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865Y1 - 감시용 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용 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865Y1
KR200188865Y1 KR2020000002860U KR20000002860U KR200188865Y1 KR 200188865 Y1 KR200188865 Y1 KR 200188865Y1 KR 2020000002860 U KR2020000002860 U KR 2020000002860U KR 20000002860 U KR20000002860 U KR 20000002860U KR 200188865 Y1 KR200188865 Y1 KR 200188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camera
motor
photographing camera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이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호 filed Critical 이병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8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3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or nano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리 결정된 동작 제어명령에 따라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및 촬영각도의 변경을 감시영역의 전 방향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단일의 카메라에 의해서 전체적인 감시영역을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용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소정의 감시영역을 감시하기 위한 촬영동작을 수행하는 촬영카메라를 갖춘 감시용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의 컴퓨터와의 동작명령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과의 데이터통신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이동 및 포커싱/줌잉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다각도로 조정하는 촬영방향 조정수단 및, 해당 시스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시용 촬영 시스템 { Photographing system for watch }
본 고안은 감시용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카메라에 의해서 감시영역의 전 방향에 대해서 연속적인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감시용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변의 사물이나 사람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촬영카메라는 사람의 접근상태나 행동양태를 촬영하여 감시하기 위한 감시용 카메라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감시용 카메라는 예컨대 은행이나 박물관 등과 같은 공공장소 뿐만 아니라, 기밀이 요구되는 각종의 장소에 요소요소마다 배치되어 주변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는 방향 전환이 불가능하도록 고정적으로 설치되어서 그 카메라가 설치된 방향만을 촬영하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감시가 요망되는 영역의 요소요소에 다수개의 카메라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를 회동가능하게 형상을 변경하여, 사용자의 수조작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회동부재가 채용된 촬영카메라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수조작에 의해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소망하는 방향으로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촬영카메라가 여러 방향으로 회동조작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조정되어지기 이전까지는 단방향으로만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감시영역에 대해 다수개의 카메라가 동원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카메라와 그 각각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모니터 장비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따른 고비용 지출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미리 결정된 동작 제어명령에 따라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및 촬영각도의 변경을 감시영역의 전 방향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단일의 카메라에 의해서 전체적인 감시영역을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용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감시용 촬영 시스템에 의하면, 소정의 감시영역을 감시하기 위한 촬영동작을 수행하는 촬영카메라를 갖춘 감시용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의 컴퓨터와의 동작명령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과의 데이터통신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이동 및 포커싱/줌잉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다각도로 조정하는 촬영방향 조정수단 및, 해당 시스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된 감시용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조정과 포커싱/줌잉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제 1메모리와, 제어동작에 따른 처리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2메모리, 다수의 동작모드별로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조정과 포커싱/줌잉동작을 명령하는 동작명령 데이터가 저장된 제 3메모리 및, 클럭발생부에 의해 동작클럭을 인가받아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조정과 포커싱/줌잉동작을 제어하는 CPU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방향 조정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의 회전전환동작과 틸트동작을 위한 구동을 행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를 회전전환시키기 위한 전환모터, 상기 촬영카메라가 안착되고서 상기 전환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전환되는 전환부재, 상기 모터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의 틸트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틸트모터, 상기 전환부재상에 설치되어 상기 틸트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촬영카메라의 틸트각도를 조정하는 틸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환부재의 전환동작시 초기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틸트부재의 틸트동작시 초기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추가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감시용 촬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시용 촬영 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감시용 촬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명령에 따른 동작처리의 수행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베이스부재, 4:전환부재,
6:전환모터, 8:틸트모터,
10:틸트부재, 12:촬영카메라,
22:데이터 통신부, 24:카메라 통신부,
26,28:초기위치센서, 30:제어부,
32:모터구동부, 38,40:전원부,
42,44:모터전원부.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감시용 촬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감시용 촬영 시스템에 따르면, 원형의 베이스부재(2)상에 감시용 촬영 카메라(12)를 360도로 전 방향에 대해서 촬영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부재(4)가 설치되는 바, 그러한 전환부재(4)는 스테핑모터로 이루어진 전환모터(6)의 회전구동에 연동하여 회동된다.
또한, 상기 전환부재(4)상에는 상기 촬영카메라(12)를 고정적으로 안착하여 180도까지 촬영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트부재(10)가 설치되는 바, 그러한 틸트부재(10)는 스테핑모터로 이루어진 틸트모터(8)의 회전구동에 연동하여 유동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시용 촬영 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른 본 고안의 시스템에서, 참조부호 20은 외부의 컴퓨터와 해당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외부 연결단자를 나타내고, 22는 상기 외부 연결단자(20)를 통해 외부의 컴퓨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4는 상기 촬영카메라(12)의 포커싱(Focusing)동작과 줌잉(Zooming)동작과 같은 촬영동작에 따른 명령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카메라 통신부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26은 상기 전환부재(4; 도 1 참조)의 전환동작시 초기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제 1초기위치센서를 나타내고, 28은 상기 틸트부재(10; 도 1 참조)의 틸트동작시 초기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제 2초기위치센서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30은 상기 데이터 통신부(22)에 의해 외부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및 촬영각도를 지시하는 동작명령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전환모터(6) 및 틸트모터(8)를 구동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촬영카메라(12)의 포커싱동작과 줌잉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32는 상기 제어부(30)의 구동제어하에 상기 전환모터(6) 및 틸트모터(8)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구동부로서, 상기 모터구동부(32)는 상기 전환모터(6)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제 1구동회로(34)와, 상기 틸트모터(8)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제 2구동회로(36)로 이루어진다.
또, 참조부호 38은 상기 외부 연결단자(20)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해당 시스템을 구성하는 동작회로단에 예컨대 5v의 동작전원을 전반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1전원부를 나타내고, 40은 상기 외부 연결단자(20)를 통해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작동에 필요한 예컨대 12v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2전원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42는 상기 외부 연결단자(20)를 통해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전환모터(6)의 회전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상기 제 1구동회로(34)에 인가하는 제 1모터전원부를 나타내고, 44는 상기 외부 연결단자(20)를 통해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틸트모터(8)의 회전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상기 제 2구동회로(36)에 공급하는 제 2모터전원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는 제 1메모리(50)와, 제 2메모리(52), 제 3메모리(54), CPU(56; Central Processing Unit), 클럭발생부(58), 리세트회로(60), 통신 입출력부(62) 및, 신호 입출력부(64)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메모리(50)는 ROM으로 이루어져서, 촬영카메라(12)의 전환동작 및 틸트동작과, 포커싱동작 및 줌잉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알고리즘을 갖춘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메모리(52)는 SRAM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전환동작 및 틸트동작과, 포커싱동작 및 줌잉동작에 관련된 처리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게 된다.
또, 상기 제 3메모리(54)는 EEPROM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전환동작 및 틸트동작의 각도와 지속시간에 대한 데이터와, 포커싱 정도 및 지속시간과 줌잉 정도 및 지속시간의 데이터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된 다수의 동작모드별로 동작명령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CPU(56)는 상기 제 1메모리(50)의 제어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부(22)를 통해 수신받은 외부 컴퓨터로부터의 동작제어에 응답하여 지정된 동작모드의 동작명령 데이터를 상기 제 3메모리(54)로부터 제 2메모리(52)에 로딩하여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전환동작 및 틸트동작과, 포커싱동작 및 줌잉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럭발생부(58)는 상기 CPU(56)의 제어처리에 필요한 동기클럭을 발생하여 공급하고, 리세트회로(60)는 외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CPU(56)의 동작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세트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통신 입출력부(62)는 상기 CPU(56)와 상기 데이터 통신부(22) 및 카메라 통신부(24)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입출력 경로를 제공하고, 신호 입출력부(64)는 상기 제 1 및 제 2초기위치센서(26,28)로부터의 감지신호 입력 및 상기 모터구동부(32)의 구동제어를 위한 신호 입출력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도 4와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외부의 조작에 의해 리세트회로(60)로부터 리세트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30)의 CPU(56)는 그 동작이 초기화된다(단계 S10).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30)는 제 1 및 제 2초기위치센서(26,28)에서 각각 전환부재(4)와 틸트부재(10)의 초기위치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발생함에 따라, 촬영카메라(12)의 전환동작 및 틸트동작의 원점을 초기화시키게 된다(단계 S11).
한편, 외부 연결단자(2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의 컴퓨터로부터 소정의 동작모드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데이터 통신부(22)로부터 수신받게 되면, 상기 제어부(30)의 CPU(56)는 그 동작명령 데이터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의 동작명령 데이터를 제 3메모리(54)로부터 제 2메모리(52)로 로딩하게 된다(단계 S12).
또한, 상기 CPU(56)는 상기 제 2메모리(52)에 로딩된 동작명령 데이터에 대해 마지막 동작상태로 명령버퍼와 명령플래그를 설정하게 된다(단계 S13).
그 상태에서, 상기 CPU(56)는 외부의 컴퓨터로부터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촬영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동작명령이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동작명령의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CPU(56)는 상기 제 2메모리(52)의 동작명령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환모터(6)와 틸트모터(8)의 회전구동 상태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촬영카메라(12)의 포커싱동작과 줌잉동작을 제어하게 된다(단계 S15).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명령에 따른 동작처리의 수행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CPU(56)가 초기화된 상태에서(단계 S20), 상기 제 2메모리(52)의 동작명령 데이터가 촬영카메라(12)의 좌측전환을 위한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좌측전환을 위한 제어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CPU(12)는 모터구동부(32)의 제 1구동회로(34)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전환부재(4)가 좌측의 회전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상기 전환모터(6)를 회전구동시키게 된다(단계 S22).
한편,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좌측전환을 위한 제어명령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그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우측전환을 위한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우측전환을 위한 제어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CPU(12)는 모터구동부(32)의 제 1구동회로(34)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전환부재(4)가 우측의 회전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상기 전환모터(6)를 회전구동시키게 된다(단계 S24).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우측전환을 위한 제어명령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그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상측 틸트조정을 위한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5).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상측의 틸트조정을 위한 제어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CPU(12)는 모터구동부(32)의 제 2구동회로(36)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틸트부재(10)가 상측의 틸트각도로 미리 결정된 소정치만큼 조정되도록 상기 틸트모터(8)를 회전구동시키게 된다(단계 S26).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측의 틸트조정을 위한 제어명령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그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하측 틸트조정을 위한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7).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하측의 틸트조정을 위한 제어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CPU(12)는 모터구동부(32)의 제 2구동회로(36)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틸트부재(10)가 하측의 틸트각도로 미리 결정된 소정치만큼 조정되도록 상기 틸트모터(8)를 회전구동시키게 된다(단계 S28).
또한,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자동전환을 위한 제어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단계 S29), 상기 CPU(12)는 모터구동부(32)의 제 1구동회로(34)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전환부재(4)가 미리 결정된 소정의 회전각도에 따라 설정시간만큼 자동적으로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전환모터(6)를 회전구동시키게 된다(단계 S30).
하지만,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자동전환을 위한 제어명령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CPU(56)는 그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근거리 포커싱을 위한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레마(12)의 근거리 포커싱을 위한 제어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통신부(24)를 통해 해당 동작명령 데이터를 촬영카메라(12)측으로 전송하여 해당 촬영카메라(12)가 설정치만큼 근거리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32).
하지만,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근거리 포커싱을 위한 제어명령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CPU(56)는 그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원거리 포커싱을 위한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레마(12)의 원거리 포커싱을 위한 제어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동작명령 데이터를 촬영카메라(12)측으로 전송하여 해당 촬영카메라(12)가 설정치만큼 원거리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34).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촬영카메라(12)의 원거리 포커싱을 위한 제어명령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CPU(56)는 그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줌인(Zoom In)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5).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레마(12)의 줌인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 통신부(24)를 통해 해당 동작명령 데이터를 촬영카메라(12)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촬영카메라(12)가 설정치만큼 줌인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36).
하지만,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줌인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CPU(56)는 그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메라(12)의 줌아웃(Zoom Out)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7).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명령 데이터가 상기 촬영카레마(12)의 줌아웃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동작명령 데이터를 촬영카메라(12)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촬영카메라(12)가 설정치만큼 줌아웃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38).
따라서, 상기 촬영카메라(12)는 소정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작알고리즘에 따라 소정 시간간격으로 전환동작과 틸트동작 및 포커싱동작과 줌잉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컴퓨터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촬영카메라의 회전전환과 틸트각도의 조정이 자동적으로 실행될 뿐만 아니라 포커싱동작 및 줌잉동작이 미리 결정된 동작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함에 따라, 단일의 촬영카메라를 사용하여도 감시영역을 전체적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다수개의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는 종래에 비해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되고, 감시기능의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소정의 감시영역을 감시하기 위한 촬영동작을 수행하는 촬영카메라를 갖춘 감시용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의 컴퓨터와의 동작명령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과의 데이터통신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이동 및 포커싱/줌잉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다각도로 조정하는 촬영방향 조정수단 및,
    해당 시스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촬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조정과 포커싱/줌잉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제 1메모리와, 제어동작에 따른 처리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2메모리, 다수의 동작모드별로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조정과 포커싱/줌잉동작을 명령하는 동작명령 데이터가 저장된 제 3메모리 및, 클럭발생부에 의해 동작클럭을 인가받아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방향 조정과 포커싱/줌잉동작을 제어하는 CPU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촬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방향 조정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의 회전전환동작과 틸트동작을 위한 구동을 행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를 회전전환시키기 위한 전환모터, 상기 촬영카메라가 안착되고서 상기 전환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전환되는 전환부재, 상기 모터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촬영카메라의 틸트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틸트모터, 상기 전환부재상에 설치되어 상기 틸트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촬영카메라의 틸트각도를 조정하는 틸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촬영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재의 전환동작시 초기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틸트부재의 틸트동작시 초기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추가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촬영 시스템.
KR2020000002860U 2000-02-02 2000-02-02 감시용 촬영시스템 KR20018886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137A KR100340935B1 (ko) 2000-02-02 2000-02-02 돔카메라를 이용한 전방위 감시용 촬영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137A Division KR100340935B1 (ko) 2000-02-02 2000-02-02 돔카메라를 이용한 전방위 감시용 촬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865Y1 true KR200188865Y1 (ko) 2000-07-15

Family

ID=196437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137A KR100340935B1 (ko) 2000-02-02 2000-02-02 돔카메라를 이용한 전방위 감시용 촬영시스템
KR2020000002860U KR200188865Y1 (ko) 2000-02-02 2000-02-02 감시용 촬영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137A KR100340935B1 (ko) 2000-02-02 2000-02-02 돔카메라를 이용한 전방위 감시용 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40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879B1 (ko) * 2011-01-27 2011-08-19 심광호 피사체 전방위 촬영시스템
KR101284844B1 (ko) 2011-11-21 2013-07-10 유디피 아메리카스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돔형 카메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270A (ko) * 1997-03-13 1998-11-05 이정식 화상통신시 카메라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374A (ko) 2001-08-17
KR100340935B1 (ko)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6232B2 (en) Remote shooting system and camera system
US6445410B2 (en) Image input apparatus having interchangeable image pickup device and pan head
US8743225B2 (en) Imaging control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274561B2 (en) Surveillance camera
JP2001069496A (ja) 監視カメラ装置及び監視カメラの制御方法
EP1358758A1 (en)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2001100281A (ja) 動作履歴を記録する監視カメラ装置と動作履歴の記録方法
JP2006330593A (ja) 雲台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944490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58609A (ja) カメラシステム
US200602562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camera movement
JP2007143058A (ja) 雲台
JP2000209575A (ja) 監視カメラ装置
JP3530677B2 (ja) 画像入力装置
KR200188865Y1 (ko) 감시용 촬영시스템
US7050093B1 (en) Video camera pivoting apparatus, a pivoting video camera apparatus, and a monitoring system with a pivoting video camera
JP4493510B2 (ja) カメラ旋回装置
JP2009302772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制御方法
JP3519146B2 (ja) パンチルトカメラ
JP4235947B2 (ja) 監視カメラ装置および監視方法
KR100326946B1 (ko)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JP5083293B2 (ja) 監視テレビカメラシステム及び監視テレビカメラの制御方法
JP3287497B2 (ja) テレビカメラ用レンズの駆動装置
KR100458871B1 (ko)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KR100489007B1 (ko) 통합키를 이용한 디지털 화상 저장장치의 표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