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811B1 -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 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 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811B1
KR0128811B1 KR1019950010147A KR19950010147A KR0128811B1 KR 0128811 B1 KR0128811 B1 KR 0128811B1 KR 1019950010147 A KR1019950010147 A KR 1019950010147A KR 19950010147 A KR19950010147 A KR 19950010147A KR 0128811 B1 KR0128811 B1 KR 0128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oling water
coolant
auxiliary tan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096A (ko
Inventor
구종철
Original Assignee
구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종철 filed Critical 구종철
Priority to KR101995001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811B1/ko
Publication of KR96003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6Air cleaners acting by guiding the air over or through an oil or other liquid bath, e.g. combined with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02M35/042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combined with other devices, e.g. heaters ; for use other than engine air intake cleaning, e.g. air intake filters arranged in the fuel vapour recovery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수 보조탱크와 에어 클리너를 일체화시켜 엔진의 구조를 간단화하고 흡기의 정화능력과 정화효율을 향상시키고자, 외기가 최초로 흡입되는 흡입구(12) 및 흡입된 공기를 흡기매니폰드로 흡입시키는 흡입관(15)을 포함하는 밀폐된 하우징(11): 상기 흡입구(12)와 상기 흡입관(15)의 경로에 탈착가능케 설치되어 공기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여과망(20); 라디에어터에서 팽창된 냉각수가 상기 하우징(11)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이징(11)에 형성된, 밸브(17)가 구비된 유입관(16) 및 환상의 유입통로(18): 상기 유입통로(18)로부터 냉각수가 타고 흘러내리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흡입공기중의 먼지를 관성에 의해 분리시키는 안내벽(19):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 연통 형성되고 에어벤트(30)가 구비된 냉각수 보조탱크(29):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냉각수 보조탱크(29) 연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상기 냉각수 보조탱크(29)로 흐르는 냉각수부터 이물을 흡착 제거하는 필터(25): 및 상기 냉각수 보조탱크(29)와 라디에이터를 연결하고 냉각수가 라디에이터 쪽으로만 흐르게 하는 첵밸브(34)를 구비한 냉각수 복귀관(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 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기술분야)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수 보조탱크와 에에클리너를 일체화 시켜 엔진의 구조를 간단화하고, 흡기의 정화능력과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을 비롯한 내연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실린더에 혼합기를 흡입시키고, 혼합기의 연수 후 그 연소가스를 외부를 배출하는 흡배기장치가 있다.
흡기장치(intake system)는, 흡입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저 등을 제거 하는 에어 클리너와 각 실린더에 혼합기를 분배하는 흡기매니폴드(intake manifold)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기장치(exhaust system)는, 각 실린더의 연소가스를 모으는 배기 매니폴드와,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기 파이프 및 소음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에어 클리너는, 엔진이 흡입하는 공기중의 먼지를 흡착, 제거하고, 또한 흡기계통에서 발생하는 흡기소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가솔린 엔진에서 에어 클리너는 기화기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있다.
차량이 주행하는 대기중에는 먼지와 산화 규소(SiO2), 산화 알루미늄(Al2O3) 및 산화 철(Fe2O3)등이 부유물질의 주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대도시 등에서는 카본 등도 포함되어 있다. 엔진에 에어 클리너를 부착하지 않을 경우 엔진은 약 9배 이상으로 마모가 촉진된다. 이처럼 에어 클리너는 먼지를 제거하고 깨끗한 공기를 엔진에 공급함으로써 엔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에어 클리너는 사용목적이나 조건에 따라 건식(dry type), 습식(wet type 또는 biscous type), 유조식(oil bath type), 원심분리식(cyclone type), 복합식(combination type)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건식 에어 클리너는 여과지 또는 여과포로 된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를 사용하여 여과하는 방식이고, 습식 에어 클리너는 오일에 적셔진 엘리먼트로 공기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방식이며, 유조식 에어 클리너는 오일의 유면에 흡입공기가 관성충돌되게 하여 먼지를 분리하고, 이와 동시에 공기의 흐름에 의해 유면이 출렁거리도록 함으로써 이때 발생하는 기름 방울이 엘리멘트를 적셔 공기가 엘리먼트를 통과할 때 다시 먼지를 여과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원심분리식 에어 클리너는 흡입공기의 원심력 관성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방식이며, 복합식 에어 클리너는 건식이나 습식 등의 메인 에어 클리너와 사이클론식 에어 클리너를 결합한 방식이다. 한편 내연기관의 냉각장치는, 라디에이터(radiator), 워터펌프(water pump), 서모스탯(thermostat) 및 냉각 팬과 팬 벤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라디에이터는 코어와 상, 하부 탱크 및 사이드 멤버와 팬 시라우드 및 라디에이터 캡과 보조탱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라디에이터는 그 내부가 만약 외부와 통한다면 냉각수 온도가 섭씨 100도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으므로, 외기와의 온도차는 항상 (100-외기온도)로 된다. 이 온도차를 크게 함과 동시에 냉각효과를 양호가게 하게 위하여 라디에이터 캡에 의해 물의 온도를 100도씨 이상으로 하는 가압식 냉각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캡으로 라디에이터 내부를 밀폐하여, 온도가 높아지면 물이 팽창하면서 수면상의 공기를 압축하여 압력을 가하므로, 냉각수가 섭씨 100도 이상이 되어도 비등하지 않고 외기와의 온도차가 커진다. 따라서 냉각효율이 클 뿐만 아니라 같은 냉각효과를 얻는데 라디에이터의 면적이 적어도 가능하여 무게를 적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차용 엔진에서는 대부분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가압식 라디에이터 캡에는 압력밸브(pressure valve)와 부압밸브(vacuuum valve)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밸브는, 엔진의 운전중에 냉각계통에서 발생한 압력을 유지하고, 냉각수가 섭씨 110-120도 정도로 형성되어 냉각계통 전체가 가압되면, 이때 밸브가 개방되면서 오버플로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라디에이터 내부는 항상 일정압력을 유지한다. 라디에이터에 보조탱크가 연결된 경우에는, 보조탱크의 오버플로 파이프를 통해 압력이 외부로 배출된다.
부압밸브는, 엔진의 온도가 떨어지면서 라디에이터의 내부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즉시 밸브가 개방되면서 외부공기를 흡인하여 라디에이터 내부의 부압을 해소시키며, 이와 같이 부압 밸브는 대기압에 의한 팽창으로 라디에이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통산 보조탱크가 라디에이터에 연결, 설치된 경우에는 그 보조탱크 내의 냉각수가 부압밸브를 거치면서 라디에이터로 유입되어 부압을 해소시킨다. 보조탱크는 라디에이터의 오버플로 파이프와 연결되어 라디에이터에 들어 있는 냉각수의 체적 팽창을 흡수시키며, 따라서 오버플로 파이프로 흘려 버리는 냉각수의 손실을 막고 장기간 냉각수를 보충하지 않아도 되는 역할을 한다.
즉,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냉각수의 체적이 팽창하고, 그 팽창한 분량만큼 냉각수가 라디에이터에서 보조탱크로 흘러나가 일시 저장되며, 이후 냉각수의 온도가 내려 가면 그 체적이 수축되면서 사이펀(siphon) 작용에 의해 보조탱크측으로 부터 라디에이터에 흡입, 복귀된다. 따라서 냉각수가 오버플로 되어도 증기만이 외부로 방출됨으써 냉각수의 손실을 막는다.
이러한 방식에서 보조탱크의 위치가 라디에이터보다 높을 때에는 보조탱크에 기밀 캡을 부착하고 라디에이터에는 가압식 캡을 부착하나, 보조탱크의 위치가 낮을 때에는 라디에이터측이 기밀 캡을 부착한다.
일반적으로 에어 클리너의 성능은 통기저항과 여과효율 및 소음성능에 의해 결정되며, 여기서 여과효율은 관성충돌, 접촉, 확산의 3요소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에어 클리너들은, 최조의 공기흡입 시점으로부터 흡기 매니폴드에 흡기를 공급할 때까지 경로가 길어 통기저항이 크게 발생하며, 이와 같은 통기저항의 상승으로 인하여 엔진의 출력을 저하시키고 연료소비를 증가시키며 에어 클리너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승용차량의 에어 클리너는 최초 장착시 그 통기저항이 엘리먼트만의 저항의 약 5-10배로 나타나며, 엘리먼트 자체의 저항은 매우 적다. 그러나 에어 클리너의 수명은 엘리먼트의 폐색성에 의한 통기저항의 증가에 따라 결정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에어 클리너들은 통기저항이 큰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 클리너들은 관성충돌에 의한 먼지의 포착이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포어 사이즈(pore size) 즉, 기공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관성 충돌에 의한 먼저의 포착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아울러 클리너 내부에서의 공진 주파수가 커져 소음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에어 클리너와 냉각수 보조탱크들은 독립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 엔진의 구조를 복잡화시킬 뿐만 아니라 엔진의 소형경량화에 역행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엔진이 점차 소형경량화 되어 가는 시점에서 다수의 엔진부품을 복합적으로 구성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에어 클리너의 성능 향상과 수명증가 및 엔진의 출력증가에 기여하는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 클리너와 냉각수 보조탱크를 일체화 및 복합화 시켜 엔진의 구조를 간단화시킴과 동시에 엔진의 구성부품수를 감소시켜 경제성을 갖는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 클리너의 엘리먼트를 제거하여 산업 폐기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은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클리너의 구성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 12 : 흡입구
13 : 커버 14 : 흡입관
15a, 19a : 통기공 16 : 유입관
17 : 압력조정밸브 18 : 유입통로
19 : 안내벽 20 : 여과망
21 : 팬 22 : 에어 클리너
23 : 너트 24 : 벤튜리관
25 : 필터 26 : 케이스
27 : 지지축 27a : 볼트
28 : 지지턱 29 : 냉각수 보조탱크
30 : 에어벤트 31 : 냉각수 레벨 감지장치
32 :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에 보조탱크와, 하부에 에어 클리너를 일체로 형성하되, 냉각수 보조탱크는, 라디에이터의 냉각수가 에어 클리너를 경유하도록 구성하고, 에어 클리너는 흡입공기중의 먼지가 냉각수를 거쳐 흡기매니폴드로 흡입되도록 단일 유니트의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는,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흡입된 공기를 흡기매니폴드로 흡입시키는 흡입관을 포함하는 밀폐된 하우징,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관의 경로에 탈착가능케 설치되어 공기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여과망, 라디에이터에서 팽창된 냉각수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밸브가 구비된 유입관 및 환상의 유입통로, 상기 유입통로로부터 냉각수가 타고 흘러내리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흡입공기중의 먼지를 관성에 의해 분리시키는 안내벽,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통 형성되고 에어벤트가 구비된 냉각수 보조탱크, 상기 하우징과 상기 냉각수 보조탱크로 흐르는 냉각수로부터 이물을 흡착 제거하는 필터, 및 상기 냉각수 보조탱크와 라디에이터를 연결하고 냉각수가 라디에이터 쪽으로만 흐르게 하는 첵밸브를 구비한 냉각수 복귀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벤튜리관을 형성하고, 그 벤튜리관에 필터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설치하면서 케이스의 상부중앙에 지지축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관의 하단 중앙부에 너트를 고정하여 상기의 지지축에 체결하며, 상기 벤튜리관의하부에 냉각수 보조탱크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각수 보조탱크의 일측에는 냉각수 양을 감지하여 이를 운전자이게 인식시키는 냉각수 레벨 감지장치를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보조탱크 경용 에어 클리너의 구성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32)는 크게 상부의 에어 클리너(22)와 하부의 냉각수 보조탱크(29)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의 에어 클리너(22)는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둘레 일측에 편심 형성되어 대기를 최초로 흡입함과 동시에 와류를 형성하는 일정 길이의 흡입구(12)와 상기 하우징(11)의 개방 상단부에 클램프(13)에 의해 탈착가능케 설치된 커버(14)와 상기 커버(14)의 중앙 상, 하부를 관통하여 흡입구(12)와 직각으로 통하도록 상, 하단이 개방, 형성되고 상단이 흡기매니폴드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흡입관(15)과 상기 커버(14)의 일측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오버플로 파이프로 라디에어터 캡과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관(16)과, 상기 냉각수 유입관(16)에 설치되어 팽창 냉각수의 유입량을 조정하는 압력조정밸브(17)와, 상기 흡입관(15)의 저면 둘레에 냉각수 유입관(16)과 연통, 형성되고 하단 중간부가 개방되어 라디에어터로부터의 팽창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통로(18)와, 상기 냉각수 유입통로(18)의 하단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냉각수가 흘러내리는 원형상의 안내벽(19)과, 상기 안내벽(19)에 다수 형성되어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도록 하는 통기공(19a)과, 상기 흡입관(15)의 하단부에 탈착가능케 설치되어 하우징(11)내에 유입된 공기중의 먼지를 흡착, 제거하는 여과망(20)과, 상기 여과망(20)이 씌워진 흡입관(15)의 하단 둘레에 다수 형성된 통기공(15a)과, 상기흡입관(15)의 상부에 설치되어 엔진의 흡입부압에 의한 공기의 유속에 따라 회전하면서 흡기를 원활하게 유지시키는 팬(2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15)의 하단 중앙에는, 고정설치된 너트(23)와,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 연속형성된 벤튜리관(24)과, 상기 벤튜리간(24)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각수 중의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25)를 포함하고, 상, 하부에 다수의 통공(26a)이 형성되어 여과된 냉각수를 하방으로 배출하는 케이스(26)와, 상기 케이스(26)의 중앙 상측에 형성된 지지축(27)과, 상기 지지축(27)의 상단에 형성되어 너트(23)에 체결고정된 볼트(27a)와 상기 켸이스(26)를 지지하도록 벤튜리관(24)의 하부 둘레에 돌출형성된 지지턱(2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에어 클리너(22)의 하우징(11)의 하부에는 에어벤트(30)가 구비된 냉각수 보조탱크(29)를 일체로 연통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 보조탱크(29)에는, 냉각수의 온도가 내려가서 라디에어터의 체적이 수축될 때, 사이펀(siphon) 작용에 의해 냉각수 보조탱크(29)로부터 일정량의 냉각수를 라디에어터로 흡입, 복귀하는 냉각수 복귀관(33)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냉각수 복귀관(33)에는 냉각수가 라디에어터 쪽으로만 흐르게하는 첵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냉각수 보조탱크(29)의 일측에는 냉각수 양을 감지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인식 및 경고시키는 냉각수 레벨 감지장치(31)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32)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이 가동되면 흡입부압이 발생하면서 흡입구(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하이징(11)내에 흡입되고, 이와 동시에 흡입구(12)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와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안내벽(19)에 부딪히면서 그 하방으로부터 여과망(20)을 거쳐 먼지가 제거되면서 흡입관(15)에 유입되거나, 또는 안내벽(19)의 통기공(19a)으로부터 여과망(20)을 거쳐 먼지가 제거되면서 흡입관(15)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통기공(15a)으로 유입된다.
흡입관(15)내에 흡입된 공기는 엔진의 부압에 의해 흡기매니폴드(도시하지 않음)로 유도, 흡입되고, 또한 이때 발생하는 유속만큼 팩(21)을 회전시켜 흡기를 보다 원할하게 흡기매니폴드에 흡입시킨다.
상기의 흡기과정중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체적팽창을 일으키면 이때, 팽창한 분량만큼의 라디에어터(도시하지 않음)의 냉각수가 오버플로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와 하우징(11)의 유입관(16)을 통해 유입통로(18)에 냉각수가 유입되면서 라디에이터의 체적팽창을 흡수하고, 이 상태에서 냉각수는 유입통로(18)로부터 회류하면서 안내벽(19)의 외주면을 타고 하방으로 흐른다. 상기 유입관(16)에는 압력 조정밸브(17)가 설치되어 있어서 유입관(16)을 흐르는 냉각수가 과도하게 유입통로(18)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흡입공기가 유입통로(18)와 유입관(16)을 통해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안내벽(19)은 항시 냉각수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일정 습도를 유지하며, 상기에서와 같이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안내벽(19)에 부딪히면서 그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이 냉각수중에 흡착된다.
안내벽(19)을 타고 내리는 냉각수는 먼지와 냉각계통에서 발생한 이물질 등을 포함한 상태에서 하우징(11)의 하방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필터(25)로부터 먼지와 이물질 등이 흡착되고, 깨끗하게 정화된 냉각수만이 냉각수 보조탱크(29)로 유입된다.
이후 냉각수의 온도가 내려가면 라디에어터의 체적이 수축되면서 사이펀(siphon 작용에 의해 냉각수 보조탱크(29)로부터 일정량의 냉각수가 냉각수 복귀관(33)을 통해 라디에이터로 흡입, 복귀된다. 라디에이터의 팽창, 수축과정시에는 증기가 발생하며, 이 증기는 일정압력 이상시 에어벤트(3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에서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크리너(32)는 냉각수의 온도 팽창에 의한 일정온도의 냉각수가 유입, 복귀되므로 흡입공기가 어느 정도 더워진 상태로 형성되며, 이와 같이 흡기가 일정온도만큼 가열된 상태에서 흡기매니폴드로 흡입되므로 혼합기의 연소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냉각수 보조탱크(29)의 냉각수 레벨은 냉각수 레벨 감지장치(31)로부터 감지되어 항시 운전자가 냉각수의 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냉각수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별도의 경장치를 이용하에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는 일정주기 마다 에어클리너(22)를 세척하여 그 기능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1) 상단의 클램프(13)를 풀어 커버(14)를 들어올리면 흡입관 (15)과, 그 너트(23)에 체결된 지지축(27)에 의해 필터(25)를 포함하는 케이스(26)가 일체로 분리되며, 이후 흡입관(15)의 여과망(20)과 케이스(26)의 필터(25)를 분리, 세척한 다음, 하우징(11)에 장착함으로써 에어 클리너(22)를 융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클리너는 냉각수 보조탱크와 에어 클리너를 일체화 및 복합화시켜 흡기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에어 클리너의 성능향상과 수명 증가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공기를 더워진 상태에서 흡입시킴에 따라 혼합기의 연소작용이 활발하여 엔진의 출력증가에 기여하고, 엔진의 구조가 간단해짐과 동시에 구성부품수가 감소되어 매우 경제적이며, 여과망 및 필터를 비롯한 엘리먼트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 산업 폐기물이 전혀 발생 하지 않게 된 것이다.

Claims (5)

  1.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2) 및 흡입된 공기를 흡기매니폴드로 흡입시키는 흡입관(15)을 포함하는 밀폐된 하우징(11): 상기 흡입구(12)와 상기 흡입관(15)의 경로에 탈착가능케 설치되어 공기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여과망(20): 라디에어터에서 팽창된 냉각수가 상기 하우징(11)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밸브(17)가 구비된 유입관(16) 및 환상의 유입통로(18): 상기 유입통로(18)로부터 냉각수가 타고 흘러내리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흡입공기중의 먼지를 관성에 의해 분리시키는 안내벽(19):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 연통 형성되고 에어텐트(30)가 구비된 냉각수 보조탱크(29):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냉각수 보조탱크(29) 연결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상기 냉각수 보조탱크(29)로 흐르는 냉각수로부터 이물을 흡착 제거하는 필터(25): 및 상기 냉각수 보조탱크(29)와 라디에어터를 연결하고 냉각수가 라디에이터 쪽으로만 흐리게 하는 첵밸브(34)를 구비한 냉각수 복귀관(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수 보조탱크(29)에 연결되는 하우징(11)의 하부는 벤튜리관(24)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12)가 하우징(11)에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관(15)에는 팬(21)이 설치되어 있어서, 공기가 와류흡입되고 흡입 공기의 유속에 의해 팬(2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보조탱크(29)에는 냉각수 레벨 감지 장치(3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5), 유입관(16), 유입통로(18), 안내벽(19)은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탈착가능한 커버(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여과망(21)과 필터(25)의 분해 결합을 위해 상기 여과망(21)과 필터(25)가 상기 흡입관(15)의 하단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KR1019950010147A 1995-04-27 1995-04-27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 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KR0128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147A KR0128811B1 (ko) 1995-04-27 1995-04-27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 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147A KR0128811B1 (ko) 1995-04-27 1995-04-27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 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096A KR960038096A (ko) 1996-11-21
KR0128811B1 true KR0128811B1 (ko) 1998-04-09

Family

ID=1941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147A KR0128811B1 (ko) 1995-04-27 1995-04-27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 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539A (ko) * 2000-12-15 2002-06-21 이계안 이물질 제거용 흡기 시스템 및 이물질 제거방법
CN109184970B (zh) * 2018-10-23 2024-02-13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设有水分离装置的油浴式空气滤清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096A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0835A (en) Oil separator for reducing oil losses from crankcase ventilation
US5058693A (en) Remote filter assembly for vapor recovery system
WO2009073323A2 (en) Carbon canister with purge buffer system
JP3276935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JP2003508678A (ja) 自動車の内燃機関のための吸込み空気を濾過するためのエアフィルタ
JP2010521611A (ja) 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を用いる真空システム
KR0128811B1 (ko)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 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JP4874789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ES2373978T3 (es) Cartucho de un secador de aire.
KR101072090B1 (ko) 차량의 에어클리너
KR19980037849U (ko) 건습식 에어 클리너
KR100778563B1 (ko) 에어클리너
KR20120048272A (ko)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
KR200248299Y1 (ko) 2중 쐐기형 스월윙 에어크리너
KR960007899Y1 (ko) 챠콜 캐니스터용 필터
KR200394129Y1 (ko) 에어클리너 필터
KR0172169B1 (ko) 공기청청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공명기
JP2004218482A (ja) エアクリーナ
KR100245644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US20190368394A1 (en) Oil air separator system and method
KR0129307Y1 (ko) 이물질 유입방지용 여과장치가 부착된 차량용 공기흡입파이프
KR20100104368A (ko) 캐니스터로의 수분 차단 기능을 구비한 먼지제거필터
KR100251171B1 (ko) 에어 클리너 구조
JPH06328937A (ja) 車 両
KR101063580B1 (ko) 프리 크리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