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005A - 분말분배기와 약포지 - Google Patents

분말분배기와 약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005A
KR20050074005A KR1020040002180A KR20040002180A KR20050074005A KR 20050074005 A KR20050074005 A KR 20050074005A KR 1020040002180 A KR1020040002180 A KR 1020040002180A KR 20040002180 A KR20040002180 A KR 20040002180A KR 20050074005 A KR20050074005 A KR 20050074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chamber
medicine
dispensing
powder
wrapp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천
Original Assignee
김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천 filed Critical 김기천
Priority to KR102004000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4005A/ko
Priority to PCT/KR2005/000088 priority patent/WO2005070368A1/en
Publication of KR2005007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0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07Pill breaking or cru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노즐이 약포지에 쉽게 삽입되도록 고안된 분말분배기와 이러한 분말분배기에 적합한 약포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분말분배기의 분배노즐은 상기 약포지에 삽입될 때 한번의 동작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Description

분말분배기와 약포지{APPARATUS FOR POWDER DISTRIBUTION AND MEDINE WRAPPER}
약사가 알약을 가루약으로 조제할 때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알약을 분쇄하여 가루약으로 만드는 작업과 분쇄된 가루약을 약포지에 넣는 작업이 서로 다른 기계에서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일회 복용량이 A라는 약 1/3알과 B라는 약 1/2알이고, 이 일회분 약을 하루 세번 복용하며, 2일분 약을 가루약으로 조제할 경우, 약사는 A라는 약 2알(1/3*3*2=2), B라는 약 3알(1/2*3*2=3)을 분쇄기에 넣고 분쇄한 후, 분쇄된 가루약을 6등분하여 약포지에 넣고 포장하여 환자에게 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약을 분쇄하는 작업은 분쇄기에서 이루어지고 분쇄된 가루약을 약포지에 분배하는 작업은 보통 사람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인의 특허등록 제0391771 분말분배기는 알약을 분쇄하고 분쇄된 가루약을 약포지에 넣는 작업을 단일의 장치에서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 등록된 분말분배기에 있어서 분배노즐을 약포지에 삽입하는 작업은 여전히 불편한 작업이었다.
이러한 분배노즐이 약포지에 삽입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약포지를 환형(環形)으로 만들고, 분배장치의 분배노즐을 분배원판에 수평방향의 힌지로 결합시켜 분배노즐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써 약포지에 쉽게 삽입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분배 노즐이 6개인 분말분배기의 각부분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분말분배기의 중심선을 지나는 단면을 본 단면도이다.
덮개(1)는 분말분배기의 맨 위에 있는 원반 모양의 구조물로 필요에 따라 분쇄실(3)을 덮을 수 있다. 이 덮개는 분쇄실 하우징(2)과 힌지로 결합된다(11).
분쇄실 하우징(2)은 분쇄실 원통(21)을 둘러싸고 있으며 상부에서 덮개와 힌지 결합하고 있고(11), 하부에서는 분배기 하우징(6)과 힌지결합하고 있다(21). 분쇄실 하우징에는 분쇄실 스프링(24)을 수용하는 홈이 있고 이 홈에 설치되는 분쇄실 스프링(24)은 분쇄실 원통(21)을 지지한다. 또한 분쇄실 하우징(2)의 일부의 부분에는 분쇄실 하우징 접점(23)이 있고 이 접점은 분쇄실 원통의 일부의 부분에 존재하는 분쇄실 원통 접점(22)과 필요에 따라 접촉하여 전기를 통하게 한다. 이 두 접점이 접촉하여 전기가 흐르면 모터(7)에 전기가 공급되고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분쇄커터(51)가 회전하여 분쇄실 내부에 있는 알약을 분쇄하게 된다. 또한 분쇄실 하우징에는 누름판 기둥(27)이 통과하는 여러개의 구멍이 있다. 이 누름판 기둥은 누름판(25)과 발열판을 연결시킨다.
분쇄실 원통(21)은 분쇄실 하우징(2) 안쪽에 있으며 그 내부가 분쇄실이다. 분쇄실 원통의 상부는 보다 넓은 테두리가 있어 분쇄실 스프링(24)에 의하여 지지된다. 분쇄실 원통(21)의 하부는 분배 원판(53)에 인접하여 있다. 덮개(1)가 열려있는 경우 분쇄실 원통(21)은 분쇄실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분배원판과 일정한 간격(52) 만큼 이격된다. 누름판(25)은 반지 모양으로 분쇄실 하우징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고 누름판 스프링(26)에 의하여 지지된다. 누름판에는 여러개의 누름판 기둥(27)이 결합되며 이 누름판 기둥은 분쇄실 하우징에 있는 구멍을 통과하여 분배실(5)까지 연장되고 이 누름판 기둥의 하방에는 발열판이 부착되어 있다. 발열판은 반지모양이며 약포지 아래에도 있다(28). 위와 아래 두개의 발열판이 약포지를 누르면 약포지의 내륜부가 봉합된다. 누름판 스프링(26)은 누름판 기둥을 둘러싸고 있으며 누름판(25)을 지지한다.
분쇄실(3)은 알약을 가루약으로 분쇄하는 공간으로 위로는 덮개(1)가 있고 옆으로는 분쇄실 원통(21)이 있고 아래로는 분배원판(53)이 있다. 덮개(1)가 열려있을 때는 분쇄실 원통(21)이 분쇄실 스프링(24)에 의하여 윗방향으로 지지되므로 분쇄실 원통(21)과 분배원판(53) 사이에는 간격(52)이 생긴다. 만일 분쇄실에서 분쇄작업을 할 때는 덮개를 눌러 닫는다. 이 경우 분쇄실 원통은 아래로 이동하여 분쇄실 원통과 분배원판 사이의 간격이 없어져서 결국 분쇄실은 폐쇄공간이 된다. 이때 분쇄실하우징 접점(23)과 분쇄실 원통 접점(22)이 접촉되어 전기가 통하게 되므로 결국 분쇄커터가 회전하여 알약을 분쇄하게된다. 분쇄된 가루약을 분배할 때는 덮개(1)를 열고 분배원판(53)을 회전시키면 된다. 분배원판이(53) 회전하면 분쇄실에 있는 가루약이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간격(52)를 통하여 방사상으로 이동하게되고 분배노즐(54)을 거쳐서 원형 약포지(4)로 분배된다.
약포지(4)는 중앙이 비어있는 동심원의 반지모양이다. 약포지는 위와 아래 두장의 환형(環形) 종이(4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장의 종이의 바깥 반지름은 모두 똑같고, 안쪽 반지름은 아랫쪽 종이의 반지름이 조금 작다. 이러한 두장의 환형 종이를 위와 아래로 겹쳐놓은 후 외륜(44)을 봉합하고 또한 그 중심에서 방사선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마다 봉합하면(43) 약포지가 완성된다. 이러한 약포지의 봉합되지 않은 내륜쪽이 약포지의 입구이다. 이 입구로 분말분배기의 분배노즐(54)이 삽입되게 된다. 도 4는 단위 약포지 6개로 구성된 약포지로 분배노즐이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 보여준다. 복용 횟수에 따라 이 약포지는 4개들이 8개들이 또는 그 이상의 단위 약포지로 구성되는 약포지로 만들수 있는데, 이때 분배장치는 단위 약포지의 수효와 같은 수의 분배노즐로 구성된 분배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약포지만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약포지가 원형일 필요는 없다. 즉 4각형 모양 또는 6각형모향 등 정다각형 모양의 약포지가 가능하며 기타의 모양도 가능하다. 그러나 약포지의 입구 즉 약포지의 내륜은 폐곡선을 이루는 것이 분배노즐이 한번에 삽입되기가 편하다. 물론 약포지의 내륜이 반드시 폐곡선일 필요는 없는데, 즉 약포지의 중심으로 부터 방사선 방향으로 봉합되는 봉합선중 한 곳이 잘린[cut] 형태의 약포지도 가능한데, 이 경우는 약포지를 한번에 분배노즐에 끼우기는 어렵고 단위 약포지 하나에 분배노즐 한개씩을 순차적으로 끼우는 방법이 가능하다.
분배장치는 분쇄실(3) 하부를 구성하고 분배실(5)까지 연장된다. 분배장치는 분쇄커터(51), 분배원판(53), 분배노즐(54), 클러치 베어링(56), 종동축(57)으로 구성된다. 분배원판(53)은 클러치 베어링(56)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클러치 베어링(56)은 종동축(57)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분배원판(53)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분배노즐(54)은 두개 이상이며 각 분배노즐은 분배원판(53)에 수형방향의 노즐 힌지(55)로 결합되어 있다. 분쇄커터(51)는 종동축(57)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고, 종동축(57)은 모터(7)의 주동축(7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데 이 종동축(57)과 모터의 주동축(71)은 서로 분리가 가능하다. 도 3은 이러한 분배장치를 아랫쪽에서 비스듬히 올려본 사시도이다. 이러한 분배장치는 자연상태에서는 중력 때문에 분배노즐이 노즐 힌지(55)를 중심으로 아랫쪽으로 처지게 된다. 이렇게 분배 노즐이 아랫쪽으로 처진 상태의 분배장치를 약포지의 중심에 위치시킨 후 분배노즐이 각 단위 약포지의 입구를 향하도록 올려 놓고 아랫쪽으로 힘을 가하면 분배노즐은 노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일시에 원형 약포지로 쉽게 삽입된다. 도 4는 분배노즐이 원형 약포지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분배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외부와 공기가 소통되는 환기구(61)가 있고 이 환기구에는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가 장착된다. 분배원판이 회전할 때 분배원판과 분배노즐에 의하여 분쇄실 내부의 공기는 간격(52)을 통하여 분배실(5)쪽으로 흐름이 발생한다. 결국 이러한 공기는 분배실 하우징(6)의 환기구(6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환기구에 설치된 필터에 의하여 분진이 걸려져서 분배실 바닥에 떨어지고 공기만 환기구를 빠져 나가게 된다. 즉 분말분배기 외부의 공기를 덜 오염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모터(7)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것이면 좋다. 그러나 모터가 반드시 정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할 필요는 없는데, 이 경우는 분배원판에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이 클러치베어링 대신 다른 동력전달 수단을 이용하면 된다. 즉 필요에 따라 분쇄커터와 분배원판에 따로 따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면 되는데, 이를 위하여는 슬리이브 커플링을 이용한 동력전달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고, 또한 아예 모터 2개를 사용하여 한개는 분쇄커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로, 다른 한개는 분배원판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할당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주동축(71)과 종동축(57)은 필요에 따라 서로 이탈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분말분배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보통 2일분 약을 조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편의상 6포의 가루약을 조제할 경우만 설명한다. 먼저 6개의 분배노즐이 달린 분배장치를 6포짜리 원형 약포지 위에 분배 노즐이 약포지 입구를 향하도록 올려 놓은 후 분배장치를 아래로 눌러 일시에 약포지를 삽입한다. 분말분배기의 분배실 하우징(2)을 열고 약포지가 삽입된 분배장치를 주동축(71)과 종동축(57)이 이어지도록 결합한다. 분배실 하우징을 닫고 덮개(1)를 열고 필요한 약을 분쇄실에 투여한다. 덮개를 누르면 모터가 작동하고 분쇄커터가 회전하여 알약을 가루약으로 분쇄한다. 이때 분배원판(53)은 클러치베어링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지 못하고, 또한 분쇄실 원통(21)과의 마찰로 인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분쇄가 끝나면 별도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클러치베어링을 거쳐서 분배원판에 전달되어 분배원판과 분배노즐이 회전을 하게된다. 이 분배원판과 분배노즐의 회전운동에 의한 원심력으로 가루약은 분배노즐을 거쳐서 약포지에 균등하게 분배된다. 다음으로 분쇄실 하우징을 열고 약포지는 그대로 남겨둔채 분배장치만을 위로 들어서 옮긴후, 다시 분쇄실 하우징을 닫고 누름판을 누르면 발열판이 열을 발생하며 약포지 입구를 눌러서 봉합한다.
이러한 분말분배기의 분배장치와 원형 약포지는 한번의 동작으로 약포지를 분배장치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가루약을 조제하는 약사의 노동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분말분배기의 각부분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분말분배기의 중심선을 지나는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분말분배기 속에 들어있는 분배장치만을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올려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분배장치의 분배노즐을 하방으로 내린 후 약포지에 끼울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Claims (11)

  1. 분배원판과 분배노즐이 힌지결합으로 결합되는 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말 분배기.
  2. 덮개가 분쇄실 하우징에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3. 분쇄실 하우징이 분배실 하우징과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4. 덮개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되거나 차단되는 전기적 접접 또는 스위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5. 분진을 거르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분말분배기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분배실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말분배기.
  8. 약포지의 입구쪽 내륜이 직선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하는 약포지.
  9. 제 8항에 있어서,
    약포지의 내륜이 폐곡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지.
  10. 제 8항에 있어서,
    약포지의 내륜이 원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약포지.
  11. 제 8항에 있어서,
    약포지의 내륜이 정다각형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약포지.
KR1020040002180A 2004-01-13 2004-01-13 분말분배기와 약포지 KR20050074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180A KR20050074005A (ko) 2004-01-13 2004-01-13 분말분배기와 약포지
PCT/KR2005/000088 WO2005070368A1 (en) 2004-01-13 2005-01-11 Apparatus for powder distribution and medicine wra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180A KR20050074005A (ko) 2004-01-13 2004-01-13 분말분배기와 약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005A true KR20050074005A (ko) 2005-07-18

Family

ID=3480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180A KR20050074005A (ko) 2004-01-13 2004-01-13 분말분배기와 약포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74005A (ko)
WO (1) WO20050703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395A2 (ko) * 2011-02-22 2012-08-30 Lim Tae Young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3227A1 (de) * 1990-08-25 1992-03-05 O&K Orenstein & Koppel Ag Vertikalprallmühle mit integrierter materialklassierung
KR970002224U (ko) * 1995-06-12 1997-01-24 전윤식 선풍기 좌우 선회 장치
KR200189100Y1 (ko) * 2000-02-08 2000-07-15 권오주 자동정제분쇄기
KR20020015929A (ko) * 2000-08-23 2002-03-02 김기천 분말분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8614B2 (ja) * 1992-05-07 1998-06-25 正二 湯山 錠剤収納取出し装置
JPH0640401A (ja) * 1992-11-14 1994-02-15 Tokyo Shokai:Kk 薬剤分包機の薬剤供給装置
JP3476935B2 (ja) * 1994-12-14 2003-12-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の容量分割方法と分割装置
KR0116203Y1 (ko) * 1995-06-26 1998-04-18 배순훈 오일연소기용 연료탱크의 필터캡구조
KR100430108B1 (ko) * 2001-08-18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액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3227A1 (de) * 1990-08-25 1992-03-05 O&K Orenstein & Koppel Ag Vertikalprallmühle mit integrierter materialklassierung
KR970002224U (ko) * 1995-06-12 1997-01-24 전윤식 선풍기 좌우 선회 장치
KR200189100Y1 (ko) * 2000-02-08 2000-07-15 권오주 자동정제분쇄기
KR20020015929A (ko) * 2000-08-23 2002-03-02 김기천 분말분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395A2 (ko) * 2011-02-22 2012-08-30 Lim Tae Young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WO2012115395A3 (ko) * 2011-02-22 2012-10-18 Lim Tae Young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70368A1 (en)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46771B (zh) 咖啡饮料系统、用于该系统的第二咖啡豆包装盒、用于通过该系统制备饮料的方法、用于冲调咖啡的方法和用于从该第二咖啡豆包装盒供应咖啡豆的方法
CN101564264B (zh) 用于处理食品的食品处理器具
US20080251618A1 (en) Device for comminuting a heap of particulate material
CN102921515B (zh) 一种药物粉碎器
CN106691197A (zh) 能磨豆的咖啡壶的工作方法
US6508424B1 (en) Battery operated pill crusher
WO2011102720A2 (en) Coffee beverage system, second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by means of said system, a method of brewing coffee and a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from said second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CN102395304A (zh) 咖啡豆包装筒和包括该咖啡豆包装筒的咖啡饮料系统
JPH0628745B2 (ja) 撹拌式粉砕機
CN108543610A (zh) 一种多级研磨中药材的装置
US20140318379A1 (en) Capsule with reinforcement members used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CN108435349A (zh) 一种研磨中药材的设备
KR101311823B1 (ko) 알약 분쇄기
JP2015039555A (ja) ミル装置
CN209222326U (zh) 一种红薯破碎设备
CN109174344A (zh) 一种新型的制药用研磨设备
KR102293070B1 (ko) 알약 분쇄 장치
CN107469925A (zh) 一种用于中药的多重粉碎装置
KR20050074005A (ko) 분말분배기와 약포지
KR101286690B1 (ko)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KR102320220B1 (ko) 알약 분쇄기
CN206731209U (zh) 一种药物粉碎机
CN209549641U (zh) 一种硬胶囊剂生产用的颗粒粉碎装置
KR20160069154A (ko) 1회용 분쇄봉지를 이용한 가루약 조제용 분쇄장치
JP2004506485A (ja) 粉末分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