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056B1 -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056B1
KR102024056B1 KR1020160180220A KR20160180220A KR102024056B1 KR 102024056 B1 KR102024056 B1 KR 102024056B1 KR 1020160180220 A KR1020160180220 A KR 1020160180220A KR 20160180220 A KR20160180220 A KR 20160180220A KR 102024056 B1 KR102024056 B1 KR 102024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lit
barrel
unit
ima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099A (ko
Inventor
김래경
Original Assignee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05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04N5/2252
    • H04N5/22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을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에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가 노출되도록 개구를 가지는 서포터와, 상기 카메라 렌즈에 제1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제1 렌즈와, 일단이 상기 서포터에 고정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렌즈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외측을 연통하는 슬릿이 외측에 배치되며, 내부면에 상기 슬릿에 대응하는 그루브를 구비하는 배럴과, 상기 배럴의 타단을 막는 커버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상기 슬릿에 삽입 또는 상기 슬릿에서 인출가능하며, 상기 카메라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와 일렬로 정렬되는 제2 렌즈와,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조절 렌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UNIT FOR MAGNIFYING PICK UP IMAG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이들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또한 그 사용도가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성능이 높아지면서, 많은 일반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영상 촬영이나 거울 대용으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대할 수 있는 기능을 내장하지 못했던 이전의 핸드폰은 화면 상부에 돋보기와 같은 확대기를 설치하여 작은 화면의 제약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핸드폰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확대장치는 화면을 자유롭게 확대할 수 있는 최근의 스마트폰에서는 불필요한 장치가 되었다.
최근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영상 촬영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 영역을 넘어설 만큼 그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디지털 카메라의 줌 기능처럼 영상을 확대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일부 신제품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일부 줌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메커니즘을 스마트폰에 구현해야 하 므로, 더 얇고 가벼워져야 하는 스마트폰에서 영상처리를 위한 구조의 변경을 비롯한 구성품의 증가로 인한 무게와 부피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각종 SNS(Social Netwoking Service)에 음식 사진, 여행사진, 셀카, 일상 사진 등을 업로드 하는 것이 일상이 됨에 따라 카메라가 다양한 기능에 대한 요구가 폭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진을 잘찍을수 있는 셀카봉 또는 셀카렌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셀카렌즈는 렌즈의 배율이나 광각을 조절하여 카메라로 촬상할 수 있는 영역을 넓힐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나의 셀카렌즈에는 하나의 배율 또는 하나의 광각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다른 광각이나 배율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셀카렌즈 자체를 교환 또는 교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렌즈의 교체가 용이하고, 사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에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가 노출되도록 개구를 가지는 서포터와, 상기 카메라 렌즈에 제1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제1 렌즈와, 일단이 상기 서포터에 고정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렌즈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외측을 연통하는 슬릿이 외측에 배치되며, 내부면에 상기 슬릿에 대응하는 그루브를 구비하는 배럴과, 상기 배럴의 타단을 막는 커버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상기 슬릿에 삽입 또는 상기 슬릿에서 인출가능하며, 상기 카메라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와 일렬로 정렬되는 제2 렌즈와,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조절 렌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럴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릿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렌즈부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기 설정된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조절 렌즈부의 일면이 상기 경사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렌즈부는 상기 슬릿에 삽입되면 상기 배럴의 외측에 돌출되는 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슬릿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럴의 일면을 폐쇄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은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따라 조절 렌즈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그 배율이나 광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촬상용 유닛은 배럴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 렌즈부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촬상용 유닛은 보호 커버가 내부에 배치되어 촬상용 유닛의 내부 청결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촬상용 유닛은 복수개의 조절용 렌즈를 배치하여 사용가능한 배율이나 광각의 폭을 증폭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슬릿이 배럴에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배율을 조절하여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용 유닛을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용 유닛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촬상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절 렌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촬상용 유닛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촬상용 유닛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용 유닛(100)을 휴대용 단말기(300)에 장착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상용 유닛(100)은 휴대용 단말기(300)의 카메라 렌즈(310)에 장착된다. 촬상용 유닛(100)은 카메라 렌즈(310)에 정렬되어, 휴대용 단말기(300)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배율 또는 화질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도 1과 같이 스마트 폰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메라 렌즈를 통해 관측 또는 촬영할 수 있는 테블릿, 노트북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폰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촬상용 유닛(100)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촬상용 유닛(10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촬상용 유닛(100)은 서포터(110), 제1 렌즈(120), 배럴(130), 커버부(140), 조절 렌즈부(150) 및 보호 커버(160)를 구비할 수 있다.
서포터(110)는 촬상용 유닛(100)을 카메라 렌즈(310)에 부착할 수 있다. 서포터(110)는 카메라 렌즈(310)를 개방하기 위해서 중앙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를 통해서 카메라 렌즈(310), 제1 렌즈(120), 조절 렌즈부(150)가 제1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렌즈(120)는 카메라 렌즈(310)에 제1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120)는 촬상용 유닛(100)에 장착되는 기본이 되는 렌즈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촬상용 유닛(100)은 제1 렌즈(120)가 제거될 수 있다.
배럴(130)은 촬상용 유닛(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배럴(130)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단에는 서포터(110)가 장착되고, 타단에는 커버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배럴(130)의 일측에는 조절 렌즈부(150)가 삽입되는 슬릿(131)이 배치될 수 있다. 배럴(130)의 외측면에는 슬릿(131)이 배럴(130)의 반경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조절 렌즈부(150)는 배럴(130)의 슬릿(131)에 삽입 또는 인출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절 렌즈부(150)를 장착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배럴(130)의 내주면에는 조절 렌즈부(150)의 삽입돌기(154)가 삽입되는 그루브(132)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154)의 적어도 일부가 그루브(132)가 삽입되어 조절 렌즈부(150)가 배럴(13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140)는 배럴(130)의 타단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140)는 배럴(130)의 일측을 막아, 내부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커버부(140)의 중앙에는 투명한 글래스(14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조절 렌즈부(15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절 렌즈부(150)는 제2 렌즈(151), 제1 단부(152), 제2 단부(153), 삽입돌기(154), 체결부(155) 및 노브(15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렌즈(151)는 촬상용 유닛(100)의 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렌즈이다. 제2 렌즈(151)는 다양한 배율을 가지거나, 광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렌즈(151)는 사용자가 배럴(130)에 삽입하여, 촬상용 유닛(100)이 다양한 배율 또는 광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렌즈(151)의 배율은 특정 배율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2 렌즈(151)가 볼록 렌즈 인 것을 도시하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목하거나 일부가 평탄한 렌즈일 수 있다.
제1 단부(152)는 제2 렌즈(151)와 삽입돌기(154)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단부(153)는 제2 렌즈(151)에서 제1 단부(15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단부(153)는 노브(156)와 제2 렌즈(15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부(153)도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단부(152)의 두께와 제2 단부(153)의 두께는 제2 렌즈의 최대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151)는 슬릿(131)을 통과하여 배럴(13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므로, 제2 렌즈(151)는 적어도 슬릿(131)의 두께보다 작아야 한다. 또한, 제1 단부(152) 및 제2 단부(153)도 슬릿(131)을 통과하여 배럴(13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므로, 제1 단부(152) 및 제2 단부(153)도 슬릿(131)의 두께보다 작아야 한다.
삽입돌기(154)는 제1 단부(152)에서 연장되고, 그루브(132)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삽입돌기(154)는 외측으로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작아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삽입돌기(154)가 그루브(132)에 삽입되므로 조절 렌즈부(150)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155)는 슬릿(131)에 삽입되어, 조절 렌즈부(15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체결부(155)는 적어도 일면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155)의 외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그 두께가 노브(156)에서 제2 단부(153)로 갈수로 줄어든다. 체결부(155)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므로 슬릿(131)의 경사면과 접촉되어 접촉면적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배럴(130)과 조절 렌즈부(150)가 경사진 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므로 결합력을 증가할 수 있다.
체결부(155)는 서로 마주 보는 면이 반대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체결부(155)의 4개의 면은 아래 방향으로, 즉, 배럴(130)의 내부공간으로 모아지도록 경사를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55)에서 노브(156)에 인접한 부분은 두께가 크므로, 사용자가 노브(156)를 선택하여 용이하게 조절 렌즈부(150)를 장입 또는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55)에서 제2 단부(153)에 인접한 부분은 두께가 작으므로, 슬릿(131)에 끼위지므로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노브(156)는 체결부(155)에서 연장되고, 조절 렌즈부(150)가 촬상용 유닛(100)에 장착 시에 배럴(130)의 외측에 돌출된다. 노브(156)는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조절 렌즈부(150)를 장착 또는 탈착 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배럴(130)의 내부공간에는 보호 커버(160)가 설치될 수 있다. 보호 커버(160)는 제1 렌즈(120)와 슬릿(131) 사이에 배치되므로, 조절 렌즈부(150)와 제1 렌즈(120)를 구획할 수 있다. 보호 커버(16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제1 렌즈(120)와 슬릿(131) 사이에 배치되어, 배럴(130)의 일면을 폐쇄할 수 있다.
보호 커버(160)는 슬릿(131)을 통해서 유입되는 이물질로부터 제1 렌즈(120)를 보호할 수 있다. 배럴(130)은 슬릿(131)에 의해서 개방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은 슬릿(131)을 통해서 배럴(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렌즈(120)는 교체 또는 탈착되지 않는 렌즈이므로, 제1 렌즈(120)는 청결이 유지되어야 한다.
보호 커버(160)는 제1 렌즈(120)의 앞 단에 설치되므로, 공간적으로 제1 렌즈(120)와 조절 렌즈부(150)를 분리할 수 있다. 보호 커버(160)는 제1 렌즈(120)의 기밀을 유지하므로, 이물질이 제1 렌즈(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호 커버(160)는 촬상용 유닛(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촬상용 유닛(200)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촬상용 유닛(200)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촬상용 유닛(200)은 서포터(110), 제1 렌즈(120), 커버부(140), 보호 커버(160), 배럴(230) 및 복수개의 조절 렌즈부(251, 252, 25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용 유닛(200)의 제1 렌즈(120), 커버부(140), 보호 커버(160)는 상기 서술한 각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용 유닛(200)은 조절 렌즈부를 복수개 배치하여 그 배율을 조절하는 데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배럴(230) 및 복수개의 조절 렌즈부(251, 252, 253)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배럴(230)은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슬릿의 개수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촬상용 유닛(200)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슬릿을 구비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배럴(230)은 제1 방향을 따라 제1 슬릿(231), 제2 슬릿(232), 제3 슬릿(23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슬릿(231), 제2 슬릿(232), 제3 슬릿(233)은 일렬로 배치되거나 배럴(230)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릿(231), 제2 슬릿(232), 제3 슬릿(233)은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조절 렌즈부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렌즈(120)나 카메라 렌즈(310)에서 제1 슬릿(231), 제2 슬릿(232), 제3 슬릿(233) 각각의 이격 거리는 다르므로, 사용자는 슬릿을 선택하여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조절용 렌즈를 이용하여 제1 슬릿(231), 제2 슬릿(232), 제3 슬릿(233)에 장착 할 때마다 그 배율이나 광각의 정도가 차이가 있으므로, 그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배럴(230)은 제1 슬릿(231)에 대응하는 제1 그루브(234), 제2 슬릿(232)에 대응하는 제2 그루브(235) 및 제3 슬릿(233)에 대응하는 제3 그루브(236)를 구비할 수 있다.
조절 렌즈부는 제1 슬릿(231)에 삽입되는 제1 조절 렌즈부(251), 제2 슬릿(232)에 삽입되는 제2 조절 렌즈부(252) 및 제3 슬릿(233)에 삽입되는 제3 조절 렌즈부(25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절 렌즈부(251, 252, 253)는 각각의 배율을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절 렌즈부는 복수개의 슬릿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조절 렌즈부는 복수개의 슬릿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배율이나 광각을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조절 렌즈부는 복수개가 중첩되게 배치되어 서로의 관련성에 의해서 배율을 조절하거나 광각을 조절 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은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따라 조절 렌즈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그 배율이나 광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촬상용 유닛은 배럴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 렌즈부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촬상용 유닛은 보호 커버가 내부에 배치되어 촬상용 유닛의 내부 청결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촬상용 유닛은 복수개의 조절용 렌즈를 배치하여 사용가능한 배율이나 광각의 폭을 증폭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슬릿이 배럴에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배율을 조절하여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촬상용 유닛
110: 서포터
120: 제1 렌즈
130: 배럴
131: 슬릿
132: 그루브
140: 커버부
150: 조절 렌즈부
151: 제2 렌즈
152: 제1 단부
153: 제2 단부
154: 삽입돌기
155: 체결부
156: 노브
160: 보호 커버

Claims (6)

  1.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에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가 노출되도록 개구를 가지는 서포터;
    상기 카메라 렌즈에 제1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일단이 상기 서포터에 고정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렌즈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외측을 연통하는 슬릿이 외측에 배치되며, 내부면에 상기 슬릿에 대응하는 그루브를 구비하는 배럴;
    상기 배럴의 타단을 막는 커버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상기 슬릿에 삽입 또는 상기 슬릿에서 인출가능하며, 상기 카메라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와 일렬로 정렬되는 제2 렌즈와,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조절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럴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릿이 배치되고,
    상기 조절 렌즈부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슬릿의 입구측에 내부를 향해 연장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렌즈부는 상기 슬릿에 삽입되면 상기 배럴의 외측에 돌출되는 노브를 더 구비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슬릿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럴의 일면을 폐쇄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80220A 2016-12-27 2016-12-27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 KR102024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220A KR102024056B1 (ko) 2016-12-27 2016-12-27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220A KR102024056B1 (ko) 2016-12-27 2016-12-27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099A KR20180076099A (ko) 2018-07-05
KR102024056B1 true KR102024056B1 (ko) 2019-09-24

Family

ID=6292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220A KR102024056B1 (ko) 2016-12-27 2016-12-27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0601B (zh) * 2019-09-02 2021-03-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盖板组件及其制造方法、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85B1 (ko) * 2002-10-18 2011-01-05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643B1 (ko) * 2012-06-28 2014-03-26 전선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85B1 (ko) * 2002-10-18 2011-01-05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카메라가 달린 휴대 통신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099A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54857B (zh) 光学成像系统及包括该光学成像系统的便携式电子装置
US9986157B2 (en) Imaging optical system, camera apparatus and stereo camera apparatus
TWI519811B (zh) 超小型光學系統以及可攜式裝置
US11042008B2 (en) Imaging lens
US20160044247A1 (en)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US20160282584A1 (en) Lens assembly
EP3667387B1 (en) Lens system, image capture apparatus and device
CN117061850A (zh) 带有折叠式透镜的变焦双孔径相机
KR20170011847A (ko) 촬상 광학계 및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진 복수의 촬상 광학계가 장착된 모바일 기기
US10656410B2 (en) Imaging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comprising same
US20180031806A1 (en)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
KR102024056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촬상용 유닛
US20200041751A1 (en) Optical lens and optical camera lens
US20110222164A1 (en) Lens system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10025866A1 (en) Compact lens optical system and digital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22037158A1 (zh) 一种高画素的5p超广角镜头
WO2020133619A1 (zh) 一种用于移动终端的外接镜头
JP2023538323A (ja) 光学系
KR102645837B1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88071B1 (ko) 렌즈 광학계
KR101375650B1 (ko) 폴더형 스마트폰 케이스
US20150189135A1 (en) Tablet computer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mounting a camera lens
KR102037832B1 (ko) 렌즈 모듈
CN111630428B (zh) 成像透镜以及包含成像透镜的相机模块
US20150189050A1 (en) Mobile phon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mounting a camera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