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859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859B1
KR102274859B1 KR1020200010604A KR20200010604A KR102274859B1 KR 102274859 B1 KR102274859 B1 KR 102274859B1 KR 1020200010604 A KR1020200010604 A KR 1020200010604A KR 20200010604 A KR20200010604 A KR 20200010604A KR 102274859 B1 KR102274859 B1 KR 102274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frame
camera module
optical module
connection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금영
김형주
박윤성
맹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티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티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티맥
Priority to KR102020001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8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4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모듈, 상기 광학모듈을 둘러싸고 있는 고정체, 상기 광학모듈과 상기 고정체 사이에 위치하는 가동프레임, 상기 광학모듈과 상기 가동프레임을 연결시키는 2개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고정체와 상기 가동프레임을 연결시키는 2개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광학모듈 또는 상기 가동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가동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체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광학모듈은 상기 2개의 제1 연결부 각각을 잇는 제1 축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가동프레임은 상기 2개의 제2 연결부 각각을 잇는 제2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카메라 모듈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흔들림을 보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요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촬상 소자[CCD(charge coupled device)]의 같은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따라서, 최근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lens)가 장착되는 렌즈부, 렌즈부에 위치하고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부,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 모듈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촬영 시 외부 충격이나 손떨림 등으로 인한 불량 촬영을 방지하기 위해 손떨림 방지 장치 및 렌즈부의 위치 정렬이나 초점 조절 등을 위해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정렬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한 렌즈부의 위치 이탈을 보정하는 보정 동작하며, 정확한 렌즈부의 위치 정렬을 실시한다.
이때, 렌즈부는 광축 방향(즉, 렌즈의 장착 방향) 뿐만 아니라 이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렌즈부의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방향의 흔들림에 대한 보정에 한계가 있어 고품질의 사진이나 영상을 얻기 어려우며, 손떨림 방지를 위해 다양한 구성을 포함해야 하므로 소형화하기 어려우며,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81889호(공개일자: 2006년07월14일, 발명의 명칭: 카메라 렌즈부의 수평 보정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2-0066294(공개일자: 2012년06월22일, 발명의 명칭: 차량용 카메라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양한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손떨림 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다양한 구성을 갖는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모듈, 상기 광학모듈을 둘러싸고 있는 고정체, 상기 광학모듈과 상기 고정체 사이에 위치하는 가동프레임, 상기 광학모듈과 상기 가동프레임을 연결시키는 2개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고정체와 상기 가동프레임을 연결시키는 2개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광학모듈 또는 상기 가동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가동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체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광학모듈은 상기 2개의 제1 연결부 각각을 잇는 제1 축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가동프레임은 상기 2개의 제2 연결부 각각을 잇는 제2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카메라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고정체을 관통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광학모듈에 삽입되는 제1 바디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바디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측면과 내측단면이 곡면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광학모듈은 상기 제1 연결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1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1 바디부의 사이 공간에 윤활제가 충진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가동프레임에는 상기 제1 연결부가 관통되는 제1 관통개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개구는 내측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가 내측 방향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고정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동프레임에 삽입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 바디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과 내측단면이 곡면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가동프레임은 상기 제2 연결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2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삽입홈과 상기 제2 바디부의 사이 공간에 윤활제가 충진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제2 연결부가 관통되는 제2 관통개구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관통개구는 내측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베이스부가 내측 방향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연결부 중 하나는 상기 가동프레임의 제1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부 중 다른 하나는 제1 모서리부에 대향하는 제3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부 중 하나는 상기 고정체의 제2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부 중 다른 하나는 제2 모서리부에 대향하는 제4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축선은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직으로 교차하고, 상기 제2 축선은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광학모듈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을 관통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광학모듈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동프레임에 삽입되는 제1 바디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체에 삽입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방향으로 카메라 모듈이 흔들리는 것을 보상할 수 있으며,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프레임 및 광학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프레임 및 고정체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은 스마트폰, 태플릿PC, 웨어러블기기 등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된다. 카메라 모듈(1)의 외부의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1)은 사진 촬영시 손 떨림과 같은 외부힘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가 흔들릴 경우 광학모듈(100)을 미세하게 움직여 손 떨림을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은 광학모듈(100), 고정체(200), 가동프레임(300), 제1 연결부(400) 및 제2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광학모듈(100)은 카메라 모듈(1)의 내부에 위치한다. 광학모듈(100)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광학모듈(100)은 빛을 수광하는 렌즈(110)를 포함한다. 이때, 광축(4) 방향은 렌즈(110)로 입사되는 빛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광학모듈(100)은 제1 연결부(40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120)을 더 포함한다. 제1 삽입홈(120)은 원통형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동프레임(300)을 통과한 제1 연결부(400)가 제1 삽입홈(120)에 삽입되어 가동프레임(300)이 광학모듈(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광학모듈(100)과 제1 연결부(400)의 결합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5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체(200)는 광학모듈(100)과 가동프레임(300)을 둘러싸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체(200)는 광학모듈(100)과 가동프레임(300)을 수용할 수 있다. 고정체(200)는 제2 연결부(500)를 통해 가동프레임(300)을 연결 및 지지한다. 고정체(200)와 제2 연결부(500)의 결합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2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체(200)는 제2 연결부(500)가 관통하는 제2 관통개구(210), 제2 모서리부(220) 및 제2 모서리부(220)에 대향하는 제4 모서리부(230)를 포함한다.
제2 모서리부(2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체(200)의 모서리 중 제2 연결부(500)가 관통하는 모서리를 의미한다. 제4 모서리부(230)는 제2 모서리부(220)에 대향하는 모서리를 의미한다.
제2 관통개구(210)는 고정체(200)의 제2 모서리부(220) 및 제4 모서리부(230)에 각각 1개씩 위치한다. 제2 관통개구(210)는 광축(4)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체(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2 관통개구(210)는 원통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 연결부(500)가 내측 방향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제2 관통개구(210)의 외측 일단부의 지름이 내측 타단부의 지름보다 크도록 단면이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개구(210)과 제2 연결부(500)의 결합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가동프레임(300)은 광학모듈(100)과 고정체(200)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동프레임(300)은 광학모듈(100)을 둘러싸는 형태이며, 고정체(200)에 수용된다. 가동프레임(300)은 제1 연결부(400)를 통해 광학모듈(100)을 연결 및 지지한다. 또한, 가동프레임(300)은 제2 연결부(500)를 통해 고정체(200)에 연결 및 지지된다. 가동프레임(300)과 제1 연결부(400) 및 제2 연결부(500)의 결합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가동프레임(300)은 제1 연결부(400)가 관통하는 제1 관통개구(310), 제2 연결부(500)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320), 제1 모서리부(330) 및 제1 모서리부(330)에 대향하는 제3 모서리부(340)를 포함한다.
제1 모서리부(33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동프레임(300)의 모서리 중 제1 연결부(400)가 관통하는 모서리를 의미한다. 제3 모서리부(340)는 제1 모서리부(330)에 대향하는 모서리를 의미한다.
제1 관통개구(310)는 가동프레임(300)의 제1 모서리부(330) 및 제3 모서리부(340)에 각각 1개씩 위치한다. 제1 관통개구(310)는 광축(4)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동프레임(3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 관통개구(310)는 원통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1 연결부(400)가 내측 방향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제1 관통개구(310)의 외측 일단부의 지름이 내측 타단부의 지름 보다 크도록 단면이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개구(310)과 제1 연결부(400)의 결합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삽입홈(320)은 제2 모서리부(220)와 제4 모서리부(230)에 각각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체(200)를 통과한 제2 연결부(500)가 제2 삽입홈(320)에 삽입되어 고정체(200)가 가동프레임(300)을 지지할수 있도록 한다. 가동프레임(300)과 제2 연결부(500)의 결합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1 연결부(400)는 가동프레임(300)의 제1 모서리부(330) 및 제3 모서리부(340)에 각각 1개씩 위치하여 총 2개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연결부(400)는 가동프레임(30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며, 가동프레임(300)을 관통하여 광학모듈(10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연결부(400)는 광학모듈(100)과 가동프레임(300)을 연결할 수 있고, 광학모듈(100)이 가동프레임(3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모서리부(330)와 제3 모서리부(340)에 위치한 각각의 제1 연결부(400)를 잇는 가상의 선은 제1 축선(2)을 의미한다. 이때, 제1 축선(2)은 광축(4)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이러한 제1 축선(2)을 중심축으로 하여 광학모듈(100)이 회전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00)는 가동프레임(3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베이스부(410) 및 제1 베이스부(410)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광학모듈(100)에 삽입되는 제1 바디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4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4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관통개구(310)를 통하여 가동프레임(30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바디부(420)는 측면과 내측단면이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부(420)의 내측 단부는 모서리가 없이 완곡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연결부(400)가 광학모듈(100)의 제1 삽입홈(120)에 삽입될 때, 제1 바디부(420)의 단부가 완곡하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1 삽입홈(120)과 제1 바디부(4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삽입홈(120)과 제1 바디부(420) 사이의 공간에는 윤활제(900)가 충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학모듈(100)이 제1 축선(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마찰력을 줄일 수 있어 보다 적은 힘으로 광학모듈(100)의 회전이 가능하고, 마모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410)는 제1 연결부(400)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 베이스부(4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베이스부(410)는 단면의 지름이 제1 바디부(420)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베이스부(410)는 제1 베이스부(410)의 단면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제1 관통개구(310)의 외측 일부까지만 삽입이 되고 제1 베이스부(410)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내측 부분까지는 삽입이 되지 않는다. 즉, 제1 베이스부(410)는 제1 관통개구(310)에서 제1 베이스부(410)와 대응되는 부분인 지름이 큰 부분까지만 삽입된다. 이에 반해 제1 바디부(420)는 이러한 제한없이 제1 관통개구(31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바디부(420)와 제1 베이스부(41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베이스부(410)가 더 이상 삽입이 되지 않는 것에 의하여 제1 바디부(420)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을뿐 전체가 내측으로 돌출될 수는 없다. 이로 인해 제1 연결부(400)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고 가동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연결부(500)는 고정체(200)의 제2 모서리부(220) 및 제4 모서리부(230)에 각각 1개씩 위치하여 총 2개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2 연결부(500)는 고정체(20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며, 고정체(200)를 관통하여 가동프레임(30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연결부(500)는 가동프레임(300)과 고정체(200)를 연결할 수 있고, 가동프레임(300)이 고정체(2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모서리부(220)와 제4 모서리부(230)에 위치한 각각의 제2 연결부(500)를 잇는 가상의 선은 제2 축선(3)을 의미한다. 이때, 제2 축선(3)은 광축(4)과 수직으로 교차하고, 제1 축선(2)과도 수직으로 교차한다. 이러한 제2 축선(3)을 중심축으로 하여 가동프레임(300)이 회전할 수 있다.
제2 연결부(500)는 고정체(2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베이스부(510) 및 제2 베이스부(510)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동프레임(300)에 삽입되는 제2 바디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5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5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 관통개구(210)를 통하여 고정체(20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바디부(520)는 측면과 내측단면이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디부(520)의 내측 단부는 모서리가 없이 완곡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2 연결부(500)가 가동프레임(300)의 제2 삽입홈(320)에 삽입될 때, 제2 바디부(520)의 단부가 완곡하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2 삽입홈(320)과 제2 바디부(5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삽입홈(320)과 제2 바디부(520) 사이의 공간에는 윤활제(900)가 충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프레임(300)이 제2 축선(3)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마찰력을 줄일 수 있어 보다 적은 힘으로 가동프레임(300)의 회전이 가능하고, 마모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510)는 제2 연결부(500)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 베이스부(5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베이스부(510)는 단면의 지름이 제2 바디부(520)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베이스부(510)는 제2 베이스부(510)의 단면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제2 관통개구(210)의 외측 일부까지만 삽입이 되고 제2 베이스부(510)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내측 부분까지는 삽입이 되지 않는다. 즉, 제2 베이스부(510)는 제2 관통개구(210)에서 제2 베이스부(510)와 대응되는 부분인 지름이 큰 부분까지만 삽입된다. 이에 반해 제2 바디부(520)는 이러한 제한없이 제2 관통개구(21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바디부(520)와 제2 베이스부(51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베이스부(510)가 더 이상 삽입이 되지 않는 것에 의하여 제2 바디부(520)도 제2 관통개구(210)를 통과하여 제2 바디부(520) 전체가 내측으로 돌출될 수는 없다. 이로 인해 제2 연결부(500)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고 고정체(20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은 광학모듈(100), 고정체(200), 가동프레임(300), 제1 연결부(400) 및 제2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에 대한 설명 중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광학모듈(100), 고정체(200) 및 가동프레임(30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 중 일부는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상술한 일실시예와 다르게 본 발명의 또다른 카메라 모듈(1)에 따른 일실시예는 제1 연결부(400)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광학모듈(100)을 관통하여 가동프레임(300)에 삽입되고, 제2 연결부(500)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가동프레임(300)을 관통하여 고정체(200)에 삽입된다. 즉, 제1 연결부(400) 및 제2 연결부(500)의 결합방향 및 결합관계가 상술한 일실시예와 상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방향 및 결합관계에 따른 광학모듈(100)은 렌즈(110), 제1 관통개구(310), 제1 모서리부(330) 및 제3 모서리부(340)를 포함하고, 가동프레임(300)은 제2 관통개구(210), 제1 삽입홈(120), 제1 모서리부(330) 및 제3 모서리부(340)를 포함하며, 고정체(200)는 제2 삽입홈(320), 제2 모서리부(220) 및 제4 모서리부(23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400)는 광학모듈(10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삽입되며, 광학모듈(100)을 관통하여 가동프레임(30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연결부(400)는 광학모듈(100)과 가동프레임(300)을 연결할 수 있고, 광학모듈(100)이 가동프레임(3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축선(2)을 중심축으로 하여 광학모듈(100)이 회전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00)는 광학모듈(100)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제1 베이스부(410) 및 제1 베이스부(410)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동프레임(300)에 삽입되는 제1 바디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500)는 가동프레임(30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삽입되며, 가동프레임(300)을 관통하여 고정체(20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연결부(500)는 가동프레임(300)과 고정체(200)를 연결할 수 있고, 가동프레임(300)이 고정체(2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2 축선(3)을 중심축으로 하여 가동프레임(300)이 회전할 수 있다.
제2 연결부(500)는 가동프레임(300)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제2 베이스부(510) 및 제2 베이스부(510)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체(200)에 삽입되는 제2 바디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카메라 모듈
2: 제1 축선
3: 제2 축선
4: 광축
100: 광학모듈
110: 렌즈
120: 제1 삽입홈
200: 고정체
210: 제2 관통개구
220: 제2 모서리부
230: 제4 모서리부
300: 가동프레임
310: 제1 관통개구
320: 제2 삽입홈
330: 제1 모서리부
340: 제3 모서리부
400: 제1 연결부
410: 제1 베이스부
420: 제1 바디부
500: 제2 연결부
510: 제2 베이스부
520: 제2 바디부
900: 윤활제

Claims (17)

  1.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모듈;
    상기 광학모듈을 둘러싸고 있는 고정체;
    상기 광학모듈과 상기 고정체 사이에 위치하는 가동프레임;
    상기 광학모듈과 상기 가동프레임을 연결시키는 2개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고정체와 상기 가동프레임을 연결시키는 2개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광학모듈 또는 상기 가동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가동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체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광학모듈은 상기 2개의 제1 연결부 각각을 잇는 제1 축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가동프레임은 상기 2개의 제2 연결부 각각을 잇는 제2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 연결부 중 하나는 상기 가동프레임의 제1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부 중 다른 하나는 제1 모서리부에 대향하는 제3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부 중 하나는 상기 고정체의 제2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부 중 다른 하나는 제2 모서리부에 대향하는 제4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고정체를 관통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광학모듈에 삽입되는 제1 바디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측면과 내측단면이 곡면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모듈은 상기 제1 연결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1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1 바디부의 사이 공간에 윤활제가 충진되는 카메라 모듈.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프레임에는 상기 제1 연결부가 관통되는 제1 관통개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개구는 내측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가 내측 방향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카메라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고정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동프레임에 삽입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과 내측단면이 곡면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프레임은 상기 제2 연결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2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삽입홈과 상기 제2 바디부의 사이 공간에 윤활제가 충진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제2 연결부가 관통되는 제2 관통개구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관통개구는 내측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베이스부가 내측 방향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카메라 모듈.
  13. 삭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은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직으로 교차하고,
    상기 제2 축선은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광학모듈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을 관통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광학모듈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동프레임에 삽입되는 제1 바디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체에 삽입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010604A 2020-01-29 2020-01-29 카메라 모듈 KR102274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604A KR102274859B1 (ko) 2020-01-29 2020-01-29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604A KR102274859B1 (ko) 2020-01-29 2020-01-2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859B1 true KR102274859B1 (ko) 2021-07-08

Family

ID=7689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604A KR102274859B1 (ko) 2020-01-29 2020-01-2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8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889A (ko) 2005-01-10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의 수평 보정 장치
KR20100035097A (ko) * 2008-09-25 2010-04-02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카메라의 손떨림 보정장치
KR20120066294A (ko) 2010-12-14 2012-06-22 동아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장치
JP2015194540A (ja) * 2014-03-31 2015-11-0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光学ユニット及びカメラ
JP2017194618A (ja) * 2016-04-22 2017-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偏向器、光学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889A (ko) 2005-01-10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의 수평 보정 장치
KR20100035097A (ko) * 2008-09-25 2010-04-02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카메라의 손떨림 보정장치
KR20120066294A (ko) 2010-12-14 2012-06-22 동아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장치
JP2015194540A (ja) * 2014-03-31 2015-11-0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光学ユニット及びカメラ
JP2017194618A (ja) * 2016-04-22 2017-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偏向器、光学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9011B1 (en) Electronic imaging device
US771960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mobile phone
KR101343197B1 (ko) 카메라 모듈
JP4493046B2 (ja) レンズ鏡筒及びそのレンズ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7093953A (ja)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CN110244390B (zh) 环形光学元件、成像镜头模块与电子装置
JP2002139662A (ja) 撮像装置
CN103296855A (zh) 音圈电机
CN112394599A (zh) 光学单元
JP2007104288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組立方法
CN214381107U (zh) 相机模组及移动终端
CN102768454B (zh) 摄像设备
KR102274859B1 (ko) 카메라 모듈
US11693221B2 (en) Camera module,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13050340B (zh) 相机模块
CN111090159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以及相应的终端设备
JP4318366B2 (ja) 全方位視覚カメラ
CN110398814B (zh) 环形光学元件与成像镜头模块
CN214375492U (zh) 使用固定元件的成像镜头与电子装置
US9253381B2 (en) Camera module having rotation prevention means
KR2024004365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
JP4873134B2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KR20110056112A (ko) 흔들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179Y1 (ko) 두 개의 디지탈 촬영 모듈을 구비한 핸드폰 및 디지탈카메라 및 두 개의 촬영 모듈을 구비한 필름 카메라
JP202404837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