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728B1 -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 - Google Patents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728B1
KR101737728B1 KR1020160008637A KR20160008637A KR101737728B1 KR 101737728 B1 KR101737728 B1 KR 101737728B1 KR 1020160008637 A KR1020160008637 A KR 1020160008637A KR 20160008637 A KR20160008637 A KR 20160008637A KR 101737728 B1 KR101737728 B1 KR 101737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rusher
crushing
pulverizer
coupl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식
Original Assignee
박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식 filed Critical 박의식
Priority to KR102016000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mill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D)을 개별적으로 투입하여 분쇄하는 정제 분쇄기(A)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부의 투입부(11)로 약(D)을 투입하고, 중앙의 분쇄날(15)로 분쇄된 가루약(D')을 하부에 투입부(11)와 연통되는 배출부(17)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며, 분쇄과정에서 약(D)이나 분쇄된 가루약(D')의 유출을 막기 위해 상하부에 각각 마개(12)(18)를 구비하고, 분쇄된 가루약(D')만을 투약병(B)에 공급하도록 배출부(17)에 거름망(19)을 구비하는 분쇄기모듈(10);
상기 분쇄기모듈(10)의 일측에 위치하고, 분쇄날(15)과 연결되어 분쇄작업을 하도록 구동모터(21)와 모듈결합축(23)을 구비하고, 다수개의 분쇄기모듈(10) 상에 삽설하여 일부를 개별적으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모듈결합축(23)의 일측으로 진동스프링(25)을 수용하는 원터치밸브(27)를 구비하는 구동장치(20); 및 상기 분쇄기모듈(10)의 타측에 위치하고, 분쇄부(14)내에 잔류하는 가루약(D')을 배출하도록 진동모터(31)와 진동기(33)를 구비하는 진동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약물 정제시 환자마다 전용의 개별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하여 다양한 약물에 의한 혼합을 막는 동시에 분쇄된 약물을 분쇄기에서 시럽병으로 자동 투입되어 약물노출 및 분진발생에 따른 약사의 건강상 위험을 방지하고, 개별분쇄기를 분리하여 각각의 분쇄기모듈만을 세척과 소독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Syrup medicine preparation assembly-type tablet pulverizer for children}
본 발명은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물 정제시 환자마다 전용의 개별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하여 다양한 약물에 의한 혼합을 막는 동시에 분쇄된 약물을 분쇄기에서 시럽병으로 자동 투입되어 약물노출 및 분진발생에 따른 약사의 건강상 위험을 방지하고, 개별분쇄기를 분리하여 각각의 분쇄기모듈만을 세척과 소독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약국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약을 조제하여 판매하고 있는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소아나 노인 등의 경우에는 보통의 알약 대신 가루약 또는 시럽형태의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통상적인 대부분의 약물들은 알약형태로 정제되어 판매가 되고 있는바, 가루나 시럽형태의 제형으로 판매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약국에서는 정제로 판매되는 약품을 분쇄하여 조제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한편, 약의 분쇄는 전용분쇄기를 사용하는데, 분쇄시 처방전에 기재되어 있는 약물만을 분쇄하면서 분쇄기의 재사용으로 분쇄기내의 잔류하는 약물이 혼합될 수 있다. 처방전마다 전용분쇄기를 사용할 수도 없고 분쇄가 끝날 때마다 분쇄기를 세척 및 소독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분쇄와 조제시 발생하는 약성분의 분진에 노출된 약사는 약물에 대한 위험성을 안고 있으면서 별다른 대안 없이 반복된 작업을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특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6690호가 알려져 있다.
선행특허의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6690호의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는, 약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약 분쇄부; 및 상기 약 분쇄부에서 분쇄된 상기 약을 포장하도록, 상기 약 분쇄부의 하부에 구성되는 약 포장부;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약 분쇄부는, 상기 약이 투입되어 하방이동되면서 분쇄되도록, 상방 개구된 투입구를 가지며 상하방향 관통된 구조를 가진 관통홀이 형성된 분쇄하우징; 및 상기 분쇄하우징에 설치되며, 저속회전하면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약을 분쇄하도록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된 분쇄롤러;를 구비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약을 분쇄한 다음 분쇄기의 세척 및 소독시에는 약 분쇄부 전체를 분리하여 관리하는 불편함은 물론 복수개의 관통홀을 지닌 약 분쇄부를 구비하더라도 한 번에 수많은 종류의 약을 분쇄하기에는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약 분쇄부 중 일부를 청소한 후에 재사용하는 방법이 효과적이지만 선행문헌의 발명구조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제공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6690호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등록일자: 2013. 07. 10.)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 정제시 환자마다 전용의 개별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하여 다양한 약물에 의한 혼합을 막는 동시에 분쇄된 약물을 분쇄기에서 시럽병으로 자동 투입되어 약물노출 및 분진발생에 따른 약사의 건강상 위험을 방지하고, 개별분쇄기를 분리하여 각각의 분쇄기모듈만을 세척과 소독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분쇄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약을 개별적으로 투입하여 분쇄하는 정제 분쇄기에 있어서: 상부의 투입부로 약을 투입하고, 중앙의 분쇄날로 분쇄된 가루약을 하부에 투입부와 연통되는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며, 분쇄과정에서 약이나 분쇄된 가루약의 유출을 막기 위해 상하부에 각각 마개를 구비하고, 분쇄된 가루약만을 투약병에 공급하도록 배출부에 거름망을 구비하는 분쇄기모듈; 상기 분쇄기모듈의 일측에 위치하고, 분쇄날과 연결되어 분쇄작업을 하도록 구동모터와 모듈결합축을 구비하고, 다수개의 분쇄기모듈 상에 삽설하여 일부를 개별적으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모듈결합축의 일측으로 진동스프링을 수용하는 원터치밸브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분쇄기모듈의 타측에 위치하고, 분쇄부 내에 잔류하는 가루약을 배출하도록 진동모터와 진동기를 구비하는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분쇄기모듈은 약의 개별적 분쇄를 위하여 다수개를 일렬 배치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분쇄기는 약물 정제시 환자마다 전용의 개별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하여 다양한 약물에 의한 혼합을 막는 동시에 분쇄된 약물을 분쇄기에서 시럽병으로 자동 투입되어 약물노출 및 분진발생에 따른 약사의 건강상 위험을 방지하고, 개별분쇄기를 분리하여 각각의 분쇄기모듈만을 세척과 소독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분쇄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분쇄기의 주요부만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분쇄기를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분쇄기의 주요부만을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약(D)을 개별적으로 투입하여 분쇄하는 정제 분쇄기(A)에 관련되며, 분쇄기모듈(10), 구동장치(20), 진동장치(3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약(D)은 일반적인 형태의 알약(정제약)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형 제형의 의약품을 분쇄기(A)에 넣어 가루약(D')으로 분쇄하는데 사용하는 발명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모듈(10)은 상부의 투입부(11)로 약(D)을 투입하고, 중앙의 분쇄날(15)로 분쇄된 가루약(D')을 하부의 배출부(17)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분쇄기모듈(10)은 하향기준으로 크게 투입부(11), 분쇄부(14), 배출부(17)로 이루어지는데, 상부의 투입부(11)로는 고형 제형의 약(D)을 투입하는 입구이고, 중앙의 분쇄부(14)는 상기 투입부(11)를 통과한 약(D)을 분쇄날(15)을 사용하여 가루약(D')으로 분쇄하는 지점이다. 그리고 배출부(17)는 분쇄부(14)에서 분쇄한 가루약(D')을 분쇄기모듈(10)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로서 본 발명에서는 배출구(17)의 하단으로 투약병(B)을 설치하여 배출하는 가루약(D')을 저장하도록 구성한다.
즉, 분쇄기모듈(10)은 투입부(11), 분쇄부(14), 배출부(17)가 하나의 통로로 이어지게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분쇄기모듈(10)의 상기 구성은 하나의 분쇄기모듈(10)을 기준하여 좌우 양면에 형성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분쇄기모듈(10)은 약(D)의 개별적 분쇄를 위하여 다수개를 일렬 배치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 양면에 투입부(11), 분쇄부(14), 배출부(17)를 구비하는 분쇄기모듈(10)은 다양한 종류의 약(D)을 투입하여 혼합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분쇄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분쇄기모듈(10)을 일렬로 배치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한다. 일렬배치로 조립하는 구성의 분쇄기모듈(10)을 사용하면, 동일한 투입부(11), 분쇄부(14), 배출부(17)를 사용하여 약(D)을 분쇄하지 않고 다수개의 분쇄기모듈(10)에 따라 각각의 투입부(11), 분쇄부(14), 배출부(17)를 통하여 약(D)을 투입 및 분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분쇄기모듈(10)은 분쇄과정에서 약(D)이나 분쇄된 가루약(D')의 유출을 막기 위해 상하부에 각각 마개(12)(18)를 구비하고, 분쇄된 가루약(D')만을 투약병(B)에 공급하도록 배출부(17)에 거름망(1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쇄기모듈(10)의 상하부에는 각각 마개(12)(18)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투입부(11)를 통과한 약(D)이 분쇄부(14)에서 분쇄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출입구를 봉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분쇄부(14)에 들어간 약(D)이 가루약(D')으로 분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작은 알갱이, 분쇄된 가루약(D')의 분진 등이 투입부(11)나 배출부(17)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기에 사전에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분쇄기모듈(10)의 배출부(17)의 일단에는 분쇄부(14)에서 분쇄된 가루약(D')만을 투약병(B)에 공급하기 위하여 거름망(19)을 구비하는데, 이 구성은 분쇄된 가루약(D') 중 일부가 분쇄되지 않았거나 이물질이 포함되어 배출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20)는 상기 분쇄기모듈(10)의 일측에 위치하고, 분쇄날(15)과 연결되어 분쇄작업을 하도록 구동모터(21)와 모듈결합축(23)을 구비한다. 구동장치(20)는 상기 분쇄기모듈(1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분쇄기모듈(10)의 분쇄부(14)에 설치되는 분쇄날(15)과 축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동모터(21)와 모듈결합축(23)을 구비한다. 분쇄기모듈(10)의 외부 일측에 구동모터(21)와, 모듈결합축(23)의 일부를 구비하고, 모듈결합축(23)의 나머지 축부분은 분쇄기모듈(10)의 내부를 통과하여 분쇄부(14)의 분쇄날(15)과 축결합하여 구동모터(21)의 동력을 모듈결합축(23)이 전달받아 회전운동한다. 모듈결합축(23)의 회전운동은 축결합된 분쇄날(15)에 그대로 전해져 분쇄부(14)로 이동해온 약(D)을 회전운동에 따라 분쇄작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장치(20)는 다수개의 분쇄기모듈(10) 중 일부를 개별적으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모듈결합축(23)의 일측으로 진동스프링(25)과 원터치밸브(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장치(20)의 모듈결합축(23)은 다수개의 분쇄기모듈(10)의 내부를 통과하여 분쇄부(14)의 분쇄날(15)과 축결합하는 구조인데, 다수개의 분쇄기모듈(10) 중 일부를 개별적으로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모듈결합축(23)의 일측(구동모터(21)와 연결된 방향)으로 진동스프링(25)과 원터치밸브(27)를 구비하는 바, 진동스프링(25)에 의해 모듈결합축(23)이 분쇄날(15)에 삽설하거나 이탈함에 따라 분쇄기모듈(10)의 분쇄날(15)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즉, 진동스프링(25)은 모듈결합축(23)에 결합된 분쇄날(15)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동시에, 후술하는 진동장치(30)에서 발생하는 진동까지 잡아주기 위한 구성이다. 원터치밸브(27)는 구동모터(21)와 분쇄기모듈(23)의 연결지점에 구비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분쇄기모듈(10)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거나 결합하기 위해서는 분쇄기모듈(10) 내부를 통과하는 모듈결합축(23)을 구동모터(21)와 축분리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분쇄기모듈(10)의 조립된 순서대로 분리, 결합하는 불편한 방법보다는 모듈결합축(23)을 탈부착하여 분쇄기모듈(10)을 개별적으로 분리 및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자기준에서 편리하고 재사용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30)는 상기 분쇄기모듈(10)의 타측에 위치하고, 분쇄부(14)내에 잔류하는 가루약(D')을 배출하도록 진동모터(31)와 진동기(33)를 구비한다. 진동장치(30)는 분쇄기모듈(10)의 타측 즉, 상기 구동장치(20)와는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분쇄부(14)내에서 고형의 약(D)을 분쇄한 가루약(D')이 배출부(17)를 통해 투약병(B)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분쇄부(14)내에 잔류하는 가루약(D')까지 모두 배출하도록 분쇄기모듈(10)의 외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모터(31)와 진동기(33)를 구비한다. 분쇄기모듈(10)의 내부에서 분쇄날(14)을 통한 고형의 약(D)을 분쇄하여 최종적으로 가루약(D')을 제조하는데 이때 배출부(17)에 구비된 투약병(B)으로 가루약(D')을 공급하지만 일부 가루약(D')이 분쇄부(14)에 쌓여 잔류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분쇄기모듈(10)의 타측에 진동모터(31)와 연결된 진동기(33)를 구비하여 분쇄기모듈(10) 자체에 진동을 가하여 분쇄부(14)내에 잔류하는 가루약(D')을 배출부(17)에 구비된 투약병(B)으로 모두 투입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분쇄기모듈(10)을 통하여 고형의 약(D)을 개별적으로 분쇄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분쇄기모듈(10)을 일렬배치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한다. 이어서 분쇄기모듈(10)은 상부의 투입부(11)로 고형의 약(D)을 투입하고, 중앙의 분쇄부(14)에 구비된 분쇄날(15)이 회전하면서 투입부(11)의 약(D)을 분쇄하여 가루약(D')으로 정제한다. 분쇄날(15)의 회전을 위한 동력의 원천은 분쇄기모듈(10)의 일측에 위치한 구동장치(20)로서, 동력을 생산하는 구동모터(21)와, 분쇄날(15)과 구동모터(21)를 축결합하여 회전하는 모듈결합축(23)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분쇄된 가루약(D')은 하부의 배출부(17)를 통하여 배출되는데, 배출부(17) 내부에 거름망(19)을 구비하여 완전한 가루약(D')만을 배출하도록 구성하였고, 배출부(17)의 하단에 투약병(B)을 설치하여 배출되는 가루약(D')을 저장한다. 그리고 분쇄기모듈(10)의 타측, 구동장치(20)와 대향하는 위치에 진동모터(31)와 진동기(33)를 포함하는 진동장치(30)를 구비하여 분쇄부(14)에서 분쇄하고 배출되지 않은 잔류 가루약(D')을 진동방식을 사용하여 모두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약물 정제시 환자마다 전용의 개별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하여 다양한 약물에 의한 혼합을 막는 동시에 분쇄된 약물을 분쇄기에서 시럽병으로 자동 투입되어 약물노출 및 분진발생에 따른 약사의 건강상 위험을 방지하고, 개별분쇄기를 분리하여 각각의 분쇄기모듈만을 세척과 소독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분쇄기모듈 11: 투입부
12: 마개 14: 분쇄부
15: 분쇄날 17: 배출부
18: 마개 19: 거름망
20: 구동장치 21: 구동모터
23: 모듈결합축 25: 진동스프링
27: 원터치밸브 30: 진동장치
31: 진동모터 33: 진동기
A: 분쇄기 B: 투약병
D: 약 D': 가루약

Claims (4)

  1. 약(D)을 개별적으로 투입하여 분쇄하는 정제 분쇄기(A)에 있어서:
    상부의 투입부(11)로 약(D)을 투입하고, 중앙의 분쇄날(15)로 분쇄된 가루약(D')을 하부에 투입부(11)와 연통되는 배출부(17)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며, 분쇄과정에서 약(D)이나 분쇄된 가루약(D')의 유출을 막기 위해 상하부에 각각 마개(12)(18)를 구비하고, 분쇄된 가루약(D')만을 투약병(B)에 공급하도록 배출부(17)에 거름망(19)을 구비하는 분쇄기모듈(10);
    상기 분쇄기모듈(10)의 일측에 위치하고, 분쇄날(15)과 연결되어 분쇄작업을 하도록 구동모터(21)와 모듈결합축(23)을 구비하고, 다수개의 분쇄기모듈(10) 상에 삽설하여 일부를 개별적으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모듈결합축(23)의 일측으로 진동스프링(25)을 수용하는 원터치밸브(27)를 구비하는 구동장치(20); 및
    상기 분쇄기모듈(10)의 타측에 위치하고, 분쇄부(14)내에 잔류하는 가루약(D')을 배출하도록 진동모터(31)와 진동기(33)를 구비하는 진동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분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모듈(10)은 약(D)의 개별적 분쇄를 위하여 다수개를 일렬배치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분쇄기.
  3. 삭제
  4. 삭제
KR1020160008637A 2016-01-25 2016-01-25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 KR101737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37A KR101737728B1 (ko) 2016-01-25 2016-01-25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37A KR101737728B1 (ko) 2016-01-25 2016-01-25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728B1 true KR101737728B1 (ko) 2017-05-18

Family

ID=5904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637A KR101737728B1 (ko) 2016-01-25 2016-01-25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2153A (zh) * 2018-05-31 2018-11-09 羊远 一种中草药粉碎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9241A1 (en) * 1989-02-09 1990-08-23 Frank Arthur Green Device for crushing pills and the like
US20090213685A1 (en) * 2005-08-17 2009-08-27 Bsh Bosch Und Siemens Haugerate Gmbh Electric-Motor Kitchen Appliance Comprising an 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
KR101286690B1 (ko) 2011-07-22 2013-07-16 강보금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9241A1 (en) * 1989-02-09 1990-08-23 Frank Arthur Green Device for crushing pills and the like
US20090213685A1 (en) * 2005-08-17 2009-08-27 Bsh Bosch Und Siemens Haugerate Gmbh Electric-Motor Kitchen Appliance Comprising an 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
KR101286690B1 (ko) 2011-07-22 2013-07-16 강보금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2153A (zh) * 2018-05-31 2018-11-09 羊远 一种中草药粉碎装置
CN108772153B (zh) * 2018-05-31 2021-01-05 王新华 一种中草药粉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0089B2 (en) Medication crushing, grinding, and administering syringe and method of use
CN102921515B (zh) 一种药物粉碎器
CN205341006U (zh) 一种药材破碎搅拌配药装置
KR101083651B1 (ko)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KR101737728B1 (ko) 소아 시럽용 조립 정제 분쇄기
KR101311823B1 (ko) 알약 분쇄기
KR20180009448A (ko) 식별수단의 독취를 통해 작동되는 마스크팩 제조기기
KR20160069154A (ko) 1회용 분쇄봉지를 이용한 가루약 조제용 분쇄장치
KR20210022301A (ko) 알약 분쇄 장치
KR101286690B1 (ko) 약포장이 가능한 약분쇄기
US75437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ation
KR101932036B1 (ko) 가루약 및 분말식품 분배기
CN107469925A (zh) 一种用于中药的多重粉碎装置
KR20210003010A (ko) 알약 분쇄기
KR101333548B1 (ko) 정제 분쇄장치
KR102320220B1 (ko) 알약 분쇄기
CN210252592U (zh) 一种制药粉碎机机底防沉积设备
WO2019135671A4 (en) A tablet grinding and mixing device
KR100997020B1 (ko) 알약분쇄기
CN203842618U (zh) 一种中药材破碎研磨装置
TW531516B (en) Apparatus for distributting powder
CN215140206U (zh) 智能鼻饲用药粉碎机
CN210994604U (zh) 一种制药用原料粉碎机
KR19980067392U (ko) 알약 분쇄기
CN202860642U (zh) 药片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