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619Y1 - 습식 에어클리너 - Google Patents

습식 에어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619Y1
KR200191619Y1 KR2019970044959U KR19970044959U KR200191619Y1 KR 200191619 Y1 KR200191619 Y1 KR 200191619Y1 KR 2019970044959 U KR2019970044959 U KR 2019970044959U KR 19970044959 U KR19970044959 U KR 19970044959U KR 200191619 Y1 KR200191619 Y1 KR 200191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ed
housing
hollow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205U (ko
Inventor
최지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4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61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2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2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6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6Air cleaners acting by guiding the air over or through an oil or other liquid bath, e.g. combined with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 배드에의 오일을 엘리먼트 케이스 상부로 강제순환시키면서 엘리먼트의 중공을 통과하는 순환 파이프에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천공되도록 하여 중공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오일이 분사되면서 중공 저부에서는 오일과 순수한 공기가 분리되면서 엔진에는 항상 청정한 상태의 흡입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습식 에어클리너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하우징(10)과, 하우징(10)내로 삽입되어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엘리먼트(20)와, 그 저부의 오일 배드(30)와, 상기 엘리먼트(20) 상부의 커버(40)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 배드(30) 일측으로 구비되어 오일 배드(30)내 오일을 강제 순환시키는 오일펌프(50)와; 상기 오일펌프(50)에 의해 압송되는 오일을 엘리먼트(20) 상부의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지나도록 하면서 오일 배드(30)로 회수되도록 하는 순환 파이프(60)와; 엘리먼트(20) 중앙의 중공(21)을 지나는 상기 순환 파이프(60)의 외주면에 다수개로 천공시킨 분사홀(61)과; 상기 중공(21) 하단에 저부로 만곡지게 형성하면서 중앙에는 오일 배드(30)와 연통되게 회수홀(71)이 천공되도록 한 가이드 격판(70)이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습식 에어클리너
본 고안은 외기가 도입되는 입구에서 오일이 미세분사되도록 하여 흡입공기의 청정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습식 에어클리너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클리너는 흡기장치의 공기흡입 과정에서 공기와 함께 들어오는 먼지와 같은 불순물들을 제거시켜 피스톤링, 실린더벽, 피스톤, 흡기밸브등의 마멸을 방지하고, 또 엔진 오일에 혼입되어 베어링등 각 윤활부의 마멸을 촉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에어클리너의 주기능은 흡입되는 공기속의 먼지등을 여과하는 것으로 통상 차체 전방으로 설치되어 덕트를 통해 도입되는 외기가 원활하게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클리너에는 통상 건식(Dry type)과 습식(Wet type)이 있는데 이중 승용차량에서 주로 적용되고 있는 것이 건식이며, 습식은 대부분 대형의 상용차량에서 사용되고 있다.
건식과 습식의 가장 큰 차이는 내부로 도입된 공기를 엘리먼트에 의해 여과시킬 때 습식은 도 3에서와 같이 하우징(100) 저부로는 일정량이 오일이 채워지도록 하여 도입되는 공기가 오일과 섞이면서 무거워진 먼지는 오일위로 떨어지고, 가벼운 먼지는 엘리먼트(200)를 통과하면서 걸러지도록 하여 보다 완벽한 여과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즉 통상의 습식 에어클리너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내로 삽입되어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엘리먼트(200)와 그 저부의 오일 배드(300, oil bath)로 이루어지며, 상기 엘리먼트(200) 상부로는 커버(400)가 씌워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커버(400) 상부의 덕트(500)를 통해 엘리먼트(200) 중앙의 중공(210)을 통해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중공(210)으로 유도되는 오일이 저부의 오일 배드(300)에 일정량 채워진 유면에 부딪쳐 엘리먼트(200)를 통과하게 되면 가벼운 이물질들이 걸러지면서 순수한 공기만이 통과하여 상승하면서 유출구(110)를 통해 토출되어 엔진으로 공급된다.
하지만 상기한 구조에서의 엘리먼트(200)는 공기가 유면과 부딪힐 때의 비말(飛沫)로 언제나 오일이 묻어있게 되므로 엘리먼트(200)를 통과하게 되는 공기에는 오일이 함침(含浸)되어 엔진으로 유입되기도 하는바 이로인해 엔진에서의 연소력 저하와 에미션 상승이 초래되기도 하고, 오일 오염 속도가 촉진되면서 잦은 오일 보충 및 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오일 배드에의 오일을 엘리먼트 케이스 상부로 강제순환시키면서 엘리먼트의 중공을 통과하는 순환 파이프에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천공되도록 하여 중공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오일이 분사되면서 중공 저부에서는 오일과 순수한 공기가 분리되면서 엔진에는 항상 청정한 상태의 흡입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습식 에어클리너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엔진으로의 오일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여 항상 항상된 연소력과 에미션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하우징과, 하우징내로 삽입되어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엘리먼트와, 그 저부의 오일 배드와, 상기 엘리먼트 상부의 커버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 배드 일측으로 구비되어 오일 배드내 오일을 강제 순환시키는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오일을 엘리먼트 상부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지나도록 하면서 오일 배드로 회수되도록 하는 순환 파이프와;
엘리먼트 중앙의 중공을 지나는 상기 순환 파이프의 외주면에 다수개로 천공시킨 분사홀과;
상기 중공 하단에 저부로 만곡지게 형성하면서 중앙에는 오일 배드와 연통되게 회수홀이 천공되도록 한 가이드 격판이 구비되도록 한 구성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A부 확대도
도 3은 종래의 에어클리너 구조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엘리먼트
30 : 오일 배드
40 : 커버
50 : 오일펌프
60 : 순환 파이프
61 : 분사홀
70 : 가이드 격판
71 : 회수홀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의 하우징(10)과 엘리먼트(20)와 오일 배드(30)와 커버(40)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종전과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은 상기한 오일 배드(30)의 일측으로 오일펌프(50)를 구비하고, 상기 오일펌프(50)로부터는 엘리먼트(20) 상부의 하우징(10)을 관통하는 순환 파이프(60)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순환 파이프(60)는 다시 오일펌프(50)와는 반대측의 오일 배드(30)로 연통되면서 오일이 순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순환 파이프(60)에서 엘리먼트 케이스(20) 상부를 지나는 부분 중 중공(21)을 관통하게 되는 파이프 외주면에는 다수개로 미세직경의 분사홀(61)을 천공한다.
또한 상기의 중공(21) 하단부로는 저부로 만곡지면서 외측 상부로는 상향 개방되는 형상으로 가이드 격판(70)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상의 구조에 따른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엔진이 구동시 외기는 하우징(10) 상부의 덕트(80)를 통해 도입되어 엘리먼트 케이스(20)의 중공(21)으로 유도되는데 이때 오일펌프(50)가 구동하기 시작하면 오일 배드(30) 내의 오일이 강제 압송되어 순환 파이프(60)를 따라 순환하면서 다시 오일 배드(30)로 회수된다.
이때 순환 파이프(60)를 순환하게 되는 오일의 일부는 중공(21)을 통과하면서 외주면으로 천공시킨 다수개의 분사홀(61)을 통해 분사되어 중공(21)을 통과하게 되는 흡입공기와 섞이게 된다.
흡입공기와 혼합된 오일성분은 중공(21) 하단의 가이드 격판(70)에 부딪치면서 순수한 공기와 분리되어 이물질에 의해 보다 무거워진 오일은 가이드 격판(70) 중앙의 회수홀(71)을 통해서 오일 배드(30)로 유도되고, 오일과 분리된 순수한 공기만이 상향 개방된 가이드 격판(70)의 상부로 유도되면서 다시 엘리먼트(20)에 의해 여과된 후 하우징(10) 상단부의 유출구(11)를 통해서 엔진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엘리먼트(20)로는 가이드 격판(70)에 부딪치면서 오일성분이 일단 제거된 순수한 공기성분만이 유도되므로 엘리먼트(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더욱 빨라되면서 엔진으로의 공기 흡입 효율을 증대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엘리먼트(20) 상부에서 분사홀(61)을 통해 오일을 분사한 후 가이드 격판(70)에 부딪치게 하여 우선 순수한 공기와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한 후 재차 엘리먼트(20)에 의해 공기만을 통과시켜 여과시키게 되므로서 이중의 여과에 의해 흡입공기의 청정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엘리먼트(20)를 통과한 흡입공기가 엔진으로 유도시 오일성분은 대부분 제거되므로 불필요한 오일 소모를 방지시킬 수 있게 되어 번거로운 오일 보충 및 오일 교환의 잦은 점검을 생략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엔진으로는 더 이상 오일이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엔진에서의 연소력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면서 불연소에 따른 다량의 유해 배기가스 생성을 방지시킬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과 작용에 따라 본 고안의 에어클리너는 오일에 의한 먼지 포집 효과를 향상시키므로서 흡입공기의 청정효율이 증대되도록 하고, 엘리먼트(20)로는 순수한 공기만이 통과되도록 하므로서 엘리먼트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며, 특히 엔진으로의 오일유입을 방지시켜 오일소모가 방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에미션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하우징(10)과, 하우징(10)내로 삽입되어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엘리먼트(20)와, 그 저부의 오일 배드(30)와, 상기 엘리먼트(20) 상부의 커버(40)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 배드(30) 일측으로 구비되어 오일 배드(30)내 오일을 강제 순환시키는 오일펌프(50)와;
    상기 오일펌프(50)에 의해 압송되는 오일을 엘리먼트(20) 상부의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지나도록 하면서 오일 배드(30)로 회수되도록 하는 순환 파이프(60)와;
    엘리먼트(20) 중앙의 중공(21)을 지나는 상기 순환 파이프(60)의 외주면에 다수개로 천공시킨 분사홀(61)과;
    상기 중공(21) 하단에 저부로 만곡지게 형성하면서 중앙에는 오일 배드(30)와 연통되게 회수홀(71)이 천공되도록 한 가이드 격판(70);
    이 구비되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에어클리너.
KR2019970044959U 1997-12-31 1997-12-31 습식 에어클리너 KR200191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59U KR200191619Y1 (ko) 1997-12-31 1997-12-31 습식 에어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59U KR200191619Y1 (ko) 1997-12-31 1997-12-31 습식 에어클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205U KR19990032205U (ko) 1999-07-26
KR200191619Y1 true KR200191619Y1 (ko) 2000-08-16

Family

ID=1952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959U KR200191619Y1 (ko) 1997-12-31 1997-12-31 습식 에어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6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892A (ko) * 2002-10-07 2004-04-14 김성식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CN115263626A (zh) * 2022-09-02 2022-11-01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浸油式空气预滤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205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1619Y1 (ko) 습식 에어클리너
KR101344417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20100090734A (ko) 내연기관 엔진의 공기여과장치
KR20060034349A (ko) 차량의 브로바이가스 재순환장치
KR200343989Y1 (ko) 디젤자동차 연료공급장치의 연료순환여과장치
KR940002805Y1 (ko) 자동차용 침적식 에어크리너
CN112280586B (zh) 一种燃油蒸发系统
KR0129307Y1 (ko) 이물질 유입방지용 여과장치가 부착된 차량용 공기흡입파이프
KR200160025Y1 (ko) 습식 공기 청정기
KR100364098B1 (ko) 에어크리너에의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한 흡기장치
KR0128811B1 (ko)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 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KR20230066817A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200167370Y1 (ko) 흡기장치의 전처리 에어 클리너
KR100373247B1 (ko)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순환시스템
KR960014713B1 (ko) 석유팬히터의 연료여과장치
KR100475814B1 (ko) 브리더 일체형 록커커버 구조
KR19980038435U (ko)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밸브 구조
KR19980037849U (ko) 건습식 에어 클리너
KR19980046905U (ko) 오일팬의 오일스크린
KR19990026436A (ko) 자동차의 에어크리너
KR19980033233U (ko) 로커 커버의 필러 캡 구조
KR19980047641U (ko) 엔진의 필터가 장착된 드레인밸브를 가지는 오일팬
KR20210045033A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9980033494U (ko) 오리피스형 습식 에어클리너
KR20010056018A (ko) 차량용 에어 클리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