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690B1 -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 Google Patents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690B1
KR101286690B1 KR1020110072903A KR20110072903A KR101286690B1 KR 101286690 B1 KR101286690 B1 KR 101286690B1 KR 1020110072903 A KR1020110072903 A KR 1020110072903A KR 20110072903 A KR20110072903 A KR 20110072903A KR 101286690 B1 KR101286690 B1 KR 10128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drug
hole
medicine
weak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616A (ko
Inventor
강보금
Original Assignee
강보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보금 filed Critical 강보금
Priority to KR1020110072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6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07Pill breaking or cru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는, 약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약분쇄부; 및 상기 약분쇄부에서 분쇄된 상기 약을 포장하도록, 상기 약분쇄부의 하부에 구성되는 약포장부;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약분쇄부는, 상기 약이 투입되어 하방이동되면서 분쇄되도록, 상방 개구된 투입구를 가지며 상하방향 관통된 구조를 가진 관통홀이 형성된 분쇄하우징; 및 상기 분쇄하우징에 설치되며, 저속회전하면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약을 분쇄하도록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된 분쇄롤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는, 분쇄하우징에 약이 분쇄되는 관통홀이 복수 개가 구비됨으로써, 조제시 정량의 약을 조제하면서 이와 동시에 여러 횟수에 거쳐 복용할 약을 신속하게 한번에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저속회전하는 분쇄롤러를 포함함으로써, 약가루가 날리지 않아서 건강에 안전하면서도 소음이 없는 조제를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약포장부가 약분쇄부의 하부에 구성됨으로써, 약사가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약을 조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Pill Grinder having of enveloping fuction}
본 발명은 약분쇄기로서, 약을 정량이 포함되도록 조제하면서도 많은 횟수의 복용분을 신속하면서도 건강상 안전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약포장까지 가능한 약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복약은 형태에 따라 알약(정제약), 가루약, 물약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에 알약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며 보편화 되어 있다.
그러나, 노인과 소아 등 연하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들은 알약을 복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서, 알약을 복용하기 위해서는 가루로 갈아서 먹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병원과 약국 등에서 처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약 사발(1)을 사용하였으나, 많은 양의 약을 갈기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제는 도 2에 도시된 고속회전방식의 분쇄기(2)를 일반적으로 이용하여 약을 갈며, 약을 갈 때는 며칠 분의 약을 한꺼번에 넣고 갈아서 약 스푼으로 떠서 복용횟수만큼 나누어 조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조제방법은 약사가 스푼을 이용하여 손으로 떠서 분배하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약이 정확하게 분배되지 않아서 약을 복용할 때 약이 섞이게 되고 정확한 양의 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분쇄기가 고속 회전하면서 나는 모터소리가 아주 시끄러우며, 약을 봉지에 넣고 난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약포장기(3)로 이동시켜 약포장기에 넣고 포장을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일손도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약분쇄기를 이용하여 약을 갈 때 가장 문제점은 모터에 달려있는 칼날이 빠르게 회전하면서 약을 가는 방식이므로, 약이 분쇄기 안에서 회전하다가 분쇄기의 뚜껑을 열게 되면 가루로서 공중에 날려서 약사의 호흡기, 피부, 눈을 통해서 흡입되어 약사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약을 정량이 포함되도록 조제하면서도 많은 횟수의 복용분을 신속하면서도 건강상 안전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약포장까지 가능한 약분쇄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는, 약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약분쇄부; 및 상기 약분쇄부에서 분쇄된 상기 약을 포장하도록, 상기 약분쇄부의 하부에 구성되는 약포장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약분쇄부는, 상기 약이 투입되어 하방이동되면서 분쇄되도록, 상방 개구된 투입구를 가지며 상하방향 관통된 구조를 가진 관통홀이 형성된 분쇄하우징; 및 상기 분쇄하우징에 설치되며, 저속회전하면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약을 분쇄하도록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된 분쇄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분쇄하우징의 관통홀은 나란하게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나란하게 복수 개가 형성된 상기 관통홀은 하나의 열을 이루며, 복수 개의 상기 열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분쇄롤러는,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마다 설치되며, 하나의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상기 관통홀 내의 상기 분쇄롤러는, 적어도 두 개가 한 세트로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두 개 사이를 지나는 상기 약이 하방이동되면서 분쇄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되며, 서로 근접된 한 세트의 상기 분쇄롤러는,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분쇄롤러는 서로 연동되어 함께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쇄롤러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손잡이가 장착되어 수동회전가능하거나, 회전모터가 장착되어 자동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약포장부는, 상기 약분쇄부에 하부에 연결배치된 포장부몸체; 상기 약분쇄부의 관통홀 하측에 상부개방된 약봉지가 안착되도록, 상기 포장부몸체의 형성된 거치대; 및 분쇄된 상기 약이 낙하하여 유입된 상기 약봉지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약봉지 상단부를 가압하면서 가열하도록, 상기 포장부몸체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거치대 상측에 배치된 열선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열선부재가 하방이동 후 탄성력을 통해 원상복귀되도록, 상기 포장부몸체에 대한 상기 열선부재의 힌지연결부위에 탄성부재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는, 분쇄하우징에 약이 분쇄되는 관통홀이 복수 개가 구비됨으로써, 조제시 정량의 약을 조제하면서 이와 동시에 여러 횟수에 거쳐 복용할 약을 신속하게 한번에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저속회전하는 분쇄롤러를 포함함으로써, 약가루가 날리지 않아서 건강에 안전하면서도 소음이 없는 조제를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약포장부가 약분쇄부의 하부에 구성됨으로써, 약사가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약을 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분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분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장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약분쇄기의 분쇄하우징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4 및 도 5의 분쇄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분쇄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 및 도 5의 분쇄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분쇄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약분쇄기의 분쇄하우징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 및 도 5의 분쇄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분쇄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 및 도 5의 분쇄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분쇄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약분쇄부(20)와, 상기 약분쇄부(20)의 하부에 구성되는 약포장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약포장부(40)는 약분쇄부(20)와 일체형으로서 하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서 약분쇄부(20)의 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약분쇄부(20)는 약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데 분쇄하우징(22)과, 상기 분쇄하우징(22)에 내장된 분쇄롤러(2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쇄하우징(22)은 약이 투입되는 상방 개구된 투입구(23a)를 가진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23)은 투입된 약이 하방이동되면서 분쇄되도록 상하방향 관통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관통홀(23)은 도 4에 도시된 분쇄하우징(22)의 내부에 구성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23)을 형성시키는 별도의 부재가 분쇄하우징(22)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분쇄하우징(22)은 본 발명에 의해 그 구조가 한정되지 않으며, 약이 투입되어 자중에 의해 하방이동될 수 있는 이동로로서의 관통홀(23)을 형상화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쇄하우징(22)은,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홀(23)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된다.
나아가, 나란하게 복수 개가 형성된 상기 관통홀(23)은 하나의 열을 이루며, 복수 개의 상기 열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제시 정량의 약을 조제하면서 이와 동시에 여러 횟수에 거쳐 복용할 약을 신속하게 한번에 조제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하루 3회에 거쳐 복용할 약을 2일치 조제하는 경우에, 1회 복용분인 알약이 10개라고 하면, 6개의 투입구(23a)에 10개의 알약을 각각 투입하여 알약을 분쇄하여 조제한다.
즉, 하루 3회에 거쳐 2일치 복용할 약이면 총 6회의 조제약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 1회에 복용할 알약의 개수가 여러 가지 종류의 알약을 모두 합쳐서 10개인 경우, 이러한 10개의 알약을 각각의 투입구(23a)에 투입하는데 총 6개의 투입구(23a)에 투입을 한다면, 6회의 조제약을 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1회에 복용해야할 정확한 양의 조제약을 조제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한 번의 조제과정을 거쳐 상기 정량의 조제약을 신속하게 복수 개 조제할 수 있다.
종래에는 1회분 약인 10개의 알약을 갈고, 그리고 나서 다음 회차의 10개의 알약을 가는 과정을 6차례에 걸쳐서 반복하여 조제해야 하는데, 이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업효율도 떨어지게 되니까, 6회분의 조제약인 60개의 알약을 한꺼번에 갈아서 약사가 약 스푼으로 6개의 약봉지에 분배하여 포장하였다. 하지만 이 또한 약사가 조제약을 눈대중으로 나누어서 약봉지에 분배하기 때문에, 성분이 다른 약들이 정확하게 분배되지 않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1번 약봉지에는 진통제 성분이 많이 들어가고 2번 약봉지에는 소화제 성분이 많이 들어가게 되어 특정성분의 약을 한꺼번에 적게 복용하거나 과다 복용하게 되어 실제로는 처방과 다른 약을 복용하게 됨으로써, 약효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부작용으로 인하여 환자의 건강에 위해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복수 개 관통홀(23)을 통해 복수 회의 약을 각각 독립적으로 한꺼번에 조제함으로써, 약을 신속하면서도 정량으로 조제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람직한 예로서, 7개의 관통홀(23)이 나란하게 형성된 하나의 열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그 열이 3개 있으면 이에 따라 한 번의 작업으로 21회분의 약을 조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제약을 지을 때 7일치 약이 기본적으로 처방되는데, 이때 21회치, 즉 21봉을 한꺼번에 조제한다면 시간 및 노동적인 조제작업 측면에 있어서 효율적이다.
이에 따라, 분쇄롤러(24)가 구성된 21개의 관통홀(23)이 형성되도록 그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바람직하게 7개의 관통홀(23)이 3개의 열로서 배치될 수 있으며,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배치구조는 적절하게 다수 열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열에 구성되는 분쇄롤러(24)는, 후술된 바와 같은 구체적인 구동원리를 통해, 그 회전축(24a)이 하나의 구성원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한꺼번에 회전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쇄롤러(24)는 분쇄하우징(22)에 설치되며, 저속회전하면서 관통홀(23)을 통과하는 약을 분쇄하도록 관통홀(23) 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분쇄하우징(22)의 관통홀(23)은 나란하게 복수 개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23)마다 설치된 분쇄롤러(24)들이 하나의 회전축(24a)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나의 회전축(24a)이 회전하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23)마다 설치된 분쇄롤러(24)들이 함께 회전구동한다.
아울러, 이러한 분쇄롤러(2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가 한 세트로서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며, 두 개 사이를 지나는 약이 하방이동되면서 분쇄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분쇄롤러(24)는 나란하게 두 개가 서로 적정간격으로 근접되고, 그 사이의 위치에서 하측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투입구(23a)를 통해 관통홀(23)에 인입된 약을 하방이동시키면서 분쇄시킨다.
이때, 상기 한 세트의 분쇄롤러는 서로에 대해 기어체결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일정부위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기어구조를 취하여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성을 지니며, 바람직하게 일측 단부에 기어(25)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기어(25)는 분쇄롤러(24)의 관통홀(23) 내에서 외부로 연장된 회전축(24a)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분쇄롤러가 회전하면 이와 연동되어 기어체결된 다른 하나의 분쇄롤러도 회전하게 된다. 즉, 하나의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를 통해서도 하나 이상의 분쇄롤러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풀리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서도 복수 개의 상기 분쇄롤러가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서로 근접된 한 세트의 상기 분쇄롤러(24)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23)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하방향 이격된 각 세트의 분쇄롤러는, 서로에 대해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하나의 구동원과 연결된 구동기어(26)가 상하 측에 배치된 기어(25)와 각각 기어체결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26)의 회전에 따라 상하 측에 각각 배치된 한 세트의 분쇄롤러(24)들은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쇄롤러(24)의 회전구동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동인 경우에는 구체적인 일례로서, 분쇄롤러(24)는 길이방향 중심으로 회전축(24a)을 가지며, 가장 일측에 있는 관통홀(23)의 외측으로 연장배치된 회전축(24a)의 단부에 손잡이(미도시)가 체결고정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적정속도(저속)로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상기 분쇄롤러(24)를 회전축(24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인 경우에는, 분쇄하우징(22)의 내외측에 상관없이 상기 회전축(24a)의 단부에 회전모터(미도시)가 장착되어, 상기 회전모터 동작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분쇄롤러(24)를 회전축(24a)을 중심으로 회전 및 정지시킬 수 있다. 물론, 이때 회전모터에는 감속기가 구성되어 큰 힘으로 저속회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쇄롤러(24)를 지님으로써, 약가루가 날리지 않아서 위생적인 조제가 가능하면서 소음이 없는 조제를 가능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고속회전모터를 사용하여 약을 갈았기 때문에 약가루가 통안에서 회전하고 있다가 약을 다 갈고 나서 뚜껑을 열면, 원심력에 의해 약가루가 외부로 날리게 되어 약사의 코나 입을 통해 흡입되거나 눈 또는 피부에 붙게 되는데, 약사가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환풍기를 틀어 놓더라도 공기 중에 날리는 약가루는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며, 이에 더하여 약가루가 특정환자만 복용하는 특정성분인 경우에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큰 위해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약분쇄기는 고속회전하는 칼날을 가지는데, 상기 약분쇄기를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정제약이 일반적으로 딱딱하고 코팅까지 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칼날에 무리가 많이 가게 되어 마모가 잘 된다. 실제로 약국에서 상기 약분쇄기의 칼날을 자주 교환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결과로서 분쇄된 가루약에는 칼날의 쇳가루가 섞여 들어가게 됨으로써 환자의 건강에 해로운 결과를 낳는다. 이에 더하여, 회전모터의 고속회전에 따른 소음 또한 상당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롤러형상인 분쇄롤러(24)가 저속회전하면서 약을 갈아서 조제함으로써, 약가루가 날리지 않아서 건강에 안전하면서도 소음이 없는 조제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약분쇄부(20)의 하부에 구성되는 약포장부(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약포장부(40)는 약분쇄부(20)에 하방배치됨으로써 약분쇄부(20)에서 분쇄된 약을 포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포장부(40)는 포장부몸체(42), 상기 포장부몸체(42)의 형성된 거치대(44), 및 상기 포장부몸체(42)에 힌지연결되어 거치대(44) 상측에 배치된 열선부재(46)를 구비한다.
상기 포장부몸체(42)는 약분쇄부(20)의 하부에 연결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44)는 상부개방된 약봉지가 약분쇄부(20)의 관통홀(23) 하측에 안착되도록 포장부몸체(42)의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열선부재(46)는 분쇄된 상기 약이 낙하하여 유입된 약봉지를 밀봉하기 위해, 약봉지 상단부를 가압하면서 가열하도록 포장부몸체에서 거치대(44) 상측에 배치된다.
아울러, 열선부재(46)는 손으로 누르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포장부몸체(42)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방이동 후 탄성력을 통해 원상복귀되도록, 포장부몸체(42)에 대한 힌지연결부위에 탄성부재(미도시)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약포장부(40)는 약분쇄부(20)를 통해 분쇄된 약을 약봉지에 인입되도록 약분쇄부(20)의 하부에 구성되는 구조를 갖추면서, 열선부재(46)에 의해 약봉지의 상단부를 밀봉시키는 기능을 지니면 될 뿐,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않고 국내특허등록 제0197332호를 비롯하여 종래의 어떠한 약포장부의 구성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약포장부(40)가 약분쇄부(20)의 하부에 구성됨으로써, 약사가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약을 조제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약사가 약을 분쇄하고 나서 분쇄기 뚜껑을 열고 약스푼으로 약을 약봉지에 분배하여 담고, 약봉지를 별도의 약포장기로 이동하여 약을 포장하였기 때문에, 조제과정이 너무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비효율적이었는데, 이를 본 발명의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를 통해 극복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약분쇄부 22 : 분쇄하우징
23 : 관통홀 23a : 투입구
24 : 분쇄롤러 24a : 회전축
25 : 기어 26 : 구동기어
40 : 약포장부 44 : 거치대
46 : 열선부재

Claims (8)

  1. 약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약분쇄부; 및
    상기 약분쇄부에서 분쇄된 상기 약을 포장하도록, 상기 약분쇄부의 하부에 구성되는 약포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약분쇄부는,
    약이 투입되어 하방이동되면서 분쇄되도록, 상방 개구된 투입구를 가지며 상하방향 관통된 구조를 가진 관통홀이 형성된 분쇄하우징; 및
    상기 분쇄하우징에 설치되며, 저속회전하면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약을 분쇄하도록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된 분쇄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하우징의 관통홀은 나란하게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4. 제3항에 있어서,
    나란하게 복수 개가 형성된 상기 관통홀은 하나의 열을 이루며, 복수 개의 상기 열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러는,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마다 설치되며, 하나의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6.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관통홀 내의 상기 분쇄롤러는, 적어도 두 개가 한 세트로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두 개 사이를 지나는 상기 약이 하방이동되면서 분쇄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되며,
    서로 근접된 한 세트의 상기 분쇄롤러는,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분쇄롤러는 서로 연동되어 함께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러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손잡이가 장착되어 수동회전가능하거나, 회전모터가 장착되어 자동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장부는,
    상기 약분쇄부에 하부에 연결배치된 포장부몸체;
    상기 약분쇄부의 관통홀 하측에 상부개방된 약봉지가 안착되도록, 상기 포장부몸체의 형성된 거치대; 및
    분쇄된 상기 약이 낙하하여 유입된 상기 약봉지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약봉지 상단부를 가압하면서 가열하도록, 상기 포장부몸체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거치대 상측에 배치된 열선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열선부재가 하방이동 후 탄성력을 통해 원상복귀되도록, 상기 포장부몸체에 대한 상기 열선부재의 힌지연결부위에 탄성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KR1020110072903A 2011-07-22 2011-07-22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KR101286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903A KR101286690B1 (ko) 2011-07-22 2011-07-22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903A KR101286690B1 (ko) 2011-07-22 2011-07-22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616A KR20130011616A (ko) 2013-01-30
KR101286690B1 true KR101286690B1 (ko) 2013-07-16

Family

ID=4784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903A KR101286690B1 (ko) 2011-07-22 2011-07-22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6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728B1 (ko) 2016-01-25 2017-05-18 박의식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
KR102147537B1 (ko) * 2020-02-07 2020-08-24 강종효 알약 분쇄기
KR20210072627A (ko) 2019-12-09 2021-06-1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알약 분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6564B (zh) * 2018-04-26 2020-04-28 安徽济善堂中药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材破碎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302A (ja) * 1995-02-17 1996-09-17 Gishoku Boku 薬剤の定量供給及び包装装置
KR0122097B1 (ko) * 1994-01-28 1997-11-11 박의식 약제포장용 정량공급장치
JPH11123699A (ja) * 1997-10-23 1999-05-11 Yuyama Seisakusho:Kk 錠剤包装装置
JPH11226089A (ja) * 1998-02-12 1999-08-24 Tosho:Kk 錠剤分包機および錠剤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097B1 (ko) * 1994-01-28 1997-11-11 박의식 약제포장용 정량공급장치
JPH08238302A (ja) * 1995-02-17 1996-09-17 Gishoku Boku 薬剤の定量供給及び包装装置
JPH11123699A (ja) * 1997-10-23 1999-05-11 Yuyama Seisakusho:Kk 錠剤包装装置
JPH11226089A (ja) * 1998-02-12 1999-08-24 Tosho:Kk 錠剤分包機および錠剤供給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728B1 (ko) 2016-01-25 2017-05-18 박의식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
KR20210072627A (ko) 2019-12-09 2021-06-1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알약 분쇄기
KR102147537B1 (ko) * 2020-02-07 2020-08-24 강종효 알약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616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5311T3 (es) Nueva formulacionpara inhalacion que tiene una densidad aparente de vertido de 0,28 a 0,38 g/ml, un proceso para preparar la formulacion y el uso de la misma.
KR101286690B1 (ko)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CN102921515B (zh) 一种药物粉碎器
KR102153362B1 (ko) 알약 분쇄기
KR102329314B1 (ko) 알약 분쇄기
KR101681235B1 (ko) 개인별 맞춤 한약 조제 시스템
CN107282227B (zh) 一种医用药材粉碎装置
KR101311823B1 (ko) 알약 분쇄기
KR102305862B1 (ko) 알약 분쇄기
CN206577849U (zh) 药材碾磨装置
KR20160069154A (ko) 1회용 분쇄봉지를 이용한 가루약 조제용 분쇄장치
KR20210022301A (ko) 알약 분쇄 장치
KR102153367B1 (ko) 알약 분쇄기
CN207463395U (zh) 一种中药多重粉碎装置
KR102320220B1 (ko) 알약 분쇄기
KR20220131570A (ko) 알약 분쇄기
JP2017530754A (ja) 薬物の粉砕及びデリバリーカップ
CN208229119U (zh) 一种儿科治疗药物粉碎装置
CN107457068A (zh) 一种药材加工装置
KR101333548B1 (ko) 정제 분쇄장치
CN206083072U (zh) 一种可对胶囊加热杀菌的筛选装置
KR101737728B1 (ko)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
KR102521338B1 (ko) 알약 분쇄기
KR102372263B1 (ko) 알약 분쇄기
CN209188944U (zh) 一种快速药品粉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