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402B1 - 노즐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402B1
KR102176402B1 KR1020200013871A KR20200013871A KR102176402B1 KR 102176402 B1 KR102176402 B1 KR 102176402B1 KR 1020200013871 A KR1020200013871 A KR 1020200013871A KR 20200013871 A KR20200013871 A KR 20200013871A KR 102176402 B1 KR102176402 B1 KR 102176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nozzle
washing
cleaning
wash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하
정현기
Original Assignee
(주)대명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티에스 filed Critical (주)대명티에스
Priority to KR1020200013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러 도포용 노즐을 세척하기 위한 노즐 세척 장치가 제공된다. 노즐 세척 장치는 세척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세척 컵, 세척 컵의 일 측에 부착되어 노즐이 세척 컵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노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세척 솔, 및 세척 컵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세척 컵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즐 세척 장치{NOZZLE CLEANING DEVICE}
본 개시는 노즐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체를 형성하는 패널과 부품들은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데, 이 접합부에는 누수방지, 방청, 방진, 방음 또는 방열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 실러(sealer)가 도포된다. 또한 자동차 도어, 후드, 트렁크 리드, 테일게이트 등의 내측 부위에는 강판 차제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러가 도포된다. 뿐만 아니라 차체에 글래스를 장착하는 경우와 같이 용접이 불가능하거나 차체 부품의 결합시에 용접열에 의해 차체 부품의 내구성 및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을 경우에 실러가 도포되기도 한다. 이러한 차체용 실러의 예로, 비피알(BPR) 실러와, 헤밍(hemming) 실러와, 매스틱(mastic) 실러와, 구조용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실러는 통상적으로 자동차 생산공정라인 상에서 로봇 암에 의해 위치이동 가능한 무빙 건 형태의 차체용 실러도포기 또는 수직포스트에 고정 및 설치된 고정 건 형태의 차체용 실러도포기로 강제 공급되고, 차체용 실러도포기의 노즐을 통해 적용부위에 도포된다.
차체용 실러도포기의 노즐로부터 도포된 실러는 대부분 적용부위로 도포되지만, 최종시점에 도포되는 실러는 적용부위로 도포되지 못하고 노즐의 단부에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노즐에 잔존하는 실러는 후속 실러도포 시에 의도하지 않게 함께 토출되어 적용부위에 도포되거나 경화시에는 실러 도포경로를 막아 전체적으로 실링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노즐에 잔존하는 실러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노즐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러 도포용 노즐을 세척하기 위한 노즐 세척 장치에 있어서, 세척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세척 컵; 세척 컵의 일 측에 부착되어 노즐이 세척 컵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노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세척 솔; 및 세척 컵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세척 컵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컵이 설치되는 케이스; 및 케이스가 외륜 측에 설치되고 세척 컵이 내륜 측에 설치되도록 케이스와 세척 컵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모터의 구동 축에 결합되고 일 측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세척 컵은 세척 컵의 하단에 형성되고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홈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컵은 소정의 외력에 의하여 어댑터에 장착되거나 어댑터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컵은 결합부가 결합 홈에 삽입할 때 결합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볼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에 케이스가 설치되는 프레임; 및 케이스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구동 모터를 소정의 높이에서 프레임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솔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세척 솔은 세척 컵의 축 방향을 향하도록 세척 컵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컵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 및 세척 컵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척 컵의 상부와 캡 사이를 실링하도록 구성된 실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솔은 세척 컵이 회전할 때 세척 컵과 함께 회전하여 노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노즐 세척 장치를 모듈 형태로 설계하여 노즐 세척 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노즐을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시켜도 노즐의 세척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세척 컵의 분리가 용이한 형태로 설계하여 노즐 세척 장치를 편리하게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의 분해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의 분해된 구성을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에서 세척 컵과 어댑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에서 세척 컵과 어댑터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에서 세척 컵과 어댑터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노즐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로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노즐과 세척 솔이 접촉하여 세척이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표현은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외측 반경방향"의 방향지시어는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한 방사상 방향(radial direction) 중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 반경방향"의 방향지시어는 외측 반경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원주 방향"의 방향지시어는 회전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양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결합부(10A)가 청소부(10B)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청소부(10B)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노즐 세척 장치(1)는 실러 도포용 노즐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써,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구동 부분(101)을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부분(101)은 프레임(100)의 상단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구동 모터(30)를 소정의 높이에서 프레임(100)에 고정하는 브라켓(1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30)는 구동 축(31)이 상방을 향하도록 브라켓(11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10)은 프레임(1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고, 구동 모터(30)의 구동 축(31)이 상방을 향하도록 구동 모터(30)를 프레임(100)의 상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프레임(100)은 구동 부분(101)의 동작을 프레임(100)의 측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측부에 배치된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0)는 투명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작업자는 구동 부분(101)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0)는 구동 부분(101)이 작동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의 이탈, 이물질 방출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즐 세척 장치(1)는 노즐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30)는 노즐이 노즐 세척 장치(1)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노즐 세척 장치(1)의 제어부(미도시)로 감지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이를 기초로 구동 모터(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센서(130)는 노즐이 노즐 세척 장치(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이탈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이를 기초로 구동 모터(3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노즐 세척 장치(1)는 모듈형 설계 방식이 적용되어 작업장의 바닥이나 벽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편의에 맞게 노즐 세척 장치(1)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크기와 형태를 변형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1)의 분해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1)의 분해된 구성을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 및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 부분(101)을 도시하며, 프레임(100)의 구성은 생략한다.
노즐 세척 장치(1)는 세척 컵(10), 세척 컵(10)의 일 측에 부착되어 노즐이 세척 컵(10)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노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세척 솔(20), 및 세척 컵(10)의 축 방향(R)을 중심으로 세척 컵(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모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컵(10)은 컵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세척액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척 컵(10)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작업자는 세척액을 부어서 내부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이 때, 세척 솔(20)은 세척액에 잠기게 될 수 있다.
노즐 세척 장치(1)는 세척 컵(10)이 설치되고 세척 컵(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40) 및 세척 컵(10)을 케이스(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베어링(5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40)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40)는 베어링(50)의 외륜 측에 설치되고, 세척 컵(10)이 베어링(50)의 내륜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50)은 케이스(40)와 세척 컵(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베어링(50)은 예를 들어, 볼 또는 롤러를 포함하는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 세척 장치(1)는 세척 컵(10)과 구동 모터(30)의 결합을 매개하는 어댑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60)는 구동 모터(30)의 구동 축(31)에 결합되고 일 측으로 돌출된 결합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척 컵(10)은 세척 컵(10)의 하단에 형성되고 결합부(61)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홈(17)을 가질 수 있다. 세척 컵(10)은 결합부(61)가 결합 홈(17)에 삽입할 때 결합부(61)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볼 플런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컵(10)은 소정의 외력에 의하여 어댑터(60)에 장착되거나 어댑터(60)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세척 솔(20)은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세척 솔(20)이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이들은 솔 부분이 세척 컵(10)의 축 방향(R)을 향하도록 상기 세척 컵(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솔(20)은 세척 컵(10)이 회전할 때 원주 방향을 회전하면서 노즐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노즐 세척 장치(1)는 세척 컵(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80) 및 세척 컵(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척 컵(10)의 상부와 캡(80) 사이를 실링하도록 구성된 실 링(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80)은 예를 들어 중앙에 홀(81)이 형성된 디스크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홀(81)로는 노즐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실 링(90)은 예를 들어 O-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 링(90)은 세척 컵(10)의 상부에 형성된 홈(1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 컵(10)이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세척액이 세척 컵(10)의 외부로 튀게 되어 주변이 어지럽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세척 컵(10)에 캡(80)과 실 링(9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세척액으로 인한 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1)에서 세척 컵(10)과 어댑터(6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 및 5에는 케이스(40)와 베어링(50)의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
어댑터(60)는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부(61)와 하측으로 돌출된 연결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61)는 축 방향(R)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61)는 세척 컵(10)의 결합 홈(17)에 삽입되고, 구동 모터(30)의 구동 축(31)은 연결부(62)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62)에는 별도의 결합 부재(미도시)가 제공되어서 구동 축(3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축(31)이 회전하는 경우에, 구동 축(31)이 어댑터(60)를 회전시키게 되고, 어댑터(60)는 세척 컵(10)을 축 방향(R)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세척 컵(10)을 어댑터(60)와 결합시키기 위해서, 작업자는 세척 컵(10)의 결합 홈(17)이 어댑터(60)의 결합부(61)와 마주하도록 세척 컵(10)을 정렬한 후에, 세척 컵(10)을 축 방향(R)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결합부(61)를 결합 홈(17)에 삽입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이와 같이 단순한 작업으로 편리하게 세척 컵(10)과 어댑터(60)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세척 컵(10)의 하단은 완전히 막혀 있기 때문에, 세척액이 어댑터(60) 또는 구동 모터(30) 측으로 새어 나올 가능성이 없다. 따라서, 어댑터(60) 또는 구동 모터(30)에 세척액의 방수 처리를 할 필요가 없고, 방수 패킹 등의 마모성 부품을 적용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볼 플런저(70)는 바디(71), 바디(71)에 형성된 내부 공간(72), 내부 공간(72)에 수용된 스프링(73), 및 스프링(73)과 접촉하는 볼(74)을 포함할 수 있다. 볼 플런저(70)는 축 방향(R)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세척 컵(10)의 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61)가 결합 홈(17)에 삽입되면, 볼(74)과 결합부(61)의 측면이 접촉하게 된다. 이 때, 볼(74)은 스프링(73)에 의해 내측 반경방향으로 미는 힘을 작용하게 되고, 결합부(61)의 측면을 가압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볼 플런저(70)는 2개로 제공되어, 볼 플런저(70)의 볼(74)이 결합부(61)의 양 측면을 가압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 플런저(70)는 세척 컵(10)과 어댑터(60) 사이에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볼 플런저(70)는 세척 컵(10)과 어댑터(60)를 완전히 체결하는 것은 아니게 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1)에서 세척 컵(10)과 어댑터(60)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1)에서 세척 컵(10)과 어댑터(60)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세척 컵(10)과 어댑터(60) 사이에는 체결 구조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세척 컵(10)을 소정의 힘으로 상측으로 들어 올리기만 하면, 세척 컵(10)을 어댑터(6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볼 플런저(70)의 볼(74)과 어댑터(60)의 결합부(61)의 측면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힘으로 세척 컵(10)을 들어올리게 되면, 세척 컵(10)은 어댑터(6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작업 공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 때, 어댑터(60)는 구동 축(3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댑터(60)는 구동 모터(3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세척 컵(10)의 바닥에는 실러 찌꺼기 등의 오염 물질이 모이게 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분리된 세척 컵(10)에 있던 세척액을 버리고 세척 컵(10) 및 세척 솔(20)을 청소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어댑터(60) 주변의 공간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컵(10)이 어댑터(6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노즐 세척 장치(1)의 유지 및 보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노즐(N)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세척 장치(1)로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노즐(N)과 세척 솔(20)이 접촉하여 세척이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세척 컵(10)은 상측부터 하측으로 제1 컵 부분(11), 제2 컵 부분(12), 제3 컵 부분(13), 및 제4 컵 부분(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세척 컵(10)은 제1 컵 부분(11)으로부터 제4 컵 부분(14)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컵 부분(11)의 외측 반경방향에는 케이스(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컵 부분(12)의 외측 반경방향에는 프레임(100)의 상측 부분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컵 부분(12)의 상측면에는 세척 솔(20)이 결합될 수 있다. 제3 컵 부분(13)의 외측 반경방향에는 베어링(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컵 부분(14)에는 결합 홈(1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세척 컵(10)을 사용할 수 있고, 세척 솔(20)의 형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세척 컵(10)과 세척 솔(20)을 조합하여, 사용환경에 맞게 대응할 수 있다.
세척 컵(10)에는 세척액(W)이 채워져 있고, 세척 솔(20)은 세척액(W)에 완전히 잠기게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아직 노즐(N)은 세척액(W)과 접촉하지 않도록 세척 컵(10)의 입구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N)은 캡(80)의 홀(81)을 관통할 수 있도록, 홀(81)의 상측에 배치된다.
세척 솔(20)의 브러쉬 부분은 다소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세척 솔(20)의 브러쉬 부분은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노즐(N)은 홀(81)을 관통하도록 축 방향(R)을 따라 이동하여 세척액(W)에 잠기게 되고, 세척 솔(20)은 노즐(N)의 외주면 및 하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세척 컵(10)을 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세척 솔(20)은 노즐(N)의 청소를 진행하게 된다. 즉, 세척 솔(20)은 세척 컵(10)이 회전할 때 세척 컵(10)과 함께 축 방향(R)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노즐(N)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세척 컵(10)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존 방식의 세척 장치에서는 노즐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척 장치의 크기를 상당히 크게 구성해야 하고 세척액이 외부로 튀게 되어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N)이 축 방향(R)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기만 하면, 세척 솔(20)이 축 방향(R)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노즐(N)을 청소할 수 있게 되며, 단면 방향에서 세척 컵(10)의 직경보다 다소 확장된 정도의 면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척 장치의 크기를 상당히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손으로 간단히 세척 컵(10)을 들어 올리면 어댑터(60)로부터 분리되고, 결합 시에도 세척 컵(10)을 어댑터(60) 상에 내려 놓기만 하면 되므로, 구조 자체가 간단하게 되며, 유지 및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노즐 세척 장치
10: 세척 컵
20: 세척 솔
30: 구동 모터
40: 케이스
50: 베어링
60: 어댑터
70: 볼 플런저
80: 캡
90: 실 링
100: 프레임
110: 브라켓

Claims (9)

  1. 실러 도포용 노즐을 세척하기 위한 노즐 세척 장치에 있어서,
    세척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세척 컵;
    상기 세척 컵의 일 측에 부착되어 상기 노즐이 상기 세척 컵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노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세척 솔;
    상기 세척 컵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세척 컵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모터; 및
    상기 세척 컵과 상기 구동 모터의 결합을 매개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축에 결합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 컵은 상기 세척 컵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축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홈을 갖는,
    노즐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컵이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가 외륜 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 컵이 내륜 측에 설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상기 세척 컵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노즐 세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컵과 상기 어댑터의 사이에 체결 구조를 구비하지 않는,
    노즐 세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컵은 소정의 외력에 의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어댑터에 장착되거나 상기 어댑터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된,
    노즐 세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컵은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 홈에 삽입할 때 상기 결합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볼 플런저를 포함하는,
    노즐 세척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측에 상기 케이스가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케이스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를 소정의 높이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노즐 세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솔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세척 솔은 상기 세척 컵의 축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세척 컵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노즐 세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컵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 및
    상기 세척 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 컵의 상부와 상기 캡 사이를 실링하도록 구성된 실 링을 더 포함하는,
    노즐 세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솔은 상기 세척 컵이 회전할 때 상기 세척 컵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노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노즐 세척 장치.
KR1020200013871A 2020-02-05 2020-02-05 노즐 세척 장치 KR102176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871A KR102176402B1 (ko) 2020-02-05 2020-02-05 노즐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871A KR102176402B1 (ko) 2020-02-05 2020-02-05 노즐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402B1 true KR102176402B1 (ko) 2020-11-09

Family

ID=7342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871A KR102176402B1 (ko) 2020-02-05 2020-02-05 노즐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4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448A (ja) * 1993-08-04 1995-03-07 Kobe Steel Ltd 消耗電極式溶接装置の溶接トーチノズル清掃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448A (ja) * 1993-08-04 1995-03-07 Kobe Steel Ltd 消耗電極式溶接装置の溶接トーチノズル清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088B2 (en) Sealing device for joint section of robot and articulated robot having the same
EP2682734B1 (en) Tire holding member for tire testing machine
KR102176402B1 (ko) 노즐 세척 장치
CN105290931A (zh) 一种储罐罐壁维护机器人及其控制系统
JP5848588B2 (ja) 産業用ロボット
JP5381854B2 (ja) 産業用ロボット
CN104785473A (zh) 缸盖的清洁装置
JP5505090B2 (ja) 産業機器の関節部構造
CN206206593U (zh) 组合式机械密封装置及侧进式搅拌器
US20150232069A1 (en) Assembly for washing vehicles
JP5227921B2 (ja) 車両洗浄装置とそれを用いた車両洗浄方法
JP2002235827A (ja) 直線走行装置
CN210022661U (zh) 喷涂机器人开门器
CN114653642A (zh) 一种激光雷达清洁装置及建筑设备
KR101408717B1 (ko) 이물질 자동 배출이 가능한 사방 밸브장치
JPH0717490U (ja) ロボットの関節構造
JP4179432B2 (ja) 旋回輪軸受のシール構造
CN220451708U (zh) 一种洁净室装修用防尘洁净门
JPH0599703A (ja) 挿入形センサ着脱装置
JP4440354B2 (ja) スピン処理装置
JP4400055B2 (ja) 回転部シール装置
CN103128595A (zh) 旋转观景窗
US11260428B2 (en) Cleaning device for hemming roller
CN112963463B (zh) 光学镜片抛光机及其大齿圈离合机构和动力传动装置
CN101121257A (zh) 金属杆定心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