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050A -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050A
KR20020010050A KR1020000043836A KR20000043836A KR20020010050A KR 20020010050 A KR20020010050 A KR 20020010050A KR 1020000043836 A KR1020000043836 A KR 1020000043836A KR 20000043836 A KR20000043836 A KR 20000043836A KR 20020010050 A KR20020010050 A KR 20020010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trip
steel
steel sheet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개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4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0050A/ko
Publication of KR2002001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05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용원소인 C 및 S 성분을 극저 관리하고 강도향상 원소인 Mn 상향, B를 미세 첨가한 극저 탄소강을 열간 압연하고 낮은 온도에서 권취하여 냉간압연에 의해 최종 두께까지 압연한 후 연속소둔 공정을 통하여 소둔을 실시하여 제조함으로서 C 성분 저하에 의한 용접시 휴움 발생 저감 및 극저 S 관리로 용접부 인성이 우수한 환경친화형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을 제공함에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Fe에 C, Mn, Si, P, S, Al, N, Ti, B의 합한 양이 2% 이하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과, Fe에 C, Mn, Si, P, S, Al, N, Ti, B의 합한 양이 2% 이하 함유된 강을 마련하는 제 1단계; 상기 강을 균질화 처리하고 마무리 압연하여 강판을 만든 다음 권취하는 제 2단계; 상기 권취된 강판을 냉간압연 하고 연속소둔 후 원하는 두께로 조질압연 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져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이 제조된 것이다.

Description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Flux Core Wire Cold She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성분(C, Mn, Si, P, S, Al, N, Ti, B)의 사용범위제한 및 첨가원소의 종류, 첨가량을 규제함과 동시에 적정 제조조건을 설정함으로서 용접시 휴움 발생저감 및 용접부위의 인성을 개선하여 환경친화형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을 제공하고, 또 수요가 최종제품의 품질향상 및 와이어 제조공정을 단순화시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럭스 코어 와이어(Flux Cored Wire) 용접봉은 와이어 자체가 연소되는 타 용접재료와는 달리 플럭스(Flux : 와이어 안에 들어있는 가루)가 연소되는 것으로서, 선박 등의 용접에 주로 사용되며 그 선박은 대부분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에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휴움 발생 양을 저감시켜 작업자의 건강보호는 물론, 작업환경의 개선에 신경을 써야한다.
그리고 상기 플럭스 코어 와이어 용접봉은 단위 시간당 휴움(Fume) 발생 양이 타 용접재료에 비해 높은 편임으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휴움의 발생 양을 줄이고 작업성 향상 및 자동화(Robot화)를 할 수 있는 용접 와이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생산성을 높이고 자동화 및 Robot화가 가능한 FC(A)W(Flux Cored Arc Welding) 용접법으로 전환되는 추세이고, 그에 사용할 수 있는 용접봉으로 외피가 강판으로 감싸여진 플럭스 코어 와이어(Flux Cored Wire) 용접봉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용접봉을 감싸는 외피 즉 강판은 특허등록 제134561호가 제공되어 있고 그 특허등록 제134561호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연강제 외피가 외피 전중량에 대한 비율로 C : ≤0.02%, Ti : 0.01%∼0.20%, Al : 0.01%∼0.15%를 함유하고 또한 Ti/C ≥1.0, Al/C ≥1.5를 만족하는 조성의 강으로 이루어지고, 플럭스가 와이어 전중량에 대한 비율로 Mn(외피중의 Mn량도 합계하여) : 0.50%∼3.60%, Si(외피중의 Si량도 합계하여) : 0.10%∼1.80%를 함유하는 플럭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시일드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연강제 외피에 플럭스를 충전하여 이루어진 가스 시일드 아아크 용접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있어서, 대 플럭스 전중량으로 TiO2: 8%∼60%, Cs의 화합물(Cs 원소환산치) : 0.01%∼1.0%(단, TiO2/Cs의 화합물(Cs 원소환산치)의 비 : 20∼2000), C 0.5%를 함유한 플럭스를 연강제 외피내에 와이어 전중량%로 5%∼30% 충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시일드 아아크 용접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연강제 외피에 플럭스를 충전하여 이루어진 가스 시일드 아아크 용접 메탈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있어서, 연강제 외피가 외피 전중량에 대한 비율로 C ≤0.02%, Ti : 0.01%∼0.20%, Al : 0.01%∼0.10%를 함유하고 또한 Ti/C ≥1.0, Al/C ≥1.5를 만족하는 조성의 강으로 이루어지고, 플럭스가 와이어 전중량에 대한 비율로 Cs 및 Rb를 제외한 알칼리금속의 산화물, 불화물의 1종 이상(알칼리 금속원소 환원치) : 0.01%∼0.30%, Fe분말 5%∼28% 금속분말 ≥94%(대 플럭스 전중량%), Cs 화합물 및 Rb 화합물 또는 그 어느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계(Cs 및 Rb, 또는 그 어느 하나의 원소환원치): 0.001%∼0.10%를 함유하고 또 Mn(외피중의 Mn량도 합계하여) : 0.50%∼3.60%, Si(외피중의 Si량도 합계하여) : 0.10%∼1.80%를 함유하는 메탈 플럭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시일드 아아크 용접 메탈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상과 같은 상기(종래)의 구성은 외피와 플럭스를 포함하는 가스 시일드 아아크 용접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외피는 용접봉의 송급성을 위한 강도확보를 위해 저탄소강으로 제조하고, 와이어 제조 후 표면의 윤활 성분을제거키 위해 수요가 배킹(Baking) 과정을 거쳐 생산됨에 따라 가공공정이 복잡하고, 고 C 강으로 생산됨으로서 휴움 발생 양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강종은 와이어의 송급성을 위한 어느 정도의 강도확보를 위해 저 탄소(C:0.02~0.05%) 및 Mn을 첨가하여 냉연강판을 제조한 후, 플럭스를 투입하여 와이어를 제조하며, 다이 성형시 성형성을 개선키 위해 표면 윤활제를 다량 적용함으로서 와이어 제조 후 윤활제 제거를 위해 열처리로에서의 배킹공정을 거치며, 저 탄소임에 따른 용접시 휴움 발생 양이 많아서 용접환경 열위하였고, 저탄소 및 P, S 규제가 없음에 따른 용접부의 인성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 외에도 종래에는 KR(특허) 83-5772호, KR(특허 1994-6788호, JP(특허) 소59-44158호, JP(특허) 84-44158호가 제공되어 있으나 이들 역시 용접봉 피복용 냉연소재에 대한 것이 아니라, 용접봉 제품에 대한 것이며 외피 C 량의 범위를 0.05%~0.08%범위로 규정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접봉용 냉연소재 중 선박 등의 용접시 용접 환경개선 및 용접부 성능 향상을 요구하는 플럭스 코어 와이어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으로, 각 성분의 범위제한 및 첨가원소의 종류, 첨가량을 규제함과 동시에 적정 제조 조건을 설정함으로서 용접시 휴움 발생저감 및 용접부위의 인성을 개선하고 수요가 최종제품의 품질향상 및 와이어 제조공정을 단순화시켜 제조단가(Cost)를 절감할 수 있는 환경친화형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을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고용원소인 C 및 S 성분을 극저 관리하고 강도향상 원소인 Mn 상향, B를 미세 첨가한 극저 탄소강을 열간 압연하고 낮은 온도에서 권취하여 냉간압연에 의해 최종 두께까지 압연한 후 연속소둔 공정을 통하여 소둔을 실시하여 제조함으로서 C 성분 저하에 의한 용접시 휴움 발생 저감 및 극저 S 관리로 용접부 인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 함유량에 따른 용접시 휴움 발생 양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명강의 소둔 온도별 강도 및 연신율 변화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은 Fe에 C, Mn, Si, P, S, Al, N, Ti, B의 합한 양이 2% 이하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Fe에 함유되는 C, Mn, Si, P, S, Al, N, Ti, B는 중량%로 C : 0.005% 이하, Mn : 1.0% 이하, Si : 0.02% 이하, P : 0.013% 이하, S : 0.015% 이하, Al : 0.018% 이하, N : 0.0029% 이하, Ti : 0.016% 이하, B : 0.0012% 이하, 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제조방법은 Fe에 C, Mn, Si, P, S, Al, N, Ti, B의 합한 양이 2% 이하 함유된 강을 마련하는 제 1단계; 상기 강을 균질화 처리하고 마무리 압연하여 강판을 만든 다음 권취하는 제 2단계; 상기 권취된 강판을 냉간압연 하고 연속소둔 후 원하는 두께로 조질압연 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져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Fe에 함유되는 C, Mn, Si, P, S, Al, N, Ti, B는 중량%로 C : 0.005% 이하, Mn : 1.0% 이하, Si : 0.02% 이하, P : 0.013% 이하, S : 0.015% 이하, Al : 0.018% 이하, N : 0.0029% 이하, Ti : 0.016% 이하, B : 0.0012% 이하 이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에서 균질화처리 온도는 1150℃∼1250℃ 이고, 마무리 압연온도는 900℃∼920℃ 이며, 권취온도는 550℃∼600℃ 이고, 상기 제 3단계에서 냉간압하율은 70%∼80% 이고, 소둔온도는 700℃∼800℃ 이며, 조질연신율은 0.5%∼1.5% 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플럭스 코어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 함유량에 따른 용접시 휴움 발생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명강의 소둔 온도별 강도 및 연신율 변화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로써,
본 발명은 휴움(Fume) 발생 저감 및 용접부 인성 개선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 와이어(Flux Cored Wire) 외피용 냉연강판의 화학성분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을 함유한 Fe에 중량%로 C : 0.005% 이하, Mn : 1.0% 이하, Si : 0.02% 이하, P : 0.013% 이하, S : 0.015% 이하, Al : 0.018% 이하, N : 0.0029% 이하, Ti : 0.016% 이하, B : 0.0012% 이하 함유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제조방법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을 함유한 Fe에 중량%로 C : 0.005% 이하, Mn : 1.0% 이하, Si : 0.02% 이하, P : 0.013% 이하, S : 0.015% 이하, Al : 0.018% 이하, N : 0.0029% 이하, Ti : 0.016% 이하, B : 0.0012% 이하 함유된 강을 1150℃∼1250℃의 온도범위에서 균질화 처리하고, 900℃∼920℃에서 마무리 압연한 후 550℃∼600℃에서 권취한다.
그후 70%∼80%의 냉간 압하율로 최종 두께까지 냉간 압연하고, 계속하여 연속소둔 로에서 700~800℃에서 소둔(Annealing)하여 고강도 확보 및 휴움 발생저감과 용접부 인성개선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냉연강판 화학성분 및 냉연강판을 제조하는데 필용한 각 조건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C는 강 중 함량이 높을수록 용접봉 제조 후 실용접시 용접열에 의해 C02가스로 변화되어 휴움 발생양을 증가시켜 용접작업 환경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최대한 낮은 수준으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강 제조능력상 초 극저 관리가 어려우므로 C 함량을 중량%로 0.005%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Mn은 1.0% 이하 인데, 그 이상의 경우 소재 강도가 증가되어 용접봉 제조시 성형성 및 와이어 신선성이 저하됨으로 중량%로 1.0%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Si는 강 중 첨가하여 스라브(Slab)의 열간 가열작업 및 열간 코일(Hot Coil)의 냉연 소둔 작업 등 고온 작업시 SiO2형성에 의한 표면 스케일(Scale) 발생 가능성이 크므로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강 중 잔류함을 감안하여 중량%로 0.02%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 중 Si 함량은 낮게 관리할수록 좋다.
P는 고용경화 효과가 가장 큰 치환형 합금원소로서 강 중 함량이 증가되면성형성 및 충격인성이 나빠지므로 상기 P의 함량은 중량%로 0.013% 이하로 제한하는것이 바람직하다.
S는 열간 취성을 일으키는 취약한 원소 및 용접부 충격인성 개선을 위해 낮게 관리함이 바람직하나, 제강공정 능력을 감안하여 중량%로 0.015%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AL은 강의 탈탄을 위해 첨가하는 원소로서 Si가 미 첨가됨으로 적정량 첨가하여 탈산함이 바람직하나, 과다 첨가시 입자 미세화에 의해 와이어의 신선성 저하가 초래되므로 가능한 낮추는 것이 좋으며 따라서 중량%로 0.018%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N는 침입형 원소로서 {111} 집합조직을 억제하여 가공성을 해치고 입자성장을 방해하여 연신율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소재 장기 보관시 항복강도를 상승시키는 시효발생 원소로서 낮게 관리할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중량%로 0.0029%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Ti는 C, N 등 침입형 원소와 결합하여 입자를 미세화 시킴으로서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용C, N을 제거함으로서 연신율 향상을 통한 소재의 성형성 개선과 동시에 소재의 장기 보관시에도 고용C, N의 전위고착에 의한 시효발생의 방지가 가능한 것으로 중량%로 0.016%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B는 C, N 등과 화합물을 형성하여 입계 및 입내에 미세 석출함으로서 강 중 내부응력 증대 및 입자를 미세화 시켜 강도를 상승시키며, 과다 첨가시 Sol.B의 입계 편석으로 입계 취성을 초래함으로서 중량%로 0.0012%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하여 조성된 강은 균질화처리 하는데, 그 균질화처리 온도는 1150℃∼1250℃ 범위에서 하고, 이상조직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Ar3 변태점 이상 온도인 900℃∼920℃에서 마무리 압연하고 소재의 강도확보를 위해 550℃∼600℃이하의 저온에서 권취한다.
그후 70%∼80% 이상의 냉간 압하율을 적용 최종 목표 두께까지 냉간 압연하며, 계속하여 연속소둔 공정을 적용 700℃∼800℃ 범위에서 소둔(Annealing)을 행하여 냉간 압연시 발생된 불균질 조직 및 내부 응력을 균질화 처리한 후 조질 연신율 0.5%∼1.5%가 되게 조질압연 하여 형상 및 조도를 확보함으로서 휴움 발생 저감과 용접부 인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스라브를 열간압연 전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충분히 균질화될 수 있는 온도인 1150℃∼1250℃에서 가열한 이후 Ar3온도 이상에서 마무리 열간압연을 실시한다.
열간 마무리 압연온도를 Ar3변태점 이하온도로 작업하면 페라이트 및 퍼얼라이트 이상역에서 압연되므로 이상 조대립 및 퍼얼라이트 Band가 형성, 제품의 성형성 불량을 초래한다.
상기 열간압연 된 강판을 550℃∼600℃의 저온영역에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온도보다 낮거나 높게되면 최종제품의 입자(Grain)가 미세화되어 강도를 상향시킬 수 있으며, 코일의 톱부 및 끝부 온도편차 발생으로 냉간 압연성이 떨어짐으로 열연 권취온도를 550~60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냉간압하율은 높을수록 입자미세화에 의해 강도가 상승할 수가 있으나, 냉연 생산성 및 작업성을 고려하여 적정수준인 70%~80%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냉간압연된 강판은 입자가 불균질하고 강판의 내부응력이 잔존하기 때문에 소둔을 통한 재가열로서 강의 입자를 균질화시켜 강의 인성을 개선할 수가 있으며, 소둔 온도가 높을 경우 강의 인성은 개선되나, 강도가 낮게되고, 낮을 경우 강의 인성이 저하되므로 적정 소둔 온도인 700℃∼800℃ 범위에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둔 이후 형상교정 및 강판의 표면조도 부여를 위해 조질압연을 행하여야 하며, 이 경우 조질 연신율을 0.5%∼1.5%로 규제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하기 표1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극저 탄소강(Al-Killed강)을 전로에서 용해하여 합금첨가 및 불순원소를 제거키 위해 노외 정련을 실시한 후 연속주조 하여 강 스라브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표1에 나타난 발명강 및 비교강은 모두 노외 정련 후 최종강의 성분이며, 비교강1~3은 일반용으로 제조되거나 제조된 실적이 있는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강에 해당되는 강 종이다.
(표 1)
상기 표1과 같은 조성을 갖는 강 스라브를 1150℃~1250℃의 온도에서 균질화 처리한 다음 Ar3 직상 온도인 910℃ 부근에서 3.2mm의 두께로 열간 엽연을 한 후, 하기 표2에 표기한 열연 권취 온도에서 권취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산세를 행하였다.
상기 산세된 열연 강판을 0.9mm로 냉간 압연한 후 하기 표2에 표기된 냉연 소둔 온도에서 연속소둔을 실시하고 1.0%의 조질압연을 하여 최종 목표하는 냉연강판을 얻었다.
이 때 소재의 기계적 성질을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표2)
상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명강(1)의 경우 와이어 용접시 휴움 발생 최소화를 위해 비교강 대비 C를 극저로 관리하고, 그 C 설계에 따른 강도확보를 위해 강도향상 원소인 Mn을 상향 조성하였다.
또한 조직미세화에 의한 강도상승 효과가 있는 B를 미세 첨가하였으며, 용접부 인성개선을 위해 극저 S 관리 및 용접부 가열시 입자성장 억제효과가 있고, 소재 장기간 보관시 시효(Stretcher Strain)효과가 있는 Ti을 소량 첨가하였다.
C 함유량에 따른 용접시 휴움 발생 양에 대한 경향은 도 1에 나타내었으며 C함량이 증가할수록 용접시 CO2발생에 의한 휴움 발생 양이 증대함을 알 수 있었고, Ti 첨가량은 불순원소인 S와 N을 제거할 수 있는 정도의 량인 0.015%수준으로 조성하였다.
〔첨가량 Ti=(48/14)N + (48/32)S)〕
상기와 같이 첨가된 조성을 가진 스라브를 열연 고온가열 및 압연작업 이후 비교강과 같이 강도확보를 위해 570℃에서 저온 권취를 행한 후 냉간압연 하고 그후 적정강도를 확보키 위해 비교강 1~3과는 달리 780℃에서의 저온 소둔을 실시하여 강도를 확보하였으며, 소둔 온도별 강도 및 연신율 변화추이는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소둔 온도가 증가할수록 연신율은 증가하나, 강도는 급속히 하락함을 알 수 있었다.
발명강2의 경우 연신율, 휴움 발생 양 등 기타 품질특성은 양호하나, Mn함량이 낮아 강도 목표인 35Kg/㎟에 미달되며, 발명강3의 경우는 Mn함량이 너무 많아서 강도가 증대함과 아울러 연신율 및 용접봉 저온인성이 급격히 하락하므로 발명강1의 조건이 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발명강4의 경우 불순원소인 S가 높아서 용접부 취성을 야기하여 저온인성을 열화시키므로 S함량을 극저로 규제함이 바람직하며, 발명강5의 경우는 Ti이 미첨가되어 불순원소인 S, N을 제거하지 못하여 용접부 인성 및 연신율을 동시에 저하시키므로 적정량의 Ti을 첨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발명강1이 최적조건임을 알 수 있다.
비교강1은 C의 다량첨가 및 S가 낮게 조성되어 강도(TS)가 높고, 저온인성은 66.2J로서 비교강2, 3에 비해 높으나, 고 C에 의해 용접시 휴움 발생 양이 과다함에 따라 환경친화형 강에 적합치 않으며, 비교강3은 고 C 재이나 Mn 함량이 낮아 강도가 미흠함과 동시에 용접시 휴움 발생 양이 과다하고, S성분이 높아 용접부 저온인성이 열위하다.
비교강2의 경우는 C 성분이 중저탄소 강으로 용접시 휴움 발생 양은 다소 낮으나, 제품 강도 저하로 와이어 피딩(Wire Feeding)성의 부족으로 로 포밍(Roll Forming)적용이 어렵다.
상기 비교강1은 적정강도(Ts≥35Kg/㎟)확보로 와이어 제조시 롤 포밍공정 적용이 가능하여 제조 후 배킹(Baking)공정 생략이 가능하나, 용접시 휴움 발생 양 과다로 환경친화형 강으로의 적용이 어려우며, 비교강2, 3은 강도저하로 롤 포밍공정 적용불가 휴움 발생 양 및 저온인성 측면에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해 최종목표에 만족하지 못하였다.
한편 발명강1은 저 C 관리에 의해 용접시 휴움 발생 양이 비교재에 비해 적어 작업자의 실용접시 인체의 악영향을 저감하고, 용접작업 환경개선이 가능한 환경친화성을 확보하였음은 물론, 저 C에 의한 강도 하락분을 Mn 상향 및 B 첨가로 보상하여 고강도를 확보함으로서 와이어 제조시 롤 포밍공정 적용이 가능하여 와이어 제조 후 배킹 공정의 생략이 가능하고, S 성분의 하향으로 용접부 저온인성이 비교재에 비해 양호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용접봉 외피는 종래 외피에 비해 인성개선을 위해 P, S를 규제하고 강도보상을 위한 B를 추가하였으며 또 탄소범위를 낮춤으로서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고용원소인 C 및 S 성분을 극저 관리하고 강도향상원소인 Mn 상향, B를 미세 첨가한 극저 탄소강을 열간 압연하고 낮은 온도에서 권취하여 냉간압연에 의해 최종 두께까지 압연한 후 연속소둔 공정을 통하여 소둔을 실시하여 제조함으로서 C 성분 저하에 의한 용접시 휴움 발생 저감 및 극저 S 관리로 용접부 인성이 우수한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극저 C로 제조하여 용접시 휴움 발생을 종전대비 대폭 절감케 하였으며 Mn 상향 및 B를 첨가하고 소둔 온도를 하향 조정함으로서 C 저감에 따른 강도하락을 보상하여 수요가가 와이어 제조시 다이(Die)성형을 적용하던 것을 윤활제 도포가 필요치 않는 롤 포밍타입(Roll Forming Type)으로 변경함으로서 와이어 제조 후 윤활제 제거를 위한 배킹(Baking)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CAL(Continuous Annealing Line) 제조에 의해 소재 장기 보관시 시효경화 발생가능성을 방지코져 Ti을 첨가하여 고용원소를 고착시켰고, 불순원소인 P, S 등을 극저로 관리함으로서 용접한 소재부위의 저온충격인성을 대폭 향상시켜 용접특성을 개선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Fe에 C, Mn, Si, P, S, Al, N, Ti, B의 합한 양이 2% 이하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e에 함유되는 C, Mn, Si, P, S, Al, N, Ti, B는 중량%로 C : 0.005% 이하, Mn : 1.0% 이하, Si : 0.02% 이하, P : 0.013% 이하, S : 0.015% 이하, Al : 0.018% 이하, N : 0.0029% 이하, Ti : 0.016% 이하, B : 0.0012% 이하 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3.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을 함유한 Fe에 C, Mn, Si, P, S, Al, N, Ti, B의 합한 양이 2% 이하 함유된 강을 마련하는 제 1단계;
    상기 강을 균질화 처리하고 마무리 압연하여 강판을 만든 다음 권취하는 제 2단계;
    상기 권취된 강판을 냉간압연 하고 연속소둔 후 원하는 두께로 조질압연 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져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Fe에 함유되는 C, Mn, Si, P, S, Al, N, Ti, B는 중량%로 C : 0.005% 이하, Mn : 1.0% 이하, Si : 0.02% 이하, P : 0.013% 이하, S :0.015% 이하, Al : 0.018% 이하, N : 0.0029% 이하, Ti : 0.016% 이하, B : 0.0012% 이하 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균질화처리 온도는 1150℃∼1250℃ 이고, 마무리 압연온도는 900℃∼920℃ 이며, 권취온도는 550℃∼600℃ 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냉간압하율은 70%∼80% 이고, 소둔온도는 700℃∼800℃ 이며, 조질연신율은 0.5%∼1.5% 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KR1020000043836A 2000-07-28 2000-07-28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10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836A KR20020010050A (ko) 2000-07-28 2000-07-28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836A KR20020010050A (ko) 2000-07-28 2000-07-28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050A true KR20020010050A (ko) 2002-02-02

Family

ID=1968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836A KR20020010050A (ko) 2000-07-28 2000-07-28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005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389B1 (ko) * 2011-01-04 2011-05-09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플럭스 코드 와이어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1522B1 (ko) * 2013-03-28 2013-10-28 주식회사포텍 용접봉의 외피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31233B1 (ko) * 2015-08-11 2016-06-16 주식회사 하나웰텍 용접 및 용사용 코어드 와이어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5271A (ko) * 2017-07-05 2019-01-16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8231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7300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9692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5747648A (zh) * 2022-11-08 2023-03-07 武汉钢铁有限公司 高填充率药芯焊丝专用钢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0939A (ja) * 1987-06-12 1988-12-19 Kawasaki Steel Corp スポット溶接性の良好な極低炭素鋼板
JPS63317649A (ja) * 1987-06-19 1988-12-26 Kawasaki Steel Corp 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極低炭素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S63317647A (ja) * 1987-06-18 1988-12-26 Kawasaki Steel Corp 溶接部の強度および靭性に優れる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09436A (ja) * 1994-10-14 1996-04-30 Nippon Steel Corp スポット溶接部の強度特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0939A (ja) * 1987-06-12 1988-12-19 Kawasaki Steel Corp スポット溶接性の良好な極低炭素鋼板
JPS63317647A (ja) * 1987-06-18 1988-12-26 Kawasaki Steel Corp 溶接部の強度および靭性に優れる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317649A (ja) * 1987-06-19 1988-12-26 Kawasaki Steel Corp 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極低炭素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8109436A (ja) * 1994-10-14 1996-04-30 Nippon Steel Corp スポット溶接部の強度特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389B1 (ko) * 2011-01-04 2011-05-09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플럭스 코드 와이어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1522B1 (ko) * 2013-03-28 2013-10-28 주식회사포텍 용접봉의 외피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31233B1 (ko) * 2015-08-11 2016-06-16 주식회사 하나웰텍 용접 및 용사용 코어드 와이어 및 그 제조방법
US11674194B2 (en) 2017-07-05 2023-06-13 Posco Co., Ltd Cold rolled steel sheet for flux-cored 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90005271A (ko) * 2017-07-05 2019-01-16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8231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7300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9692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5053007A (zh) * 2019-12-20 2022-09-13 Posco公司 药芯焊丝用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WO2021125792A3 (ko) * 2019-12-20 2021-08-05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5053007B (zh) * 2019-12-20 2023-10-27 Posco公司 药芯焊丝用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CN115747648A (zh) * 2022-11-08 2023-03-07 武汉钢铁有限公司 高填充率药芯焊丝专用钢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747648B (zh) * 2022-11-08 2024-04-16 武汉钢铁有限公司 高填充率药芯焊丝专用钢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702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nning steel sheet with non-aging property and superior workability
JP4525450B2 (ja) 高強度高延性な缶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07851B2 (ja)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168991A1 (ja) 薄鋼板およびめっき鋼板、並びに、熱延鋼板の製造方法、冷延フルハード鋼板の製造方法、薄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980009493A (ko) 전기로-진공탈가스 프로세스에 의한 가공성이 우수한 강과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156016A (ja) 曲げ加工性及び靭性の異方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811854B2 (ja)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用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388613B2 (ja) リジングのないフェライトクロム合金化鋼
KR20020010050A (ko)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4858126B2 (ja) 高強度高延性缶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77028A (ko) 이중 권취 파이프용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3303931B2 (ja) 焼付け硬化性を有する高強度缶用薄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67684B2 (ko)
JPS63317625A (ja) スポット溶接部の疲労特性に優れた極低炭素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S582248B2 (ja) 加工性のすぐれた溶融メツキ鋼板の製造法
JPH01247560A (ja) 非時効性低合金熱間圧延ストリツプ形態の成形可能な鋼
JP3111588B2 (ja) 優れた深絞り性と耐二次加工脆性を兼ね備え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
CN115053007B (zh) 药芯焊丝用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JPH05171353A (ja) 焼付け硬化性に優れた深絞り用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49539B2 (ja) 超深絞り用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3261043B2 (ja) 深絞り用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13052A (ja) 超深絞り用冷延鋼板
JP2024515363A (ja) 鋼ストリップ又はシート、及び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
JP3363930B2 (ja) 強度−延性バランスに優れる薄鋼板
JP3150188B2 (ja) 深絞り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