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849Y1 -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849Y1
KR200194849Y1 KR2019970027061U KR19970027061U KR200194849Y1 KR 200194849 Y1 KR200194849 Y1 KR 200194849Y1 KR 2019970027061 U KR2019970027061 U KR 2019970027061U KR 19970027061 U KR19970027061 U KR 19970027061U KR 200194849 Y1 KR200194849 Y1 KR 200194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cover
cover
fasten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474U (ko
Inventor
소병훈
Original Assignee
소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병훈 filed Critical 소병훈
Priority to KR2019970027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849Y1/ko
Publication of KR9700614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4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8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33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and-loop typ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seat)에 방석이나 또는 시트커버를 유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는, 링형태로 납작하게 형성된 고정구본체(9)의 중앙 상측에는 방석이나 또는 시트커버(4)에 설치된 고무줄(7)을 걸기위한 걸고리부(8)를 구비한 고정구(10)를 구성하여 전후방 시트(14)의 등받이부(12) 하단부와 착석부(13) 후방이 만나는 틈새나, 후방시트의 등받이부 후방의 틈새에 상기 고정구(10)를 끼워 넣어서 자동차의 시트에 방석이나 또는 시트커버를 유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seat)에 방석이나 또는 시트커버를 유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시트에 시트커버를 장착시킬 경우에 시트를 분해하지 않고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자동차용 시트가 먼지 등의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더럽혀지게 되는데, 이렇게 자동차용 시트가 더러워지면 자동차용 시트를 세탁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자동차용 시트에 시트커버를 덮어 씌워서 자동차용 시트가 더러워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고, 또 다른 목적으로는 자동차의 실내를 미려하게 장식할 목적과, 동절기의 보온, 그리고 하절기에는 시트가 뜨겁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시트커버를 자동차의 전방시트에 장착할 경우에는 헤드커버부와 등받이 커버부 그리고 착석부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시트커버의 헤드커버부와 등받이커버부가 후방에 연결된 고무밴드에 의해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부와 등받이부에 각각 결속되고, 착석부커버부는 하단부에 연결된 결속끈에 의해 자동차용 시트의 착석부에 결속되어 자동차용 시트에 시트커버를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시트커버의 상부와 하단부만 고무밴드와 결속끈에 의해 각각 결속되고 시트커버의 중앙부 즉, 인체의 꼬리뼈부위와 대응하는 부위는 자동차용 시트에 고정되지 않고 떠 있는 상태이므로,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용 시트에 앉게 되면, 운전자나 탑승자의 움직임에 의해 제6도와 같이 상기 시트커버(4)의 중앙부에서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커버(4)의 중앙부에서 유동이 발생하면 시트커버(4)의 중앙부가 상기 자동차용 시트(14)의 등받이부(12) 하단부와 착석부(13) 후방과 만나는 모서리부와 시트커버(4)의 중앙부와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시트커버(4)가 하측으로 밀려 내려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커버(4)가 하측으로 밀려 내려가게 되면 운전자나 탑승자의 앉은 자세가 불안정하게 됨은 물론이고, 그로 인하여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와, 자동차의 내부가 정돈되지 않은 무질서한 느낌을 주게 되는 문제점등을 안고 있었다.
그리고, 후방시트에 시트커버(4)를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후방시트의 등받이부가 바디패널의 후방벽과 밀착 고정되어 있고, 착석부는 바디패널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시트의 등받이부와 착석부를 분해한 뒤에 시트커버를 장착해야만 했다.
상기와 같이 후방시트에 시트커버를 장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등받이부와 착석부로 구성되는 후방시트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시트커버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차량사용자는 후방시트를 분리시키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본인이 직접 시트커버를 장착시킬 수 없어서 카센타등과 같이 차량전문가들에 의뢰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에 대한 상식이 전혀없는 일반인들이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시트커버를 자동차의 전후방시트에 매우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는, 링형태로 납작하게 형성된 고정구본체의 중앙 상측에는 방석이나 또는 시트커버에 설치된 고무줄을 걸기위한 걸고리부를 구비한 고정구를 구성하며, 이 고정구를 전후방시트의 등받이부 하단부와 착석부의 후방이 만나는 틈새나, 후방시트의 등받이부 후방의 틈새로 끼워 넣어서 자동차의 전후방시트에 방석이나 또는 시트커버를 유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자동차의 전방시트에 시트커버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5도는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시트커버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6도는 종래 고안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시트커버가 헐렁하게 흘러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커버부 2 : 등받이커버부
3 : 착석부커버부 4 : 시트커버
5 : 고무밴드 6 : 결속끈
7 : 고무줄 8 : 걸고리부
9 : 고정구본체 10 : 고정구
11 : 헤드부 12 : 등받이부
13 : 착석부 14 : 시트
15 : 걸고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측단면도이며, 제5도는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시트커버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는, 고정구본체(9)가 자동차용 시트(14)의 등받이부(12) 하단부와 착석부(13)의 후단부 사이의 틈새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납작한 링형태로 형성되고, 이 납작한 링형태의 고정구본체(9)의 중앙부에는 고무줄(7)을 걸을 수 있는 걸고리부(8)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고리부(8)는 고정구본체(9)의 중앙 보스부(9a)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커버(4)의 중앙부 양측후방에는 상기 고정구(10)의 걸고리부(8)에 걸리게 될 고무줄(7)가 연결되어 시트커버(4)의 중앙부를 자동차용 시트(14)에 유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시트(14)에 시트커버(4)를 덮어 씌우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방시트에 시트커버를 장착시킬 경우에는, 시트커버(4)를 펼친 상태에서 시트커버(4)의 등받이커버부(2) 후방에 연결된 고무밴드(5)를 벌리면서 상기 시트커버(4)를 전방시트(14)의 등받이부(12)로 끼우면, 상기 등받이커버부(2)의 후방과 등받이커버부(2)의 후방에 연결된 고무밴드(5)와의 사이에 전방시트(14)의 등받이부(12)가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렇게 시트커버(4)를 자동차용 시트(14)의 등받이부(12)에 끼우면서 시트커버(4)의 헤드커버부(1)가 자동차용 시트(14)의 헤드부(11)의 상측에 덮어 씌워지도록 시트커버(4)를 하측으로 끌어 내려서 시트커버(4)의 상부가 자동차용 시트(14)의 헤드부(11)와 등받이부(12)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헤드커버(4)의 상부가 자동차용 시트(14)의 헤드부(11)와 등받이부(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시트커버(4)의 중앙부 양측후방에 설치된 고무줄(7)에 고정구(10)의 걸고리부(8)를 걸은 뒤에, 상기 고정구(10)의 납작한 고정구본체(9)를 제4도 및 제5도와 같이 등받이부(12)의 하단부와 착석부(13)의 후방 사이의 틈새로 밀어 넣는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부(12)의 하단부와 착석부(13)의 후방 사이의 틈새로 고정구(10)를 밀어 넣으면, 상기 등받이부(12)와 착석부(13)는 각각 스폰지 등의 쿳션재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쿳션재사이의 틈새에서 상기 고정구(10)가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되며, 계속 삽입시켜서 시트(14)의 후방으로 상기 고정구(10)가 통과하여 나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부(12)의 하단부와 착석부(13)의 후방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후방으로 나온 고정구(10)는 시트커버(4)의 고무줄(7)이 걸고리부(8)에 걸린 상태로 고정구본체(9)의 넓은 면이 상기 등받이부(12)의 후방과 착석부(13)의 하단부사이의 후방에 걸리게 되어 시트커버(4)의 장착이 간편하게 완료되며, 상기 시트커버(4)의 중앙부가 제6도의 “c”와 같이 등받이부(12)의 하단부와 착석부(13)의 후단부가 만나는 내측 모서리부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 뒤에, 착석부커버부(3)의 말단부에 연결설치된 결속끈(6)에 걸고리(15)를 묶고, 이 걸고리(15)를 자동차용 시트(14)의 착석부(13) 하방의 소정위치에 걸면 시트커버(4)의 하단 착석부커버부(3)도 자동차용 시트(14)의 착석부(13)에 밀착되게 고정되어 시트커버(4)의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후방시트에 시트커버(4)를 장착시킬 경우에는 후방시트를 분해하지 않고 시트커버(4)의 선단부에 설치된 고무줄에 본 고안의 고정구(10)를 묶은 뒤에 후방시트의 등받이 후방의 틈새로 상기 고정구를 밀어 넣으면, 고정구가 상기 틈새에 견고하게 고정이 되면서 시트커버(4)도 간편하게 고정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는, 자동차의 전후방시트의 구분이 없이 자동차의 시트를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납작한 링형태의 고정구에 시트커버의 고무줄을 묶고 적정한 틈새로 끼워넣기만 하면 시트커버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완료되어 자동차에 상식이 전혀없는 일반인들이 간편하게 시트커버를 장착시킬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시트커버를 유동없이 자동차용 시트에 단정하게 장착시킬 수가 있어서 자동차의 내부가 항상 단정하게 정돈된 느낌을 주게 되며, 종래와 같이 흘러내린 시트커버가 엉덩이 밑에 깔려서 배기는 폐단을 해소하여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링형태로 납작하게 형성된 고정구본체(9)의 중앙 상측에는 방석이나 또는 시트커버에 설치된 고무줄(7)을 걸기위한 걸고리부(8)를 구비한 고정구(10)를 구성하여 전후방 시트(14)의 등받이부(12) 하단부와 착석부(13) 후방이 만나는 틈새나, 후방시트의 등받이부 후방의 틈새에 상기 고정구(10)를 끼워 넣어서 자동차의 시트에 방석이나 또는 시트커버를 유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본체(9)의 중앙 보스부(9a)에 걸고리부(8)가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
KR2019970027061U 1997-09-24 1997-09-24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 KR200194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061U KR200194849Y1 (ko) 1997-09-24 1997-09-24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061U KR200194849Y1 (ko) 1997-09-24 1997-09-24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474U KR970061474U (ko) 1997-12-10
KR200194849Y1 true KR200194849Y1 (ko) 2000-09-01

Family

ID=1951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061U KR200194849Y1 (ko) 1997-09-24 1997-09-24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8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093A (ko) * 1999-09-09 1999-12-06 나종일 자동차용 시트카바의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474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37051A (ja) シート被覆用ソフトカバー
US6554363B1 (en) Traveling pillow
KR200194849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고정구
JPS6092710A (ja) 自動車用二重構造シ−ト
US4377307A (en) Self securing tonneau cover
JPH04100731A (ja) オープンカー用風巻込み防止具
CN108202647B (zh) 一种汽车座椅靠背遮挡结构
KR200270480Y1 (ko) 시트커버
JP2552818Y2 (ja) 自動車用シートの隙隠し構造
KR200142998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KR200238583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KR970002186Y1 (ko) 리어 시트
KR900005748Y1 (ko) 차량용 보조 방석의 고정끈
JP3072898U (ja) 自動車内簡易シートカバー
JPH0134581Y2 (ko)
KR0127890Y1 (ko) 자동차용 시트카바
KR970006714Y1 (ko) 시트깔판 체결이 용이한 차량시트
KR200147482Y1 (ko) 자동차의 뒷좌석용 안전시트
KR19980022436U (ko) 자동차용 거울
KR0120225Y1 (ko) 자동차용 뒷좌석 승객 발받침 장치
GB2307854A8 (en) Head rest attachment for vehicle rear seat with integral child seat
JPS5936486Y2 (ja) ドアトリム
JPH08386A (ja) シ−トカバ−を収納した車両用シ−ト
KR19980048239U (ko) 자동차 시트의 옷걸이장치
KR19980054056U (ko) 자동차의 옷걸이 겸용 보조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11

Effective date: 200111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