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037Y1 -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037Y1
KR200191037Y1 KR2020000003155U KR20000003155U KR200191037Y1 KR 200191037 Y1 KR200191037 Y1 KR 200191037Y1 KR 2020000003155 U KR2020000003155 U KR 2020000003155U KR 20000003155 U KR20000003155 U KR 20000003155U KR 200191037 Y1 KR200191037 Y1 KR 200191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oil
rotator
internal gear
hydraulic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학범
Original Assignee
최학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학범 filed Critical 최학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0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14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 B66C3/16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by fluid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철 및 종이 또는 각종 스크랩등의 상,하차 또는 집하시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하우징(10)의 상부에는 링크(20)가 위치되어, 크레인 트레비스(400)에 축지되고,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저면부로는 일측에 위치된 유압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몸체 중심부에는 중심축(41) 내측으로 유로홈(42)이 구비된 내접기어(40)가 위치되며,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외측부로는 크레인에서 이동된 유압유를 이동시키는 유입니플(50)이 구비된 로테이터(100)와;
상기 로테이터(100)의 저면에서 어댑터(210)에 의해 고정되고, 유입니플(50)과 유압호스(51)를 통해 이동되는 유압유에 의해 작동되며, 몸체부의 외측으로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집게(220)가 형성되고, 상기 집게(220)의 힌지부(230)에는 유압호스(51)를 통해 이동된 유압유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240)가 설치된 그래플(20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100)의 몸체하우징(10) 외측부에 설치된 유입니플(50)을 통해 유입되는 유압유가 내접기어(40)의 유로홈(42)을 통해 이동되면서 유압유의 누출과 몸체하우징(10)과 내접기어(40)의 상호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 중심부에는 내접기어(40)의 중심축(41)과 끼워지는 장착홈(310)이 형성되고, 몸체 내측으로는 유압유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 내측 중심부에는 유입 및 배출되는 유압유를 이동시키는 이동홈(33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330)의 외측부에는 유입니플(50)을 고정시키는 설치홈(340)이 구비된 선회하우징(300)으로 구성되므로, 로테이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 {Hydraulic fluid supplier for crane rotators}
본 고안은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로테이터의 회전을 담당하는 내접기어의 중심축에 유압유를 누출없이 원할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선회하우징을 설치하여 로테이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그래브는 고철, 파지 또는 각종 스크랩등을 상,하차 및 집하할 때 사용되는 일종의 파지기구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크레인그래브의 형상은 크게 상부에 위치하며 회전을 담당하는 로테이터와 하부에 위치되어 파지를 담당하는 그래플로 나누어 진다.
상기 크레인그래브의 상부에 형성되는 로테이터는 크레인의 단부에 클래비스와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지며, 상기 링크는 로테이터의 몸체 하우징에 고정축으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로테이터의 몸체하우징 하측부에는 내접기어가 위치되고, 상기 내접기어는 몸체하우징의 일측부에 고정된 유압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로테이터의 하부에 위치되어 특정 물건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그레플은 몸체의 하측부에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집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래플의 몸체에 형성된 집게의 구동은 크레인으로 부터 유입되는 유압유가 로테이터의 하우징 니플을 통해 내접기어의 중심축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되어, 기어니플을 거쳐 그래플 바디로 유입된 후, 다시 유압호스를 통해 집게의 힌지점에 장착된 유압실린더로 유입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왕복운동에 의해 집게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크레인그래브는 유압유를 그래플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유압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테이터의 몸체 하우징 또는 내접기어 몸체에 설치홈을 가공한 후 고무패킹을 삽입하여 유압유의 누출을 방지하였으나, 상기의 방식은 비교적 큰 중량물을 가공함으로써 가공공수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중 A/S와 같이 유지 및 보수시에는 고가의 몸체하우징 또는 내접기어 전체를 교환해야 하므로,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증대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몸체 하우징 또는 내접기어에 유압유 누출방지를 위하여 설치홈을 형성한 후 상기 몸체 하우징과 내접기어를 직접 맞조립되는 경우에는 중량 및 충격에 의한 힘이 각 구성품의 마찰부에 그대로 전단되므로 로테이터 전체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로테이터의 회전을 담당하는 내접기어의 중심축에 유압유를 누출없이 원할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선회하우징을 설치하여 로테이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회하우징에 의해 로테이터의 몸체 하우징과 내접기어 몸체가 직접 맞조립 되지 않으므로 중량 및 충격에 의한 마찰력 증대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크레인그래브의 형상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인 선회하우징이 내접기어의 중심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선회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선회하우징의 일부절결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선회하우징의 일부절결 정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하우징 11 - 위치고정홈
12 - 패킹부재 20 - 링크
30 - 유압모터 40 - 내접기어
41 - 중심축 42 - 유로홈
50 - 유입니플 51 - 유압호스
60 - 배출니플 100 - 로테이터
200 - 그래플 210 - 어댑터
220 - 집게 230 - 힌지부
240 - 유압실린더 300 - 선회하우징
310 - 장착홈 320 - 실링부재
330 - 이동홈 340 - 설치홈
400 - 크레인 트레비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철 및 종이 또는 각종 스크랩등의 상,하차 또는 집하시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하우징(10)의 상부에는 링크(20)가 위치되어, 크레인 트레비스(400)에 축지되고,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저면부로는 일측에 위치된 유압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몸체 중심부에는 중심축(41) 내측으로 유로홈(42)이 구비된 내접기어(40)가 위치되며,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외측부로는 크레인에서 이동된 유압유를 이동시키는 유입니플(50)이 구비된 로테이터(100)와;
상기 로테이터(100)의 저면에서 어댑터(210)에 의해 고정되고, 유입니플(50)과 유압호스(51)를 통해 이동되는 유압유에 의해 작동되며, 몸체부의 외측으로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집게(220)가 형성되고, 상기 집게(220)의 힌지부(230)에는 유압호스(51)를 통해 이동된 유압유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240)가 설치된 그래플(20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100)의 몸체하우징(10) 외측부에 설치된 유입니플(50)을 통해 유입되는 유압유가 내접기어(40)의 유로홈(42)을 통해 이동되면서 유압유의 누출과 몸체하우징(10)과 내접기어(40)의 상호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 중심부에는 내접기어(40)의 중심축(41)과 끼워지는 장착홈(310)이 형성되고, 몸체 내측으로는 유압유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 내측 중심부에는 유입 및 배출되는 유압유를 이동시키는 이동홈(33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330)의 외측부에는 유입니플(50)을 고정시키는 설치홈(340)이 구비되는 선회하우징(30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는 로테이터(100)의 내접기어(40)의 중심축(41)에 형성되는 유로홈(42) 외측으로 몸체하우징(10)과 내접기어(40)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며, 유압유의 누출을 방지하는 선회하우징(300)이 설치되므로, 로테이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크레인그래브의 형상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인 선회하우징이 내접기어의 중심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선회하우징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선회하우징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일부절결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선회하우징의 내부 형상을 일부절결 정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로 사용되는 선회하우징(300)은 로테이터(100)의 몸체하우징(10) 외측부에 설치된 유입니플(50)을 통해 유입되는 유압유가 내접기어(40)의 유로홈(42)을 통해 이동되면서 유압유의 누출과 몸체하우징(10)과 내접기어(40)의 상호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 중심부에는 내접기어(40)의 중심축(41)과 끼워지는 장착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310)은 내접기어(40)의 중심축(41)과 상호 공차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회하우징(300)의 몸체 내측으로는 유압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320)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재(320)는 선회하우징(300)의 몸체 내측에서 중앙과 상,하부에 다수개 설치하는 것이 유압유의 누출방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320)의 설치위치와 갯수는 적용모델과 유압유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회하우징(300)의 몸체 내측 중심부에는 유입니플(50) 통해 이동되는 유압유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홈(330)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유입니플(50)과 배출니플(60)을 통해 이동되는 유압유가 선회하우징(300)의 내측에서 원할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홈(330)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홈(330)의 외측부에는 유입니플(5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홈(3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340)은 유입니플(5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면적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유입니플(50)이 선회하우징(300)의 설치홈(340)에 설치되기 위하여 로테이터(100)의 몸체하우징(10)에는 위치고정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홈(11)의 외측부에는 패킹부재(12)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위치고정홈(11)의 외측으로 패킹부재(12)가 설치되는 이유는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로테이터(100)의 회적작업중 발생되는 충격등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로 적용되는 선회하우징(300)은 내접기어(40)의 중심축(41)에 설치되어 유압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종래와 같이 로테이터(100)의 몸체하우징(10)또는 내접기어(40) 몸체에 별도의 설치홈을 형성한 후 패킹부재를 장착하여 사용하므로써 몸체하우징(10)과 내접기어(40)의 직접적인 마찰로 발생되던 로테이터(100)의 내구성 저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유입니플(50)을 통해 유입되는 유압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각 구성품들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와 같이 로테이터(100)의 몸체하우징(10) 또는 내접기어(40) 몸체에 별도의 설치홈을 형성한 후 패킹부재를 장착하여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성 및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셋째, 종래와 같이 로테이터(100)의 몸체하우징(10)과 내접기어(40)가 상호 직접적으로 맞조립되어 중량 및 충격에 의한 힘이 마찰부로 전달되어 발생되던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로테이터(100)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하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고철 및 종이 또는 각종 스크랩등의 상,하차 또는 집하시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하우징(10)의 상부에는 링크(20)가 위치되어, 크레인 트레비스(400)에 축지되고,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저면부로는 일측에 위치된 유압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몸체 중심부에는 중심축(41) 내측으로 유로홈(42)이 구비된 내접기어(40)가 위치되며,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외측부로는 크레인에서 이동된 유압유를 이동시키는 유입니플(50)이 구비된 로테이터(100)와;
    상기 로테이터(100)의 저면에서 어댑터(210)에 의해 고정되고, 유입니플(50)과 유압호스(51)를 통해 이동되는 유압유에 의해 작동되며, 몸체부의 외측으로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집게(220)가 형성되고, 상기 집게(220)의 힌지부(230)에는 유압호스(51)를 통해 이동된 유압유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240)가 설치된 그래플(20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100)의 몸체하우징(10) 외측부에 설치된 유입니플(50)을 통해 유입되는 유압유가 내접기어(40)의 유로홈(42)을 통해 이동되면서 유압유의 누출과 몸체하우징(10)과 내접기어(40)의 상호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 중심부에는 내접기어(40)의 중심축(41)과 끼워지는 장착홈(310)이 형성되고, 몸체 내측으로는 유압유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 내측 중심부에는 유입 및 배출되는 유압유를 이동시키는 이동홈(33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330)의 외측부에는 유입니플(50)을 고정시키는 설치홈(340)이 구비된 선회하우징(3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
KR2020000003155U 2000-02-07 2000-02-07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 KR20019103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591A KR20010077651A (ko) 2000-02-07 2000-02-07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591A Division KR20010077651A (ko) 2000-02-07 2000-02-07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037Y1 true KR200191037Y1 (ko) 2000-08-16

Family

ID=196444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591A KR20010077651A (ko) 2000-02-07 2000-02-07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
KR2020000003155U KR200191037Y1 (ko) 2000-02-07 2000-02-07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591A KR20010077651A (ko) 2000-02-07 2000-02-07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77651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6249A (en) * 1974-06-06 1976-06-29 Hiab-Foco Aktiebolag Rotator
US4009643A (en) * 1975-02-26 1977-03-01 Heinz Thumm Hydraulic motor for rotating the bucket of an excavating machine
GB9103217D0 (en) * 1991-02-15 1991-04-03 Crane John Uk Ltd Mechanical face se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651A (ko) 200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4212A (en) Shut off valve
KR200191037Y1 (ko) 크레인 로테이터의 유압유 회전 공급장치
US20060117946A1 (en) Hydraulic rotator and valve assembly
CN1274969C (zh) 带有清洁润滑脂加油嘴和免清洗拉杆套的拉杆端部
AU7445300A (en) Piping structure of working machine
JP7364775B2 (ja) 複数の構造部を相対的に回転する駆動部の構造および関節部を備えるロボット
WO2004033805A1 (ja) 建設機械の旋回装置
JP5487788B2 (ja) ロボットのアーム連結装置
KR200180958Y1 (ko) 크레인그래브의 유압유 이송 제어장치
CN208438576U (zh) 一种稳定性高的混砂机用悬臂卸料门装置
KR200180957Y1 (ko) 크레인그래브의 유압이송부 보호장치
JP4179432B2 (ja) 旋回輪軸受のシール構造
CN2573449Y (zh) 旋转排料阀
KR200208160Y1 (ko) 크레인그래브의 집게 작동용 유압실린더
US20060162548A1 (en) Rotary hydraulic cylinder
KR200239774Y1 (ko) 크레인 그래브의 어니언 그래플 바디 구조
KR101851661B1 (ko) 실린더용 회전 지지유닛
KR102580216B1 (ko) 상승 회전형 플러그 밸브
KR102176402B1 (ko) 노즐 세척 장치
JP4082941B2 (ja) 三方弁
JP3209076U (ja) スイベルジョイント及び作業車
KR200180960Y1 (ko) 크레인그래브의 링크 고정장치
KR200272511Y1 (ko) 청소가용이한중장비용라디에이터
RU21534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ески и поворота рабочего органа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4138161U (ja) ダブルメカニカルシールの洗浄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