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685B1 -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685B1
KR101005685B1 KR1020030072404A KR20030072404A KR101005685B1 KR 101005685 B1 KR101005685 B1 KR 101005685B1 KR 1020030072404 A KR1020030072404 A KR 1020030072404A KR 20030072404 A KR20030072404 A KR 20030072404A KR 101005685 B1 KR101005685 B1 KR 101005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ain body
camera
lens unit
hous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509A (ko
Inventor
니시하라마꼬또
사와다다께시
시미즈히로노리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03990A external-priority patent/JP3846716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4003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렌즈부를 교환 가능하게 하여 광학 특성이 다른 화상을 사용자가 간단하게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전화(1)는 카메라 기능부(7)를 하우징 본체(2)에 내장하고 있고, 렌즈부(3A)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유닛(4A)과, 이 렌즈 유닛(4A)에 형성된 나사부(10)와, 이 나사부(10)와 나사 결합하여 렌즈 유닛(4A)을 하우징 본체(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하는 상기 하우징 본체(2)에 형성된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렌즈 교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1)에 따르면, 렌즈부(3A)를 교환함으로써 카메라 기능부(7)의 광학 특성을 용이하게 절환하는 것이 가능해져, 광학 특성이 다른 화상의 촬영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휴대 전화, 하우징, 렌즈부, 렌즈 유닛, 나사부, 카메라 기능부

Description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도1은 본 발명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의 제1 실시 형태가 되는 휴대 전화를 도시하고 있고, 도1의 (a)는 부분 배면도, 도1의 (b)는 도1의 (a) 중 Ⅰ-Ⅰ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의 제2 실시 형태가 되는 휴대 전화를 도시하고 있고, 도2의 (a)는 부분 배면도, 도2의 (b)는 도2의 (a) 중 Ⅱ-Ⅱ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의 제3 실시 형태가 되는 휴대 전화를 도시하고 있고, 도3의 (a)는 부분 배면도, 도3의 (b)는 도3의 (a) 중 Ⅲ-Ⅲ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의 제4 실시 형태가 되는 휴대 전화를 도시하고 있고, 도4의 (a)는 부분 배면도, 도4의 (b)는 도4의 (a) 중 Ⅳ-Ⅳ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의 제5 실시 형태가 되는 휴대 전화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의 제6 실시 형태가 되는 휴 대 전화의 사시도.
도7은 제6 실시 형태가 되는 휴대 전화를 도시하는 것으로, 렌즈 유닛을 하우징 본체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8은 제6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제6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9의 (a)는 단면도, 도9의 (b)는 평면도.
도10은 렌즈부에 3면 프리즘을 사용하여 피사체를 투영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10의 (a)는 피사체의 전신이 투영된 상태이고, 도10의 (b)는 3면 프리즘을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일부가 투영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제6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을 도시하는 것으로, 카메라 촬영을 행하지 않을 때에 렌즈부를 갖지 않은 더미 렌즈 유닛을 하우징 본체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12는 제7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13은 제7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14는 제8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14의 (a)는 렌즈 유닛을 하우징 본체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14의 (b)는 렌즈 유닛을 하우징 본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15는 적외선 촬영 기능을 부가한 카메라 기능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
2 : 하우징 본체
12 :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
30 : 장식 패널
33 : 렌즈 부착 구멍부
34 : 카메라 모듈
37 : 렌즈 보유 지지부
38 : 삽입부
39 : 빠짐 방지부
40 : 슬릿
44 : 장치 본체
45 : 렌즈 보유 지지부
62 : 피결합부
63 : 로크부
67 : 적외선 LED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이 달린 휴대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렌즈부만을 교환 가능하게 하여 광학 특성이 다른 화상을 사용자가 간단하게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등의 휴대 통신 단말은 카메라 기능을 내장시켜 그 카메라 기능으로 촬영한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을, 휴대 통신 단말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대편에게 송신하는 기술이 실용화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320463호 공보(제2 페이지 및 제3 페이지, 도1)
최근, 사용자의 요망 등에 의해 휴대 통신 단말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적극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카메라 기능을 내장시키는 등의 다기능화의 요망도 있다. 휴대 통신 단말에의 카메라 기능의 내장 시에는 소형화 및 박형화된 단말 본체 내에 통신 기능과 더불어 내장시키게 되므로, 매우 한정된 공간에서 카메라 기능부를 탑재시켜야만 한다.
이로 인해, 광각 및 망원 등을 실현하기 위한 기계적인 줌 기구 등을 탑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여, 단일 광학 특성에 고정된 렌즈를 갖고 있는 것밖에 없었다. 특히, 휴대 전화 등에서는 단말의 두께에는 실질적으로 제한이 있으므로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줌 기구 등의 탑재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의 박형화를 실현하기 위해 전자 줌 등을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전자 줌에서는 어떠한 보정을 행하고 있으므로 광학 줌에 비 해 화질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렌즈부를 교환 가능하게 하여 광학 특성이 다른 화상을 사용자가 간단하게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은 카메라 기능부를 하우징 본체에 설치하고 있고, 카메라 기능부 중 적어도 렌즈부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은, 예를 들어 각종 렌즈 중에서 촬영의 목적에 따른 적절한 렌즈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선택한 렌즈를 하우징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렌즈와 교환함으로써, 카메라 기능부의 광학 특성을 용이하게 절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은 광학 특성이 다른 화상의 촬영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은 렌즈부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유닛을 하우징 본체에 대해 삽입 발출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에 따르면, 렌즈 유닛을 하우징 본체에 대해 삽입 발출만하는 간단한 원터치 조작으로 렌즈 유닛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 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통신 단말을 도1의 (a) 및 도1의 (b)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은 휴대 전화(1)이다. 이 휴대 전화(1)에는 하우징 본체(2)의 배면측(화상 표시측과는 반대측)에 착탈 가능한 렌즈부(3A)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유닛(4A)이 부착된다. 렌즈부(3A)는 렌즈 유닛(4A)마다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렌즈부(3A)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는 일단부에 렌즈부(3A)를 보유 지지시킨 원통 부재의 렌즈 보유 지지 부재인 렌즈 유닛(4A)과, 이 렌즈 유닛(4A)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부(수형 나사)인 나사부(10)와, 이 나사부(10)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렌즈 유닛(4A)을 상기 하우징 본체(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하는 상기 하우징 본체(2)에 형성된 제2 나사부(암형 나사)인 나사부(11)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본체(21)에 형성된 나사부(11)는 상기 하우징 본체(2)에 형성된 렌즈 유닛 장착부(5)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렌즈 유닛 장착부(5)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경통부(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통부(6)의 안쪽에는 카메라 기능부(7)가 내장되어 있다. 경통부(6)의 선단부에는 내부에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투명한 커버 유리(8)(합성 수지제라도 좋음)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경통부(6)의 기단부측, 즉 하우징 본체(2)의 내부측에는, 예를 들어 CCD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9)가 설치되어 있다.
렌즈 유닛(4A)은, 예를 들어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망원 렌즈, 특수 렌즈 등과 같이 다른 초점 거리의 렌즈나 다른 렌즈 색 등에 따른 렌즈부(3A)를 가진 복수 종류가 준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광학 특성을 얻고 싶을 때에는 이들 각종 렌즈 중에서 원하는 렌즈부(3A)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유닛(4A)을 선택하고, 그 선택한 렌즈 유닛(4A)을 상기한 나사부(10, 11)끼리의 나사 결합에 의해 하우징 본체(2)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단하게 렌즈부(3A)만을 교환할 수 있고, 1대의 휴대 전화(1)로 다양한 광학 특성을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렌즈 교환 기구는 주로 체결 수단 중 하나로서 나사부(10, 11)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렌즈 유닛(4A)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렌즈부(3A)와 이미지 센서(9)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의 렌즈 교환 기구는 줌 범위를 확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렌즈 교환 기구가 나사이므로, 줌의 미묘한 조정을 행하기 쉽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렌즈 유닛(4A)을 분실하지 않도록 부착해 두기 위해, 상술한 렌즈 유닛 장착부(5)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 홀더부를 하우징 본체(2)의 다른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이 홀더부(12)에 비사용시의 렌즈 유닛(4A)을 수납시켜 둘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을 도2의 (a) 및 도2의 (b)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도 휴대 전화(1)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는 동 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이 휴대 전화(1)는 그 하우징 본체(2)의 배면측에 착탈 가능한 렌즈부(3B)가 부착된다. 렌즈부(3B)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는 렌즈부(3B)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인 렌즈 유닛(4B)과, 이 렌즈 유닛(4B)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상기 하우징 본체(2)에 형성된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로 이루어진다.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는 상기 하우징 본체(2)의 측방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본체(2)의 배면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내부 공간이고, 그 공간부에 통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2)의 측면에 렌즈 유닛(4B)을 출입시키기 위한 슬릿(13)을 갖고 있다.
상기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에는 이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1)에 수용된 렌즈부(3B)를 하우징 본체(2)의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구멍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멍부(14)의 안쪽에는 상기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 내에 렌즈(3B)가 수납되어 있지 않을 때에 하우징 본체(2) 내부에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투명한 커버 유리(8)(합성 수지제라도 좋음)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커버 유리(8)가 구멍부(14)에 끼워 넣어져 있어도 좋다. 구멍부(14)의 더 안쪽의 하우징 본체(2) 내부에는, 예를 들어 CCD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9)를 갖는 카메라 기능부(7)가 내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렌즈부(3B)는 박형의 판형을 이루는 렌즈 유닛(4B)에 부착되어 있고, 이 렌즈 유닛(4B)마다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렌즈 유닛(4B)의 외연의 한 변 상에는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에의 착탈을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한 손잡이(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손잡이(15)가 형성되어 있는 변에 인접하 는 2개의 변에는 결합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의 내부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결합 오목부(16)와 결합하는 결합 돌기(17)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유닛(4B)이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 내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 돌기(17)와 결합 오목부(16)가 서로 결합하여 상기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로부터의 렌즈 유닛(4B)의 탈락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사용되는 렌즈 유닛(4B)은, 예를 들어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망원 렌즈, 특수 렌즈 등의 다른 초점 거리나 다른 색 등에 따른 렌즈부(3B)를 가진 복수 종류가 준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광학 특성을 얻고 싶을 때에는 이들 각종 렌즈 중에서 원하는 렌즈부(3B)를 갖는 렌즈 유닛을 선택하고, 그 선택한 렌즈 유닛(4B)을 상기한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에 삽입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2)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단하게 렌즈부(3B)만을 교환할 수 있고, 1대의 휴대 전화(1)로 다양한 광학 특성을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렌즈부(3B)를 분실하지 않도록 부착해 두기 위해, 상술한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홀더부를 하우징 본체(2)의 다른 부분에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비사용시의 렌즈부(3B)를 수납 보관시켜 둘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을 도3의 (a) 및 도3의 (b)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도 휴대 전화(1)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이 휴대 전화(1)는 하우징 본체(2)의 배면측 중 한 쪽 측모서리부에 직선형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를 내장하고 있다. 이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에는 복수 종류의 렌즈부(3C)가 소정 간격을 두고 직선 상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들 복수의 렌즈부(3C)는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를 상기 하우징 본체(2)에 대해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렌즈부(3C)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는 긴 형의 슬라이드 바아로 이루어지는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와, 이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기구부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기구부는 하우징 본체(2) 내에 형성된 슬라이드 공간부(18)를 갖고, 그 슬라이드 공간부(18) 내에 상기한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를 수납시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가 수납된 부분에는 하나의 렌즈부(3C)를 하우징 본체(2)의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절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9)는 렌즈부(3C)의 크기에 맞춘 원형 구멍이라도 좋다. 절결부(19)의 안쪽에는 투명한 커버 유리(8)(합성 수지제라도 좋음)가 부착되어 있다. 커버 유리(8)의 더 안쪽의 하우징 본체(2) 내부에는, 예를 들어 CCD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9)를 갖는 카메라 기능부(7)가 내장되어 있다.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에는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의 슬라이드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한 손잡이(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손잡이(20)와 는 반대측의 변에는 각 렌즈부(3C)의 위치에 각각 결합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2)의 커버 렌즈(8)의 근방에는 상기 결합 오목부(21)와 결합하는 결합 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각 렌즈부(3C)와 절결부(19)의 위치를 맞추면, 상기 결합 돌기(22)와 결합 오목부(21)가 서로 결합하여 위치 맞춤된 렌즈부(3C)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렌즈부(3C)는, 예를 들어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망원 렌즈, 특수 렌즈 등의 다른 초점 거리나 다른 색 등에 따른 복수 종류가 준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광학 특성을 얻고 싶을 때에는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를 슬라이드시켜 사용해야 할 렌즈부(3C)를 상기 이미지 센서(9)와 대응하는 위치에 맞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양한 광학 특성을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렌즈부(3C)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내부의 카메라 기능부(7)를 보호하기 위해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에 보호 커버부(23)로서 렌즈가 끼워 넣어져 있지 않은 부분을 형성시켜도 좋다. 또한, 렌즈 보유 지지 부재(4C)는 하우징 본체(2)의 배면측이 아닌 하우징 본체(2)의 측면측에 배치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을 도4의 (a) 및 도4의 (b)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도 휴대 전화(1)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이 휴대 전화(1)는 하우징 본체(2)의 배면측에 원 판형의 회전 가능한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에는 복수 종류의 렌즈부(3D)가 소정 간격을 두고 원환형으로 끼워 넣어져 있다. 이들 복수의 렌즈부(3D)는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를 상기 하우징 본체(2)에 대해 회전 조작함으로써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렌즈부(3D)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는 원반 형상의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와, 이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를 하우징 본체(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기구부로 이루어진다. 회전 기구부는 하우징 본체(2)에 형성된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를 수납시키는 회전 공간부(24)를 갖고, 그 회전 공간부(24)내에 설치된 축부(25)에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를 상기 하우징 본체(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한다.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가 수납된 부분에는 하나의 렌즈부(3D)를 하우징 본체(2)의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절결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6)는 렌즈부(3D)의 크기에 맞춘 원형 구멍이라도 좋다. 절결부(26)의 안쪽에는 투명한 커버 유리(8)(합성 수지제라도 좋음)가 부착되어 있다. 커버 유리(8)의 더 안쪽의 하우징 본체(2) 내부에는, 예를 들어 CCD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9)를 갖는 카메라 기능부(7)가 내장되어 있다.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의 외주연부는 약간 하우징 본체(2)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의 외주 측면에는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를 회전시키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렌즈 보 유 지지 부재(4D)의 외주 측면 상의 각 렌즈부(3D) 부분에는 하우징 본체(2)에 형성된 결합 돌기(27)와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2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렌즈부(3D)와 절결부(26)의 위치를 맞추면, 결합 돌기(27)와 결합 오목부(28)가 서로 결합하여 위치 맞춤된 렌즈부(3D)의 위치가 고정된다.
렌즈부(3D)는, 예를 들어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망원 렌즈, 특수 렌즈 등과 같이 다른 초점 거리나 다른 색 등에 따라서 복수 종류가 준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광학 특성을 얻고 싶을 때에는 상기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를 회전시켜 사용해야 할 렌즈부(3D)를 상기 이미지 센서(9)와 대응하는 위치에 맞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양한 광학 특성을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렌즈부(3D)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내부의 카메라 기능부(7)를 보호하기 위해 렌즈 보유 지지 부재(4D)에 보호 커버부(29)로서 렌즈가 끼워 넣어져 있지 않은 부분을 형성해도 좋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제5 실시 형태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을 도5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도 휴대 전화(1)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이 휴대 전화(1)는 하우징 본체(2)에 장착되는 제거 가능한 장식 패널(30)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장식 패널(30)에는 렌즈부(3E)가 끼워 넣어져 있다. 렌즈부(3E)는 장식 패널(30)을 하우징 본체(2)에 대해 바꾸어 부착하는 것으로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렌즈부(3E)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는 렌즈부(3E)가 부착된 장식 패널(30)과, 이 장식 패널(30)을 하우징 본체(2)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착탈 기구로 이루어진다. 착탈 기구는 장식 패널(30)에 형성된 복수의 갈고리부(31)와, 이 갈고리부(31)와 결합하는 하우징 본체(2)에 형성된 홈부(32)로 이루어진다. 이 착탈 기구는 상기 갈고리부(31)를 상기 홈부(32)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식 패널(30)을 상기 하우징 본체(2)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장착시킨다.
장식 패널(30)을 하우징 본체(2)에 부착하였을 때에, 렌즈부(3E)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투명한 커버 유리(8)(합성 수지제라도 좋음)가 부착되어 있다. 커버 유리(8)의 더 안쪽의 하우징 본체(2) 내부에는 이미지 센서를 갖는 카메라 기능부(7)가 내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이미지 센서도 CCD이다.
렌즈부(3E)가 끼워 넣어진 장식 패널(30)은, 예를 들어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망원 렌즈, 특수 렌즈 등의 다른 초점 거리나 다른 색 등에 따른 렌즈부(3E)를 가진 복수 종류가 준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광학 특성을 얻고 싶을 때에는 이들 각종 렌즈 중에서 원하는 렌즈부(3E)를 갖는 장식 패널(30)을 하우징 본체(2)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1대의 휴대 전화(1)로 다양한 광학 특성을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우징 본체(2)에 장식 패널(30)을 일체화시킴으로써, 휴대 전화(1)의 외관을 패션 감각으로 옷을 갈아입는 것처럼 바꾸는 기능과 동시에, 렌즈부(3E)의 교환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식 패널(30)의 무늬 등에 의해 각 렌즈부(3E)의 기능(광각이나 망원 등)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제6 실시 형태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을 도6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도 휴대 전화(1)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휴대 전화(1)에는 하우징 본체(2)의 배면측에 착탈 가능한 렌즈 유닛(4E)이 부착된다. 렌즈 유닛(4E)은 하우징 본체(2)의 배면에 형성된 렌즈 부착 구멍부(331)에 압입하여 조작됨으로써 원터치로 장착된다.
이 렌즈 교환 기구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에 형성된 구멍부인 렌즈 부착 구멍부(33)와, 이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삽입 발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렌즈 유닛(4E)으로 이루어진다. 렌즈 부착 구멍부(33)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우징 본체(2)의 배면에 원형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렌즈 부착 구멍부(33)의 안쪽에는 카메라 기능부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34)이 하우징 본체(2) 내에 내장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34)은 각종 전자 회로 등을 가진 프린트 배선판(35) 상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2) 내이며 상기 렌즈 부착 구멍부(33)의 개구 내주연부에는 이 렌즈 부착 구멍부(33)로부터 상기 하우징 본체(2) 내로 인입하는 먼지 등을 셔트 아웃하기 위한 보호 렌즈(36)가 설치되어 있다.
렌즈 유닛(4E)은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3F)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부(37)와,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삽입되는 삽입부(38)와, 삽입부(38)의 선단부에 형성된 빠짐 방지부(39)와, 이 빠짐 방지부(39)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삽입부(38)에 걸쳐서 형성된 슬릿(40)으로 이루어진다.
렌즈 보유 지지부(37)는 렌즈부(3F)를 보유 지지하는 부분에 상당하고, 상기 렌즈부(3F)를 내부에 수납 보유 지지하는 데 충분한 크기의 일단부가 개방된 원통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38)는 렌즈 부착 구멍부(33)보다도 약간 큰 직경을 가진 원통 부재로서 형성되어 상기 렌즈 보유 지지부(37)와 일체화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39)는 빠짐 방지부(39) 및 삽입부(38)를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압입하였을 때에 상기 렌즈 부착 구멍부(33)로부터 렌즈 유닛(4E)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 빠짐 방지부(39)는,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38)의 선단부에 원환형을 이루는 플랜지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이 빠짐 방지부(39)에는 렌즈 유닛(4E)을 다른 종류의 렌즈 유닛(4E)[예를 들어 광각 렌즈를 구비한 렌즈 유닛(4E)]으로 바꿀 때에, 상기 렌즈 유닛(4E)을 용이하게 렌즈 부착 구멍부(33)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테이퍼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40)은 빠짐 방지부(39)의 선단부로부터 삽입부(38)의 기단부[렌즈 보유 지지부(37)와의 연결부]에 이르는 위치까지 대략 스트레이트 형상의 가늘고 긴 홈으로서 절입되어 있다. 이 슬릿(40)이 삽입부(38)의 복수 부위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부(38)는 선단부에 빠짐 방지부(39)를 가진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변위부를 갖게 된다.
이로 인해, 렌즈 유닛(4E)을 상기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삽입하면, 슬릿(40)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변위부가 서로 내측으로 좁아지도록 변형하여 상기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삽입되어 간다. 렌즈 유닛(4E)을 최후까지 압입하면, 빠짐 방지부(39)는 렌즈 부착 구멍부(33)로부터 하우징 본체(2) 내로 돌출된다. 또한, 이 때 각 변위부는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복귀하므로, 상기 삽입부(38)를 상기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압박하여 밀착시키는 동시에 빠짐 방지부(39)가 상기 렌즈 부착 구멍부(33)의 개구 주연부에 결합한다. 그 결과, 렌즈 유닛(4E)은 하우징 본체(2)에 대해 헐거움 없이 부착되게 된다.
한편, 렌즈 유닛(4E)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렌즈 보유 지지부(37)를 손가락으로 협지하여 인장함으로써 하우징 본체(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빠짐 방지부(39)에는 테이퍼부(4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렌즈 유닛(4E)을 강하게 인장함으로써 상기 렌즈 부착 구멍부(33)와의 결합이 원활하게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1)에서는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렌즈 유닛(4E)을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압입하는 것의 간단한 조작으로 하우징 본체(2)에 대해 삽입 발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가진 렌즈 유닛(4E)을 선택하여 하우징 본체(2)에 원활하게 부착할 수 있어, 셔터 찬스를 놓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1)에서는 단순히 렌즈 유닛(4E)을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압입하고 있을 뿐이므로, 하우징 본체(2)에 대해 렌즈 유닛(4E)을 도6 중 화살표 X 방향(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렌즈 유닛(4E)을 하우징 본체(2)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만화경과 같은 광학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렌즈부(3F)에 3면 프리즘을 사용하고, 이 3면 프리즘을 보유 지지시킨 렌즈 유닛(4E)을 하우징 본체(2)에 부착하여 상기 렌즈 유닛(4E)을 회전시키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를 복수 투영할 수 있다. 도10의 예에서는, 피사체인 인물(42)이 3면 프리즘(43)에 전신 투영되고 있는 상태[도10의 (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렌즈 유닛(4E)을 회전시킴으로써,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물(42)의 전신 또는 일부만을 투영한 만화경과 같은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이 밖에, 렌즈부(3F)에 편광 필터를 사용하면, 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1)에서는, 카메라 촬영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렌즈부를 갖지 않는 더미 렌즈 유닛(4F)을 하우징 본체(2)에 부착해 둘 수도 있다. 더미 렌즈 유닛(4F)은 렌즈 보유 지지부(37)에 렌즈부(3F)를 보유 지지시키기 위한 공간부를 갖지 않는 원기둥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더미 렌즈 유닛(4F)을 하우징 본체(2)에 부착하면, 먼지 등의 하우징 본체(2) 내에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34)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에,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의 제6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4E)의 변형예이고, 그 변형예인 렌즈 유닛(4G)을 도12 및 도13에 도시한다. 또한, 상기한 제6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본 예의 렌즈 유닛(4G)은 하우징 본체(2)의 배면에 형성된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압입 조작됨으로써 원터치로 장착되는 것이다. 제6 실시 형태의 렌 즈 유닛(4E)과 다른 점은, 렌즈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주목적으로서 구성한 것이다.
이 렌즈 유닛(4G)은 주로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부착되는 장착 본체(44)와, 렌즈부(3F)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부(45)로 이루어진다. 장착 본체(44)는 앞의 제6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4E)과 대략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렌즈부(3F)를 보유 지지하는 구조가 다른 것 외에는 동일하다.
즉, 이 장착 본체(44)는 앞의 제6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4E)에 있어서의 삽입부(38)와 빠짐 방지부(39)와 슬릿(40)을 갖고 있다. 앞의 제6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4E)의 렌즈 보유 지지부(37)에 상당하는 연결부(46)에는 후술하는 렌즈 보유 지지부(45)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시키기 위한 원형상을 이루는 끼워 맞춤 오목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끼워 맞춤 오목부(47)의 내주면에는 렌즈 보유 지지부(45)에 부착되는 후술하는 탈락 방지 부재(48)의 일부를 인입하게 하는 원환형의 홈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보유 지지부(45)는 제1 렌즈 보유 지지 부재(50)와, 이 제1 렌즈 보유 지지 부재(50)에 부착되는 제2 렌즈 보유 지지 부재(51)로 이루어진다. 제1 렌즈 보유 지지 부재(50)는 렌즈부(3F)를 수납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 부분(52)과,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47)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 장착부(53)로 이루어진다. 렌즈 보유 지지 부분(52)에는 렌즈(3F)를 내부에 수납 보유 지지시키기 위한 일단부가 개방된 렌즈 수납 오목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렌즈 수납 오목부(54)의 내주면에는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제1 렌즈 보유 지지 부재(50)와 제2 렌즈 보유 지지 부재(51)를 고정시키기 위한 암형 나사부(5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끼워 맞춤 장착부(53)는 상기 장착 본체(44)의 끼워 맞춤 오목부(47)에 끼워 넣어져 상기 장치 본체(44)에 대해 회전 가능해진다. 이 끼워 맞춤 장착부(53)에는 제1 렌즈 보유 지지 부재(50)를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47)에 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1 렌즈 보유 지지 부재(50)가 끼워 맞춤 오목부(47)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탈락 방지 부재(48)를 부착하기 위한 원환 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환 홈(56)에 끼워 넣어지는 탈락 방지 부재(48)는, 예를 들어 스프링성을 가진 선재를 원환형으로 둥글게 형성한 링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탈락 방지 부재(48)는 상기 원환 홈(56)에 끼워졌을 때에 그 일부가 상기 원환 홈(56)보다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환 홈(56)보다 돌출된 탈락 방지 부재(48)의 일부가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47)에 형성된 홈부(49)에 인입함으로써, 상기 제1 렌즈 보유 지지 부재(50)의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47)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제2 렌즈 보유 지지 부재(51)는 제1 렌즈 보유 지지 부재(50)에 형성된 렌즈 수납 오목부(54) 내에 인입되는 동시에, 렌즈부(3F)를 압박 부착하기 위한 렌즈 압박부(57)를 갖고 있다. 렌즈 압박부(57)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형 나사부(55)와 나사 결합하는 체결 수단으로서의 수형 나사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렌즈 보유 지지 부재(51)에는 렌즈부(3F)를 외측에 면하게 하기 위한 관통 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렌즈 보유 지지 부재(51)에는 상기 렌즈 부(3F)의 외주연을 압박하기 위한 렌즈 압박면(60)이 상기 렌즈 압박부(57)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휴대 전화기(1)에서는 렌즈부(3F)를 제1 렌즈 보유 지지 부재(50)와 제2 렌즈 보유 지지 부재(51)로 협입하여 이루어지는 렌즈 보유 지지부(45)를 장착 본체(4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으므로,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 등의 각종 광학 특성이 다른 렌즈부(3F)를 사용함(교체함)으로써 특수한 효과를 실시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이 휴대 전화(1)에서는 사용자의 촬영 목적에 따라서 렌즈부(3F)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렌즈 유닛마다의 교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이 휴대 전화기(1)는 앞의 제6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4E)과 마찬가지로 하우징 본체(2)에 대해 압입 조작에 의해 원터치로 삽입 발출할 수 있어, 렌즈 유닛(4G)의 교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에,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제6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4E)의 변형예이고, 그 변형예인 렌즈 유닛(4H)을 도14에 도시한다. 또한, 상기한 제6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본 예의 렌즈 유닛(4H)은 하우징 본체(2)의 배면에 형성된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압입 조작됨으로써 원터치로 장착되는 것으로, 제6 실시 형태의 렌즈 유닛(4E)과 다른 점은 빠짐 방지부(39)의 구성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 렌즈 유닛(4H)은 렌즈부(도시는 생략함)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 부(37)와,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삽입되는 삽입부(61)와, 이 삽입부(61)에 형성된 피결합부(62)로 이루어진다. 렌즈 보유 지지부(37)는 제6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조가 되고, 내부에 렌즈부를 수납 보유 지지한다. 삽입부(61)는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된 원통 부재로서 상기 렌즈 보유 지지부(37)에 일체화되어 있다. 피결합부(62)는 삽입부(61)의 외주면에 깊이가 얕은 원환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피결합부(621)에는 상기 렌즈 부착 구멍부(33) 내에 설치된 로크부(63)를 구성하는 돌기(64)가 결합한다.
로크부(63)는 렌즈 부착 구멍부(33) 내이며, 또한 렌즈 부착 구멍부(33)의 관통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로크부 수납 구멍(66) 속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로크부(63)는 상기 피결합부(62)에 결합하는 선단부가 구형을 이루는 돌기(64)와, 이 돌기(64)를 선단부에 고정시킨 탄성 부재인 코일 스프링(65)으로 이루어진다. 코일 스프링(65)의 기단부는 로크부 수납 구멍(66)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65)에 부하가 가해져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65)의 선단부에 고정된 돌기(64)가 상기 렌즈 부착 구멍부(33) 내로 돌출된 상태에 있다. 한편, 삽입부(61)가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삽입된 경우에는, 이 삽입부(61)에 압박되어 상기 돌기(64)가 상기 렌즈 부착 구멍부(33)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가 된다. 삽입부(61)가 렌즈 부착 구멍부(33) 내에 확실하게 삽입된 상태가 되면, 상기 돌기(64)가 코일 스프링(65)에 압박되어 피결합부(62)에 끼워 넣어지고, 렌즈 유닛(4H)은 상기 하우징 본체(2)에 대해 로크된 상태가 된다.
렌즈 유닛(4H)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렌즈 보유 지지부(37)를 손가락으로 협지하여 인장함으로써 하우징 본체(2)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렌즈 보유 지지부(37)를 손가락으로 인장하면, 코일 스프링(65)에 의해 압박되어 있던 돌기(64)는 상기 삽입부(61)에 압박되어 상기 피결합부(62)로부터 발출된다. 그 결과, 렌즈 유닛(4H)을 하우징 본체(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의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는 일 없이 단순히 렌즈 유닛(4H)을 렌즈 부착 구멍부(33)에 압입하는 것인 간단한 조작으로 하우징 본체(2)에 대해 삽입 발출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8 실시 형태 모두 조합하여 실현 가능한 기능으로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촬영을 행하는 이른바 나이트 쇼트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나이트 쇼트를 행하는 경우, 적외선 컷트 필터가 달린 렌즈 유닛을 하우징 본체(2)로부터 제거하고, 그 대신에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선 커트 필터가 없는 렌즈 유닛(3G)을 하우징 본체(2)에 부착한다. 그리고, 촬영 시에 이 적외선 커트 필터가 없는 렌즈 유닛(3G)의 주위에 설치한 LED(67)를 발광시켜 촬영을 행한다. 이와 같이, 렌즈 유닛(3G)을 하우징 본체(2)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계적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적외선을 사용한 야간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나이트 쇼트를 행하는 경우의 렌즈 교환 기구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8 실시 형태 중 어떠한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 본체(2)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본체(2) 내에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를 설치하고, 그 렌즈 수납 보유 지지부(12)에 렌즈(3B)를 가진 렌즈 유닛(4B)을 삽입하여 수납시켰지만, 하우징 본체(2)의 배면에 별도 렌즈 유닛(4B)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포켓을 부착하여 이 프레임 포켓에 렌즈 유닛(4B)을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의 치수적 제약을 고려하여 얇기를 우선한 다초점 렌즈를 이용하였지만, 줌 렌즈를 이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렌즈로서는, 예를 들어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망원 렌즈, 매크로 렌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색 렌즈를 사용하거나, 소프트 포커스를 이용하거나, 혹은 상술한 적외선 촬영용 적외선 커트 필터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거나 하는 등하여 광학 특성을 적절하게 바꾸도록 해도 좋다. 또한, 매크로 촬영으로 명함을 촬영하여 화상 인식을 행하면, OCR과 같이 주소장에 개인 정보를 취입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부의 렌즈부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렌즈부를 교환함으로써 카메라 기능부의 광학 특성을 용이하게 절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광학 특성이 다른 화상의 촬영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촬영자가 자기의 기호에 따라 렌즈부를 용이하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의 광학계에서 거시적으로 망원까지를 확보하고자 하면 광학계가 대형화되지만, 렌즈부를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카메라 기능부가 휴대 통신 단말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휴대성을 떨어뜨리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유닛을 하우징 본체에 대해 삽입 발출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단순히 렌즈 유닛을 압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하우징 본체에 부착할 수 있는 동시에 제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렌즈 유닛의 교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카메라 기능부를 하우징 본체에 설치한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로서,
    상기 카메라 기능부 중 적어도 렌즈부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교환 기구는,
    상기 렌즈부를 보유 지지하는 장식 패널과,
    상기 장식 패널을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착탈 기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7. 삭제
  8. 카메라 기능부를 하우징 본체에 설치한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로서,
    상기 카메라 기능부 중 렌즈부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유닛을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해 삽입 발출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교환 기구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렌즈부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부와, 상기 구멍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에 형성된 빠짐 방지부와, 상기 빠짐 방지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에 걸쳐서 삽입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가진 렌즈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9. 카메라 기능부를 하우징 본체에 설치한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로서,
    상기 카메라 기능부 중 렌즈부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유닛을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해 삽입 발출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교환 기구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에 형성된 빠짐 방지부 및 상기 빠짐 방지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에 걸쳐서 삽입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가진 장착 본체와, 렌즈부를 보유 지지하고 또한 상기 장착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렌즈 보유 지지부를 가진 렌즈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10. 카메라 기능부를 하우징 본체에 설치한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로서,
    상기 카메라 기능부 중 렌즈부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유닛을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해 삽입 발출 가능하게 하는 렌즈 교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교환 기구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 내로 돌출하도록 전진하고 또한 상기 구멍부로부터 인입하도록 후퇴하는 돌기를 상기 구멍부 내에 설치한 로크부와,
    상기 렌즈부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부와, 상기 구멍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크부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가진 렌즈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KR1020030072404A 2002-10-18 2003-10-17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KR101005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3990 2002-10-18
JP2002303990A JP3846716B2 (ja) 2002-04-05 2002-10-18 カメラ付携帯通信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509A KR20040034509A (ko) 2004-04-28
KR101005685B1 true KR101005685B1 (ko) 2011-01-05

Family

ID=3733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404A KR101005685B1 (ko) 2002-10-18 2003-10-17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099A (ko) * 2016-12-27 2018-07-0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168B1 (ko) * 2005-10-06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
KR100729640B1 (ko) * 2006-04-06 2007-06-18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KR101315036B1 (ko) * 2008-05-16 2013-10-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1527167B1 (ko) * 2013-08-19 2015-06-0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착탈식 설비진단 센서 조립 프레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476U (ko) * 1989-12-21 1991-08-29
KR200174762Y1 (ko) 1999-09-28 2000-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10010777A (ko) * 1999-07-22 2001-02-15 윤종용 휴대폰의 잭 타입 렌즈 모듈
KR20010074762A (ko) * 1999-06-01 2001-08-09 옥성일 자막기
JP2002062983A (ja) * 2000-08-21 2002-02-28 Hitachi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476U (ko) * 1989-12-21 1991-08-29
KR20010074762A (ko) * 1999-06-01 2001-08-09 옥성일 자막기
KR20010010777A (ko) * 1999-07-22 2001-02-15 윤종용 휴대폰의 잭 타입 렌즈 모듈
KR200174762Y1 (ko) 1999-09-28 2000-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JP2002062983A (ja) * 2000-08-21 2002-02-28 Hitachi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099A (ko) * 2016-12-27 2018-07-0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
KR102024056B1 (ko) * 2016-12-27 2019-09-24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509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6716B2 (ja) カメラ付携帯通信端末
US20060177206A1 (en) Waterproof housing
KR20080069007A (ko) 적외선 촬영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
TW486596B (en) 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wearable on a wrist and attachments for the apparatus
JP5274058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KR101005685B1 (ko)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JP2006238387A (ja) 電子機器のアダプタ取着用の取り付け具および撮像装置付き携帯電話機のアダプタ取着用の取り付け具
KR101013656B1 (ko) 이동단말기의 카메라장치
JP2005354177A (ja) カメラ
US20040021086A1 (en) Image intensifying visual scanning device and method
JP2005181718A (ja) カメラグリップ及びカメラ
KR200403433Y1 (ko)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JP2005184504A (ja) カメラ
US7385646B2 (en) Camera with drawn exterior member having drawn opening for receiving camera electronic assembly and opposing opening for receiving camera electronic assembly projection
JP2003241300A (ja) カメラ
KR200364664Y1 (ko) 휴대 가능한 카메라용 필터링장치
JP4606804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4287721B2 (ja) 電子カメラ及びヒンジ機構
KR101063657B1 (ko) 데코 렌즈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2004289465A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US20090297138A1 (en) Sliding Mechanism of Lens Barrier, Lens Barrier, and Camera
JP2005157130A (ja) レンズキャップ
JP2009145580A (ja) 撮像装置
JP2006227309A (ja) アタッチメント
JP4551720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