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908A -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908A
KR20020016908A KR1020027000841A KR20027000841A KR20020016908A KR 20020016908 A KR20020016908 A KR 20020016908A KR 1020027000841 A KR1020027000841 A KR 1020027000841A KR 20027000841 A KR20027000841 A KR 20027000841A KR 20020016908 A KR20020016908 A KR 20020016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capacity
reception qualit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807B1 (ko
Inventor
우에스기미츠루
히라마츠가츠히코
미야가즈유키
가토오사무
아이자와준이치
우에도요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3Stop-and-wai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9Selective-repea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수신측 장치(150)에 있어서, 수신 품질 측정부(157)에서 수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오류 검출부(156)에서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여,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에서 오류의 검출 시에 재 전송 요구 신호와 수신 품질 신호를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여 송신한다. 송신측 장치(100)에 있어서, 재 전송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스케쥴링부(110)에서 수신 품질 신호로부터 수신측 장치(150)에서 데이터를 복조하는 데 필요한 용량을 검출하여, 이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송수신 사이의 데이터 재 전송 회수를 적게 하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DATA TRANSFER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종래, 이러한 종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는, 특허제 1647396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송신측 장치(10) 및 수신측 장치(6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신측 장치(10)는, 버퍼(11)와, 송신 프레임 작성부(12)와, 변조부(13)와, 송신 무선부(14)와, 안테나(15)와, 안테나 공용부(16)와, 수신 무선부(17)와, 복조부(18)와, 분리부(1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신측 장치(60)는, 안테나(61)와, 안테나 공용부(62)와, 수신 무선부(63)와, 복조부(64)와, 데이터 유지부(65)와, 오류 검출부(66)와, 송신 프레임 작성부(67)와, 변조부(68)와, 송신 무선부(6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우선 송신측 장치(10)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가 버퍼(11)에 축적되고, 이 축적된 송신 데이터가 송신 프레임 작성부(12)에서 프레임화되어, 이 송신 프레임 신호가 변조부(13)로 출력된다.
송신 프레임 신호는, 변조부(13)에서 변조된 후 송신 무선부(14)에서 업 컨버트 등의 소정 무선 처리가 행해져, 안테나 공용부(16)를 거친 후 안테나(15)로부터 무선 송신된다.
다음에 수신측 장치(60)에 있어서, 안테나(61)에서 수신된 신호가 안테나 공용부(62)를 거쳐서 수신 무선부(63)에 출력되어, 여기서 다운 컨버트 등의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되고, 이것에 의해 얻어진 수신 신호가 복조부(64)로 출력된다.
복조부(64)에서는 수신 신호가 복조되고, 이 복조된 수신 데이터가 데이터 유지부(65)에 유지되어, 오류 검출부(66)로 출력된다. 오류 검출부(66)에서는, 그 수신 데이터의 오류 검출이 행해진다. 이 결과, 오류가 있는 경우, 오류 검출부(66)로부터 송신 프레임 작성부(67)로 재 전송을 요구하는 신호(이하, "NACK 신호"라 칭함)가 출력된다.
송신 프레임 작성부(67)에서는, NACK 신호를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프레임화가 행하여져, 이 송신 프레임 신호가 변조부(68)로 출력된다. 변조부(68)에서, 그 송신 프레임 신호가 변조되어, 송신 무선부(69)에서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된 후, 안테나 공용부(62)를 거쳐서 안테나(61)로부터 무선 송신된다.
이 송신 신호는, 송신측 장치(10)의 안테나(15)에서 수신되어, 안테나 공용부(16)를 거쳐서 수신 무선부(17)로 출력되고, 여기서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된 후 복조부(18)에서 복조되어, 분리부(19)에서 수신 데이터와 NACK 신호로 분리된다. 수신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후단의 수신 처리 회로로 출력되고, NACK 신호는 버퍼(11)로 출력되어, 이것에 의해, 버퍼(11)로부터 이전에 송신된 데이터가 재 전송된다.
이 재 전송 데이터는, 수신측 장치(60)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되어, 데이터 유지부(65)에서 전회의 수신 데이터와 합성되어 유지된다. 이 유지된 합성 데이터는 오류 검출부(66)에서 오류 검출된다.
이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오류가 검출되면, NACK 신호가 송신 프레임 작성부(67)로 출력된다. 한편, 오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송신측 장치(10)에 대하여 다음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송신 요구 신호(이하, "ACK 신호"라 칭함)가 송신 프레임 작성부(67)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ACK 신호가 얻어질 때까지 상기 일련의 동작이 반복된다. ACK 신호가 얻어진 경우, 데이터 유지부(65)의 데이터가 수신 데이터로 되어, 도시하지 않은 후단의 수신 처리 회로로 출력된다. 이 출력 후, 그 수신 데이터는 데이터 유지부(65)로부터 소거된다.
ACK 신호가 입력된 송신 프레임 작성부(67)에서는, ACK 신호를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프레임화가 행하여진다. 이 송신 프레임 신호가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10)로 송신된다.
송신측 장치(10)에 있어서 수신된 ACK 신호는 버퍼(11)로 출력되고, 버퍼(11)에서는, 그 ACK 신호가 얻어진 데이터가 소거된다. 그리고, 다음 데이터의 송신이 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수신측 장치에서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송신측 장치에 재 전송을 요구하여, 이것에 따라 동일한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수신측 장치에서 데이터의 오류가 없어지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수신측에서의 재 전송 요구에 따라 송신측에서 재 전송하는 동작을, 수신측에서 데이터의 오류가 없어질 때까지 단지 되풀이하는 것 뿐이므로, 재 전송 데이터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재 전송 회수가 많아져, 전송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이들의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수신 품질의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신 사이의 데이터 재 전송 회수를 줄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수신 데이터는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합성 결과가 소정 품질을 달성하면 수신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는 점에 착안하여, 복조에 필요한 용량을 검출하여, 재 전송시에 스케쥴링(scheduling)을 행하여 복조에 필요한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송신측 장치(100) 및 수신측 장치(15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신측 장치(100)는, 버퍼(101)와, 송신 프레임 작성부(102)와, 변조부(103)와, 송신 무선부(104)와, 안테나(105)와, 안테나 공용부(106)와, 수신 무선부(107)와, 복조부(108)와, 분리부(109)와, 스케쥴링부(1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신측 장치(150)는, 안테나(151)와, 안테나 공용부(152)와, 수신무선부(153)와, 복조부(154)와, 데이터 유지부(155)와, 오류 검출부(156)와, 수신 품질 측정부(157)와,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와, 변조부(159)와, 송신 무선부(16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송신측 장치(100)와 수신측 장치(15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송신측 장치(100)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가 버퍼(101)에 축적되고, 이 축적된 송신 데이터가 송신 프레임 작성부(102)에서 프레임화되어, 이 송신 프레임 신호가 변조부(103)로 출력된다.
송신 프레임 신호는, 변조부(103)에서 변조 처리된 후 송신 무선부(104)에서 업 컨버트 등의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되고, 안테나 공용부(106)를 거친 후 안테나(105)로부터 무선 송신된다.
다음에 수신측 장치(150)에 있어서, 안테나(151)에서 수신된 신호가 안테나 공용부(152)를 거쳐서 수신 무선부(153)로 출력된다. 수신 무선부(153)에서는, 무선 주파수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다운 컨버트 등의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되고, 베이스 밴드의 수신 신호가 수신 품질 측정부(157) 및 복조부(154)로 출력된다.
수신 품질 측정부(157)에서는, SIR(수신 신호대 간섭 전력비) 또는 수신 전계 강도 등의 측정에 의해서 수신 신호의 품질이 구해지고, 이 수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신호(이하, "수신 품질 신호"라 칭함)가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로 출력된다.
복조부(154)에서는 수신 신호가 복조되고, 이 복조된 수신 데이터가 데이터유지부(155)에 유지되어, 오류 검출부(156)로 출력된다. 오류 검출부(156)에서는 그 수신 데이터의 오류 검출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오류가 검출된 경우, 오류 검출부(156)로부터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로 NACK 신호가 출력된다.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에서는, 수신 품질 신호 및 NACK 신호를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프레임화가 행하여져, 프레임화된 신호인 송신 프레임 신호가 변조부(159)로 출력된다.
송신 프레임 신호는, 변조부(159)에서 변조되어, 송신 무선부(160)에서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된 후, 안테나 공용부(152)를 거쳐서 안테나(151)로부터 무선 송신된다.
이 송신 신호는, 송신측 장치(100)의 안테나(105)에서 수신되고, 안테나 공용부(106)를 거쳐서 수신 무선부(107)로 출력되어, 여기서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된 후 복조부(108)에서 복조되어, 분리부(109)로 출력된다.
분리부(109)에서는, 복조 데이터가, 수신 데이터, NACK 신호 및 수신품질 신호의 3개로 분리되고, 수신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후단의 수신 처리 회로로 출력되며, NACK 신호 및 수신 품질 신호는 스케쥴링부(110)로 출력된다.
스케쥴링부(110)에서는, NACK 신호로부터 재 전송 요구가 인식되고, 재 전송 시점의 트래픽 상황에 따라서, 무선 자원이 할당되며, 이 무선 자원 및 수신 품질 신호에 따라 스케쥴링이 결정되어, 이 스케쥴링으로 재 전송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스케쥴링부(110)는, 재 전송 시점에서의 트래픽 용량으로부터 송신 가능한 데이터의 최대 전송 용량을 구하여,이 최대 전송 용량보다도 복조에 필요한용량이 큰 경우, 데이터를 최대 전송 용량으로 재송하도록 스케쥴링을 실행한다.
예컨대, 첫 번째의 송신으로 복조에 필요한 용량의 30%가 수신되어, 수신 품질 신호가 복조하기 위해서 다시 70%의 용량이 필요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였다고 한다. 이 경우, 스케쥴링부(110)는 트래픽에 여유가 있으면 70%의 용량으로 데이터를 한번에 송신하도록 스케쥴링한다.
그러나, 트래픽에 여유가 없고, 예컨대 30%의 용량으로만 데이터를 송신할 수 밖에 없는 경우, 스케쥴링부(110)는 30%의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한다. 이 경우, 그 시점에서는 아직 필요한 용량의 60%밖에 수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또 40%를 재 전송하도록 NACK 신호가 복귀된다. 그리고, 이 때 아직 30%의 용량으로만 데이터가 송신할 수 밖에 없으면 두 번째 30%의 용량으로 재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수신측에서는 필요한 용량의 90%가 수신되기 때문에, 다음 번의 NACK 신호에서는 10% 용량의 재 전송이 요구된다. 그래서, 이번에는 10%로 재 전송한다. 이와 같이 최대값 용량을 넘는 요구에 대하여는 그 시점에서의 최대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하도록 스케쥴링한다. 이 경우, 데이터의 재 전송 회수는 3이 된다.
또한, 스케쥴링은, 이러한 재 전송 회수에 따라서만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재 전송 회수 이외의 송신 방법도 고려하여 결정하더라도 좋다. 다른 송신 방법이란, 예컨대 확산율, 전송 레이트, 변조 방식, 부호화율, 빔 폭 및 어레이의 지향성중 어느 것 및 그 조합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이다. 즉, 현 시점에서의 트래픽에 따라 재 전송 회수가 결정되는 동시에 다른 송신 방법이 변경되어, 이 변경 후의 송신 방법에 따라 스케쥴링이 결정된다.
확산율의 변경은 송신 프레임 작성부(102) 및 변조부(103)에 대하여, 전송 레이트의 변경은 송신 프레임 작성부(102)에 대하여, 변조 방식의 변경은 송신 프레임 작성부(102) 및 변조부(103)에 대하여, 부호화율의 변경은 송신 프레임 작성부(102)에 대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빔 폭 및 어레이의 지향성의 변경은 안테나(105)가 어레이 구성인 경우에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결정된 스케쥴링에 근거하여, 버퍼(101)에 있어서의 이전에 송신된 데이터가 복조에 필요한 용량으로 재 전송된다.
이 재 전송 데이터는, 수신측 장치(150)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되어, 데이터 유지부(155)에서 이전의 수신 데이터와 합성되어 유지된다. 이 유지된 합성 데이터는 오류 검출부(156)에서 오류 검출된다.
이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오류가 검출되면, NACK 신호가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로 출력된다. 한편, 오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송신측 장치(100)에 다음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ACK 신호가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ACK 신호가 얻어질 때까지 상기 일련의 동작이 반복된다. ACK 신호가 얻어진 경우, 데이터 유지부(155)의 데이터가 수신 데이터로 되어, 도시하지 않은 후단의 수신 처리 회로로 출력된다. 이 출력 후, 그 수신 데이터는 데이터 유지부(155)로부터 소거된다.
ACK 신호가 입력된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에서는, ACK 신호를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프레임화가 행하여진다. 이 송신 프레임 신호가,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측 장치(100)로 송신된다.
그리고, 송신측 장치(100)에 있어서 수신된 ACK 신호가 스케쥴링부(110)로 전송된다. ACK 신호가 입력된 스케쥴링부(110)는 그 ACK 신호가 얻어진 데이터를 버퍼(101)로부터 소거하는 제어를 하고, 다음 데이터의 송신 제어를 개시한다. 동시에, 그 개시 시점에서의 트래픽 상황으로부터 송신에 이용하는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무선 자원에 따라 스케쥴링이 결정되어, 이 스케쥴링으로 다음 데이터의 송신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수신측 장치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여, 오류 검출시에 재 전송 요구 신호와 수신 품질 신호를 송신하여, 송신측 장치에 있어서, 재 전송 요구 신호의 수신시에 수신 품질 신호로부터 수신측 장치에서의 복조에 필요한 용량을 인식하여, 이 복조에 필요한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송수신 사이의 데이터 재 전송 회수를 적게할 수 있어,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종래와 같이 수신측에서 데이터의 오류가 없어질 때까지 단지 재 전송을 되풀이하여, 재 전송 회수가 많아지는 데 따른 전송 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재 전송할 때에, 그 시점에서의 트래픽 용량으로부터 송신 가능한 최대 전송 용량을 구하여, 이 최대 전송 용량보다도 복조에 필요한 용량이 큰 경우에, 최대 전송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재 전송 시점에서의 송신 가능한 최대 전송 용량보다도 복조에 필요한 용량이 큰 경우라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 전송할 수 있어, 전송 효율을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신측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재 전송할 때에, 스케쥴링부(110)가, 그 시점에서의 트래픽의 상황에 따라서, 각종 무선 통신 기능인 무선 자원을, 데이터가 극히 큰 용량으로 재 전송되도록 할당하여 재 전송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무선 자원 내에서 재 전송 회수를 포함한 송신 방법을 알맞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송수신 사이의 데이터 재 전송 회수를 줄일 수 있어,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송신측 장치(100)에 있어서, 스케쥴링부(110)가, 첫 번째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트래픽의 상황으로부터 송신에 이용하는 무선 자원을 미리 할당하고 있어, 이 무선 자원에 따라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스케쥴링부(110)는, 수신측 장치(150)가 NACK 신호 및 수신 품질 신호를 반송하여 왔을 때에, 상기 미리 할 당된 무선 자원에 따라 스케쥴링을 결정하여, 이 스케쥴링을 재 전송 종료시까지 적용한다.
또한, 트래픽 상황으로부터 송신에 이용하는 무선 자원의 할당을, 어느 정도의 데이터의 덩어리마다, 즉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몇회마다 1번 정도라도 좋다. 또한, 이전 패킷 데이터 송신을 할 때의 최초의 데이터 송신시에만 무선 자원을 할당하도록 해도 좋다.
이들에 의해, 재 전송시에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처리를 가볍게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채널을 길게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고 자유롭게 스케쥴링할 수 있다.
또한, 수신 품질의 측정을, 오류가 검출된 첫 회에만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스케쥴링부(110)에 최초에 전송되어온 수신 품질 신호를 기억해 두고, 이후, 그 기억된 수신 품질 신호를 재 전송 종료시까지 그대로 이용하도록 한다. 또한, 수신 품질의 측정을, 소정의 회수에 한 번의 비율로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스케쥴링부(110)에 전송되어 온 수신 품질 신호를 기억해 두고, 이후, 그 기억된 수신 품질 신호를 순차적으로 갱신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수신측 장치에서의 수신 품질의 측정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수신측 장치의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은, 수신측 장치가 통신 단말 장치인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데이터 송신시의 스케쥴링을 결정할 때, 이전 데이터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을 참고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송신측 장치(100)에 있어서, 스케쥴링부(110)로 이전 데이터에서의 수신 품질 신호를 기억해 둔다. ACK 신호가 송신되어 전회의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되었을 때, 다음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다. 이 때, 스케쥴링부(110)는, 기억한 수신 품질 신호 및 트래픽 상황으로부터 송신에 이용하는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예컨대, 수신 품질이이 양호하게 재 전송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한번에 복조를 할 수 있는 정도로 무선 자원을 줄여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최초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수신측 장치(150)가 복조에 필요한 용량의 120%로 수신했다고 하면, 다음 데이터의 송신에서는 복조에 필요한 용량의 100%로 수신되도록, 이전의 10/12의 용량으로 송신한다.
한편, 수신 품질이 나쁜 경우에는, 한번에 복조할 수 있는 정도로 무선 자원을 확장하여 송신한다. 예컨대, 최초의 데이터의 송신에서 복조에 필요한 용량의 30%로 수신하고, 재 전송으로써 남아 70%의 용량으로 송신하여 복조할 수 있었다 고 하면, 다음 데이터의 송신에서는 복조에 필요한 용량의 100%로 수신되도록, 전회의 10/3의 용량으로 송신한다. 단지, 이것은, 무선 자원 내에서 100%의 송신이 허용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된다. 예컨대, 무선 자원 내에서의 송신이 복조에 필요한 용량의 80%까지 밖에 허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데이터는 80%로 송신하고, 또한 그 다음에 20%로 재 전송하도록 결정한다.
이와 같이, 최초의 데이터 송신시에, 이전의 수신 품질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최초의 송신시에 있어서도 재 전송 회수를 포함한 알맞은 송신 방법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가, 수신 품질 신호 및 NACK 신호/ACK 신호를 각각 단독으로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여 프레임화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가, NACK 신호에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갖게 하도록 가공하여, 가공 후의 NACK 신호/ACK 신호를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여 프레임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NACK 신호를 수신 품질에 의해서 "N1", "N2", "N3"의 3종류로 표현하고, ACK 신호 "AC"와 더불어 4 상태(2 비트)로 표현한다. 그리고, 3종류의 NACK 신호를, 수신 품질이 좋고 다시 적은 용량의 신호(예컨대, 0∼25%)를 수신하면 복조할 수 있는 경우에는 "N1"이라고 하고, 수신 품질이 좋지 않고 복조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용량의 신호(예컨대, 25∼50%)가 필요한 경우에는 "N2"라고 하며, 수신 품질이 나쁘고 복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용량의 신호(예컨대, 50% 이상)가 필요한 경우에는 "N3"라고 하여 구별한다. 도 3은, 이 경우의 수신 품질의 송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송신 패킷 A∼E와, 해당 패킷 송신시의 수신 품질과, 수신 결과에 근거하는 4 상태로 표현된 NACK 신호/ACK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직사각형으로 나타내는 송신 패킷의 폭이 용량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는, 패킷 B, E에서 오류가 검출되고, 다른 패킷은 정확하게 수신된 경우를 나타내어, 패킷 B의 송신시의 전파 환경이 좋고, 패킷 E의 송신시의 전파 환경은 열악했다고 한다.
도 3의 경우, 수신측 장치는, 송신측 장치에 패킷 B의 재 전송을 요구하기 위해서 "N1"을 송신한다. 송신측 장치는, 복조하기 위해서 다시 25%의 용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패킷 B를 재 전송한다(BR1).
또한, 수신측 장치는, 송신측 장치에 패킷 E의 재 전송을 요구하기 위해서 "N3"를 송신한다. 송신측 장치는, 복조하기 위해서 다시 75%의 용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패킷 E를 재 전송한다(ER1).
여기서, 수신측 장치는, 패킷 ER1을 수신했지만 다시 적은 용량이 부족하여 복조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이 때, 수신측 장치는, 패킷 E의 재 전송을 또 한번 요구하기 위해서 "N1"을 송신한다. 송신측 장치는, 복조하기 위해서 다시 25%의 용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패킷 E를 재 전송한다(ER2).
이와 같이,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갖게 한 NACK 신호 혹은 ACK 신호를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여 프레임화하면, 단지 수신 품질 신호 및 NACK 신호/ACK 신호를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송신 데이터 이외의 신호의 전송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NACK 신호의 종류를 2의 멱승-1로 하면 ACK 신호와 합쳐서 신호의 종류가 2의 멱승개로 되기 때문에, 2진수의 디지털 전송을 하는 데 좋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만, 이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 2와 공공통된 구성 부분에는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 4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도 2와 비교하여 수신측 장치(250)에 분리부(251) 및 스케쥴링부(252)를 추가한 점이 다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우선 송신측 장치(100)에서는, 스케쥴링부(110)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기 전에 트래픽 상황으로부터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자원이 할당되고, 이 무선 자원의 정보를 나타내는 무선 자원 신호가 송신 프레임 작성부(102)로 출력된다.
송신 프레임 작성부(102)에서 무선 자원 신호를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는프레임화가 행하여져, 이 송신 프레임 신호가 송신된다.
이 송신 프레임 신호는 수신측 장치(250)에서 수신되어, 복조부(154)에서 복조된 후, 분리부(251)에서 데이터와 무선 자원 신호로 분리된다. 이 분리된 데이터는 데이터 유지부(155)에서 유지되어 오류 검출부(156)로 출력되고, 무선 자원 신호는 스케쥴링부(252)로 출력된다.
스케쥴링부(252)에서는, 오류 검출 시의 NACK 신호가 입력되면, 수신 품질 신호 및 무선 자원 신호로부터 할당된 무선 자원 내에서의 스케쥴링이 결정되어, 이 스케쥴링 결과를 나타내는 스케쥴링 신호와 NACK 신호가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로 출력된다.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에서, 스케쥴링 신호 및 NACK 신호를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프레임화가 행하여져, 이 송신 프레임 신호가 송신된다.
이 송신 프레임 신호는 송신측 장치(100)에서 수신되어, 분리부(109)에서 데이터, NACK 신호 및 스케쥴링 신호의 3개로 분리된다.
NACK 신호 및 스케쥴링 신호는 스케쥴링부(110)로 출력되고, 여기서, 스케쥴링 신호로 나타내여지는 스케쥴링에 따른 재 전송 제어가 행하여진다.
이 제어에 따라 재 전송된 데이터는, 수신측 장치(250)의 데이터 유지부(155)에서 이전의 데이터와 합성되어 유지되고, 이 합성된 데이터는 오류 검출부(156)에서 오류 검출된다. 이후, ACK 신호가 얻어질 때까지 상기 일련의 동작이 반복된다.
ACK 신호가 얻어진 경우, 데이터 유지부(155)의 데이터가 수신 데이터로 되어, 도시하지 않은 후단의 수신 처리 회로로 출력된다. 이 출력 후, 그 수신 데이터는 데이터 유지부(155)로부터 소거된다.
ACK 신호는 송신 프레임 작성부(158)로 입력되어, 여기서, ACK 신호를 송신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프레임화가 행하여져, 송신측 장치(100)로 송신된다.
그리고, 송신측 장치(100)에 있어서, 수신된 ACK 신호는 스케쥴링부(110)로 송신되고, 여기서, ACK 신호가 얻어진 데이터를 버퍼(101)로부터 소거하는 제어가 행하여져, 다음 데이터의 송신 제어가 시작된다.
동시에, 스케쥴링부(110)에 있어서, 그 개시 시점에서의 트래픽 상황으로부터 송신에 이용하는 무선 자원이 할당되고, 이 무선 자원의 정보를 나타내는 무선 자원 신호가 송신 프레임 작성부(102)에서 다음 송신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프레임화되고,이 송신 프레임 신호가 송신된다.
이와 같이, 송신측 장치(100)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전에 트래픽의 상황에 근거하여 송신에 이용하는 무선 자원을 미리 할당하고, 이 할당된 무선 자원의 정보를 송신한다. 수신측 장치(250)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의 오류 검출시에 그 수신 품질로부터 복조에 필요한 용량을 구하여, 상기의 정보로 나타내여지는 무선 자원 내에서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결정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송신측 장치(100)가 그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재 전송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수신측에서 요청된 복조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측에서 재 전송하면 좋기 때문에, 송수신 사이의 데이터 재 전송 회수를 적게할 수 있어,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조에 필요한 용량을 검출하여, 재 전송 시에 스케쥴링을 행하여 복조에 필요한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함으로써, 송수신 사이의 데이터 재 전송 회수를 적게할 수 있어,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0년 5월 22일 출원된 특허 2000-150507 및 2001년 3월 19일에 출원된 2001-078466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 내용을 본 명세서에 포함시켜 놓는다.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3)

  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장치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수신측 장치는,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여,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재 전송 요구와 상기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송신측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송신측 장치는,
    재 전송 요구 수신시에 상기 수신 품질로부터 상기 수신측 장치에서 복조에 필요한 용량을 검출하여, 이 검출한 용량 및 트래픽 상황에 근거하여 데이터 재 전송시의 용량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측 장치는,
    데이터 재 전송시의 트래픽에서 송신 가능한 최대 전송 용량을 구하여, 이 최대 전송 용량보다도 복조에 필요한 용량이 큰 경우에, 상기 최대 전송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측 장치는,
    데이터 재 전송시의 트래픽에서 송신 가능한 최대 전송 용량으로 데이터가 재 전송되도록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측 장치는,
    송신에 이용하는 무선 자원을 데이터 송신 전에 미리 할당하고 있고, 이 할당된 무선 자원을 1 송신 단위의 데이터의 재 전송이 종료될 때까지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측 장치는,
    송신에 이용하는 무선 자원을 데이터 송신 전에 미리 할당하고 있고, 이 할당된 무선 자원을 임의 송신 데이터 단위 또는 전(全) 송신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할 때까지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측 장치는,
    오류가 검출된 첫회에만 수신 품질의 측정을 하고,
    송신측 장치는,
    재 전송 종료시까지 상기 수신 품질에 근거하는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측 장치는,
    수신 품질의 측정을 소정의 회수에 한 번의 비율로 실행하고,
    송신측 장치는,
    최신의 상기 수신 품질에 근거하는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측 장치는,
    데이터 재 전송시의 트래픽에 따라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전번의 데이터 송신 시에서의 수신 품질의 과부족을 보충하는 용량으로 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 자원 내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측 장치는,
    수신 품질에 의해서 구별되는 복수의 재 전송 요구 신호를 준비하여, 오류 검출 시에 측정한 수신 품질에 대응하는 재 전송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수신측 장치는,
    수신 품질에 의해서 구별되는 재 전송 요구 신호를 2의 멱승-1개 준비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1. 트래픽 상황에 근거하여 할당한 무선 자원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데이터에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송신측 장치와,
    상기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여,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상기 제 1 신호로 나타내여지는 무선 자원 내에서 상기 데이터를 재 전송할 때의 용량을 결정하여, 재 전송을 요구하는 제 2 신호와 상기 결정한 용량을 나타내는 제 3 신호를 송신하는 수신측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송신측 장치는,
    상기 제 2 신호의 수신시에, 상기 제 3 신호로 나타내여지는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2. 기지국 장치와 통신 단말 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여,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재 전송 요구와 상기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재 전송 요구 수신 시에 상기 수신 품질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서 복조에 필요한 용량을 검출하여, 이 검출한 용량 및 트래픽 상황에 근거하여 데이터 재 전송시의 용량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3. 수신측 장치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재 전송을 요구하는 신호와 상기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측 장치에 있어서,
    재 전송 요구 시에, 상기 수신 품질로부터 상기 수신측 장치에서 복조에 필요한 용량을 검출하여, 이 용량으로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2-7000841A 2000-05-22 2001-05-18 통신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450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50507 2000-05-22
JP2000150507 2000-05-22
JPJP-P-2001-00078466 2001-03-19
JP2001078466A JP2002051003A (ja) 2000-05-22 2001-03-19 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908A true KR20020016908A (ko) 2002-03-06
KR100450807B1 KR100450807B1 (ko) 2004-10-01

Family

ID=2659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841A KR100450807B1 (ko) 2000-05-22 2001-05-18 통신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15642B2 (ko)
EP (2) EP1589688A3 (ko)
JP (1) JP2002051003A (ko)
KR (1) KR100450807B1 (ko)
CN (1) CN100361429C (ko)
AU (1) AU5677101A (ko)
WO (1) WO20010913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257B1 (ko) * 2005-11-25 2007-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에서 수신신호 품질개선을 위한 적응적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7447B2 (en) * 2001-08-10 2010-04-13 Motorola Inc. Control of jitter buffer size and depth
EP1286491B1 (en) * 2001-08-22 2004-06-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hannel ARQ method and apparatus
JP3471785B1 (ja) * 2002-07-31 2003-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データの再送制御方法
DE60216269T2 (de) 2002-08-06 2007-05-10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Übertragungsqualitätsberichtverfahren
KR100493158B1 (ko) 2002-09-17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하이브리드 arq 방법 및 적응적 하이브리드arq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방법
JP4048094B2 (ja) * 2002-10-04 2008-02-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及びこれらに用いて好適な移動局
US7414989B2 (en) * 2003-05-07 2008-08-19 Motorola, Inc. ACK/NACK determination reliability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3683576B2 (ja) 2003-05-21 2005-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ワイヤレスavシステム、無線伝送方法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590094B2 (en) * 2003-09-25 2009-09-15 Via Telecom Co., Ltd. Tristate requests for flexible packet retransmission
CN1860711A (zh) * 2003-11-11 2006-11-08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方法、终端以及基站
HUE038918T2 (hu) 2004-04-01 2018-12-28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Interferenciakorlátozás adásismétlésekhez
US7525946B2 (en) * 2004-08-20 2009-04-28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signalling messages on FLO HR channels
JP3931988B2 (ja) * 2004-08-26 2007-06-20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品質計測方法、及び計測装置
JP2006203337A (ja) * 2005-01-18 2006-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基地局装置
EP1843502A4 (en) * 2005-01-25 2012-05-23 Panasonic Corp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KR100998748B1 (ko) * 2005-12-10 2010-1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ibro 시스템에서의 과금 산정 방법
JP2009522846A (ja) * 2005-12-30 2009-06-1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マルチキャリアシステムにおけるharqの方法および装置
EP1852994A1 (en) * 2006-04-25 200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of a packe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8118281A (ja) * 2006-11-01 2008-05-22 Fujitsu Ltd 通信装置
JP5575076B2 (ja) * 2006-12-28 2014-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移動局
US8379609B2 (en) 2007-03-29 2013-02-19 Vixs Systems, Inc. Multimedia client/server system with adjustable data link rate and rang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531962B2 (en) * 2008-04-29 2013-09-10 Qualcomm Incorporated Assignment of ACK resour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9290618A (ja) * 2008-05-29 2009-12-10 Kyocera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459518B2 (ja) * 2009-03-03 2014-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装置およびリソース再割当方法
US8458548B2 (en) 2009-12-22 2013-06-04 Intel Corporation Adaptive H-ARQ using outage capacity optimization
US9007978B2 (en) * 2010-12-07 2015-04-14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ulticast service
US9531501B2 (en) * 2011-10-25 2016-12-27 Apple Inc. Data transfer between electronic devices
CN103647622B (zh) * 2013-12-05 2017-01-04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跨机房数据传输的方法、装置和系统
CN105553617A (zh) * 2015-12-21 2016-05-04 大连三高集团有限公司 一种串口通讯数据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7353A (en) * 1979-03-02 1980-09-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JPS5881356A (ja) 1981-11-10 1983-05-16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誤り制御方式
GB8628821D0 (en) * 1986-12-02 1987-01-07 Plessey Co Plc Data transmission systems
JPH01119136A (ja) * 1987-10-31 1989-05-11 Mita Ind Co Ltd データ伝送方式
JPH0671246B2 (ja) 1987-11-28 1994-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3316059B2 (ja) 1993-09-01 2002-08-19 株式会社東芝 データ伝送装置
GB2287383A (en) 1994-03-11 1995-09-13 Motorola Ltd Notification by energy burst of messages with unacceptable quality
JPH07336368A (ja) 1994-06-09 1995-12-22 Canon Inc 通信装置
AT406533B (de) * 1995-06-26 2000-06-26 Ericsson Austria Ag Verfahren zur bidirektionalen datenübertragung über eine zweidrahtleitung
JPH09298526A (ja) * 1996-03-07 1997-11-18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データ通信における誤り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343879B1 (ko) * 1996-05-31 2002-08-22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자동반복요청프로시저의컴퓨터이용백-시그널링방법
US5752166A (en) * 1996-09-04 1998-05-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w a receiver responds to a message
DE19651593B4 (de) * 1996-12-11 2008-11-20 Rohde & Schwarz Gmbh & Co. Kg Anordnung zum Optimieren der Datenübertragung über einen bidirektionalen Funkkanal
JP3431123B2 (ja) 1997-03-05 2003-07-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367045B1 (en) * 1999-07-01 2002-04-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andwidth efficient acknowledgment/negative acknowledg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257B1 (ko) * 2005-11-25 2007-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에서 수신신호 품질개선을 위한 적응적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71832A4 (en) 2004-09-22
KR100450807B1 (ko) 2004-10-01
AU5677101A (en) 2001-12-03
JP2002051003A (ja) 2002-02-15
EP1589688A3 (en) 2005-11-02
CN100361429C (zh) 2008-01-09
CN1381117A (zh) 2002-11-20
US20030072266A1 (en) 2003-04-17
EP1271832A1 (en) 2003-01-02
WO2001091358A1 (fr) 2001-11-29
US7215642B2 (en) 2007-05-08
EP1589688A2 (en)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807B1 (ko) 통신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US116412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d signaling ack/nack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689974B (zh) 多载波移动体通信系统
US80420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CK/NACK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KR101254801B1 (ko)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수신방법 및 장치
US20050281212A1 (e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or data retransmission, data re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3143108A (ja) 高速データパケット接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使用者データに割り当てられる直交コード情報を送受信する方法
EP2237598A1 (en) Re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device in multicast system
CN1459164A (zh) 分组传输系统和分组传输方法
EP1700411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arq data transmission
CN111490858A (zh) 一种卫星通信的自适应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20200003020A (ko) 기지국 장치, 단말기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8085661B2 (en) Control channel allocation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control channel allocation method
US68164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effecting automatic repeat requests in wireless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systems
CN111817824B (zh) 一种信息传输方法、终端设备和控制节点
JP4809245B2 (ja) 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機
CN110035522B (zh) 一种控制信息传输资源的确定方法、装置及通讯设备
WO2021029124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KR100966074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 방법
JP6681488B2 (ja) 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JP3530177B2 (ja) 基地局装置及びパケット伝送方法
US8391310B2 (en) Wireless base st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s
CN113475027A (zh) 基站、终端、发送方法及接收方法
JP7095009B2 (ja) 基地局、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KR102501635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