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507Y1 -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 Google Patents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507Y1
KR200310507Y1 KR20-2003-0000241U KR20030000241U KR200310507Y1 KR 200310507 Y1 KR200310507 Y1 KR 200310507Y1 KR 20030000241 U KR20030000241 U KR 20030000241U KR 200310507 Y1 KR200310507 Y1 KR 200310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agent
coating
inlay
medium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기
Original Assignee
장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기 filed Critical 장진기
Priority to KR20-2003-0000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5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Abstract

본 고안은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를 단위편 형태로 절단하고 모서리를 가공한 후, 가 조립한 다음, 그 상면에 상감 문양부를 형성시킨 후, UV코팅제를 1차로 도포하고, 절단 및 모서리를 가공한 다음, UV코팅제를 한번 더 도포하며, 재배열 후 바닥 배지 또는 기능성 배지 상에 접착하고 마감 포지를 봉제하여 마무리함으로써 상감 문양부가 형성된 돗자리의 제작이 용이하고, 외형이 미려하며, 내구성과 내수성이 증대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10)를 가공하여 단위편(12) 형태로 절단한 후, 모서리를 가공하고, 이를 조합하여 가 조립한 다음, 상면에 상감 문양부(20)를 형성시킨 후, 1차적으로 UV코팅제(30)를 도포한 다음, 절단 및 모서리 가공을 거친 후, 2차적으로 UV코팅제(30)를 표면에 도포한 다음, 재배열하며, 기능성 배지(41) 또는 바닥 배지(40) 상에 상기 결합된 단위편(12)을 접착한 후, 마감 포지(50)를 봉제하는 대략적인 제조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를 가공하여 단위편 형태로 형성한 후, 가 조립하여 상면에는 상감 문양부를 형성시키고, 1차 UV코팅제를 도포한 다음, 절단 및 모서리를 가공하며, 2차 UV코팅제를 도포한후, 바닥 배지 또는 기능성 배지 상에 배열 접착 및 마감 포지를 봉제함으로써 돗자리의 제조가 용이하며, 색상이 미려하고, 고광택의 표면을 얻을 수 있어서 상품의 가치가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에 UV코팅제를 하도와 상도의 형태로 나누어 도포하여 표면의 내구성과 내수성이 향상되며, 충격으로 인해 흠집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사포 등을 이용하여 샌딩처리 한 후, UV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보수가 용이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숯가루 또는 동분말 및 황토 등으로 형성된 기능성 배지를 사용함으로써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어 인체에 유익하며, 수맥을 차단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 the wood mat with inlay pattern }
본 고안은 나무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를 단위편 형태로 절단하고 모서리를 가공한 후, 조합하여 가 조립한 다음, 그 상면에 상감 문양부를 형성시키고, UV코팅제를 도포하며, 세절 후 모서리를 가공한 다음, UV코팅제를 한번 더 도포하며, 재배열 후 바닥 배지 상에 접착하고 마감 포지를 봉제하여 마무리함으로써 상감 문양부가 형성된 돗자리의 제작이 용이하고, 외형이 미려하며, 내구성이 증대된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무 돗자리는 원목이나 합판과 같은 나뭇조각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 · 가공하고, 이들 단위편들을 직물지와 같은 바닥 배지 상에 교호로 배열 ·접착하여 된 것으로써, 표면에 소정의 무늬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그림이나 도형을 직접 그려 넣거나 착색이 된 단위편들을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미려함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채색된 나무 돗자리의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할 시, 채색된 그림이 지워지거나 단위편에 착색된 색상이 지워지게 되어 외관상 미감이 떨어지게 되고, 화학물질을 주재료로 사용한 도료에는 유해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피부와 직접 접촉되어 인체에 해를 줄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를 가공하여 단위편 형태로 형성한 후, 가 조립하여 상면에는 상감 문양부를 형성시키고, 1차 UV코팅제를 도포한 다음, 절단 및 모서리를 가공하며, 2차 UV코팅제를 도포한 후, 바닥 배지 또는 기능성 배지 상에 배열 접착 및 마감 포지를 봉제함으로써 돗자리의 제조가 용이하며, 색상이 미려하고, 고광택의 표면을 얻을 수 있어서 상품의 가치가 증대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에 UV코팅제를 하도와 상도의 형태로 나누어 도포하여 표면의 내구성과 내수성이 향상되며, 충격으로 인해 흠집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사포 등을 이용하여 샌딩처리 한 후, UV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보수가 용이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고안 단위편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 돌출형 상감접착 방식의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 매립형 상감접착 방식의 단면도
도 3c는 본 고안 시트접착 방식의 단면도도 3d는 본 고안 음각 가공 방식의 단면도도 3e는 본 고안 연질수지 매입 방식도 3f는 본 고안 판박이 접착 방식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 11 : 원목 시트
12 : 단위편 20 : 상감 문양부
21 : 상감 시트 22 : 자개
23 : 아크릴 30 : UV코팅제
31 : 하도층 32 : 상도층
40 : 바닥 배지 41 : 기능성 배지
50 : 마감 포지 51 : 봉제사
52 : 봉제홈 S1 : 단위편 가공공정
S2 : 가 조립 공정 S3 : 상감 형성공정
S4 : 1차 천연 도료 도포공정 S5 : 절단 및 모서리 가공공정
S6 : 2차 천연 도료 도포공정 S7 : 재배열 및 테이핑 공정
S8 : 접착공정 S9 : 마감 포지 봉제공정
본 고안은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를 단위편 형태로 절단하고 모서리를 가공한 후, 가 조립한 다음, 그 상면에 상감 문양부를 형성시킨 후, UV코팅제를 도포하고, 절단 및 모서리를 가공한 다음, UV코팅제를 한번 더 도포하며, 재배열 후 배지 상에 접착하고 마감포지를 봉제하여 마무리함으로써 상감 문양부가 형성된 돗자리의 제작이 용이하고, 외형이 미려하며, 내구성이 증대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10)를 가공하여 단위편(12) 형태로 절단한 후, 모서리를 가공하고, 이를 조합하여 가 조립한 다음, 상면에 상감 문양부(20)를 형성시킨 후, 1차적으로 UV코팅제(30)를 도포한 다음, 절단 및 모서리 가공을 거친 후, 2차적으로 UV코팅제(30)를 표면에 도포한 다음, 재배열하며, 기능성 배지(41) 또는 바닥 배지(40) 상에 상기 결합된 단위편(12)을 접착한 후, 마감 포지(50)를 봉제하는 대략적인 제조공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공정도를 도시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아홉 단계로 구성되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제 1공정은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10)를절단하고 모서리를 가공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편(12)의 형태로 제작하는 단위편 가공공정(S1)을 완료한다.
그런 다음 제 2공정은, 상기 단위편(12)을 상호 교호(交互)되는 돗자리의 형태로 결합하는 가 조립 공정(S2)을 완료한다.
그 후 제 3공정은, 상감 형성공정(S3)으로, 상기 가 조립된 단위편(12)의 상면에 상감 문양부(20)를 덧입혀 접착하는 돌출형 상감접착 방식과; 상기 가 조립된 단위편(12)의 상면에 상감의 형태에 따라 홈부를 형성시킨 다음 상감 문양부(20)를 접착하는 매입형 상감접착 방식과; 상기 가 조립된 단위편(12)의 상면에는 상감 시트(21)를 접착하고, 하면에는 원목 시트(11)를 접착하는 시트접착 방식을 선택적으로 실시하게 된다.또한, 상기 가 조립된 단위편(12)의 상면에 소정의 문양이 형성되도록 오목하게 파서 새겨넣는 음각 가공 방식과; 상기 가 조립된 단위편(12)의 상면에 상감의 형태에 따라 홈부를 형성시킨 후 연질수지(24)를 매입하는 연질수지 매입 방식과; 상기 가 조립된 단위편(12)의 상면에 판박이(25)를 접착 형성하는 판박이 접착 방식을 선택적으로 실시한다.
우선, 돌출형 상감접착 방식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편(12)의 상면에 상감 문양부(20)가 돌출 되도록 접착한 형태이고, 매입형 상감접착 방식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감 예정위치에 홈부를 파낸 후, 상감 문양부(20)나 자개(22) 또는 아크릴(23) 등을 상감 형태로 매입한 형태이며, 시트 접착방식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목 시트(11)를 상감 문양부(20)의 형상에 따라 오려낸 후, 상감 문양부(20)와 결합한 상감 시트(21)를 단위편(12)의 상면에 접착하고, 하면에는 원목 시트(11)를 접착한 형태로 구성된다.또한, 음각 가공 방식은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편(12)의 상면을 오목하게 파서 음각의 형태로 상감 문양부(20)가 형성되도록 가공한 형태이고, 연질수지 매입 방식은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감 예정위치에 홈부를 파낸 후, 연질수지(24)를 채워 넣음으로써 상감 문양부(20)가 형성되도록 가공한 형태이며, 판박이 접착 방식은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편(12)의 상면에 소정의 형상이 인쇄된 판박이(25)를 문질러서 붙인 후, 종이를 벗겨 내어 인쇄된 형상만 따로 남도록 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런 다음, 제 4공정은 상기 상감 문양부(20)가 형성된 단위편(12)의 상면에는 그 표면 보호를 위해 UV코팅제(30)를 도포하되, 일정한 두께의 하도층(31)이 형성되도록 1차 UV코팅제 도포공정(S4)을 완료한다.
상기 공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UV코팅제(30)는 롤코팅에 의해 6 ~ 8회 도포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면 상기 단위편(12)의 상부면에 일정한 두께로 하도층(31)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는 단위편(12) 표면의 미세한 홈이 UV코팅제(30)에 의해 완전히 매워지도록 하여 이후 행해지는 모든 공정을 거친 후에는, 돗자리의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나도록 형성된다.
그 후 행해지는 제 5공정은, 상기 상감 문양부(20)에 의해 결합된 단위편(12)을 절단하고,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형태로 가공하는 절단 및 모서리 가공공정(S5)으로 구성된다.
그 후, 제 6공정은, 상기 하도층(31)의 상부면을 샌딩기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샌딩 처리한 다음, 그 샌딩면에 UV코팅제(30)를 롤코팅에 의해 2 ~ 3회 도포하고 건조하는 2차 UV코팅제 도포공정(S6)으로, 상기 하도층(31)의 상부면에는 일정한 두께로 상도층(3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UV코팅제(30)를 1 · 2차에 걸쳐 도포함으로써 표면의 강도가 증대되며, 색상이 미려하고, 고광택의 표면을 얻을 수 있어서 상품의 가치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그런 다음, 제 7공정은, 상기 가공된 단위편(12)을 상호 교호되는 돗자리의 형태로 재배열 한 후, 그 상면에 테이프(42)를 접착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재배열 및 테이핑 공정(S7)을 완료한다.
그 후, 제 8공정은, 바닥 배지(40) 또는 기능성 배지(41)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그 상면에 상기 결합된 단위편(12)들을 접착제(42)에 의해 가열 가압하여 접착하고 테이프(42)를 제거하는 접착공정(S8)을 완료한다.
상기 기능성 배지(41)는 숯가루, 동분말 또는 황토 등이 도포 또는 함침된 것으로, 건강증진에 유익한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완성된 돗자리의 가장자리 부분에 봉제홈(52)을 형성한 후, 마감 포지(50)를 봉제사(51)에 의해 봉제하는 마감 포지 봉제공정(S9)을 완료함으로써 나무 돗자리의 제작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작된 나무 돗자리가 도 4와 도 5,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 이를 살펴보면, 우선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10)를 가공하여 단위편(12)의 형태로 제작한 후, 가 조립하고, 상면에 상감 문양부(20)를 형성시킨 후, 1차적으로 UV코팅제(30)를 도포한 다음, 절단 및 모서리 가공을 거친 후, 2차적으로 UV코팅제(30)를 표면에 도포한 다음, 재배열 결합하며, 기능성 배지(41)또는 바닥 배지(40) 상에 상기 결합된 단위편(12)을 접착한 후, 마감 포지(50)를 봉제하여 본 고안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를 가공하여 단위편 형태로 형성한 후, 가 조립하여 상면에는 상감 문양부를 형성시키고, 1차 UV코팅제를 도포한 다음, 절단 및 모서리를 가공하며, 2차 UV코팅제를 도포한 후, 바닥 배지 또는 기능성 배지 상에 배열 접착 및 마감 포지를 봉제함으로써 돗자리의 제조가 용이하며, 색상이 미려하고, 고광택의 표면을 얻을 수 있어서 상품의 가치가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에 UV코팅제를 하도와 상도의 형태로 나누어 도포하여 표면의 내구성과 내수성이 향상되며, 충격으로 인해 흠집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사포 등을 이용하여 샌딩처리 한 후, UV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보수가 용이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숯가루 또는 동분말 및 황토 등으로 형성된 기능성 배지를 사용함으로써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어 인체에 유익하며, 수맥을 차단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나무 돗자리에 있어서,
    원목 또는 HDF판 혹은 대나무(10)를 가공하여 단위편(12)의 형태로 제작한 후, 가 조립하고, 상면에 상감 문양부(20)를 형성시킨 후, 1차적으로 UV코팅제(30)를 도포하여 하도층(31)을 형성한 다음, 절단 및 모서리 가공을 거친 후, 2차적으로 UV코팅제(30)를 도포하여 상도층(32)을 형성한 다음, 재배열하여 테이프(42)로 결합하며, 바닥 배지(40) 또는 기능성 배지(41)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면에 상기 결합된 단위편(12)을 접착한 후, 테이프(42)를 제거하고, 마감 포지(50)를 봉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KR20-2003-0000241U 2003-01-06 2003-01-06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KR200310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241U KR200310507Y1 (ko) 2003-01-06 2003-01-06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241U KR200310507Y1 (ko) 2003-01-06 2003-01-06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507Y1 true KR200310507Y1 (ko) 2003-04-21

Family

ID=4940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241U KR200310507Y1 (ko) 2003-01-06 2003-01-06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5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86449B1 (pl) Sposób wytwarzania listwy kształtowej, zwłaszcza listwy krawędziowej, dla przemysłu meblowego
KR200310507Y1 (ko)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CN104827678A (zh) 自然纤维片材热固性制作方法、片材和手机壳的制作方法
KR101438396B1 (ko) 자개 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품
KR200192123Y1 (ko) 문양이 형성되는 단위편재를 상호 교호 조립하여서 된돗자리
KR200310506Y1 (ko)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KR200309565Y1 (ko)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의 제조방법 및 나무돗자리
KR100257990B1 (ko) 갈포지 도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226188B1 (ko) 돗자리 제조방법
KR100875984B1 (ko) 입체 무늬목 디자인이 형성된 장식지 및 그 제조방법
JPH02188203A (ja) 溝付き化粧板の製造方法
KR100631811B1 (ko)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의해 제작된 나무 돗자리
JPH02196654A (ja) 象嵌方法
KR200309564Y1 (ko)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의 제조방법 및 나무돗자리
KR100293092B1 (ko) 상감무늬가 형성된 단위부재의 제조방법
KR20030007373A (ko)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의 제조방법 및 나무 돗자리
KR20030007372A (ko)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의 제조방법 및 나무 돗자리
JPH06226943A (ja) 家具に使用する化粧板の製造方法
JP3880870B2 (ja) 木質化粧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351666B1 (ko) 무늬편을 삽입하여서 된 마루용 바닥재 제조방법 및 그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루용 바닥재
JPS6018342A (ja) 化粧板の製法
KR200184859Y1 (ko) 입체무늬의 목재패널
JPH1088732A (ja) 化粧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935006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JPS61153178A (ja) 突板貼り化粧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