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871B1 -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871B1
KR100458871B1 KR10-2002-0013715A KR20020013715A KR100458871B1 KR 100458871 B1 KR100458871 B1 KR 100458871B1 KR 20020013715 A KR20020013715 A KR 20020013715A KR 100458871 B1 KR100458871 B1 KR 10045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ain
surveillance
zon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3932A (ko
Inventor
박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앤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앤컴
Priority to KR10-2002-001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8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04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제어장치로 복수의 감시카메라를 일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감시영역을 복수개의 주감시구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주감시구역에 대한 팬각을 입력하여 주감시구역에 대한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각 카메라의 작동모드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발생하여 각 카메라로 전송한 후 감시개시 신호에 따라 카메라 렌즈를 제어하여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스캔 주감시구역에 다라 해당 카메라의 최초 주감시구역에 해당하는 촬영 방향 및 각도로 모터를 제어하여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렌즈의 회전 중 모터의 팬각이 미리 설정된 주감시구역에 해당될 경우에 카메라 렌즈를 일시 정지시켜 감시한 후 다음 스캔 주감시구역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METHOD FOR OPERATING OF A MONITERING CAMERA}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시카메라를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촬영 방향과 각도 및 속도를 임의로 가변하며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되, 감시영역 중 감시하고자 하는 스캔영역을 임의 설정하여 주감시구역을 중심으로 카메라를 회전시킴으로써, 주감시 구역을 중심으로 보다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할인유통업체 등의 상품진열매장이나 금융기관, 그 밖의 빌딩 등 보안이 필요한 장소에 감시카메라를 다수 설치하게 된다.
상기 감시카메라는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그 하부의 일정범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은 감시카메라에 있어서는 감시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좌우방향으로 일정각만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감시범위를 좌우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팬(pan) 기능과, 카메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감시각도를 상하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틸트(tilt) 기능, 그리고 감시 영상중의 특정 부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줌(zoom) 기능을 갖게 하는 예가 많다.
이처럼 팬 기능과, 틸트 기능 및 줌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는 단일 카메라로 보다 넓은 공간을 자세하게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종래에 제안된 것들은 카메라가 허용하는 감시영역내에서 연속적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감시하여 굳이 감시하지 않아도 되는 영역까지 감시하거나 중요한 지점을 보다 핵심적으로 감시하지 못함으로써, 감시효율 측면에서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카메라를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촬영 방향과 각도 및 속도를 임의로 가변하며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되, 감시영역을 복수의 주감시구역으로 분할 지정한 후 주감시구역마다 카메라를 일시 정지시켜 감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카메라를 연결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세부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의 감시카메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 3의 컨트롤러를 기능별로 세분화한 회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작동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감시영역을 주감시구역으로 분할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주감시구역의 설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 설정시에 메모리에 저장되는 룩업테이블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21: 렌즈
23: 팬제어모터 24: 틸트제어모터
50: 컨트롤러 51: 통신수단
53: 팬각감지센서 56: 줌구동부
58: 제어수단 100: 제어장치
110: 키입력부 120: 표시부
140: 통신수단 210,220,230: 인터페이스
310,320,330: 전원변환기 400: 모니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방법은, 메인 제어장치로 복수의 감시카메라를 일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의 감시영역을 복수개의 주감시구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주감시구역에 대한 팬각을 입력하여 주감시구역에 대한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각 카메라의 작동모드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발생하여 각 카메라로 전송한 후 감시개시 신호에 따라 카메라 렌즈를 제어하여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스캔 주감시구역에 따라 해당 카메라의 최초 주감시구역에 해당하는 촬영 방향 및 각도로 모터를 제어하여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렌즈의 회전 중 모터의 팬각이 미리 설정된 주감시구역에 해당될 경우에 카메라 렌즈를 일시 정지시켜 감시한 후 다음 스캔 주감시구역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카메라를 연결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상세도로서, 복수의 카메라(1∼1n), 제어장치(100), 인터페이스(210, 220, 230) 및 모니터(4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카메라(1∼1n)는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내부 모터의 팬제어 및 틸트제어에 따라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 감시구역을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인터페이스(210, 220, 230)는 카메라(1∼1n)와 제어장치(100)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카메라(1∼1n)를 제어장치(100)와 병렬 연결하여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카메라(1)로 공급하는 각종 단자(TP, TR1+/TR1-, B+/GND)들로 이루어져 있고, 모니터(400)는 카메라(1∼1n)로부터 출력되는 감시영상을 RGB변환하여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이루어져 있고, 제어장치(100)는 복수의 입력키와 표시수단과 메모리 및 마이콤으로 이루어져 각 카메라(1)의 감시영역을 복수의 주감시구역으로 분할하거나 복수의 주감시구역 중 주감시 지점을 지정하거나 카메라의 감시구역에 대한 스캔구역을 설정 및 카메라의 회전속도 등을 지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예컨데, 단일 제어장치(100)에 두 대의 카메라(1, 1n)를 연결하였을 경우를 설명하면, 어댑터(310)를 통해 교류 220V전원을 직류 12V전압으로 변환되어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전원단자(B+, GND)로 제공되면 제어장치(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터미널단자(TP)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장치(100)의 제어신호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터미널단자(TP)로 출력되어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어단자(TR1+, TR1-)를 통해 제 2 인터페이스(210)의 제어단자(TR1+, TR1-)로 출력된다.
상기 제 2 인터페이스(210)의 전원단자(AC1, AC2)는 AC/AC변환기(320)를 통해 AC 220V를 대략 AC 24V로 다운된 교류전원을 제공받고 터미널단자(TP)를 통해 제 1 감시카메라(1)로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제어단자(TR1+, TR1-)를 통해 제공된 제어신호를 터미널단자(TP)를 통해 제 1 카메라(1)로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제 2 카메라(1n)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터미널단자(TP)와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어단자(TR1+, TR1-)와 제 2 인터페이스(210)의 일측 및 타측 제어단자(TR1+/TR1-, TR2+/TR2-) 및 제 3 인터페이스(210)의 제어단자(TR1+, TR1-) 및 터미널단자(TP)를 통해 제어장치(100)의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 3 인터페이스(210)의 전원단자(AC1, AC2)는 AC/AC변환기(330)를 통해 AC 220V를 대략 AC 24V로 다운된 교류전원을 제공받고 터미널단자(TP)를 통해 제 2 감시카메라(1n)로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제어단자(TR1+, TR1-)를 통해 제공된 제어신호를 터미널단자(TP)를 통해 제 2 카메라(1n)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각 카메라(1, 1n)는 해당 인터페이스(220, 230)의 터미널단자(TP)로부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렌즈를 상하좌우로 각각 구동시키게 되며, 각 카메라(1)에 촬영된 영상은 모니터(400)로 출력되어 감시구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도 2와 같은 블록도로 이루어져 있는 데, 각종 기능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110)와, 상기 키입력부로 입력된 제어 명령을 표시하는 7-Segment로 이루어진 표시부(120)와, 각종 동작프로그램 및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0)와, 상기 키입력부(110)로 입력된 명령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모리(13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120)에 표시시키거나 메모리(130)에 저장한 후 통신수단(150)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1∼1n)로 각종 감시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마이콤(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감시카메라의 분해 사시도로, 하우징(10), 렌즈 유닛(21∼28), 렌즈 홀더(31, 33, 37) 및 뷰 케이스(40)를 도시하였다.
상기 하우징(10)은 카메라 본체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켜 지지함과 아울러 외부 환경으로부터 렌즈의 손상을 보호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렌즈 유닛(21∼28)은 회전 가능한 렌즈(21)와 렌즈(21)를 회전시키는 수단(23, 24, 26)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렌즈 홀더(31, 33, 37)는 소정의 회동축에 의해 렌즈 유닛(21∼28)과 결합되어 렌즈 유닛을 하우징(10)에 장착하는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뷰 케이스(40)는 하우징(10)과 결합되는 돔 형상의 투명 케이스로 렌즈의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일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 그 내면에는 렌즈 홀더를 내부에 결합 및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기(11, 13)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외면에는 하우징을 천장이나 기타 설치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쇠(15)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유닛(21∼28)은 렌즈(21)와, 렌즈를 소정 각도로 조정하거나 회전시키기 위한 팬 및 틸트제어모터(23, 24), 기어(27) 및 벨트(28)와 같은 감시각조정수단(26)과, 렌즈의 구동제어신호 및 촬영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소자가 장착된 제어컨트롤러(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도면에서는 틸트제어모터(24)의 기어(27)와 벨트(28)만 도시되었지만, 팬제어모터(23)에도 그와 동일한 기어와 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팬제어모터(23)의 하우징 내부에는 회전각을 감지하는 광센서(발광 및 수광소자)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판에 각감지용 홀이 뚫려져 있어 광센서로 그 홀을 감지하고 컨트롤러(50)의 제어수단을 통해 홀의 개수 및 모터의 정/역회전방향을 감지하여 모터의 회전각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에 뚫린 홀은 1°내지 5°간격으로 형성되어 모터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터(23, 24)는 컨트롤러(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기 회전하여 기어(27)와 벨트(28)를 통해 렌즈(21)를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시켜 미리 설정된 각도로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렌즈 홀더(31, 33, 37)는 소정의 회동축(미 도시)에 의해 렌즈 유닛과 상호 결합되어 하우징(10)에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금속제 프레임으로 이루어져있는 데, 소정의 회동축으로 렌즈(21)를 지지하는 보조프레임(31), 소정의 회동축으로 보조프레임(31)과 각종 팬 및 틸트제어모터(23, 24)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37) 및 메인프레임(37)과 결합되어 렌즈 유닛을 하우징(10)에 장착하기 위한 지지프레임(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31)은 렌즈(21)를 수평축에 대한 회동각도인 상하 틸트각도(tilt)가 대략 90°조정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으며, 렌즈(21)와 팬제어모터(23)와 보조프레임(31)은 소정의 회동축(미 도시)으로 메인프레임(37)의 회전체 상단에 결합되어 렌즈(21)와 팬제어모터(23)와 보조프레임(31)을 수직축에 대해 좌우 325°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카메라(1)는 팬각 325°좌우회전과, 틸트각 90°상하조절이 가능하며, 제어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176배의 렌즈 줌 기능과, 팬각의 초당 22°내지 81°속도 가변과 틸트각의 초당 5°속도제어 기능으로 감시의 극대화와 감시영역의 사각지대를 개선하였다.
아울러, 하우징(10)과 결합되는 렌즈 홀더의 지지프레임(33)은 중심에서부터 바깥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33)의 소정 위치에 하우징(10)의 돌기(11, 13)에 삽입하기 위한 결합구(34)가 형성되어 있어 지지프레임(33)의 결합구(34)를 하우징(10)의 돌기(11, 13)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면 지지프레임(33)의 고유 장력에 의해 카메라 본체가 하우징(10)에 장착 및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카메라(1∼1n)는 인터페이스(210, 220, 230)를 통해제어장치(100)에 연결되어 있어 제어장치(100)의 메인 제어신호는 인터페이스(210, 220))를 통해 해당 카메라(1)의 컨트롤러(50)로 입력되어 각 컨트롤러(50)의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 렌즈(21)의 팬/틸트제어 및 줌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도 3의 컨트롤러를 기능적으로 구분한 세부 블록도로서, 외부 단자를 통해 제어장치(100)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수단(51)과,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ID인지를 판단한 후 각종 촬영방향, 촬영각도 및 줌 동작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58)과, 상기 제어수단(58)의 팬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 렌즈(21)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여 촬영방향을 회전시키는 팬제어모터(23)와, 상기 팬제어모터(23)의 회전축과 연동되는 회전판에 뚫어진 홀을 감지하여 좌우 회전각을 감지하는 팬각감지센서(53)와, 상기 제어수단(58)의 틸트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 렌즈(21)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여 촬영각도를 조정하는 틸트제어모터(24)와, 상기 제어수단(58)의 줌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 렌즈(21)의 줌인 및 줌아웃을 조정하는 줌구동부(56)로 이루어져 있다.
즉, 카메라(1)의 제어수단(58)은 도 1의 제어장치(100)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통신수단(51)을 통해 제공받아 카메라 렌즈(21)의 방향, 각도 및 줌을 제어하게 되며, 제어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는 pan right, pan left, pan hold, tilt down, tilt up, tilt hold, zoom in, zoom out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100)로부터 카메라(1)의 ID와 함께 pan right 신호가 전송되면 카메라(1)의 제어수단(58)은 ID를 분석하여 자기 ID인지를 판단한 후 자기 ID일 경우에는 전송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팬제어모터(23)를 구동하여 카메라 렌즈(21)를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물론, 여기에서 특별히 카메라(1)의 구동 팬각을 지정하였으면, 지정된 팬각만큼만 카메라 렌즈(21)를 회전시키게 되는 데, 팬각은 팬각감지센서(53)를 통해 모터각을 표시하는 홀을 카운트하여 알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작동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각 카메라(1)의 감시영역을 도 6과 같이 복수개의 주감시구역(P1∼P4)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주감시구역에 대한 팬각과 틸트각을 입력하여 주감시구역에 대한 리스트를 작성한다(S1).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감시영역을 P1부터 P4 구간으로 분할한 후 분할한 각 주감시구역(P1∼P4)에 대한 팬각과 틸트각을 입력하여 제어장치(100)의 메모리(130)에 일시 저장하여 놓는다.
즉, 사용자는 감시카메라(1)의 설치 장소에 따라 각 카메라의 감시영역 중 감시하고자하는 주감시구역을 임의 선택하여 제어장치(100)의 키입력부(110)로 설정하게 되는 데(S2), 도 7과 같이 키입력부(110)의 포지션세트키(P.SET)를 누르면 번호를 입력하는 기본상태가 되며, 이어 제어장치(100)의 키입력부(110)의 좌우키와 상하키로 해당 카메라 렌즈(21)의 감시방향을 조정하여 주감시구역을 선택한 후 업다운키(UP/DOWN)를 눌러 주감시구역, 즉 주감시구역의 번호를 매칭시켜 설정한 후 엔터키(ENT)를 누르면 해당 지점의 주감시구역의 번호 및 팬각과 틸트각이 세팅되어 주감시구역으로 메모리(130)에 일시 저장된다.
이와 같이 키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되는 내용은 제어장치(100)의 표시부(120)에 일일이 표시되며, 상기에서 주감시구역으로 지정하면 카메라 렌즈(21)는 각 주감시구역에서 일시 정지하여 감시하게 된다.
상기 주감시구역을 지정하는 방식은, 카메라(1)를 좌우로 최대 325°및 상하로 90°회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감시영역의 특성상 이와 같은 광범위의 감시가 필요없을 경우 감시영역을 별도로 지정하는 기능으로 팬각에 따른 주감시구역을 별도로 지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감시구역을 지정할 때, 주감시구역별 또는 카메라별로 카메라 렌즈(21)의 회전속도 및 줌 기능을 키입력부(110)의 속도키(SPD)와 줌키(ZOOM)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주감시구역을 지정한 후 키입력부(110)의 카메라키(CAM)를 선택하여 해당 카메라(1)의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매칭시킨 후 메모리(130)에 저장하게 된다(S2). 즉, 키입력부(110)의 카메라키(CAM)를 선택한 후 업다운키(UP/DOWN)를 눌러 원하는 번호를 선택하고 엔터키(ENT)를 누르면 해당 번호가 세팅되어 상기 주감시구역 등이 메모리(130)에 등록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 카메라(1)의 주감시구역들을, 즉 스캔영역을 설정하면 제어장치(100)의 메모리(130)에 도 8과 같은 룩업테이블이 작성된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100)는 해당 카메라(1)를 지정된 주감시구역내에서만 회전시켜 감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주감시구역에서는 미리 설정된 수초동안 카메라 렌즈(2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감시하게 되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카메라렌즈(21)를 회전시켜 다음 주감시구역에서 카메라 렌즈(2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수초동안 감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어장치(100)의 키입력부(110)를 통해 각 카메라 렌즈(1)의 줌 또는 모터속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의 스캔영역 및 작동모드를 설정(S1, S2)하면 제어장치(100)는 작동모드에 따른 각 카메라의 제어데이터를 발생하여 인터페이스(210, 220, 230)를 통해 각 카메라(1∼1n)로 전송하고, 각 카메라의 제어수단(58)은 통신수단(51)을 통해 제어데이터를 제공받아 자기 ID에 해당되는 데이터만 추출한 후 메모리(59)에 저장하고, 추후 감시개시 신호에 따라 각 감시카메라는 전송제어데이터에 따라 카메라 렌즈(21)를 작동시키게 된다(S3). 즉, 제어장치(10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도 8의 룩업테이블을 참조로 하여 해당 카메라(1)로 각 제어데이터를 발생하여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카메라(1)의 제어수단(58)은 제어장치(1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210, 220)와 통신수단(51)을 통해 제공받아 자기 제어데이터인지를 판단한 후 자기 데이터일 경우에는 해당 제어데이터를 메모리(59)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스캔 구역에 따라 카메라(1)의 주감시구역에 해당하는 팬각 및 틸트각으로 모터(23, 24)를 제어하여 감시하게 된다(S4).
상기 카메라 렌즈(21)의 회전 중 모터의 팬각 및 틸트각이 메모리(59)에 미리 설정된 주감시구역에 도달할 때까지 렌즈(21)를 회전시켜 주감시구역에 해당될 경우에는 카메라 렌즈(21)를 일시정지시켜 수초동안 감시한 후 카메라 렌즈를 다음 주감시구역에 해당하는 팬각 및 틸트각으로 회전시킨다(S5, S5-1, S6).
예를 들어, 스캔 지점을 P1에서 P4까지 설정할 경우에는 카메라 렌즈(21)는 P1->P2->P3->P4->P3->P2->P1 순서로 정회전 및 역회전하며, 각 주감시구역(P1∼P4)에서는 3초동안 정지되어 감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스캔 구역 중 감시영역의 마지막 주감시구역(P4)일 경우에는 설정시간동안 카메라 렌즈(21)를 일시 정지시켜 감시한 후 제어수단(58)은 재차 팬제어모터(23)를 역회전시켜 다음 주감시구역(P3)으로 이동시켜 감시하게 된다(S7, S8).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감시카메라를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촬영 방향과 각도 및 속도를 임의로 가변하며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되, 감시영역을 복수의 주감시구역으로 분할한 후 주감시구역마다 카메라를 일시 정지시켜 감시함으로써, 주감시구역을 일반 감시구역보다 더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어 감시카메라의 설치위치와 감시영역에 따라 최적의 작동모드로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복수의 감시카메라를 일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의 감시영역을 복수개의 주감시구역으로 임의 분할하고, 분할된 각 주감시구역에 대한 팬각과 틸트각 및 일시 정지 시간을 키 입력부의 특정 키를 통해 입력하여 각 카메라의 분할된 주감시구역에 대한 제어데이터 리스트를 작성하며, 각 카메라의 감시영역의 특성에 따라 카메라 렌즈의 회전속도를 설정하여 메인 제어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각 카메라의 작동모드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발생하여 각 카메라로 전송한 후 감시개시 신호에 따라 각 카메라 렌즈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스캔 주감시구역 중 최초 주감시구역에 해당하는 카메라의 촬영 방향 및 각도로 모터를 제어하여 감시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렌즈의 회전 중 모터의 팬각과 틸트각이 미리 설정된 주감시구역에 해당될 경우에 해당 주감시구역에 카메라 렌즈를 일시 정지시켜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감시한 후 다음 스캔 주감시구역으로 회전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의 감시영역을 복수의 주감시구역으로 임의 분할한 후 카메라가 마지막 주감시구역을 감시할 경우에는 주감시구역의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카메라 렌즈를 일시 정지 하여 감시한 후 메인 제어장치는 팬제어모터를 역회전 시켜 다음 주감시구역으로 이동하며, 각 카메라는 주감시구역에 미리 설정된 렌즈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구동제어방법.
  3. 삭제
KR10-2002-0013715A 2002-03-14 2002-03-14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KR10045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715A KR100458871B1 (ko) 2002-03-14 2002-03-14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715A KR100458871B1 (ko) 2002-03-14 2002-03-14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932A KR20030073932A (ko) 2003-09-19
KR100458871B1 true KR100458871B1 (ko) 2004-12-03

Family

ID=3222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715A KR100458871B1 (ko) 2002-03-14 2002-03-14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06B1 (ko) * 2006-11-14 2007-05-08 주식회사 지.피 코리아 산불감시시스템
KR100925818B1 (ko) * 2007-12-27 2009-11-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용 전자 광학 카메라의 스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968A (ja) * 1990-07-13 1992-03-06 Fujitsu Ltd 撮像装置
JPH05191806A (ja) * 1992-01-13 1993-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装置
KR19990009024U (ko) * 1997-08-14 1999-03-05 이해규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968A (ja) * 1990-07-13 1992-03-06 Fujitsu Ltd 撮像装置
JPH05191806A (ja) * 1992-01-13 1993-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装置
KR19990009024U (ko) * 1997-08-14 1999-03-05 이해규 감시 시스템
KR200278541Y1 (ko) * 1997-08-14 2002-08-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932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1302A2 (en)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EP0714579B1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20030007821A (ko) 원격 카메라 제어 장치
JP2000083188A (ja) 監視カメラ装置
WO2009102098A1 (en) Intellection type monitoring system and intellection type monitoring method using a cctv system
JP2014238278A (ja) 物体検出システム
US6400264B1 (en) Community far end intelligent image monitor
KR100458871B1 (ko)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KR100446426B1 (ko)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KR2002000123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보안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02967A (ko) 울타리 경계 시스템
KR101829043B1 (ko) 다기능 보안등
KR200188865Y1 (ko) 감시용 촬영시스템
JP2005269287A (ja) 監視カメ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
KR100731592B1 (ko)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KR200278541Y1 (ko) 감시 시스템
KR200200320Y1 (ko)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KR20080033570A (ko) 카메라 촬영 범위 표시장치
KR20100008824A (ko) 폐쇄회로텔레비전 카메라시스템
JPH0541824A (ja) 小型監視カメラ
JP4441905B2 (ja) カメラ制御装置、カメラ制御方法、及び監視システム
JPH02216189A (ja) 液晶表示システム
US20080088709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060098091A1 (en) Surveillance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camera through monitor and method thereof
KR19990086124A (ko) 영상 표시기를 구비한 콘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