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794A -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794A
KR20020019794A KR1020000053124A KR20000053124A KR20020019794A KR 20020019794 A KR20020019794 A KR 20020019794A KR 1020000053124 A KR1020000053124 A KR 1020000053124A KR 20000053124 A KR20000053124 A KR 20000053124A KR 20020019794 A KR20020019794 A KR 20020019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ore
mold
injection molding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574B1 (ko
Inventor
김웅태
임근수
Original Assignee
김웅태
(주)누리텍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웅태, (주)누리텍 아이엔씨 filed Critical 김웅태
Priority to KR10-2000-005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574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29C45/2606Guiding or cen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8Closure devices therefor
    • B29C45/2806Closure devices therefor consisting of needle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용융 수지의 주입부가 금형장치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편 하중, 편 동작을 없앰으로써 작동 원활과 수명연장을 이룰 수 있고, 게이트핀이 런너를 차단한 상태에서 압축공정으로 제품을 성형하여 제품의 조직이 치밀해져 변형발생이 적으며, 특히 제품이 완성되는 최종 시점에서 게이트가 내부와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수작업으로 게이트에 의해 성형된 부분을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운 일이 생기지 않는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Mold Device for Projection Forming and the Process Utilizing Thereof}
본 발명은 금형장치와 그 금형장치를 이용한 물품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블록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블록 커넥터 등 필요한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요한 형상의 물품을 성형하는데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수지를 이용해 필요한 형상을 물품을 만드는데는 사출성형을 많이 이용한다. 이러한 사출성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만들고자 하는 형성의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금형장치이다.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사출금형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사출금형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도 2에 나타낸 사출금형장치를 이용해 만든 블록 커넥터의 측면 조립도, 도 4는 도 1∼도 2에 나타낸 사출금형장치를 이용해 만든 블록 커넥터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출성형용 금형장치(100)는 제 1지지판(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지지판(110)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용융 수지의 이동로(122)가 형성된 스프루 부시(120)가 결합되어 있으며, 그 표면 상으로 노즐 등으로 쉽게 용융 수지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입구(132)가 형성된 주입보조구(130)가 볼트(140)로 체결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판(110)에는 제 1상코어(150)와 제 2상코어(160) 및 제 1상코어(150)와 제 2상코어(16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원판(170)이 결합되어 있다. 제 1상코어(150)에는 스프루 부시(120)의 하측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공(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 하면으로 제 1하코어(180)의 런너(182)가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상코어(150)에는 제 2상코어(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상코어(160)는 제 1상코어(150)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성형되는 제품의 일측 표면 형상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판(110)과 마주보고 제 2지지판(19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지지판(190)에는 스페이스블록(192)을 통해 하원판(200)이 설치되어 있고, 이 하원판(200)에는 제 1하코어(180)와 제 2하코어(2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 2하코어(210)의 지지를 받는 제 1하코어(180)는 제 2상코어(160)와 함께 성형되는 제품의 타측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부분으로 볼트(142)를 통해 하원판(200)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 1하코어(180)의 일측 표면으로는 스프루 부시(120)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를 게이트(184)까지 안내하는 런너(18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지지판(190)과 하원판(200) 사이 공간에 이동부재(194)와 이 이동부재(194)를 상하 작동시키기 위한 제 1이젝트 플레이트(196)와 제 2이젝트 플레이트(198)가 설치되어 있고, 이동부재(194)에는 성형되는 제품과 그 제품에 일체로 연결되어 게이트에서 성형되는 게이트 성형품을 이탈시키기 위한 밀핀(199)이 결합되어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장치(100)에서는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보조구(130)와 스프루 부시(120) 등이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게이트(184)와 제품이 성형되는 공간은 용융 수지 공급을 위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출성형기의 노즐을 통해 용융 수지를 주입보조구(130)를 통해 주입하면 이는 스프루 부시(120)에 형성된 용융 수지 이동로(122)를 거쳐 런너(182)로 공급되고, 이는 다시 게이트(184)를 거쳐 제 2상코어(160)와 제 1하코어(18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주입되어 충진된다. 일정 경화시간이 지나면 금형을 열고 성형품을 밀핀(199)으로 이탈시키고, 성형된 제품에서 게이트(184)와 런너(182)에 의해 성형된 부분을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과정으로 제품을 완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주입보조구(130)와 스프루 부시(120), 게이트(184) 등이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제 1, 제 2이젝트 플레이트(196, 198)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 게이트(184)에서 성형된 부분이 제품에서 자동적으로 절단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게이트(184)에 의해 성형된 부분을 이탈시키더라도 그 흔적이 제품에 남기 때문에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커넥터(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는데, 교정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이 발생된다.
즉, 종래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사출성형방법으로 성형품을 취출 한 경우에는 성형품에 변형이 많이 생기기 때문에 지그로 그 형태를 교정하여주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는 심각한 문제점도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이 원활하며 게이트에 의해 성형된 불필요한 부분이 성형품에서 자동적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생산성을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성형품의 변형 발생이 적어 별도의 지그로 형태를 교정하여주지 않아도 되는 사출성형용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금형장치를 이용해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성형품을 만드는 사출성형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사출금형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사출금형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도 2에 나타낸 사출금형장치를 이용해 만든 블록 커넥터의 측면 조립도,
도 4는 도 1∼도 2에 나타낸 사출금형장치를 이용해 만든 블록 커넥터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정단면도,
도 7은 그 평면도,
도 8은 제 1상코어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 제 1상코어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 I-I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금형장치와 사출기 노즐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사출공정시의 게이트 부근 상세도,
도 13은 압축공정시의 게이트 부근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금형장치 310 : 상금형부
320 : 주입보조구 330 : 제 1지지판
340 : 스프루 부시 342 : 용융 수지 이동로
350 : 제 1상코어 352 : 게이트
354 : 런너 360 : 제 2상코어
370 : 상원판 390 : 하금형부
400 : 제 2지지판 402 : 제 1밀핀
404 : 제 2밀핀 405 : 게이트핀
410 : 스페이스블록 420 : 하원판
430 : 제 1하코어 440 : 제 2하코어
450 : 간격조정기구 452 : 유압실린더
454 : 터치봉 456 : 터치블록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사출성형기에 설치가능하고,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필요한 형상의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출성형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사출성형기의 주입 노즐이 삽입되는 수지주입공을 갖는 주입보조구와 주입보조구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스프루 부시가 중앙부에 설치된 제 1지지판과 주입된 용융 수지를 중앙부에서 일측 가장자리를 거쳐 반대편 가장자리에 형성된 게이트까지 안내하는 런너가 형성된 제 1상코어와 제 1상코어에 결합되어 성형품의 일측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제 2상코어와 제 1, 제 2상코어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원판을 구비하여 구성된 상금형부, 제 1지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고 성형제품을 이탈시키기 위한 제 1밀핀과 게이트성형품을 이탈시키기 위한 제 2밀핀이 설치되는 제 2지지판과 제 2지지판에 설치되고 중앙부위에 코어설치홈이 형성된 하원판과 코어설치홈에 설치되어 용융 수지의 타측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제 1하코어와 제 1상코어와의 간격에 따라 게이트로 공급되는 용융 수지의 이동로를 개폐하는 게이트핀을 구비하여 구성된 하금형부 및 상원판과 하원판 사이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원판과 하원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게이트는 제 1상코어가 제 1하코어에 접촉되는 것으로 인해 게이트가 내부와 차단되도록 제 1상코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위 제 1하코어의 아래쪽으로 제 1하코어를 지지하는 제 2하코어가 더 설치되며, 위 간격조정기구는 하원판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에 의해 길이조정되는 터치봉과 상원판에 설치되어 터치봉에 의해 유압실린더의 힘을 상원판으로 전달하여 상원판과 하원판 간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해주는 터치블록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출성형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간격조정기구를 이용해 상금형부와 하금형부를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제 1이격단계, 사출성형용 금형장치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주입단계, 간격조정기구를 구동하여 상금형부와 하금형부의 간격을 줄여 게이트핀이 런너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 1접근 단계, 이동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금형부와 하금형부의 간격을 줄여 압축공정을 계속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게이트가 내부와 차단되도록 하는 제 2접근단계, 상금형부와 하금형부를 이격시켜 금형을 여는 제 2이격단계 및 하금형부에 설치된 제 1밀핀과 제 2밀핀으로 성형된 제품과 게이트 성형물을 각각 이탈시키는 제품 이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정단면도, 도 7은 그 평면도이다.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장치(300)는 상금형부(3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금형부(310)는 사출성형기의 주입 노즐이 삽입되는 수지주입공(322)을 갖는 주입보조구(3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주입보조구(320)는 용융 수지의 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것에서와는 달리 제 1지지판(33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주입보조구(320) 아래쪽으로 스프루 부시(340)가 제 1지지판(330)에 형성된 구멍(332)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이 스프루 부시(340)는 주입보조구(320)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의 이동로(342)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금형부(310)는 제 1상코어(3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상코어(350)에는 주입된 용융 수지를 중앙부에서 일측 가장자리를 거쳐 반대편 가장자리 게이트(352)까지 안내하는 런너(354)와 성형공간 내부로 용융 수지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이트(3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상코어(350)는 본 발명의 일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이와 관련하여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상코어(350)에는 제 2상코어(360)가 볼트(365)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제 2상코어(360)는 성형품의 일측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부분으로, 성형하고자 하는성형품의 표면형상에 따라 만들어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 1상코어(350)와 제 2상코어(360)는 상원판(370)에 수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장치(300)는 하금형부(3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하금형부(390)는 상금형부(310)와 대응되는 부분으로 제 1지지판(310)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 2지지판(4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지지판(400)에는 성형제품을 이탈시키기 위한 제 1밀핀(402)과 게이트(352)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을 이탈시키기 위한 제 2밀핀(404)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지지판(400)에는 스페이스 블록(410)을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하원판(420)이 결합되어 있다. 이 하원판(420)은 그 중앙부위에 코어설치홈(42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하원판(420)의 코어설치홈(422)에 제 1하코어(430)와 제 2하코어(440)가 설치되어 있다. 제 1하코어(430)는 용융 수지의 타측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부분으로 제 2상코어(360)와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 제 1하코어(430) 아래쪽으로 제 2하코어(440)가 결합되어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하코어(430)의 일측단으로 게이트핀(40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트핀(405) 역시 본 발명의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적정 시기에 제 1상코어(350)의 런너(354)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게이트핀(405)은 제 1상코어(350)와의 간격에 따라 게이트(352)로 공급되는 용융 수지의 이동로를 개폐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지지판(400)과 하원판(420) 사이 공간에이동부재(406)와 이 이동부재(406)를 상하 작동시키기 위한 제 1이젝트 플레이트(408)와 제 2이젝트 플레이트(409)가 설치되어 있고, 이동부재(406)에 성형되는 제품과 그 제품과 성형과정에서 분리된 게이트에서 성형되는 게이트 성형품을 이탈시키기 위한 제 1밀핀(402)과 제 2밀핀(404)이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장치(300)는 간격조정기구(4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간격조정기구(450)는 상금형부(310)와 하금형부(390)의 간격을 사출성형공정 순서에 따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간격조정기구(450)는 하원판(42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452)와 이 유압실린더(452)에 의해 길이조정되는 터치봉(454)과 상원판(370)에 설치되어 터치봉(454)에 의해 유압실린더(452)의 힘을 상원판(370)으로 전달하여 상원판(370)과 하원판(420) 간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해주는 터치블록(45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유압실린더(452)는 단동실린더를 사용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장치를 준비하여(금형준비단계), 소정 사출성형기에 설치하고, 그 상태에서 앞에서 설명한 간격조정기구(450)를 이용해 상금형부(310)를 밀어 올려 하금형부(390)를 상금형부(310)에서 소정 거리 이격시킨다(제 1이격단계). 이 때 유압실린더(452)의 압력에 의해 상원판(370)과 제 1지지판(330)과 그 사이에 설치된 런너취출판(336) 사이는 벌어지지 않는다. 그 상태에서 주입보조구(320)의 수지주입공(322)을 통해 용융 수지를 주입한다. 그러면 용융 수지는 스프루 부시(340)에 형성된 용융 수지 이동로(342)를 거쳐 제 1상코어(350)에 형성된 런너(354)와 게이트(352)를 거쳐 제품 성형을 위한 내부 공간으로 주입된다(수지주입단계).
수지가 충분히 주입되면 간격조정기구(450)를 구동하여 상금형부(310)와 하금형부(390)의 간격을 줄여 게이트핀(405)이 런너(354)를 차단하도록 한다(제 1접근 단계).
런너(354)가 닫힌 상태에서 상금형부(310)와 하금형부(390)의 간격을 더욱 줄여 압축공정을 계속 진행한다. 이 압축공정에 의해 제품의 단면조직이 치밀해져 제품 완성 후에 변형이 방지된다. 상금형부(310)와 하금형부(390)를 충분히 접근시켜 최종적으로 제 1상코어(350)에 형성된 게이트(352)의 전 가장자리가 제 1하코어(430)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제품이 성형되는 내부와 차단되도록 한다(제 2접근단계).
이렇게 하여 제품이 성형되면 사출기를 통해 상금형부(310)와 하금형부(390)를 다시 이격 시키면서 금형을 연다. 이 때 런너취출판(336)이 상원판(370)과 간격이 벌어지면서 런너(354)에서 형성된 부분이 제거된다.(제 2이격단계).
상금형부(310)와 하금형부(390)가 충분히 이격된 상태에서 제 1, 제 2이젝트 플레이트(408, 409)를 통해 제 1밀핀(402)과 제 2밀핀(404)으로 성형된 제품과 게이트 성형물을 각각 이탈시킨다(이탈단계).
즉, 게이트로 인해 형성된 성형물은 제품과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별도의 수작업으로 게이트에 의해 성형된 성형물을 제품에서 이탈시킬 필요가 없고 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압축공정으로 제품이 만들어지므로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 또, 용융 수지가 주입되는 주입보조구(320)와 스프루부시(340) 등이 금형장치(30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어 편 하중이나 편 작동이 사라져 작동이 원활해지고 수명이 길어진다.
도 8은 제 1상코어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 제 1상코어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상코어(350)에는 중앙에서부터 일측 가장자리쪽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꺾여진 런너(35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런너(354)의 하단에 게이트(3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게이트(352)는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위의 돌출된 부분에 둘러 쌓여 오목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금형장치와 사출기 노즐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사출공정시의 게이트 부근 상세도, 도 13은 압축공정시의 게이트 부근 상세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노즐(10)을 통해 용융 수지를 주입하면, 상원판(370)과 하원판(420)이 c의 간격을 유지하고, 제 1상코어(350), 제 2상코어(360), 제 1하코어(430)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런너(354)와 게이트(352)가 열려있기 때문에 용융 수지는 제 1상코어(350)에 형성된 런너(354)와 게이트(352)를 거쳐 제 2상코어(360)와 제 1하코어(430)가 형성하는 제품 성형공간으로 주입된다.
용융 수지를 주입 후 상원판(370)과 하원판(420)의 간격을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까지 줄이면 게이트핀(405)이 런너(354)를 막는다. 그 상태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까지 압축을 더 진행하면 내부에 충진된 수지는 계속 압축되고 최종적으로 금형이 완전히 닫히면 제 1상코어(350)의 게이트(352) 가장자리가 제 1하코어(430)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내부와 게이트(352)가 완전히 차단된다. 즉, 런너(354)가 닫힌 상태에서의 압축공정으로 인해 조직이 치밀해져 변형이 생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게이트(352)에 의해 성형된 부분을 별도의 수작업으로 제품에서 분리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용융 수지의 주입부가 중앙부에 위치하여 편 하중, 편 작동이 없어 금형장치의 작동이 원활하고 수명이 길며, 압축공정으로 인해 조직이 치밀해져 제품의 변형이 적기 때문에 별도의 지그로 고정해주는 등의 작업이 필요치 않고 특히 게이트가 내부 공간과 분리된 상태에서 성형이 완성되기 때문에 게이트 등에 의해 형성된 불필요한 부분을 제품에서 별도로 제거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치 않다. 이러한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금형장치 및 사출성형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품에 타부분의 제거 흔적이 남지 않아 좋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소정 사출성형기에 설치가능하고,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필요한 형상의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출성형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사출성형기의 주입 노즐이 삽입되는 수지주입공 갖는 주입보조구와 주입보조구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스프루 부시가 중앙부에 설치된 제 1지지판과 상기 주입된 용융 수지를 중앙부에서 일측 가장자리를 거쳐 반대편 가장자리에 형성된 게이트까지 안내하는 런너가 형성된 제 1상코어와 상기 제 1상코어에 결합되어 성형품의 일측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제 2상코어와 상기 제 1, 제 2상코어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원판을 구비하여 구성된 상금형부;
    상기 제 1지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고 성형제품을 이탈시키기 위한 제 1밀핀과 게이트성형품을 이탈시키기 위한 제 2밀핀이 설치되는 제 2지지판과 상기 제 2지지판에 설치되고 중앙부위에 코어설치홈이 형성된 하원판과 상기 코어설치홈에 설치되어 용융 수지의 타측 표면형상을 결정하는 제 1하코어와 상기 제 1상코어와의 간격에 따라 상기 게이트로 공급되는 용융 수지의 이동로를 개폐하는 게이트핀을 구비하여 구성된 하금형부; 및 상기 상원판과 하원판 사이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상원판과 하원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제 1상코어가 상기 제 1하코어에 접촉되는 것으로 인해 상기 게이트가 내부와 차단되도록 상기 제 1상코어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하코어의 아래쪽으로 상기 제 1하코어를 지지하는 제 2하코어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정기구는 하원판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길이조정되는 터치봉과 상기 상원판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봉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의 힘을 상기 상원판으로 전달하여 상기 상원판과 하원판 간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해주는 터치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3. 사출성형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사출성형용 금형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간격조정기구를 이용해 상금형부와 하금형부를 소정 거리 이격 시키는 제 1이격단계;
    상기 사출성형용 금형장치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주입단계;
    상기 간격조정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상금형부와 하금형부의 간격을 줄여 게이트핀이 런너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 1접근 단계;
    상기 이동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금형부와 하금형부의 간격을 줄여 압축공정을 계속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게이트가 내부와 차단되도록 하는 제 2접근단계;
    상기 상금형부와 하금형부를 이격시켜 금형을 여는 제 2이격단계; 및
    상기 하금형부에 설치된 제 1밀핀과 제 2밀핀으로 상기 성형된 제품과 게이트 성형물을 각각 이탈시키는 제품 이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KR10-2000-0053124A 2000-09-07 2000-09-07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KR10039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124A KR100391574B1 (ko) 2000-09-07 2000-09-07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124A KR100391574B1 (ko) 2000-09-07 2000-09-07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794A true KR20020019794A (ko) 2002-03-13
KR100391574B1 KR100391574B1 (ko) 2003-07-12

Family

ID=1968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124A KR100391574B1 (ko) 2000-09-07 2000-09-07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349A (ko) * 2001-10-22 2003-05-09 (주)누리텍 아이엔씨 밸브바디 성형용 금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63B1 (ko) 2011-10-24 2013-06-27 이원영 사출금형의 용융수지 주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349A (ko) * 2001-10-22 2003-05-09 (주)누리텍 아이엔씨 밸브바디 성형용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574B1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5947A1 (en) Cut structure for mold
KR100391574B1 (ko)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US5962042A (en) Injection mold
CN215396622U (zh) 显示屏胶框注塑模具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CN109109273B (zh) 一种内外抽芯式注塑模具及其内抽芯成型结构
JP2003127198A (ja) 射出成形装置
KR20160092457A (ko) 슬림 사출금형장치
JP2002347085A (ja) 射出成形金型
JP2004106510A (ja) 樹脂成形機
JPS5839425A (ja) 低圧射出成形法
KR100530028B1 (ko)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JP3763768B2 (ja) 射出成形機
CN217993357U (zh) 一种硅胶手表带的注胶冶具
JP7348158B2 (ja) 射出成形金型
KR200155571Y1 (ko) 사출금형의 사이드게이트 절단장치
CN220841232U (zh) 一种具有流道自动脱落装置的三板式注塑模具
CN214872391U (zh) 具有定模侧预先开模抽芯机构的塑料高脚椅模具
CN215550616U (zh) 型芯反置的注塑模具
CN217098751U (zh) 一种便于脱模的注塑模具
KR200432932Y1 (ko) 금형조립체의 재료공급구조
JPH11192623A (ja) 樹脂成形体製造用金型
JP3313902B2 (ja) 射出成形金型装置
JPH09169045A (ja) 射出成形用金型
KR0120622Y1 (ko) 유리 인서트용 사출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