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7292A -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7292A
KR20020017292A KR1020000050506A KR20000050506A KR20020017292A KR 20020017292 A KR20020017292 A KR 20020017292A KR 1020000050506 A KR1020000050506 A KR 1020000050506A KR 20000050506 A KR20000050506 A KR 20000050506A KR 20020017292 A KR20020017292 A KR 20020017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fill
leachate
waste
rainfall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후원
Original Assignee
김창언
주식회사 삼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언, 주식회사 삼윤이엔씨 filed Critical 김창언
Priority to KR102000005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7292A/ko
Publication of KR2002001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94Evaporating with forced circ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량의 폐기물을 단기간에 매립하고자 할 때에 단위기간에 달성하는 폐기물 매립고를 최대로 하여, 매립되는 폐기물의 수분보유능에 의한 흡수량을 강우침투량 이상으로 증가시켜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로서, 침출수 처리장을 별도로 건설, 운영하지 않고도 침출수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발생하는 소량의 침출수는 현장에서 살수증발, 재순환으로 처리하고, 그 이상의 침출수는 외부의 오폐수 처리장으로 수송하여 처리함으로써,침출수의 발생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Description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Method for manage ment seepage water of waste made land using volumetric field capacity}
본 발명은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량의 폐기물을 단기간에 매립하고자 할 때에 단위기간에 달성하는 폐기물의 매립고를 최대로 하여 매립된 폐기물의 수분보유능에 의한 흡수량을 강우침투량 이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쓰레기 매립장에서는 침출수가 발생하여 주변으로 이동하며 수질과 토양을 오염시킴에 따라, 환경보전을 위해 상기 침출수가 주변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적절한 방법으로 차단, 집수하여 처리하여야 하는 바, 통상 집수된 침출수는 다음의 나열한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1) 현장처리 : 매립장에 처리설비를 건설하여 침출수를 수질기준에 맞게 처리한 후 방류하는 방법으로 인근에 다른 처리장이 없거나 침출수 발생량이 아주 많을 때에 주로 사용한다.
2) 관로 이송처리 : 집수된 침출수를 관로를 통해 인근의 처리장으로 보내어 처리하는 방법으로 인근에 오폐수 처리시설이 있을 때에 흔히 사용한다.
3) 수송처리 : 집수된 침출수를 탱크 로리 등의 수송수단으로 인근 처리장으로 운반하여 처리하는 방법인데 침출수 발생량이 적을 때에 사용한다.
한편, 환경보전설비가 없이 운영된 비위생 매립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흔히 매립된 폐기물을 전부 굴착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고, 또한 도시 주변의 대형 공사장에서도 많은 양의 폐기물이 발견되어 굴착 처리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의 폐기물 처리는 크게 소각 처리과 위생 매립처리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소각 처리의 경우, 이미 해당지역의 폐기물 발생량에 맞게 시설규모가 정해져 있으므로 단기간에 대량으로 발생하는 쓰레기를 추가로 처리하기는 어렵고, 상기 위생 매립처리에 있어 위생 매립장의 설치용량이 충분이 커서 수명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대용량을 가진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현실적인 대안으로 위생 매립장을 신설하여 단기간에 대량의 폐기물을 매립해야 하는 바, 위생 매립장의 신설에는 침출수 처리설비의 건설이 필수적이다.
여기서 폐기물 매립고와 침출수 발생량과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매립된 폐기물의 단위부피는 고형물, 물 및 공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이상화하여 표시하면 첨부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과 공기로 채워진 공간의 비율이 고형물의 부피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때, 상기 매립된 폐기물의 수분 부피를 전체 부피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을 체적함수율이라고 하고, 자연 상태에서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체적함수율을 수분보유능(volumetric field capacity)이라고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수분보유능은 폐기물층을 물로 포화시킨 후에 중력에 의하여 자연배수 했을 때의 체적함수율로서, 문헌에 의하면 매립된 폐기물의 수분보유능은 통상 0.3 ~ 0.35이나, 폐기물의 성상과 다짐정도에 따라 이 범위를 벗어나기도 한다.
한편, 폐기물 매립장에 반입되어 매립될 당시 폐기물의 체적함수율을 초기함수율(initial volumetric water content)이라고 하며, 통상 0.15 내지 0.20의 값을 가지나, 장마나 태풍으로 폐기물이 많이 젖은 상태에서는 수분보유능에 가까운 값이 된다.
또한, 통상 초기함수율은 수분보유능보다 낮으므로 강우가 매립층으로 침투하면 먼저 폐기물에 흡수되어 수분보유능에 도달할 때까지는 침출수가 발생하지 않는데, 이때 폐기물이 침출수를 발생시키지 전에 흡수할 수 있는 물의 체적비를 수분 흡수능(volumetric water absorption capacity)이라고 부른다.
상기 수분흡수능은 첨부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분보유능에서 초기함수율을 뺀 값(수분보유능 = 초기함수율 + 수분흡수능)이 된다.
한편, 폐기물 매립지의 침출수 발생량은 매립층을 중심으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물의 양을 산정하는 작업인 매립장의 물수지 분석을 통하여 예측할 수 있다.
가령, 어느 폐기물층에 1m의 물이 유입되었고 그 중 0.5m가 폐기물에 흡수되었다면 나머지 0.5m는 침출수로 유출되는 바. 이 원리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매립층의 물수지는 통상 단위면적에 대한 연간 물의 깊이로 표현한다.
즉, 침출수 발생량이 0.5m라면 단위면적당 침출수 발생량이 일년에 0.5㎥이라는 의미이고, 전체 매립장 면적이 50,000㎡이라면 연간 침출수 발생량은 25,000㎥이 된다.
상기 침출수는 부분적으로 폐기물 자체에 포함된 수분에서 발생하기도 하나 대부분은 강우가 폐기물층 내부로 침투하여 발생하고, 폐기물이 매립될 당시의 초기함수율은 통상 수분보유능에는 미치지 못함에 따라, 매립 후 폐기물층 내부로 침투하는 강우는 상당 부분이 폐기물에 흡수되어 폐기물층의 수분함량이 증가한다.
점차로 수분함량이 증가하여 수분보유능을 초과하면 이 초과분은 침출수가 되어 아래로 흐른다. 이를 연간 평균 물수지로 표시하여 침출수 발생량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강우침투량 = 강우량 - 표면 증발량 - 표면 유출량
침출수 = 강우침투량 - 연간 매립고 (수분보유능 - 초기함수율)
위에서 강우침투량의 단위가 길이(m)이고 연간 매립고의 단위도 길이(m)이므로 침출수의 단위도 길이(m)이나 적용되는 매립장의 면적을 곱하면 침출수의 부피를 얻게 된다.
위에 보인 바와 같이 침출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이 있지만 현실에서 이들 인자들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한계가 있는데 반하여, 연간 매립고는 현실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인자이다.
즉, 연간매립고를 크게 하면 침출수 발생량이 줄어들고 연간 매립고를 충분히 크게 하면 침출수의 발생을 사실상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단기간에 대량의 폐기물을 매립하는 경우에는 연간 매립고를 아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대량의 폐기물을 단기간에 매립하고자 할 때에, 단위기간내에 달성되는 매립고를 최대로 하여, 매립된 폐기물의 수분보유능에 의한 흡수량을 강우 침투량이상으로 증가시켜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대량의 폐기물을 단기간에 매립하는 경우에는 침출수 발생의 중요인자인 수분보유능을 활용하는 동시에 침출수의 현장증발과 침출수의 재순환 과정을 통하여 침출수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에따라, 침출수 처리장을 별도로 건설 운영하지 않고도, 침출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상당한 비용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도 1a는 폐기물을 구성하는 고형물, 수분, 공기의 부피를 이상화시킨 도면.
도 1b는 폐기물내의 수분보유능, 초기함수율, 수분흡수능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매립장과 분리제방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매립장과 분리제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매립장의 분리된 구획 내에서의 매립 진행 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2d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매립장의 전체 매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매립장의 분리된 구획 내에서의 매립 진행 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매립장의 전체 매립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매립장 110 : 분리제방
121 : 매립이 진행중인 구역 122 : 매립이 완료된 구역
123 : 최종복토층 124 : 미매립 구역
131 : 집수관 132 : 집수정
134 : 침출수 재순환 유공관 135 : 재순환 침출수
136 : 침출수 공급관 137 : 양수펌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침출수 차단설비가 구비된 매립장(100)에 최대 매립고를 단기간에 달성할 수 있도록 분리제방(110)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구획을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한쪽의 매립장 구획으로부터 매립을 하여, 강우의 침투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종복토(123)가 깔린 최대 매립고를 단기간에 달성한 구역(122)과, 매립이 진행중인 구역(121)과, 미매립 구역(124)등으로 운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최종복토(123)가 깔린 최대 매립고를 단기간에 달성함에 따라 그 내부의 폐기물은 수분보유능에 도달하지 않게 되어, 침투된 강우가 폐기물로 용이하게 흡수되면서 침출수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최대 매립고를 최대한 단시간인 6개월 내지 일년내에 달성되도록운영하되, 매립시점은 강우를 동반한 장마나 태풍계절을 피하여 운영되도록 한다.
상기 매립이 진행중인 구역(121)에서 발생된 침출수(135)는 바닥에 설치된 침출수 집수수단(131)을 통하여 침출수 집수정(132)으로 집수하고, 집수된 침출수가 증발로 인하여 감소하도록 다시 매립이 진행중인 표면에 살수하는 단계가 더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립이 진행중이거나 사용 종료된 후, 집수되는 소량의 침출수(135)를 매립장(100) 내부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더 진행시켜, 혐기성 분해에 의하여 소모되거나 흡수되도록 하여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한 도 2a와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출수 차단설비를 갖춘 매립장(100)을 건설하고 최대 매립고를 단기간에 달성할 수 있도록 분리제방(110)으로 매립장(100)에 구획을 정한다.
이때, 매립장의 매립면적, 사면경사, 매립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매립고를 정하는 바, 비교적 안전한 매립장 사면은 통상 2(수평) : 1(수직) 정도이다.
상기 매립장의 각 구획에 매립개시는 한쪽 구획으로부터 진행시키되, 그 매립시점은 강우가 많은 장마나 태풍계절을 피하도록 하고, 장마나 태풍 이전에 상당한 매립고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일단 매립장의 한쪽 구획에 매립을 개시하면, 최대 매립고를 단시간에 달성하도록 운영한다.
첨부한 도 2c는 매립장에서 매립이 진행 중인 구역(121), 최대 매립고를 달성한 구역(122), 미매립 구역(124)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매립이 완료된 최대 매립고 구역(122)에는 최종복토층(1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첨부한 도 3a는 전체 매립장의 매립이 진행중인 구역(121), 최대 매립고를 달성한 구역(122), 미매립 구역(124)에 대한 침출수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로 침출수의 발생이 방지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상기 매립장에 분리제방(110)을 설치했기 때문에, 최초 매립이 완료된 구역(122)에는 최종복토층(123)이 설치되어 강우의 침투를 막아주게 된다.
상기 미매립구역(124)으로 흐르는 강우는 우수로서, 외부로 그대로 방류할 수 있고, 상기 매립중인 구역(121)에 침투하는 강우만이 폐기물 층으로 흘러들어 폐기물 층으로 흘러들어 일부는 폐기물에 흡수되고 일부는 침출수가 되어 아래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매립중인 구역(121)에서 발생된 침출수는 첨부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립장 바닥에 설치되는 집수관(131)을 통해 침출수 집수정(132)으로 흘러들어 집수되는데, 이 침출수를 살수차를 이용하여 상기 매립중인 구역(121)의 표면에 뿌리면, 이 살수된 침출수(133)는 증발과 재흡수에 의하여 처리되어, 결국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침출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립장 운영은 세가지 원칙에 의하여야 한다.
첫째, 최대매립고를 달성한 지역, 즉 매립이 완료된 구역(122)에는 가급적 즉시 최종복토(123)를 시공하여 그 부분을 통한 강우의 침투를 막는다.
둘째, 매립이 시작되지 않은 미매립 구역(124)은 매립 중인 구역(121)과 분리하여 우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매립중인 구역(121)은 가급적 면적을 적게 하여 강우침투의 절대량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립중인 구역(121)을 너무 적게 하면 상대적으로 큰 매립사면에 강우가 침투하고 매립이 완료되어 최중복토(123)를 설치하는 면적이 적게되어 시공관리가 어려워지므로 6개월 내지 1년분의 매립량 기준으로 매립구획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능하면 장마나 태풍계절에는 매립을 중단하고, 노출된 매립면을 방수막으로 덮어 두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매립장 전체의 매립이 첨부한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립완료된 구역(122)이 되어 최종복토(123)가 설치된 상태가 된다.
한편, 첨부한 도 3b는 전체 매립장의 매립이 종료된 후에 소량으로 발생하는 침출수를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전체 매립장에 매립이 완료되고 최종복토(123)가 설치된 상태에서 소량으로 발생하는 침출수를 침출수 재순환 에 의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즉, 최종복토층(123)을 설치하기 전에 폐기물 최종표면에 50cm 깊이의 다수의 도랑을 굴착하고, 도랑 내부에 5cm 정도 관경의 침출수 재순환 유공관(134)을 매설한 후, 이 다수의 유공관에 침출수를 공흡하는 침출수 공급관(136)을 집수정(132)에 연결시키고, 집수정(132)안에 설치된 양수펌프(137)로 침출수 공급관(136)에 침출수를 공급한다.
상기 과정으로 충분히 처리되지 않고 계속 침출수가 집수정(132)에 집수되면 탱크로리를 이용하여 외부의 처리장(136)에 보내어 처리할 수도 있다.
만일, 매립장의 운영 중에 침출수의 발생이 매우 적고 표면살수에 의하여 대부분 처리가 가능하고 외부로의 이송처리의 필요성이 적으면 침출수 재순환설비(134,136,137)는 생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기간에 매립고가 달성되어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실시예를 현실적인 숫자를 사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 매립장의 수명은 10년 내외에서 길게는 20년을 초과하므로 전체 매립면적에 비하여 매일 소량의 폐기물만을 반입하여 매립하게 되는 바, 흔히 군 단위에서 건설하는 소규모 매립장, 중규모 도시에서 건설하는 중규모 매립장, 그리고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단기간에 대량매립을 하는 매립장에 대하여 연간 침출수 발생량을 비교해 보면 다음의 표 1(연간매립고에 따른 침출수 발생량의 변화)과 같게 된다.
* 연간 매립고 = 연간 매립량/매립장 면적
* 연간 침투량 = 연평균 강우량 - 연평균 표면증발 - 연평균 표면유출
연평균 강우량 1.3m, 연평균 표면손실을 (표면증발 + 표면유출) 0.6m로 보면연간침투량은 0.7m 정도가 된다.
* 연간 흡수량 = 연간 매립고 x (수분보유능 - 초기함수율) = 0.12 x 연간 매립고(수분보유능 0.32, 초기함수율 0.2 기준)
* 연간 침출수 = 연간 침투량 - 연간 흡수량
상기 표 1은 연간 매립고에 따라 변하는 연간 침출수 발생량을 보여주며, 특히 연간매립고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사실상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필수적으로, 매립장의 운영은 가급적 매립장의 면적을 우수와 침출수가 분리되게 구획을 정하고 매 구획 안에 폐기물을 최단기간에 최대의 매립고를 달성하도록 매립한다.
예를들어, 표 1에 보인 단기간 대량 매립장의 경우, 매립면적이 50,000㎡이고 연간 매립량이 500,000㎥이면 연간 매립고가 10m이므로 연간 침출수 발생량이 -0.5m가 된다. 즉, 0.5m의 추가 강우에도 침출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물론, 해당년도의 강우량이 매우 높아 0.7m의 추가강우가 발생한다면 0.2m의 침출수가 발생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매립장을 2개의 구획으로 이등분하고 그 중 한 구역에만 500,000㎥를 매립하면, 연간매립고가 20m이고 연간 침출수 발생량은 -1.7m이므로 예외적인 이상 강우에도 침출수가 발생할 가능성은 없다.
한편, 이론적으로 침출수의 발생이 없을 정도로 매립고를 정하더라도 현장에서는 어느 정도의 침출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연간 강우량은 해마다 크게 변하므로 평균강우량 기준으로 침출수 발생이 없더라도 실제 강우량이 평균보다 높을 경우가 흔하다.
2) 강우량의 월별 변화도 침출수를 발생하게 한다. 가령, 장마철에 첫단 2m 정도를 매립하는 동안에 0.6m 정도의 강우로 0.5m 정도의 침투가 발생할 경우, 폐기물의 초기함수율이 높아 2m의 매립층에 흡수되는 양이 0.1m 정도 밖에 안되므로 0.4m의 침출수가 발생할 것이다.
3) 매립된 폐기물은 대체로 균일한 물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나 현장에서는 위치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표면의 강우가 균일한 경우에도 폐기물의 수분보유능과 초기함수율에 차이가 있어 전체적인 이론치로는 침출수 발생이 없어야 함에도 부분적으로 침출수가 발생한다. 또한, 이렇게 발생한 침출수는 흐름이 가장 쉬운 경로를 따라 아래로 쉽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평균치에 의하여 이론적으로 침출수가 발생하지 않게 설계된 매립장에도 어느 정도의 침출수는 발생한다고 보고 침출수 차단설비를 갖추어야 하지만,침출수의 처리설비는 갖추지 않아도 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매립장의 운영 중에는 침출수를 집수하여 강우가 없는 날에 매립되는 폐기물 표면에 살수하면, 표면증발과 수분보유능에 의한 흡수효과로 많은 양의 침출수를 제거할 수 있다.
2) 매립장의 사용을 종료하고 최종복토를 설치한 후에는 (현재의 규정에 의하면 최종복토에는 차수막을 설치해야 하므로 최종복토 설치후에는 강우의 유입이 차단된다) 발생되는 침출수를 매립장 내부로 재순환 하면 혐기성 분해과정에서 수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침출수의 수질도 개선된다.
상기 두 가지 방법에 의하여도 충분히 제거되지 않는 소량의 침출수는 탱크로리로 인근 처리장으로 수송하여 처리한다.
그 결과로서, 외부처리장에서 처리되는 침출수의 양은 거의 없거나 매우 소량이 되므로 그 비용 또한 매우 적게 된다.
따라서, 현장에 침출수 처리장을 건설하여 단기간만 활용하고 사용종료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본 발명은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기간에 매립고를 매우 크게하여 폐기물을 매립하면, 매립장 운영 중에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어 침출수 처리장을 건설 운영하지 않고도 매립장을 운영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침출수 차단설비가 구비된 매립장에 최대 매립고를 단기간에 달성할 수 있도록 분리제방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구획을 정하는 단계와;
    상기 한쪽의 매립장 구획으로부터 매립을 하여, 강우의 침투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종복토가 깔린 최대 매립고를 단기간에 달성한 구역과, 매립이 진행중인 구역과, 미매립 구역등으로 운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최종복토가 깔린 최대 매립고를 단기간에 달성함에 따라 그 내부의 폐기물은 수분보유능에 도달하지 않게 되어, 침투된 강우가 폐기물로 용이하게 흡수되면서 침출수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매립고를 최대한 단시간인 6개월 내지 일년내에 달성되도록 운영하되, 매립시점은 강우를 동반한 장마나 태풍계절을 피하여 운영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이 진행중인 구역에서 발생된 침출수는 바닥에 설치된 침출수 집수수단을 통하여 침출수 집수정으로 집수하고, 집수된 침출수가 증발로 인하여 감소하도록 다시 매립이 진행중인 표면에 살수하는 단계가 더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이 진행중이거나 사용 종료된 후, 집수되는 소량의 침출수를 매립장 내부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더 진행시켜, 혐기성 분해에 의하여 소모되거나 다시 흡수되도록 하여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
KR1020000050506A 2000-08-29 2000-08-29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 KR20020017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506A KR20020017292A (ko) 2000-08-29 2000-08-29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506A KR20020017292A (ko) 2000-08-29 2000-08-29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292A true KR20020017292A (ko) 2002-03-07

Family

ID=1968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506A KR20020017292A (ko) 2000-08-29 2000-08-29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72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33B1 (ko) * 2006-05-10 2007-11-05 주식회사 리텍 솔루션 자연 유하식 침출수 재주입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152A (ja) * 1992-07-30 1994-04-19 Shimizu Corp 簡易クローズドタイプ管理型廃棄物処分場およびその造成方法
JPH1076236A (ja) * 1996-09-03 1998-03-24 Fujita Corp 埋立処分場
JPH1157645A (ja) * 1997-08-19 1999-03-02 Nippon Kankyo Calcium Kenkyusho:Kk 廃棄物処分場の埋立工法
KR19990034657A (ko) * 1997-10-30 1999-05-15 최수현 침출수 재순환과 가스취출을 겸한 쓰레기 매립조성방법
JPH11128867A (ja) * 1997-10-28 1999-05-18 Ube Ind Ltd 廃棄物処分場
JPH11216440A (ja) * 1998-02-03 1999-08-10 Fukuoka City 廃棄物の埋立処分工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152A (ja) * 1992-07-30 1994-04-19 Shimizu Corp 簡易クローズドタイプ管理型廃棄物処分場およびその造成方法
JPH1076236A (ja) * 1996-09-03 1998-03-24 Fujita Corp 埋立処分場
JPH1157645A (ja) * 1997-08-19 1999-03-02 Nippon Kankyo Calcium Kenkyusho:Kk 廃棄物処分場の埋立工法
JPH11128867A (ja) * 1997-10-28 1999-05-18 Ube Ind Ltd 廃棄物処分場
KR19990034657A (ko) * 1997-10-30 1999-05-15 최수현 침출수 재순환과 가스취출을 겸한 쓰레기 매립조성방법
JPH11216440A (ja) * 1998-02-03 1999-08-10 Fukuoka City 廃棄物の埋立処分工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33B1 (ko) * 2006-05-10 2007-11-05 주식회사 리텍 솔루션 자연 유하식 침출수 재주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inhart Full-scale experiences with leachate recirculating landfills: case studies
US3705851A (en) Waste disposal system
US5201609A (en) Cellular landfill process and apparatus
CN1785536B (zh) 生活垃圾填埋场的原位环境修复方法
RU2567927C2 (ru) Подзем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водой для горных выработок
CN1220623A (zh) 用潜埋式逆流池盛装沥滤液的系统和方法
JPH11226535A (ja) 埋立処分又は投棄廃棄物からの汚染拡散防止方法
KR20020017292A (ko) 수분보유능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 방법
JPH0379074B2 (ko)
JP4357623B2 (ja) 廃棄物処分場
JP3047228B2 (ja) 廃棄物処分場の浸出水貯留工法
JP2002239492A (ja) 廃棄物の埋立方法
Ziyin et al. Research on the Design of Comprehensive Storm Flood Prevention and Treatment Project of Sponge Airport
KR20010090110A (ko) 쓰레기 매립지의 침출수 관리 시스템
KR20050036221A (ko) 빗물의 저류 및 저감용 맨홀설비장치
CN103172179B (zh) 兼有水质净化和盾构弃土消纳处置功能的人工湿地装置
Wesely et al. Durango disposal cell–UMTRA Case History
CN110593389A (zh) 雨水回收再利用系统
Akter Groundwater Recharge
KR200342683Y1 (ko) 빗물의 저류 및 저감용 맨홀설비장치
CN104341078A (zh) 一种垃圾填埋场渗滤液的处理方法
JP2705373B2 (ja) 廃棄物処分場
JP2001087731A (ja) 廃棄物の埋立処理方法
RU2697095C1 (ru)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й свалки с преобразованием ее в полигон ТБО
KR0155146B1 (ko) 해면매립지용 차수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