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168B1 -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168B1
KR100732168B1 KR1020050093837A KR20050093837A KR100732168B1 KR 100732168 B1 KR100732168 B1 KR 100732168B1 KR 1020050093837 A KR1020050093837 A KR 1020050093837A KR 20050093837 A KR20050093837 A KR 20050093837A KR 100732168 B1 KR100732168 B1 KR 10073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era
support case
abandoned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663A (ko
Inventor
임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168B1/ko
Priority to CNA2006101525731A priority patent/CN1945419A/zh
Publication of KR2007003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에 있어서, 특히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수단의 기구적 변경을 가하지 않고도 세로방향 촬영 및 가로방향 촬영에 모두 적합한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카메라, 이동통신단말기, 카메라 모듈, 렌즈, 경통

Description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camera, and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표시수단을 세로방향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형상이고, 도 1b는 표시수단을 가로방향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형상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a는 가로방향 영상을 세로방향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형상이고, 도 2b와 도 2c는 가로방향 영상을 가로방향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형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종단면도.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를 장착한 통신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이 통신단말기 에 고정되어 장착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표시수단을 세로방향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형상이고, 도 1b는 표시수단을 가로방향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형상이다.
도 1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을 본체(20)에 구비하고 표시수단(30)을 본체(20)에 연결된 상부(upper body)(21)에 구비한다.
특히 카메라 모듈(11)은 렌즈와 그 렌즈를 고정하는 경통, 그리고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그 카메라 모듈(11)은 케이스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20)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수단(30)이 세로방향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카메라 모듈(11)을 통해 입력된 영상을 입력된 방향 그대로 표시수단(30)에 출력시킨다. 따라서 표시수단(30)이 세로방향일 때는 세로방향의 촬영 영상이 출력된다.
그러나 도 1a와 같은 표시수단(30)의 구조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과 같이 가로방향 중심의 표시 패턴을 주로 사용하는 기능이나 가로방향(landscape) 촬영의 영상을 표시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도 1a와 같이 표시수단(30)의 표시부분 일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31)로 구현하면서, 실제로는 세로방향의 촬영 영상을 가로방향 비율로 전환시켜 표시하는 하나의 방안을 사용하였다. 한편, 사용자는 여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를 보면서 그에 연계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해당 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영상의 크기가 보다 작아진다.
또한 도 1b와 같이 가로방향(landscape)의 표시 패턴을 지원하도록 표시수단(30)을 직각으로 회전하는 구조가 개발되었다. 도 1b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 표시수단(30)이 가로방향임에 따라 가로방향의 촬영 영상이 출력된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도 1b에 도시된 구조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도 1a에 도시된 구조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많은 구조적 변경이 요구된다. 따라서, 가로방향 촬영에 적합한 보다 간단한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수단의 기구적 변경을 가하지 않고도 세로방향 촬영 및 가로방향 촬영에 모두 적합한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특징은, 지지케이스;
상기 지지케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경면을 따라 회동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통과, 상기 경통의 내부에 고정되는 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케이스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지지케이스의 상기 내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지지케이스의 상기 내경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돌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리미트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특히 상기 리미트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경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회동 시에, 상기 리미트 돌기가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경면을 따라 회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경면에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리미트 돌기의 회동을 일정 각도로 제한하는 정도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케이스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각도는 직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 끝단면에 결합되는 각형돌기를 더 갖는다. 여기서, 상기 각형돌기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지케이스에 삽입된 때 외부로 노출된다.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징은, 경통과, 상기 경통의 내경부에 고정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제한적으로 회동될 내경면을 형성하는 지지케이스; 그리고 상기 센서에 감지된 영상을 정해진 크기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회동 시마다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될 영상의 표시방향과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의 회동 방향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될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일치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케이스에 대해 직각 이내에서 회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카메라는 장착한 통신단말기는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카메라 모듈은 회동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이 회동하는 각도는 가로방향 촬영을 지원하기 위해 직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a는 가로방향 영상을 세로방향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형상이고, 도 2b와 도 2c는 가로방향 영상을 가로방향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형상이다.
도 2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카메라 모듈을 본체(200)에 구비하고 표시수단(300)을 본체(200)에 연결된 상부(upper body)(210)에 구비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수단(300)이 세로방향인 경우의 예를 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표시수단이 가로방향으로 고정된 경우에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적용됨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카메라 모듈(110,130)과, 상기 카메라 모듈(110,130)이 내부에 장착된 하우징(100)과, 그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각형돌기(120)와, 상기 하우징(100)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우징(100)이 회동하기 위한 기구적 환경을 제공하는 지지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케이스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200) 자체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케이스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200) 등에 고정되는 케이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경면은 원통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은 그 지지케이스의 내경면을 따라 회동한다. 일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하우징(100)을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회동시킨다. 또다른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각형돌기(120)를 결합시켜 사용자가 수동으로 하우징(10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각형돌기(120)는 하우징(100)의 일 끝단면에 결합된다.
도 2a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카메라 모듈(110,130)이 고정된 하우징(100)이 직각으로 회동하여 도 2b 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가로방향 영상의 크기를 일정 크기만큼 늘린 다음 방향을 돌려서 표시한다. 따라서 도 2a의 영상의 크기는 도 2b 또는 도 2c의 영상의 크기보다 작다. 반대로, 도 2b 또는 도 2c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카메라 모듈(110,130)이 고정된 하우징(100)이 직각으로 회동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가로방향 영상의 크기를 일정 크기만큼 줄인 다음 방향을 돌려서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과, 상기한 카메라 모듈의 회동 구조에 대해 이하의 도 3 내지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경통(130)과 렌즈(110)와 센서(150) 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housing)(100)을 또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렌즈(110)는 경통(130)의 내경부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15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렌즈(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감지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100)이 제한된 범위의 각도 이내(직각 이내 = 90°이내)에서 회동되도록 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하우징(100)이 제한적으로 회동될 원통형 내경면을 갖는 지지케이스(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의 센서(150)에 의해 감지된 영상을 정해진 크기로 표시하는 표시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하우징(100)이 지지케이스(140)의 내부에서 회동될 때마다 영상의 표시방향과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회동 방향과 상기 표시수단(300)에 표시될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일치시킨다. 즉, 상기 하우징(100)이 회동되는 각도만큼 상기 표시수단(300)에 표시될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변경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크게 카메라 모듈과 그 카메라 모듈을 고정하는 하우징(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회동을 위한 원통형 내경을 갖는 지지케이스(140)로 구성된다.
상기한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통(130)과, 상기 경통(130)의 내부에 고정되는 렌즈(11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렌즈(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감지하는 센서(150)를 구비한다.
결국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100)은 지지케이스(140)에 지지되어 그 지지케이스(140)의 내경면을 따라 회동한다. 특히 하우징(100)은 지지케이스(140)에 대해 회동하는데, 일 예로써 하우징(100)이 지지케이스(140)에 대해 회동하는 각도는 직각 범위 내이다.
상기한 지지케이스(14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지지케이스(140)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 자체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100)은 자신의 일 끝단면에 결합되는 돌기(120)를 갖는다. 상기 돌기(120)는 각형으로써, 그 각형돌기(120)는 사용자가 하우징(100)을 회동시키는데 손잡이로써 사용하는 것이다.
하우징(100)의 일 끝단면에 결합되는 각형돌기(120)는 하우징(100)이 지지케이스(140)에 삽입된 때, 하우징(100)의 일 끝단면과 지지케이스(140)의 일 끝단면은 서로 평행하지만, 각형돌기(120)는 그들의 일 끝단면에서 외부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노출된다. 다시 말하면, 각형돌기(120)는 하우징(100)의 일 끝단면에 결합되며, 지지케이스(140) 쪽으로 펼쳐지는 외팔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종단면도로써, 도 4에서 A-A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지지케이스(140)의 내경면에 하우징(100)의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142)을 갖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하우징(100)이 가이드 홈(142)을 따라 회동할 때, 그 하우징(100)이 회동의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돌기(102)를 갖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가이드 홈(142)은 리미트 돌기(102)의 회동을 일정 각도로 제한하는 정도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가이드 홈(142)은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된 리미트 돌기(102)의 회동을 가이드하며, 특히 그 리미트 돌기(102)의 회동을 직각 범위 내에서만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하우징(100)이 회동될 때, 리미트 돌기(102)가 가이드 홈(142)을 따라 회동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141,142)은 지지케이스(140)의 내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지지케이스(140)의 내경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런데 일단 하우징(100)의 회동을 직각 범위 내로 제한하는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케이스(140)의 내경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돌기(101,102)도 하우징(100)의 외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외경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런데 일단 하우징(100)의 회동을 직각 범위 내로 제한하는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경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자체를 직각으로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로방향 촬영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표시수단(LCD) 자체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된다.

Claims (19)

  1. 지지케이스;
    상기 지지케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경면을 따라 회동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통과, 상기 경통의 내부에 고정되는 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스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지지케이스의 상기 내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지지케이스의 상기 내경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경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회동 시에, 상기 리미트 돌기가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경면을 따라 회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경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리미트 돌기의 회동을 일정 각도로 제한하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케이스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또는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 끝단면에 결합되는 각형돌기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돌기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지케이스에 삽입된 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5. 삭제
  16. 경통과, 상기 경통의 내경부에 고정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제한적으로 회동될 내경면을 형성하는 지지케이스; 그리고
    상기 센서에 감지된 영상을 정해진 크기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회동 시마다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될 영상의 표시방향과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의 회동 방향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될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일치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
  18. 삭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케이스에 대해 직각 이내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093837A 2005-10-06 2005-10-06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 KR10073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837A KR100732168B1 (ko) 2005-10-06 2005-10-06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
CNA2006101525731A CN1945419A (zh) 2005-10-06 2006-09-29 相机及安装有相机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837A KR100732168B1 (ko) 2005-10-06 2005-10-06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663A KR20070038663A (ko) 2007-04-11
KR100732168B1 true KR100732168B1 (ko) 2007-06-27

Family

ID=3804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837A KR100732168B1 (ko) 2005-10-06 2005-10-06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2168B1 (ko)
CN (1) CN194541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080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40034509A (ko) * 2002-10-18 2004-04-28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KR20050080359A (ko) * 2004-02-09 200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식 카메라의 회전각도 인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080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40034509A (ko) * 2002-10-18 2004-04-28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KR20050080359A (ko) * 2004-02-09 200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식 카메라의 회전각도 인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663A (ko) 2007-04-11
CN1945419A (zh)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4356B (zh) 图像拍摄装置、通过使用多个图像拍摄装置执行拍摄的图像拍摄系统及其图像拍摄方法
US9706089B2 (en) Shifted lens camera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1366859B1 (ko) 휴대 단말기
US1063803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capturing, and recording medium
EP2820515B1 (en) Device camera angle
WO2016035421A1 (ja) パン・チルト操作装置、カメラシステム、パン・チルト操作用プログラム及びパン・チルト操作方法
TWI609225B (zh) Image capturing method and device
CN105049686A (zh) 双摄像头移动终端
US20150341555A1 (en) Panoramic camera
WO2014156747A1 (ja) パノラマ撮影用デジタルカメラ及び、パノラマ撮影システム
US20050093891A1 (en) Image ori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732168B1 (ko) 카메라 및 그를 장착한 통신단말기
JP6205068B2 (ja) 撮像装置の操作装置、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17714384U (zh) 终端支架
WO201114193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rotatable
US9036079B2 (en) Combin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50102060A (ko) 빔프로젝터를 겸비한 휴대용전자기기
KR20130106162A (ko)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US7903964B2 (en) Imaging apparatus with rotatable grip and monitor portions
US9124789B2 (en) Image sens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TWI358230B (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73088B1 (ko) 전자 확대경
KR101013702B1 (ko) 휴대용단말기
KR100615817B1 (ko) 카메라의 수평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274859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