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433Y1 -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433Y1
KR200403433Y1 KR20-2005-0026366U KR20050026366U KR200403433Y1 KR 200403433 Y1 KR200403433 Y1 KR 200403433Y1 KR 20050026366 U KR20050026366 U KR 20050026366U KR 200403433 Y1 KR200403433 Y1 KR 200403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gital camera
cover
transparent cov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혁
Original Assignee
김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혁 filed Critical 김동혁
Priority to KR20-2005-0026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4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를 구성하는 본체의 표면 손상을 예방하면서도 편리한 사용도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구비된 렌즈와 플레쉬, 후방에 구비된 액정화면, 둘레와 후방에 구비된 각종 조작버튼이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과 둘레에는, 전방에 렌즈 개방부와 플레쉬 개방부가 구비되고 둘레에 다수의 조작버튼 개방부가 구비되어 있는 전방 투명커버가 내측면이 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후방과 둘레에는, 후방에 액정화면 개방부와 다수의 조작버튼 개방부가 구비되어 있는 후방 투명커버가 내측면이 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본체의 후방으로부터 더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The surface protection cover of digital camera}
본 고안은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카메라를 구성하는 본체의 표면 손상을 예방하면서도 편리한 사용도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함은 촬영한 영상을 내부 기억장치로 저장할 수 있는 카메라로서, 기억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컴퓨터를 통해 간편하게 편집, 수정, 출력할 수 있는 카메라를 말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알려진 디지털 카메라(이하,"카메라"라 칭함)는 기억장치(메모리칩)와 각종 전자부품이 내장되어 있는 본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렌즈, 플레쉬, 액정화면, 각종 조작버튼 등이 노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렌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수단이고 플레쉬는 어두운 곳에서 피사체에 광을 비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정화면은 촬영하기 전과 촬영 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종 조작버튼은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여 렌즈, 플레쉬, 액정화면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통상적으로 본체의 둘레 및 후방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고가인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보호커버가 알려져 있는데, 대표적으로 알려진 보호커버는 카메라의 비 사용중에는 카메라를 전체적으로 감싸 카메라를 보호하고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호커버로부터 카메라를 완전히 이탈시키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의 카메라 보호 커버는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하여 커버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가죽이나 천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호커버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보호 커버를 벗긴 상태에서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카메라를 타 물건과 접촉시키거나 떨어뜨렸을 경우에 카메라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카메라의 사용중 타 물건과 표면이 접촉될 경우에는 카메라의 표면이 쉽게 긁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카메라를 떨어뜨렸을 경우에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본체의 표면이 쉽게 찌그러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위로 카메라를 떨어뜨렸을 경우에는 낙하 충격이 본체의 내부에 직접적으로 전달됨으로서 카메라의 내부 부품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보호 커버는 카메라를 수납하는 가방식으로 구성됨으로서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카메라를 꺼낸 후에는 오히려 보호커버가 거추장스러워 촬영하는 과정에서 방해요소가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보호 커버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호 커버로부터 카메라를 꺼내는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됨으로서 순간적인 촬영 타이밍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카메라를 구성하는 본체의 표면손상을 예방하면서 커버를 벗기지 않아도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신을 촬영(셀프촬영)할 경우 포커스를 정확히 맞추어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액정화면의 전면에 별도의 보호창을 구비함으로서 액정화면의 손상을 예방하는 목적도 있다.
또 플레쉬의 전면에 광 분산 필터를 구비하여 피사체를 전체적으로 비춰줌으로서, 플레쉬 촬영시 피사체가 불명료하게 촬영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에 구비된 렌즈와 플레쉬, 후방에 구비된 액정화면, 둘레와 후방에 구비된 각종 조작버튼이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과 둘레에는, 전방에 렌즈 개방부와 플레쉬 개방부가 구비되고 둘레에 다수의 조작버튼 개방부가 구비되어 있는 전방 투명커버가 내측면이 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후방과 둘레에는, 후방에 액정화면 개방부와 다수의 조작버튼 개방부가 구비되어 있는 후방 투명커버가 내측면이 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본체의 후방으로부터 더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표면 보호커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조립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A-A선 단면도로서 표면 보호커버만을 단면 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표면 보호용 커버는, 전방에 렌즈(11)와 플레쉬(12)가 구비되어 있고 후방에 액정화면(13)이 구비되어 있으며 둘레와 후방에 각종 조작버튼(14)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1)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전방과 둘레에는, 전방에 렌즈 개방부(21)와 플레쉬 개방부(22)가 구비되고 둘레에 다수의 조작버튼 개방부(32)가 구비되어 있는 전방 투명커버(2)가 본체(1)의 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투명커버(2)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최소화 할 있도록 내측면이 본체(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본체(1)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 투명커버(2)를 별도의 고정수단(4)을 통해 본체(1)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서 카메라를 사용하는 도중에 전방 투명커버(2)가 본체(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4)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둘레에 형성된 함몰홈(41)과, 상기 전방 투명커버(2)의 둘레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함몰홈(41)에 삽입되게 끼워지는 다수의 돌출턱(4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42)의 상,하부에 장홀을 형성하여 돌출턱(42)에 탄성력을 부가시킬 수도 있음에 따라서 전방 투명커버(2)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4)은, 함몰홈(41)과 돌출턱(42)의 끼움 조립을 도시하였으나, 벨크로 테이프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요소로도 구성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표면 보호커버를 카메라의 전방에 삽입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본체(1)의 전방 및 둘레의 표면을 전방 투명커버(2)가 감싸면서 커버함으로서 카메라를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한 표면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카메라를 사용하는 도중에 카메라가 다른 물건에 접촉되더라도 본체(1)의 표면에는 전방 투명커버(2)가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본체(1)의 표면에는 직접적인 손상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를 사용하는 도중에 카메라를 떨어뜨릴 경우에도 본체(1)의 표면에는 전방 투명커버(2)가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본체(1)의 표면이 지면과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현상을 예방함은 물론 전방 투명커버(2)에서 충격을 완화시킨다. 그러므로 카메라가 떨어져 지면에 충돌되더라도 본체의 표면이 찌그러지거나 긁히게 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본체 내부의 부품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표면 보호용 커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b의 B부 확대도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투명커버(2)의 전면에는 전방에서도 촬영자 자신이나 주변 피사체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카메라의 정면에서도 포커스를 정밀하게 맞추어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볼록거울(2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록거울(23)은 별도로 제작하여 전방 투명커버(2)의 전방에 부착을 통해 고정할 수 있으며, 또는 전방 투명커버(2)의 사출 성형시 볼록부를 형성한 후 볼록부의 전면에 거울층을 코팅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방 투명커버(2)의 전방에 볼록거울(23)이 구비됨으로서 촬영자가 자신의 얼굴 등을 촬영할 경우에 한 팔로 카메라를 든 상태에서 볼록거울(23)상에 비춰진 얼굴을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얼굴 포커스를 맞출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밀한 포커스로 자신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자신의 얼굴과 주변배경이 조화를 이루는 촬영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1b의 C부 확대도로서, 상기 플레쉬 개방부(22)에는 착탈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플레쉬의 광을 분산시켜 피사체에 고르게 광을 비추는 광 분산 필터(22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착탈수단은 벨크로 테이프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참고적으로 최근에는 기억장치 등의 전자장비가 소형화됨에 따라 카메라의 부피가 소형화되고 있고 플레쉬의 크기도 작아지게 됨으로서, 작은 부피의 플레쉬(12)에서는 광이 피사체에 대하여 편중되게 비춰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플레쉬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광 분산 필터(221)를 더 구비함으로서 플레쉬에서 발산되는 광을 분산 확산시켜 피사체를 전체적으로 비춰줌에 따라서 촬영시 피사체를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광 분산 필터(221)를 통해 피사체를 전체적으로 비춤에 따라서 광이 편중될 때 발생되는 피사체의 일부분이 하얗게 촬영되는 하이라이트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1b의 D부 확대도로서, 상기 전방 투명커버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출돌기(241)로 구성된 미끄럼 방지부(24)가 적어도 한 부분 이상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돌기(241)는 사출을 통해 전방 투명커버(2)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함께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돌출돌기(241)로 구성된 미끄럼 방지부(24)가 전방 투명커버(2)의 전방이나 둘레에 더 구비됨으로서 촬영 중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함에 따라서 카메라가 떨어지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표면 보호용 커버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조립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B-B선 단면도로서 표면 보호커버만을 단면 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표면 보호용 커버는, 먼저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수단(4)의 구성을 제외한 타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표면 보호용 커버는, 상기 본체(1)의 전방과 둘레에는 전방에 렌즈 개방부(21)와 플레쉬 개방부(22)가 구비되고 둘레에 다수의 조작버튼 개방부(32)가 구비되어 있는 전방 투명커버(2)가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후방과 둘레에는, 후방에 액정화면 개방부(31)와 다수의 조작버튼 개방부(32)가 구비되어 있는 후방 투명커버(3)가 내측면이 본체(1)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본체(1)의 후방으로부터 더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투명커버(2)의 후방과 후방 투명커버(3)의 전방에는 전,후방 투명커버(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5)은 전방 투명커버(2)의 둘레 후방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돌기(51)와 상기 후방 투명커버(3)의 둘레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51)가 끼워지는 다수의 삽입홈(5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표면 보호커버를 카메라의 전방과 후방에 삽입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본체(1)의 전,후방 및 둘레의 표면을 전,후방 투명커버(3)가 감싸면서 커버함으로서 카메라를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한 본체의 표면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카메라를 사용하는 도중에 카메라가 다른 물건에 접촉되더라도 본체(1)의 표면에는 전,후방 투명커버(3)가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본체(1)의 표면에는 직접적인 손상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를 사용하는 도중에 카메라를 떨어뜨릴 경우에도 본체(1)의 표면에는 전,후방 투명커버(3)가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본체의 표면이 지면과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현상을 예방함은 물론 전방 투명커버(2)에서 충격을 완화시킨다. 그러므로 카메라가 떨어져 지면에 밀착되더라도 본체(1)의 표면이 찌그러지거나 긁히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본체(1) 내부의 부품 손상을 사전에 예방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액정화면 개방부(31)에는 보호창(33)이 더 구비됨으로서, 사용중 다른 물건과 접촉이나 떨어짐으로 인하여 액정이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보호창(33)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액정화면을 명확히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하고, 경질 합성수지로 구성함으로서 액정화면의 표면 손상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창(33)은 후방 투명커버(3)를 사출로 제작한후 액정화면 개방부(31)에 삽입시켜 둘레를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액정화면 개방부(31)의 내측 둘레에 다수의 홀이 포함되는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창(33)의 둘레에 상기 홀에 삽입되는 다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보호창(33)을 액정화면 개방부(31)에 조립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카메라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장기간 동안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자신을 촬영(셀프촬영)할 경우 포커스를 정확히 맞추어 촬영을 가능함으로서 촬영 실폐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 액정화면의 전면에 별도의 보호창을 구비하여 카메라의 사용중 액정화면의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 플레쉬의 전면에 광 분산 필터를 구비하여 플레쉬 촬영시 피사체가 불명료하게 촬영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서 명확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표면 보호커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조립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A-A선 단면도로서 표면 보호커버만을 단면 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단면도.
도 2는 도 1b의 B부 확대도.
도 3은 도 1b의 C부 확대도.
도 4는 도 1b의 D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표면 보호용 커버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조립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E-E선 단면도로서 표면 보호커버만을 단면 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 : 렌즈
12 : 플레쉬
13 : 액정화면
14 : 조작버튼
2 : 전방 투명커버
21 : 렌즈 개방부
22 : 플레쉬 개방부
221 : 광 분산 필터
23 : 볼록거울
24 : 미끄럼 방지부
241 : 돌출돌기
25 : 이름표 삽입부
3 : 후방 투명커버
31 : 액정화면 개방부
32 : 조작버튼 개방부
33 : 보호창
4 : 고정수단
41 : 함몰홈
42 : 돌출턱
5 : 연결수단
51 : 삽입돌기
52 : 삽입홈

Claims (11)

  1. 전방에 구비된 렌즈(11)와 플레쉬(12), 후방에 구비된 액정화면(13), 둘레와 후방에 구비된 각종 조작버튼(14)이 구비된 본체(1)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전방과 둘레에는,
    전방에 렌즈 개방부(21)와 플레쉬 개방부(22)가 구비되고 둘레에 다수의 조작버튼 개방부(32)가 구비되어 있는 전방 투명커버(2)가 내측면이 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명커버(2)는,
    고정수단(4)을 통해 본체(1)에 더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은,
    상기 본체(1)의 둘레에 형성된 함몰홈(41)과
    상기 전방 투명커버(2)의 둘레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함몰홈(41)에 삽입되게 끼워지는 다수의 돌출턱(4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후방과 둘레에는,
    후방에 액정화면 개방부(31)와 다수의 조작버튼 개방부(32)가 구비되어 있는 후방 투명커버(3)가 내측면이 본체(1)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본체(1)의 후방으로부터 더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명커버(2)의 후방과 후방 투명커버(3)의 전방에는 전,후방 투명커버(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보호커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5)은 전방 투명커버(2)의 둘레 후방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돌기(51)와 상기 후방 투명커버(3)의 둘레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51)가 끼워지는 다수의 삽입홈(5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명커버(2)의 전면에는 전방에서도 촬영자 자신이나 피사체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볼록거울(2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쉬 개방부(22)에는,
    착탈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착탈되어 플레쉬(12)의 광을 분산시켜 피사체를 고르게 비추는 광 분산 필터(22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명커버(2)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출돌기(241)로 구성된 미끄럼 방지부(24)가 적어도 한 부분 이상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명커버(2)의 하부에는 이름표 삽입부(2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11.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화면 개방부(31)에는 보호창(3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KR20-2005-0026366U 2005-09-13 2005-09-13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KR200403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366U KR200403433Y1 (ko) 2005-09-13 2005-09-13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366U KR200403433Y1 (ko) 2005-09-13 2005-09-13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433Y1 true KR200403433Y1 (ko) 2005-12-09

Family

ID=4370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366U KR200403433Y1 (ko) 2005-09-13 2005-09-13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4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5370A (zh) * 2016-03-10 2016-06-01 东莞市富饶光电有限公司 具有cd纹效果的摄像头护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5370A (zh) * 2016-03-10 2016-06-01 东莞市富饶光电有限公司 具有cd纹效果的摄像头护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0628B2 (en) Lens and display accessory for portable imaging device
US7537399B2 (en) Digital camera having camera body
JP3846716B2 (ja) カメラ付携帯通信端末
US6466741B2 (en) Waterproof type lens-equipped film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0403433Y1 (ko)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JP2002006389A (ja) 測量用カメラの防塵防水カバー
JP2003274233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005685B1 (ko)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JP2005234353A (ja) カメラガード
JP2008097025A (ja) カメラ
JP4409493B2 (ja) カメラの防水具
KR200365091Y1 (ko) 카메라 방수케이스
KR200391075Y1 (ko) 디지털 카메라용 케이스
JP2005260949A (ja) 撮像装置の前面ケース
JP2003270711A (ja) 撮影用アダプタ
JP2007058142A5 (ko)
US7020392B2 (en) Finder housing
JP2561902Y2 (ja) カメラ用ケース
JPH11231394A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ストロボ内蔵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収納ハウジング、及び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用ハウジング
JP2005208217A (ja) 自己撮影用ミラー
TWI386009B (zh) 具有照相功能之便攜式電子裝置
KR20160125846A (ko) 디자인 교체형 카메라 케이스
JP2002082378A (ja) カメラ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08132162A (ja) カメラ用ソフトカバー
JP2004015602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