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567A - 자동 저습 보관 장치와 그 보관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저습 보관 장치와 그 보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07567A KR20020007567A KR1020000040919A KR20000040919A KR20020007567A KR 20020007567 A KR20020007567 A KR 20020007567A KR 1020000040919 A KR1020000040919 A KR 1020000040919A KR 20000040919 A KR20000040919 A KR 20000040919A KR 20020007567 A KR20020007567 A KR 200200075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humidity
- dehumidification
- desiccant
- low humidit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1285 shape-memo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NQCVBJFEGMYDW-UHFFFAOYSA-N lawrencium atom Chemical compound [Lr] CNQCVBJFEGMYD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습도 분위기에서 안정적으로 수납물을 보관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시간 제어 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건조제를 재생 처리하고, 챔버 내를 제습 처리하는 제습 유닛을 구비한 자동 저습 보관 장치로서, 습도 센서를 구비하여, 해당 습도 센서에 의해 상기 챔버 내의 습도가 미리 설정한 습도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였을 때에 상기 제습 유닛과 상기 챔버과의 사이의 통풍을 차단하여 자동적으로 챔버 내의 습도를 일정 습도로 유지하는 자동 저습 보관 장치와 그 방법.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폐 챔버 내를 자동적으로 제습 처리하고, 카메라, 전자부품, 정밀기기나 식품, 화학약품 등을 소요의 습도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제습 처리 기술의 분야에 속한다.
종래, 이 종류의 건조장치에 있어서는, 단일 타이머에 의해, 예를 들면 1 사이클을 6시간으로 하고, 그 중 약 30분간을 건조제의 가열을 행하고, 수분의 흡수 및 배출을 행하는 셔터로의 개폐를 행하는 구동력원으로서의 형상 기억 합금과 히터로통전하여 건조제를 가열하는 동시에, 형상 기억 합금을 변태점으로 온도 상승시키고, 챔버 외의 셔터를 열며,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반대측의 챔버(庫) 내의 셔터를 닫고 건조제를 재생 처리하고, 이 동작을 30분 계속한 후, 타이머에 의해 가열체로의 통전을 정지시키며, 형상 기억 합금의 온도도 순차 냉각시켜 수축력이 감소하고, 반발 스프링의 힘에 의해, 챔버 외의 셔터를 닫으며, 챔버 내의 셔터를 열고, 건조제에 의해 약 5시간30분 밀폐 챔버의 챔버 내의 공기의 흡습 작용을 행하여 챔버 내를 저습도로 유지하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며, 이 제습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제습 유닛을 병설시켜, 동 시각, 동 시간의 단일 사이클로 작동시키는 것이 고안되어 있다(선행기술).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각 제습 유닛의 제습 사이클 및 재생 사이클이 동시 진행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건조제로부터의 배출 수분이 챔버 내로 역류하지 않도록 챔버 내측의 셔터를 닫으며, 챔버 외측의 셔터를 열어 배출하지만, 통전 정지와 셔터에 의한 챔버 외측으로 폐쇄의 전환(통상 통전 정지)과 거의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건조제의 온도가 충분히 냉각할 때까지 약 30분간은 나머지의 수분은 챔버 내로 약간 역배출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비교적 단시간이지만, 챔버 내의 습도는 약 5 내지 20% 상승하게 되고, 그 후, 건조제의 온도 저하(약 1시간후)에 의해 본격적인 흡습 작용을 행하며, 순차 챔버 내의 습도는 저하하지만, 6시간후 또 같은 사이클을 반복하여 행하기 때문에, 챔버 내의 초저 습도의 안정 보유가 곤란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이 개발한 앞서의 출원에 관련되는 일본 특개평9-206543호 공보(공지예)에 있어서는, 상기의 재래기술의 전자 유닛을 개선하여 건조 처리 실내에 있어서 건조제 용기와 팬을 병설하고, 타이머 수단에 의해 발열체와 팬을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건조제를 재생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공지예는, 건조 처리실 내는 강제적으로 공기가 이동되기 때문에 건조제의 재생 처리는 효과적으로 실행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제 1 과제는 챔버 내 습도를 급속하게 저습화 하고, 저습도로 안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설정으로 일정 습도, 예를 들면 10%라든가 25% 등의 챔버 내의 습도를 정확하게 유지하는(도 7 참조)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과제는 팬의 작동 타이밍을 조절하여 챔버의 제습 속도를 최고로 하고, 동시에 팬 모터의 수명을 3배(10년) 이상으로 하여 실용화 한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과제는 챔버 내의 습도가 설정치를 넘으면(상승) 경보를 발하여 알릴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과제는 문의 개폐에 의한 챔버 내의 습도의 상승을 신속하게 원래의 저습도로 되돌리는 급속 제습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자동 저습 보관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문을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기능 블록도.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제습 유닛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사용 상태 설명도.
도 7은 도 1에 있어서의 챔버 내의 습도 변화의 설명과 타임챠트.
도 8은 도 1의 장치와 종래 제품과의 습도 변화의 비교 그래프.
도 9는 실시예 2의 제습 유닛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건조재의 가-가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제조 설명도.
도 12는 실시예 3의 제습 유닛의 종단면도.
도 13은 실시예 4의 제습 유닛의 일부 종단면도.
도 14는 실시예 5의 일부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다른 동작의 일부 측면도.
도 16은 실시예 6의 문을 떼어낸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기능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1000': 자동 저습 보관 장치
1, 1a, 1b: 챔버
11 내지 14: 문
100, 100', 100a, 100b, 100Y, 200, 200a: 제습 유닛
190: 개폐 검출 스위치
400: 시간 제어 수단(타이머)
500: 습도 센서
800: 도어 스위치
900': 질소 가스 분사 수단
950: 부저
(1) 시간 제어 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건조제를 재생 처리하고, 챔버 내를 제습 처리하는 제습 유닛을 구비한 자동 저습 보관 장치로서, 습도 센서를 구비하고, 해당 습도 센서에 의해 상기 챔버 내의 습도가 미리 설정한 습도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였을 때에 상기 제습 유닛과 상기 챔버 사이의 통풍을 차단하여 자동적으로 챔버 내의 습도를 일정 습도로 유지하는 자동 저습 보관 장치.
따라서, 챔버 내를 종래 제품과 같이 과도하게 제습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2) 상기 제습 유닛과 상기 챔버의 사이의 통풍은, 상기 제습 유닛의 챔버 내측 셔터를 자동적으로 폐지하여 실행하도록 구성한 상기 (1)에 기재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따라서, 챔버 내의 습도를 설정 습도에 대하여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3) 시간 제어 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건조제를 재생 처리하고, 챔버 내를 제습 처리하는 제습 유닛을 구비한 자동 저습 보관 장치로서, 습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습 유닛을 챔버에 복수개 병설하며, 각 제습 유닛이 서로 시간차를 설정하여 소정 사이클로 건조제의 가열 재생 및 챔버의 제습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따라서, 건조제 재생 시의 챔버 내의 습도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4) 상기 챔버에 습도 센서에 의해서 작동되는 경보 수단을 배치하고, 챔버 내의 습도가 설정 습도에 도달하면 상기 경보 수단이 기동되도록 구성된 상기 (1) 내지 (3)에 기재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따라서,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신뢰성이 높고, 과습 = 습도 상승에 의한 수납품의 불량 발생 방지에 유효하다.
(5) 상기 제습 유닛내의 건조재는, 흡습·배출의 효과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 박형(薄型) 형상으로 구성하고, 1매 또는 복수매 병렬로 배치하며, 팬에 의한 통풍을 밸런스 좋게 유통하도록 구성한 상기 (1) 내지 (3)에 기재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따라서, 효과적으로 챔버 내를 제습하고, 더욱이 그 습도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6) 상기 제습 유닛에 있어서의 건조재가 미세한 허니콤(honeycomb) 구멍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5)에 기재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따라서, 높은 효율로 가열 재생하고, 또한, 챔버 내를 고속으로 제습 처리할 수 있다.
(7) 상기 제습 유닛의 가열 재생 시간에 대응하여 간헐적으로 구동 가능한 팬을 배치하고, 건조제에 의해서 제습된 공기를 챔버 내에서 강제 순환 가능하게 한 상기 (3), (5) 또는 (6)에 기재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따라서, 이 팬의 작동은 건조재 가열 재생후, 건조재 습도가 저하한 후, 일정시간(6시간 사이클의 경우 약 2시간) 작동시키는 것으로, 운전 수명을 3배로 연장할 수 있고, 또한 챔버 내의 습도는 안정한다.
따라서, 운전 자금을 저감할 수 있다.
(8) 상기 챔버에 도어 스위치를 배치하고, 문의 개폐를 감지한 해당 도어 스위치에 의해, 팬을 시동시키고, 문 개폐 동작에 의해 상승한 챔버 내의 습도를 급속하게 저하시키도록 구성한 상기 (1) 내지 (3)에 기재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따라서, 챔버 내의 습도 상승을 급속하게 저하할 수 있다.
(9) 상기 챔버에 도어 스위치를 배치하고, 문의 개폐를 감지한 해당 도어 스위치에 의해, 챔버 내에 자동적으로 설정량의 질소 가스를 주입 가능하게 구성한 상기 (1) 내지 (3)에 기재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상기 (8)과 같다.
(10) 상기 제습 유닛이 적어도 건조제와, 이 건조제를 가열하여 재생 처리하는 발열체와, 챔버 내측 개구 및 챔버 외측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하고, 이 셔터로 상기 챔버 내측 개구를 열며, 상기 챔버 외측 개구를 닫았을 때에, 상기 챔버의 공기를 상기 건조제에 의해서 제습 처리하는 동시에, 해당 셔터로 상기 챔버 내측 개구를 닫고, 상기 챔버 외측 개구를 열었을 때에, 상기 건조제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챔버외로 배출시키며, 챔버 내측과 같이 챔버 외측 셔터도 동시에 닫히도록 구성된 상기 (1)내지 (9)에 기재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상기 (1)과 같다.
(11) 시간 제어 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건조제를 재생 처리하고, 챔버 내를 제습 처리하는 제습 유닛을 구비한 자동 저습 보관 장치로서, 챔버 내외측의 각 개구를 개폐 조작하는 셔터 및 해당 셔터의 개폐 동작을 검지하는 개폐 검지 스위치를 설치하고, 챔버 내측 셔터가 닫혔을 때에만, 상기 개폐 검지 스위치가 ON 되어 발열체에 통전시키도록 구성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따라서, 만일 셔터 개폐 기구의 고장이나 제어장치의 오동작 등에 의해, 챔버 내측 셔터가 닫히지 않는 상태에서 발열체로 통전도 하더라도 개폐 검지 스위치가 ON 되지 않기 때문에, 발열체로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챔버 내로 수증기가 방출되는 일은 없다.
(12) 시간 제어 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건조제를 재생 처리하고, 문에 의해서 밀폐 가능한 챔버 내를 제습 처리하는 복수의 제습 유닛을 구비한 자동 저습 보관 방법으로서, 간헐적으로 제습 사이클과 재생 사이클을 교대로 실행하는 상기 제습 유닛을 초기 운전 개시 시에는 동일한 사이클(재생·제습)을 동시 진행시키고, 이후는 교대로 시간차를 설정하여 제습 또는 재생 사이클을 실행시키는 자동 저습 보관 방법.
상기 (3)과 같다.
다음에,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1. 구성
(1) 전체 구성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저습 보관 장치(장치; 1000)는, 전면이 좌우 여닫이형의 4개의 문(11 내지 14)에 의해서 개폐가 자유로운 밀폐형의 챔버(1)의 배판 위치에 제 1, 제 2의 2개의 제습 유닛(100, 200)을 인접형으로 장착시키고, 챔버(1)내의 선반(15)상에 설치된 카메라 렌즈나 건조식품·전자부품 또는 의약품, 화학품 등의 수납물(GA)을 장기간에 걸쳐 품질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된 저습도 분위기에 있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 각 부의 관계 구성
도 4에 기능 블록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P)으로부터의 통전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수단(300)에는 시간 제어 수단(타이머; 400)을 접속시키고, 이 타이머(400)로는 습도 센서(500)로부터의 챔버(1)내의 습도 정보를 알릴 수 있도록 접속시키는 동시에, 부저, 경보 램프 등의 경보 수단(950)에도 접속시키며, 제 1, 제 2 제습 유닛(100, 200)으로의 통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시키고, 또한, 챔버(1)내의 습도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600)에도 접속시키며, 도어 스위치(800)를 접속시키고 있다.
(3) 각 부의 구성, 기능
① 제 1, 제 2 제습 유닛(100, 200)
제 1, 제 2 제습 유닛(100, 200)의 구성은, 서로 공통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제 1 제습 유닛(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 2 제습 유닛(200)에 대해서는, 공통하는 점에 200번대의 부호를 붙여서 표시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제습 유닛(100)은, 중앙의 건조실(101)에는 실리카 등으로 형성된 박판형, 또는 미세입자형의 건조제로 이루어지는 건조재(102)를 충전하고, 발열체(103)를 장착시킨 3개의 다공 금속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건조제 용기(104 내지 106)를 금속부재(107)에 의해 소요의 간격을 막아서 직립형이며 병행형으로 고정 설치하고, 그 하측 위치에 로터리 형식의 팬(108)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건조실(101)의 상·하 위치에는, 상·하 통풍실(111, 121)을 형성하고있으며, 각각 건조실(101)과의 사이에는 챔버 내측 개구(112, 1220) 및 챔버 외측 개구(113, 123)를 설치하고, 중앙의 힌지(131, 132)에 의해 기복 가능하게 설치한 시소(seesaw)식의 개폐 셔터(141, 142)에 의해서, 각각 교대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개폐 셔터(141, 142)에 연결된 접속선(151, 152)을 개재시켜 형상 기억 합금 코일(160)을 연결하고, 다른쪽 끝을 반발 코일 스프링(170)에 연결시키고 있다.
② 조작수단(300)
챔버(1)내의 희망 습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기 위한 승강 버턴(301, 302)과 그 세트 버턴(303) 및 타이머 시퀀스를 시동할 수 있는 메인 스위치(304)를 구비한 것으로서, 터치 센서 등을 포함한 조작 패널(310)을 선반(15)의 전면에 부설하여 구성하고 있다.
③ 시간 제어 수단(타이머; 400)
마이크로컴퓨터 수단을 포함한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발열체(103)로의 통전의 연속적인 ON, OFF와, 소요의 시차를 막아 팬(108)으로의 통전의 ON, OFF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습도 센서(500)의 습도 정보에 의해서도 팬(108)에 통전할 수 있는 것이다.
④ 표시수단(600)
액정 표시체 등으로 구성되고, 챔버(1) 내의 현재 상태의 습도 및 희망 설정 습도를 각각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조작수단(300)에 인접하여 선반(15)의 전면에 배치하고 있다.
2. 사용순서
다음에, 이 장치(1000)의 사용 순서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장치(1000)에 의한 제습 효과를 나타내도록 사용할 때는,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챔버(1)의 선반(15)상에 원하는 수납물(GA)을 적절하게 설치하고, 메인 스위치(305)를 ON으로 하며, 조작 패널(310)의 승강 버턴(301, 302)을 조작하고, 챔버(1)내의 습도를 30%로 조절하여, 문(11 내지 14)을 닫는다.
이 상태에서는, 건조제(102, 202)의 흡습 능력이 포화되어 있고 챔버(1)내의 습도는 챔버(1)외와 마찬가지로 60%이다.
이 상태에서, 타이머(400)에 의해 제 1, 제 2 제습 유닛(100, 200)의 발열체(103, 203)에 통전을 개시하면 재생 사이클에 들어가고, 발열체(103, 203)가 가열되고, 건조제(101, 201)를 순차 상온으로부터 120℃(또는 150℃ 정도)까지 승온시킨다.
이 때, 형상 기억 합금 코일(160, 260)에도 통전하여 변태시키고, 반발 코일 스프링(170, 270)에 맞서서 개폐 셔터(141, 142, 241, 242)를 작동시켜 챔버 내측 개구(112, 122, 212, 222)를 닫고, 힌지(131, 231)를 중심으로 반대측의 챔버 외측 폭(113, 123, 213, 223)을 개방한다(도 6 가상선 위치).
이 일련의 동작에 의해, 수분을 흡착하고 있는 건조제(102, 202)는 온도 상승에 의해 수분을 배출하기 시작하고, 이 수분은 챔버 외측으로 배출된다(도6(가), (나)).
이 상태에서, 약 1시간 계속되면(도 7a), 건조재(102, 202)는 재생되어 흡습능력이 회복된다.
이 상태에서, 약 1시간 계속되면(도 7a), 건조재(102, 202)는 재생되어 흡습 능력이 회복된다.
이어서, 타이머(400)에 의해 제습 사이클에 들어가면, 제 1, 제 2 양 제습 유닛(100, 200)은 발열체(103, 203)에는 통전되지 않고, 개폐셔터(141, 142, 241, 242)에 의해 챔버 내측 개구(112, 122)가 개방되며, 챔버 외측 개구(113, 123)는 닫힌 상태로 되고(도 6 실선 위치), 팬(108, 208)이 시동되기 때문에, 건조재(102, 202)에 의해서 제습된 공기는 도 6 화살표(다)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1)내에 공급되는 동시에, 챔버(1)내의 수분을 포함한 공기는 화살표(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실(101, 201)내에 침입되고, 팬(108, 208)에 의해서 화살표(마)와 같이 가압되고, 건조재(102, 202)에 의해서 제습 처리되는 행정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이 상태를 약 2시간 계속시킨 후(도 7b), 모터 수명의 연장을 도모하는 것과 절전을 위해 팬(108, 208)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그러나, 제습 사이클은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건조재(102, 202)에 의해서 제습되어 경량화 된 공기는, 상승 기류 현상을 이용하여 챔버(1)과 제 1, 제 2 제습 유닛(100, 200)의 사이에서 순환되어 챔버(1)내는 계속하여 제습되어, 점차로 저습도화 된다.
이어서, 약 3시간후에는(도 7c), 제 1 제습 유닛(100)만을 약 1시간의 재생사이클에 들어가게 하고, 발열체(103)와 형상 기억 합금 코일(160)에 통전하며, 건조재(102)를 가열하여, 그 수분을 챔버(1) 밖으로 방출한다.
더욱이, 약 1시간 경과후에는(도 7d), 재생 처리를 중단시키고, 제습 사이클에 들어가게 하며, 약 2시간에 걸쳐서 팬(108)을 시동시켜 챔버(1)내를 제습시킨다(도 7e).
그 동안, 제 2 제습 유닛(200)에 대해서는, 챔버(1)내의 습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서, 약 3시간에 걸쳐서 제습 사이클을 계속시키고 있기 때문에 챔버(1)내는, 제 1 제습 유닛(100)이 재생 사이클중이라고 하더라도 계속 제습될 수 있다.
이어서, 제 1 제습 유닛(100)에 대해서는, 팬(108)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계속하여 제습 사이클을 실행하지만, 제 2 제습 유닛(200)에 대해서는, 재생 사이클이 종료하고 나서 약 8시간을 경과하여, 건조재(202)의 흡습 능력은 상당 정도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 사이클에 들어와 약 1시간에 걸쳐 발열체(203)를 발열시켜 건조재(202)를 재생 처리시키며(도 7f), 그 후는 팬(208)을 시동시켜 약 2시간에 걸쳐서 제습 사이클에 들어가고, 더욱이 팬(208)을 정지시켜서 제습 사이클을 계속시키게 된다.
그런데, 도 7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챔버(1)내의 습도가 설정치인 30% 이하로 되고, 그 저하율이 -2.5%에 도달하면, 미리 연속적으로 타이머(1400)가 모두 클리어되며, 제 1, 제 2 제습 유닛(100, 200)의 개폐 셔터(141, 142, 241, 242)가 조작되어 챔버 내측 개구(112, 122, 212, 222)를 닫는다.
이로써, 챔버(1)내의 제습 처리는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챔버(1)내는, 수납물(GA)로부터의 방출 수분이나 문 (11 내지 14)의 미세한 빈틈으로부터 침입되는 습기에 의해서 습도가 상승된다.
그 후, 챔버(1)내의 습도가 설정치에 대하여 +2.5%에 도달할 때까지 자연스럽게 상승되면(도 7h), 타이머(400)의 연속적인 지시에 의해서, 제 1 제습 유닛(100)만이 재생 사이클에 들어가지만, 제 2 제습 유닛(200)에 대해서는, 개폐 셔터(241, 242)가 조작되어 챔버 내측 개구(212, 222)를 열고, 제습 사이클을 재개하기 위해서 챔버(1)내의 습도는 얼마쯤 상승된 후, 하강된다.
따라서, 이후는 제 1, 제 2 제습 유닛(100, 200)이 약 3시간의 타임래그에 의해서 재생 사이클과 제습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챔버(1)내의 습도는 설정치를 중심으로 한 ±2.5%+α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승강되고, 챔버(1)내의 습도는 27 내지 33%의 완만한 맥동을 가지고 안정하게 중심치 30%를 보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챔버(1)내의 습도는, 수납물(GA)의 출납을 위해서 문(11 내지 14)을 개폐할 때마다, 조금이지만 변동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도 7i, 7j).
이 점은, 이 장치(1000)에 있어서는, 문(11 내지 14)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800)를 타이머(400)에 연계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그때마다 제습 유닛(100)의 팬(108)이 일시적으로 작동되어, 제습 사이클과 함께 작용하여 챔버(1)내를 제습 처리시켜 챔버(1)내의 습도의 상승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챔버(1)내의 습도 변화는, 표시수단(600)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습 유닛을 3개 이상 병설하고, 각각 타임래그를 설치하여 순차 재생, 제습 사이클을 실행하도록 하면, 상기한 습도 변화의 맥동은 한층 더 평탄화 되고, 설정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2대의 제습 유닛(100, 200)을 시차를 붙여 작동하도록 병용하면 도 8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습도 30% 전후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검증되어 있다.
또한, 챔버(1)내의 습도가 예를 들면 60% 이상과 같이 매우 높아진 경우에, 그대로 방치해 두면 수납물(GA)이 손상될 우려도 있지만, 이 장치(1000)에 있어서는, 상기의 설정 습도 외에 경보 습도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써 경보 포인트 이상의 습도가 되었을 때에 상기의 경보 수단(950)에 의해, 이것을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제습 유닛(100a)이, 상기한 실시예 1과 상이한 특징적인 점은, 건조실(101a) 내에 허니콤 형상의 미세 구멍군을 뚫은 건조재(105a)를 배치한 점이다.
즉,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요철형상으로 형성한 콜게이트판(pe)을 평판형의 같은 라이너(pf)에 연결 부착하여 허니콤 구멍(hh)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실리카 등의 건조재를 도착시켜 이루어지는 건조재(105a)를 형성하며, 이 건조재(105a)를 제습 유닛(100a)에 장착하고, 가열 재생 처리시키는 발열체(103a)를 형상 기억 합금 코일(160a)에 인접하도록 하여 건조재(105a)의 하방 위치에 배치한 것이다.
더욱이,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공통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부호에만 (a)를 붙여서 표시하는 것에 그쳤다.
이 제습 유닛(100a)의 사용 시에 있어서는, 흡습 능력을 구비한 허니콤 구멍(hh)을 통과하는 공기를 고능률형으로 제습 처리할 수 있는 것이고, 팬(108a)에 의한 공기의 강제 순환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단시간에 대량의 흡습, 배습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발열체(103a)에 의해 건조재(105a)를 재생 처리함에 있어서도, 허니콤 구멍(hh)의 총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120℃ 내지 130℃까지 가열할 필요는 없고, 90℃ 내지 100℃ 정도의 가열처리로 충분히 배습, 재생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 실증되어 있다.
(실시예 3)
도 12에 도시하는 제습 유닛(100X)이 상기한 실시예 1과 상이한 점은, 상·하 셔터(141X, 142X)에 연동하는 상·하 요동자(181X, 182X)간에 형상 기억 합금 코일(160X)과 반발 코일 스프링(170X)을 끼울 때에, 반발 코일 스프링(170X)의 대향하는 끝을 건조실(101X)에 걸어 장착한 점이며, 그 밖의 구성 및 기능은 실시예 1과 공통되어 있다.
(실시예 4)
도 13에 도시하는 제습 유닛(100Y)의 특징적인 구성은, 챔버 내의 셔터(141Y)와 챔버 외측 셔터(141Z)를 독립적으로 기복 가능하게 설치하고, 각각 통전 가능한 형상 기억 합금 코일(161Y, 161Z)에 의해 개폐 구동 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챔버 내의 습도를 미리 설정하여, 챔버 내의 셔터(141Y)의 개방에 의해 순차 챔버 내의 습도를 저하시키고, 설정 습도에 도달하면 챔버 내의 셔터(141Y)를 닫고, 챔버 외측 셔터(141Z)도 닫힌 상태로서 챔버 내의 흡습 작용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챔버(1)내의 습도가 서서히 상승하지만, 이 때, 타이머(400Y)에 의해 다시 챔버 내측 셔터(141Y)를 열도록, 형상 기억 합금 코일(160Y)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에 의해 챔버(1)내는 다시 저습도로 된다.
(실시예 5)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장치(1000b)의 특징으로 하는 점은, 챔버(1b)내가 건조제의 재생 처리 시에 부주의하게 가습될 우려를 해소한 점이다.
즉, 제습 유닛(100b)내에 셔터(141b)의 개폐 동작을 검지하는 개폐 검지 스위치(190b)를 배치하는 동시에, 발열체(103b)에 접속시키고, 그 개폐자(191b)를 상측 요동자(181b)에 결합시킨 것이다.
따라서, 도 14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141b)가 챔버 내측 개구(112b)를 개방하고 있을 때는, 개폐 검지 스위치(190b)는 OFF되어 있어 발열체(103b)는 중지하고 있으며, 셔터(141b)가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어 도 15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챔버 내측 개구(112b)를 닫고, 챔버 외측 개구(113b)를 개방하였을 때에만 개폐자(191b)가 변위하여 개폐 검지 스위치(190b)를 ON 시키고, 발열체(103b)를 ON 시키며, 건조제(105b)에 흡습된 수분을 챔버 외측으로 증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장치(1000b)에 있어서는, 건조제(105b)로부터 방출된 수분이 챔버(1b) 내에 유입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실시예 6)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이 장치(1000')는, 질소 가스 분사 수단(900')을 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질소 봄베(bombe) 등의 질소 가스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된 질소 가스(NN)를 도어 스위치(800')에 의해 전자 밸브를 동작시키고, 노즐(901')로부터 챔버(1')내에 설정량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문의 개폐 시에 챔버(1')내의 습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질소 가스(NN)는 문의 개폐 시에 일시적으로 챔버(1')내에 공급되는 것으로서, 항상 질소 가스를 봉입시키는 형식의 장치와 비교하여 운전자금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서 초래되는 현저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챔버 내의 습도를 1%의 초저습을 급속하고 또한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② 챔버 내를 설정 습도, 예를 들면 10%, 25% 등에 대하여, 지나치게 제습 할 우려가 없다.
③ 건조제 가열 재생시의 챔버 내의 습도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④ 팬에 의해 챔버 내를 급속 또한 균질형으로 제습할 수 있고, 또한 팬을종래의 3배(10년) 이상 장기로 사용할 수 있어, 실용적이다.
⑤ 챔버 내의 습도 상승을 알릴 수 있어, 보관품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⑥ 도어의 개폐에 의한 챔버 내의 습도 상승을 급속하게 원래의 저습도로 되돌릴 수 있다.
⑦ 건조제의 재생 시에,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챔버 내에 유입하는 것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 시간 제어 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건조제를 재생 처리하여, 챔버 내를 제습 처리하는 제습 유닛을 구비한 자동 저습 보관 장치에 있어서,습도 센서를 구비하고, 해당 습도 센서에 의해 상기 챔버 내의 습도가 미리 설정한 습도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였을 때 상기 제습 유닛과 상기 챔버 사이의 통풍을 차단하여 자동적으로 챔버 내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동 저습 보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유닛과 상기 챔버 사이의 통풍은, 상기 제습 유닛의 챔버 내측 셔터를 자동적으로 폐지하여 실행하도록 구성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 시간 제어 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건조제를 재생 처리하여, 챔버 내를 제습 처리하는 제습 유닛을 구비한 자동 저습 보관 장치에 있어서,습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습 유닛을 챔버에 복수개 병설하며, 각 제습 유닛이 서로 시간차를 설정하여 소정 사이클로 건조제의 가열 재생 및 챔버의 제습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습도 센서에 의해서 작동되는 경보 수단을 배치하고, 챔버 내의 습도가 설정 습도에 도달하면 상기 경보 수단이 기동되도록 구성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유닛 내의 건조재는, 흡습·배출의 효과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 박형(薄型) 형상으로 구성하고, 1매 또는 복수매를 병렬로 배치하며, 팬에 의해 양호한 밸런스로 통풍되도록 구성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유닛에 있어서의 건조재는 미세한 허니콤(honeycomb) 구멍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저습 보관 장치.
-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유닛의 가열 재생 시간에 대응하여 간헐적으로 구동 가능한 팬을 배치하고, 건조제에 의해서 제습된 공기를 챔버 내에서 강제 순환 가능하게 하는 자동 저습 보관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도어 스위치를 배치하고, 문의 개폐를 감지한 해당 도어 스위치에 의해, 팬을 시동시키며, 문 개폐 동작에 의해 상승한 챔버 내의 습도를 급속하게 저하시키도록 구성하고, 일정 시간(통상 약 20-30 분) 동안 운전한 후, 팬 모터로의 통전은 정지하는 타이머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도어 스위치를 배치하고, 문의 개폐를 감지한 해당 도어 스위치에 의해, 챔버 내에 자동적으로 설정량의 질소 가스를 주입 가능하게 구성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유닛은 적어도 건조제와, 이 건조제를 가열하여 재생 처리하는 발열체와, 챔버 내측 개구 및 챔버 외측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로 상기 챔버 내측 개구를 개방하며, 상기 챔버 외측 개구를 닫았을 때, 상기 챔버의 공기를 상기 건조제에 의해서 제습 처리하는 동시에, 해당 셔터로 상기 챔버 내측 개구를 닫고, 상기 챔버 외측 개구를 열었을 때, 상기 건조제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챔버 외측으로 배출시키며, 챔버 내측과 함께 챔버 외측 셔터도 동시에 닫도록 구성되는 자동 저습 보관 장치.
- 시간 제어 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건조제를 재생 처리하여, 챔버 내를 제습 처리하는 제습 유닛을 구비한 자동 저습 보관 장치에 있어서,챔버 내외측의 각 개구를 개폐 조작하는 셔터 및 해당 셔터의 개폐 동작을 검지하는 개폐 검지 스위치를 설치하고, 챔버 내측 셔터가 닫혔을 때만, 상기 개폐 검지 스위치가 ON으로 되어 발열체에 통전시키도록 구성된 자동 저습 보관 장치.
- 시간 제어 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건조제를 재생 처리하여, 문에 의해서 밀폐 가능한 챔버 내를 제습 처리하는 복수의 제습 유닛을 구비한 자동 저습 보관 방법에 있어서,간헐적으로 제습 사이클과 재생 사이클을 교대로 실행하는 상기 제습 유닛을 초기 운전 개시시에는 동일한 사이클(재생·제습)을 동시에 진행시키고, 이후는 서로 시간차를 설정하여 제습 또는 재생 사이클을 실행시키는 자동 저습 보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0919A KR20020007567A (ko) | 2000-07-18 | 2000-07-18 | 자동 저습 보관 장치와 그 보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0919A KR20020007567A (ko) | 2000-07-18 | 2000-07-18 | 자동 저습 보관 장치와 그 보관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7567A true KR20020007567A (ko) | 2002-01-29 |
Family
ID=3746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0919A KR20020007567A (ko) | 2000-07-18 | 2000-07-18 | 자동 저습 보관 장치와 그 보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0756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8908B1 (ko) * | 2014-03-31 | 2015-04-08 | (주)지비아이 | 안정적인 습도유지를 위한 오토 데시케이터의 운전방법 |
CN110261579A (zh) * | 2019-07-02 | 2019-09-20 | 中交第二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自动控制岩土干湿循环试验方法及装置 |
-
2000
- 2000-07-18 KR KR1020000040919A patent/KR2002000756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8908B1 (ko) * | 2014-03-31 | 2015-04-08 | (주)지비아이 | 안정적인 습도유지를 위한 오토 데시케이터의 운전방법 |
CN110261579A (zh) * | 2019-07-02 | 2019-09-20 | 中交第二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自动控制岩土干湿循环试验方法及装置 |
CN110261579B (zh) * | 2019-07-02 | 2024-02-09 | 中交第二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自动控制岩土干湿循环试验方法及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2696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a moist absorption medium | |
JP2002106889A (ja) | 自動低湿保管装置とその保管方法 | |
JP2002195722A (ja) | 自動低湿保管庫 | |
JP3937674B2 (ja) | 乾燥装置 | |
KR20020007567A (ko) | 자동 저습 보관 장치와 그 보관 방법 | |
KR101486029B1 (ko) | 고정구 건조 장치 및 방법 | |
KR101508908B1 (ko) | 안정적인 습도유지를 위한 오토 데시케이터의 운전방법 | |
JP2014210241A (ja) | 低湿庫用乾燥装置 | |
JP2001204561A (ja) | 自動低湿保管装置とその保管方法 | |
JPH04184079A (ja) | 乾燥装置 | |
JP2001017820A (ja) | 自動乾燥装置とその制御方法 | |
CN113932265B (zh) | 除湿装置、储物柜及集成灶 | |
JP2009068807A (ja) | 自動湿度調節保管庫 | |
KR100641294B1 (ko) | 흡착식 제습캐비넷의 수분토출구 제어장치 | |
JPH0618573Y2 (ja) | 定湿収納庫 | |
JP2551255Y2 (ja) | 低湿キャビネット | |
CN216047942U (zh) | 除湿装置、储物柜及集成灶 | |
JPH0533913Y2 (ko) | ||
RU2750284C1 (ru) | Осушитель для шкафов сухого хранения | |
JP4380186B2 (ja) | 吸着除湿装置 | |
JP7123422B2 (ja) | 防湿庫 | |
KR20200140435A (ko) | 열전모듈을 이용한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 | |
JPH07877Y2 (ja) | 乾燥器 | |
JPH07269895A (ja) | 除湿保管装置 | |
KR20130076585A (ko) | 제습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