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959A - 액유지부를 통해서 액체 플럭스가 공급되는 플럭스공급장치 및 액체 플럭스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액유지부를 통해서 액체 플럭스가 공급되는 플럭스공급장치 및 액체 플럭스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959A
KR20020005959A KR1020010034931A KR20010034931A KR20020005959A KR 20020005959 A KR20020005959 A KR 20020005959A KR 1020010034931 A KR1020010034931 A KR 1020010034931A KR 20010034931 A KR20010034931 A KR 20010034931A KR 20020005959 A KR20020005959 A KR 20020005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liquid
storage tank
valv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439B1 (ko
Inventor
이시다가즈타카
Original Assignee
오카무라 쥬이치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신 고교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무라 쥬이치,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신 고교 겐큐쇼 filed Critical 오카무라 쥬이치
Publication of KR2002000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23K3/082Flux dispensers; Apparatus for applying flu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플럭스 공급장치에는, 보충용의 액체 플럭스(15)가 충전되어 있는 액보충부(49)의 하부에 제 1 전자밸브(33)를 통해서 액유지부(50)가 부착되고, 액유지부(50)의 하부에는 제 2 전자밸브(34)를 통해서 액공급부(51)가 부착되어 있다. 액공급부(51)의 하부는 혼합가스를 발생하는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 투입되어 있다. 또,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는 가연성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흡입관(18)이 투입되어 있다. 제 1 전자밸브(33) 및 제 2 전자밸브(34)는 번갈아 그 개폐상태를 반복하도록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어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럭스 저류탱크(11)내의 압력변동은 액보충부(49)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 레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Description

액유지부를 통해서 액체 플럭스가 공급되는 플럭스 공급장치 및 액체 플럭스 공급방법{FLUX SUPPLYING APPARATUS IN WHICH LIQUID FLUX IS SUPPLYING THROUGH LIQUID SUPPORT AND LIQUID FLUX SUPPLYING METHOD}
본 발명은 플럭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솔더링(납땜)장치에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액체 플럭스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솔더링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플럭스 저류탱크(11)는 투시창(13)을 가지는 보틀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내부에 약 1.5리터의 액체 플럭스(15)가 보유되어 있다. 액체 플럭스(15)의 액면(S1)보다 하방에 그 하단이 위치하는 가스흡입관(18)이, 플럭스 저류탱크(11)의 덮개(14)에 부착되어 있다. 가스흡입관(18)에는 프로판이나 아세틸렌 등의 가연성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가연성 가스봄베(67)로부터 수동밸브(70)를 통해서 가스배관(19)이 접속되어 있다.
가스 플럭스의 사용에 의해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것을 보충하기 위한 액체 플럭스의 보충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이 액체 플럭스의 보충장치는, 보급탱크(25)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액체 플럭스 보충장치는, 그 내부에 액체 플럭스(15)가 보유되는 보급탱크(25)와, 보급탱크(25)의 개구부(26)에 접속되는 제 1 배관(41)과, 제 1 배관(41)의 하부에 접속되는 제 1 수동밸브(31)와, 제 1 수동밸브(31)의 하부에 접속되는 제 2 배관(42)과, 제 2 배관(42)을 탈착자유롭게 하기 위한 캠록 이음매(32)와, 캠록 이음매(32)의하부에 접속되는 제 3 배관(65)과, 제 3 배관(65)의 하부에 접속되는 제 2 수동밸브(35)와, 제 2 수동밸브(35)의 하부에 접속되고 덮개(14)를 통해서 플럭스 저류탱크(11)내부에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 공급관(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수동밸브(31) 및 제 2 수동밸브(35)를 모두 개방상태로 조작하면, 보급탱크(25)에 보유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15)는 제 1 배관(41), 제 2 배관(42), 제 3 배관(65) 및 액체 플럭스 공급관(17)을 통해서 플럭스 저류탱크(11)에 공급된다. 따라서, 플럭스 저류탱크(11)에 저류되는 액체 플럭스(15)의 액면(S1)은, 액체 플럭스 공급관(17)의 하단위치에 의해 규정된다.
한편, 플럭스 저류탱크(11)의 덮개(14)에는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서 발생한 혼합가스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구(21)가 부착되어 있고, 또한, 송출구(21)에 접속되는 혼합가스 배관(20)이 수동밸브(72)를 통해서 자동 솔더링장치(7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자동 솔더링장치(76)에는, 더욱이 산소 등의 지연성(支燃性) 가스가 충전되는 지연성 가스봄베(68)로부터 수동밸브(73)를 통해서 지연성 가스배관(74)이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이 플럭스 공급장치의 사용상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 솔더링장치(76)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플럭스 저류탱크(11)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15)의 기화(가스화)에 의한 가스 플럭스와 가연성가스봄베(67)에 충전되어 있는 가연성 가스와의 혼합가스를, 혼합가스 배관(20)으로부터 자동 솔더링장치(76)로 공급하기 위하여 수동밸브(70) 및 수동밸브(72)가 개방상태로 된다. 한편 지연성 가스봄베(68)에 충전되어 있는 지연성 가스를 지연성 가스배관(74)으로부터 자동 솔더링장치(76)로 공급하기 위해서 수동밸브(73)가 개방 상태로 된다. 가연성 가스봄베(67)로부터 공급된 가연성 가스는, 가스 흡입관(18)의 하단부로부터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 저류된 액체 플럭스(15)내로 방출된다. 이 방출에 의해 액체 플럭스(15)의 일부가 기화하여 가스 플럭스가 발생하고, 가스 흡입관(18)에서 공급된 가연성 가스와 함께 혼합가스를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 발생시킨다.
이 혼합가스는 송출구(21)를 통해서 플럭스 저류탱크(11)로부터 송출되고, 혼합가스 배관(20)을 통해서 자동 솔더링장치(76)로 공급된다. 자동 솔더링장치(76)가 사용되면,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15)는 기화되기 때문에 서서히 줄어든다. 따라서, 액체 플럭스(15)의 감소분량을 보급해야 하고, 액체 플럭스의 보충장치의 제 1 수동밸브(31) 및 제 2 수동밸브(35)가 개방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플럭스 저류탱크(11)내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S1)이, 그 감소에 의해 하강하면, 즉시 보급탱크(25)에 보유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15)가 액체 플럭스 공급관(17)을 통해서 플럭스 저류탱크(11)내로 공급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액체 플럭스 보충장치내에 액체 플럭스(15)가 보유되어 있는 한, 플럭스저류탱크(11)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15)의 액면(S1)은 항상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고, 혼합가스를 자동 솔더링장치(76)에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액체 플럭스의 보충장치에 보유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15)가 감소되어 오면, 보급탱크(25)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 교체시에는, 먼저 제 1 수동밸브(31) 및 제 2 수동밸브(35)를 모두 폐쇄상태로 한다. 다음에 캠록 이음매(32)를 조작하여, 제 2 배관(42)에서 위의 부분을 캠록 이음매(32)로부터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수동밸브(31)가 폐쇄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배관(41) 등에 액체 플럭스가 잔존하고 있어도 외부로 누출할 염려는 없다.
그리고 보급탱크(25)의 개구부(26)와 제 1 배관(41)을 분리한 후, 액체 플럭스(15)가 충전된 새로운 보급탱크(25)를 제 1 배관(41)에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캠록 이음매(32)를 조작함으로써 제 2 배관(42)을 캠록 이음매(32)에 접속한 후, 제 1 수동밸브(31) 및 제 2 수동밸브(35)를 모두 개방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새로운 보급탱크(25)의 액체 플럭스(15)가 액체 플럭스 공급관(17)을 통해서 플럭스 저류탱크(11)에 공급되고, 항상 플럭스 저류탱크(11)에서 연속적으로 혼합가스를 자동 솔더링장치(76)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럭스 공급장치에서는, 통상시의 자동 솔더링장치(76)의 사용에 있어서는 특별히 문제가 없다. 그러나, 자동 솔더링장치(76)에 의한 솔더링 작업의 그 날의 종료에 따른 정지나 다음날의 자동 솔더링장치(76)의 사용개시시점 등에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면, 그 날의 솔더링작업이 종료하면, 자동 솔더링장치(76)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수동밸브(70), 수동밸브(72) 및 수동밸브(73)를 폐쇄상태로 하게 된다. 다음날이 되어 자동 솔더링장치(76)를 사용하려고 수동밸브(70), 수동밸브(72) 및 수동밸브(73)를 개방상태로 하는데, 이 때 플럭스 저류탱크(11)내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S1)이 크게 변동할 염려가 있다.
여기서 먼저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 저류되는 액체 플럭스(15)와 보급탱크(25)에 충전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15)의 압력평형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럭스 저류탱크(11)내의 액체 플럭스(15)상의 공간의 압력을 P1(통상시는 1㎏/㎠ 이내)로 하고, 보급탱크(25)내의 액체 플럭스(15) 상의 공간의 압력을 P2로 하고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레벨(S1)과 보급탱크(25)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레벨(S2)의 수직거리를 H로 하고, 액체 플럭스(15)의 밀도를 ρ로 하고, 중력가속도를 g로 하면,
P1= Hρg + P2
로 된다. 그래서 이 식에 기초로 해서 상술한 작업개시상태에 대하여 검토한다. 먼저, 작업개시에 있어서 수동밸브(70)를 개방상태로 하면, 플럭스 저류탱크(11)내의 압력(P1)은 가스흡입관(18)을 통한 가연성가스의 방출에 의해 상승한다. 이 경우, 상술한 식에서 수직거리(H)가 크게 되지 않을 수 없고, 결과적으로 플럭스 저류탱크(11)내의 액체 플럭스(15)는, 보급탱크(25)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레벨(S2)을 상승시키도록 액체 플럭스 공급관(17)내를 상승하려고 한다. 액체 플럭스 공급관(17)내에는 통상 보급탱크(25)로부터 공급된 새로운 액체 플럭스(15)가 충전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 있어서는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 저류되어 있는 오래된 액체 플럭스(15)가 그것에 혼합되게 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수동밸브(72)를 개방상태로 한 경우를 검토한다. 수동밸브(72)를 개방상태로 하면,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서 발생한 혼합가스가 급격히 혼합가스 배관(20)을 통해서 자동 솔더링장치(76)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플럭스 저류탱크(11)내의 압력(P1)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면 상술한 식에서 거리(H)가 감소하려고 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보급탱크(25)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S2)이 하강하도록 작용하고, 결과적으로 액체 플럭스 공급관(17)을 통해서 액체 플럭스(15)의 일부가 플럭스 저류탱크(11)내로 압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S1)은 상승하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보급탱크(25)내의 압력(P2)이 부압으로 되어 보급탱크(25)가 오목하게 되고 마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플럭스 저류탱크(11)내의 액면(S1)이 변동하면, 가연성 가스가 방출되는 가스 흡입관(18)의 하단과 액면(S1)의 거리가 변동하게 되어 가연성 가스의 방출량이 변동하므로, 안정된 농도의 혼합가스를 자동 솔더링장치(76)에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 보급탱크(25)는 외부에 대하여 폐쇄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보유하는 액체 플럭스(15)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그 공간의 압력(P2)이 부압으로 된다. 이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보급탱크(25)의 동체가 오목해져서 압력(P2)이 변동하면, 상술한 식에서 거리(H)가 변화한다. 그 결과, 플럭스 저류탱크(11)내의 액면(S1)이 변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액면의 변동은 작업의 정지 및 개시뿐만 아니라, 자동 솔더링장치(76)의 작업시에 있어서 혼합가스의 사용유량의 변동이나 분위기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서도 플럭스 저류탱크(11)내의 압력(P1)의 변동을 생기게 하고, 결과적으로 그 액면(S1)의 변동을 가져오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플럭스 공급장치에 있어서는 안정된 압력 및 농도의 혼합가스를 항상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고, 솔더링장치의 솔더링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럭스 저류탱크내의 압력변동이 있어도 안정된 액체 플럭스를 플럭스 저류탱크내에 공급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럭스 저류탱크내의 액면의 변동을 적게 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및 액체 플럭스 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럭스 공급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전자밸브 및 제 2 전자밸브의 개폐타이밍을 도시한 타임차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회동밸브(52)의 개략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에 이용되는 회동밸브의 개략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에 이용되는 회동밸브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종래의 플럭스 공급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의 국면에서의 플럭스 공급장치는, 솔더링장치에 가스 플럭스와 가연성 가스의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플럭스 공급장치로서, 액체 플럭스를 저류하기 위한 플럭스 저류탱크와,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된 액체 플럭스에 가연성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가스 흡입관과, 플럭스 저류탱크에 액체 플럭스를 공급하기 위한 관으로서, 그 하방 단부가 가스 흡입관의 하방 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액체 플럭스 공급관과, 액체 플럭스 공급관의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를 보유할 수 있는 액보충부와, 액보충부의 하부에 접속되는 제 1 자동개폐밸브와, 액체 플럭스 공급관의 상부에 접속되는 제 2 자동개폐밸브와, 제 1 자동개폐밸브의 하부와 제 2 자동개폐밸브의 상부 사이에 접속되고, 액체 플럭스를 유지할 수 있는 액유지부와, 제 1 자동 개폐밸브의 개폐와 제 2 자동 개폐밸브의 개폐를 자동적으로 번갈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항상 액유지부의 양단의 적어도 한쪽이 제 1 자동 개폐밸브 또는 제 2 자동 개폐밸브에 의해 폐쇄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국면에서의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1의 국면에서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소정시간내에, 제 1 자동 개폐밸브와 제 2 자동 개폐밸브의 개폐에 의해 액유지부로부터 상기 액체 플럭스 공급관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액체 플럭스의 양이, 플럭스 저류탱크로부터 혼합가스의 공급에 의해 소비되는 액체 플럭스의 양보다 크게 되도록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액체 플럭스 공급관내에 액체 플럭스가 항상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국면에서의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2의 국면에서의 발명의구성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 1 자동 개폐밸브와 제 2 자동 개폐밸브의 개폐 타이밍을 원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플럭스 공급장치로부터 공급하는 혼합가스의 사용량의 변동에 따라서 플럭스 저류탱크에 공급해야 할 액체 플럭스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국면에서의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1의 국면 내지 제 3의 국면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자동 개폐밸브 또는 제 2 자동 개폐밸브의 폐쇄상태로부터 제 2 자동 개폐밸브 또는 제 1 자동 개폐밸브의 개방상태로 변화하는 동안까지에 소정시간 경과하도록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액유지부의 양단이 소정시간 완전히 폐쇄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제 5의 국면에서의 플럭스 공급장치는, 솔더링장치에 가스 플럭스와 가연성 가스의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플럭스 공급장치로서, 액체 플럭스를 저류시키기 위한 플럭스 저류탱크와,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된 액체 플럭스에 대하여 가연성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가스 흡입관과, 플럭스 저류탱크에 액체 플럭스를 공급하기 위한 관으로서, 그 하방 단부가 가스 흡입관의 하방 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액체 플럭스 공급관과, 액체 플럭스 공급관의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를 보유할 수 있는 액보충부와, 액체 플럭스 공급관의 상부와 액보충부의 하부 사이에 접속되는 회동(回動)밸브와, 회동밸브를 회동시켜, 회동밸브의 밸브체에 형성된 삽입관통구멍을 액체 플럭스 공급관과 액보충부에 번갈아 연통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액보충부와 액체 플럭스 공급관이 직접적으로 연통상태로 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제 6의 국면에서의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5의 국면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소정시간내에서, 회동밸브의 회동에 의해 상기 삽입관통구멍에서 액체 플럭스 공급관에 공급할 수 있는 액체 플럭스의 양이, 플럭스 저류탱크로부터의 혼합가스의 공급에 의해 소비되는 액체 플럭스의 양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액체 플럭스 공급관내에 액체 플럭스가 항상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 7의 국면에서의 플럭스 공급방법은, 솔더링장치에 가스 플럭스와 가연성 가스의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플럭스 공급장치의 액체 플럭스 공급방법으로서, 액체 플럭스를 저류하는 저류탱크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는 액보충부에 보유된 액체 플럭스를, 양단이 자동적으로 번갈아 개폐상태로 되는 액유지부를 통해서 저류탱크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저류탱크의 압력변동이 액보충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액유지부의 양단의 적어도 한쪽이 항상 폐쇄되므로, 플럭스 저류탱크내에 압력변동이 생겨도 액보충부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고, 안정된 액체 플럭스의 플럭스 저류탱크로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의 액면의 변동이 적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1의 국면에 의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액체 플럭스 공급관내에 액체 플럭스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혼합가스의 사용량의 변동이 생겨도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의 액면은 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혼합가스를 항상 안정된 상태로 솔더링장치에 공급할 수 있고,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3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2의 국면에 의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플럭스 저류탱크로의 액체 플럭스의 공급량이 소비되는 혼합가스의 양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4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1의 국면 내지 제 3의 국면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액유지부의 양단이 소정시간 완전히 폐쇄상태로 되기 때문에, 탱크내의 압력변동에 의한 액보충부로의 영향이 완전히 차단되므로, 보다 신뢰성이 높은 장치로 된다.
본 발명의 제 5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액보충부와 액체 플럭스 공급관이 직접적으로 연통상태로는 되지 않으므로, 플럭스 저류탱크내나 액보충부내에 압력변동이 생겨도 안정된 액체 플럭스의 플럭스 저류탱크로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의 액면의 변동이 적게 된다.
본 발명의 제 6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5의 국면에 의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액체 플럭스 공급관내에 액체 플럭스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혼합가스의 사용량의 변동이 생겨도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의 액면은 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혼합가스를 항상 안정된 상태로 솔더링장치에 공급할 수 있고,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7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방법은, 저류탱크의 압력변동이 액보충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안정된 액체 플럭스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액면의 변동은 적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플럭스 저류탱크(11)는 보틀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동체부(12)에는 내부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15)의 액면위치 등을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13)이 부착되어 있다. 동체부(12)의 상방의 개구에는 덮개(14)가 부착되고 바깥쪽에서 플럭스 저류탱크(11)내부를 차단하고 있다.
덮개(14)의 중앙부에는 가스 흡입관(18)이 부착되어 있고, 가스 흡입관(18)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연성 가스봄베로부터의 가연성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배관(19)이 접속되어 있다. 또, 덮개(14)의 다른 부분에는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서 발생한 혼합가스를 도시하지 않은 자동 솔더링장치 등에 공급하기 위한 송출구(21)가 부착되고, 송출구(21)에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혼합가스 배관(20)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플럭스 공급장치의 주변장치 등은, 종래예로서 도 8에 도시한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더욱이, 덮개(14)의 다른쪽 부분에는 플럭스 저류탱크(11)에 액체 플럭스를 공급하기 위한 관으로서, 그 하방단부가 가스 흡입관(18)의 하방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액체 플럭스 공급관(17)이 부착되어 있다. 액체 플럭스 공급관(17)의 상방부에는, 보급용의 액체 플럭스(15)가 충전되어 있는 보급탱크(25)가 뒤집혀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보급탱크(25)의 하방부의 개구부(26)에는 제 1 배관(41)을 통해서 제 1 수동밸브(31)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수동밸브(31)의 하부에는 제 2 배관(42)이 접속되어있고, 제 2 배관(42)은 그 조작에 의해 탈착자유롭게 되어 있는 캠록 이음매(32)에 접속되어있다. 캠록 이음매(32)의 하부에는 제 3 배관(43)을 통해서 제 1 전자밸브(33)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전자밸브(33)의 하부에는 제 4 배관(44)을 통해서 제 2 전자밸브(34)가 접속되어 있다. 제 2 전자밸브(34)의 하부에는 제 5 배관(45)을 통해서 제 2 수동밸브(35)가 접속되어 있고, 제 2 수동밸브(35)는 상술한 액체 플럭스 공급관(17)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수동밸브(31) 및 제 2 수동밸브(35)는 수동에 의해 개폐자유롭게 되어 있다. 한편, 제 1 전자밸브(33) 및 제 2 전자밸브(34)는 일반적으로 볼밸브가 채용되어 있고, 그 개폐동작은 제어부(28)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어되어 있는데, 이 개폐타이밍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제 1 전자밸브(33) 및 제 2 전자밸브(34) 대신에 공기작동밸브에 의한 자동 개폐기구를 채용해도 좋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의 동작원리에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즉, 액보충부(49)는, 도 1의 보급탱크(25), 개구부(26), 제 1 배관(41), 제 1 수동밸브(31) 및 제 2 배관(42)을 포괄하여 나타낸 것이다. 또한, 액유지부(50)는, 도 1에 있어서 제 4 배관(44)에 상당하는 것이고, 액공급부(51)는, 도 1의 제 5 배관(45), 제 2 수동밸브(35) 및 액체 플럭스 공급관(17)을 포괄하여 표시한 것이다. 이후, 액보충부(49), 액유지부(50) 및 액공급부(51)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각각 제 1의 공간(55), 제 2의 공간(56) 및 제 3의 공간(57)이라 한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제 1 전자밸브(33) 및 제 2 전자밸브(34)의 개폐타이밍을 도시한 타임차트도 이다.
도 2의 (1)은 제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이 상태에서는 제 1 전자밸브(33) 및 제 2 전자밸브(34)가 모두 폐쇄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가스 흡입관(18)을 통해서 가연성 가스가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로 방출되고,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서 발생한 액체 플럭스(15)로부터 기화한 가스 플럭스와 공급된 가연성 가스의 혼합가스가 송출구(21)를 통해서 솔더링장치 등에 공급되어 있다.
이 경우,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는 그 기화에 의해 그 액면이 내려가려 하는데, 액공급부(51)내에는 액체 플럭스(15)가 유지되어 있어, 이것이 공급된다. 그 때문에, 액공급부(51)내부에는, 하단으로부터 가스 플럭스가 침입함으로써 생기는 기포가 발생하여 제 3 공간(57)이 서서히 확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은, 일정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는 도 3에서 말하면 ①의 상태이다.
다음에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도 2의 (2)의 상태로 이행한다. 즉, 제 2 전자밸브(34)는 폐쇄상태를 유지한 채로 제 1 전자밸브(33) 만이 개방상태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도 2의 (1)에 도시된 액유지부(50)의 상부에 생긴 제 2 공간(56)은, 기포(61)로 되어 액보충부(49)내의 액체 플럭스(15)내를 상승한다. 그리고 액보충부(49)의 제 1 공간(55)에 기포(61)가 흡수되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액공급부(51)내에 있어서는, 도 2의 (1)과 동일하게 플럭스 저류탱크(11)내의 액체 플럭스(15)의 소비에 따라 기포(59)가 발생하고, 제 3 공간(57)이 서서히 확대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상태에 있어서도,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레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는 도 3에서 말하면 ②의 상태이다.
더욱이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도 2의 (3)의 상태로 이행한다. 즉, 이 상태에 있어서도 제 2 전자밸브(34)는 폐쇄상태를 유지한 그대로인데, 제 1 전자밸브(33)는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변화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 2의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유지부(50)내에는 제 2 공간(56)이 생기지 않고, 모두 액체 플럭스(15)가 충전된 상태로 되어 있다. 플럭스 저류탱크(11) 내부에서는 액공급부(51)내에 액체 플럭스(15)가 잔존하는 상태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공간(57)은 확대되었지만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레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는 도 3에서 말하면 ③의 상태이다.
더욱이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도 2의 (4)의 상태로 이행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전자밸브(33)는 폐쇄상태를 유지한 그대로인데, 제 2 전자밸브(34)는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변화한다. 그러면 액유지부(50)와 액공급부(51)는 통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 2의 (3)에 도시한 액공급부(51)의 상부에서 제 3 공간(57)은, 기포(62)로 되어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 2 공간(56)을 형성한다. 이 상태로 되면 액공급부(51)내에 액체 플럭스(15)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로 되고,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사용에 의해 기포(59)는 발생하기는 하지만,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레벨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가 계속되게 된다. 이 상태는 도 3에서 말하면 ④의 상태이다.
더욱이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 1 전자밸브(33)는 폐쇄상태를 유지한 그대로 제 2 전자밸브(34)가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복귀한다. 즉, 이 상태는 도 2의 (1)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도 2의 (1)에서 (4)까지의 변화를 반복함으로써,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레벨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 반복의 1사이클의 주기를 T로 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자밸브(33)인 밸브(A)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까지의 시간을 Ta로 하고, 밸브(A)의 폐쇄상태로부터 제 2 전자밸브인 밸브(B)가 개방상태로 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을 T1으로 하고, 밸브(B)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까지 요하는 시간을 Tb로 하고, 밸브(B)의 폐쇄상태로부터 밸브(A)가 개방상태로 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을 T2로 하면,
T = Ta + T1+Tb + T2
로 된다. 또 도 3에 있어서 해칭에 의해 밸브(A) 및 밸브(B)의 개방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A) 및 밸브(B)가 동시에 개방상태로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서 압력변동이 생겨도, 그 영향은 액보충부(49)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밸브(A) 및 밸브(B)의 개폐상태의 간격이나 타이밍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28)에 의해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럭스 공급장치로부터 송출되는 혼합가스의 사용량의 변화에 따라 그들의 개폐의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항상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작동원리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단위시간의 소비량보다도, 제 1 전자밸브(33) 및 제 2 전자밸브(34)의 개폐타이밍에 의해 정해지는 액유지부(50)로부터 액공급부(51)에 공급할 수 있는 액체 플럭스(15)의 양이 크면, 액공급부(51)내에는 액체 플럭스(15)의 양이 적은 일도 있지만, 액체 플럭스(15)가 항상 보류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액유지부(50)의 용적은, 1사이클 기간(T)에서의 액체 플럭스(15)의 소비량에 상당하는 용적이상으로 설정해 놓으면 좋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 1 전자밸브(33) 및 제 2 전자밸브(34)의 개폐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플럭스 저류탱크(11)의 액체 플럭스(15)의 액면레벨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 작동원리에서 액유지부(50)의 용적은 반드시 크게 할 필요는 없고, 제 1 전자밸브(33) 및 제 2 전자밸브(34)의 개폐타이밍을 변화시킴으로써 액공급부(51)로의 액체 플럭스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A) 및 밸브(B)가 모두 폐쇄상태인 T1및 T2의 기간을 취하고 있는데 이것은 장치의 작동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고,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 기간을 없애거나 보다 짧게 함으로써, 1사이클의 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액유지부(50)로부터 액공급부(51)로의 액체 플럭스의 공급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액유지부는 제 4 배관(44)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보틀형상 등의 다른 형상의 용기를 채용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플럭스 저류탱크(11)와 보급탱크(25) 사이를 배관으로 접속하고 있는데, 이것 대신에 호스형상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더욱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액체 플럭스 공급관(17)의 하단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가스흡입관(18)과 같이 경사지게 커트한 것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가 제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앞의 제 1의 실시예에서 제 3 배관(43)과 제 5 배관(45) 사이에 접속된, 제 1 전자밸브(33), 제 4배관(44) 및 제 2 전자밸브(34) 대신에 회동밸브(52)를 설치한 점이다. 이 회동밸브(52)는 제어부(28)에 의해 그 회전속도나 회전방향 등이 제어되는 모터(53)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다. 이것 이외의 점은 앞의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회동밸브(52)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도면으로 사용상태에서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1)을 참조하여, 회동밸브(52)는, 지면(紙面)을 관통하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볼형상 또는 원반형상의 밸브체(58)와 밸브체(58)를 유지하는 밸브상자(54)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58)에는 양단을 개방하는 L자형상의 삽입관통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1)에 있어서는 L자형상 삽입관통구멍(60)의 한쪽의 개방 끝이 제 3 배관(43)에 면해 있고, 한쪽의 밸브상자(54)에 면하여 폐쇄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 3 배관(43)에 보유되어 있는 플럭스(15)는 밸브체(58)의 L자형상 삽입관통구멍(60)을 충전하게 된다. 한편, 제 5 배관(45)은, 밸브체(58)의 L자형상 삽입관통구멍(6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면해 있고, 그 상태에서 보유하는 플럭스(15)의 위에 제 3 공간(5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체(58)는 모터(53)의 구동에 의해 시계방향 회전으로 약 45°회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L자형상 삽입관통구멍(60)의 양단은 모두 밸브상자(54)의 폐쇄면에 면해 있고, 제 3 배관(43) 및 제 5 배관(45) 모두 연통상태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 다시 밸브체(58)가 시계방향 회전으로 약 45°회전하면, 도 5의 (3)의 상태로 변화한다. 이 상태로 되면 밸브체(58)에 형성되어 있는 L자형상 삽입관통구멍(60)의 다른쪽 끝은 제 5 배관(45)에 면하여 이것과 연통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도 5의 (2)로 도시되어 있던 제 5 배관(45)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공간에 보유되어 있는 가스는, 삽입관통구멍(60)을 상승하고 그 상부에 제 2 공간(56)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밸브체(58)를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회전시켜 도 5의 (2)의 상태를 경유하여 도 5의 (1)의 상태로 밸브체(58)를 복귀시킨다. 그러면, 밸브체(58)의 L자형상 삽입관통구멍(60)에 형성된 제 2 공간(56)에 보유된 가스는, 제 3 배관(43)을 통해서 그 안에 보유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내를 기포로 되어 상승하고, 보급탱크(25)내의 공간으로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3 배관(43)과 제 5 배관(45)을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 밸브체(58)의 L자형상 삽입관통구멍(60)에 보유된 액체 플럭스(15)를 확실히 플럭스 저류탱크(11)내에 보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보급의 최대량은, 밸브체(58)의 회동사이클과 그 L자형상 삽입관통구멍(60)의 용적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밸브체(58)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회전으로 번갈아 반전시켜 제어하고 있는데, 어느 한방향으로 만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회동밸브의 밸브체의 개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밸브(52)의 밸브체(58)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3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3개의 개구끝을 갖는 방사상 삽입관통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밸브체(58)를 구성하여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이것을 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3 배관(43)과 제 5 배관(45)을 완전히 차단한 상태로 방사상 삽입관통구멍(63)에 보유된 일정량의 액체 플럭스를, 제 3 배관(43)으로부터 제 5 배관(45)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회동밸브의 밸브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밸브체(58)에는 한쪽만 개방끝으로 되어 있는 직선형상 삽입관통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밸브체(58)를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이것을 중심으로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3 배관(43)과 제 5 배관(45)을 완전히 차단한 상태로 직선형상 삽입관통구멍(64)에 보유된 액체 플럭스를 제 3 배관(43)으로부터 제 5 배관(45)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밸브체(58)에 형성되는 삽입관통구멍은 여러가지의 형상의 것이 고려될 수 있는데, 적어도 한개의 개방끝을 가지며 또한 제 3 배관(43)과 제 5 배관(45)을 어느 회전위치에서도 직접적으로 연통상태로 되지 않는 구조로 하면, 동일의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개량과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한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액유지부의 양단의 적어도 한쪽이 항상 폐쇄되므로, 플럭스 저류탱크내에 압력변동이 생겨도 액보충부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고, 안정된 액체 플럭스의 플럭스 저류탱크로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의 액면의 변동이 적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1의 국면에 의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액체 플럭스 공급관내에 액체 플럭스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혼합가스의 사용량의 변동이 생겨도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의 액면은 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혼합가스를 항상 안정된 상태로 솔더링장치에 공급할 수 있고,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3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2의 국면에 의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플럭스 저류탱크로의 액체 플럭스의 공급량이 소비되는 혼합가스의 양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4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1의 국면 내지 제 3의 국면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액유지부의 양단이 소정시간 완전히 폐쇄상태로 되기 때문에, 탱크내의 압력변동에 의한 액보충부로의 영향이 완전히 차단되므로, 보다 신뢰성이 높은 장치로 된다.
본 발명의 제 5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액보충부와 액체 플럭스 공급관이 직접적으로 연통상태로는 되지 않으므로, 플럭스 저류탱크내나 액보충부내에 압력변동이 생겨도 안정된 액체 플럭스의 플럭스 저류탱크로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의 액면의 변동이 적게 된다.
본 발명의 제 6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장치는, 제 5의 국면에 의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액체 플럭스 공급관내에 액체 플럭스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혼합가스의 사용량의 변동이 생겨도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의 액면은 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혼합가스를 항상 안정된 상태로 솔더링장치에 공급할 수 있고,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7의 국면에 의한 플럭스 공급방법은, 저류탱크의 압력변동이 액보충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안정된 액체 플럭스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액면의 변동은 적게 된다.

Claims (7)

  1. 솔더링장치(76)에 가스 플럭스와 가연성 가스의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플럭스 공급장치로서,
    액체 플럭스(15)를 저류하기 위한 플럭스 저류탱크(11),
    상기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된 액체 플럭스에 대하여 가연성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가스 흡입관(18),
    상기 플럭스 저류탱크에 액체 플럭스를 공급하기 위한 관으로서, 그 하방단부가 상기 가스 흡입관의 하방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액체 플럭스 공급관(17),
    상기 액체 플럭스 공급관의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를 보유할 수 있는 액보충부(25),
    상기 액보충부의 하부에 접속되는 제 1 자동개폐밸브(33),
    상기 액체 플럭스 공급관의 상부에 접속되는 제 2 자동개폐밸브(34),
    상기 제 1 자동개폐밸브의 하부와 상기 제 2 자동개폐밸브의 상부 사이에 접속되고, 액체 플럭스를 유지할 수 있는 액유지부(50), 및
    상기 제 1 자동 개폐밸브의 개폐와 상기 제 2 자동 개폐밸브의 개폐를 자동적으로 번갈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 1 자동 개폐밸브와 상기 제 2 자동 개폐밸브의 개폐에 의해 상기 액유지부로부터 상기 액체 플럭스 공급관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액체 플럭스의 양이, 상기 플럭스 저류탱크로부터의 혼합가스가 송출되는 동안에 상기 소정시간내에 소비되는 액체 플럭스의 양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동 개폐밸브와 상기 제 2 자동 개폐밸브의 개폐의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동 개폐밸브 또는 상기 제 2 자동 개폐밸브의 폐쇄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자동 개폐밸브 또는 상기 제 1 자동 개폐밸브의 개방상태로 변화하는 동안까지에 소정시간 경과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5. 솔더링장치(76)에 가스 플럭스와 가연성 가스의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플럭스 공급장치로서,
    액체 플럭스(15)를 저류하기 위한 플럭스 저류탱크(11),
    상기 플럭스 저류탱크에 저류된 액체 플럭스에 대하여 가연성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가스 흡입관(18),
    상기 플럭스 저류탱크에 액체 플럭스를 공급하기 위한 관으로서, 그 하방 단부가 상기 가스 흡입관의 하방 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액체 플럭스 공급관(17),
    상기 액체 플럭스 공급관의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액체 플럭스를 보유할 수 있는 액보충부(25),
    상기 액체 플럭스 공급관의 상부와 상기 액보충부의 하부의 사이에 접속되는 회동밸브(52), 및
    상기 회동밸브를 회동시켜, 상기 회동밸브의 밸브체에 형성된 삽입관통구멍(60,63,64)을 상기 액체 플럭스 공급관과 상기 액보충부에 번갈아 연통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소정시간내에, 상기 회동밸브의 회동에 의해 상기 삽입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액체 플럭스 공급관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액체 플럭스의 양이, 상기 플럭스 저류탱크에서의 혼합가스의 공급에 의해 소비되는 액체 플럭스의 양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7. 솔더링장치에 가스 플럭스와 가연성 가스의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플럭스 공급장치의 액체 플럭스 공급방법으로서,
    액체 플럭스(15)를 저류하는 저류탱크(11)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는 액보충부(25)에 보유된 액체 플럭스를, 양단이 자동적으로 번갈아 개폐상태로 되는 액유지부(50)를 통해서 상기 저류탱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플럭스 공급방법.
KR10-2001-0034931A 2000-07-10 2001-06-20 액유지부를 통해서 액체 플럭스가 공급되는 플럭스공급장치 및 액체 플럭스 공급방법 KR100403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07668 2000-07-10
JP2000207668A JP3441066B2 (ja) 2000-07-10 2000-07-10 フラックス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959A true KR20020005959A (ko) 2002-01-18
KR100403439B1 KR100403439B1 (ko) 2003-10-30

Family

ID=1870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931A KR100403439B1 (ko) 2000-07-10 2001-06-20 액유지부를 통해서 액체 플럭스가 공급되는 플럭스공급장치 및 액체 플럭스 공급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76006B2 (ko)
EP (1) EP1172169A3 (ko)
JP (1) JP3441066B2 (ko)
KR (1) KR100403439B1 (ko)
CN (1) CN1233494C (ko)
TW (1) TW4802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7044B2 (en) * 2007-12-11 2012-04-03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supply device,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supply method
JP2010023427A (ja) * 2008-07-23 2010-02-04 Seiko Epson Corp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2010023423A (ja) * 2008-07-23 2010-02-04 Seiko Epson Corp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5125848B2 (ja) * 2008-07-23 2013-01-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5544690B2 (ja) * 2008-07-23 2014-07-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供給方法
US20100081915A1 (en) * 2008-09-29 2010-04-01 Searete Llc, A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Histological facilit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2574346B (zh) * 2009-10-16 2015-07-01 诺华股份有限公司 用于将接触透镜从容器取出的方法及装置
CN102000898A (zh) * 2010-11-30 2011-04-06 刘迎春 钎焊冷却汽化机
CN102069287B (zh) * 2011-03-11 2012-10-03 新野鼎泰电子精工科技有限公司 Pcb微型钻头异径平面自动焊接装置及焊接工艺
ITTO20130746A1 (it) * 2013-09-13 2015-03-14 Sinterleghe S R L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per capsule elettrodo.
CN103658917B (zh) * 2013-12-03 2016-06-08 天津英利新能源有限公司 一种焊接机助焊剂自动添加系统
JP6763565B2 (ja) * 2016-06-29 2020-09-30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フラックス塗布装置
CN109838689A (zh) * 2017-11-28 2019-06-04 张家港中集圣达因低温装备有限公司 Lng燃料供气系统以及lng车辆
KR20230144626A (ko) * 2021-07-20 2023-10-16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플럭스 전사 장치
CN114226907B (zh) * 2022-02-23 2022-04-26 飞荣达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助焊剂流体压力控制装置
CN114211071A (zh) * 2022-02-23 2022-03-22 中机智能装备创新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气保护钎焊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7740A (ko) * 1973-01-23 1974-09-17
US4197116A (en) * 1973-03-30 1980-04-08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rate of flux injection to a converter
US4153832A (en) * 1975-09-11 1979-05-08 Kobe Steel, Ltd. Overhead submerged arc welding process
US4327798A (en) * 1980-05-01 1982-05-04 American Cast Iron Pipe Company Method of applying flux
EP0267068B1 (fr) 1986-09-29 1991-06-12 Innolab Dispositif de distribution rotatif à distribution rotative discontenue en céramique composite et utilisation de ce dispositif dans des moteurs à combustion interne, des compresseurs à piston ou des appareils à fonctionnement par pulsion, notamment des pulsoréacteurs
SU1673339A1 (ru) * 1988-06-06 1991-08-30 Институт Электросварки Им.Е.О.Патон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варки под флюсом в потолочном положении
JPH0833975A (ja) 1994-07-20 1996-02-06 Bureizu:Kk トーチろう付設備におけるガスフラックス供給装置
NL9500426A (nl) * 1995-03-03 1996-10-01 Soltec Bv Vloeistofdichtheidsmeter.
US5671773A (en) * 1995-11-09 1997-09-30 Daewoo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fluid-supply apparatus for a boiler system
JP3279896B2 (ja) 1995-12-15 2002-04-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流動物定量塗布装置
JPH115157A (ja) 1997-06-16 1999-01-12 Chiyoda Kucho Kiki Kk ロウ付機用ガスフラックス供給装置
JP3664852B2 (ja) 1997-08-05 2005-06-29 リンナイ株式会社 回転式ガス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76006B2 (en) 2004-01-13
TW480200B (en) 2002-03-21
US20020017552A1 (en) 2002-02-14
EP1172169A2 (en) 2002-01-16
JP3441066B2 (ja) 2003-08-25
CN1332052A (zh) 2002-01-23
EP1172169A3 (en) 2002-07-17
JP2002028776A (ja) 2002-01-29
KR100403439B1 (ko) 2003-10-30
CN1233494C (zh)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439B1 (ko) 액유지부를 통해서 액체 플럭스가 공급되는 플럭스공급장치 및 액체 플럭스 공급방법
KR890001122B1 (ko) 원료액 보급장치
JP2006062024A (ja) ミスト生成装置
KR100786812B1 (ko) 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성 및 분해장치
CN101419470B (zh) 自调节液面高度控制装置
CN103282111B (zh) 在浸入液体条件下由液体和固体之间化学反应产生气体的自我调节生产工艺及装置
JP5214341B2 (ja) ガスシール装置
CN1631676A (zh) 喷墨打印机墨盒
CN207483907U (zh) 新型扩散源瓶装置及扩散源瓶系统
KR20030046157A (ko) 오일자동충진장치가 구비된 콤프레샤
KR200268379Y1 (ko) 오일자동충진장치가 구비된 콤프레샤
JP4458962B2 (ja) インクジェット塗布装置
JP2569303Y2 (ja) 連続式水位調整噴霧装置
CN220595739U (zh) 一种反应源容器
JPH0857525A (ja) 液体供給装置
JPH02209685A (ja) 冷却水供給部の構造
WO2023160322A1 (zh) 冰箱
KR102068005B1 (ko) 액정 디스펜서의 액정 공급캡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펜서
JP2004227810A (ja) バッテリ液補給装置
JPH06178624A (ja) 養液供給装置
JPH0448824Y2 (ko)
CN2373215Y (zh) 液体燃料熔焊机
JP2005304452A (ja) 底面給水式植木鉢用自動給水装置
CN100559050C (zh) 压差式下水阀
US1168895A (en) Acetylene-gas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