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2294A -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02294A KR20020002294A KR1020010038051A KR20010038051A KR20020002294A KR 20020002294 A KR20020002294 A KR 20020002294A KR 1020010038051 A KR1020010038051 A KR 1020010038051A KR 20010038051 A KR20010038051 A KR 20010038051A KR 20020002294 A KR20020002294 A KR 200200022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ry
- locking
- rotary member
- central axis
- lock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7—Ratchet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a lo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9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with simultaneous height and inclination 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81—Rods
- B60N2/1814—Parallelogram-like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84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pivoting about a distant axis, e.g. virtu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64—Gear wheel driven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82—Ratchet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엑츄에이터 메커니즘은 시트 높이 조절기에 고정된 부착 부재 및 구동 부재(800)와 부착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조작 레버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제어 부재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800)는 부착 부재와 로터리 부재(900)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축 상에 고정된다. 구동 부재(800)의 한 종단부에는 이송 돌출부(850)가 형성되며, 그 반대 종단부는 록킹 부재(30)와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한다. 조작 레버가 작동할 때, 제어 부재(700)는 구동 부재(800)를 움직이며, 이는 록킹 부재(930)와 이송 돌출부(850)가 로터리 부재(900)와 결합하고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 높이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actuatormechanism)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62-275853 호에 개시된 일반적인 시트 높이 조절기(200)의 예를 도시한다. 이 시트 높이 조절기(200)는 베이스 프레임(201; 도 8의 좌측)의 전방 위치에서 제 1 축(20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기어(203), 제 2 축(20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1 기어(203)보다 작은 직경의 제 2 기어(205), 제 1 기어(203)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크랭크핀(206; crankpin) 상에 흔들림 가능하게 지지된 연결 로드(207; connecting rod) 및 한 종단이 연결 로드(207)의 후단에서 제 3 축(20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벨 크랭크(210; bell crank)를 포함하며, 벨 크랭크(210)의 중앙의 각이진 종단은 제 4 축(209)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축(204)에는 조작 노브(211; actuating knob)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조작 노브는 그 축에 대하여 제 2 축(204)과 함께 회전한다. 조작 노브(211)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 운동은 제 2 기어(205), 제 1 기어(203) 및 크랭크핀(206)을 통하여 연결 로드(207)로 전달되며, 연결 로드(207)의 최종 전방 및 후방 운동은 제 3 축(208)을 통하여 벨 크랭크(210)를 제 4 축(209)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흔들리게 한다.
도시되지 않은 시트 바닥을 지지하는 쿠션 프레임(212)은 그 전방부에서 링크 로드에 의하여 베이스 프레임(201)에 연결되며, 쿠션 프레임(212)의 후단은 벨 크랭크(210)의 다른 종단에 제 5 축(21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노브(211)가 제 2 축(204)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돌려질때, 벨 크랭크(210)는 제 4 축(209)에 대하여 그의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쿠션 프레임(212)은 제 5 축(213)을 통하여 상승 및 하강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시트 바닥의 높이가 조절된다.
사람이 상술한 일반적인 시트 높이 조절기(200)에 의하여 지지된 시트 바닥 위에 앉을 때, 사람의 체중은 쿠션 프레임(212), 벨 크랭크(210), 연결 로드(207), 제 1 기어(203) 및 제 2 기어(205)로 전달되며, 각 부재들의 최종 운동은 쿠션 프레임(212)을 하강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전의 접근 방법이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제 7-19562 호에서 찾아지며, 이 선행 기술은 제 2 축(204)과 조작 노브(211) 사이에 위치한 소위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을 이용한다. 이 브레이크 드럼은 단일 방향 형태로 작동한다. 즉, 브레이크 드럼이 조작 노브(211)의 회전 운동을 제 2 축(204)으로 전달되게 할지라도, 제 2 회전축(204)의 회전 운동은 역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브레이크 드럼의 설치는 시트 높이 조절기의 구조를 매우 복잡하게 만들며, 부품의 수 및 조립에 요구되는 작업 시간의 증가와 그 결과로서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더욱이, 의자에 앉은 사람이 그 체중을 지지하는 시트 바닥의 높이를 조절하려고 시도할 때 앉은 사람은 자신의 체중에 의하여 발생된 마찰력에 대하여 작용하는 조작 노브를 손으로 수 차례 돌려야만 한다. 여기서, 조작 노브(211)를 돌릴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매우 큰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앉은 사람이 시트 바닥의 높이를 조절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 없는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작동하기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를 갖는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르면, 엑츄에이터 메커니즘은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된다. 엑츄에이터는 중앙축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로터리 부재(rotary member)를 구비하여 시트 높이 조절기를 작동시킨다. 로터리 부재를 회전시키지 않기 위하여 로터리 부재와 결합 가능하며 로터리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 가능한 록킹 부재(locking member); 및 중앙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중앙축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로터리 부재와 결합 가능한 구동 부재(driver member)를 더 구비한다. 구동 부재는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 록킹 부재를 로터리 부재와 결합하게 하고,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되며,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 록킹 부재를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로터리 부재와 결합하여, 그로 인하여 로터리 부재를 구동 부재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하여 시트 높이 조절기를 작동한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특징, 관점 및 이점들과 다른 목적, 특징, 관점 및 이점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높이 조절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조립된 상태의 시트 높이 조절기의 사시도.
도 3은 시트 높이 조절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시트 높이 조절기 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조립된 상태의 엑츄에이터 메커니즘의 사시도.
도 6은 엑츄에이터 메커니즘의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F는 로터리 부재, 록킹 부재 및 구동 부재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일반적인 시트 높이 조절기의 측면도.
시트백(seatback) 프레임이 도시되지 않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시트 높이 조절기(1)는 기본적으로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 조절기(2), 하나의 슬라이드 조절기(2)에 연결된 링크 로드(3; link rod) 및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을 포함하며, 사이드 프레임(4)의 전방과 후방 종단은 슬라이드 조절기(2) 및 링크 로드(3)에 각각 연결된다.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은 한 슬라이드 조절기(2;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에 설치된다.
각 슬라이드 조절기(2)는 바닥에 고정된 하부 채널(21) 및 하부 채널(21)에 의하여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채널(22)을 포함한다. 각 슬라이드 조절기(2)의 하부 채널(21)과 상부 채널(22)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록킹(lock) 메커니즘이 설치된다. 각 슬라이드 조절기(2)의 상부 채널(22)이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에, 록킹 메커니즘이 언록킹일 때 하부 채널(21)을 따라 후방 및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이 허용된다.
플레이트 형태인 링크 로드(3)는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며, 그로 인하여 전술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이 작동할 때 사이드 프레임들(4)은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 링크 로드(3)의 전단은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에 의하여 지지되며, 링크 로드(3)의 후단은 측면 형상이 일반적으로 V-형 구조를 갖는 벨 크랭크(31)에 연결된다. 벨 크랭크(31)는 그 각진 부분에 의하여 후미 지지 로드(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미 지지 로드는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들(4)의 후미 종단들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된다. 후미 지지 로드(32)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벨 크랭크(31)의 한 아암(arm)은 좌측의 상부 채널(22)의 후미부에 고정된 핀(3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링크 로드(3)는 그 후미 종단에 의하여 핀(3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장치로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 작동에 의하여 링크 로드(3)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때, 벨 크랭크(31)는 핀(34)에 대하여 그 전방 및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로서,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4)의 후미부는 후미 지지 로드(32)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
후미 지지 로드(32)의 우측의 종단(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바와 같은 좌측)은 크랭크 부재(35)의 후미부를 통하여 미끄러지게 통과하며,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4)의 후미 종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크랭크 부재(35)는 그 전방부에 의하여 우측의 상부 채널(22) 상에 설치된 다른 핀(3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로 인하여 좌측 및 우측 슬라이드 프레임들(4)은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4)이 상하 이동할 때,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4)은 벨 크랭크(31), 후미 지지 로드(32) 및 크랭크 부재(35)를 통하여 동시에 상, 하 이동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은 시트 바닥(S)을 지지하기 위한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4) 각각은 좌측부 및 우측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전방 및 후방 지지 브라켓(41)을 갖는다. 2개의 사이드 프레임들(4)은 그들의 전방 위치에서 각 핀들(4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크 아암(43)에 고정되어 있다.
링크 아암(43)은 좌측 및 우측 상부 채널(22)의 전방 종단들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된 전방 선단 지지 로드(2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로서, 시트 높이 조절기(1)의 좌측부 상에 사이드 프레임(4), 링크 아암(43), 상부 채널(22) 및 벨 크랭크(31)에 의하여 직사각형 링크 메커니즘이 형성되는 반면에 시트 높이 조절기(1)의 우측부 상에 사이드 프레임(4), 링크 아암(43) 및 크랭크 부재(35)에 의하여 다른 직사각형의 링크 메커니즘이 형성된다. 링크 로드(3)가 전, 후방으로 이동할 때, 이들 직사각형의 링크 메커니즘들은 작동하여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들(4)이 상하로 이동한다.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은 시트 높이 조절기(1)의 일측부(좌측부) 상의 사이드 프레임(4) 상에 설치된다. 도 4는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의 사시 조립 도면 및 도 6은 구동 부재(800; driver member)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은 대략적인 중앙 위치에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4)에 고정된 중앙축(601)을 갖는 부착 부재(600; attachment member), 부착 부재(600)와 나란하게 위치한 제어 부재(700), 제어 부재(700)와 나란하게 위치한 상술한 구동 부재(800), 구동 부재(800)로부터 좁은 간격을 갖고 구동 부재에 이웃하게 위치한 로터리 부재(900), 구동 부재(800)를 통하여 로터리 부재(900)와 치합되는 방식으로 부착 부재(600)에 부착된 록킹 부재(930), 록킹 부재(930)에 마주 보게 위치하도록 구동 부재(800) 상에 형성된 이송 돌출부(850; feed projection), 제어 부재(700)와 구동 부재(800)를 중앙축(601) 주변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작동하여 록킹 부재(930)와 이송 돌출부(850)의 록킹 및 록킹 해제 동작의 결과로서 증가 단계에서 로터리 부재(900)가 회전하도록 하는 조작 레버(950) 및 제어 부재(700), 구동 부재(800) 및 로터리 부재(900)로 부착 부재(600)에 고정된 커버 부재(970)를 구비한다.
상술한 부착 부재(600)는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된 이상 형상(odd shaped)의 부재이다. 부착 부재(600)는 그 전방 및 후방 종단에 부착 부재(600)의 전방 종단 부분 및 후방 종단 부분을 단차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서 형성된 한 쌍의 단차 플랜지(602)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에 위치한 커버 부재(970)와 함께 이들 단차 플랜지(602)를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4) 상의 적절한 위치에 나사로 고정함으로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은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4)에 고정된다. 선단 및 후단 단차 플랜지들(602) 사이의 거리는 특정 범위 내에서의 구동 부재(800)와 록킹 부재(930)의 이동을 허용하는 정도이다.
부착 부재(600)의 중앙부에는, 부착 부재(600)의 대략 중앙부에 중앙축(601)을 통과, 고정시키기 위한 중앙 구멍(603)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축(601)은 그 길이의 중간까지 중앙 구멍(603) 내에 삽입되고 용접 또는 코킹(caulking)에 의하여 중앙 구멍(603) 내에 고정되어 중앙축(601)은 부착 부재(600)의 양측부로 연장된다. 조작 레버(950)는 중앙축(601)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 상에 고정되며, 제어 부재(700), 구동 부재(800) 및 로터리 부재(900)는 중앙축(601)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 쌍의 제 1 컷-아웃 구멍들(604; cut-out holes)이 부착 부재(600) 내에 중심 구멍(603)의 위 및 아래에 대각선으로 형성된다. 이들 제 1 컷-아웃 구멍(604)은 중앙축(601) 주변에 그려진 원을 따라서 연장된 호(arc) 형태의 패턴을 갖는다.
부착 부재(600)는 서로 마주보는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 1 돌출 부분들(605)을 구비하며, 이 돌출부들은 호형의 제 1 컷-아웃 구멍들(604)의 외측 엣지를 따라 형성된다. 제 1 컷-아웃 구멍(604)의 후면(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부)에는 부착 부재(60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조작 레버(950)를 향하여)된 제 2 돌출 부분(606) 및 제 3 돌출 부분(608)이 형성되며, 제 2 및 제 3 돌출 부분(606, 608)은 전방에서 후방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본다. 제 2 및 제 3 돌출 부분(606, 608)을 절단함으로서 부착 부재(600) 내에 구성된 구멍은 확대되어 제 2 컷-아웃 구멍(607)이 형성된다. 나아가, 부착 부재(600)의 하부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 4 돌출 부분(609)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원형 형태로 형성된 제어 부재(700)는 그 중심 위치에 형성된 중앙 구멍(701)을 구비하여 부착 부재(600) 내의 중심 구멍의 위치와 대응한다. 부착 부재(600)에 고정된 중앙축(601)은 중앙 구멍(701) 내에 미끄러지게 고정되어 제어 부재(700)는 선단 및 후단 단차 플랜지들(602) 사이의 중앙축(601)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제어 부재(700)는 제 4 돌출 부분(609)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그 전방 부분(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부분)을 절단 및 상승시킴으로서 형성된 제 5 돌출 부분(702)을 갖는다. 부착 부재(600)의 중앙축(601)이 제어 부재(700) 내의 중앙 구멍(701) 내에 고정될 때, 제 5 돌출 부분(702)은 제 4 돌출 부분(609) 위에 겹친다.
제어 부재(700)는 중앙 구멍(701) 위 및 아래에 설치된 한 쌍의 축(703)을 가지며, 축(703)의 위치는 부착 부재(600) 내의 제 1 컷-아웃 구멍(604)의 위치와 대응한다. 부착 부재(600)의 중앙축(601)이 제어 부재(700) 내의 중앙 구멍(701) 내로 삽입될 때, 두 개의 축(703)은 각각의 제 1 컷-아웃 구멍(604)을 통과한다. 조작 레버(950)는 이들 축(703)의 외측 종단에 고정된다.
제어 부재(700)의 전방 끝단에는 전방(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연장된 전방 돌출 부분(704)이 형성된다. 한편,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돌출 부분(705)은 제어 부재(700)의 후방 끝단에 형성된다. 후방 돌출 부분(705) 내에 호(arc) 형태의 제 2 가이드 구멍(707)이 형성되는 반면에 전방 돌출 부분(704) 내에 제 1 가이드 구멍(706)이 형성된다. 제 1 가이드 구멍(706)은 그 곡률 중심이 중앙 구멍(701)의 중심과 일치하는 호형 형상을 갖는다.
제 1 가이드 구멍(706)은 록킹 부재(930)를 로터리 부재(900)에 결합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 1 가이드 구멍(706)은 조작 레버(950)가 그 중립 위치에 설정되어 있을 때 제 1 가이드 돌출부(934)에 의하여 록킹 부재(930)가 로터리 부재(90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형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가이드 구멍(706)의 곡률 반경은 로터리 부재(900)의 곡률 반경보다 다소 크게 이루어지며, 후방으로 돌출된 제 1 압축 융기부(708; constricting protuberance)가 제 1 가이드 구멍(706)의 선단 엣지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조작 레버(950)가 그 중립 위치로 이동할 때, 제 1 압축 융기부(708)는 록킹 부재(930)의 일부를 가압하여 록킹부재(930)는 로터리 부재(900)와 견고하게 치합한다.
상술한 제 2 가이드 구멍(707)은 제어 부재(700)와 함께 중앙축(601) 주위를 회전하는 동안 구동 부재(800)를 반경 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제 2 가이드 구멍(707)은 그 곡률 중심이 제어 부재(700)의 길이 방향으로 그려진 중심선 상의 후방 위치에 위치하는 호(arc)형 형상을 가지며, 여기서 후방으로 돌출된 제 2 압축 융기부(709)는 제 2 가이드 구멍(707)의 선단 엣지(edge) 상에 형성된다. 제 2 가이드 구멍(707) 내에 미끄러지게 삽입된 구동 부재(800)의 일부로 인하여, 제어 부재(700)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구동 부재(800)는 제어 부재(700)와 함께 중앙축(601) 주위를 회전하는 동안에 전, 후방으로 이동한다.
중앙축(601) 상에 고정된 중앙 구멍(701)에 의하여 제어 부재(700)가 부착 부재(600) 상에 장착된 후에, 큰 직경의 코일 스프링(620; 제 3 탄성 부재)이 부착 부재(600)상의 두 개의 제 1 돌출 부분(605)에 끼여지며(over), 그로 인하여 제 4 돌출 부분(609)과 제 5 돌출 부분(702)이 큰 직경의 코일 스프링(620)의 바이어싱 힘(biasing force)에 의하여 그들의 중첩된 상태를 유지한다.
큰 직경의 코일 스프링(620)은 그의 양 종단부를 절곡함으로서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한 쌍의 계지 종단들(621; hooking ends)을 갖는다. 제 4 및 제 5 돌출 부분들(609, 702)이 큰 직경의 코일 스프링(620)의 양 계지 종단들(621)에 의하여 서로 끼여지기 때문에 큰 직경의 코일 스프링(620)의 바이어싱 힘에 의하여 이 돌출 부분들은 중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장치로서, 제어 부재(700)가 중앙축(601) 주위를 회전할 때 2개의 돌출 부분들(609, 702)이 중첩상태로부터 이탈될지라도 큰 직경의 코일 스프링(620)의 바이어싱 힘이 돌출 부분들(609, 702)을 그들의 중첩 상태로 즉시 복귀시킨다.
제어 부재(700)와 함께 중앙축(601) 주위를 회전하면서 구동 부재(800)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때, 구동 부재(800)는 록킹 부재(930) 및 이송 돌출부(850)가 교대로 로터리 부재(900)와 결합 및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록킹 부재(930)와 이송 돌출부(850)의 이러한 록킹 및 해제는 로터리 부재(900)를 증가 단계(incremental steps)로 복귀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용하는 구동 부재(800)는 제어 부재(700)보다 다소 길게 이루어진다.
구동 부재(800)의 중심선(L)의 중심점에 중심선(L)을 따라 연장된 타원형 구멍(8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타원형 구멍(801)의 폭, 또는 그 최단축의 방향을 따라 측정된 타원형 구멍(801)의 마주보는 측부간의 거리는 중앙축(601)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이루어져 있어 타원형 구멍(801)이 중앙축(601) 상에 고정될 때 구동 부재(800)는 타원형 구멍(801)의 장축 방향(중심선(L)을 따라)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구동 부재(800)의 전방 종단부에 C 형상의 제 3 가이드 구멍(802; 록킹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가이드 구멍(802)은 제 1 가이드 구멍(706)과 록킹 부재(930)의 일부와 관련하여 작동하여 록킹 부재(930)를 로터리 부재(900)와 결합시키고 록킹 부재를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한다. 제 3 가이드 구멍(802)은 중심이 타원형 구멍(801)의 중심과 일치하는 원을 따라 연장된 호형 부분(803) 및 호형 부분(803)의 양단으로부터 구동 부재(800)를 타원형 구멍(801)의 중심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서 형성된 한 쌍의 컷-아웃 부분(804)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제 3 가이드 구멍(802) 내에서는 호형 부분(803)을 향하여 연장된 압축 융기부(808)가 2개의 컷-아웃 부분들(804) 사이에 형성된다.
구동 부재(800)는 그 후단부를 제어 부재(700)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단, 상승시킴으로서 형성된 돌출부분(805)을 갖는다(이 돌출부분(805)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볼록하기 때문에 그 오목한 뒷부분이 도면에서 보여질 수 있다). 상술한 이송 돌출부분(850)은 돌출 부분(805)의 선단 엣지 상에 형성되어 로터리 부재(900)의 원주 표면을 향한다.
돌출 부분(805)은 제어 부재((700)의 후단 돌출 부분(705)을 향하는 위치에 위치하며, 제어 부재(700)의 후단 돌출 부분(705) 내의 제 2 가이드 구멍(707)을 향하여 연장된 가이드 핀(806)은 돌출 부분(805)의 중앙에 설치된다. 이 가이드 핀(806)을 제 2 가이드 구멍(707) 내에 고정시킴으로서 제어 부재(700)가 중앙축(601) 주위를 회전할 때 구동 부재(800)는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한다.
구동 부재(800)의 최후단에는, 부착 부재(600)의 제 2 돌출 부분(606)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 6 돌출 부분(807)이 형성된다. 제 6 돌출 부분(807)은 제어 부재(700)와 구동 부재(800)가 부착 부재(600)에 순차적으로 고정될 때 제 2 컷-아웃 구멍(607)을 통과하여 제 2 돌출 부분(606)과 정면으로 마주보게 위치하는 크기이다.
이러한 형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위치에 설정된 제 2 돌출 부분(606)과 제 6 돌출 부분(807)으로서 중간 직경의 코일 스프링(630)이 제 2 돌출 부분(606)과제 6 돌출 부분(807)에 고정된다. 그 결과로서, 제 2 돌출 부분(606)과 제 6 돌출 부분(807)은 중간 직경의 코일 스프링(630)의 바이어싱 력에 의하여 서로 조여진다. 특히, 중간 직경의 코일 스프링(630)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계지 종단들(631; 제 2 탄성 부재)을 갖는다. 중간 직경의 코일 스프링(630)이 제 3 돌출 부분(608)상에 고정될 때, 이 계지 종단들(631)중 긴 종단이 제 2 돌출 부분(606) 상에 계지되며, 나머지 하나는 제 6 돌출 부분(807)에 계지되어 제 2 돌출 부분(606)과 제 6 돌출 부분(807)은 함께 클램핑(clamping)된다.
상술한 로터리 부재(900)는 원주 표면에 형성된 치차를 갖는 로터리 부재 휠(910) 및 로터리 부재 휠(910)의 일측부 상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한 디스크(920)를 포함한다. 중앙축(601)을 미끄러지게 삽입하기 위하여 로터리 부재(900)의 중심에는 중심 구멍(901)이 형성된다. 로터리 부재 휠(910)의 치차는 그 원주 표면의 작동 영역 내에 형성되며, 중심 구멍(901)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위치한다. 로터리 부재(900)의 적절한 위치에 압입 구멍(902; force-fitting hole)이 형성되며, 링크 축(903)은 압입 구멍(902) 안으로 강제적으로 고정된다. 링크 축(903)은 링크 로드(3; 도 1)의 전방 종단에 연결된다. 로터리 부재(900)가 그 전방 및 역방향으로 중앙축(601) 주위를 회전하기 때문에 링크 로드(3)는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며, 그 결과로서, 벨 크랭크(31)는 핀(33)에 대하여 그 전방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로 인하여 사이드 프레임(4)은 상하 이동한다.
로터리 부재(900)의 디스크(920)는 그 상부 및 하부로부터 디스크(920)의 원주 표면을 접선 방향 후방으로 연장함으로서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상부스토퍼(921) 및 하부 스토퍼(922))를 구비한다. 이 스토퍼들(921, 922)은 록킹 부재(930)와 간섭하며, 그로 인하여 로터리 부재(900)의 회전 운동의 범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록킹 부재(930)의 상부 부분은 부착 부재(600) 상에 위치하는 제어 부재(700) 및 구동 부재(800)에 중첩된다. 록킹 부재(930)는 수직으로 연장된 플레이트형 본체(931) 및 로터리 부재 휠(910)과 마주보는 플레이트형 본체(931)의 상부 엣지 상에 형성된 록킹 치차(932)를 갖는다. 지지축(940)이 고정된 축 구멍(933)은 플레이트형 본체(931)의 하부에 형성된다.
구동 부재(800) 내의 제 3 가이드 구멍(802)과 제어 부재(700) 내의 제 1 가이드 구멍(706)에 고정된 초기에 언급한 제 1 가이드 돌출부(934)는 록킹 부재(930)의 플레이트형 본체(931)의 한 측부(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우측부) 상에 돌출적으로 형성된다. 플레이트형 본체(931)의 반대측에는 제 1 가이드 돌출부(934) 다소 아래에 상술한 스토퍼(921, 922)와 간섭하는 제 2 가이드 돌출부(935)가 형성된다. 스토퍼(921, 922)가 제 2 가이드 돌출부(935)와 접촉 상태가 될 때 로터리 부재(900)의 회전 운동 범위가 한정된다.
한편, 부착 부재(600)의 하부에는 선단 단차 플랜지(602)의 약간 후방에 록킹 부재 지지 축(940)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축 구멍(610)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 부재 지지 축(940)은 축 구멍(610) 내로 삽입되고 록킹 부재 지지 축(940)의 헤드를 편평하게 함으로서 그 내부에 고정된다. 록킹 부재(930)의 축 구멍(933) 내에 록킹 부재 지지 축(940)을 미끄러지게 고정함으로서 록킹 부재(930)는 부착 부재(600) 상에 장착된다.
작은 직경의 코일 스프링(941; 제 1 탄성 부재)은 록킹 부재 지지 축(940) 상에 고정된다. 탄성적으로 변형된 작은 직경의 코일 스프링(941)의 일단은 록킹 부재(930)의 전방 엣지의 상부에 계지되는 반면에 작은 직경의 코일 스프링(941)의 다른 종단은 록킹 부재(930)의 하부 엣지에 계지된다. 이러한 장치로서, 작은 직경의 코일 스프링(941)은 록킹 부재 지지 축(940) 주변으로 록킹 부재(9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바이어스 력을 가하게 된다. 이는 제어 부재(700)와 구동 부재(800)가 그들의 중립 위치에 설정될 때 록킹 치차(932)를 로터리 부재 휠(910)에 치합시킨다.
시트 바닥(S)의 높이를 조절할 때, 상술한 조작 레버(950)는 앉아 있는 사람에 의해 파지되어 조작된다. 조작 레버(950)는 중앙축(601) 상에 고정된 축 구멍(953)을 갖는 원통부(951) 및 원통부(951)와 일체로 형성된 핸들 레버(952)로 형성된다. 중앙축(601) 내에는 그 외곽 종단 표면으로부터 그 축을 따라 나선 구멍(611)이 형성된다.
조작 레버(950)의 원통부(951) 내에는 2개의 장착 구멍(954)이 형성된다. 축 구멍(953)이 중앙축(601)에 고정될 때, 이들 장착 구멍(954)의 위치는 제어 부재(700) 상에 형성된 축들(703)의 위치와 일치한다. 축들(703)과 중앙축(601)을 장착 구멍(954)과 축 구멍(953)에 각각 고정시킨 후, 고정 스크류(955)가 나선 구멍(611) 내로 죄어져 조작 레버(950)를 부착 부재(600)와 제어 부재(700)에 고정한다.
만일 부착 부재(600)에 부착된 조작 레버(950)로 핸들 레버(952)를 중앙축(601)에 대하여 전방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 부재(700)는 축(703)을 통하여 중앙축(601) 주위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제어 부재(700)의 이 회전 운동은 전, 후방 이동을 하면서 구동 부재(800)로 하여금 회전 운동을 발생시키게 한다. 이는 제 3 가이드 구멍(802)과 이송 돌출부(850)를 로터리 부재 휠(910)과 교대로 결합되게 하고 로터리 부재 휠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회전 부재(900)는 중앙축(601) 주위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커버 부재(970)는 부착 부재(600)의 중앙축(601)에 고정된 제어 부재(700), 구동 부재(800), 로터리 부재(900) 및 록킹 부재(9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부재(970)의 중심 위치에는 직경이 로터리 부재(900)의 디스크(920)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억제 구멍(971; restraining hole)이 형성되어 있다. 억제 구멍(971)의 내측 엣지 부분이 디스크(920)의 원주 부분과 접촉 상태가 될 때, 억제 구멍(971)은 로터리 부재(900)가 떨어져 나가는 것(come off)을 방지한다. 부착 부재(600)의 단차 플랜지(602)가 커버 부재(970)의 전방 및 후방 종단부 상에 직접 위치하는 상태에서 커버 부재(9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에 의하여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4)에 고정되며, 그로 인하여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은 시트 높이 조절기(1) 상에 설치된다.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이 좌측 사이드 프레임(4)에 부착된 상태에서 링크 축(903)을 링크 로드(3)의 전방 종단에 연결하기 위하여 좌측 사이드 프레임(4) 내에 아치형 구멍(44; arcuate hole)이 형성된다. 아치형 구멍(44)은 링크 축(903)의호형(arc-shaped) 경로와 일치하는 호 형태를 갖는다. 나아가, 중앙축(601)을 통과시키는 컷-아웃 구멍(45)이 아치형 구멍(44)의 호형 중앙에서 좌측 사이드 프레임(4) 내에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부재(900)가 중앙축(601) 주위를 그 전방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도 1의 링크 로드(3)의 전방 종단에 연결된 링크 축(903)은 중앙축(601) 주위를 전방 및 후방으로 요동(swing)한다. 링크 축(903)의 요동 운동은 링크 로드(3)로 전달되어 링크 로드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로서, 벨 크랭크(31)는 핀(33)에 대하여 그 전방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사이드 프레임(4)은 상하 이동하여 시트 바닥(S)의 높이가 조절된다.
도 7A 내지 도 7F는 물론 필요한 경우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록킹 부재(930)와 이송 돌출부(850)의 연계 동작을 통하여 로터리 부재(900)가 중앙축(601)을 중심으로 어떻게 회전하는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통은 큰 직경의 코일 스프링(620)의 바이어싱 력에 의하여 구동 부재(800)는 그 중립 위치에 유지된다. 중립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800)는 전방으로는 위로 그리고 후방으로는 아래로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록킹 부재(930)의 제 1 가이드 돌출부(934)는 구동 부재(800) 내의 제 3 가이드 구멍(802)의 중앙점 뿐만 아니라 제어 부재(700) 내의 제 1 가이드 구멍(706)의 중앙점에 위치하며, 제 3 압축 융기부(808) 및 제 1 압축 융기부(708)에 의하여 이 위치에 유지된다. 이들 상태 하에서, 제 2 가이드 구멍(707) 내에 고정된 가이드핀(806)은 제어 부재(700)의 제 2 가이드 구멍(707)의 중앙점에 위치하며 제 2 압축 융기부(709)에 의하여 안내되어 구동 부재(800)는 후방으로 옮겨지고 제 1 가이드 돌출부(934)는 제 3 가이드 구멍(802)의 선단 엣지에 대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정상 조건하에서는 록킹 부재(930)의 록킹 치차(932)는 로터리 부재 휠(910)과 치합되며, 이송 돌출부(850)는 로터리 부재(900)로부터 분리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록킹 부재(930)는 보통 로터리 부재(900)와 결합되기 때문에 로터리 부재(900)는 록킹되어 중앙축(601) 주위를 회전을 하지 않으며, 따라서 사이드 프레임(4)은 그 설정 높이를 유지한다. 이들 조건하에서, 구동 부재(800)의 중심선(L)은 그 중립선(L0)과 일치한다.
만일 조작 레버(950)가 이 상태에서 위로 들려지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부재(700)는 중앙축(601)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 가이드 구멍(707)의 선단 엣지에 대하여 가압된 가이드 핀(806)에 의하여 구동 부재(800)는 중간 직경의 코일 스프링(630)의 바이어싱 력에 의한 회전을 하지 않는다(즉, 중간 직경의 코일 스프링(630)의 한 계지 종단(631)이 구동 부재(800)의 제 6 돌출 부분(807) 상에 계지되고 나머지 계지 종단(631)이 부착 부재(600)의 제 2 돌출 부분(606) 상에 계지되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구동 부재(800)가 전방(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록킹 치차(932)는 점차적으로 로터리 부재 휠(910)로부터 분리되며, 한편 이송 돌출부(850)는 로터리 부재 휠(910)과 점차적으로 치합된다. 만일 조작 레버(950)가 위로 더 들려진다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부재(930)는 로터리 부재(9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조작 레버(950)의 추가 상향 들어올림에 의하여 구동 부재(800)가 중앙축(601)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핀(806)은 제 2 가이드 구멍(707)의 상부 부분과 접촉 상태로 되며, 그로 인하여 로터리 부재(900)는 중앙축(601)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이드 프레임(4)을 상향 이동시킨다.
최상단 위치까지의 조작 레버(950)의 들어 올림에 의하여 구동 부재(800)가 중앙축(601)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돌출부(850)와 치합된 로터리 부재(900)는 하나의 치차만큼 중앙축(601)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점에서, 제 1 가이드 돌출부(934)는 제 3 가이드 구멍(802) 내의 하부 컷-아웃 부(804)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다음으로 도 7E 및 도 7F를 참고하면, 다음의 설명은 조작 레버(950)가 그 최상단 위치에서 하향 이동할 때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이 어떻게 작동하는 가를 설명한다. 조작 레버(950)를 조작함으로서 만일 제어 부재(700)가 도 7D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중앙축(601) 주위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구동 부재(800)에 작용하는 중간 직경의 코일 스프링(630)의 바이어싱 력은 구동 부재를 그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하며, 따라서, 구동 부재(800)는 조작 레버(950)와 함께 회전한다.
구동 부재(800)가 중앙축(601) 주위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 구멍(707) 내의 제 2 압축 융기부(709)에 의하여 가이드 핀(806)은 후방으로 밀려진다. 따라서, 제 1 가이드 돌출부(934)가 제 1 가이드 구멍(706)의 선단 엣지에 의하여 후방으로 가압되는 반면에 이송 돌출부(850)는 로터리 부재 휠(910)로부터 점차적으로 분리된다. 그 결과,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부재(930)의 록킹 치차(932)는 로터리 부재 휠(910)과 점차적으로 결합된다.
조작 레버(950)가 그 중립 위치로 하향 이동함으로서 구동 부재(800)가 그 원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부재(930)는 로터리 부재 휠(910)과 치합되는 그의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 레버를 놓을 때 핸들 레버(952)는 자동적으로 하강하거나 또는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지 종단(621)이 제 4 및 제 5 돌출 부분들(609, 702) 상에 계지된 큰 직경의 코일 스프링(620)의 바이어싱 력에 의하여 핸들 레버(952)는 제어 부재(700)와 함께 그의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만일 조작 레버(950)가 반복적으로 위로 들어 올려져 구동 부재(800)의 전방 부분이 중립선(L0) 위로 올려지는 방법으로 구동 부재(800)가 중앙축(601) 주위를 왕복 운동한다면 로터리 부재(900)가 진행 단계에서 중앙축(601)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이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조작 레버(950)가 이러한 방법으로 조작될 때 사이드 프레임(4)은 점차적으로 상승한다.
반대로, 조작 레버(950)를 조작함으로서 구동 부재의 전방 부분이 중립선(L0) 하부로 눌려지는 방식으로 구동 부재(800)가 왕복 회전한다면, 로터리 부재(900)는 중앙축(601) 주변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결과 사이드 프레임(4)은 점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지금까지 상세하게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만일 조작 레버(950)가 반복적으로 하향 이동된다면 시트의 높이는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반면에 조작 레버(950)가 그 수평 중립 위치로부터 반복적으로 위로 올려진다면 시트의 높이는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이전에 설명된 조작 노브를 이용한 일반적인 장치와 비교하여,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은 조작하기 쉬우며 시트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다.
엑츄에이터 메커니즘(50)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복잡한 구조를 갖는 브레이크 드럼을 사용하지 않으며, 따라서 제조 비용뿐만 아니라 부재의 수 및 조립에 요구되는 노동 시간도 줄어든다.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부재(900)를 밀고 회전시키기 위하여 비록 이송 돌출부(850)가 단 하나의 치차를 가질지라도 이송 돌출부(850)는 단일 치차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수의 치차를 갖는 기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높이 조절기 내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 메커니즘은, 중앙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시트 높이 조절기를 작동시키는 로터리 부재; 로터리 부재가 회전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로터리 부재와 결합될 수 있으며, 로터리 부재의 회전을 허용하게 하기 위하여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록킹 부재; 중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중앙축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로터리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는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록킹 부재를 로터리 부재와 결합하게 하고,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되며, 그리고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록킹 부재를 로터리 부재로부터분리하고, 로터리 부재와 결합하여, 그로 인하여 로터리 부재가 구동 부재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여 시트 높이 조절기를 작동시킨다.
로터리 부재는 원주부에 치차를 갖고 형성된 디스크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로터리 부재의 치차와 치합할 수 있는 이송 돌출부를 갖는 구동 부재를 형성하는 것과 로터리 부재의 치차와 치합할 수 있는 치차를 갖는 록킹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동 부재의 이송 돌출부는 중앙축과 관하여 록킹 부재에 대하여 반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구동 부재를 제 2 방향으로 누르는 바이어싱 부재 및 구동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고 제 2 방향으로의 구동 부재 이동을 억제하는 제 1 위치 및 제 2 방향으로의 구동 부재 이동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를 갖는 제어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핀을 구비한 구동 부재 및 핀과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구멍을 갖고 형성된 제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엑츄에이터 메커니즘은 록킹 부재를 로터리 부재를 향하여 미는 바이어싱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록킹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핀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록킹 부재의 핀과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구멍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가이드 구멍과 록킹 부재의 핀 사이의 결합을 목적으로 록킹 부재는 구동 부재의 이동과 함께 회전한다.
나아가, 구동 부재를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하고 플레이트 내에 중앙축을 통과시키기 위한 타원형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 부재를 제 1 위치로 미는 바이어싱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구조에서, 시트 높이 조절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로터리 부재는 단지 구동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록킹 부재가 로터리 부재와 결합하고 구동 부재가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록킹 상태로부터 록킹 부재가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되고 구동 부재가 로터리 부재와 결합되는 작동 상태로 전환되며, 또한 그 반대로 전환된다. 시트 높이 조절기는 구동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한다. 이 구조는 일반적인 시트 높이 조절기보다 조작을 보다 쉽게 하며, 또한 매우 간단한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제 1 위치에 설정된 제어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한 방향(상향 또는 하향)으로 반복적으로 눌려지며 따라서 구동 부재는 왕복적으로 이동하고 그 왕복 운동은 록킹 부재 및 이송 돌출부에 전달된다. 그 결과, 록킹 부재는 로터리 부재와 함께 상호 록킹된 록킹-및-해제 동작을 발생시킨다. 즉, 구동 부재의 왕복 운동의 결과로서 록킹 부재는 반복적으로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되고 로터리 부재와 결합한다. 이송 돌출부가 로터리 부재와 결합하고 록킹 부재가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로터리 부재는 구동 부재와 함께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결과 시트의 높이가 증가 또는 감소된다.
구동 부재는 이송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로터리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은 구동 부재와 별도로 설치된 이송 기어가 그들의 상호 록킹 작용에 의하여 구동 부재와 결합하고 구동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일반적인 장치와 비교하여 단순하다.
본 출원은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 2000-197700 호를 기초로 하며, 그 내용은 본 설명에 의하여 참고로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이 그 필수적인 특징들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 이전의 설명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기 때문에 청구범위의 한계 및 경계 내에 해당하는 모든 변화 또는 이러한 한계 및 경계의 등가물은 따라서 청구범위에 의하여 포함되도록 하기 위하여 의도되었다.
Claims (9)
- 중앙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시트 높이 조절기를 작동시키는 로터리 부재;로터리 부재가 회전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로터리 부재와 결합될 수 있으며, 로터리 부재의 회전을 허용하게 하기 위하여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록킹 부재;중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중앙축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로터리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되,구동 부재는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록킹 부재를 로터리 부재와 결합하게 하고,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되며,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록킹 부재를 로터리 부재로부터 분리하고, 로터리 부재와 결합하여, 그로 인하여 로터리 부재가 구동 부재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어 시트 높이 조절기를 작동시키는,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
- 제 1항에 있어서,로터리 부재는 디스크 부분을 가지고, 디스크 부분의 원주에 치차를 가지며,구동 부재는 로터리 부재의 치차와 결합할 수 있는 이송 돌출부를 가지며,록킹 부재는 로터리 부재의 치차와 결합할 수 있는 치차를 갖는,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
- 제 2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의 이송 돌출부는 중앙축에 관하여 록킹 부재에 대하여 반대 위치에 있는,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
- 제 3항에 있어서,제 2 방향으로 구동 부재를 미는(urge) 바이어싱 부재; 및구동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며, 구동 부재의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 1 위치 및 구동 부재의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를 갖는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
- 제 4항에 있어서,구동 부재는 핀을 가지며;제어 부재는 중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핀과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구멍을 갖는,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
- 제 5항에 있어서, 로터리 부재를 향하여 록킹 부재를 미는 바이어싱 부재를더 포함하되,록킹 부재는 선회점(pivot)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핀을 가지며;구동 부재는 록킹 부재의 핀과 결합 가능한 가이드 구멍을 가지며,그로 인하여 가이드 구멍과 록킹 부재의 핀 간의 결합을 목적으로 구동 부재의 운동으로 록킹 부재가 회전하는,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
- 제 6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는 플레이트 형태이며, 중앙축을 통과시키기 위한 타원형 구멍을 갖는,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
- 제 7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를 제 1 위치로 미는 바이어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
- 제 3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를 로터리 부재를 향하여 미는 바이어싱 부재를 더 포함하되,록킹 부재는 선회점(pivot)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핀을 가지며;구동 부재는 록킹 부재의 핀과 결합 가능한 가이드 구멍을 가지며,그로 인하여 가이드 구멍과 록킹 부재의 핀 간의 결합을 목적으로 구동 부재의 운동으로 록킹 부재가 회전하는,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메커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197700 | 2000-06-30 | ||
JP2000197700A JP2002010860A (ja) | 2000-06-30 | 2000-06-30 | シートのリフター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2294A true KR20020002294A (ko) | 2002-01-09 |
KR100812868B1 KR100812868B1 (ko) | 2008-03-11 |
Family
ID=1869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38051A KR100812868B1 (ko) | 2000-06-30 | 2001-06-29 |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578803B2 (ko) |
EP (1) | EP1167113A1 (ko) |
JP (1) | JP2002010860A (ko) |
KR (1) | KR1008128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2108B1 (ko) * | 2008-06-18 | 2014-03-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82039A (ja) * | 2003-04-21 | 2006-07-13 | T S Tec Kk | 自動車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
DE102004055535B3 (de) * | 2004-11-17 | 2006-07-20 | Johnson Controls Gmbh | Strukturelement für einen Sitz,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
CN101407187B (zh) * | 2007-10-12 | 2012-11-21 | 湖北中航精机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双向驱动装置 |
JP5576214B2 (ja) * | 2010-08-30 | 2014-08-20 | シロキ工業株式会社 | 有段リフタ装置 |
FR3009244B1 (fr) * | 2013-07-31 | 2017-01-13 | Faurecia Sieges D'automobile | Ensemble mecanique pour verrouiller un levier sur un mecanisme de reglage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tel ensemble mecanique |
US11766956B2 (en) | 2016-09-08 | 2023-09-26 |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 Open architecture power length adjuster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106314218B (zh) * | 2016-10-27 | 2018-08-17 | 延锋安道拓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 基于3z齿轮机构的手动座椅调高装置 |
CA3039628C (en) * | 2016-11-16 | 2024-04-02 | Precision Planting Llc | Seed delivery apparatus |
WO2020146579A1 (en) | 2019-01-09 | 2020-07-16 |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 Power seat track assembly |
DE102020200205A1 (de) * | 2019-01-29 | 2020-07-30 |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 Zahnradanordnung für eine Sitzeinstellung |
US11760233B2 (en) | 2019-02-20 | 2023-09-19 |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 Ultra-compact power length adjuster with anti-back drive capability and pinion-rack output for a vehicle seat |
US11485255B2 (en) | 2020-05-01 | 2022-11-01 |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 Gearbox for vehicle seat adjustment mechanism |
US11529892B2 (en) | 2020-05-01 | 2022-12-20 |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 Gearbox for vehicle seat adjustment mechanism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576251B2 (en) * | 1984-08-31 | 1988-08-18 | Tachikawa Spring Co. Ltd. | A rotation adjusting apparatus |
KR960004301B1 (ko) * | 1986-03-03 | 1996-03-30 | 후지 기꼬오 가부시끼가이샤 | 차량용 시이트 |
JPH0659803B2 (ja) | 1986-05-22 | 1994-08-10 | 富士機工株式会社 | 車両用シ−ト |
JPH0723075B2 (ja) * | 1986-03-31 | 1995-03-15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自動車座席の高さ調整装置 |
AU584471B2 (en) * | 1986-11-04 | 1989-05-25 | Tachi-S Co., Ltd. | Height adjuster operation mechanism for an automotive seat |
US4834333A (en) * | 1988-03-08 | 1989-05-30 | Tachi-S Co., Ltd. |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utomotive seat |
US4903931A (en) * | 1988-06-30 | 1990-02-27 | Tachi-S Company, Ltd. | Lifter for automotive seat |
US5007611A (en) * | 1990-01-04 | 1991-04-16 | Tachi-S Co. Ltd. | Operation mechanism of lifter for automotive seat |
JP2869581B2 (ja) * | 1990-11-30 | 1999-03-10 | テイ・エステック株式会社 | 可逆回転操作可能なラチェット機構 |
US5865285A (en) * | 1995-02-03 | 1999-02-02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 Manual drive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to produce a rotary movement, more particularly for vehicle seats |
FR2731256B1 (fr) * | 1995-03-01 | 1997-05-09 |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 Mecanisme de commande d'un organe rotatif au moyen d'une poignee pivotante, et siege equipe d'un tel mecanisme |
FR2750186B1 (fr) | 1996-06-21 | 1998-08-28 |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 Mecanisme de commande d'un organe rotatif au moyen d'une poignee pivotante, et siege equipe d'un tel mecanisme |
FR2750185B1 (fr) | 1996-06-21 | 1998-09-04 |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 Mecanisme pour commander un organe de sortie rotatif au moyen d'un poignee, et sieg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
IT1291500B1 (it) | 1997-02-05 | 1999-01-11 | Proma Srl |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dell'assetto di un sedile per autoveicoli |
JP3998791B2 (ja) * | 1998-01-28 | 2007-10-31 | しげる工業株式会社 | 座席の高さ調節装置 |
JP4099683B2 (ja) * | 1998-09-25 | 2008-06-11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 |
DE19942994C1 (de) * | 1999-09-09 | 2001-03-22 | Keiper Gmbh & Co | Schrittschaltmechanik für einen Fahrzeugsitz |
-
2000
- 2000-06-30 JP JP2000197700A patent/JP2002010860A/ja active Pending
-
2001
- 2001-06-29 EP EP01114867A patent/EP1167113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1-06-29 US US09/893,539 patent/US657880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6-29 KR KR1020010038051A patent/KR1008128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2108B1 (ko) * | 2008-06-18 | 2014-03-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2868B1 (ko) | 2008-03-11 |
JP2002010860A (ja) | 2002-01-15 |
EP1167113A1 (en) | 2002-01-02 |
US6578803B2 (en) | 2003-06-17 |
US20020000502A1 (en) | 2002-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2868B1 (ko) | 시트 높이 조절기에 사용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장치 | |
US4556251A (en) | Lumbar support device | |
US4222543A (en) | Vertical and angular adjustment device for vehicle seats | |
US6464193B1 (en) | Seat lifter with ratchet-type lever mechanism | |
US5881854A (en) | Mechanism for controlling a rotary member by means of a pivoting handle, and a seat fitted with such a mechanism | |
US6869143B2 (en) | Recliner clutch mechanism for vehicle seat | |
JP3723797B2 (ja) | 前方に折り畳むことができる背もたれを有する乗物用シート | |
US5433507A (en) | Seatback recliner mechanism | |
US8201846B2 (en) | Backrest recline adjustment device for a stroller | |
JPH0234443A (ja) | 直線座席傾け器 | |
US6484995B1 (en) | Seat lifter with ratchet-type lever mechanism | |
JPH0729577B2 (ja) | 傾斜折り畳みシートバックを備えるシート | |
JPH0712325B2 (ja) | 座席背もたれの枢支機構 | |
EP0776782B1 (en) | Adjustable hinge mount for seats | |
US20070295145A1 (en) | Steering device | |
CA2243066C (en) | Linear recliner | |
US20050093345A1 (en) | Switching apparatus | |
JP2900191B2 (ja) | 椅 子 | |
KR20050030302A (ko) | 차량 시트 리클라이너 | |
JP2003125880A (ja) | ラチェット式レバー機構 | |
GB2278772A (en) | Lever actuated seat recliner | |
JP2005209158A (ja) | 操作軸の回転送り構造 | |
JPH0336288Y2 (ko) | ||
JP5049529B2 (ja) | ロッキング機構用ロック装置 | |
JPS6322913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