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002A - 휴대형 촬상기기 및 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휴대형 촬상기기 및 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002A
KR20020008002A KR1020010041787A KR20010041787A KR20020008002A KR 20020008002 A KR20020008002 A KR 20020008002A KR 1020010041787 A KR1020010041787 A KR 1020010041787A KR 20010041787 A KR20010041787 A KR 20010041787A KR 20020008002 A KR20020008002 A KR 2002000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case body
view
lens
devi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구치류스케
사쿠라자와나오히코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2002000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00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구비한 손목장착형 등의 휴대형 촬상기기 및 촬상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본체에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형 촬상기기에 있어서, 케이스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적어도 카메라의 촬상렌즈(6)를 덮는 부분을 가지며, 카메라로 촬영되는 화상에 특수촬영효과를 실시하기 위한 특수촬영기능부(망원렌즈)를 구비하는 어태치먼트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촬상기기 및 어태치먼트{PORTABLE IMAGE CAPTURING DEVICE AND ATTACHMENT}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구비한 손목장착형 등의 휴대형 촬상기기 및 촬상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촬영화상을 디지털부호화하여 보존하는 촬상기기로서 디지털스틸카메라가 보급되어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CCD(Charge Coupled Device)모듈이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센서 등 촬상에 관련되는 부품의 소형화가 진행된 것에서 고밀도실장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소형이며 휴대성이 풍부한(예를 들면 손목장착형의) 휴대형 촬상기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촬상해야 할 화상에 확대줌(x2, x4)이나 특정파장광을 컷하는 특수촬영효과(Special optical effect)를 부여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면 상기 휴대형 촬상기기를 소유하는 사용자에게 「편리성이 증가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었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촬상기기에 옵션(어태치먼트)을 증설하는 방법으로는 휴대형 촬상기기의 휴대성이나 조작성을 손상한다는 단점을 발생한다.
또 상기 특수촬영효과를 휴대형 촬상기기의 옵션기능으로서 추가시키면 기기의 구조나 조작방법에서 복잡해지고, 사용자에 있어서는 사용하기 어려우며, 또 메이커에 있어서 생산성이나 관리성에서 마이너스로 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형 촬상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있어서 휴대성이나 조작성을 손상하는 일 없고, 또 메이커에 있어서 생산성이나 관리의 장해가 되는 일 없이 간단히 특수촬영효과의 부여가 가능해지는 휴대형 촬상장치 및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부를 구비한 휴대형 촬상기기의 케이스본체에 카메라부의 렌즈를 덮는 광투과부분을 갖는 어태치먼트가 장착되기 때문에 어태치먼트의 렌즈를 덮는 상기 광투과부분에 의하여 촬상화상에 대해서 간단히 특수광학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 어태치먼트는 해당 휴대형 촬상장치의 밴드부착부를 피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어태치먼트를 장착시킨 상태에서도 손목시계의 휴대성이나 조작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어서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손목시계형의 촬상기기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케이스본체(기기본체)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케이스본체부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케이스본체부분의 카메라부 및 광통신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케이스본체부분을 옆쪽에서 본 측면도.
도 6은 도 3의 케이스본체만을 카메라부 및 광통신부와 반대측의 경사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카메라부 및 광통신부의 커버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8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8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8c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8a, 도 8b와 도 8c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9a는 케이스본체의 단면도, 도 9b는 케이스본체의 평면도, 도 9c는 케이스본체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9a, 도 9b와 도 9c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1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11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11c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a, 도 11b와 도 11c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2a는 케이스본체의 단면도, 도 12b는 케이스본체의 평면도, 도 12c는 케이스본체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a, 도 12b와 도 12c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3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4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14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14c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a, 도 14b와 도 14c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5a는 케이스본체의 단면도, 도 15b는 케이스본체의 평면도, 도 15c는 케이스본체의 종단면도.
도 16은 도 15a, 도 15b와 도 15c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4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7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17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17c는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18은 도 17a, 도 17b와 도 17c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8a는 케이스본체의 단면도, 도 18b는 케이스본체의 평면도, 도 18c는 케이스본체의 종단면도.
도 19는 도 18a, 도 18b와 도 18c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5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0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20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20c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21은 도 20a, 도 20b와 도 20c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1a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평면도, 도 21b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종단면도.
도 22는 도 21a와 도 21b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개략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6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3a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23b는 어태치먼트의 측면도.
도 24는 도 23a와 도 23b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4a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평면도, 도 24b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종단면도.
도 25는 도 24a와 도 24b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개략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7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6a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26b는 어태치먼트의 측면도.
도 27은 도 26a와 도 26b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7a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평면도, 도 27b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종단면도.
도 28은 도 27a와 도 27b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개략사시도.
도 29는 도 27a와 도 27b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로부터 정면부(91)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9a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평면도, 도 29b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측면도.
도 30은 도 29a와 도 29b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로부터 정면부(91)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개략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8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1a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31b는 어태치먼트의 측면도.
도 32는 도 31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2a는 케이스본체의 저면도, 도 32b는 케이스본체의 평면도, 도 32c는 케이스본체의 종단면도.
도 33은 도 32a, 도 32b와 도 32c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9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4a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34b는 어태치먼트의 측면도.
도 35는 도 34a와 도 34b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5a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평면도, 도 35b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종단면도.
도 36은 도 35a와 도 35b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개략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10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7a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37b는 어태치먼트의 측면도.
도 38은 도 37a와 도 37b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8a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평면도, 도 38b는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종단면도.
도 39는 도 38a와 도 39b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개략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11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0a는 어태치먼트의 정면도, 도 40b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41은 도 40a와 도 40b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의 필터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1a는 필터부재의 정면도, 도 41b는 필터부재의 단면도, 도 41c는 케이스본체의 평면도.
도 42는 도 41c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12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3a는 어태치먼트의 정면도, 도 43b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44는 도 43a와 도 43b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의 필터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4a는 필터부재의 평면도, 도 44b는 필터부재의 단면도, 도 44c는 케이스본체의 종단면도.
도 45는 도 44c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13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6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46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46c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47은 도 46a, 도 46b와 도 46c의 어태치먼트에 넣는 특수효과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7a는 A효과플레이트의 정면도와, 도 47b는 B효과플레이트의정면도.
도 48은 도 46a, 도 46b와 도 46c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8a는 케이스본체의 단면도, 도 48b는 케이스본체의 평면도, 도 48c는 케이스본체의 종단면도.
도 49는 도 48a, 도 48b와 도 48c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14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50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50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50c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51은 도 50a, 도 50b와 도 50c의 어태치먼트에 들어가는 특수효과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2는 도 50a, 도 50b와 도 50c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53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15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53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53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53c는 특수효과플레이트를 이동시켰을 때의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54는 도 53a, 도 53b와 도 53c의 어태치먼트에 들어가는 특수효과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5는 도 53a, 도 53b와 도 53c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16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7은 도 56의 어태치먼트에 넣는 특수효과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8은 도 56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59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17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59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59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59c는 특수효과플레이트를 교체했을 때의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59d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60은 도 59a, 도 59b, 도 59c와 도 59d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0a는 케이스본체의 단면도, 도 60b는 케이스본체의 평면도, 도 60c는 케이스본체의 종단면도.
도 61은 도 60a, 도 60b와 도 60c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케이스본체의 개략사시도.
도 62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18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62a는 확장유닛의 평면도, 도 62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62c는 확장유닛의 종단면도, 도 62d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63은 도 62b, 도 62d의 어태치먼트에 도 62a, 도 62c의 확장유닛을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3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63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63c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64는 도 63a, 도 63b와 도 63c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65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19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65a는 확장유닛의 평면도, 도 65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65c는 확장유닛의 종단면도 및 도 65d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66은 도 65b, 도 65d의 어태치먼트에 도 65a, 도 65c의 확장유닛을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6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66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66c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67은 도 66a, 도 66b와 도 66c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68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어태치먼트의 제 20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68a는 확장유닛의 종단면도, 도 68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68c는 확장유닛의 별도의 방향에서의 종단면도, 도 68d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69는 도 68b, 도 68d의 어태치먼트에 도 68a, 도 68c의 확장유닛을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9a는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69b는 어태치먼트의 평면도, 도 69c는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
도 70은 도 69a, 도 69b와 도 69c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케이스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7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제 21 실시형태의 어태치먼트를 도 1에서 도 7의 촬상기기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케이스본체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2는 도 71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단면도.
도 73은 도 71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촬상기기(케이스본체부분)의 저면도.
도 74는 도 71의 어태치먼트장착상태를 나타낸 케이스본체의 측면도.
도 75는 도 7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76은 도 71의 어태치먼트를 케이스본체에 착탈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6a는 어태치먼트를 케이스본체에 장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6b는 어태치먼트를 케이스본체에 장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6c는 케이스본체로부터 어태치먼트를 떼어내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손목시계형의 촬상기기 2: 케이스본체
3, 4: 손목밴드 5: 걸쇠
6: 촬상렌즈(카메라부) 7: 적외선통신부(광통신부)
8: 뒷덮개 9: 전지덮개
21: 투명커버 22: 데이터표시부
23: 셔터버튼 24: 어저스트키
25: 모드키 26: 리버스키
27: 표시전환키 28: 포워드키
29: 날쇠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90, 220,
290: 어태치먼트
35, 45, 56, 63, 75, 83, 93, 103, 113, 123, 131, 143, 241, 251: 렌즈부
36, 37, 38: 훅부
48: 스프링부재 52a, 64, 194: 걺구멍
82, 92, 102: 고정부
201: 한쌍의 밴드부착부(스프링막대부착부)
270: 아암부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한 예로서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면 중 “1”은 손목시계형의 촬상기기, “2”는 케이스본체(case member)(기기본체), “3, 4”는 손목밴드, “5”는 걸쇠(band fastening loop member)이다.
그리고 도 2는 케이스본체(2)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케이스본체(2)부분의 사시도, 도 4는 케이스본체(2)부분의 카메라부 및 광통신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케이스본체(2)부분을 옆쪽에서 본 측면도, 도 6은케이스본체(2)만을 카메라부 및 광통신부와 반대측의 경사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면 중 “6”은 촬상렌즈(카메라부), “7”은 적외선통신부(광통신부), “8”은 뒷덮개, “9”는 전지덮개, “21”은 투명커버부재, “22”는 데이터표시부, “23”은 셔터버튼, “24”는 어저스트키, “25”는 모드키, “26”은 리버스키, “27”은 표시전환키, “28”은 포워드키, “29”는 날귀(Bezel)이다.
본 발명의 휴대형 촬상기기에 관련되는 촬상기기(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의 손목밴드(3)가 부착되는 단면에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렌즈(6)와 광통신부인 적외선통신부(7)가 근접하여 병설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의 단면에는 상기 촬상렌즈(6) 및 적외선통신부(7)를 공통으로 덮는 투명커버부재(21)가 설치되는 한편, 표시부(사용자가 육안으로 보는 면)에는 데이터표시부(22) 및 셔터버튼(2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셔터버튼(23)은 데이터표시부(22)를 끼워서 상기 촬상렌즈(6) 및 적외선통신부(7)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도면상에 있어서 표면부로부터 저면부로의 방향으로 밀어누름조작되며, 이에 따라 촬상지시가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에는 일측면에 어저스트키(24) 및 모드키(25)가 설치되고, 타측면에 리버스키(26), 표시전환키(27) 및 포워드키(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버스키(26) 및 표시전환키(27)는 복수의 촬상데이터를 데이터표시부(22)에 표시시키고, 또 표시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본체(2)에는 도 3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렌즈(6) 및 적외선통신부(7)측의 단면하부에 손목밴드(3)를 부착하기 위한 한쌍의 밴드부착부(스프링막대부착부)(201)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한쌍의 밴드부착부(201)의 사이에 밴드부착축(스프링막대)(203)이 부착됨으로써 손목밴드(3)는 도 5의 파선부분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밴드부착축(203)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케이스본체(2)의 이면에 서로 겹쳐지도록 되어 있다.
또 이상의 케이스본체(2)의 표면에는 내충격용의 뒷덮개(29)이 맞붙여져 있다.
케이스본체(2)의 이면에는 금속제의 뒷덮개(8)가 비스고정되어 있으며, 이 뒷덮개(8)의 중앙에는 전지덮개(9)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 도 5에서 밴드부착축(203)의 위치를 현재의 위치보다도 더욱 좌측에 위치시키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7은 촬상렌즈(6) 및 적외선통신부(7)의 커버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면 중 “73”은 적외선 이외의 파장광을 컷하기 위한 필터기능을 구비한 적외선통신용 커버이다.
즉 촬상렌즈(카메라부)(6)는 케이스본체(2)의 촬상용 창(206)에 편입되고, 적외선통신부(7)는 케이스본체(2)의 통신용 창(207)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들을 공통으로 덮는 투명커버부재(21)가 케이스본체(2)의 단면에 개구하는 커버편입용 오목부(205)에 부착된다.
촬상렌즈(6)는 수광부의 신호의 데이터변환 및 전송을 위한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센서를 탑재하고, 케이스본체(2)의 촬상용 창(206)에 편입된다.
그리고 통신용 창(207)의 개구부에 필터부재인 적외선통신용 커버(73)를 녹여붙여서 고정하고, 또한 커버편입용 오목부(205)에 촬상렌즈(6) 및 적외선통신부(7)를 공통으로 덮는 볼록렌즈상의 투명커버부재(21)를 녹여붙여서 고정한다.
투명커버부재(21)는 촬상렌즈(6)의 위치에 대응하여 렌즈상으로 가공된 원형오목부(211)를 표면에 갖고, 촬상용 창(206) 및 통신용 창(207)의 부분을 제외하고 흑색인쇄부(212)를 이면에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촬상기기(1)는 케이스본체(2)의 단면에 촬상렌즈(6) 및 적외선통신부(7)를 병설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팔에 장착한 상태에서 데이터표시부(22)를 모니터(파인더)로서 사용하면서 셔터버튼(23)을 눌러서 촬상하여 적외선에 의한 데이터통신도 할 수 있다.
또 도 5의 파선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밴드(3)를 이면에 서로 겹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2)를 예를 들면 데스크 등에 놓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적소에 케이스본체(2)를 놓은 상태에서 촬상과 데이터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촬상렌즈(6) 및 적외선통신부(7)를 하나의 투명커버부재(21)로 공통으로 덮었기 때문에 부품수 및 맞붙임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커버부재(21)는 볼록렌즈상의 표면에 촬상렌즈(6)의 위치에 대응하는 원형오목부(211)를 갖고, 이면에 촬상용 창(206) 및 통신용 창(207)의 부분을제외하고 흑색인쇄부(212)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촬상렌즈(6)에 의한 촬영에 광학적인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고, 또 투명커버부재(21)는 촬상렌즈(6)와 적외선통신부(7)에 있어서 서로 광축이 간섭하는 등 광학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한 적외선통신용 커버(73)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에 투명커버부재(21)를 필터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원형오목부(211)에 의하여 필터특성을 감소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8에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30)는 케이스본체(2)상면의 데이터표시부(22)를 포함하는 표면을 덮는 상면부(31)와, 케이스본체(2)양측면의 각종 조작버튼(24, 25, 26, 27, 28)을 제외한 부분을 덮는 좌우의 측면부(32)와, 케이스본체(2)단면의 투명커버부재(21)를 덮는 돌출부(33) 및 단면부(34)를 갖고 있다.
어태치먼트(30)의 단면부(34)에는 촬상렌즈(6)와 대응하는 위치에, 촬상화상에 특수광학효과를 실시하기 위한 특수촬영기능부인 렌즈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부(35)는 망원/광각/미크로/각종 필터기능(색온도변환, 적외선흡수(컷), 실내전등광원용 색조보정, 편광, 색조보정, 각종 특수효과)의 어느 쪽인가의 특수광학효과를 부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좌우의 측면부(32)의 각종 조작버튼(24, 25, 26, 27, 28)의 양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훅부(36, 3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단면부(34)의 단틀부에도 안쪽으로 돌출하는 훅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31)에는 셔터버튼(23)을 노출시키는 구멍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어태치먼트(30)는 투명수지제이며, 렌즈부(35)와 훅부(36, 37, 38)가 일체성형된 것, 또는 렌즈부(35)와 데이터표시부(22)를 덮는 부분을 투명수지로 성형하고, 그 밖의 부분을 불투명수지로 성형한, 이른바 2색성형한 것의 어느 쪽인가이다.
어태치먼트(3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하는 경우 케이스본체(2)의 외주부에 좌우의 측면부(32) 및 단면부(34)를 따르게 하고, 케이스본체(2)상에 상면부(31)를 겹침으로써 3방향에서 훅부(36, 37, 38)가 케이스본체(2)의 이면에 걸어맞춤상태로 된다. 이렇게 하여 어태치먼트(30)가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따라서 어태치먼트(30)를 장착하는 것으로 어태치먼트(30)의 렌즈부(35)에 의해 촬상화상에 대하여 망원/광각/미크로/각종 필터기능(색온도변환, 적외선흡수(컷), 실내전등광원용 색조보정, 편광, 색조보정, 각종 특수효과)의 특수광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30)의 단면부(34)에 렌즈부(35)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단면부(34)에 필터효과로서 기능하는 가공(광투과성 안료에 의한 착색 등)을 실시하면 필터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어태치먼트(30)의 상면부(31)에 의하여 케이스본체(2)의 데이터표시부(22)를 포함하는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30)를 3방향의 훅부(36, 37, 38)에 의해 케이스본체(2)의외주부에 걸어맞추어서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또 어태치먼트(30)의 떼어냄도 용이하다.
또한 어태치먼트(30)와 일체로 훅부(36, 37, 38)를 설치했기 때문에 케이스본체(2)에 어태치먼트(30)를 장착하기 위한 부품수가 증대하지 않고, 또한 저비용으로 완료된다.
이상에 있어서, 어태치먼트(30)의 상면부(31)에 대하여 데이터표시부(22)를 덮는 부분을 볼록렌즈구조로 하면 표시확대효과도 얻어진다.
또 어태치먼트(30)의 상면부(31)에 대하여 데이터표시부(22)를 덮는 부분에 프레임테두리를 인쇄해도 좋고, 나아가서는 렌즈부(35)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대해서의 설명(x10, UV-Filter 등)을 이 프레임테두리에 인쇄하거나 렌즈부(35)의 작용에 의하여 얻어지는 촬상효과와 같은 촬상효과가 있는 화상을 데이터표시부(22)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는 렌즈부(35)와 똑같은 소재로 데이터표시부(22)를 덮는 어태치먼트(30)의 부분을 볼록렌즈상으로 구성하면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11A, 도 11B, 그리고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40)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면부(41), 구멍부(41a), 측면부(42), 돌출부(43), 단면부(44) 및 렌즈부(45)를 갖고 있다. 또 어태치먼트(40)의 소재는 투명수지 또는 2색성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태치먼트(40)의 양측에 홈(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46)에 훅레버(47)가 어태치먼트(40)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맞붙여져 있다.
또 이 훅레버(47)에는 그 회전의 중심으로 되는 축의 주위에 스프링부재(48)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부재(48)에 의해 훅레버(47)는 상단부측이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회전하도록 맞붙여져 있다.
도 12A, 도 12B, 도 12C, 그리고 도 13은 이상의 어태치먼트(4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A, 도 12B, 도 12C,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40)는 케이스본체(2)에 대하여 그 외주부(좌우의 측면부(42) 및 단면부(44))를 따르고, 또한 케이스본체(2)상에 상면부(31)를 겹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양측에 있는 훅레버(47)를 케이스본체(2)의 이면에 걸어맞춤으로써 어태치먼트(40)가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또 사용자가 어태치먼트(40)를 케이스본체(2)로부터 떼어내는 경우는 훅레버(47)의 상단부를 양쪽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훅레버(47)의 하단부가 케이스본체(2)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이에 따라 어태치먼트(40)가 용이하게 떼어내어진다.
또한 훅레버(47)는 스프링부재(48)에 의해 케이스본체(2)의 이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또 어태치먼트(40)의 착탈시에 있어서 케이스본체(2)에 손상을 입기 어렵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 3 실시형태]
도 14A, 도 14B, 그리고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50)는 상면부(51), 측면부(52), 돌출부(53), 단면부(54)를 갖고 있다. 또 어태치먼트(50)의 소재는 투명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어태치먼트(50)의 상면부(51)에는 셔터버튼(23)을 노출시키는 구멍부(51a)와 데이터표시부(22)를 노출시키는 창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어태치먼트(50)의 측면부(52)의 걺구멍(52a)은 케이스본체(2)의 각종 조작버튼(24, 25, 26, 27, 28)이 위치하는 볼록부(29a)에 걸어맞추게 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또 돌출부(53)의 내부에는 특수광학효과로서 확대기능이 얻어지는 렌즈부(56)를 구비하는 투명수지제의 플레이트(55)가 단면부(54)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
도 15A, 도 15B, 도 15C, 그리고 도 16은 이상의 어태치먼트(5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5A, 도 15B, 도 15C, 그리고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50)는 케이스본체(2)의 볼록부(29a)의 한쪽에 걺구멍(52a)을 걸어맞추고, 볼록부(29a)의 다른쪽에 걺구멍(52a)을 걸어맞추어서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본체(2)에 어태치먼트(50)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또 떼어냄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50)의 측면부(52)에 걺구멍(52a)을 형성했기 때문에 케이스본체(2)에 어태치먼트(50)를 장착하기 위한 부품수는 증가하는 일이 없어서 메이커에 있어서는 생산성이 향상한다.
또 걺구멍(52a)과 볼록부(29a)가 걸어맞추어지기 때문에 착탈시에 케이스본체(2)에 손상을 입기 어렵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제 4 실시형태]
도 17A, 도 17B, 그리고 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는 케이스본체(2)의 투명커버부재(21)를 덮는 정면부(61)와, 케이스본체(2)조작버튼(25, 26)에 걸어맞추는 걺구멍(64)을 구비한 측면부(62)를 갖는다. 또 어태치먼트(60)의 소재는 투명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정면부(61)에는 특수광학효과로서 확대기능이 얻어지는 렌즈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A, 도 18B, 도 18C, 그리고 도 19는 어태치먼트(6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8A, 도 18B, 도 18C, 그리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는 케이스본체(2)의 조작버튼(25)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걺구멍(64)을 걸어맞추고, 조작버튼(26)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걺구멍(64)을 걸어맞춤으로써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어태치먼트(60)를, 렌즈부(63)를 갖는 정면부(61)와 고정용의 측면부(62)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어태치먼트(60)본체가 소형이 된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제 5 실시형태]
도 20A, 도 20B, 그리고 도 2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70)는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면부(71), 구멍부(71a), 측면부(72), 돌출부(73), 단면부(74) 및 렌즈부(75)를 갖는다. 또 어태치먼트(70)의 소재는 투명수지 또는 2색성형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어태치먼트(70)의 단면부(74)에 밴드삽입구멍(76)이 형성되고, 동시에 상면부(71)에 있어서 구멍부(71a)보다 앞의 단부에도 밴드삽입구멍(77)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도 21A, 도 21B, 그리고 도 22는 어태치먼트(7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1A, 도 21B, 그리고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70)의 밴드삽입구멍(76)에는 손목밴드가 삽입되고, 밴드삽입구멍(77)에는 손목밴드(4)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서 어태치먼트(70)는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어태치먼트(70)의 양단에 손목밴드(76, 77)를 삽입하여 케이스본체(2)에 장착하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여 얻어지는 각 효과에 덧붙여서 더욱 어태치먼트(70)가 케이스본체(2)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제 6 실시형태]
도 23A와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80)는 케이스본체(2)의 투명커버부재(21)를 덮는 정면부(81)와, 정면부(81)로부터 돌출하는 고정부(82)를 갖는다.
또 어태치먼트(80)의 소재는 투명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정면부(81)에는 특수광학효과로서 확대기능이 얻어지는 렌즈부(83)가 형성되고, 고정부(82)에는 밴드삽입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 밴드삽입구멍(84)에는 위치결정용 돌기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4A, 도 24B, 그리고 도 25는 어태치먼트(8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4A, 도 24B, 그리고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80)는 고정부(82)의 밴드삽입구멍(84)에 손목밴드(3)를 삽입하고, 위치결정용 돌기부(85)를 손목밴드(3)의 홈(3a)에 걸어맞추어서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따라서 손목밴드(3)만에 의해 어태치먼트(80)는 케이스본체(2)에 고정되기 때문에 더욱 어태치먼트(80)본체가 소형이 된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제 7 실시형태]
도 26A와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90)는 특수광학효과로서 확대기능이 얻어지는 렌즈부(93)를 갖는 정면부(91)와 밴드삽입구멍(94) 및 위치결정용 돌기부(95)를 갖는 고정부(9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정면부(91)와 고정부(92)는 볼트(96)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정면부(91)의 소재는 투명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볼트(96)는 내측(케이스본체(2)와 걸어맞추는 측)방향에 돌기부를 갖고(비도시), 이 돌기부가 밴드부착부(201)에 있어서의 밴드부착축(스프링막대)(203)을 부착하기 위한 구멍(외측부착구멍)에 걸어맞춘다. 이와 같이 볼트(96)는 회전축과 케이스본체(2)의 조인트를 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압입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도 27A, 도 27B, 그리고 도 28은 어태치먼트(9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7A, 도 27B, 그리고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90)는 상기한 제 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밴드삽입구멍(94)에 손목밴드(3)를 삽입하고, 위치결정용 돌기부(95)를 손목밴드(3)의 홈(3a)에 걸어맞추며, 또한 밴드부착부(201)의 구멍에 볼트(96)의 상기한 돌기부를 걸어맞춤으로써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도 29A, 도 29B, 그리고 도 30은 도 27A, 도 27B, 그리고 도 28의 상태에서 정면부(91)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밴드부착축(203)을 회전축으로 하여 손목밴드(3)를 케이스본체(2)로부터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어태치먼트(90)의 정면부(91)를 렌즈(6)가 위치하는 투명커버부재(21)로부터 퇴피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어태치먼트(90)를 케이스본체(2)로부터 떼어내지 않아도 어태치먼트(90)를 장착한 채 사용자는 통상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
도 31A와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00)는 특수광학효과로서 확대기능이 얻어지는 렌즈부(103)를 갖는 정면부(101)와, 그 정면부(101)의 좌우로부터 돌출하는 소돌기부(고정부)(102)를 갖는다.
어태치먼트(100)의 소재는 투명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소돌기부(102)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비틀어넣음핀(104)이 설치되어 있다.
도 32A, 도 32B, 도 32C, 그리고 도 33은 어태치먼트(10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2A, 도 32B, 도 32C, 그리고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00)는 케이스본체(2)의 밴드부착부(201)에 있어서의 밴드부착축(스프링막대)(203)의 구멍(외측)에 좌우로부터 비틀어넣음핀(104)을 비틀어넣게 함으로써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비틀어넣음핀(104)에 의해 어태치먼트(100)는 확실하게 케이스본체(2)에 고정되기 때문에 더욱 어태치먼트(100)본체가 소형이 된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제 9 실시형태]
도 34A, 도 3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10)는 특수광학효과로서 확대기능이 얻어지는 렌즈부(113)를 갖는 정면부(111)와, 정면부(111)아랫쪽으로부터 돌출하는 삽입플랜지부(112)를 일체적으로 갖는다.
어태치먼트(110)의 소재는 투명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5A, 도 35B, 그리고 도 36은 어태치먼트(11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5A, 도 35B, 그리고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어태치먼트(110)는 케이스본체(2)와 한쪽편의 손목밴드(3)의 틈에 삽입플랜지부(112)를 삽입함으로써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케이스본체(2)로부터 어태치먼트(110)를 떼어내는 경우는 삽입플랜지부(112)를 빼내면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에 있어서 어태치먼트(110)의 착탈이 용이하여 더욱 어태치먼트(110)본체가 소형이 된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제 10 실시형태]
도 37A, 도 3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20)는 상기한 제 9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특수광학효과로서 확대기능이 얻어지는 렌즈부(123)를 갖는 정면부(121)와, 정면부(121)로부터 돌출하는 삽입플랜지부(122)와, 정면부(121)의 윗쪽으로부터 돌출하는 상면플랜지부(124)를 일체적으로 갖는다.
어태치먼트(120)의 소재는 투명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8A, 도 38B, 그리고 도 39는 어태치먼트(12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8A, 도 38B, 그리고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20)는 케이스본체(2)의 상면에 상면플랜지부(124)를 겹치고, 케이스본체(2)와 손목밴드(3)의 틈에 삽입플랜지부(122)를 삽입함으로써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케이스본체(2)로부터 어태치먼트(120)를 떼어내는 경우는 삽입플랜지부(122)를 빼내면 좋다.
이와 같이 삽입플랜지부(122)와 상면플랜지부(124)에서 케이스본체(2)를 끼워넣음으로써 어태치먼트(120)는 안정되게 케이스본체에 장착된다.
[제 11 실시형태]
도 40A, 도 4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30)는 흡반을 겸하고, 특수광학효과로서 확대기능이 얻어지는 렌즈부(131)와, 그 렌즈부(131)로부터 돌출하는 돌출편부(132)를 갖는다.
어태치먼트(130)의 소재는 연질의 투명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1A, 도 41B, 도 41C, 그리고 도 42는 어태치먼트(130)를 케이스본체(2)(원형오목부(211))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1A, 도 41B, 도 41C, 그리고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30)는 투명커버부재(21)의 원형오목부(211)에 렌즈부(131)를 흡착시킴으로써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케이스본체(2)로부터 어태치먼트(130)를 떼어내는 경우는 돌출편부(132)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끌어당김으로써 투명커버부재(21)로부터 렌즈부(131)를 벗기면 좋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어태치먼트에 따르면, 케이스본체(2)로부터의 착탈이 용이하여 상기 실시예 중 최소사이즈의 어태치먼트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제 12 실시형태]
도 43A, 도 4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40)는 투명커버부재(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정면부(141)와, 정면부(141)의 옆쪽으로 돌출하는 돌출편부(142)를 갖는다.
어태치먼트(140)의 소재는 연질의 투명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정면부(141)에는 원형오목부(211)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수광학효과로서 확대기능이 얻어지는 렌즈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정면부(141)의 이면에는 상기 렌즈부(143)를 피하는 위치에 투명한 양면테이프(145, 146)가 붙여져 있다.
도 44A, 도 44B, 도 44C, 그리고 도 45는 어태치먼트(140)를 케이스본체(2)(투명커버부재(21))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4A, 도 44B, 도 44C, 그리고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40)는 원형오목부(211)에 렌즈부(143)를 대고, 투명커버부재(21)에 정면부(141)를 양면테이프(145, 146)로 접착함으로써 케이스본체(2)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케이스본체(2)로부터 어태치먼트(140)를 떼어내는 경우는 돌출편부(142)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끌어당김으로써 투명커버부재(21)로부터 정면부(141)를 벗기면 좋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어태치먼트에 따르면, 케이스본체(2)로부터의 착탈이 용이하여 상기 실시예 중 최소사이즈의 어태치먼트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제 13 실시형태]
도 46A, 도 46B, 그리고 도 4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50)는 상면부(151), 돌기부(151a), 좌우의 측면부(152), 돌출부(153), 단면부(154), 좌우의 측면부(152)에 의해 공유된 2쌍의 훅부(156, 157), 단부훅부(158)를 갖는다.
어태치먼트(150)의 소재는 투명수지 또는 2색성형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153)의 내부에는 특수광학효과로서 도 4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망원촬영기능(이후 A효과라 부른다)용의 망원렌즈(tele-conversion lens)부(162)를 갖는 투명수지제의 플레이트(161)가 단면부(154)의 내측에 겹쳐서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도 4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이 플레이트(161)와 동 사이즈의 특수광학효과로서 각종 광학필터기능(이후 B효과라 부른다)용의 광학필터부(164)를 갖는 투명수지제의 플레이트(163)가 준비되어 있다.
도 48A, 도 48B, 도 48C, 그리고 도 49는 어태치먼트(15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어태치먼트(150)에 따르면,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사용자는 망원렌즈부(162)를 갖는 플레이트(161), 광학필터부(164)를 갖는 플레이트(163)의 어느 쪽인가를 선택하여 교체하는 것으로 A효과와 B효과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4 실시형태]
도 50A, 도 50B, 그리고 도 5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50)는 상기한 제 1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인데, 돌출부(153)의 내부에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개의 다른 특수광학효과(상기한 A효과, B효과)기능을 구비하는 망원렌즈부(166), 광학필터부(167)를 갖는 투명수지제의 플레이트(165)가 단면부(154)의 내측에 겹쳐서 수납되어 있다.
도 52는 어태치먼트(15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165)에 망원렌즈부(166)와 광학필터부(167)를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플레이트(165)를 반전하여 교체하는 것으로 A효과부(166)와 B효과부(167)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5 실시형태]
도 53A, 도 53B, 그리고 도 5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50)는 상기한 제 13 실시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인데, 돌출부(153)의 내부에,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3개의 다른 특수광학효과(상기한 A효과, B효과에 덧붙여서 광각촬영기능(이후 C효과라 부른다))기능을 구비하는 망원렌즈부(172), 광학필터부(173), 광각렌즈(wide-conversion lens)부(174)를 갖는 투명수지제의 가로로 긴 플레이트(171)가 단면부(154)의 내측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 돌출부(153)에 있어서, 플레이트(171)가 구비되는 위치에는 양단부에 슬릿이 설치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171)는 가로방향슬라이드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가로로 긴 플레이트(171)의 양단은 빠짐방지용의 폭넓음부(175)가 형성되어 있다.
도 55는 어태치먼트(15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플레이트(171)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망원촬영, 광학필터를 사용한 특수광학효과촬영 및 광각촬영을 선택할 수 있다.
[제 16 실시형태]
도 5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50)는 상기한 제 1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인데, 돌출부(153)의 내부에, 투명수지제의 원형플레이트(181)가 단면부(15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원형플레이트(181)는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서 1. 45배망원촬영용의 1. 45배망원렌즈부(183), 2배망원촬영용의 2배망원렌즈부(184), 반사제거필터부(185), 원편광필터부(186), 0. 65배광각촬영용의 0. 65광각촬영렌즈부(187), 세피아조(調)효과를 갖는 세피아필터(188)를 나열하여 설치한 것이다.
도 58은 어태치먼트(15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원형플레이트(181)를 회전조작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복수의 특수광학촬영효과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7 실시형태]
도 59A, 도 59B, 도 59C, 그리고 도 5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190)는 정면부(191), 측면부(192) 및 걺구멍(194)을 갖는다.
어태치먼트(190)의 소재는 투명수지 또는 2색성형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9A와 도 59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면부(191)의 내부에는 망원렌즈부(196), 광학필터부(197)를 갖는 플레이트(195)가 반전하여 교체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도 60A, 도 60B, 도 60C, 그리고 도 61은 어태치먼트(19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플레이트(195)를 반전하여 교체하는 것으로 2가지의 다른 특수광학효과에 의한 촬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특수촬영기능부를 갖는 2장의 플레이트를 준비하여 교체하도록 해도 좋다.
[제 18 실시형태]
도 62b, 도 6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220)는 상면부(221), 구멍부(221a), 좌우의 측면부(222), 돌출부(223), 단면부(224), 좌우의 측면부(222)에 의해 공유된 2쌍의 훅부(226, 227)를 갖는다.
어태치먼트(220)의 소재는 투명수지 또는 2색성형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62a, 도 6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유닛(230)은 렌즈부(231)를 원통체(232)에 구비하는 것으로, 원통체(232)는 압입용의 외주테이퍼면(233)과 촬영용의 내주테이퍼면(234)을 갖고 있다.
도 63a, 도 63b와 도 63c는 어태치먼트(220)의 단면부(224)에 확장유닛(230)을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확장유닛(230)은 단면부(224)에 형성한 테이퍼상 맞붙임구멍(229A)에 외주테이퍼면(233)을 압입함으로써 어태치먼트(220)에 고정된다.
도 64는 어태치먼트(22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확장유닛(230)을 외부부착한 어태치먼트(220)에 따르면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어태치먼트(30)와 별도의 확장유닛(230)을 조합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화상촬영기능 및 대응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 19 실시형태]
도 65b, 도 6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220)는 상기한 제 18 실시형태와 똑같은데, 단면부(224)에는 확장유닛(240)의 외주나사부(243)에 대응하는 나사구멍(229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확장유닛(240)은 도 65a, 6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부(241)를 구비하는 원통체(242)가 외주나사부(243)와 내주나사부(244)를 갖고 있다.
도 66a, 도 66b와 도 66c는 확장유닛(240)을 어태치먼트(220)의 단면부(224)에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6a, 도 66b와 도 6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유닛(240)은 단면부(224)에 형성한 나사구멍(229B)에 외주나사부(243)를 비틀어넣음으로써 어태치먼트(220)에 고정되어 있다.
도 67은 어태치먼트(22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확장유닛(240)을 외부부착한 어태치먼트(220)에 의해서도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 사용자는 확장유닛(240)의 내주나사부(244)에 도시하지 않은 확장유닛을 비틀어 넣어서 조합하면 특수촬영효과의 재편성/조합을 더욱 많이 선택할 수 있다.
[제 20 실시형태]
도 68b, 도 6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220)는 상기한 제 18 실시형태와 똑같은데, 돌출부(223)에는 확장유닛(250)과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홈(223C)이 형성되어 있으며, 확장유닛(250)은 도 68a, 도 6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부(224)에 대응하는 두께형상으로 형성되고, 렌즈부(251), 좌우 한쌍의 훅부(252), 내주테이퍼면(253), 좌우한쌍의 걸어맞춤홈(254)을 구비하고 있다.
도 69a, 도 69b와 도 69c는 확장유닛(250)을 어태치먼트(220)의 단면부(224)에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9a, 도 69b와 도 6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유닛(250)은 돌출부(223)의 양측면에 형성한 걸어맞춤홈(229C)에 훅부(252)를 걸어맞춤으로써 어태치먼트(220)에 고정되어 있다.
도 70은 어태치먼트(22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확장유닛(250)을 외부부착한 어태치먼트(220)에 의해서도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 사용자는 확장유닛(250)의 걸어맞춤홈(254)에 도시하지 않은 확장유닛을 훅부로 요철걸어맞춤하여 조합하면 특수촬영효과의 재편성/조합을 더욱 많이 선택할 수 있다.
[제 21 실시형태]
도 71에서 도 76a∼도 7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290)는 커버부(260)와, 이 커버부(260)에 구비되는 핀(261)의 주위에 회전이동 자유롭게배치되는 아암부(270)로 구성된다.
커버부(260)의 내면은 케이스본체(2)의 외형에 맞추어서 설계되어 있으며, 케이스본체(2)에 덜컹거리는 일 없이 장착된다.
커버부(260)의 단면에는 망원렌즈(281)를 구비하는 확장유닛(280)이 나사고정된다.
도면 중 부호 “282”는 방수패킹(282)이고, 부호 “301”은 투명커버(301)이다.
또 도 7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부(270)의 단면에는 오목부(2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72)는 어태치먼트(290)를 케이스본체(2)에 부착했을 때에 케이스본체(2)의 배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해 있는 손목시계(1)의 밴드부착부(201)를 피하도록 뒷덮개(8)에 접촉하고, 아암부(270)를 뒷덮개(8)에 확실히 고정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어태치먼트(290)를 케이스본체(2)에 장착하는 데는 도 76a, 도 7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망원렌즈부(281)를 구비하는 확장유닛(280)을 커버부(260)에 나사고정한 상태에서 이 커버부(260)를 윗쪽으로부터 케이스본체(2)에 맞추게 한다(도 76a).
그리고 아암부(270)를 핀(261)의 주위에 회전이동시켜서 케이스본체(2)의 배면으로부터 덮고, 아암부(270)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푸쉬부(271)를 커버부(260)의 끼워맞춤부(262)에 끼워 맞추게 한다(도 76b).
또한 이 푸쉬부(271)에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폴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폴을 커버부(260)의 끼워맞춤부(262)에 끼워맞춘다.
이렇게 하여 어태치먼트(290)는 케이본체(2)를 커버부(26)와 아암부(270)가 상하로부터 끼워 넣도록 하여 덜렁거림이나 누락해 버리는 일 없이 원터치로 고정된다.
또 어태치먼트(290)를 케이스본체(2)로부터 떼어내는 데는 도 7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쉬부(271)에 약간 밀어누름을 주면서 푸쉬부(271)의 폴을 끼워맞춤부(262)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어태치먼트(290)를 케이스본체(2)로부터 원터치로 떼어낼 수 있다.
이상의 확장유닛(280)을 외부부착한 어태치먼트(290)에 따르면, 케이스본체(2)의 외관부에 노출하여 확장유닛(290)을 부착하기 위한 나사를 자를 필요가 없고, 어태치먼트(290)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촬상장치(1)의 의장적인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 촬상렌즈(6)의 전면에 부착하는 확장유닛(280)을 적당히 선택하여 케이스본체(2)에 어태치먼트(290)를 부착함으로써 촬상장치(1)에 원터치로 각종의 특수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확장유닛(280)을 어태치먼트(290)에 부착했는데, 촬상장치(1)의 날귀(29)를 교환 가능하게 배치해서 이 날귀(29)에 확장유닛(280)을 부착해도 좋다.
또한 촬상장치(1)에 도시하지 않은 끼움목을 구비하고, 이 끼움목에 확장유닛(280)을 부착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손목시계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손목장착형 전자기기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 등의 통신단말기이어도 좋고, 요는 촬상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이면 좋다.
또 카메라부의 구성 등도 임의이고, 기타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20)

  1. 카메라부를 구비하고, 이 카메라부의 렌즈와, 신체에 장착하기 위한 밴드부를 부착하기 위한 밴드부착부를 갖는 기기본체와,
    적어도 상기 렌즈를 덮는 광투과부분을 갖는 동시에 상기 밴드부착부를 피하도록 상기 기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촬상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기기본체의 외주부에 걸어맞추어서 고정하는 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촬상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어태치먼트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촬상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와 상기 어태치먼트는 별개체로 구성되고,
    상기 훅부에는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고정상태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촬상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회전이동시켜서 상기 기기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아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촬상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기기본체의 외주부에 걸어맞추어서 고정하는 걺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촬상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에는 상기 밴드부를 상기 기기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스프링막대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어태치먼트는 이 스프링막대부착부로의 고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촬상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촬상에 있어서 특수촬영효과를 실시하기 위한 특수촬영기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촬상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촬영기능부는 상기 어태치먼트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촬상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는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렌즈와 상기 표시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촬상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의 형상은 그 양단부에 상기 밴드부착부를 가진 손목장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촬상기기.
  12. 카메라부를 구비하고, 이 카메라부의 렌즈와, 신체에 장착하기 위한 밴드부를 부착하기 위한 밴드부착부를 갖는 기기본체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렌즈를 덮는 광투과부분을 갖는 동시에, 상기 밴드부착부를 피하도록 상기 기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의 외주부에 걸어맞추어서 고정하는 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해당 어태치먼트본체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와 해당 어태치먼트본체는 별개체로 구성되고,
    상기 훅부에는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고정상태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16. 제 12 항에 있어서,
    회전이동시켜서 상기 기기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아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의 외주부에 걸어맞추어서 고정하는 걺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18. 제 12 항에 있어서,
    촬상에 있어서 특수촬영효과를 실시하기 위한 특수촬영기능부를 갖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촬영기능부는 해당 어태치먼트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는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렌즈와 상기 표시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KR1020010041787A 2000-07-13 2001-07-12 휴대형 촬상기기 및 어태치먼트 KR200200080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12986 2000-07-13
JP2000212986 2000-07-13
JP2001177022A JP2002094859A (ja) 2000-07-13 2001-06-12 携帯型撮像機器、および、アタッチメント
JPJP-P-2001-00177022 2001-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002A true KR20020008002A (ko) 2002-01-29

Family

ID=2659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787A KR20020008002A (ko) 2000-07-13 2001-07-12 휴대형 촬상기기 및 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051075A1 (ko)
JP (1) JP2002094859A (ko)
KR (1) KR20020008002A (ko)
CN (1) CN1334489A (ko)
HK (1) HK1043205A1 (ko)
TW (1) TW4865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0315A (ja) * 2003-06-17 2005-01-13 Scalar Corp 光学要素フィルタ、及び光学要素フィルタセット
ITMI20050251U1 (it) * 2005-07-11 2007-01-12 Gallo Elmar Dispositivo indossabile supportante una microtelecamera
CN101042456B (zh) * 2006-03-24 2010-12-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ITBO20080149A1 (it) * 2008-03-06 2009-09-07 Andrea Corticelli Dispositivo di trasporto per uno strumento di registrazione foto, video, audio o simili.
KR102138503B1 (ko) * 2013-04-09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TWI554851B (zh) * 2013-11-29 2016-10-21 dao-zheng Xu A watch structure with a replacement internal lens
JP5872529B2 (ja) * 2013-12-24 2016-03-01 梅州市▲ショウ▼瑩實業有限公司 交換式内蔵レンズを具えた腕時計構造
USD727198S1 (en) 2014-08-11 2015-04-21 Apple Inc. Band
USD759725S1 (en) 2014-09-08 2016-06-21 Apple Inc. Wearable device
USD771036S1 (en) 2014-08-11 2016-11-08 Apple Inc. Wearable device
USD755299S1 (en) 2014-09-05 2016-05-03 Apple Inc. Label
JP6465643B2 (ja) * 2014-12-22 2019-02-06 Kddi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EP3062172B1 (fr) * 2015-02-24 2017-11-15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ontre équipée d'une loupe
TWI557537B (zh) * 2015-08-06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裝置以及穿戴式電子組件
USD855052S1 (en) * 2015-10-30 2019-07-30 Lenovo (Beijing) Co., Ltd. Tablet computer
USD795121S1 (en) 2016-03-07 2017-08-22 Apple Inc. Band
USD789822S1 (en) 2016-03-07 2017-06-20 Apple Inc. Band
USD781853S1 (en) 2016-03-07 2017-03-21 Apple Inc. Wearable device
USD777163S1 (en) 2016-03-07 2017-01-24 Apple Inc. Wearable device
USD838619S1 (en) 2017-03-10 2019-01-22 Apple Inc. Band
CN207115040U (zh) * 2017-05-08 2018-03-16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表体和一种穿戴设备
CN107741638A (zh) * 2017-09-21 2018-02-27 安徽恒杰保安服务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的数码望远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7918C (de) * 1925-04-21 1926-04-19 Magnetwerk G M B H Eisenach Fa Bremsring, insbesondere fuer Lamellenkupplungen
US4081806A (en) * 1976-08-09 1978-03-28 Seckendorf Bernard A Camera
US5596366A (en) * 1990-05-14 1997-01-21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apparatus having camera movement detection
US5102023A (en) * 1991-04-10 1992-04-07 Nguyen Tuan D Clothing accessory
US5452829A (en) * 1993-11-18 1995-09-26 Motorola, Inc. Integrated lens and holster assembly
US5859665A (en) * 1994-08-31 1999-01-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tabilizing device having a locking element for locking when removed from a lens
US5940153A (en) * 1998-04-03 1999-08-17 Motorola, Inc. Display assembly having LCD and seal captured between interlocking lens cover and light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86596B (en) 2002-05-11
HK1043205A1 (zh) 2002-09-06
CN1334489A (zh) 2002-02-06
JP2002094859A (ja) 2002-03-29
US20020051075A1 (en)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8002A (ko) 휴대형 촬상기기 및 어태치먼트
EP1119176B1 (en) A portable image capturing device
EP1453305B1 (en) Folding type camera device and folding type portable telephone
JP3846716B2 (ja) カメラ付携帯通信端末
JP2007108373A (ja) 電動ズーム装置
KR20070043636A (ko) 렌즈 배럴
JP4475063B2 (ja) 電子機器用防水ケース
JP2002271665A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用レンズカバー
JP4928300B2 (ja) 撮像装置
JP5157153B2 (ja) 撮像装置、撮影システム、入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63830A (ja) カメラの焦点切換構造
JP2003015207A (ja) 防水式カメラ装置
KR101005685B1 (ko)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JPH11331659A (ja) 電子カメラ
JP4738946B2 (ja) 撮像装置
JP2008092314A (ja) 撮像装置
JP2013247639A (ja) 頭部装着型撮像装置
JP2004294685A (ja) テレビレンズ
JP2004333871A (ja) 電子機器の防水構造及び防水カメラ
JP2005217901A (ja) 腕装着型電子機器
JP2009162976A (ja) 防水カメラ
JP5511928B2 (ja) 撮像装置
JP2004302353A (ja) 防水機能付きクレードル
JP3823498B2 (ja) 電子カメラ
US7020392B2 (en) Finder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