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012A - 유체절환밸브 - Google Patents

유체절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012A
KR20020018012A KR1020010051649A KR20010051649A KR20020018012A KR 20020018012 A KR20020018012 A KR 20020018012A KR 1020010051649 A KR1020010051649 A KR 1020010051649A KR 20010051649 A KR20010051649 A KR 20010051649A KR 20020018012 A KR20020018012 A KR 20020018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seat
port
chamber
se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244B1 (ko
Inventor
토쿠다테쯔로
수주키히로아키
토미타마코토
Original Assignee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다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1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4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movable valve members positioned between 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79Reciprocating valve unit
    • Y10T137/86895Plural disk or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3포트의 유체절환밸브의 구성을 콤팩트하고 큰 유량 계수를 가지도록 구성한다.
3포트의 유체절환밸브는, 입력포트(41)로부터 밸브본체(1) 내의 밸브실(12)에 유입된 유체를 양측의 2개의 포트(42, 43)로 절환하여 유출시킨다. 상기 밸브실 (12)의 양측의 대향벽에는, 각 포트로 통하는 밸브시트(13, 31)를 설치하고, 이들의 밸브시트에 선택적으로 착좌하여, 입력포트를 어느 하나의 포트로 연통시킴과 아울러 다른 포트를 폐쇄하는 포핏 타입의 밸브체(5)를 밸브실 내에 설치한다.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밸브실(12)에 오목설치되고, 밸브체(5)의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밸브체의 두께의 적어도 2분의 1이 매립되는 깊이의 밸브시트구멍(17, 18)이 내부 바닥부에 설치되고, 유량계수의 저하를 억제한다.

Description

유체절환밸브{FLUID SELECTOR VALVE}
본 발명은, 3포트의 유체절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이 콤팩트하면서 큰 유량계수를 가지는 유체절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3포트의 유체절환밸브로서, 입구포트로부터 밸브실 내로 유입된 유체(액체)를 양측의 2개의 포트로 절환하여 유출시키도록 한 것은, 종래로부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유체절환밸브에 있어서, 입구포트로부터 유체를 유입하는 밸브실의 양측의 대향벽에, 2개의 포트로 통하는 밸브시트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 밸브시트에 선택적으로 착좌하여, 입구포트를 한쪽의 포트에 연통시킴과 아울러 다른쪽의 포트를 폐쇄하는 포핏 타입의 밸브체를 밸브실 내에 설치한 것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보유하고 있다.
즉, 상기 유체절환밸브에서는, 외형을 크게 함이 없이 유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통상,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입구포트로부터 밸브실에 이르는 유로나 밸브실 자체의 단면적을 크게 하도록 고려되지만, 각종 실험결과, 임의로 유로를 확대하여도, 오목부분이나 유로단면을 급격하게 변화시켜서 흐름을 흐트리는 부분을 형성하는 등, 유량의 증대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적고, 역효과로 되는 경우도 있고, 결과적으로 부분적으로 급격한 조임이 형성되는 것, 구체적으로는, 밸브체의 배후에서 상기 밸브체의 일부가 유로 중에 돌출함으로써 급격한 조임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나, 밸브시트를 설치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급격한 조임부분 등에 있어서, 그 조임을 가급적 급격하지 않은 것으로 함으로써, 유량계수를 충분히 높일 수있는 것이 확실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기술적 과제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3포트의 유체절환밸브에 있어서, 구성을 콤팩트한 것으로 하면서 큰 유량계수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점에 기초하여, 밸브체의 배후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일부의 돌출에 의한 급격한 조임이나, 밸브시트에 있어서의 조임을 가급적 급격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유체절환밸브의 유량계수를 높이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유량계수를 높인 유체절환밸브를, 제조 및 조립이 간단한 구성을 보유하는 것으로서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체절환밸브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다른 절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A-A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B-B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C-C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브본체 2 … 본체보디
3 … 엔드블럭 5 … 밸브체
6 … 로드 7 … 구동수단
11 … 유로 12 … 밸브실
12a … 내벽면 13 … 밸브시트
15, 16 … 유로 17, 18 … 밸브시트구멍
31 … 밸브시트 32 … 유로
41 … 입구포트 42, 43 … 포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량절환밸브는, 입구포트로부터 밸브본체 내의 밸브실로 유입된 유체를 양측의 2개의 포트로 절환하여 유출시키는 3포트의 유체절환밸브로서, 상기 밸브실의 양측의 대향벽에 각 포트로 통하는 밸브시트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 밸브시트에 선택적으로 착좌하여, 입구포트를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통시킴과 아울러 다른 포트를 폐쇄하는 포핏 타입의 밸브체를 밸브실 내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에 오목설치되고, 밸브체의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밸브체의 두께의 적어도 2분의 1이 매립되는 깊이의 밸브시트구멍의 내부 바닥부에 상기 밸브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유체절환밸브에 있어서는, 밸브실벽의 입구포트에 대면하는 부분에 있어서, 밸브실 내벽면과 2개의 밸브시트구멍의 둘레벽면을 일련의 부분 원통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밸브시트구멍의 내경(D)과 밸브시트의 내경(d)의 차로서 형성되는 밸브시트용 단차의 폭(s)을,
s≤0.03d+3[mm]
로 하고, 또한, 2개의 밸브시트로부터 각각의 포트로 통하는 유로의 엘보형상의 굴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굴곡부에 있어서의 외주측의 곡률반경(R)을,
R = 0.5d ~ 1d
로 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유체절환밸브는, 밸브본체를, 본체보디에 엔드블럭을 접합함으로써 구성하고, 상기 본체보디는, 적어도 입구포트 및 상기 입구포트로부터 한쪽의 밸브시트를 통해서 한쪽의 포트에 통하는 유로를 구비함과 아울러, 밸브체를 구동하는 로드를,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에 접촉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관통시키고, 또한 상기 로드에 설치된 밸브체를 양 밸브시트에 착좌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구성하고, 상기 엔드블럭은, 다른쪽의 포트로 통하는 밸브시트 및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상기 포트에 이르는 유로를 설치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보유하는 본 발명의 유체절환밸브는, 입구포트로부터 밸브본체 내의 밸브실에 유입된 유체를 양측의 2개의 포트로 절환하여 유출시키는 것이지만, 이들 포트에 이르는 유로에 설치하는 밸브시트를, 밸브체의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밸브체의 두께의 적어도 2분의 1이 밸브실 내벽에 매립되는 깊이의 밸브시트구멍의 내부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밸브시트에 착좌하고 있는 밸브체의 배후부분이, 다른쪽의 밸브시트를 통해서 흐르는 유체의 유로에 크게 돌출하여 상기 유로에 급격한 조임이 형성되는 일은 없고, 밸브체에 의한 조임을 가급적 급격하지 않은 것으로 하여, 유체절환밸브의 유량계수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밸브시트를, 구조의 간단화를 위하여 밸브실 내의 양측의 대향벽의 내표면에 각각 설치하여 두면, 밸브시트에 착좌하고 있는 밸브체 자체의 배후부분이 밸브실 내에 돌출하여, 입구포트로부터 개방하고 있는 밸브시트를 통해서 흐르는 유체의 유로를 급격하게 감소시키게 되지만, 상기 구성에 의해 이와 같은 문제가 해소된다.
상기 유체절환밸브에 있어서는, 밸브실벽의 입구포트에 대면하는 부분에 있어서, 밸브실 내벽면과 2개의 밸브시트구멍의 둘레벽면을 일련의 부분 원통면으로 형성하는 것이지만, 밸브본체에 있어서의 밸브실의 가공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유로단면의 변화를 적게 하기 때문에 유효하고, 또한, 밸브시트용 단차의 폭(s)을 상기 범위 내에서 가급적 작게 하는 것이, 밸브시트에 있어서 유로가 조여지는 것에 의한 유량계수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유효하다. 게다가, 2개의 밸브시트로부터 각각의 포트로 통하는 유로의 엘보형상의 굴곡부에 있어서의 외주측의 곡률반경(R)을, 상기 범위 내에 설정함으로써, 유량계수의 저하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유체절환밸브는, 구성을 콤팩트한 것으로 하면서 큰 유량계수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체절환밸브에 있어서의 밸브본체를, 본체보디에 엔드블럭을 접합함으로써 구성하고, 상기 본체보디에 설치한 한쪽의 밸브시트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밸브시트를 상기 엔드블럭에 설치하면, 상기 엔드블럭에 의해 폐쇄하고 있는 본체보디의 구멍을 통해서, 본체블럭 내의 밸브실이나 밸브시트의 가공, 밸브체 등의 조립을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유체절환밸브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유체절환밸브는, 입구포트로부터 밸브본체 내에 유입된 유체(액체)를 2개의 포트로 절환하여 유출시키는 3포트의 유체절환밸브로서, 그 주된 구성요소로서는, 본체보디(2)에 엔드블럭(3)을 접합함으로써 구성한 밸브본체(1)와, 이 밸브본체 (1)에 연결되고, 밸브본체(1)의 각 유로에 통하는 포트를 구비한 서브플레이트 (4)와, 상기 본체보디(2)를 관통하고, 선단에 포핏 타입의 밸브체(5)를 설치한 로드 (6)를 구동하는 구동수단(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본체(1)는, 서브플레이트(4)의 입구포트(41)로부터 유로(11)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는 밸브실(12)의 양측의 대향벽에, 1쌍의 밸브시트(13, 31)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밸브시트(13, 31)의 하류측에는, 상기 서브플레이트(4)에 있어서의 입구포트(41)의 양측에 개방설치한 2개의 포트(42, 43)로 통하는 유로(15, 16)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서브플레이트(4)는, 본체보디(2)의 유로(11)에 대해서 입구포트(41)를, 또한 본체보디(2)의 유로(15, 16)에 대해서 포트(42, 43)를 각각 연통시킨 상태로, 본체보디(2)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서브플레이트(4)에 있어서의 입구포트(41)와 그 양측의 포트(42, 43)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하는 방향이 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보디(2)는, 이것에 삽입설치하는 밸브체(5)의 로드(6)과 동축으로 엔드블럭(3)의 접합구멍(14)을 설치하고, 상기 접합구멍(14)에 엔드블럭(3)을 끼워붙여서 플랜지부(33)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엔드블럭(3)과 접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시트(13, 31) 중 한쪽의 밸브시트(13)는 본체보디(2)에 직접적 또는 분해가능한 모양으로 설치하고, 다른쪽의 밸브시트(31)는, 엔드블럭(3)과 함께 상기 본체보디(2)에 장착하고 있다.
상기 엔드블럭(3)에는, 상기 밸브시트(31)로부터 본체보디(2)의 유로(16)를 통해서 포트(43)로 통하는 유로(3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유로(32)와 유로(16)는, 밸브시트(31) 내의 유로를 포함하여 이들 유로단면적이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밸브시트(31)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드블럭(3)과 별체로 형성하여도, 또한 엔드블럭(3)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지장이 없다.
상기 밸브시트(13, 31)는, 모두 밸브실(12) 내에 오목설치한 밸브시트구멍 (17, 18)의 내부 바닥부를 설치하고, 또한, 그 밸브시트구멍(17, 18)은, 밸브체(5)의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밸브체(5)의 두께의 적어도 2분의 1이 매립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입구포트(41)로부터 본체보디(2) 내의 밸브실(12)에 유입된 유체를 양측의 2개의 포트(42, 43)측으로 절환하여 유출시킴에 있어서, 밸브시트구멍(17, 18)의 내부 바닥부의 밸브시트(13. 31)에 착좌하고 있는 밸브체(5)의 배후부분이, 다른쪽의 밸브시트(31, 13)를 통해서 흐르는 유체의 유로에 크게돌출하는 일이 없고, 그 때문에, 상기 유로에 급격한 조임이 형성되는 일이 없으면, 밸브체(5)에 의한 유로의 조임을 가급적 급격하지 않은 것으로 하고, 유체절환밸브의 유량계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밸브시트(17, 18)의 깊이를 밸브체(5)의 두께의 전부가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 유로에 조임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보다 효과적이지만, 이들 밸브시트구멍(17, 18)을 설치하기 위해서 밸브본체(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생기므로, 밸브체(5)에 의해 유로의 조임이 유량계수에 주는 영향이 크게 되지 않는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 범위는, 각종 실험에 의해, 밸브체(5)의 주위의 두게의 2분의 1 내지 전체가 밸브실 내벽에 매립되는 깊이의 밸브시트구멍(17, 18)이 유효한 것이 확실하다. 밸브시트구멍(17, 18)의 깊이를 밸브체(5)의 두께보다도 크게 하는 것은, 유로단면의 변화가 크게 되는 것에서 바람직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보디(2)에 있어서의 밸브실(12)은, 상기 밸브실벽의 입구포트(41)에 대면하는 부분의 내벽면(12a)을, 2개의 밸브시트구멍(17, 18)의 둘레벽면과 함께, 일련의 부분 원통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체보디(2)에 설치한 엔드블럭 (3)의 접합구멍(14)은, 적어도 상기 부분 원통면보다도 대경의 원통면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밸브실(12)로부터 밸브시트(13, 31)에 이르는 유로단면의 변화를 작게 하는 것뿐 아니라, 본체보디(2)에 있어서의 접합구멍(14)을 통해서, 상기 본체블럭(2) 내의 밸브실(12)의 내벽면(12a)이나 밸브시트(13)의 가공, 밸브체(5)의 조립 등을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보디(2)의 두께에 여유가 있어도, 상기 밸브실(12)의 내벽면(12a)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밸브실(12)의 확대를 도모하는 것은, 밸브시트(13, 31)에 있어서 밸브실(12)로부터의 유로가 크게 조이는 것으로 되므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상기 밸브시트구멍(17, 18)에 있어서는, 그 내경(D)과 밸브시트(13, 31)의 내경(d)의 차로서 형성되는 밸브시트용 단차의 폭(s)(도 3참조)을, 가능한 한 작게 함으로써, 밸브시트구멍(17, 18)로부터 밸브시트(13, 31)를 통해서 흐르는 유체의 유로단면의 변화를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상기 밸브시트용 단차의 폭(s)에는, 적어도 밸브체(5)가 착좌하여 시일하는 것에 필요한 폭이나, 밸브체(5)의 제조, 조립 상에 있어서의 공차를 고려한 여유가 필요하다. 이들을 고려한 경우, 범용되고 있는 유체절환밸브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폭(s)으로서 3mm, 바람직하게는 2mm가 필요하고, 또한, 밸브시트의 내경(d)이 크게 되면 이것에 따라서 상기 단차(s)의 폭을 고려할 필요가 있지만, 경험적으로는, 0.03d[mm]가 필요하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s≤0.03d+3[mm]
로 하면 좋은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범위 내에서 밸브시트용 단차의 폭(s)을 가급적 작게 함으로써, 밸브시트(13, 31)에 있어서 유로가 조여지는 것에 의한 유량계수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2개의 밸브시트(13, 31)로부터 각각의 포트(42, 43)로 통하는 유로는, 엘보형상의 굴곡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상기 굴곡부에 있어서의 외주측의 곡률반경(R)은,
R=0.5d~1d
로 하는 것이, 유량계수의 저하를 억제하는데에 보다 적절하다.
상기 로드(6)의 앞끝에는, 시일부재(51)를 통해서 원판형상을 이루는 포핏 타입의 밸브체(5)를 끼워넣고, 홀더(52)를 통해서 볼트(53)를 나사삽입함으로써, 상기 밸브체(5)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로드(6)는, 본체보디(2) 및 이것에 O링 (22)을 통해서 설치한 지지플레이트(21)를 관통하고, 밸브본체(1)로부터 외부에 도출한 것이므로, 상기 지지플레이트(21)를 덮도록, 본체보디(2)에는 구동수단(7)으로서의 공기압 구동실린더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로드(6)는, 지지플레이트(21)에 설치한 구멍(23)에, 에어시일(61), 액체시일(62), 및 스크레이퍼(63)를 통해서, 기밀, 액밀로 삽입통과하고 있다.
상기 공기압 구동실린더는, 본체보디(2)에 그 지지플레이트(21)를 덮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실린더구멍(72)을 구비한 커버(71)와, 로드(6)의 외단에 고정되고, 실린더구멍(72) 내에 끼워넣어진 피스톤(73)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피스톤(73)은, 실린더구멍(72) 내를 본체보디(2)측의 파일럿실(74)과 그 반대측의 후방실(75)로 구획하는 것이고, 파일럿실(74)은 파일럿 압축공기가 급배되는 도시하지 않은 포트로 연통되고, 후방실(75)은 도시하지 않은 호흡포트를 통해서 대기로 개방되고, 또한, 상기 후방실(75)측에 압압하는 리턴 스프링(76)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피스톤(3)의 주위에는, 실린더구멍(72)의 내면에 슬라이딩접촉하는 웨어링(77) 및 피스톤패킹 (78)을 둘레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구동수단(7)은 이와 같은 공기압 구동실린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성을 보유하는 유체절환밸브는, 구성을 콤팩트한 것으로 하여 두면서 큰 유량계수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입구포트(41)로부터 밸브본체(1) 내의 밸브실에 유입된 유체(물이나 기름 등의 액체)를, 구동수단(7)에 의해 구동되는 밸브체(5)에 의해 양측의 2개의 포트(42, 43)로 절환되어서 유출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들 유로에 설치한 밸브시트(13, 31)를, 밸브체(5)의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밸브체(5)의 두께의 적어도 2분의 1이 밸브실 내벽에 매립되는 깊이의 밸브시트구멍(17, 18)의 내부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시트(31)에 착좌하고 있는 밸브체(5)의 배후부분이, 다른쪽의 밸브시트 (13)를 통해서 흐르는 유체의 유로에 크게 돌출하여 상기 유로에 급격한 조임이 형성되는 일은 없다.
또한, 밸브실벽의 입구포트(41)에 대면하는 부분의 내벽면(12a)을, 2개의 밸브시트구멍(17, 18)의 둘레벽면과 함께, 일련의 부분 원통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밸브본체(1)에 있어서의 밸브실(12)의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로단면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밸브시트용 단차의 폭(s)을 상기 범위 내에서 가급적 작게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점에서도 밸브시트(13, 31)에 있어서 유로가 조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밸브시트(13, 31)로부터 각각의 포트 (42, 43)로 통하는 유로의 엘보형상의 굴곡부의 곡률반경(R)을, 상기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유량계수의 저하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체보디(2)에 엔드블럭(3)을 접합함으로써 밸브본체(1)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보디(2)에 설치한 한쪽의 밸브시트(13)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밸브시트 (31)를 엔드블럭(3)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엔드블럭(3)에 의해 폐쇄하고 있는 본체보디 (2)의 접합구멍(14)을 통하여, 본체블럭(2) 내의 밸브실(12)이나 밸브시트의 가공, 밸브체(5) 등의 조립을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유체절환밸브에 의하면, 3포트의 유체절환밸브에 있어서 구성을 콤팩트한 것으로 하면서, 밸브체의 배후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일부의 돌출에 의한 급격한 조임이나, 밸브시트에 있어서의 조임을 가급적 급격하지 않은 것으로 하여, 큰 유체계수를 보유하는 유체절환밸브를 얻을 수 있고, 그 제조 및 조립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입구포트로부터 밸브본체 내의 밸브실로 유입된 유체를 양측의 2개의 포트로 절환하여 유출시키는 3포트의 유체절환밸브로서, 상기 밸브실의 양측의 대향벽에 각 포트로 통하는 밸브시트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 밸브시트에 선택적으로 착좌하여, 입구포트를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통시킴과 아울러 다른 포트를 폐쇄하는 포핏 타입의 밸브체를 밸브실 내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에 오목설치되고, 밸브체의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밸브체의 두께의 2분의 1이상이 매립되는 깊이의 밸브시트구멍의 내부 바닥부에 상기 밸브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환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밸브실벽의 입구포트에 대면하는 부분에 있어서, 밸브실 내벽면과 2개의 밸브시트구멍의 둘레벽면을 일련의 부분 원통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밸브시트구멍의 내경(D)과 밸브시트의 내경(d)의 차로서 형성되는 밸브시트용 단차의 폭(s)을,
    s≤0.03d+3[mm]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환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본체보디에 엔드블럭을 접합함으로써 밸브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보디는, 적어도 입구포트 및 이 입구포트로부터 한쪽의 밸브시트를 통해서 한쪽의 포트로 통하는 유로를 구비함과 아울러, 밸브체를 구동하는 로드를,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에 접촉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관통시키고, 또한 상기 로드에 설치한 밸브체를 양 밸브시트에 착좌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구성하고,
    상기 엔드블럭은, 다른쪽의 포트로 통하는 밸브시트 및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상기 포트에 이르는 유로를 설치함으로써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환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2개의 밸브시트로부터 각각의 포트로 통하는 유로에 엘보형상의 굴곡부를 형성하고, 이 굴곡부에 있어서의 외주측의 곡률반경(R)을,
    R = 0.5d ~ 1d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환밸브.
KR10-2001-0051649A 2000-08-28 2001-08-27 유체전환밸브 KR100499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57309 2000-08-28
JP2000257309A JP3602421B2 (ja) 2000-08-28 2000-08-28 流体切換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012A true KR20020018012A (ko) 2002-03-07
KR100499244B1 KR100499244B1 (ko) 2005-07-07

Family

ID=1874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649A KR100499244B1 (ko) 2000-08-28 2001-08-27 유체전환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36475B2 (ko)
EP (1) EP1184610B1 (ko)
JP (1) JP3602421B2 (ko)
KR (1) KR100499244B1 (ko)
CN (1) CN1224789C (ko)
DE (1) DE60126450T2 (ko)
TW (1) TW47858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194A (ko) * 2018-12-05 2023-05-23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밸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2421B2 (ja) * 2000-08-28 2004-12-15 Smc株式会社 流体切換弁
US20090032533A1 (en) * 2006-07-06 2009-02-05 Axial Technologies Ltd. Flow switch and container
ATE513153T1 (de) * 2006-09-26 2011-07-15 Fluid Automation Syst Ventildichtglied und ventil
JP4324946B2 (ja) 2007-03-13 2009-09-02 Smc株式会社 パイロット形3ポート弁
EP2187104B1 (en) * 2008-11-18 2011-12-21 Sauer-Danfoss ApS Fluid distribution valve
DE102009050778A1 (de) 2009-10-27 2011-04-28 Robert Bosch Gmbh Sitzventil
CN102128282B (zh) * 2010-01-14 2012-11-28 长沙理工大学 压力控制切换阀
CN104583681A (zh) * 2012-07-30 2015-04-29 艾菲卡克斯能量股份公司 用于家用热水加热器的系统
ES2625419T3 (es) 2012-10-05 2017-07-19 Gai Macchine Imbottigliatrici S.P.A. Dispositivo de llenado para máquinas de llenado isobárico para llenado de nivel de botellas con líquidos alimentarios
KR102270597B1 (ko) * 2014-04-02 2021-06-29 배트 홀딩 아게 진공밸브
US10508745B2 (en) * 2015-09-18 2019-12-17 The Oilgear Company Valve assembly
CN107881710B (zh) * 2016-09-30 2023-11-03 杭州神林电子有限公司 流路切换器和液体洗涤剂投放装置
CN107314125B (zh) * 2017-07-14 2023-12-22 浙江华益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台阶式三通切换阀
JP7006525B2 (ja) * 2018-06-28 2022-01-24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装置及び車両用清掃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2782A (en) * 1919-01-15 1923-01-16 Carl F Braun Three-way by-pass valve
US2911995A (en) * 1956-07-30 1959-11-10 Preising Richard William Valve having alternative closing positions and a reversible, double faced valve element
US2914035A (en) * 1957-04-29 1959-11-24 New Prod Corp Open center valve with limited reaction
US3134395A (en) * 1960-02-18 1964-05-26 Nat Tank Co Manifold valve
US4078579A (en) * 1976-08-26 1978-03-14 Frank E. Goodwin Multiple port fluid control device
US4262698A (en) * 1979-12-26 1981-04-21 Yardney Electric Corporation Valve
AU531158B2 (en) * 1981-08-07 1983-08-11 Mac Valves, Inc. Three-way normally closed pilot valve
US4852612A (en) * 1983-09-23 1989-08-01 Bucko Sr Edward P Fluid flow control device
JPH0615186Y2 (ja) * 1986-12-29 1994-04-20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方向切換弁
JPH04125376A (ja) * 1990-09-11 1992-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切換弁
DE19509765A1 (de) * 1995-03-17 1996-09-19 Pommerening Armaturenwerk Gmbh Verfahren zur Vorlauftemperaturregelung eines Heizkreises
KR20000027414A (ko) * 1998-10-28 2000-05-15 윤종용 뉴메틱 밸브
US6209582B1 (en) * 2000-05-26 2001-04-03 Honeywell Commercial Vehicle Systems Company 2-way collar and O-ring seal assembly
JP3602421B2 (ja) * 2000-08-28 2004-12-15 Smc株式会社 流体切換弁
DE102016107624A1 (de) * 2016-03-22 2017-09-28 Förster Technik GmbH Verfahren zur Informationsanzeige an einem Tier und zum Auffinden eines Tie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194A (ko) * 2018-12-05 2023-05-23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밸브 장치
US11796067B2 (en) 2018-12-05 2023-10-24 Fujikoki Corporation Valv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26450T2 (de) 2007-11-15
JP3602421B2 (ja) 2004-12-15
EP1184610A2 (en) 2002-03-06
CN1224789C (zh) 2005-10-26
US20020023682A1 (en) 2002-02-28
JP2002071033A (ja) 2002-03-08
KR100499244B1 (ko) 2005-07-07
US6536475B2 (en) 2003-03-25
EP1184610B1 (en) 2007-02-07
DE60126450D1 (de) 2007-03-22
EP1184610A3 (en) 2003-05-28
CN1340670A (zh) 2002-03-20
TW478580U (en) 200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8012A (ko) 유체절환밸브
JPH10132105A (ja) パイロット式5ポート切換弁
WO2005008108B1 (en) Extended stroke valve and diaphragm
WO2008008465B1 (en) Valve manifold assembly
CA2570452A1 (en) Flow control valves
JPH10132104A (ja) パイロット式3ポート切換弁
AU2003291156A1 (en) Modular surface mount fluid system
CA2540633A1 (en) Valve assembly
JPH0949578A (ja) 切換弁における管継手の取付け機構
JP4189711B2 (ja) 2ポート弁
US5222715A (en) Valve construction
US4941506A (en) Sanitary mixing valve
WO2016073844A1 (en) Check valve with improved sealing member
TW201833468A (zh) 電磁閥
JP2004360876A (ja) 三方弁
JP2002188604A (ja) 油圧制御バルブ
RU2009106398A (ru) Гидр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е клапаны с интегральными уплотнениями
CN214946624U (zh) 弹性元件
JPH0543339Y2 (ko)
AU766691B2 (en) Pressure limiting valve
JP3153119B2 (ja) 流路接続構造、電磁弁マニホールド
JP2004044634A (ja) パネルバルブ
JPS624982A (ja) クロ−ズドセンタ形5ポ−ト弁
JPH0632853U (ja) パイロット形2ポート弁
TH80597B (th) ชุดวาล์วที่ป้องกันการเกิดคาวิเทชั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