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각각 갖는 척 및 비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비트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척을 고려하며,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축을 따라 형성된 개구를 내부에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의 개구에는 본체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갖는 벽이 형성된다. 로킹 요소는 비트를 본체의 개구 내에 로킹시키기 위해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로킹 요소는 벽으로부터 본체의 개구 내로 대체로 소정의 거리 중간의 개구 내의 위치까지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갖는다.
본 발명은 로킹 요소를 갖는 척과의 조립을 위한 비트를 더 고려하며, 그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섕크를 포함한다. 섕크에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섕크 내에서 섕크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 후방 단부를 통해 형성된다. 홈에는 베이스가 형성되며, 포켓은 척의 로킹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홈의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 형성된다.
다른 하나의 특징에서, 본 발명은 로킹 요소를 갖는 척과의 조립을 위한 비트를 고려하며, 그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섕크를 포함한다. 섕크에는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섕크 내에서 섕크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 후방 단부를 통해 형성된다. 홈에는 베이스가 형성되며, 포켓은 척의 로킹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홈의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축방향 거리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로킹 요소를 갖는 척과의 조립을 위한 한 세트의 비트를 고려하며, 여기에서 한 세트의 각각의 비트에는 축 및 한 세트의 다른 비트들 중 어느 하나의 외부 횡단축 치수와 상이한 외부 횡단축 치수를 갖는 척 장착가능한 섕크가 형성된다. 한 세트의 각각의 비트의 섕크에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홈은 한 세트의 각각의 비트의 섕크 내에서 섕크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 형성된다. 한 세트의 각각의 비트의 홈에는 베이스가 형성된다. 포켓은 척의 로킹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한 세트의 각각의 비트의 홈의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 형성된다. 한 세트의 비트들의 소정의 방사상 거리들은 동일하다.
본 발명은 또한 척 및 이 척에 장착된 비트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고려하며, 척은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이 개구에는 본체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벽 거리만큼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갖는 벽이 형성된다.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본체의 축을 향해 돌출부의 내측 첨단면까지 연장된다. 로킹 요소는 본체의 개구 내에 비트를 로킹시키기 위해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로킹 요소는 돌출부의 내측 첨단면으로부터 본체의 개구 내로 대체로 소정의 벽 거리 중간의 개구 내의 로킹 위치까지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갖는다. 비트는 그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섕크를 포함한다. 포켓은 섕크의 외향면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 형성된다. 비트는 척의 본체의 개구 내에 조립되며, 섕크의 축은 척의 본체의 축과 일치하며, 포켓은 돌출부의 내측 첨단면에 인접하게 로킹 위치에 위치되며, 척의 로킹 요소의 한정부는 비트의 포켓 내에 위치되어 비트를 척에 로킹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한 세트의 비트들을 척 내에 교번적으로 장착하는 방법을 더 고려하며, 각각의 비트에 자유 단부, 섕크 축 및 횡단축 치수를 갖는 섕크가 형성된 한 세트의 비트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세트의 제1 비트의 섕크는 한 세트의 제2 비트의 섕크와 상이한 횡단축 치수를 갖는다. 홈은 한 세트의 제1 비트의 섕크 내에 형성되어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된다. 포켓은 제1 비트 섕크의 홈 내에서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 형성된다. 또한, 이 방법은 한 세트의 비트의 섕크를 교번적으로 수용하고 척의 축을 한정하는 개구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척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1 비트 섕크와 제2 비트 섕크를 척 개구 내에 교번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척의 축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된 척의 리브를 제1 비트의 홈 내에 구동 맞물림시키는 단계, 및 제1 비트와 제2 비트가 척 내에 교번적으로 삽입될 때 척의 축을 향해 동일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된 척의 리브와 제2 비트의 표면을 구동 맞물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부가된 청구의 범위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충분히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한 척(40)은 본체(42), 액츄에이터(44) 및 선단편(46)을 포함한다. 본체(42)는 그 전방부에 개구(48)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부에 장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상선으로 도시된 전동 드릴(56)과 같은 동력구동체에 척(4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장착부(50)의 영역에서, 본체(42)의 외면(52)에는 2개의 평탄면(54)(1개만 도시됨)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척(40)은 그 개구(48) 내에 예를 들어, 도2, 도3, 도4 및 도5에 각각 예시된 비트(58, 60, 62, 64)와 같은 다수의 비트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비트(60, 62, 64)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한 것이다. 도2에 개시된 비트(58)는 그 축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루드라이버 팁(66)을 갖는 전방 작업부를 포함한다. 비트(58)의 자유 단부(67) 까지 연장된 후방부는 축방향으로 폭이 넓은 환형 홈(72)에 의해 연결되며 척 장착가능한 섕크(74)를 형성하도록 모두 결합되는 2개의 이격된 6각형부(68, 70)에 의해 형성된다. 홈(72)은 로킹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비트(60)에는 예를 들어, 종래의 드릴가공부(76)와 같은 전방 작업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비트(60)는 전방 단부(77) 및 후방의 자유 단부(79)를 갖는 척 장착가능한 섕크(78)가 형성된 후방부를 더 포함한다. 드릴가공부(76)와 섕크(78)의 외경은 동일하며, 섕크(78)의 전방 단부(77)는 드릴가공부(76)와 섕크(78)의 접합점에 위치되어 있다.
3개의 홈(80, 82, 84)은 섕크(78) 내에 형성되어 있는데, 그 전방 단부(77)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섕크의 위치로부터 섕크의 자유 단부(79)까지 이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3개의 홈(80, 82, 84)의 각각은 벽이 홈의 정점(92)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것과 같이 분기되어 이격된 대향 측벽(88, 90)을 갖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킹 표면을 형성하는 포켓(94)은 섕크(78) 내에서 홈(80, 82, 84)의 각각의 벽(88, 90)의 인접부 및 그 정점(92)의 안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비트(62)의 구조는 비트(62)에 드릴가공부(98)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섕크(96)가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비트(60)(도3)의 구조와 유사하다. 또한, 섕크(96) 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3개의 홈(100, 102, 104)의 각각에는 평탄한 베이스 벽(106)과 이격된 대향 측벽(108, 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100, 102, 104)의 각각은 그 전방 단부(11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섕크(96)의 위치로부터 후방의 자유 단부(79)까지 이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베이스 벽(106)의 이격된 측면 가장자리는 측벽(108, 110)의 각각의 연속적인 측면 가장자리와 연결되며, 이 측벽은 베이스 벽으로부터 비트(62)의 축으로부터외측 방향으로 분기되는 방식으로 연장된다. 로킹 표면을 또한 형성하는 포켓(114)은 홈(100, 102, 104)의 각각의 베이스 벽(106)과 측벽(108, 110)의 인접부 내에 형성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64)의 구조는 비트의 섕크(122) 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3개의 홈(116, 118, 120)의 각각에 평탄한 베이스 벽(124) 및 이격되어 평행한 측벽(126, 128)이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비트(62)(도4)의 구조와 유사하다. 또한, 섕크(122)의 직경은 비트(64)의 드릴가공부(127)의 직경보다 작다. 홈(116, 118, 120)의 각각은 그 전방 단부(129)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섕크(122)의 위치로부터 후방의 자유 단부(130)까지 이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평탄한 베이스 벽(124)의 이격된 측면 가장자리는 평행한 측벽(126, 128)의 각각의 연속적인 측면 가장자리와 연결되며, 이 측벽은 베이스 벽으로부터 비트(64)의 축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로킹 표면을 형성하는 포켓(132)(도11 및 도12)은 홈(116, 118, 120)의 각각의 베이스 벽(124) 내에 형성된다.
섕크(78)의 측벽(88, 90)의 정점(92)과 인접부, 측벽(108, 110)의 평탄한 베이스 벽(106)과 인접부, 및 섕크(122)의 평탄한 베이스 벽(124)은 각각의 포켓(94, 114, 132)이 형성된 베이스를 각각 구성한다.
도6을 참조하면, 비트(58)(도2)의 섕크(74)에는 환형 홈(72)이 형성되며, 그 축방향 중간부는 섕크(67)의 자유 단부(67)로부터 거리 "D" 만큼 위치된다. 또한, 환형 홈(72)의 베이스 표면 또는 방사상 최내측부는 섕크(74)의 축으로부터 "d3" 만큼 위치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60)(도3)의 섕크(78) 내에 형성된 포켓(94)은, 포켓이 홈(80)의 정점(92)을 안착시켜서 홈의 측벽(88, 90) 내에 형성된 상태에서 보다 명료하게 예시되어 있다. 도8은 측벽(88) 내에 형성되는 포켓(94)의 2개의 오목한 측부(134)들 중 하나와 홈의 정점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섕크 내로 형성되는 포켓의 가장 깊은 부분(136)을 나타내기 위해 홈(80)의 정점(92)을 따라 취한 섕크(78)의 단면도이다. 포켓의 다른 오목한 측부(134)는 도7에 도시되어 있다. 도8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각을 이룬 평탄한 지지면(138)은 포켓(94)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대체로 섕크(78)의 자유 단부(79) 쪽으로 향하고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80)의 정점(92)은 섕크(78)의 주변 표면(140)으로부터 거리 "d1" 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이 거리는 홈의 깊이이고 "소정의 홈 깊이 거리"로 언급된다. 포켓(94)의 가장 깊은 부분(136)은 섕크(78)의 주변 표면(140)으로부터 거리 "d2" 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이 거리는 "소정의 포켓 깊이 거리"로 언급된다. 포켓(94)의 가장 깊은 부분(136)은 또한 섕크(78)의 축으로부터 거리 "d3" 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이 거리는 "소정의 방사상 거리"로 언급된다. 거리(d4)는 섕크(78)의 주변 표면(140)과 섕크의 축 사이의 거리이며, 이 거리는 "소정의 표면 거리"로 언급된다. 또한, 포켓(94)의 가장 깊은 부분(136)은 섕크(78)의 자유 단부(79)로부터 거리 "D" 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비트(62)의 홈(100)은 포켓(114)이 평탄한 베이스벽(106)과 측벽(108, 110) 내에 형성된 것으로 전체적인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을 이룬 평탄한 지지면(142)은 포켓(114)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대체로 섕크(96)의 자유 단부(112) 쪽으로 향하고 있다. 또한, 포켓(114)에는 한 쌍의 오목한 측부(141)가 형성되어 있고, 섕크(96)에는 주변 표면(143)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 베이스(106)를 따라 축방향으로 취한 도9의 단면도는 도8의 단면도와 밀접하게 유사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비트(60)의 섕크(78)에 대한 거리 관계(d1, d2, d3, d4)는 비트(62)의 섕크(96)의 거리 관계와 유사하다.
도11을 참조하면, 비트(64)(도5)의 홈(116)은 포켓(132)이 평탄한 섕크(122) 내에서 베이스 벽(124) 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포켓의 어느 부분도 측벽(126, 128) 내에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을 이룬 평탄한 지지면(144)은 포켓(132)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대체로 섕크(122)의 자유 단부(130) 쪽으로 향하고 있다. 또한, 포켓(114)의 원통형으로 오목한 부분(145)은 평탄한 베이스 벽(124)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방식에서, 도8에 예시된 비트(60)의 섕크(78)에 대한 거리 관계는 비트(64)의 섕크(922)의 거리 관계와 또한 유사하다. 예를 들어, 홈(116)의 평탄한 베이스 벽(124)은 섕크(122)의 주변 표면(146)으로부터 거리 "d1" 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이 거리는 홈의 깊이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홈 깊이 거리"로 언급된다. 포켓(132)의 가장 깊은 부분(148)은 섕크(122)의 주변 표면(146)으로부터 거리 "d2" 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이 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포켓 깊이 거리"로 언급된다. 포켓(132)의 가장 깊은 부분(148)은 또한 섕크(122)의 축으로부터 거리 "d3" 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이 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방사상 거리"로 언급된다. 거리(d4)는 섕크(122)의 주변 표면(146)과 섕크의 축 사이의 거리이며, 이 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표면 거리"로 언급된다. 또한, 포켓(132)의 가장 깊은 부분(148)은 섕크(122)의 자유 단부(130)로부터 거리 "D" 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섕크(78, 96, 122)의 포켓(94, 114, 132)은 각각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해머 또는 해머 드릴 비트(152)(도23)를 수용하기 위해 포켓(150)(도23)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3 내지 도12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비트(60, 62, 64)에는 원통형의 섕크(78, 96, 12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부 폭 변수는 그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섕크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원통 형상이 아닌 외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섕크의 외부 형상에 상관없이, 외부 폭 변수는 외부의 횡단축 치수로서 언급된다.
비트(58)의 예시적인 작업부는 스크루드라이버 팁(66)에 관한 것이고, 비트(60, 62, 64)의 작업부는 각각 드릴가공부(76, 98, 127)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형태의 작업부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원리는 드릴가공 비트, 절삭 비트, 구동 비트 및 잡다한 부속품으로서 사용되는 척 장착가능한 섕크를 갖는 비트의 작업부에 사용될 수 있다.이러한 형태의 다양한 비트는 종래의 나선형 드릴 비트, 스크루드라이버 비트, 포스트너(Forstner) 비트, 브래드 포인트(brad point) 비트, 목재 절삭공 톱 굴대, 스페이드 비트, 석공 드릴 비트, 해머 드릴 비트, 해머 비트, 강판, 줄, 소켓 드라이버 및 표면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부착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표면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부착물은 와이어 휘일 브러시, 와이어 컵 브러시, 드럼 사포기, 보닛 및 받침 패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세트의 비트가 사용을 위해 조립되면, 이 세트의 각각의 비트는 전술한 비트(60, 62, 64)들 중 어느 하나의 홈 및 포켓 구조로부터 선택된 동일한 홈 및 포켓 구조가 형성된 섕크를 포함할 것이다. 이 방식에서, 홈 및 포켓 구조는 임의의 소정 세트의 모든 비트에 대하여 일치된다.
이러한 비트의 한 세트는 종래의 방식에서 점진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작업부를 포함한다. 비트의 한 세트의 섕크의 직경은 예를 들어, 비트(60, 62, 64)에 대하여 전술한 각각의 작업부의 직경에 좌우되어 변화할 것이다.
소직경의 작업부를 갖는, 한 세트의 제1 비트는 작업부의 직경과 동일한 섕크 직경을 가질 것이다. 비트(60)(도3)는 한 세트의 제1 비트의 예이다.
한 세트에서 직경이 제1 비트의 작업부 직경보다 더 큰 작업부를 갖는 제2 비트는 제2 비트 작업부의 직경보다 더 작지만 제1 비트의 섕크의 직경보다 더 클 수도 있는 섕크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비트(62)(도4)는 한 세트의 제2 비트의 예이다.
한 세트에서 직경이 제2 비트의 작업부 직경보다 더 큰 작업부를 갖는 제3 비트는 제3 비트 작업부의 직경보다 더 작지만 제2 비트의 섕크의 직경보다 더 클 수도 있는 섕크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비트(64)(도5)는 한 세트의 제3 비트의 예이다.
다른 비트들도 한 세트에 포함되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세트의 제1, 제2 및 제3 비트의 진행 형태를 따를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비트의 상대적인 직경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비트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비트의 섕크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러한 비트의 작업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세트의 비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트의 각각의 섕크에는 도4, 도9 및 도10에 예시된 비트(62)의 홈 및 포켓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각각의 세트의 각각의 비트에서, 섕크(96)에는 홈(100, 102, 104)과 포켓(114)이 형성되어 있다. 거리 변수(d1, d2, d3, d4)는 도8의 예에 관하여 전술한 관계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의하면, 섕크(96)의 축과 포켓(114) 사이의 거리인 소정의 방사상 거리(d3)는 한 세트의 모든 비트 중에서 동일한 것으로 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성분이 반경 거리(d4)인, 섕크(96)의 외부 횡단축 치수가 한 세트에서 하나의 비트로부터 다른 하나의 비트로 변화하면, 한 세트의 각각의 비트의 소정의 홈 깊이(d1)는 한 세트의 다른 비트들의 소정의 깊이(d1)와 상이할 것이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비트(620의 포켓(114)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벗어나지 않는 한 섕크(96)의 주변 표면(143)을 통해 소정의 방사상 거리(d3)의 위치까지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섕크(78, 122)의 포켓(94, 132)은 각각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13을 참조하면, 척(40)은 본체(42), 액츄에이터(44) 및 선단편(46)을 포함한다. 본체(42)는 그 축을 따라 개구(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는 개방 단부(154)와 이 개방 단부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바닥 단부(156)를 갖는 척(40)의 전방 개구이다. 개구(48)에는 개방 단부(154)와 바닥 단부(156) 사이에서 연장된 내벽(158)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 보어(160)에는 동력구동 드릴(56)(도1)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된 나사 스핀들(164)을 수용하기 위해 나사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도13 및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축방향 연장 돌출부, 고정 조오 또는 리브(166, 168, 170)는 개구(48)의 벽(158) 상에 각을 이루며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166, 168, 170)는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 내에서 균일하게 각을 이루며 이격되어 있다. 리브(166, 168, 170)의 각각에는 내측 첨단면(1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면은 예를 들어, 도13 및 도22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평탄하다. 리브(166, 168, 170)의 각각에는 측면들이 내측으로 뾰족한 면(172)으로부터 개구(48)의 벽(158)과의 접합점까지 연장됨에 따라 분기되는 대향 측면(174, 176)이 또한 형성되어 있다. 개구(48)의 개방 단부(154)에 위치한 각각의리브(166, 168, 170)의 단부에는 경사면(178)이 형성되어 있다. 리브(166, 168, 170)에서, 척(40)은 고정 조오 직접 삽입 척으로 간주될 수 있다.
리브(166, 168, 170)의 내측 첨단면(172)은 도16, 도18 및 도19에서 리브(166)에 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하고 다양한 폭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도19의 예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또한, 리브(166, 168, 170)의 내측 첨단면(172)은 도17에서 리브(166)에 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형으로 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는, 내측 첨단면(172)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원형으로(도17) 되거나 또는 평탄하게(도16, 도18 및 도19) 될 수 있다. 도16, 도17,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상태에서, 리브(166)의 표면(172)은 비트(58)의 인접한 표면들과 각각 맞물리며, 이것은 척(40)의 회전시 비트의 회전을 위해 비트의 표면 및 각각의 리브에 전동 맞물림을 제공한다.
리브(166)에 대하여 도16, 도17,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66, 168, 170)의 각각은 본체 개구(48)의 내벽(158)으로부터 거리 "d5"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거리는 어떤 실시예에서도 모든 리브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리브(166, 168, 170)의 각각의 소정의 높이에 대한 거리 "d5"는 나머지 리브들의 소정의 높이에 대한 거리와 동일하다.
도22를 참조하면, 척(4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체(42)의 개구(48)는 원통 형상이며 본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척(40)의 축으로부터 그 벽(158) 까지의 거리 "d6"는 개구(48)의 원통 형상에 의해 형성된 원의 반경과동일하다. 거리(d6)는 소정의 벽 거리로 언급된다. 개구(48)의 벽(158)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원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166, 168, 170)들 중 인접한 리브들 사이에 위치된 벽(158)의 부분은 평탄하거나 오목하거나 또는 파형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소저의 벽 거리(d6)는 리브(166, 168, 170)의 베이스로부터 척(40)의 길이방향 축까지 측정될 수 있다.
도13을 참조하면, 통로(180)가 본체(42)를 통해 본체의 축에 대하여 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의 외면(52)에 형성된 외부 개방 단부(182)로부터 통로의 내측 단부의 내부 개방 단부(184)까지 연장되어 있다. 통로(180)는 본체(42)와 리브(166)를 통해 연장되며, 본체(42)의 개구(48)와 통로의 연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부 개방 단부(184)가 리브(166)의 내측 첨단면(174)을 통해 형성되어 있다. 전방 축방향 벽(185)은 그 내부 개방 단부(184)에 인접한 통로(18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통로(180)의 내부 개방 단부(184)와 본체(42)의 개구(48)의 접합점은 소정의 로킹 위치로 언급된다. 통로(180)의 축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2)의 축으로부터 예리한 각도로 외측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13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슬롯(186)이 본체(42) 내에서 통로(180)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의 외면(52)에 형성된 외부 개방 단부(188)(도14)로부터 통로에 인접한 폐쇄 단부(190)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86)과 외부 개방 단부(188)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오목한 간극 피트(pit, 192)가 통로(180)의 외부 개방 단부(182)에 인접한 본체(42)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개방 단부로부터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2)의 외부에는 환형 플랜지(198)에 의해 분리되는 전방부(194)와 후방부(196)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194)는 각각 소형, 중형 및 대형인 3개의 단차식 원통부(200, 202, 204)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환형 견부(206)는 원통부(200, 202)들의 접합점에 형성되며, 제2 환형 견부(208)는 원통부(202, 204)들의 접합점에 형성된다. 경사진 제한 견부(210)는 플랜지(198)의 전방 가장자리 상에 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도13을 참조하면, 대체로 원통형인 액츄에이터(44)의 전방에는 소정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214)에 의해 방사상으로 둘러싸인 평탄면(212)이 형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에는 제1 직경의 전방 개구(216)와 제1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제2 직경의 중간 개구(21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과 환형 견부(220)가 전방 및 중간 개구의 접합점에 있도록 한다. 후방 개구(222)는 제2 직경보다 더 큰 제3 직경의 액츄에이터(44) 내에 형성되며, 이동 제한 견부(224)는 중간 및 후방 개구 사이에서 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본체(42)의 제한 견부(210)의 각도는 이동 제한 견부(224)의 각도에 상보적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액츄에이터(44)에는 액츄에이터의 축에 직각인 관통 구멍(226)이 또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멍(226)은 나사 가공되어 있지 않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멍(226)은 나사 가공되어 있다. 액츄에이터(44)의 외부에는 오목한 함몰부(227)가 축방향으로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액츄에이터의 사용자 제어 이동 중에 손가락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선단편(46)에는 본체부와 선단편의 최종적인 압력 끼워맞춤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체(42)의 원통부(200)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전방 축방향 개구(2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편(46)에는 방사상 내측으로 평탄한 표면(232)과 액츄에이터(44)의 경사면(214)의 소정 각도에 대하여 상보적인 각도로 형성된 방사상 외측 표면(234)을 갖는 후방 오목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척(40)은 본체(42)의 통로(180) 내로 미끄럼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 로킹 요소(236)를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로킹 요소(236)는 원형 단면과 평탄한 전방 단부(238)를 갖는 핀 또는 로드의 형상이며, 통로(180)는 적합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로킹 요소(236)와 통로(180)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원형이나 원통형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요소(236)의 단면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이 될 수 있으며, 전방 단부(236)는 원형으로 되거나 뾰족하게 될 수 있다. 동시에, 통로(180)에는 그를 통하는 로킹 요소(236)의 미끄럼이동을 용이하게 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 구멍(240)은 통로(180) 내에서 로킹 요소의 조립시 구멍의 축이 본체(42)의 축에 대하여 항상 직각이 되는 각도로 로킹 요소(236) 내에 형성되어 있다. 로킹 요소(236)가 통로(180) 내에서 전방으로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로킹 요소의 전방부(242)는 리브(166)의 내측 첨단면(172)으로부터 통로의 내부 개방 단부(184)를 통해 소정의 로킹 위치의 본체의 개구(48) 내로 연장된다. 로킹 요소(236)의 전방부(242)는 한정부로서 언급된다.
척(40)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매끄러운 외면이 형성된 구동 핀(244)을 더 포함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동 핀(244)에는 외부에 나사 가공된 부분(246) 및 외부에 나사 가공되지 않은 전방부(248)가 형성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250)도 또한 척(40)의 구성요소이다.
도20을 참조하면, 척(40)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의 조립시, 스프링(250)은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스프링을 이동시킴으로써 본체(42)의 제2 원통부(20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설치된다. 다음, 액츄에이터(44)는 후방 개구(222)의 벽이 본체(42)의 플랜지(198)의 주변 표면에 대하여 미끄럼가능하게 위치되는 위치까지 본체(42)의 전방 단부에 걸쳐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액츄에이터(44)의 전방 개구(216)의 벽은 본체(42)의 원통부(202)에 대하여 미끄럼가능하게 위치된다. 이 때, 스프링(250)은 본체(42)의 환형 견부(208)와 액츄에이터(44)의 환형 견부(220) 사이에 끼워진다. 그러나, 스프링(250)의 팽창력은 액츄에이터를 도20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위치에서 액츄에이터(44)의 이동 제한 견부(224)는 본체(42)의 제한 견부(210)로부터 이와 정렬되어 공간적으로 위치된다.
그 다음, 선단편(46)은 선단편의 내부 평탄면(232)이 본체의 환형 견부(206)와 맞물릴 때까지 본체(42)의 제1 원통부(200) 상에 가압된다. 선단편(46)이 본체(42)의 제1 원통부(200)에 가압됨에 따라, 선단편의 표면(232, 234)은 액츄에이터(44)의 각각의 면(212, 214)과 맞물려서, 액츄에이터를 도20에 도시된 전방 제한 위치까지 축방향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배열에서, 액츄에이터(44)는 본체(42) 상에 끼워지지만, 전방 한계 위치의 선단편(46)의 표면(232, 234)과 액츄에이터의 후방 단부의 후방 한계 위치의 본체(42)의 제한 견부(210)에 의해 한정된 한계 내에서 본체에 걸쳐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다. 또한, 스프링(250)은 액츄에이터(44)를 전방 한계 위치까지 축방향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연속적으로 편의된다.
그 다음, 로킹 요소(236)는 통로의 외부 개방 단부(182)를 통해 통로(180) 내로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로킹 요소의 한정부(242)가 본체(42)의 개구(48) 내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액츄에이터(44)의 구멍(226)은 로킹 요소(236)의 관통 구멍(240)과 대체로 정렬된다. 로킹 요소(236)는 구멍(226)과 관통 구멍(240)의 정밀한 정렬을 제공하도록 조정되며, 구동 핀(244)은 구멍(226) 내로 삽입되어 압력 끼워맞춤되며 동시에 핀의 전방부(248)는 로킹 요소(236)의 정렬된 구멍(240) 내에 위치되지만 이에 압력 끼워맞춤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의 핀(244)의 사용시, 핀은 구동 핀의 나사부(246)가 구멍(226)의 나사부와 맞물리기 시작할 때까지 구멍(226) 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 구동 핀(244)은 나사 가공된 구멍(226) 내로 나사식으로 전진되며, 이에 의해 구동 핀의 나사 가공되지 않은 전방부(248)는 로킹 요소(236)의 정렬된 구멍(240) 내로 이동된다.
이 방식에서, 액츄에이터(44)는 스프링(250)의 편의 작용이 로킹 요소를 전방으로 통로(180) 내로 연속적으로 가압하도록 로킹 요소(236)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로킹 요소의 한정부(242)가 본체(42)의 개구(48) 내로 연장되게 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4)는 선단편(46)의 표면(232, 234)에 의해 이루어진 최전방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로킹 요소(236)가 액츄에이터(4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로킹 요소(236)는 또한 그 최전방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위치에서 로킹 요소의 평탄한 전방 단부(238)는 통로(180)의 전방 축방향 벽(18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전방 간극이 로킹 요소(236)에 대하여 제공되어 로킹 요소의 한정부(242)가 본체(42)의 개구(48) 내로 원하는 최대 한도까지 연장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척(40)의 구성요소들은 완전히 조립되었으며, 척은 동력구동 드릴(56)의 스핀들(164) 상에 나사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비트(58)와 척(40)을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는 비트 섕크(74)의 육각형부(70) 자유 단부(67)를 개구(48)의 자유 단부(154) 내로 삽입하므로, 섕크와 척의 축들이 일치하게 된다. 섕크 삽입 과정 중에, 육각형부(70)의 6개의 평탄면의 3개의 균일하게 이격된 평탄면은 리브(166, 168, 170)의 내측 첨단면(172)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맞물린다. 다음, 섕크(74)는 육각형부(70)의 자유 단부(67)가 로킹 요소(236)의 한정부(242)와 맞물리는 개구(48) 내로 더 이동된다. 섕크(74)를 개구(48) 내로 계속적으로 더 삽입함에 따라, 한정부(242)와 로킹 요소(236)는 통로(180)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구동 핀(244)을 동일한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핀은 구멍(240) 내에서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한다.
구동 핀(244)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구동 핀에 부착된 액츄에이터(44)도 또한 스프링(250)의 편의 작용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예를 들어, 도21에 도시된 후방 한계 위치까지 이동되어 스프링을 압축한다. 압축된 스프링(250) 내에 저장된 에너지는 액츄에이터(44)를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가압한다. 그러나, 육각형부(70)의 평탄면들 중 하나는 통로(180)의 내부 개방 단부(184) 상에서 이동되어 내부 개방 단부(184)를 차단하며, 이것은 통로(18) 내에서 로킹 요소(236)의 한정부(242)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방해한다. 결국, 비트 섕크(74)의 환형 홈(72)은 통로(180)의 내부 자유 단부(184)에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되어 로킹 요소(236)의 한정부(242)가 내부 개방 단부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할 기회를 제공한다.
압축된 스프링(250) 내에 저장된 에너지로 인해, 그리로 통로(180)의 내부 개방 단부를 통해 이동하기 위해 제거된 로킹 요소의 한정부(242)로 인해, 액츄에이터(44)는 도15에 도시된 전방 한계 위치까지 이동한다. 액츄에이터(44)가 전방 한계 위치까지 이동함에 따라, 로킹 요소(236)는 액츄에이터와의 연결을 통해 통로(180)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한정부(242)를 환형 홈(72)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로 이동시킨다. 이 방식에서, 비트(58)의 섕크(74)는 척(40)에 로킹된다.
동시에, 비트(58)의 섕크(74)의 자유 단부(67)는 개구(48)의 바닥 벽(156)에 맞물린다. 이 위치에서, 6각형 섕크(74)의 3개의 평탄면은 리브(166, 168, 170) 중 각각의 하나의 내측 첨단면(172)과 견고하게 맞물려서 척(40)과 비트(58) 사이에 구동 연결을 제공한다.
비트(58)가 척(40)에 로킹되어 섕크(74)가 리브(166, 168, 170)와 구동 맞물림되면, 사용자는 전동 드릴(56)의 작동에 의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16, 도17,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58)의 육각형 섕크(74)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리브(166, 168, 170)의 여러 가지의 형상을 사용하여 척(40)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로킹 요소(236)의 축과 척(40)의 축 사이에 형성된 예리한 각도는 25°내지 30°사이의 범위 내에 있다. 예리한 각도가 이 범위 내에 들어오면, 비트는 비트의 사용에 의해 드릴가공작업에서 막 형성된 구멍 내에 박히는 경우에도 비트가 척(40)의 원치 않는 빠짐에 대항하여 견고하게 로킹된다. 로킹 요소(236)의 축의 예리한 각도가 30°보다 더 크면, 캠운동력이 로킹 요소 상에 발생되어 비트가 구멍 내에 박히는 상황으로부터 척이 빠져 나올 때 로킹 요소가 부주의하게 빼내질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리한 각도 범위에 의하면, 비트는 사용자가 액츄에이터(44)를 빼내지 않고 척(40) 내에 삽입되어 로킹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인지할 정도로 시간을 절약하는 이점이 있다.
도20 및 도22를 참조하면, 비트(6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트와 척의 축들이 일치되면서 척에 비트(58)가 조립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척(40)에 조립되었다. 이러한 조립 전에, 홈(100, 102, 104)들은 리브(166, 168, 170)와 각각 정렬된다. 다음, 비트(62)는 개구(48) 내로 축방향 후방으로 이동되어 비트의 자유 단부(112)가 바닥 벽(156)과 맞물릴 때까지 홈(100, 102, 104)들이 각각의 리브(166, 168, 170) 상에 맞물려 미끄러지도록 하며, 이에 의해 홈들은 리브의 적어도 부분들 상에 포개진다.
비트(62)의 삽입 이동 중에, 로킹 요소(236)의 한정부(242)는 전술한 방식으로 통로(180) 내로 이동되어 비트의 연속적인 삽입 이동을 허용하며 또한 액츄에이터(44)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스프링(250)을 압축한다. 비트(62)의 자유 단부(112)가 바닥 벽(156)과 맞물리면, 포켓(114)은 통로(180)의 내부 개방 단부(184)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소정의 로킹 위치에서 로킹 요소(236)의 한정부(242)의 포켓(114) 내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액츄에이터(44)는 스프링(250)에 의해 전방 제한 위치로 전방으로 막 가압되며, 이에 의해 로킹 요소(236)의 한정부(242)는 비트(62)의 포켓(114) 내로 이동하여 비트를 척(40)에 로킹시킨다.
도22에서, 홈(100, 102, 104)들과 각각의 리브(166, 168, 170)들 사이의 연결부들 사이의 예시된 간격은 홈들과 리브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만 도시된 것이다.
실제, 홈(100, 102, 104)들의 베이스 표면(106) 및 측벽(108, 110)은 리브(166, 168, 170)의 첨단면(172) 및 측면(174, 176)과 각각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린다.
비트를 척(40)에 로킹시키는 것에만 관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리브(166, 168, 170) 대신에 개구(48)의 벽(158)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돌출부는 리브(166)에 의해 수직으로 제공된, 예를 들어 내측 첨단면(172) 내에 형성된 내부 개방 단부(184)를 포함하는 통로(180)의 일부에 대하여 둘러싸는 구조를 제공하기에 충분하게 위치되고 크기가정해진다. 척(40)에 조립될 어느 하나의 비트에는 예를 들어, 비트(62)의 홈(100) 및 포켓(114)과 같은 홈 및 포켓 배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비트를 척(40)에 로킹시키는 것에만 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로킹 요소(236)의 한정부(242) 뿐만 아니라 로킹 요소의 전방부는 리브(166)의 내측 첨단면(172)이 아닌 개구(48)의 벽(158) 내에 형성된 통로(180)의 내부 개방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로킹 요소(236)는 척(40)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개구(48) 내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 거리는 로킹 요소가 도20에 예시된 것과 같이 연장된 거리와 동일하다. 이렇게 수정된 척에 조립될 비트에는 수용 구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비트(62)를 척(40)과의 조립체로부터 제거하기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액츄에이터(44)를 스프링(250)의 편의 작용에 대항하여 도21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로킹 요소(236)의 한정부(242)를 통로(180) 내에서 빼낸다. 비트(62)는 개구(48)로부터 수동으로 빼내질 수 있으며, 또는 원한다면 중력 해제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각각의 비트, 예를 들어, 비트(62)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홈(100, 102, 104)들 중 하나의 베이스에 위치되는 하나의 포켓(114)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홈(100, 102, 104)들 중 각각의 베이스 내에 하나의 포켓(114)을 형성함으로써, 비트(62)와 척(40)의 조립 과정의 융통성이 증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세트의 비트들 중 모두는 아니지만 적어도 몇몇의 비트들은 상이한 직경의 섕크들을 포함할 것이다. 척(40)을 사용할 때, 한 세트의 비트들 중 각각의 비트의 포켓은 섕크의 직경에 관계없이 항상 소정의 로킹 위치, 즉, 비트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 위치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직경을 갖는 섕크의 홈은 소정의 홈 깊이 거리(d1)를 가질 것이며, 이 거리는 대직경을 갖는 섕크의 홈 보다 더 짧다.
척(40)의 리브(166, 168, 170)의 각각의 소정의 높이(d5)는 항상 다른 리브와 동일하다. 따라서, 큰 섕크를 구비한 비트의 홈(100, 102, 104)의 측벽(108, 110)은 소직경을 갖는 비트의 홈 측벽보다 척(40)의 내부 벽(158) 쪽으로 더 연장될 것이다. 상이한 섕크의 직경이 상이함에 관계없이, 비트의 홈(100, 102, 104)은 각각의 리브(166, 168, 170)의 연결부 상에 위치되어 연결부와 구동 맞물림될 것이다.
도24를 참조하면, 비트(62)를 척(40) 내에 로킹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부가하여, 로킹 요소(236)는 스프링(250)에 의해 통로(180) 내에서 전방으로, 즉, 힘 벡터 "Z"로 표시된 방향으로 항상 가압된다. 힘 벡터 "Z"는 수평 성분 벡터 "X"와 수직 성분 벡터 "Y"를 갖는다. 스프링(250)에 의해 제공되어 수직 벡터 성분 "Y"와 합쳐진 힘은 비트(62)를 척(40)의 축을 향해 내측으로 항상 가압하므로, 비트를 척의 개구(48) 내에서 불변의 위치로 방사상으로 효율적으로 가압한다.
반대로, 비트(62)의 섕크(96)가 척(40)의 개구(48) 내로 삽입될 때, 섕크는 로킹 요소(236)의 한정부(242)를 통로(18) 내로 빼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로킹 요소(236)의 이동의 빼내는 방향은 벡터 "X"의 방향에 반대이지만 비트(62)의 삽입 방향과 동일한 벡터 성분을 갖는다.
도25를 참조하면, 척(40)에는 미끄럼이동을 위해 제2 로킹 요소(236)를 지지하는 제2 통로(180)가 형성된다. 제2 로킹 요소(236)는 제2 구동 핀(244)을 통해 액츄에이터(44)에 연결된다. 로킹 요소(236)들의 모두는 단일 로킹 요소를 갖는 척(40)에 대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작용하며, 척과 비트(62)의 로킹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로킹 요소들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같은 방식으로, 로킹 요소(236)와 같은 제3 로킹 요소는 로킹 요소가 구동 리브(166, 168, 170)의 각각과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 세트의 모든 비트들의 포켓의 소정의 불변의 방사상 직경(d1)과 척의 리브의 소정의 높이(d5)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한 척 및 비트 조립체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리브(166, 168, 170)들은 척(40) 내에서 움직이지 않지만, 이 리브들은 포켓(94, 114, 132)을 각각 갖는 비트(60, 62, 64)와 같은 비트들과 척(40) 사이에 구동 연결을 제공한다.
동시에, 로킹 요소(236)는 척(40)에 조립될 비트들의 섕크의 직경의 상이함에 관계없이 동일한 거리로 연장되어 비트의 포켓과 로킹되어 결합된다. 그래서, 로킹 요소(236)는 비트(60, 62, 64)들을 척(40) 내에 로킹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제공된다.
척(40), 비트(60, 62, 64)들, 및 척과 비트들을 사용하는 척 및 비트 조립체는 사용하기에 효율적이고 쉬운 비트 지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비트(60, 62, 64)들은 척(40)과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교환가능하지만, 비트를 척 내에 견고하게 로킹시키고 견고하게 연결되는 구동 연결을 제공한다.
척(40)은 척 본체(42)에 대하여 비트의 홈 내로 이동가능한 조오 또는 리브를 포함하므로 척의 회전시 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맞물림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켓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된다. 수정 및 다른 변경적인 구성들은 부가된 청구의 범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1)

  1. 축 및 다수의 비트들 중 다른 하나의 외부 횡단축 치수와 상이한 외부 횡단축 치수를 갖는 척 장착가능한 섕크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척에 있어서,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개구를 갖는 본체, 및
    본체의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이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며,
    본체의 개구에는 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와 리브는 상이한 외부 횡단축 치수의 섕크를 갖는 다수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의 척 장착가능한 섕크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해 각각 소정의 크기 및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2. 제1항에 있어서, 리브는 비트들을 개구 내로 각각 삽입할 때 다수의 비트의 각각을 구동 맞물림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3. 축 및 다수의 비트들 중 다른 하나의 외부 횡단축 치수와 상이한 외부 횡단축 치수를 갖는 척 장착가능한 섕크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척에 있어서,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 및
    본체의 개구 내에 다수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를 로킹하기 위해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장착된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로킹 요소는 본체의 축의 소정의 방사상 외측 위치까지 본체의 개구 내로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가지며,
    로킹 요소의 한정부의 소정의 위치는 본체의 개구 내에 로킹될 다수의 비트들 중 어떤 것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4. 제3항에 있어서, 본체 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로킹 요소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며, 본체에 대한 액츄에이터의 선택적인 이동시, 로킹 요소가 본체의 개구 내에서부터 로킹 요소의 한정부를 빼내기 위해 본체의 축으로부터 적어도 방사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5. 제3항에 있어서, 본체의 개구에 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본체의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이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며, 개구와 리브는 상이한 외부 횡단축 치수의 섕크를 갖는 다수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의 척 장착가능한 섕크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해 각각 소정의 크기 및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6. 제3항에 있어서, 다수의 비트의 각각에는 비트가 개구 내로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비트의 선단부인 척 장착가능한 섕크의 자유 단부가 형성되고, 로킹 요소는각각의 비트가 본체의 개구 내로 삽입됨에 따라 다수의 비트의 각각의 척 장착가능한 섕크의 자유 단부와 맞물리기 위해 본체 상에 장착되며, 로킹 요소는 비트의 선단부와 종동적으로 맞물리기 위해 그리고 비트를 본체의 개구 내로 연속적으로 삽입 이동시킬 때에 본체 상에 장착되며, 로킹 요소는 본체의 개구 내로 삽입되는 척 장착가능한 섕크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이동의 적어도 하나의 벡터 성분을 갖도록 본체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7. 비트를 수용하여 장착하는 척에 있어서,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 및
    본체의 개구 내에 비트를 로킹하기 위해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장착된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개구에는 소정의 벽 거리만큼 본체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갖는 벽이 형성되며,
    로킹 요소는 본체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벽 거리보다 더 짧은 소정의 제1 거리만큼 개구의 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로부터 본체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제1 거리보다 더 짧은 소정의 제2 거리만큼 벽의 내측으로 이격된 제2 위치까지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8. 제7항에 있어서, 척은 축 및 다수의 비트들 중 다른 하나의 외부 횡단축 치수와 상이한 외부 횡단축 치수를 갖는 척 장착가능한 섕크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비트들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로킹 요소의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한정부의 위치는 본체의 개구 내에 로킹될 다수의 비트들 중 어떤 것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9. 비트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척에 있어서,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
    벽 상에 형성되어 본체의 축을 향해 소정 거리 연장된 돌출부,
    본체의 개구와 연통되게 돌출부 내에 형성된 통로, 및
    다수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와 로킹하기 위해 본체의 개구 내에서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통로 내에 장착된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개구에는 본체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갖는 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10. 제9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는 통로로부터 본체의 개구 내로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11. 비트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척에 있어서,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이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개구의 개방 단부와 바닥 단부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 및
    비트를 본체에 로킹하며 본체의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표면으로부터 본체의 개구 내로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갖는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개구에는 벽이 형성되고 개방 단부와 이 개방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바닥 단부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는 본체의 축에 대면하고 축으로부터 이격된 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12. 제11항에 있어서, 척은 축 및 다수의 비트들 중에서 다른 하나의 외부 횡단축 치수와 상이한 외부 횡단축 치수를 갖는 척 장착가능한 섕크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로킹 요소의 한정부의 소정의 거리는 본체의 개구 내에 로킹될 다수의 비트들 중 어떤 것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13. 제11항에 있어서, 척은 축 및 다수의 비트들 중에서 다른 하나의 외부 횡단축 치수와 상이한 외부 횡단축 치수를 갖는 척 장착가능한 섕크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개구와 리브는 상이한 외부 횡단축 치수의 섕크를 갖는 다수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의 척 장착가능한 섕크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해 각각 소정의 크기 및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14. 제11항에 있어서,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 대하여 로킹 요소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로킹 요소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15. 제14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본체에 대하여 제한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본체 상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16. 제15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로킹 요소의 한정부를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표면으로부터 개구 내로 수직으로 가압하도록 본체 상에 편의적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17.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표면과 통로의 접합점에서 개구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 내에 적어도 형성된 통로를 더 포함하며, 로킹 요소는 로킹 요소의 한정부가 그 접합점에서 통로로부터 본체의 개구 내로 연장가능한 상태로 통로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18. 제11항에 있어서, 리브는 적어도 하나가 본체의 축에 평행한 본체의 개구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19.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제1 리브이고 표면은 제1 리브 표면이며, 본체의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이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리브로부터 각을 이루며 이격된 위치에서 개구의 개방 단부와 바닥 단부 사이에 제2 리브가 위치되며, 제2 리브에는 축과 대면하여 축으로부터 이격된 제2 리브 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20. 제19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의 한정부는 비트를 제2 리브의 제2 표면과 견고하게 맞물리게 수직으로 가압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21. 제19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는 제1 로킹 요소이며, 본체와 비트를 로킹하며 본체의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제2 리브의 제2 표면으로부터 본체의 개구 내로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갖는 로킹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22. 척에 조립하기 위한 비트에 있어서,
    축을 따라 형성되며 소정의 표면 거리만큼 축으로부터 이격된 주변 표면이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섕크,
    섕크의 주변 표면 내에 형성되어 섕크의 축을 향해 연장된 개구, 및
    섕크의 자유 단부로부터 소정의 축방향 거리에 있는 위치에서 섕크 내의 개구 내에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며,
    섕크에는 자유 단부가 형성되며,
    개구는 섕크의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23. 척에 조립하기 위한 비트에 있어서,
    축을 따라 형성되며 소정의 표면 거리만큼 축으로부터 이격된 주변 표면이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섕크,
    섕크의 주변 표면 내에 형성되어 섕크의 축을 향해 연장된 개구, 및
    소정의 표면 거리보다 짧은 섕크의 축으로부터의 소정의 방사상 거리의 위치까지 섕크 내의 개구 내에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며,
    섕크에는 자유 단부가 형성되며,
    개구는 섕크의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24. 척에 조립하기 위한 비트에 있어서,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섕크,
    그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된 섕크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서 벽 내에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며,
    섕크에는 자유 단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섕크에는 비트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표면 거리에 위치된 주변 표면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소정의 표면 거리보다 짧은 주변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홈 깊이 거리로 형성되며, 포켓은 소정의 홈 깊이 거리보다 더 긴 주변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포켓 깊이 거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26. 제24항에 있어서, 포켓에는 척의 로킹 요소와 맞물리도록 위치된 지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27.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적어도 하나의 홈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정점과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격된 한 쌍의 대향 측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28. 제27항에 있어서, 포켓은 한 쌍의 이격된 측벽의 인접부에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홈의 정점에 걸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29.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은, 대향의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베이스 벽, 및 각각이 베이스 벽의 대향의 측면 가장자리 중 각각의 하나와 접촉하는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한 쌍의 이격된 대향의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의 이격된 대향 측벽은 서로에 대하여 분기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31. 제29항에 있어서, 포켓은 베이스의 평탄면과 이 평탄면에 인접한 측벽의 부분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32. 제2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의 이격된 대향 측벽은 베이스 벽으로부터 이에 직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33. 제32항에 있어서, 포켓은 베이스 벽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34.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제1 홈이고 소정의 방사상 거리는 소정의 제1 홈 방사상 거리이고 포켓은 제1 포켓이며,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된 섕크 내에 제2 홈이 형성되며, 제2 홈은 제1 홈으로부터 각을 이루며 변위되며, 제2 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이 형성되며,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제2 홈의 방사상 거리에서 제2 홈의 하나의 벽 내에 제2 포켓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35. 제34항에 있어서, 제1 포켓 및 제2 포켓의 소정의 제1 홈 방사상 거리 및 제2 홈 방사상 거리는 각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36. 척에 조립하기 위한 한 세트의 비트에 있어서,
    제1 비트,
    제2 비트,
    섕크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사이의 제1 비트 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홈,
    제1 비트의 홈 내의 섕크 내에 형성되어 비트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 위치된 포켓,
    섕크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사이의 제2 비트 내에 소정의 깊이와 상이한 깊이로 형성된 홈, 및
    제2 비트의 홈 내의 섕크 내에 형성되어 소정의 방사상 거리와 동일한 비트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 위치된 포켓을 포함하며,
    제1 비트와 제2 비트의 각각은 그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섕크를 가지며,
    제1 비트 및 제2 비트의 각각의 섕크에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세트의 비트.
  37. 척에 조립하기 위한 한 세트의 비트에 있어서,
    그 제1 비트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제1 비트 섕크를 갖는 제1 비트,
    그 제2 비트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제2 비트 섕크를 갖는 제2 비트,
    제1 비트 섕크 내에서 제1 비트 외면의 제1 비트부와 제1 비트 축 사이의 위치까지 형성되고 제1 비트 축으로부터 떨어져 외측 방향으로 향하는 제1 비트 포켓, 및
    제2 비트 섕크 내에서 제2 비트 외면의 제2 비트부와 제2 비트 축 사이의 위치까지 형성되고 제2 비트 축으로부터 떨어져 외측 방향으로 향하는 제2 비트 포켓을 포함하며,
    제1 비트 섕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비트부가 제1 비트 축으로부터 소정의 제1 비트 표면만큼 위치된 제1 비트 외면을 가지며,
    제2 비트 섕크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비트부가 제2 비트 축으로부터 소정의 제1 비트 표면과 상이한 소정의 제2 비트 표면만큼 위치된 제2 비트 외면을 가지며,
    제1 비트 포켓은 소정의 제1 비트 표면 거리보다 더 짧은 제1 비트 축으로부터 소정의 제1 비트 포켓 거리에 형성되며,
    제2 비트 포켓은 소정의 제2 비트 표면 거리보다 더 짧고 소정의 제1 포켓 거리와 동일한 제2 비트 축으로부터 소정의 제2 비트 포켓 거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세트의 비트.
  38. 척에 조립하기 위한 한 세트의 비트에 있어서,
    축 및 한 세트의 다른 비트의 외부 횡단축 치수로부터 상이한 외부 횡단축 치수를 갖는 척 장착가능한 섕크가 형성된 한 세트의 각각의 비트,
    한 세트의 각각의 비트의 섕크 내에서 자유 단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서 한 세트의 각각의 비트의 적어도 하나의 홈의 베이스의 적어도 한 부분에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며,
    한 세트의 각각의 비트의 섕크에는 자유 단부가 형성되며,
    한 세트의 각각의 비트의 적어도 하나의 홈에는 베이스가 형성되며,
    한 세트의 비트들의 소정의 방사상 거리들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세트의 비트.
  39. 척과 그 내부에 장착된 비트의 조립체에 있어서,
    척은,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 및
    본체의 개구 내에 비트를 로킹하기 위해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장착된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개구에는 소정의 벽 거리만큼 본체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갖는 벽이 형성되며,
    로킹 요소는 개구 내에서 벽으로부터 중간의 소정의 거리만큼 로킹 위치까지 본체의 개구 내로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가지며,
    비트는,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섕크, 및
    섕크의 외향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며,
    섕크의 축은 본체의 개구 내에서 비트의 조립시에 척의 본체의 축과 일치하며,
    로킹 위치 및 비트의 포켓은 조립된 척과 비트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를 한정하며,
    로킹 요소의 한정부는 로킹 위치에서 비트의 포켓 내에 위치되어 비트를 척과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0. 제39항에 있어서, 본체의 벽 상에 형성되어 본체의 축을 향해 연장된 돌출부, 및 본체의 개구와 연통하는 돌출부 내에 형성된 통로를 더 포함하며, 로킹 요소는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통로 내에 장착되고 로킹 요소의 한정부가 비트를 척과 조립체로 로킹하기 위해 통로로부터 포켓 내로 연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1. 제39항에 있어서, 본체의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본체의 축을 향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 및 비트의 섕크의 외면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더 포함하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비트의 적어도 하나의 홈은 형상이 상보적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이 구동 맞물림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상에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2. 제4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에는 베이스가 형성되며, 포켓은 적어도 하나의 홈의 베이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로킹 요소의 한정부는 비트를 척과 로킹시키기 위해 포켓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일부분으로부터 포켓 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3. 제4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 내에 형성되어 본체의 개구와 연통하는 통로를 더 포함하며, 로킹 요소는 통로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고 한정부가 통로로부터 포켓 내로 연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4. 제39항에 있어서, 척은, 본체 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로킹 요소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며, 여기에서 본체에 대한 액츄에이터의 선택적인 이동시, 로킹 요소가 비트의 포켓 내에서부터 로킹 요소의 한정부를 빼내기 위해 본체의 축으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5. 제44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로킹 요소의 한정부를 비트의 포켓 내로 가압하도록 수직으로 편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6. 제41항에 있어서, 척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제1 리브이고 비트의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제1 홈이며, 제2 리브가 본체의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본체의 축을 향해 연장되며, 제2 홈이 비트의 섕크의 외면 상에 형성되며, 본체의 제2 리브와 비트의 제2 홈은 형상이 상보적이어서 제2 홈이 구동 맞물림을 위해 제2 리브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상에 포개지며, 로킹 요소의 한정부는 비트를 제2 리브와 견고하게 맞물리게 수직으로 가압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7. 제41항에 있어서, 척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제1 리브이고 척의 로킹 요소는 제1 로킹 요소이고 비트의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제1 홈이고 비트의 포켓은 제1 포켓이며, 제2 리브가 본체의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본체의 축을 향해 연장되며, 제2 홈이 비트의 섕크의 외면 상에 형성되며, 본체의 제2 리브와 비트의 제2 홈은 형상이 상보적이어서 제2 홈이 구동 맞물림을 위해 제2 리브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상에 포개지며, 제2 포켓이 섕크 내에서 제2 홈 내에 형성되며, 제2 로킹 요소가 비트를 본체와 로킹시키고 비트를 척과 보다 더 로킹시키도록 비트의 제2 포켓 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8. 척과 이 척 내에 장착된 비트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척은,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개구 내에 비트를 로킹하기 위해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장착된 로킹 요소, 및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돌출부의 내측 첨단면에 대하여 본체의 축을 향해 연장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개구에는 소정의 벽 거리만큼 본체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갖는 벽이 형성되며,
    로킹 요소는 개구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내측 첨단면으로부터 중간의 소정의 거리만큼 로킹 위치까지 본체의 개구 내로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가지며,
    비트는,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섕크, 및
    섕크의 외향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며,
    비트는 척의 본체의 개구 내에서 조립되며,
    섕크의 축은 척의 본체의 축과 일치하며,
    포켓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내측 첨단면에 인접하여 로킹 위치에 위치되며,
    척의 로킹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는 비트의 포켓 내에 위치되어 비트를 척과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9. 척과 이 척 내에 장착된 비트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척은,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개구 내에 비트를 로킹하기 위해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장착된 로킹 요소, 및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내측 첨단면에 대하여 본체의 축을 향해 연장된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며,
    개구에는 소정의 벽 거리만큼 본체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갖는 벽이 형성되며,
    로킹 요소는 개구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내측 첨단면으로부터 로킹 위치까지 본체의 개구 내로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가지며,
    비트는,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섕크,
    척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소정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섕크 내에 형성되어 섕크의 축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적어도 하나의 홈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며,
    비트는 척의 본체의 개구 내에서 조립되며,
    섕크의 축은 척의 본체의 축과 일치하며,
    포켓은 로킹 위치에 위치되며,
    척의 로킹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는 비트의 포켓 내에 위치되어 비트를 척과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0. 제4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소정의 높이보다 더 낮은 소정의 홈 깊이 거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1. 제4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에는 베이스가 형성되며, 포켓은 섕크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홈의 베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2. 제5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는 리브의 소정의 높이를 한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내측 첨단면과 개구의 벽 사이에서 연장된 이격된 측벽들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의 베이스로부터 섕크의 외면까지 연장된 측벽들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홈의 측벽들은 내측 첨단면으로부터 개구의 벽을 향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측벽들의 부분들만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3. 제4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제1 리브이고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제1 홈이며, 제2 리브가 본체의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제1 리브로부터 각을 이루며 이격되며, 제2 홈이 섕크 내에 형성되어 제1 홈으로부터 각을 이루며 이격되며, 제2 리브는 홈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4. 제50항에 있어서, 비트는 제1 비트이고 제1 비트의 섕크는 제1 비트 외부 횡단축 치수로 형성되고 제1 비트의 적어도 하나의 홈은 그 소정의 깊이가 소정의 제1 비트 홈 깊이 거리인 제1 비트 홈이며, 조립체는, 제2 비트, 제1 비트 외부 횡단축 치수와 상이한 제2 비트 외부 횡단축 치수로 제2 비트의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 섕크, 및 소정의 제1 비트 홈 깊이 거리와 상이한 소정의 제2 비트 홈 깊이 거리로 제2 비트 내에 형성된 제2 비트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5. 제54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2 비트 홈 깊이 거리는 리브의 소정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6. 한 세트의 다수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척에 있어서,
    축 및 횡단축 치수를 갖는 섕크가 형성된 각각의 비트,
    한 세트 내의 제2 비트의 섕크와 횡단축 치수가 상이한 한 세트 내의 제1 비트의 섕크,
    한 세트 내의 제1 비트와 제2 비트의 섕크를 교번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개구를 갖는 본체, 및
    척이 구동될 때 한 세트 내의 제1 비트와 제2 비트를 교번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본체에 고정되어 이로부터 개구 내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57. 고정 조오 직접 삽입 척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는 개구를 한정하는 본체, 및
    비트 섕크가 개구 내로 삽입될 때 본체와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비트 섕크와 맞물림가능한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로킹 요소는 비트를 본체에 해제가능하게 로킹시키도록 작동가능하며, 여기에서 비트는 개구의 폭보다 더 작은 다수의 상이한 섕크 직경들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조오 직접 삽입 척.
  58. 척에 조립하기 위한 비트에 있어서,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 섕크,
    그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된 섕크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서 벽 내에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며,
    섕크에는 자유 단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이 형성되며,
    포켓은 포켓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어떠한 요소에 대하여 비트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59. 척에 조립하기 위한 비트에 있어서,
    축을 따라 형성된 척 장착가능한 섕크,
    그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된 섕크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서 벽 내에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며,
    섕크에는 자유 단부 및 원형의 단면 형상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60. 제59항에 있어서, 섕크에는 비원형의 단면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61. 제5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제1 홈이며, 제2 홈 및 제3 홈이 비트 내에 형성되며, 포켓은 제1 홈, 제2 홈 및 제3 홈 중 적어도 하나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62. 비트를 수용하여 장착하는 척에 있어서,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이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개구의 개방 단부와 바닥 단부 사이에 있는 적어도 2개의 리브, 및
    비트를 본체에 로킹하며 본체의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표면으로부터 본체의 개구 내로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갖는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개구에는 벽이 형성되고 개방 단부와 이 개방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바닥 단부가 구비되며,
    적어도 2개의 리브는 개구에 대하여 동일하게 각을 이루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63. 비트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척에 있어서,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이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개구의 개방 단부와 바닥 단부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 및
    비트를 본체에 로킹하며 본체의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표면으로부터 본체의 개구 내로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갖는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개구에는 벽이 형성되고 개방 단부와 이 개방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바닥 단부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는 본체의 축에 대면하고 축으로부터 이격된 평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64. 제6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표면은 본체의 축에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 원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65. 비트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척에 있어서,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개구의 평탄한 벽 상에 형성되어 이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개구의 개방 단부와 바닥 단부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 및
    비트를 본체에 로킹하며 본체의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표면으로부터 본체의 개구 내로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갖는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개구에는 평탄한 벽이 형성되고 개방 단부와 이 개방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바닥 단부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는 본체의 축에 대면하고 축으로부터 이격된 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66. 제65항에 있어서, 개구의 벽은 볼록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볼록한 벽으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67. 제65항에 있어서, 개구의 벽은 파형이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파형의 벽으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68. 비트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척에 있어서,
    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축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개구의 벽 상에 형성되어 이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개구의 개방 단부와 바닥 단부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
    비트를 본체에 로킹하며 통로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적어도 제1 부분과 본체의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그 전방 단부가 위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표면으로부터 본체의 개구 내로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제2 부분을 갖는 로킹 요소, 및
    본체 내에 형성되어 리브의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통해 연장되고 본체의 개구와 연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며,
    개구에는 벽이 형성되고 개방 단부와 이 개방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바닥 단부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는 본체의 축에 대면하고 축으로부터 이격된 표면이 형성되며,
    통로 및 로킹 요소의 적어도 제1 부분에는 상보적인 단면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69. 제68항에 있어서, 통로와 로킹 요소의 제1 부분의 상보적인 단면 구조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70. 제68항에 있어서, 통로와 로킹 요소의 제1 부분의 상보적인 단면 구조는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71. 제68항에 있어서, 통로와 로킹 요소의 제1 부분의 상보적인 단면 구조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72. 제68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의 제2 부분의 전방 단부는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73. 제68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의 제2 부분의 전방 단부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74. 제68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의 제2 부분의 전방 단부는 뾰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75. 척과 비트의 조립체에 있어서,
    비트는,
    자유 단부와 섕크 축을 섕크, 및
    비트의 섕크 내에 형성되어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된 홈을 포함하며,
    척은,
    비트 섕크를 수용하고 척의 축을 한정하는 개구를 갖는 본체, 및
    비트를 구동시키기 위해 본체로부터 척의 축을 향해 연장되어 홈과 구동 맞물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76. 제75항에 있어서, 홈은 제1 홈이고 조오는 제1 조오이며, 비트는 섕크 내에서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된 제2 홈 및 제3 홈을 포함하며, 척은 본체로부터 척의 축을 향해 연장되어 제2 홈 및 제3 홈과 각각 구동 맞물림되는 제2 및 제3 조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77. 제75항에 있어서, 비트를 척 개구 내의 축방향 이동에 대항하여 로킹시키도록 포켓 내에 위치된 척의 로킹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78. 제75항에 있어서, 비트는 한 세트의 비트의 제1 비트이며, 제1 비트는 제1 횡단축 치수를 가지며, 제2 축 및 제2 횡단축 치수를 갖는 섕크를 구비한 제2 비트가 형성되며, 제2 홈이 한 세트의 제2 비트의 섕크 내에 형성되어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조오는 제2 비트의 제2 홈 내에서 교번적인 구동 맞물림을 위해 본체로부터 척의 축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79. 조립체에 있어서,
    척은,
    길이방향 축을 갖는 개구를 형성한 본체,
    본체로부터 길이방향 축을 향해 개구 내로 제1 고정 거리만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 및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통해 척의 길이방향 축을 향해 제2 고정 거리만큼 연장된 본체 내의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한 세트의 비트들은,
    자유 단부, 섕크 축 및 횡단축 치수를 갖는 섕크가 형성된 각각의 비트,
    한 세트 내의 제2 비트의 섕크와 상이한 횡단축 치수를 갖는 한 세트의 제1 비트의 섕크,
    제1 비트를 그 섕크 축에 대하여 구동시키기 위해 척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구동 맞물림되는 제1 비트의 구동면,
    제1 비트를 개구에 대한 축방향 이동에 대항하여 로킹시키기 위해 로킹요소와 맞물림되는 제1 비트의 제1 로킹 표면,
    제2 비트를 그 섕크 축에 대하여 구동시키기 위해 척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교번적으로 구동 맞물림되는 제2 비트의 구동면, 및
    제2 비트를 개구에 대한 축방향 이동에 대항하여 로킹시키기 위해 로킹요소와 맞물림되는 제2 비트의 제2 로킹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80. 한 세트의 비트들을 척 내에 교번적으로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비트에 자유 단부, 섕크 축 및 횡단축 치수를 갖는 섕크가 형성되고, 한 세트의 제1 비트의 섕크가 한 세트의 제2 비트의 섕크와 상이한 횡단축 치수를 가지고, 홈이 한 세트의 제1 비트의 섕크 내에 형성되어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되고, 포켓이 제1 비트 섕크의 홈 내에서 섕크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방사상 거리에 형성된 한 세트의 비트들을 제공하는 단계,
    한 세트의 비트의 섕크를 교번적으로 수용하고 척의 축을 한정하는 개구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척을 제공하는 단계,
    제1 비트 섕크와 제2 비트 섕크를 척 개구 내에 교번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척의 축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된 척의 리브를 제1 비트의 홈 내에 구동 맞물림시키는 단계, 및
    제1 비트와 제2 비트가 척 내에 교번적으로 삽입될 때 척의 축을 향해 동일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된 척의 리브와 제2 비트의 표면을 구동 맞물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1. 제80항에 있어서, 제1 비트를 척 개구 내의 축방향 이동에 대항하여 로킹시키도록 척의 로킹 요소를 포켓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2. 제80항에 있어서, 제2 비트와 척을 구동 맞물림시키기 위해, 제2 비트는 섕크 내에 형성되어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되며 척의 리브와 구동 맞물림되는 제2 비트 섕크의 표면을 내포하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3. 제82항에 있어서, 척과 제1 비트 및 제2 비트 사이에 구동 맞물림을 형성하기 위해, 척은 3개의 리브를 가지며, 제1 비트와 제2 비트는 각각 척의 3개의 리브를 교번적으로 각각 수용하는 3개의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4. 한 세트의 비트들을 척 내에 교번적으로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길이방향 축을 구비한 개구를 본체가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본체로부터 개구 내로 길이방향 축을 향해 제1 고정 거리만큼 연장되고, 본체 내의 로킹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통해 척의 길이방향 축을 향해 제2 고정 거리만큼 연장된 척을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비트에 자유 단부, 섕크 축 및 횡단축 치수를 갖는 섕크가 형성되고, 한 세트의 제1 비트의 섕크가 한 세트의 제2 비트의 섕크와 상이한 횡단축 치수를 가지는 한 세트의 비트들을 제공하는 단계,
    한 세트의 제1 비트를 척 내에 삽입하는 단계,
    제1 비트를 그 섕크 축에 대하여 구동시키기 위해 제1 비트의 제1 구동면과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구동 맞물림시키는 단계,
    제1 비트를 개구에 대한 축방향 이동에 대항하여 로킹시키기 위해 제1 비트의 제1 로킹 표면과 로킹 요소를 맞물림시키는 단계,
    척으로부터 제1 비트를 제거하는 단계,
    제2 비트를 척 개구 내로 교번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제2 비트의 제2 구동면과 그 섕크 축에 대하여 구동 맞물림시키는 단계, 및
    제2 비트를 척 개구에 대한 축방향 이동에 대항하여 로킹시키기 위해 로킹 요소를 제2 비트의 제2 로킹 표면과 맞물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5. 제84항에 있어서, 제1 비트의 제1 구동면은 제1 비트 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6. 제84항에 있어서, 제1 비트의 제1 로킹 표면은 제1 비트 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포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7. 제84항에 있어서, 제2 비트의 제2 구동면은 제2 비트 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8. 제84항에 있어서, 제2 비트의 제2 로킹 표면은 제2 비트 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포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9. 제84항에 있어서, 척에는 본체로부터 개구 내로 연장된 3개의 리브가 형성되며, 제1 비트 및 제2 비트의 각각에는 3개의 리브 중 각각의 하나와 구동 맞물림되기 위해 구동면들을 제공하는 3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0. 제84항에 있어서, 본체에는 로킹 요소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제1 비트 및 제2 비트를 척 내로 삽입하는 중에 통로 내에서 로킹 요소를 후퇴시키는 단계와, 척으로부터 제1 비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1. 척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제한 정지부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중간 위치에서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축 및 외면을 갖는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본체의 이동 제한 정지부와 전방 단부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기 위해 본체의 외면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갖는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본체의 전방 단부에서 본체의 외면 상에 선단편을 압력 끼워맞춤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갖는 선단편을 제공하는 단계,
    본체의 이동 제한 정지부와 전방 단부 사이에서 본체의 외면 상에 액츄에이터를 장착하는 단계, 및
    선단편과 이동 제한 정지부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도록 액츄에이터를 포착하기 위해 본체의 외면 상에서 그 전방 단부에 압력 끼워맞춤에 의해 선단편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05939A 1998-11-12 1999-11-12 척, 비트, 그 조립체 및 장착 방법 KR20020020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10798P 1998-11-12 1998-11-12
US60108107 1998-11-12
US60/108,107 1998-11-12
US10833698P 1998-11-13 1998-11-13
US60108336 1998-11-13
US60/108,336 1998-11-13
US09/439,505 US6261035B1 (en) 1998-11-12 1999-11-12 Chuck, bit, assembly thereof and methods of mounting
US09/439,505 1999-11-12
US09439505 1999-11-12
PCT/US1999/026888 WO2000027574A1 (en) 1998-11-12 1999-11-12 Chuck, bit, assembly thereof and methods of moun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670A true KR20020020670A (ko) 2002-03-15

Family

ID=2738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939A KR20020020670A (ko) 1998-11-12 1999-11-12 척, 비트, 그 조립체 및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61035B1 (ko)
EP (1) EP1128923B1 (ko)
KR (1) KR20020020670A (ko)
CN (1) CN1149132C (ko)
AT (1) ATE396812T1 (ko)
DE (1) DE69938838D1 (ko)
MX (1) MXPA01004827A (ko)
WO (1) WO2000027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73060C (en) * 1999-05-03 2012-10-23 Maxtech Manufacturing Inc. Quick-connect mechanism
EP1671729A3 (en) 1999-07-21 2006-07-05 BLACK & DECKER INC. Locking mechanism for power drivable chuck
ATE418410T1 (de) * 1999-07-21 2009-01-15 Black & Decker Inc Angetriebenes futter
AU6363100A (en) * 1999-07-21 2001-02-13 Black & Decker Incorporated Power drivable chuck
DE10043416A1 (de) * 2000-09-04 2002-03-14 Hilti Ag Schlagendes Handwerkzeuggerät mit Werkzeugaufnahme
US6660333B2 (en) * 2001-01-29 2003-12-09 David Frame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ducing artificially distressed plank flooring
CA2437568C (en) 2001-02-09 2011-01-11 Maxtech Manufacturing Inc. Irregular-shank tools and drivers therefor
US20040056435A1 (en) * 2001-02-15 2004-03-25 Sanjeev Bedi Quick-connect mechanism
DE10207152B4 (de) * 2002-02-20 2015-04-16 Röhm Gmbh Bohrvorrichtung
US6929266B2 (en) * 2002-06-18 2005-08-16 Black & Decker Inc. Bit holder
US6843484B2 (en) 2002-07-08 2005-01-18 Monte L. Schroeder Quick change chuck
US6786685B2 (en) 2002-07-19 2004-09-07 Toolovation, Llc Power tool having a quick-release chuck assembly
EP1535704B1 (de) * 2003-11-26 2010-03-10 HILTI Aktiengesellschaft Werkzeugaufnahme für ein drehendes und schlagendes Werkzeug
DE10360008B4 (de) * 2003-12-19 2006-04-06 Wacker Construction Equipment Ag Vorrichtung für einen Bohr- oder Schlaghammer mit Werkzeugaufnahme
DE10360077A1 (de) * 2003-12-20 2005-07-21 Robert Bosch Gmbh Werkzeughalter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US8132990B2 (en) * 2003-12-23 2012-03-13 Lynn Everett Bauman Bit holding apparatus for use with a power tool
US7354230B2 (en) 2003-12-23 2008-04-08 Lynn Bauman Bit holding apparatus for use with a power tool
WO2005089989A1 (en) * 2004-03-15 2005-09-29 Wienhold James L Dual size tool-bit holder
US20050285355A1 (en) * 2004-06-24 2005-12-29 Yuan-Ho Lin Quick removable chuck assembly and its cutting tool
FR2876048A1 (fr) * 2004-10-06 2006-04-07 Yves Georges Pailler Dispositif pour fixer les forets avec des pinces ou des mandrins
US7404696B2 (en) * 2005-02-18 2008-07-29 Black & Decker Inc. Drill driver with chuck-mounted drill accessories
US7520512B2 (en) * 2005-02-18 2009-04-21 Black & Decker Inc. Drill chuck
SE531224C2 (sv) * 2007-03-30 2009-01-20 Seco Tools Ab Verktyg med utbytbar spets
US8381830B2 (en) * 2009-05-05 2013-02-26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integrated bit retention device
US8800999B2 (en) * 2009-02-27 2014-08-12 Black & Decker Inc. Bit retention device
US8308168B2 (en) * 2009-02-27 2012-11-13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Quick change tool bit holder
US8622401B2 (en) 2009-02-27 2014-01-07 Black & Decker Inc. Bit retention device
US8708346B2 (en) 2010-01-08 2014-04-29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Rotary tool including a collet
US20100299844A1 (en) * 2010-06-10 2010-12-02 Powers Products Iii, Llc Drop-in anchor
US20120253323A1 (en) * 2011-03-29 2012-10-04 Warsaw Orthopedic, Inc. Rotationally driven surgical tool assembly and method
TWM433930U (en) * 2012-01-17 2012-07-21 Basso Ind Corp Packing device for right angle head impact wrench
US10150205B2 (en) 2012-02-15 2018-12-11 Black & Decker Inc. Fastening tools with floating magnet sleeves
US9505108B2 (en) 2012-02-15 2016-11-29 Black & Decker Inc. Bit holder with floating magnet sleeve
US9943946B2 (en) 2012-02-15 2018-04-17 Black & Decker Inc. Tool bits with floating magnet sleeves
US9227309B2 (en) 2012-02-15 2016-01-05 Black & Decker Inc. Quick change bit holder with ring magnet
US9156147B2 (en) 2012-02-15 2015-10-13 Black & Decker Inc. Quick change bit holder with ring magnet
JP6023666B2 (ja) * 2013-06-21 2016-11-09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長尺シート体保持装置およびプリンタ
EP2837468B1 (en) 2013-08-15 2017-07-05 Black & Decker Inc. Bit holder with floating magnet sleeve
EP2883662A1 (de) * 2013-12-13 2015-06-17 HILTI Aktiengesellschaft Werkzeughalter
US20170036330A1 (en) * 2014-04-22 2017-02-09 Maxtech Consumer Products Limited Quick-connect chuck mechanism for screwdriver bits and the like
EP3760378A1 (en) 2014-08-15 2021-01-06 Black & Decker Inc. Tool bit with reduced diameter torsion zones
CN105563427B (zh) * 2014-10-11 2017-09-08 浙江海王电器有限公司 电动工具及其电锤专用钻头与直柄钻头一体互换锁合装置
US10314610B2 (en) 2015-03-25 2019-06-11 Medtronic Ps Medical, Inc. Slanted drive axis rotary surgical cutting tools and powered handpieces
USD800906S1 (en) 2015-03-25 2017-10-24 Medtronic Ps Medical, Inc. Surgical tool
US10080579B2 (en) 2015-03-25 2018-09-25 Medtronic Ps Medical, Inc. Pin drive rotary surgical cutting tools and powered handpieces
USD782042S1 (en) 2015-03-25 2017-03-21 Medtronic Ps Medical, Inc. Surgical tool
USD800907S1 (en) 2015-03-25 2017-10-24 Medtronic Ps Medical, Inc. Surgical tool
USD790699S1 (en) 2015-03-25 2017-06-27 Medtronic Ps Medical, Inc. Surgical tool
US9597737B2 (en) * 2015-04-27 2017-03-21 Iscar, Ltd. Tool coupling arrangement for drills and reamers
USD789761S1 (en) 2015-11-02 2017-06-20 Black & Decker Inc. Torsion bit
EP3162506A1 (en) 2015-11-02 2017-05-03 Black & Decker Inc. Fastening tools with floating magnet sleeves
USD800903S1 (en) 2016-02-09 2017-10-24 Medtronic Ps Medical, Inc. Surgical tool
CN109262551B (zh) * 2017-07-18 2021-07-27 博世电动工具(中国)有限公司 电动工具的刀具夹持装置及电动工具
US10849634B2 (en) 2018-06-20 2020-12-01 Medtronic Xomed, Inc. Coupling portion for rotary surgical cutting systems
US11534897B2 (en) 2019-05-09 2022-12-27 Black & Decker Inc. Modular tool bit holder system
EP3834968A1 (de) * 2019-12-11 2021-06-16 Hilti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drehmomentübertragung von einem bohrgerät auf eine bohrkrone
US11685032B2 (en) 2020-07-02 2023-06-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Rotary impact tool having bit holding device
WO2023069595A1 (en) * 2021-10-20 2023-04-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ool bit and bit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345A (en) 1904-02-02 Drill-chuck
US1138465A (en) 1914-11-19 1915-05-04 North Bros Mfg Co Chuck.
US1679175A (en) 1926-08-26 1928-07-31 Dorn Electric Tool Company Van Chuck
US1862623A (en) * 1931-02-16 1932-06-14 Whitman & Barnes Inc Tool holder
US2138253A (en) * 1935-02-04 1938-11-29 Edward J Lynch Tool holder
US2270840A (en) * 1939-01-26 1942-01-27 Ingersoll Rand Co Implement retainer
US2395534A (en) 1944-05-24 1946-02-26 Lloyd W Miller Chuck
US2878701A (en) 1957-08-14 1959-03-24 Weersma Arnold Allen wrench set
US3156479A (en) * 1963-04-05 1964-11-10 Drazick John Locking device
US3251605A (en) 1963-09-26 1966-05-17 Supreme Products Corp Quick release chuck
DE2551125A1 (de) 1975-11-14 1977-05-26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drehmomentuebertragung
DE2614532B1 (de) 1976-04-03 1977-09-15 Hanns Dipl-Ing Schnitzler Bohrfutter mit bohrspirale
DE2618596C2 (de) 1976-04-28 1984-05-1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Werkzeughalter
DE3330486A1 (de) * 1983-08-24 1985-03-07 Wera Werk Hermann Werner Gmbh & Co, 5600 Wuppertal Spannfutter fuer werkzeug-einsatzstuecke, insbesondere schraubendreherbits
DE3331866A1 (de) 1983-09-03 1985-03-21 Metabowerke GmbH & Co, 7440 Nürtingen Bohrhammer
DE3413432A1 (de) 1983-12-27 1985-07-04 Gebrüder Heller GmbH Werkzeugfabrik, 2807 Achim Bohrer fuer handbohrmaschinen
DE3419465A1 (de) * 1984-05-24 1985-11-28 Hilti Ag, Schaan Werkzeughalter fuer bohr- und meisselwerkzeuge
DE3429419A1 (de) * 1984-08-09 1986-02-20 Hilti Ag, Schaan Bohrwerkzeug fuer handbohrmaschinen
US4692073A (en) 1985-02-25 1987-09-08 Martindell J Richard Handle adapter and chuck apparatus for power bits
DE3515555A1 (de) * 1985-04-30 1986-11-06 Gebrüder Heller GmbH Werkzeugfabrik, 2807 Achim Werkzeugaufnahme fuer bohrmaschinen, bohrvorrichtung sowie bohrer und bohrersatz
JPS6274510A (ja) * 1985-09-25 1987-04-06 Shibaura Eng Works Co Ltd 振動ドリルにおけるビツトの保持構造
USRE35174E (en) 1987-05-20 1996-03-12 Robert Bosch Gmbh Tool shaft for a tool of the percussive and rotative type
FR2629376B1 (fr) * 1988-04-01 1994-04-29 Prospection & Inventions Porte-outil de foreuse, en particulier pour foret avec ou sans rainure d'entrainement
DE3817644A1 (de) * 1988-05-25 1989-11-30 Hilti Ag Werkzeug mit laengsnuten am einsteckende
FR2635039B1 (fr) * 1988-08-05 1990-11-02 Prospection & Inventions Foret comprenant une queue avec des rainures
US4900202A (en) 1988-09-08 1990-02-13 Wienhold James L Chuck assembly for tool bits
DE4104131A1 (de) * 1990-05-08 1991-11-14 Bosch Gmbh Robert Handbohrmaschine
EP0553124B1 (de) * 1990-10-16 1996-05-29 Robert Bosch Gmbh Einrichtung an handwerkzeugmaschinen
DE4105414A1 (de) 1991-02-21 1992-08-27 Hilti Ag Werkzeug und werkzeughalter fuer handwerkzeuggeraete
DE4242452A1 (de) * 1992-07-15 1994-01-20 Hilti Ag Werkzeug und Werkzeugaufnahme für Handwerkzeuggeräte
DE4223518A1 (de) 1992-07-17 1994-01-20 Hilti Ag Werkzeug und Werkzeugaufnahme für Handwerkzeuggeräte
DE4328358A1 (de) 1993-08-24 1995-03-02 Bosch Gmbh Robert Handbohrmaschine, insbesondere Bohrhammer
DK130593D0 (da) 1993-11-19 1993-11-19 Joran Bor A S Boropsaetningssystem
DE4340728C1 (de) * 1993-11-30 1995-01-26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an Handwerkzeugmaschinen zur Drehmitnahme von Werkzeugen
DE4340727C2 (de) 1993-11-30 1996-02-15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an Handwerkzeugmaschinen zur Drehmitnahme von Werkzeugen
DE4341969A1 (de) * 1993-12-09 1995-06-14 Hilti Ag Werkzeug und Werkzeugaufnahme für Handwerkzeuggeräte
DE4343013C2 (de) * 1993-12-16 2003-04-03 Bosch Gmbh Robert Bohrhammer mit einer Kombinations-Werkzeughalterung
US5398946A (en) * 1993-12-29 1995-03-21 Poly-Tech Industries Chuck having one-step lock and release
DE4401663A1 (de) 1994-01-21 1995-07-27 Bosch Gmbh Robert Werkzeughalter
DE4419825A1 (de) 1994-06-07 1995-12-14 Bosch Gmbh Robert Handbohrmaschine, insbesondere Bohrhammer und deren Werkzeughalter
DE4419826A1 (de) 1994-06-07 1995-12-14 Bosch Gmbh Robert Werkzeughalter für eine Handbohr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en Bohrhammer, sowie Handbohrmaschine mit Werkzeughalter
DE19516034A1 (de) 1995-05-04 1996-11-07 Hilti Ag Einrichtung zur Drehmomentübertragung bei Handwerkzeuggeräten
DE19539414A1 (de) 1995-10-12 1997-04-17 Bosch Gmbh Robert Einsatzwerkzeug für Maschinen mit Bohr- und/oder Schlagan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27574A9 (en) 2002-08-22
US6261035B1 (en) 2001-07-17
MXPA01004827A (es) 2003-07-21
CN1149132C (zh) 2004-05-12
WO2000027574A1 (en) 2000-05-18
EP1128923A4 (en) 2004-11-24
EP1128923A1 (en) 2001-09-05
ATE396812T1 (de) 2008-06-15
DE69938838D1 (de) 2008-07-10
CN1332661A (zh) 2002-01-23
EP1128923B1 (en)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0670A (ko) 척, 비트, 그 조립체 및 장착 방법
US5351586A (en) Screwdriver replacement bit assembly
US5951026A (en) Removable chuck
US6874791B2 (en) Chuck apparatus
US8308168B2 (en) Quick change tool bit holder
US6543959B1 (en) Two-way quick connector
US6234579B1 (en) Cutting tool holder retention assembly
EP2098337A1 (en) Quick-release coupler
JPS60232888A (ja) 多目的工具
AU2024600A (en) Quick coupler mechanism for power tool bits
US9302329B2 (en) Bi-directional quick change tool-less lever and wedge actuated collet chuck, system and/or method for using the same
CN215615188U (zh) 多尺寸工具头保持器
US6517297B2 (en) Chuck and assembly with bit
EP3228408A1 (en) Quick-change connecting rod assembly
US20050089383A1 (en) Deburring tool
US6155576A (en) Rotary power tool with expanded collet range
US20040188957A1 (en) Insertable tool connector
JP4113127B2 (ja) ロッキング・アセンブリ
AU2049300A (en) Toolholder assembly
US6862765B2 (en) Combination of tool bit with handle
EP1769868B1 (en) Chuck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TWI774385B (zh) 快脫式工具接桿
US3762733A (en) Nail screw driving tool head
WO2000034016A1 (en) Large hole cutter
US8413552B2 (en) Fastener socket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