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724A -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724A
KR20020000724A KR1020010036325A KR20010036325A KR20020000724A KR 20020000724 A KR20020000724 A KR 20020000724A KR 1020010036325 A KR1020010036325 A KR 1020010036325A KR 20010036325 A KR20010036325 A KR 20010036325A KR 20020000724 A KR20020000724 A KR 20020000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det
student
computer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가노다카시
모토야마다카유키
Original Assignee
스가노 다카시
유겐가이샤 티. 아이. 에스
사싸 데루오
이. 스테이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노 다카시, 유겐가이샤 티. 아이. 에스, 사싸 데루오, 이. 스테이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노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20000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7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8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문제의 작성으로부터 해답용지의 회수, 집계를 포함하여 일원화 관리가 가능한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서버(학교)는 교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생도에 서로 마주보며 첨삭교재를 자동적으로 선택(스텝 2), 첨삭과제데이터를 클라이언트(생도)의 퍼스컴에 송신하여(스텝 3), 생도는 송부되어온 첨삭과제데이터에 그대로 퍼스컴상에 해답을 써넣어서 서버(학교)에 반송한다(스텝 8). 서버(학교)는 생도로부터 송부되어온 해답데이터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열어서 첨삭하여(스텝 10), 데이터베이스에 들어있는 레벨단원마다의 문제로부터 각 생도의 학습 커리큘럼 및 분야마다의 이해상황에 의거하여 첨삭데이터를 등록(스텝 12)하여 둠으로써, 생도의 학습과제작성에서 이해도 상황작성까지를 일원화 관리를 한다.

Description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INTERNET LEARNING SUPPORT SYSTEM BY COMPUTER SYSTEM}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도, 학생의 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 소위 통신첨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통신첨삭시스템은 대체로 이하와 같은 수순에 의하여 생도(학생)의 학습의 지원이 행하여진다. 즉, 학교측이 학습 커리큘럼 및 분야마다에 첨삭용 교재를 선택, 해답기한을 정하여 그 교재의 문제가 인쇄된 문제용지와 해답용지를 생도에게 우송한다.
생도는 문제용지에 기재되어 있는 문제를 풀고, 펜으로 그 해답을 해답용지에 써넣어, 그 해답용지를 기한까지 학교앞으로 우송한다. 학교는 생도로부터 우송되어온 해답을 받아서, 지정된 선생에게 그 해답용지의 첨삭을 의뢰한다. 지정된 선생은 우송되어온 생도로부터의 해답용지에 주필을 넣어서 첨삭하여 득점, 강평을 첨부하여 학교측에 되돌려준다.
학교측에서는, 우송되어온 모든 생도의 답안을 집계하여, 집계결과로부터 각 생도의 순위, 지망교의 합격여부 등을 포함한 판정결과의 정보를 작성하여, 그 정보를 해답용지와 같이 생도에게 우송한다. 더욱이 학교측은 그 정보를 축적하여 학습 커리큘럼의 작성, 각각의 교과에 대한 각 생도의 이해상황의 파악의 자료로서활용한다.
상기 시스템에 의한 때에는, 학교측의 작업으로서 각 생도로의 문제용지와 해답용지의 송부, 생도로부터 반송되어온 해답용지의 분류, 선생에로의 첨삭의뢰, 답안의 집계, 정보의 작성, 각 생도로의 정보제공과 해답용지의 반송 등의 방대한 작업이 필요하며, 또 생도과 학교간의 통신을 우편이나 택배편 등에 의한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행하고 있으므로 통신에 시간이 지나치게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다만, 현재에는, 반드시 학교와 생도간의 통신을 우송이나 택배편에 의한 운송수단에 의하지 않아도 팩시밀리나 전자메일에서의 교환이 가능하며, 팩시밀리나 전자메일의 이용에 의해 통신에 요하는 시간은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생도로부터 반송되어온 해답용지의 집계에 전용 소프트를 작성하면 컴퓨터를 사용하여 집계, 판정 결과의 출력, 각종 정보의 작성, 출력은 비교적 단시간에 행할 수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학교와 생도간의 통신을 팩시밀리나 전자메일로 행하고 더욱이 생도로부터 반송되어온 해답용지의 집계에 전용 소프트를 사용하여 컴퓨터로 처리하였다 하여도, 문제의 작성이나, 해답용지에 써넣은 답안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등의 작업은 의연히 사람손에 의하여 행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제의 작성으로부터 해답용지의 회수, 집계를 포함하여 사람손을 요함이 없이 일원화관리가 가능한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 2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실시형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첨삭과제용 교재의 자동선정요령을 도시한 도,
도 5는 클라이언트의 학습지원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컴퓨터 서버 NW: 컴퓨터 네트워크
2, 2B: 퍼스컴 3: 교재데이터베이스
4: 생도 시스템 정보 데이터베이스
5: 생도 성적 데이터베이스 6: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
7: 처리장치 8: 문제작성처리기능
9: 첨삭처리기능 10: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
11: 전자메일수신박스 12: 처리장치
13: 데이터베이스 자동등록처리기능
14: 해답처리기능 15: 전자메일송신박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지원 시스템에 있어서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사용한 서버인 학교의 컴퓨터에서 클라이언트인 생도의 컴퓨터에 대하여 생도의 학습지원을 행하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지원 시스템으로서, 교재의 선정처리와, 첨삭과제용 데이터의 송신처리와 해답데이터의 수선처리와, 첨삭처리와, 첨삭데이터의 등록처리와, 첨삭데이터의 송신처리를 가지며,
교재의 선정처리는, 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각 생도의 학습 커리큘럼 및 분야마다의 이해도 상황정보에 의거하여, 교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생도에 맞는 첨삭용 교재를 자동적으로 선정하는 처리이며, 첨삭과제용 데이터의 송신처리는 생도를 특정하여 그 생도앞으로의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선정된 첨삭과제용 데이터를 첨부하여 그 생도앞으로 전자메일을 송신하여, 그 생도에 대하여 해답의 반송을 채촉하는 처리이고,
해답데이터의 수신처리는 전자메일에서 생도로부터 반송되어온 첨삭과제용 데이터에 대한 해답을 수신하여 첨부되어 있는 해답데이터를 여는 처리이고,
첨삭처리는 연 해답데이터에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패드나 펜마우스를 사용하여 손으로 써서 첨삭을 써넣어서, 해답데이터에 다이렉트로 손으로 쓰는 첨삭을 행하는 처리이며,
첨삭데이터의 등록처리는 해답데이터의 첨삭후, 일단 템포러리 디렉토리로 보존한 생도마다의 첨삭데이터를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는 처리이고,
첨삭데이터의 송신처리는,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신리스트를 표시하여, 생도마다에 송신이력의 내용과 첨삭데이터를 첨부한 전자메일을 자동작성하여, 그 메일을 생도앞으로 송신하여, 그 송신기록을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는 처리이다.
또, 교재의 선정처리는 교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생도에게 맞는 첨삭용 교재를 자동적으로 작성함에 있어, 교재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레벨별, 교과분야 단원마다에 문제를 랜덤으로 조합하여 문제작성을 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교재의 선정처리는, 생도의 이해상황 판단정보에 의한 생도의 이해도 상황을 기초로, 나누어진 단계에 의하여 문제를 선정하는 처리로서, 생도 성적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된 생도의 교과명·단원명·분야명·득점을 기본으로 교재 데이터베이스와 조합하여, 그 조합결과를 기초로, 해당 교과·분야·단원에 속하고 있는 문제를 랜덤으로 추출하여 문제작성 때에 생도성적 데이터베이스 이수완료 문제를 제외, 우선순위의 높은 것으로부터 순차로 복수의 문제들을 추출하는 처리이다.
또, 첨삭처리는 생도로부터 반송되어온 해답데이터에 컴퓨터의 화면상으로 패드나 펜마우스를 사용하여 손으로 쓴 문자로 첨삭을 써넣어서, 컴퓨터에 손으로 쓴 문자를 인식시켜 해답데이터에 다이렉트로 손으로 써서 첨삭을 행하는 처리이고, 선의 굵기·색지정이나 키보드에서의 활자입력을 자유로이 행하고, 단 첨삭을잘못 썼을 때는 고무지우개 기능을 사용하여 첨삭의 내용을 소거하여도 생도의 해답데이터는 지워지지 않으며, 선생의 첨삭한 것만이 지워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 첨삭데이터의 송신처리는 입력장치에 생도의 ID를 입력함으로써, 생도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생도의 성명 및 생도의 메일어드레스가 표시되어, 첨삭의 단원·분야·첨삭자명을 입력함으로써, 그 기록을 첨삭데이터와 같이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이다.
또,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학교인 서버는, 클라이언트인 생도의 컴퓨터에 대하여 첨삭과제데이터를 송신하여 첨삭과제데이터는 생도가 첨삭과제데이터에 그대로 컴퓨터의 화면상에 해답을 써넣어서 서버의 컴퓨터에 반송이 가능한 것이다.
또, 입학처리를 더 가지며,
입학처리는 직접 학교의 창구에서 접수하는 외에 전자메일이나 팩시밀리 등에 의하여도 접수되며, 입학원소의 기재내용은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여 이것을 데이터베이스에 임포트하는 처리이다.
또,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사용하여 서버인 학교의 컴퓨터에서 클라이언트인 생도의 컴퓨터에 대하여 생도의 학습지원을 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지원 시스템으로서, 교재의 선정처리와, 첨삭과제용 데이터의 송신처리와 해답데이터의 수신처리와, 첨삭처리와, 첨삭데이터의 보존처리와, 첨삭데이터의 송신처리를 행하는 서버측의 컴퓨터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교재 데이터베이스, 생도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 생도성적 데이터베이스,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교재 데이터베이스의 격납정보는,
1 교과명(교육의 목적, 방법, 생도의 발달의 정도에 따라서 수업의 재료를 나눈 것의 명칭), 2 단원명(교과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3 분야명(단원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4 레벨(교재의 문제의 난이), 5 문제 ID, 6 문제파일, 7 해답파일, 8 우선순위(교재의 문제를 추출하는 순번을 부여한 것)이며,
생도성적 데이터베이스의 격납정보는,
1 생도 ID, 2 생도명, 3 교과명(교육의 목적, 방법, 생도의 발달의 정도에 따라서 수업의 재료로 나눈 것의 명칭), 4 단원명(교과서 마다에 배워야만 할 항목), 5 분야명(단원마다에 배워야할 항목), 6 득점, 7 이수완료 문제 ID이며,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의 격납정보는
1 생도 ID, 2 생도명, 3 첨삭날짜, 4 교과명, 5 단원명, 6 분야명, 7 첨삭자명, 8 송신상황(미송신과 송신완료의 구별)이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지원 시스템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학교는 서버이며, 생도는 클라이언트이다. 또 학교는 정규의 학교뿐만 아니라 전문학교, 학습기관, 예비교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서버(학교)의 컴퓨터(1)는 경로제어장치, 전화회선을 경유하여 컴퓨터 네트워크(NW)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생도)의 컴퓨터(이하 퍼스컴이라 함)(2, 2…)는, 서버(학교)의 컴퓨터(1)에 컴퓨터 네트워크(NW)에 의하여 접속되어있다.
클라이언트측의 각 퍼스컴(2, 2…)에는, 각각 CRT,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와 동시에, 키보드, 마우스라고 하는 입력장치를 가지고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학습지원 시스템의 소프트프로그램은 서버측의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측의 프로그램을 1세트로서 조합되어 있는 것이다.
1. 서버(학교)의 컴퓨터의 학습지원 시스템의 구성
서버(학교)의 컴퓨터(1)가 처리장치와, 입력장치와, 출력장치 등을 기본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은 통상의 서버의 구성과 같다. 실제로는 퍼스컴이 사용되고 있으나, 클라이언트의 퍼스컴과 구별하기 위해, 컴퓨터로서 설명하고 있다. 처리장치는 CPU를 포함, 각부의 제어나, 데이터의 전송, 여러가지의 연산, 데이터의 일시적인 격납 등을 행하는 것이다. 입력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이언트의 퍼스컴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것이고, 출력장치는 각 퍼스컴에 출력하는 데이터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버(학교)측의 컴퓨터(1)의 데이터베이스로서 교재 데이터베이스(3), 생도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4), 생도성적 데이터베이스(5),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6)를 가지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의 정보를 격납하고 있다.
(1) 교재 데이터베이스의 격납정보
1 교과명(교육의 목적, 방법, 생도의 발달의 정도에 따라서 수업의 재료를 나눈 것의 명칭), 2 단원명(교과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3 분야명(단원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4 레벨(교재의 문제의 난이), 5 문제 ID, 6 문제파일, 7 해답파일, 8 우선순위(교재의 문제를 추출하는 순번을 붙인 것).
(2) 생도 시스템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격납정보
1 생도 ID, 2 생도명, 3 생도의 FAX 번호, 4 생도의 FAX ID, 5 생도의 E-mail 어드레스.
(3) 생도 성적 데이터베이스의 격납정보
1 생도 ID, 2 생도명, 3 교과명(교육의 목적, 방법, 생도의 발달의 정도에 따라서 수업의 재료를 나눈 것의 명칭), 4 단원명(교과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5 분야명(단원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6 득점, 7 이수완료 문제 ID.
(4)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격납정보
1 생도 ID, 2 생도명, 3 첨삭날짜, 4 교과명, 5 단원명, 6 분야명, 7 첨삭자명, 8 송신상황(미송신과 송신완료의 구별).
처리장치(7)는 문제작성처리기능(8)과, 첨삭처리기능(9)을 가지며, 문제작성처리기능(8)과 첨삭처리기능(9)은 판독한 데이터 혹은 퍼스컴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하의 기능을 실행한다.
A. 문제작성처리기능
(1) 첨삭용 교재의 선정기능
생도의 학습 커리큘럼 및 각 교과의 단원·분야 마다의 이해도 상황을 기초로 교재 데이터베이스(3)에 기록되어 있는 레벨별 단원·분야마다에 준비되어 있는 수십종류의 문제데이터를 랜덤으로 조합하는 기능이다.
(2) 첨삭과제용 데이터의 송신기능
작성된 첨삭과제용 데이터를 생도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각 생도앞으로 첨삭과제용 데이터를 첨부한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자동송신하는 기능이다.
B. 첨삭처리기능
(1) 해답데이터수신기능
첨삭과제용 데이터에 해답을 쓴 생도가 전자메일로 반송되어온 해답데이터를 수신하여, 첨부파일을 더블클릭함으로써 해답데이터파일을 여는 기능이다.
(2) 생도의 이해상황 판단기능
교과·단원·분야마다 체크테스트를 행하고, 생도의 이해도 상황 및 이수필요시간수를 산출하여, 5단계의 레벨로 나누는 기능이다.
(3) 첨삭데이터송신기능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화면에 생도의 송신리스트가 표시된다. 첨삭데이터송신기능을 그 리스트에 표시되어 있는 생도명을 더블클릭함으로써, 첨삭단원·날짜·첨삭자의 내용과 압축한 첨삭데이터를 첨부한 전자메일을 자동작성하여, 생도의 퍼스컴앞으로 첨삭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이다.
(4) 펜마우스에 의한 핸드라이팅반영기능
패드나 화면에 좌표축을 취하고, 써넣은 문자나 선의 위치정보를 좌표로서 기록하여, 지정된 펜의 색이나 굵기로 묘화하는 기능이다. 첨삭과제용 데이터에 해답을 써서 생도가 전자메일로 반송되어온 해답데이터를 선생이 첨삭할 때에 사용한다.
(5) 지우개 고무기능
첨삭을 잘못 썼을 때에 생도의 해답데이터는 지워지지 않으며, 지정된 첨삭의 내용만을 지우는 기능이다. 첨삭과제용 데이터에 해답을 써서 생도가 전자메일로 반송되어온 해답데이터를 선생이 첨삭할 때에 사용한다.
3. 클라이언트(생도)의 퍼스컴의 학습지원 시스템의 구성
생도의 퍼스컴이 처리장치와, 입력장치와, 출력장치와, 데이터베이스 등을 기본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은 서버(학교)의 컴퓨터의 구성과 같다.
처리장치는 CPU를 포함, 각 부의 제어나, 데이터의 전송, 여러가지의 연산, 데이터의 일시적인 격납 등을 행하는 것이며, 입력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것이고, 출력장치는 생도의 퍼스컴에서 서버로 출력하는 데이터를 제어한다.
도 5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는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10)이며,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10)에는 서버(학교)(1)에서 보내져온 첨삭과제데이터와, 선생이 첨삭한 첨삭데이터를 보관한다. 서버(학교)(1)에서 보내져온 첨삭과제데이터와, 선생이 첨삭한 첨삭데이터는 처리장치(12)에 의하여 처리된다. 처리장치(12)는 데이터베이스 자동등록처리기능(13)과, 해답처리기능(14)으로 대별되어 이하의 기능을 실행한다.
A. 데이터베이스 자동등록 처리기능
(1) 첨삭데이터/첨삭과제데이터의 보존기능
서버(학교)(1)에서 보내져오는 첨삭데이터/첨삭과제데이터는 전자메일 수신박스(11)에 수신이 된다. 첨삭데이터/첨삭과제데이터는 송신용량을 작게 하기 위해 압축되어 있으므로, 그 데이터를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에 드랙&드롭함으로써 압축한 그대로 데이터를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10)에 보존하는 기능이다.
(2) 첨삭과제데이터의 꺼내기 기능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10)에서 교과·단원·날짜 등을 입력하여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보존되어 있는 그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꺼내는 기능이다.
(3) 첨삭데이터 수신기능
압축하여 보내져온 첨삭데이터를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에 수신하는 기능이다.
B. 해답처리기능
(1) 펜마우스에 의한 핸드라이팅 반영기능
패드나 화면에 좌표축을 취하고, 써넣은 문자나 선의 위치정보를 좌표로서 기록하여, 지정된 펜의 색이나 굵기로 묘화하는 기능이다. 생도가 첨삭과제용 데이터에 해답을 써넣을 때에 사용한다.
(2) 고무지우개기능
해답을 잘못 썼을 때에 지정된 정정 혹은 수정할 해답의 내용만을 지우는 기능이다.
(3) 해답데이터 송신기능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10)에서 꺼내진 첨삭과제용 데이터에 생도가 해답을 가한 데이터가 해답데이터이다. 해답데이터를 첨부한 전자메일을 자동작성하여 전자메일송신박스(15)에서 서버(1)에 송신한다.
4. 동작의 설명
이하에 도 3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입한 클라이언트(생도)의 퍼스컴(2, 2,…)은 컴퓨터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서버(학교)의 컴퓨터(1)와 통신을 행하고, 첨삭과제데이터의 수신의 단말로서, 또 첨삭데이터의 수신의 단말로서 기능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서버(1)와 특정의 생도의 퍼스컴(2B) 사이에서 통신하는 것으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4-1. 입학처리(스텝 1)
학교는 생도를 모집하여 입학자의 설명, 주소, 연령 등의 개인정보, 메일 어드레스, ID 등의 개인정보를 서버의 생도 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을 한다. 또 전입학자에 전용의 ID를 교부하여 테스트를 행하고, 생도의 이해상황을 판단하여, 각 생도마다에 생도 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을 한단. 이상의 수속은 서버의 OCR 처리에 의하여 행한다. 입학수속은 직접 학교의 창구에서 접수하는 외에, 전자메일이나, 팩시밀리 등에 의하여도 접수, 입학원서의 기재내용은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여 이것을 생도 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4)에 임포트한다. 입학수속을 끝낸 생도에 대하여, 생도의 퍼스컴(2B)에 상기 처리장치(12)의 실행기능을교부한다. 이후 생도는, 교부된 ID를 사용,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통신을 행한다.
4-2. 첨삭과제용 교재의 선정처리(스텝 2)
학교는 생도 시스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각 생도의 학습 커리큘럼 및 분야마다의 이해도 상황정보에 의거하여, 교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생도에게 맞는 첨삭용 교재를 자동적으로 선정한다. 자동적으로 가려내는 처리는 교재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레벨단원마다의 수십 종류의 문제를 랜덤으로 조합하여 문제작성을 하는 것이다. 교재의 선정처리는 생도의 이해상황 판단기능의 실행에 의하여 얻어진 생도의 이해도 상황판단정보를 기초로 나누어진 예컨대 5단계의 레벨에 의하여 문제를 선정하는 처리로, 데이터가 정리되지 않은 초기동안은 교재의 선정처리를 하지 않으며, 각 생도에 같은 문제를 배포하게 된다. 선정처리요령을 도 4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먼저 생도성적 데이터베이스(5)에 격납된 생도의 교과명·단원명·분야명·득점을 기초로, 교재 데이터베이스(3)와 조합하여, 그 조합결과를 기본으로 해당 교과·분야·단원에 속하고 있는 수십 개의 문제를 랜덤으로 추출한다. 문제작성때에 생도성적 데이터베이스(5)의 이수완료문제를 제외, 우선순위의 높은 것으로부터 순차로 복수의 문제들을 추출한다. 생도성적 데이터베이스(5)의 생도의 ID와, 생도정보 데이터베이스(4)의 생도 ID를 조합하여 송신에 필요한 생도명·FAX 또는 E-mail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하여, 교재 데이터베이스(3)의 교과명·단원명·분야명 및 자동작성된 문제를 첨부하여 송신용 메일을 작성한다.
4-3. 첨삭과제용 데이터의 송신처리(스텝 3)
학교는 생도 ID 또는 생도를 선택함으로써, 그 생도앞으로의 전자메일을 자동작성하여 선정된 첨삭과제용 데이터를 첨부하여 그 생도앞으로 전자메일을 송신하고 생도에 대하여 해답의 반송을 촉진한다. 송신된 첨삭용 과제데이터는 컴퓨터 네트워크(인터넷 등)를 통하여 생도의 퍼스컴(2B)에 전자메일로서 도달한다. 송신용 메일은 어느 일정의 시간마다에 각 생도퍼스컴(2, 2…) 앞으로 송신이 된다.
4-4. 첨삭과제용 데이터의 수신처리(스텝 4)
생도는 서버(1)에서 자기의 퍼스컴에 도달한 첨삭과제용 데이터를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에 드랙&드롭한다.
4-5. 첨삭과제용 데이터의 등록처리(스텝 5)
생도는 송신되어온 데이터를 퍼스컴의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한다.
4-6. 학습과제의 검색처리(스텝 6)
생도는 학습지원시스템의 소프트에 내장되어 있는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 (10)에 오늘 학습할 첨삭과제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항목(날짜·과목·분야)에서 검색하여 목적의 첨삭과제용 데이터를 꺼내어 그 데이터를 연다.
4-7. 해답처리(스텝 7)
상기 스텝(5)에서 연 첨삭과제용 데이터를 퍼스컴(2B)의 화면에 표시하여 패드나 펜마우스를 사용하여 퍼스컴(2B)의 화면에 핸드라이팅으로 해답을 써넣어간다. 학습지원시스템은 핸드라이팅의 내용을 인식하여 첨상과제용 데이터에 다이렉트로 핸드라이팅 데이터를 반영한다(선의 굵기·색 등도 자유로이 설정할 수가 있다). 학습지원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종이에 쓰는 것과 같은 정도의 빠른 속도로 써도 쓴 것과 같은 것이 즉시 표시가 된다.
이것이 통상의 묘화(표시)처리라면 페이지 전체를 재묘화처리하기 위해, 핸드라이팅속도에는 도저히 추종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의한 학습지원시스템에 있어서는 구조체를 사용하여 좌표관리(핸드라이팅된 문자나 선의 위치를 2차원 좌표로서 생각, 그 쓴 순번과 좌표위치를 컴퓨터의 메모리상에 일시적으로 기록하는 것으로 하여 핸드라이팅 부분만의 재묘화처리를 행함으로써, 핸드라이팅속도와 같은 레벨의 속도로 처리를 가능케 하고 있다.
4-8. 해답데이터의 보존 및 송신처리(스텝 8)
생도의 해답이 끝나면 보존메뉴를 선택하고, 해답데이터/첨삭과제데이터의 보존기능을 작용시켜서, 핸드라이팅의 해답이 든 해답데이터를 보존하면 해답데이터를 첨부한 전자메일이 자동으로 작성되어, 해답데이터는 퍼스컴(2B)에서 서버(1)에 송신된다. 이때, 동시에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에 해답데이터가 자동적으로 등록된다. 이것에 의하여, 생도의 퍼스컴측의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10)에는 서버(1)에서 보내어져본 첨삭과제용 데이터와 그 해답데이터가 등록이 된다. 해답데이터는 팩시밀리로 서버(1)에 반송할 수도 있다.
4-9. 해답데이터의 수신처리(스텝 9)
컴퓨터 네트워크(인터넷)(NW)를 통하여 송신된 해답데이터는 생도의 퍼스컴(2B)에서 전자메일로서 서버(학교)의 컴퓨터(1)에 도달한다.
서버측에서는 생도로부터 송신되어온 전자메일을 열고 첨부되어 있는 해답데이터를 더블클릭한다. 그리함으로써 학습지원시스템의 소프트가 기동하여 생도의 해답데이터가 열린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학습지원시스템의 소프트는, TIFF 포맷·BMP 포맷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더블클릭하는 것으로 학습지원시스템의 소프트가 기동하여 즉시 첨부파일이 열려 있기 때문에, 퍼스컴상에 파일을 일단 보존하는 수고가 생략된다. 해답데이터가 팩시밀리로서 서버에 송신되어온 때에는 그 데이터를 화상데이터로서 컴퓨터에 거두어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4-10. 첨삭처리(스텝 10)
학습지원시스템의 소프트로 연 해답데이터에 선생이 패드나 펜마우스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화면상에 핸드라이팅으로 첨삭을 써넣어가면 학습지원시스템은 핸드라이팅을 인식하고, 해답데이터에 다이렉트로 핸드라이팅으로 첨삭을 행할 수가 있다. 선의 굵기·색등·키보드에서의 활자입력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첨삭을 잘못써서, 지우개 기능을 사용하여 첨삭의 내용을 소실하여도 생도의 해답데이터는 지워지지 않으며, 선생의 첨삭한 것만이 지워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학습지원시스템은 해답 등이 쓰여진 첨삭데이터파일의 위에 필터를 걸고 있으며(화상용어에서는 레이어를 바꾸고 있다고 말함), 곧 첨삭데이터에 쓴 것이 반영되지 않고 필터상에 쓰게 되므로 고무지우개기능을 사용하여도 생도의 해답이 지워지는 일은 없다. 그리고 보존할 때가 되어서는 비로서 첨삭데이터에 반영시키도록 되어 있다(이것을 레이어의 통합이라 말한다).
4-11. 첨삭데이터의 보존처리(스텝 11)
해답데이터의 첨삭이 끝나고, 보존메뉴를 선택하면, 핸드라이팅의 첨삭이 든 첨삭데이터는 템포러리 디렉토리(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기 전의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디렉토리)에 보존이 된다.
4-12.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에로의 등록처리(스텝 12)
첨삭데이터의 보존처리가 끝나면,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 등록화면이 기동되어, 입력장치에 생도의 ID를 입력하면 생도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4)와 연동하여 생도성명 및 생도의 메일어드레스가 표시된다. 선생은 첨삭의 단원·분야·첨삭자명을 입력하여 버튼을 누르면, 그 기록이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6)에 등록이 된다. 첨삭데이터가 도달한 만큼의 사람의 명수에 대하여 이 처리를 행한다. 다음의 첨삭데이터의 송신처리로 생도에게 송신한 전자메일의 기록도 아울러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6)에 보존한다.
4-13. 첨삭데이터의 송신처리(스텝 13)
생도로부터 송신되어온 해답데이터의 모든 첨삭이 끝나면,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6)로부터 자동적으로 송신리스트가 표시되어, 해당하는 생도명을 더블클릭하면, 첨삭데이터를 첨부한 전자메일이 자동작성되어 그 메일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생도앞으로 송신되어 그 기록은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6)에 보존이 된다.
또한 서버측에서는, 그후에도 필요에 따라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6)로부터 첨삭된 생도의 첨삭데이터를 자유로이 불러낼 수가 있으며, 불러낸 첨삭데이터를 또한 첨삭하거나, 그 첨삭데이터나, 첨삭데이터를 송신한 생도의 송신이력을 인쇄할 수가 있다.
4-14. 첨삭데이터의 수신처리(스텝 14)
서버측에서 송신된 첨삭데이터는 컴퓨터 네트워크(인터넷 등)(NW)를 통하여 생도의 퍼스컴(2B)에 전자메일로서 수신한다.
4-15. 첨삭데이터의 수신처리(스텝 15)
생도는 퍼스컴(2B)에 도달한 첨삭데이터를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10)에 드랙&드롭함으로써 첨삭데이터를 등록한다. 반송되어온 첨삭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불러내어 인쇄할 수가 있다. 생도는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한 첨삭데이터를 선택하여 학습지원시스템의 소프트프리뷰기능을 사용, 선생이 첨삭한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스텝(7)에 복귀, 틀린 개소를 또 한번 다시하여 스텝(8)에서 서버측에 또 한번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텝(4, 9)에 있어서 생도측 첨삭용 데이터·해답데이터 등의 자동수신의 처리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측에 학습지원 시스템을 기동시켰을 때 전자메일의 수신트레이에 있는 첨삭용·해답데이터의 유무가 체크되어, 첨삭용 데이터나 해답데이터가 트레이내에 있으면 그 데이터가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거두어들여서, 첨삭과제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것이다.
또 스텝(9)에 있어서 서버측에서 해답데이터를 수신함에 있어서는 학습지원시스템을 기동한 때에 퍼스컴내에 있는 전자메일의 수신트레이에 있는 첨삭용·해답데이터의 유무가 체크되어, 해답데이터가 있으면 자동 거두어드려, 첨삭화면상에서 파일을 연다. 또 송신되어온 생도인수분을 읽어내어 버튼을 누르면, 읽어낸 생도의 인수분의 해답데이터의 파일을 첨삭화면상에서 순차로 열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할 때에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학교)는 첨삭과제데이터를 클라이언트(생도)의 퍼스컴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생도는 보내어져온 첨삭과제데이터에 그대로 퍼스컴상에서 해답을 써넣어서 반송이 가능하며, 학교와 생도간에서의 통신의 즉시성을 얻을 수 있다.
또 교재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레벨단원마다의 문제에서 각 생도의 학습 커리큘럼 및 분야마다의 이해상황에 의거하여, 교과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생도가 대조해보아 맞는 첨삭교재를 자동적으로 선택·첨삭 후의 해답데이터를 보존하여 놓음으로써, 생도의 학습과제작성에서 이해도 상황작성까지를 일원화 관리하는 것이 가능케 되어 생도로부터 반송된 해답데이터를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열고, 그 데이터에 패드나 펜마우스를 사용하여 다이렉트로 핸드라이팅으로 첨삭을 행할 수가 있어서, 첨삭에서 생도의 이해도 상황작성작업을 합리적으로 진행할 수가 있다.

Claims (8)

  1.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사용, 서버인 학교의 컴퓨터에서 클라이언트인 생도의 컴퓨터에 대하여 생도의 학습지원을 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지원 시스템으로서, 교재의 선정처리와, 첨삭과제용 데이터의 송신처리와, 해답데이터의 수신처리와, 첨삭처리와, 첨삭데이터의 등록처리와, 첨삭데이터의 송신처리를 가지며,
    교재의 선정처리는, 시스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각 생도의 학습 커리큘럼 및 분야마다의 이해도 상황정보에 의거하여, 교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생도에 맞는 첨삭용 교재를 자동적으로 선정하는 처리이며,
    첨삭과제용 데이터의 송신처리는, 생도를 특정하여 그 생도 앞으로의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선정된 첨삭과제용 데이터를 첨부하여 그 생도앞으로 전자메일을 송신하고, 그 생도에 대하여 해답반송을 재촉하는 처리이며,
    해답데이터의 수신처리는, 전자메일로 생도로부터 반송되어온 첨삭과제용 데이터에 대한 해답을 수신하여, 첨부되어 있는 해답데이터를 여는 처리이고,
    첨삭처리는, 연 해답데이터에,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패드나 펜마우스를 사용하여 손으로 써서 첨삭을 써넣어, 해답데이터에 다이렉트로 손으로 써서 첨삭을 행하는 처리이며,
    첨삭데이터의 등록처리는 해답데이터의 첨삭후, 일단 템포러리 디렉토리로 보존한 생도마다의 첨삭데이터를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처리이고,
    첨삭데이터의 송신처리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신리스트를 표시하여, 생도마다에 송신이력의 내용과 첨삭데이터를 첨부한 전자메일을 자동 작성하여, 그 메일을 생도앞으로 송신하여, 그 송신기록을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교재의 선정처리는 교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생도에 맞는 첨삭용 교재를 자동적으로 작성함에 있어 교재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레벨별, 교과분야 단원마다에 문제를 랜덤으로 조합하여 문제작성을 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교재의 선정처리는 생도의 이해상황 판단정보에 의한 생도의 이해도 상황을 기초로 나누어진 단계에 의하여 문제를 선정하는 처리로서, 생도성적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된 생도의 교과명·단원명·분야명·득점을 기초로 교재 데이터베이스와 조합하여 그 조합결과를 기초로 해당 교과·분야·단원에 속하여 있는 문제를 랜덤으로 추출하여 문제작성 때에 생도성적 데이터베이스 이수완료 문제를 없애고, 우선순위의 높은 것으로부터 순차로 복수의 문제들을 추출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첨삭처리는 생도로부터 반송되어온 해답데이터에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패드나 펜마우스를 사용하여 손으로 쓴 문자로 첨삭을 써넣어서, 컴퓨터에 손으로 쓴 문자를 인식시켜 해답데이터에 다이렉트로 손으로 쓰고 첨삭을 행하는 처리이며, 선의 굵기·색지정이나 키보드로부터의 활자입력을 자유로이 행하고, 또 첨삭을 잘못 썼을 때에 고무지우개 기능을 사용하여 첨삭의 내용을 소거하여도, 생도의 해답데이터는 지워지지 않고, 선생의 첨삭한 것만이 지워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첨삭데이터의 송신처리는 입력장치에 생도의 ID를 입력함으로써, 생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생도의 성명 및 생도의 메일어드레스가 표시되어 첨삭의 단원·분야·첨삭자명을 입력함으로써, 그 기록을 첨삭데이터와 함께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6.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학교인 서버는 클라이언트인 생도의 컴퓨터에 대하여 첨삭과제 데이터를 송신하여, 첨삭과제 데이터는 생도가 첨삭과제 데이터에 그대로 컴퓨터의 화면상에 해답을 써넣어서 서버의 컴퓨터에 반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입학처리를 더 가지며,
    입학처리는 직접 학교의 창구에서 접수하는 외에 전자메일이나, 팩시밀리 등에 의하여도 접수, 입학원서의 기재내용은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여 이것을 데이터베이스에 임포트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사용하여 서버인 학교의 컴퓨터로부터 클라이언트인 생도의 컴퓨터에 대하여 생도의 학습지원을 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으로서, 교재의 선정처리와, 첨삭과제용 데이터의 송신처리와, 해답데이터의 수신처리와, 첨삭처리와, 첨삭데이터의 보존처리와, 첨삭데이터의 송신처리를 행하는 서버측의 컴퓨터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교재 데이터베이스, 생도 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 생도 성적 데이터베이스, 송신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교재 데이터베이스의 격납정보는,
    1 교과명(교육의 목적, 방법, 생도의 발달의 정도에 따라 수업의 재료를 나눈 것의 명칭), 2 단원명(교과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3 분야명(단원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4 레벨(교재의 문제의 난이), 5 문제의 ID, 6 문제파일, 7 해답파일, 8 우선순위(교재의 문제를 추출하는 순번을 붙인 것), 교과명(교육의 목적, 방법, 생도의 발달의 정도에 따라 수업의 재료를 나눈 것의 명칭), 2 단원명(교과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3 분야명(단원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4 레벨(교재의 문제의 난이), 5 문제의 ID, 6 문제파일, 7 해답파일, 8 우선순위(교재의 문제를 추출하는 순번을 붙인 것)이며,
    생도 시스템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격납정보는,
    1 생도 ID, 2 생도명, 3 생도의 FAX 번호, 4 생도의 FAX ID, 5 생도의 E-mail 어드레스이며,
    생도 성적 데이터베이스의 격납정보는,
    1 생도 ID, 2 생도명, 3 교과명(교육의 목적, 방법, 생도의 발달의 정도에 따라서 수업의 재료를 나눈 것의 명칭), 4 단원명(교과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5 분야명(단원마다에 배워야 할 항목), 6 득점, 7 이수완료 문제 ID이며,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격납정보는,
    1 생도 ID, 2 생도명, 3 첨삭일부, 4 교과명, 5 단원명, 6 분야명, 7 첨삭자명, 8 송신상황(미송신과 송신완료의 구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KR1020010036325A 2000-06-26 2001-06-25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KR20020000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1682A JP2002006730A (ja) 2000-06-26 2000-06-26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よる学習支援システム
JP2000-191682 2000-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724A true KR20020000724A (ko) 2002-01-05

Family

ID=1869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325A KR20020000724A (ko) 2000-06-26 2001-06-25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20110796A1 (ko)
JP (1) JP2002006730A (ko)
KR (1) KR200200007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0913B2 (en) * 2001-12-20 2004-02-10 Kabushiki Kaisha Toshiba Correction support apparatus, correction support method, correction support program, and correction support system
US8239281B1 (en) 2002-04-10 2012-08-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System and methods for purchasing services
US20040197759A1 (en) * 2003-04-02 2004-10-07 Olson Kevin Michael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 customized course curriculum
US8187004B1 (en) * 2004-09-03 2012-05-29 Desensi Jr Francis Joseph System and method of education administration
US20060252015A1 (en) * 2005-03-04 2006-11-09 Figueroa Roque R Semi-custom method of educating and developing individuals
US20080096175A1 (en) * 2005-05-27 2008-04-24 Du Toit Ilne Individualizing student access to educational content
KR100832001B1 (ko) 2006-09-22 2008-05-26 메가스터디(주) 인터넷 첨삭지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20090298020A1 (en) * 2008-06-03 2009-12-03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user efficiency with handheld devices
CN101986373A (zh) * 2010-10-26 2011-03-16 大连工业大学 一种适用于通信类专业的教学实验系统及实验方法
US20180150921A1 (en) 2012-07-26 2018-05-31 Nearby Coolleges LLC Travel planning application resulting in efficient customized grouping and coordination of selected locations and destination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user selected important criteria, radius searching, and real time simultaneous multi-source data gathering, analysis, and derivation executed by and presented on a computer and/or smart device for user preference
CN111064777B (zh) * 2019-12-06 2022-09-13 上海菲浩信息科技有限公司 智能校园服务器、家长客户端和老师客户端
JP7273134B1 (ja) 2021-12-23 2023-05-12 株式会社Z会 添削済答案検索装置、添削済答案検索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10796A1 (en) 2002-08-15
JP2002006730A (ja) 200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413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observation assessment
US5433615A (en) Categorized test item reporting system
US5458493A (en) Dynamic on-line scoring guide
US20020161804A1 (en) Internet-based system for multimedia meeting minutes
AU2002320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observation assessment
KR20020000724A (ko) 컴퓨터시스템에 의한 인터넷 학습 지원 시스템
KR101278496B1 (ko)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 및 오답 노트 생성 방법
JPH02259889A (ja) アンケート実施装置
JP6507328B1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7025393A (ja) 教育指導支援装置、教育指導支援方法及び教育指導支援プログラム
Bloomfield Evolution of a digital paper exam grading system
Harasim et al. Educational Applications of Computer Networks for Teachers/Trainers in Ontario. Education and Technology Series.
JP4581684B2 (ja) 進捗管理支援システム
JP2011107233A (ja) 講義または出版物の内容を実践する教育補完システム
JP2003066820A (ja) 通信添削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記憶媒体
Lanier Electronic editing and the author
US20090029336A1 (en) Automatic form checking and tracking
JP2001296788A (ja) 情報システムを用いた学習システム
JP2009277202A (ja) 出欠管理を行うソフトウェア
JP2007226456A (ja) 授業管理装置および授業管理方法
JP2006106182A (ja) 採点支援システム
Clagett et al. Making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stitutional Research.
JP6582262B1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3122241A (ja) 校内ネットワーク装置
Churiyah et al. The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System Based Microsoft Access 2016 (SIAMAR PONTREN) in Islamic Boarding Schoolat Malang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