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285A -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285A
KR20020004285A KR1020000038023A KR20000038023A KR20020004285A KR 20020004285 A KR20020004285 A KR 20020004285A KR 1020000038023 A KR1020000038023 A KR 1020000038023A KR 20000038023 A KR20000038023 A KR 20000038023A KR 20020004285 A KR20020004285 A KR 20020004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forming
coating layer
wood panel
plat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규
Original Assignee
문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규 filed Critical 문승규
Priority to KR102000003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4285A/ko
Publication of KR20020004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6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07Pretreatment of wood before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1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using streams of abrasive p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고 가격도 아주 저렴한 소나무나 낙엽송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그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면서도 상기 무늬가 형성된 부분만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표면 강도는 매우 강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나무 판재의 표면중 무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소재 자체의 나이테인 나무 무늬결과 함께 인위적인 미감이 더하여 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나무 판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제품의 고급화 이미지가 추구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나무 판재 표면의 코팅층이 벗겨지더라도 형성된 무늬는 쉽게 벗겨지는 일이 없도록 하며, 제조된 나무 판재를 이용하여 나무 돗자리를 만들었을 경우 사용 과정에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인체에 유익한 별도의 부가 기능인 건강 증진 및 성인병 예방기능도 함께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나이테(101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목질이 상기 나이테에 비해 강도가 약한 소재의 일차 가공 목재를 적정한 두께와 길이 및 폭으로 절단하여 직사각판상의 나무 판재(101)를 얻는 단계와, 상기 여러개의 나무 판재를 배열한 다음 접착테이프(102)로서 가접착하여 더 큰 사각형상의 판재 조립체(110)를 얻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을 매끄럽게 일차적으로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와, 접착시트지(103)를 특정 모양을 갖도록 절단하여 이를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인 일차 그라인딩면에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에 연마성이 좋은 고운모래를 분사하여 각 나무 판재(101)의 나이테(101a)와 접착시트지(103)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오목하게 적정 깊이로 제거하면서 각 나이테(101a) 사이에 복수개의 요입홈(104)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접착시트지(103)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에 형성된 각 요입홈(104) 내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석분이 혼합된 상태의 UV 코팅물질을 주입하여 상단이 표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1차 코팅층(105)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코팅층이 건조되고 난 후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을 매끄럽게 이차적으로 그라인딩 처리하여 상기 1차 코팅층(105)을 포함한 표면 전부분을 평행하게 하는 단계와,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인 이차 그라인딩면에 UV 코팅물질을 도포하여 2차 코팅층(106)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나무 판재(101)에 특정 형상의 무늬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pattern of board}
본 발명은 나무 돗자리, 나무 브라인드 등을 만드는데 이용되는 직사각판상의 나무 판재 표면에 도형이나 문자와 같은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리나라에서 저렴한 가격에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소나무나 낙엽송 같은 목질이 약한 나무를 사용하면서도 무늬가 형성된 나무 판재를 이용해 제품을 만들어 사용할 때는 상기 나무 판재가 인체에 유익한 부가적인 기능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무 돗자리, 나무 브라인드 등을 만드는데 이용되는 나무 판재는 적정한 두께와 길이 및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나무 판재가 각각의 용도에 따라 나무 돗자리, 나무 브라인드 등에 이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각 나무 판재는 전체적으로 볼 때 특정형태의 배열을 갖는다.
즉, 여러개의 나무 판재를 나무 돗자리에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각 나무 판재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모자이크식 배열을 가지게 되고, 여러개의 나무 판재를 나무 브라인더에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각 나무 판재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어느 한 방향으로 만 일렬식 배열을 가지게 됨이 보편적이다.
한편 나무 돗자리에 이용되거나 나무 브라인더에 이용되는 나무 판재에 무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단 상기 나무 판재를 그 사용 대상물에 따라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모자이크식 배열을하여 전체적으로 더 큰 사각형상의 판재 조립체를 만들거나 어느 한 방향으로 만 일렬식 배열을하여 전체적으로 더 큰 사각형상의 판재조립체를 만들거나 하여야 함은 이해 가능한데, 본 발명 및 그에 따른 종래 기술에서 관련 도면에는 편의상 나무 판재를 나무 돗자리에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였음을 미리 밝히는 바 이다.
그럼 여기서 종래 방법에 의해 나무 판재에 무늬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나이테(1a)를 포함한 전부분의 목질이 강도가 강한 소재의 일차 가공 목재를 적정한 두께와 길이 및 폭으로 절단하여 직사각판상의 나무 판재(1)를 얻는 단계와, 상기 여러개의 나무 판재를 배열한 다음 접착테이프(2)로서 가접착하여 더 큰 사각형상의 판재 조립체(10)를 얻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10)의 표면인 그라인딩면에 특정 모양의 무늬를 그려 넣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10)의 표면에 UV 코팅물질을 도포하여 코팅층(3)을 형성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조된다.
따라서 나이테(1a)를 포함한 전부분의 목질이 강도가 강한 소재인 단풍나무나 참나무 및 밤나무와 같은 원목을 일차 가공한 일차 가공 목재를 목재 절단기를 이용해 적당한 두께와 길이 및 폭으로 절단하여 직사각판상의 나무 판재(1)를 얻은 다음 상기 얻어진 여러개의 나무 판재를 수평상태로 넓게 배열하여 접착테이프(2)로서 가접착하면 상기 수평상태로 배열된 가접착상태의 각 나무 판재(1)가 전체적으로 볼 때 큰 사각형상의 판재 조립체(10)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큰 사각형상의 판재 조립체(10)가 이루어지면,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을 그라인딩기를 이용해 센드페이퍼(sandpaper)로서 매끄럽게 그라인딩처리한 후 판재 조립체(10)의 표면인 그라인딩면을 깨끗하게 청소한 다음 상기 그라인딩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특정 모양의 그림이나 글씨 등의 무늬를 물감으로 그려 넣고 건조 과정을 거친다.
계속해서 상기 판재 조립체(10)의 표면인 그라인딩면에 UV 코팅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면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이 보호된 상태로 코팅층(3)이 형성되면서 나무 판재(1)에 특정 모양의 무늬가 형성 완료된다.
한편 상기한 종래 방법에 의해 나무 판재에 특정 모양의 무늬가 형성되고 난 이후에는 상기 무늬가 형성된 나무 판재의 이용 목적에 따라 나무 돗자리를 만드는데 이용하거나 나무 브라인더를 만드는데 이용하면 되는데, 상기 나무 돗자리를 만드는데 이용할 경우에는 판재 조립체(10)를 이루는 상기 각 나무 판재(1)를 하나씩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나무 돗자리를 만드는데 이용하면 되고, 상기 나무 브라인더를 만드는데 이용할 경우에는 판재 조립체(10)를 이루는 상기 각 나무 판재(1)를 하나씩 분리한 다음 나무 브라인드를 만드는데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나무 판재에 무늬를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나무 판재의 표면이 강해야만 사용시 표면이 외부적인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손상되는 일이 없게되므로 상기 나무 판재는 반드시 나이테 부분을 포함한 전부분의 목질이 강한 소재(단풍나무, 참나무, 밤나무 등)를 사용하여 만 함에 따라 상기 단풍나무나 참나무 및 밤나무 등은 우리나라에서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면서 그 가격 또한 매우 비싼 상태임을 감안할 때 결국 제품(나무 돗자리 및 나무 브라인드)의 가격이 상승되고, 이는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또한 나무 판재의 표면중 무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소재 자체의 나이테인 나무 무늬결만이 외부로 표현되므로 형성된 무늬 이외의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외부적인 미감이 인위적으로 첨가되지 못한 매우 단순한 상태임에 따라 나무 판재를 이용해 나무 돗자리 및 나무 브라인더를 제조한 상태에서는 제품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무늬가 나무 판재의 표면에 물감으로 그려진 단순한 상태임을 감안할 때 장기간 사용시 코팅층이 조금이라도 벗겨진다면 기 형성된 무늬도 곧바로 벗겨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방법에 의해 무늬가 형성된 나무 판재를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었을 경우 상기 제품은 제품 자체의 기본적인 기능(나무 돗자리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침판 기능, 나무 브라인드일 경우에는 햇빛을 가려주거나 실외와 실내를 커버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므로 그 외적인 기능, 즉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켜 주거나 하는 등의 부가기능은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상품 구매 욕구를 근본적으로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고 가격도 아주 저렴한 소나무나 낙엽송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그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면서도 상기 무늬가 형성된 부분만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표면 강도는 매우 강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나무 판재의 표면중 무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소재 자체의 나이테인 나무 무늬결과 함께 인위적인 미감이 더하여 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나무 판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제품의 고급화 이미지가 추구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나무 판재 표면의 코팅층이 벗겨지더라도 형성된 무늬는 쉽게 벗겨지는 일이 없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제조된 나무 판재를 이용하여 나무 돗자리를 만들었을 경우 사용 과정에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인체에 유익한 별도의 부가 기능인 건강 증진 및 성인병 예방기능도 함께 수행하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의한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2a 내지 2d는 종래 방법에 의해 나무 판재에 무늬를 형성하는 과정을 실시예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한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해 나무 판재에 무늬를 형성하는 과정을 실시예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 요부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나무 판재 101a. 나이테
102. 접착테이프 103. 접착시트지
104. 요입홈 105. 1차 코팅층
106. 2차 코팅층 110. 판재 조립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나이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목질이 상기 나이테에 비해 강도가 약한 소재의 일차 가공 목재를 적정한 두께와 길이 및 폭으로 절단하여 직사각판상의 나무 판재를 얻는 단계와, 상기 여러개의 나무 판재를 배열한 다음 접착테이프로서 가접착하여 더 큰 사각형상의 판재 조립체를 얻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을 매끄럽게 일차적으로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와, 접착시트지를 특정 모양을 갖도록 절단하여 이를 판재 조립체의 표면인 일차 그라인딩면에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에 연마성이 좋은 고운모래를 분사하여 나이테와 접착시트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오목하게 적정 깊이로 제거하면서 각 나이테 사이에 복수개의 요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접착시트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에 형성된 각 요입홈 내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석분이 혼합된 상태의 UV 코팅물질을 주입하여 상단이 표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1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코팅층이 건조되고 난 후 판재 조립체의 표면을 매끄럽게 이차적으로 그라인딩 처리하여 상기 1차 코팅층을 포함한 표면 전부분을 평행하게 하는 단계와, 판재 조립체의 표면인 이차 그라인딩면에 UV 코팅물질을 도포하여 2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나무 판재에 특정 형상의 무늬를 형성하는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한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이고,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해 나무 판재에 무늬를 형성하는 과정을 실시예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Ⅱ-Ⅱ선 요부 확대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나이테(101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목질이 상기 나이테에 비해 강도가 약한 소재의 일차 가공 목재를 적정한 두께와 길이 및 폭으로 절단하여 직사각판상의 나무 판재(101)를 얻는 단계와, 상기 여러개의 나무 판재를 배열한 다음 접착테이프(102)로서 가접착하여 더 큰 사각형상의 판재 조립체(110)를 얻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을 매끄럽게 일차적으로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와, 접착시트지(103)를 특정 모양을 갖도록 절단하여 이를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인 일차 그라인딩면에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에 연마성이 좋은 고운모래를 분사하여 각 나무 판재(101)의 나이테(101a)와 접착시트지(103)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오목하게 적정 깊이로 제거하면서 각 나이테(101a) 사이에 복수개의 요입홈(104)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접착시트지(103)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조립체(110)의 표면에 형성된 각 요입홈(104) 내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석분이 혼합된 상태의 UV 코팅물질을 주입하여 상단이 표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1차 코팅층(105)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코팅층이 건조되고 난 후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을 매끄럽게 이차적으로 그라인딩 처리하여 상기 1차 코팅층(105)을 포함한 표면 전부분을 평행하게 하는 단계와,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인 이차 그라인딩면에 UV 코팅물질을 도포하여 2차 코팅층(106)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나무 판재(101)에 특정 형상의 무늬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1차 코팅층(105)을 형성하는 UV 코팅물질에 혼합되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석분(石粉)은, 옥분, 맥반석분, 게르마늄석분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이 바람직 한데, 이는 저렴한 가격에 쉽게 구입이 가능하면서 자체적으로 임의의 색깔을 가지고 있어 사용시 여러가지 측면에서 볼 때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나무 돗자리의 제조 과정을 도 4 내지 도 5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나이테(101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목질이 상기 나이테 보다 강도가 약한 소재인 소나무나 낙엽송과 같은 일차 가공 목재를 구비한 다음 상기 일차 가공 목재를 목재 절단기를 이용해 적당한 두께와 길이 및 폭으로 절단하여 직사각판상의 나무 판재(101)를 얻는다.
이후 용도(나무 돗자리를 만드는데 이용할 것인지 나무 브라인드에 이용할 것인지)에 따라 여러개의 나무 판재(101)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모자이크식 배열을 하거나 여러개의 나무 판재를 어느 한 방향으로 만 일렬식 배열을 한 다음 접착테이프(101)로서 각 나무 판재(101)가 떨어지지 않도록 가접착하여 더 큰 사각형상의 판재 조립체(110)를 얻고,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을 그라인딩기를 이용해 센드페이퍼(sandpaper)로서 매끄럽게 1차 그라인딩 처리한 후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인 그라인딩면을 깨끗하게 청소한다.
계속해서 접착시트지(103)를 특정 모양을 갖도록 절단하여 이를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인 일차 그라인딩면에 접착한 다음 모래 분사기를 이용해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으로 연마성이 좋은 고운모래를 일정시간 동안 고압 분사하면, 상기 고압 분사된 모래가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에 일정 압력으로 부딪히게 되는데, 이때 나이테(101a)는 다른 부분(나이테와 나이테 사이부분)에 비해 목질의 강도가 강함에 따라 계속해서 그대로 남아 있음은 물론 접착시트지(103) 접착부분은 모래가 직접적으로 부딪히지 않으므로 계속해서 그대로 남아 있지만 상기 접착시트지가 접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중 각 나이테(101a) 사이 부분은 상기 나이테에 비해 목질의 강도가 약함에 따라 모래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따라 오목하게 적정깊이로 제거되면서 복수개의 요입홈(104)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접착시트지(103)를 제거한 다음 상기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과 그 상단이 대략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각 요입홈(104) 내로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석분이 혼합된 UV 코팅물질을 주입한 후 건조 과정을 거치면, 상기 각 요입홈(104) 내에는 1차 코팅층(105)이 형성되는데, 상기 1차 코팅층은 그 주입된 UV 코팅물질의 특성상 강도가 매우 강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나무 판재의 표면중 접착시트지(103)가 접착되었던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전 부분 강도가 매우 강해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 1차 코팅층(105)이 건조되고 난 후 1차 코팅층을 포함하는 판재 조립체(110)의 전부분 표면이 평행하도록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을 그라인딩기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이차적으로 그라인딩 처리한 다음 상기 이차 그라인딩면을 깨끗하게 청소한 후 UV 코팅기를 이용해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인 이차 그라인딩면에 UV 코팅물질을 도포하여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되면 상기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 전부분에 2차 코팅층(106)이 형성되면서 표면을 보호한 상태로 하여 판재 조립체(110)에 특정한 형상의 무늬가 형성되고, 결국 나무 돗자리 및 나무 브라인드에 이용될 나무 판재(101)의 표면에 무늬가 형성되는 것인데, 이는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중 접착시트지(103)가 접착되어 있던 부분은 각 나이테(101a) 사이라도 1차 코팅층(105)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그 부분을 2차 코팅층(106)을 통해 외부적으로 볼 때 다른 부분(각 나이테 사이 부분에 1차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달리 보여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1차 코팅층(105)이 형성된 상태의 판재 조립체(110) 표면을 매끄럽게 이차적으로 그라인딩 할 때는 상기 1차 코팅층(105)의 UV 코팅물질에 혼합되어 있던 석분이 외부로 선명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상기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중 접착시트지(103)가 접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나이테(101a) 사이는 석분의 성분에 따라 특정한 색깔의 빛이 선명하게 나타나게 됨은 이해 가능한데, 상기 무늬가 형성 완료된 상태의 판재 조립체는 외부에서 보았을 때 2차 코팅층(106)이 그 성분인 UV 코팅물질의 특성상 투명한 상태임에 따라 판재 조립체(110)의 표면에 나타난 나무 판재(101)의 나이테(101a) 무늬와 인위적인 1차 코팅층(105) 무늬가 조화를 이루면서 그대로 보여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서 1차 코팅층(105)의 성분인 UV 코팅물질에 혼합된 석분은 옥분, 맥반석분, 게르마늄석분중 어느 하나이므로 상기 각 석분이 모두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물질임을 감안한다면 이후 과정에 의해 제조 완료된 본 발명 나무 판재를 이용해 나무 돗자리를 만들어 사용할 때 그 사용 과정에서 원적외선이 발산됨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이 증진됨은 물론 성인병도 예방됨은 이해 가능하고, 상기 석분이 특히 옥분이었을 경우에는 2차 코팅층(106)을 통해 보여지는 1차 코팅층(105)의 빛깔이 특유의 옥색인 연한 푸른색깔을 띠게되므로 소비자가 본 발명 방법에 의해 특정한 무늬가 형성된 나무 판재를 이용해 만들어진 나무 돗자리를 구입하는 과정에서나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익한 옥이 들어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방법에 의해 나무 판재에 무늬가 형성될 경우에는 나이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목질이 상기 나이테 보다 강도가 약한 소재의 소나무나 낙엽송 등을 사용하더라도 표면인 상부면의 강도는 대부분 종래에서 사용되는 단풍나무나 참나무 및 밤나무 등과 같이 매우 강하게 되므로 상기 소나무나 낙엽송 등은 우리나라에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 그 가격 또한 매우 싼 상태임에 따라 결국 나무 돗자리의 제조 원가를 낮출수 있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무 판재의 표면중 무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표면은 소재 자체의 나이테인 나무 무늬결에 별도의 인위적인 무늬 모양이 곁들여져 외부에 표현되므로 외부에서 보았을 때 매우 고급스러운 미감을 풍기게 되어 상기 본 발명 나무 판재를 이용해 나무 돗자리를 만들었을 경우에는 상기 나무 돗자리의 상품성이 그만큼 높아지게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상기 나무 돗자리의 장기간 사용시에 1차 코팅층이 벗겨지더라도 표면에 기 형성된 무늬는 계속해서 남아있게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 나무 판재를 이용하여 나무 돗자리를 만들었거나 나무 브라인더를 만들었을 경우에는 사용 과정에서 상기 나무 판재가 기본적인 기능(나무 돗자리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침판 기능, 나무 브라인더일 경우에는 햇빛을 막을 줄 수 있는 가리개 기능) 이외에 1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성분인 UV 코팅물질에 혼합된 석분에 의해 원적외선을 발산시키면서 인체의 건강증진과 함께 각종 성인병 예방을 위한 부가적인 기능도 행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상품 구매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켜 주게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특히 소비자 및 사용자가 인체에 매우 유익한 효능을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석분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도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나이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목질이 상기 나이테에 비해 강도가 약한 소재의 일차 가공 목재를 적정한 두께와 길이 및 폭으로 절단하여 직사각판상의 나무 판재를 얻는 단계와,
    상기 여러개의 나무 판재를 배열한 다음 접착테이프로서 가접착하여 더 큰 사각형상의 판재 조립체를 얻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을 매끄럽게 일차적으로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와,
    접착시트지를 특정 모양을 갖도록 절단하여 이를 판재 조립체의 표면인 일차 그라인딩면에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에 연마성이 좋은 고운모래를 분사하여 나이테와 접착시트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오목하게 적정 깊이로 제거하면서 각 나이테 사이에 복수개의 요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접착시트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 조립체의 표면에 형성된 각 요입홈 내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석분이 혼합된 상태의 UV 코팅물질을 주입하여 상단이 표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1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코팅층이 건조되고 난 후 판재 조립체의 표면을 매끄럽게 이차적으로 그라인딩 처리하여 상기 1차 코팅층을 포함한 표면 전부분을 평행하게 하는 단계와,
    판재 조립체의 표면인 이차 그라인딩면에 UV 코팅물질을 도포하여 2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나무 판재에 특정 형상의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1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UV 코팅물질에 혼합되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석분은 옥분, 맥반석분, 케르마늄석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
KR1020000038023A 2000-07-04 2000-07-04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 KR20020004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023A KR20020004285A (ko) 2000-07-04 2000-07-04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023A KR20020004285A (ko) 2000-07-04 2000-07-04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285A true KR20020004285A (ko) 2002-01-16

Family

ID=1967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023A KR20020004285A (ko) 2000-07-04 2000-07-04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42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7884B2 (en) * 2003-01-25 2009-03-24 Carlson Joseph W Textured sound generating panels having increased efficiency in converting vibrational energy to sound waves
KR102341956B1 (ko) * 2021-07-01 2021-12-22 김경현 고무나무를 이용한 침대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0405A (en) * 1980-12-29 1982-07-09 Sadashige Tokushu Goban Kogyo Manufacture of wide decorative board material
JPS57195604A (en) * 1981-05-27 1982-12-01 Sadashige Tokushu Goban Kogyo Manufacture of decorative board material
KR100292585B1 (ko) * 1999-03-12 2001-06-15 성재갑 무늬목 적층 염화비닐수지 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76603A (ko) * 2000-01-27 2001-08-16 김춘섭 목제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목편을 코팅하는 방법과 그러한방법에 의해 형성된 피복층을 갖는 목편 및 그러한 목편을이용하여 제조된 목제품
KR20020002031A (ko) * 2000-06-29 2002-01-09 문승규 나무 돗자리용 나무 판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0405A (en) * 1980-12-29 1982-07-09 Sadashige Tokushu Goban Kogyo Manufacture of wide decorative board material
JPS57195604A (en) * 1981-05-27 1982-12-01 Sadashige Tokushu Goban Kogyo Manufacture of decorative board material
KR100292585B1 (ko) * 1999-03-12 2001-06-15 성재갑 무늬목 적층 염화비닐수지 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76603A (ko) * 2000-01-27 2001-08-16 김춘섭 목제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목편을 코팅하는 방법과 그러한방법에 의해 형성된 피복층을 갖는 목편 및 그러한 목편을이용하여 제조된 목제품
KR20020002031A (ko) * 2000-06-29 2002-01-09 문승규 나무 돗자리용 나무 판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7884B2 (en) * 2003-01-25 2009-03-24 Carlson Joseph W Textured sound generating panels having increased efficiency in converting vibrational energy to sound waves
KR102341956B1 (ko) * 2021-07-01 2021-12-22 김경현 고무나무를 이용한 침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34534A (en) Ornamented wood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107960C (en) Method of making a decorative wooden panel
KR20020004285A (ko) 나무 판재의 무늬 형성방법
KR101438396B1 (ko) 자개 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품
KR100837242B1 (ko) 우드-브라인드를 제조하는 방법, 목재편을 이어 붙여 슬래트를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들 각각에 의해 제조된 우드-브라인드 및 슬래트
JP2000141312A (ja) 表面に天然素材の切片を配列した化粧合板
KR20020002031A (ko) 나무 돗자리용 나무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8933Y1 (ko) 나무 돗자리용 나무 판재
RU212633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нно
KR200208934Y1 (ko) 나무 돗자리용 나무 판재
KR100373232B1 (ko) 나무 돗자리용 나무편 및 그 제조방법
CA2508455A1 (en) Simulated brick product
KR101019891B1 (ko) 천연 무늬목 목분을 금속 패턴 테에 상감한 마감장식보오드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20110034414A (ko) 자개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를 이용한 구두 제조 방법
US20180201056A1 (en) Method for working wood paste
KR200241388Y1 (ko) 나무 돗자리용 나무편
KR19990036496A (ko) 실내장식재와 그 제조방법
JP2790417B2 (ja) 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942070B2 (ja) 化粧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4132A (ko) 유해파차단 화장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화장판
KR20020002032A (ko) 나무 돗자리용 나무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76892B1 (ko) 직물이 부착된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직물이 부착된 구조물
JP2935006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200310507Y1 (ko)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KR20050015078A (ko) 건축용 바닥판재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