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929A - 분말분배기 - Google Patents

분말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929A
KR20020015929A KR1020000064290A KR20000064290A KR20020015929A KR 20020015929 A KR20020015929 A KR 20020015929A KR 1020000064290 A KR1020000064290 A KR 1020000064290A KR 20000064290 A KR20000064290 A KR 20000064290A KR 20020015929 A KR20020015929 A KR 20020015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grinding
dispensing
powd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771B1 (ko
Inventor
김기천
Original Assignee
김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천 filed Critical 김기천
Priority to AU200128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01282634A1/en
Priority to CNB018144632A priority patent/CN1299663C/zh
Priority to JP2002520752A priority patent/JP2004506485A/ja
Priority to PCT/KR2001/001425 priority patent/WO2002015838A1/en
Priority to TW091102926A priority patent/TW531516B/zh
Publication of KR2002001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07Pill breaking or cru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 B65B1/1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of centrifugal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약이 투입되는 투입개구를 가지고 약분쇄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약분쇄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알약을 가루약으로 분쇄하는 약분쇄부와; 일단은 상기 약분쇄실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분쇄된 상기 가루약의 배출로를 형성하며 소정의 약포지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노즐과; 상기 약분쇄부와 상기 분배노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약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가루약을 상기 분배노즐로 분배하는 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알약을 분쇄한 후 분쇄된 가루약을 약포지에 적절하게 분배하는 작업이 단일의 장치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분말분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분말분배기{APPARATUS FOR DISTRIBUTING POWDER}
본 발명은, 분말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이나 약국 등에서 취급하는 알약을 가루약으로 분쇄한 후, 이를 약포지에 적절하게 분배하는 작업이 단일의 장치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분말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의 조제실이나 약국 등에서 조제되는 약은 알약이나 가루약의 형태를 취하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혼용되어 조제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소아나 혹은 일부 성인의 경우에는, 알약을 복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루약 처방을 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 때는, 약사가 직접 알약을 가루약으로 분쇄하여 조제하게 된다.
이처럼 약사가 직접 알약을 분쇄하는 경우에는, 알약을 절구통 안에 투입한 다음, 절구를 이용하여 알약을 빻은 후, 알약이 가루약으로 분쇄되고 나면, 스푼을 이용하여 이를 약포지로 분배하게 된다.
그런데, 이 같이 알약을 가루약으로 분쇄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필요한 수만큼의 약포지로 적당한 양의 가루약을 분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약을 분쇄한 후 분쇄된 가루약을 약포지에 적절하게 분배하는 작업이 단일의 장치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분말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분배기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일방향클러치베어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말분배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말분배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말분배기 14 : 하우징
21 : 약분쇄실 18 : 분쇄커터
31 : 구동모터 37 : 분배노즐
43 : 약포지 51 : 회전체
55 : 일방향클러치베어링 44 : 약포지이탈방지부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알약이 투입되는 투입개구를 가지고 약분쇄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약분쇄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알약을 가루약으로 분쇄하는 약분쇄부와; 일단은 상기 약분쇄실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분쇄된 상기 가루약의 배출로를 형성하며 소정의 약포지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노즐과; 상기 약분쇄부와 상기 분배노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약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가루약을 상기 분배노즐로 분배하는 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배노즐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가루약의 효과적인 분배를 위해 유리하다.
상기 약분쇄부는, 상기 약분쇄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알약을 분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커터와; 상기 분쇄커터를 회전구동시키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쇄커터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세레이션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분배장치는, 상기 분쇄커터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분배노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원반상의 회전체와;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전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커터의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전달 및 차단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달부재는 일방향클러치베어링를 이용하는 것이 제조비용 및 조립면에서 효과적이다.
상기 분배노즐의 단부에 마련되어 분배된 가루약을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약분배안내부와, 상기 구동모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약분배안내부에 각각 끼워지는 상기 약포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약포지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알약을 분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쇄커터가 장착된 약분쇄실을 갖는 분쇄본체와; 상기 분쇄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약분쇄실로부터의 분쇄된 가루약을 원심방향으로 각각 분배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말단에 소정의 약포지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노즐을 갖는 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약분쇄실은 내부에 상기 분쇄커터가 장착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분배장치가 결합되는 영역을 향해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절두원뿔상의 형태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분배장치는, 상기 분배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분쇄본체의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약분쇄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각 분배노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약분쇄실로부터의 가루약을 상기 각 분배노즐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쇄본체와 상기 분배장치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분쇄본체에 대한 분배장치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분쇄실에 인접된 상기 회전축부의 단부는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루약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말분배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알약이 투입되는 투입개구(23)를 가지고 약분쇄실(21)을 형성하는 통상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알약을 분쇄하는 약분쇄부(30)와, 약분쇄실(21)에 연통되어 분쇄된 가루약의 배출로를 형성하는 분배노즐(37)과, 약분쇄실(21) 내에서 분쇄된 가루약을 분배노즐(37)로 분배하는 분배장치(50)를 갖는다.
약분쇄실(21)은, 투입개구(23) 영역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축경부(24)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투입개구(23)에는 개폐뚜껑(25)이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징의 측부에는 소정의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여 분말분배기(10)를 동작시키는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조작패널(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약분쇄실(21)의 축경부(24) 영역에 장착되는 약분쇄부(30)는, 축경부(24) 영역에 배치되어 알약을 분쇄하는 분쇄커터(18)와, 분쇄커터(18)의 하측에 마련되어 분쇄커터(18)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1)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서, 분쇄커터(18)는 알약의 효율적인 분쇄를 위해 양단의 커터날(20)이 상호 반대방향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약분쇄실(21) 내에 단일의 분쇄커터(18)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알약 분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동축(32)에 여러 개의 분기축(미도시)을 장착하여 각 분기축에 다수개의 분쇄커터(18)를 장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커터날(20)이 다단 층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분쇄커터(18)는 구동모터(31)의 구동축(32)에 세레이션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한다거나 구동축(32)에 억지끼워맞춤시킬 수도 있음은 두 말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분배노즐(37)은, 하우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일단은 약분쇄실(21)에 연통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된 노출단부는, 분쇄된 가루약을 하측으로 낙하시키도록 내부가 구두주걱의 형태를 띠는 약분배안내부(4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약분배안내부(47)에는 소정의 약포지(43)가 끼워진다.
한편, 약분쇄부(30)와 분배노즐(37) 사이에는 분쇄된 가루약을 분배노즐(37)로 분배하는 분배장치(50)가 마련되어 있다. 분배장치(50)는, 분쇄커터(18)와 구동모터(31) 사이에 배치되며 외주면이 분배노즐(37)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원반상의 회전체(51)와, 구동축(32)과 회전체(51) 사이에 설치되어 분쇄커터(18)의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력을 회전체(51)에 전달 및 차단하는 전달부재를 갖는다. 제1실시예에서는, 전달부재로 일방향클러치베어링(55)를 사용하고 있다.
회전체(51)의 중앙영역에는, 구동축(32)에 결합되기 위한 보스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스부(52)로는 도시 않은 고정핀이 삽입되어 구동축(32)에 결합됨으로써 회전체(51)를 구동축(32)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외에도, 회전체(51)를 구동축(32)에 결합시키는 방편으로는, 구동축(32)과 회전체(51)를 상호 세레이션 결합시키거나, 혹은 스플라인 결합시킬 수도 있고, 열박음 내지는 억지끼워맞춤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회전체(51)의 판면과 축경부(24)의 말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돌출부(22) 사이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이격간격(G)이 형성된다. 이격간격(G)으로는, 구동모터(31)에 의한 회전체(51)의 회전에 의해, 약분쇄실(21) 내의 가루약이 분배노즐(37)로 배출된다. 따라서, 가루약이 각 분배노즐(37)로 균등하게 분배되기 위해, 이격간격(G)은 비교적 좁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일방향클러치베어링(5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설치된 축의 일방향 회전은 가능하게 하고 타방향 회전은 구속하도록 제동하는 베어링으로서, 베어링본체(57)에는 복수의 구름부재(58)와, 이들 구름부재(58)를 수용하는 수용홈(59)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본체(57)에 형성된 각 수용홈(59)의 깊이는 한쪽으로는 깊게 다른쪽으로는 얕게 형성되어 구름부재(58)가 수용홈(59)의 깊은 부위에 위치하게 되면 내측에 설치된 구동축(32)의 회전력이 베어링본체(57)에 전달되지 않으며, 구름부재(58)가 수용홈(59)의 얕은 부위에 위치하면 구동축(32)의 회전력이 베어링본체(57)에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축(32)의 회전력이 베어링본체(57)에 전달될 때, 회전체(51)는 분쇄커터(18)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말분배기(1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약포지(43)를 각 분배노즐(37)의 약분배안내부(47)에 끼운다. 그런 다음, 개폐뚜껑(25)을 개방하여, 분쇄할 알약을 약분쇄실(21)로 투입한 후, 개폐뚜껑(25)을 닫는다. 조작버튼의 작동에 의해 구동모터(31)가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개시하면, 구동모터(31)의 구동축(32)에 연결된 분쇄커터(18)는 회전하면서 약분쇄실(21) 내의 알약을 분쇄하기 시작한다. 이 때, 일방향클러치베어링(55)의 구름부재(58)는 수용홈(59)의 깊은 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구동축(32)의 회전력은 베어링본체(57)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알약을 가루약으로 분쇄하는 과정에서는, 분쇄커터(18)만이 회전할 뿐, 회전체(51)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가루약의 분쇄과정이 완료되면, 다시 조작버튼을 작동하여 구동모터(31)가 전술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러면, 일방향클러치베어링(55)의 구름부재(58)는 수용홈(59)의 얕은 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구동축(32)의 회전력은 베어링본체(57)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원반상의 회전체(51)는 분쇄커터(18)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분쇄커터(18)와 동회전하는 회전체(51)의 원심력에 의해, 약분쇄실(21) 내에서 분쇄된 가루약은, 돌출부(22)와 회전체(51) 사이의 이격간격(G)을 통해 각 분배노즐(37)을 경유하여 약포지(43)에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약분쇄실(21) 내에서 분쇄된 가루약이 원심력에 의해 약포지(43)가 끼워진 분배노즐(37)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알약을 분쇄한 후 분쇄된 가루약을 약포지(43)에 적절하게 분배하는 작업이 단일의 장치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전달부재로 일방향클러치베어링(55)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외에도 분쇄커터(18)를 구동시키는 연결축을 별도로 설치한 후, 연결축과 구동모터(31)의 구동축(32)을 일체 회전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고정클러치부재를 마련하고, 회전체(51)에 일체로 회전가능한 동시에 축선방향을 따라 승강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상태에서 고정클러치부재와 일체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가동클러치부재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는, 별도의 레버가 하우징으로 노출되도록 한 후, 레버의 작동에 의해 가동클러치부재가 고정클러치부재에 맞물림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조작버튼의 작동에 의해 알약의 분쇄 및 가루약의 분배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소정의 마이콤과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조작버튼의 한 동작으로도, 적정한 양의 알약이 분쇄되어 분배되는 과정이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약포지(43)가 상측으로 끼워지도록 하고 있으나, 분배노즐(37)의 노출단부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경우라면, 약포지(43)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끼울 수도 있다. 또한, 약분배안내부(47)에 끼워진 약포지(4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약포지이탈방지부재(44)를 더 마련할 수도 있다. 이 때, 약포지이탈방지부재의 저판면에는, 구동모터(31)가 끼워지도록 모터수용홈(46)을 마련하고, 약포지이탈방지부재의 측면은 약분배안내부(47)의 인접영역까지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약포지(43)가, 약포지이탈방지부재의 저판면 및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말분배기(10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약을 분쇄하는 분쇄본체(14a)와, 분쇄본체(14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쇄본체(14a) 내에서 분쇄된 가루약을 소정량만큼 분배하는분배장치(30a)를 갖는다.
분쇄본체(14a)는, 다수의 기기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는 부품실(15a)과, 부품실(15a)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알약을 가루약으로 분쇄하는 약분쇄실(21a)을 갖는다. 부품실(15a) 내에는 분쇄본체(14a)의 외부에 마련되어 분말분배기(10a)를 작동시키는 컨트롤패널(1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 및 구동모터(17)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모터(17a)는 부품실(15a)의 거의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17a)의 구동축(16a)에는 소정의 분쇄커터(18a)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약분쇄실(21a)로 노출되어 있다. 분쇄커터(18a)는 알약의 효율적인 분쇄를 위해 양단의 커터날(20a)이 상호 반대방향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 때, 제2실시예에서는, 약분쇄실(21a) 내에 단일의 분쇄커터(18a)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알약 분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동축(16a)에 여러 개의 분기축(미도시)을 장착하여 각 분기축에 다수개의 분쇄커터(18a)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커터날(20a)이 다단 층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하여 알약을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도 있다.
약분쇄실(21a)은, 내부에 분쇄커터(18a)가 장착된 영역으로부터 분배장치(30a)가 결합되는 영역을 향해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절두원뿔상의 형태를 갖는데, 이하에서는 분쇄커터(18a)가 장착된 약분쇄실(21a) 영역을 확경부(22a)라 하고 대면하는 영역을 축경부(24a)라 한다. 약분쇄실(21a)의 축경부(24a)는 분배장치(30a)로부터 분쇄본체(14a)가 분리되었을 경우, 알약의 투입을 위한 투입개구로 이용된다.
축경부(24a)에 대응하는 분쇄본체(14a)의 단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축경되어 분배장치(30a)와의 소정의 접합면(25a)을 형성한다. 접합면(25a)에는 판면으로부터 약분쇄실(21a)을 향해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함몰수용부(26a)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 함몰수용부(26a) 내에는 소정의 베어링(27a)이 개재되어 분쇄본체(14a)에 대해 분배장치(30a)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한다. 그리고, 베어링(27a)에 인접된 분쇄본체(14a)와 분배장치(30a)에는 자성체(29a) 및 자석(41a)이 각각 마련되어 분쇄본체(14a)에 대한 분배장치(30a)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분배장치(30a)는, 구동모터(31a)와, 구동모터(31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33a)와, 약분쇄실(21a)로부터의 분쇄된 가루약을 원심방향으로 각각 분배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분배노즐(37a)을 갖는다. 이 때, 분배장치(30a)의 외측에는 구동모터(31a)의 작동을 시간 혹은 속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도시 않은 타이머노브 혹은 속도제어버튼이 마련된 컨트롤패널(미도시)을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쇄본체(14a) 및 분배장치(30a)에 각각 마련된 구동모터(17a,31a)는 정지각 제어가능한 스태핑모터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회전축부(33a)는, 분쇄본체(14a)의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일단(34a)이 구동모터(31a)의 구동축(3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35a)이 약분쇄실(21a)의 축경부(24a)에 배치된다. 이 때, 축경부(24a)에 인접된 회전축부(33a)의 타단(35a)은 거의 평탄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약분쇄실(21a) 내에서 분쇄된 가루약이 축경부(24a)와 회전축부(33a)의 타단(35a) 사이의 영역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될 때, 일정 구간에서 덩어리로 뭉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분쇄된 가루약이 소량일 경우, 가루약이 어느 하나의 분배노즐(37a)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각 분배노즐(37a)은, 분쇄본체(14a)의 접합면(25a)에 접면하는 상부커버(38a)와, 상부커버(38a)와 결합되어 말단에 가루약의 배출구(40a)를 형성하는 하부커버(39a)를 가지며, 상부커버(38a) 및 하부커버(39a)는 라운드 형태를 취한다. 이 때, 각 분배노즐(37a)의 배출구(40a) 영역에는 약포지(43a)가 끼워지게 되므로, 약포지(43a)의 개수에 따라 분배노즐(37a)의 개수는 적당하게 조절하여 성형한다.
한편, 회전축부(33a)와 각 분배노즐(37a) 사이에는 가루약이 각 분배노즐(37a)로 안내되도록 소정의 안내부(42a)가 마련된다. 안내부(42a)는, 회전축부(33a)에 인접된 영영으로부터 각 분배노즐(37a)에 이르도록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분쇄본체(14a) 내에서 분쇄된 가루약은 축경부(24a)와 회전축부(33a)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한 후, 안내부(42a)에 의해 안내되어 각 분배노즐(37a)로 향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안내부(42a)는 가루약이 회전축부(33a) 타단(35a)으로부터 일정 구간 하방으로 자유낙하할 수 있도록 거의 직선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안내부(42a), 분배노즐(37a) 및 회전축부(33a)는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31a)의 구동시, 동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호 인접되는 분쇄본체(14a)와 상부커버(38a)에는 어느 하나에 레일블럭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 안내레일을 마련하여 상호 이탈됨이 없이 분배장치(30a)가 회전할 수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말분배기(10a)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약포지(43a)를 분배노즐(37a)의 배출구(40a)에 장착한 후, 분쇄본체(14a)와 분배장치(30a)를 분리한 상태에서 분쇄본체(14a)를 뒤집어 축경부(24a)가 상측을 향하게 한 다음, 투입개구로 적당량의 알약을 집어넣고, 다시 분배장치(30a)를 결합시킨다. 이 때, 분쇄본체(14a)의 접합면(25a)에는 자성체(29a)가 마련되어 있고, 분배장치(30a)의 상부커버(38a)에 자석(41a)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들은 상호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다음, 분쇄본체(14a)의 컨트롤패널(12a)의 버튼(13a)을 가압하여 구동모터(17a)를 작동시킴으로써 분쇄커터(18a)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약분쇄실(21a) 내에서 알약이 분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알약의 분쇄가 완료되면, 분쇄커터(18a)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분쇄본체(14a)가 상측을 향하도록 분말분배기(10a)를 뒤집어 놓는다.
분말분배기(10a)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분배장치(30a)가 작동되면, 회전축부(33a)를 포함한 안내부(42a) 및 분배노즐(37a)이 전체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약분쇄실(21a) 내에서 분쇄된 가루약은 축경부(24a)와 회전축부(33a)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한 후, 안내부(42a)에 의해 안내되면서 각 분배노즐(37a)로 향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각 분배노즐(37a)의 노즐단부, 즉, 배출구(40a) 영역에는 소정의 약포지(43a)가 끼워져 있으므로, 각 분배노즐(37a)로 향하는 가루약은각각의 약포지(43a) 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배노즐(37a)의 배출구(40a) 영역에 배출구(40a)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약포지이탈방지부재(44a)를 더 마련하여 약포지(43a)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말분배기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말분배기(10b)는, 전술한 분말분배기(10a)와 마찬가지로, 알약을 분쇄하는 분쇄본체(14b)와, 분쇄본체(14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쇄본체(14b) 내에서 분쇄된 가루약을 소정량만큼 분배하는 분배장치(30b)를 갖는다. 이하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말분배기(10b)의 구성은 도 5 및 도 6의 분말분배기(10a)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므로 동일구성에 관해서는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겠으며, 참조부호는 구별한다.
분쇄본체(14b)는, 다수의 기기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는 부품실(15b)과, 부품실(15b)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알약을 가루약으로 분쇄하는 약분쇄실(21b)을 갖는다. 부품실(15b)의 거의 중앙영역에는 구동모터(17b)가 마련되어 있으며, 구동모터(17b)의 구동축(16b)에는 소정의 분쇄커터(18b)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약분쇄실(21b)로 노출되어 있다.
분배장치(30b)는, 구동모터(31b)와, 구동모터(3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33b)와, 약분쇄실(21b)로부터의 분쇄된 가루약을 원심방향으로 각각 분배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분배노즐(37b)을 갖는다. 회전축부(33b)와 각 분배노즐(37b) 사이에는 가루약이 각 분배노즐(37b)로 안내되도록 소정의 안내부(42b)가 마련된다. 안내부(42b)는, 회전축부(33b)에 인접된 영영으로부터 각 분배노즐(37b)에 이르도록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분배노즐(37b)의 단부에 안내부(42b)에 의해 분배되는 가루약을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약분배안내부(47)를 더 마련되어 있다. 즉, 약분배안내부(47)는, 분배노즐(37b)의 단부영역을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배출구(40b)가 하측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약포지(43b)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끼워질 경우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 때, 분배노즐(37b)에 결합되는 약분배안내부(47)는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분배노즐(37b)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제작되어 분배노즐(37b)의 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처럼, 분배노즐(37b)과 약분배안내부(47)가 별도로 결합될 경우에는, 분배노즐(37b)과 약분배안내부(47)를 상호 나사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양측에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스크루로 결합시킬 수도 있고, 혹은 후크결합도 가능하다. 약분배안내부(47)의 내벽면은, 가루약의 하향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판면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잘록하게 만곡된 구두주걱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각 약분배안내부(47)의 배출구(40b) 영역에 배출구(40b)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약포지이탈방지부재(44b)를 더 마련되어 있다. 즉, 약포지이탈방지부재(44b)의 외측커버(미도시)는 구동모터(31b)와 결합되어 지지평면에 대해 분말분배기(10b)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내측커버(미도시)는 각약포지이탈방지부재(44b)의 배출구(40b) 영역에 인접배치할 수 있다. 이 때는, 약포지이탈방지부재(44b)의 외측커버는 고정되고 내측커버가 분배노즐(37b)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내측커버는 구동모터(31b)의 구동축(32b)에 풀리 등으로 결합하고, 외측커버는 구동모터(31b)의 외측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각 약포지이탈방지부재(44b)에 소정의 약포지(43b)가 끼워졌을 경우 약포지(43b)가 하향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는, 약포지이탈방지부재(44b)의 하측 선단부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약포지(43b)의 하향 이탈을 방지하는 평탄부(4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말분배기(10b)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쇄본체(14b)와 분배장치(30b)를 분리한 상태에서 분쇄본체(14b)를 뒤집어 축경부(24b)가 상측을 향하게 한 다음, 투입개구로 적당량의 알약을 집어넣고, 다시 분배장치(30b)를 결합시킨다. 이 때, 분쇄본체(14b)의 접합면(25b)에는 자성체(29b)가 마련되어 있고, 분배장치(30b)의 상부커버(38b)에는 자석(41b)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들은 상호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 분쇄본체(14b)의 컨트롤패널(12b)의 버튼(13b)을 가압하여 구동모터(17b)를 작동시킴으로써 분쇄커터(18b)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약분쇄실(21b) 내에서 알약이 분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알약의 분쇄가 완료되면, 분쇄커터(18b)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분쇄본체(14b)가 상측을 향하도록 분말분배기(10b)를 뒤집어 놓는다.
분말분배기(10b)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분배장치(30b)가 작동되면, 회전축부(33b)를 포함한 안내부(42b) 및 분배노즐(37b)이 전체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약분쇄실(21b) 내에서 분쇄된 가루약은 축경부(24b)와 회전축부(33b)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한 후, 안내부(42b)에 의해 안내되면서 각 분배노즐(37b)로 향한 다음, 최종적으로 약분배안내부(47)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각 약분배안내부(47)의 노즐단부, 즉, 배출구(40b) 영역에는 소정의 약포지(43b)가 끼워져 있고, 약분배안내부(47)의 하측에는 약포지(43b)의 이탈을 방지하는 약포지이탈방지부재(44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가루약은 각각의 약포지(43b) 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알약을 분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쇄커터(18a,18b)가 장착된 약분쇄실(21a,21b)을 갖는 분쇄본체(14a,14b)와; 상기 분쇄본체(14a,14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약분쇄실(21a,21b)로부터의 분쇄된 가루약을 원심방향으로 각각 분배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분배노즐(37a,37b)을 갖는 분배장치(30a,30b)를 마련함으로써, 알약을 분쇄하여 가루약으로 형성한 다음, 이를 약포지(43a,43b)에 분배하는 작업이 단일의 장치 내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2 및 제3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약포지이탈방지부재는 분배장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즉, 분배장치의 외측에 신축변형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스토퍼를 마련하고 약포지이탈방지부재에는 스토퍼에 수용가능한 걸림공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하게 약포지이탈방지부재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할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및 제3실시예에서는 분쇄본체와 분배장치에 각각 모터를 마련하고 있지만, 분배장치에 마련된 단일의 모터만으로도 분쇄본체와 분배장치에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분쇄본체로 향하는 전선 등의 설치를 없애 취급이 간편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분쇄본체에 마련된 분쇄커터에 소정의 회전축을 장착하여 이 회전축이 분쇄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분배장치에 마련된 구동모터가 회전축부로부터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써, 분쇄본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분쇄커터의 회전축을 장착하여 사용하고, 분배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축부를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분쇄본체에 컨트롤패널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분배장치에만 구동모터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패널을 장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알약을 분쇄한 후 분쇄된 가루약을 약포지에 적절하게 분배하는 작업이 단일의 장치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분말분배기가 제공된다.

Claims (10)

  1. 알약이 투입되는 투입개구를 가지고 약분쇄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약분쇄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알약을 가루약으로 분쇄하는 약분쇄부와;
    일단은 상기 약분쇄실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분쇄된 상기 가루약의 배출로를 형성하며 소정의 약포지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노즐과;
    상기 약분쇄부와 상기 분배노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약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가루약을 상기 분배노즐로 분배하는 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노즐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분쇄부는,
    상기 약분쇄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알약을 분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커터와;
    상기 분쇄커터를 회전구동시키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커터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세레이션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장치는,
    상기 분쇄커터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분배노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원반상의 회전체와;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전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커터의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전달 및 차단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일방향클러치베어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노즐의 단부에 마련되어 분배된 가루약을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약분배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약분배안내부에 각각 끼워지는 상기 약포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약포지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9. 알약을 분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쇄커터가 장착된 약분쇄실을 갖는 분쇄본체와;
    상기 분쇄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약분쇄실로부터의 분쇄된 가루약을 원심방향으로 각각 분배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말단에 소정의 약포지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노즐을 갖는 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분쇄본체의 중심 축선방향을 따라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약분쇄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각 분배노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약분쇄실로부터의가루약을 상기 각 분배노즐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KR10-2000-0064290A 2000-08-23 2000-10-31 분말분배기 KR10039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1282634A AU2001282634A1 (en) 2000-08-23 2001-08-23 Apparatus for distributing powder
CNB018144632A CN1299663C (zh) 2000-08-23 2001-08-23 分配药粉装置
JP2002520752A JP2004506485A (ja) 2000-08-23 2001-08-23 粉末分配機
PCT/KR2001/001425 WO2002015838A1 (en) 2000-08-23 2001-08-23 Apparatus for distributing powder
TW091102926A TW531516B (en) 2000-08-23 2002-02-20 Apparatus for distributting pow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3885 2000-08-23
KR2020000023885 2000-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929A true KR20020015929A (ko) 2002-03-02
KR100391771B1 KR100391771B1 (ko) 2003-07-16

Family

ID=1966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290A KR100391771B1 (ko) 2000-08-23 2000-10-31 분말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7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005A (ko) * 2004-01-13 2005-07-18 김기천 분말분배기와 약포지
WO2012115395A2 (ko) * 2011-02-22 2012-08-30 Lim Tae Young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036B1 (ko) * 2018-06-14 2018-12-24 한남현 가루약 및 분말식품 분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8614B2 (ja) * 1992-05-07 1998-06-25 正二 湯山 錠剤収納取出し装置
JPH0640401A (ja) * 1992-11-14 1994-02-15 Tokyo Shokai:Kk 薬剤分包機の薬剤供給装置
JP3476935B2 (ja) * 1994-12-14 2003-12-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の容量分割方法と分割装置
KR0116203Y1 (ko) * 1995-06-26 1998-04-18 배순훈 오일연소기용 연료탱크의 필터캡구조
SE516650C2 (sv) * 1997-11-04 2002-02-05 Sensidos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dosering och dispensering av läkemed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005A (ko) * 2004-01-13 2005-07-18 김기천 분말분배기와 약포지
WO2012115395A2 (ko) * 2011-02-22 2012-08-30 Lim Tae Young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WO2012115395A3 (ko) * 2011-02-22 2012-10-18 Lim Tae Young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771B1 (ko)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4094B2 (en) Machine and methods for dispensing nutritional supplements and multi-serving cartridge therefor
US20150283034A1 (en) Portable Pill Crushing and Mixing Device
US11014721B2 (en) Nutritional supplements dispenser and methods
KR100391771B1 (ko) 분말분배기
KR102293070B1 (ko) 알약 분쇄 장치
JP2004506485A (ja) 粉末分配機
KR101763640B1 (ko) 알약 분쇄기
KR101737728B1 (ko)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
JP3343422B2 (ja) 錠剤等の薬剤選択供給装置用の薬剤収容容器及びその薬剤収容容器からの薬剤取り出し方法
KR950005475Y1 (ko) 알약 자동 분쇄기
JP4174251B2 (ja) 薬剤カセッタ
JP4202063B2 (ja) 薬剤カセッタ
KR200369929Y1 (ko) 가루약 포장장치
KR200185393Y1 (ko) 정제 분해기
KR200189237Y1 (ko) 분쇄기용 용기
KR20050074005A (ko) 분말분배기와 약포지
KR200232322Y1 (ko) 구슬형 아이스크림 자동판매기의 안전사고방지장치
JP2008021109A (ja) 原料供給装置
CN117356913A (zh) 一种投放装置、清洗机构及饮品冲调设备
KR200180315Y1 (ko) 정제 분해기
CN117295481A (zh) 药丸研磨器
JP2007011983A (ja) 原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