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541Y1 -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541Y1
KR200278541Y1 KR2019970022205U KR19970022205U KR200278541Y1 KR 200278541 Y1 KR200278541 Y1 KR 200278541Y1 KR 2019970022205 U KR2019970022205 U KR 2019970022205U KR 19970022205 U KR19970022205 U KR 19970022205U KR 200278541 Y1 KR200278541 Y1 KR 200278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illance
monitoring
area
surveillance camera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024U (ko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22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54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영역을 감시하고, 감시 영역에 대한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카메라(50)와; 상기 감시 카메라(50)에 장착되어 초점 거리를 광각으로부터 망원까지 변화시켜 상기 감시 카메라의 화각을 변화시키는 줌 렌즈(30)와; 상기 감시 카메라(50)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팬/틸트부(40)와; 상기 감시 카메라(5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입력받아서 모니터(60)로 출력하고, 상기 팬/틸트부(40)를 제어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50)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상기 줌 렌즈(30)를 제어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50)의 화각을 변화시키는 감시 제어부(70)를 포함하며, 감시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감시 영역을 배분하고, 배분된 감시 영역에 대한 감시 회수와 감시 화각 등을 조정하여 감시하고, 출입문이나 중요 감시 영역에 설치된 각종 센서와 연결하여 감시함으로서 효율적인 감시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감시 시스템
이 고안은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감시 영역을 중요도에 따라 배분하여 감시 회수와 감시 화각 등을 조정함으로서 효율적인 감시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감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감시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감시 시스템은 일정 영역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1, 3, 5, 7)를 사용하는데, 넓은 감시 영역(9)을 각 감시 카메라(1, 3, 5, 7)가 감시할 수 있는 일정 영역으로 나누어서 각 감시 카메라(1, 3, 5, 7)를 나누어진 영역에 배치하여 전체 감시 영역(9)을 감시한다.
도 2는 종래 감시 시스템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감시 카메라는 일정 영역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11)를 사용하는데, 넓은 감시 영역(13)을 감시하기 위해 감시 카메라(11)로 먼저 제1 영역을 먼저 감시하고, 다음에 팬(pan)과 틸트(tilt)를 구동하여 감시 카메라(11)의 위치를 회전시켜 제2 영역을 감시하고, 계속해서 제3 영역을 감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넓은 전체 감시 영역(13)을 감시한다.
도 3은 종래 감시 시스템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감시 카메라는 일정 영역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15)를 사용하는데, 감시 카메라(15)는 제어부(19)와 연결되고, 제어부(19)는 감시 카메라(15)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모니터(21)로 출력하여 감시되는 영역이 모니터(21)로 화면 표시되게 한다.
이 때, 모니터(21)를 통해 감시 영역을 감시하고 있는 사람이 있고, 그 사람이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으로 제어부(19)를 통해 감시 카메라(17)를 팬/틸트를 구동하여 이동시켜 감시한다. 예를 들면, 제1 영역을 감시한 다음 제3 영역을 감시하고 싶으면 감시자가 제3 영역을 감시할 수 있는 위치로 감시 카메라(15)를 이동시켜 제3 영역을 감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감시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감시가 되지 않고, 또한 일정 영역을 동일한 화질로 감시하기 때문에 보다 더 정확하게 판단하여야 하는 감시 영역에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감시 영역에 따라 화질을 다르게 할 경우에 여러 대의 감시 카메라가 필요함에 따라 설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시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감시 화면을 크게 하거나 감시 빈도를 조정하여 감시함으로서 효율적인 감시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감시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감시 시스템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 감시 시스템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5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서 감시 영역(80)을 중요도에 따라 배분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감시 시스템의 제어 순서도이고,
도 7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서 감시 영역(80)을 중요도에 따라 배분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감시 시스템의 제어 순서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고안은,
일정 영역을 감시하고, 감시 영역에 대한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카메라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장착되어 초점 거리를 광각으로부터 망원까지 변화시켜 상기 감시 카메라의 화각을 변화시키는 줌 렌즈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팬/틸트부와;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입력받아서 모니터로 출력하고, 상기 팬/틸트부를 제어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상기 줌 렌즈를 제어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의 화각을 변화시키는 감시 제어부를 포함하며,
전체 감시 영역을 중요도에 따라 미리 배분하고, 상기 배분된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의 화각과 감시 회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화각과 감시 회수에 따라 상기 전체 감시 영역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줌 렌즈(30)와 팬/틸트부(40)를 장착한 감시 카메라(50)와, 줌 렌즈(30)와 팬/틸트부(40)를 제어하고 감시 카메라(5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모니터(60)로 출력하는 감시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줌 렌즈(30)는 감시 카메라(50)의 화각을 망원으로부터 광각까지 변화시켜 주고, 팬/틸트부(40)는 감시 카메라(50)의 위치를 변경시켜 감시 카메라(50)가 감시하는 영역을 변경시켜 결국은 감시 카메라(50)가 전체 감시 영역(80)을 감시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서 감시 영역(80)을 중요도에 따라 배분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서 감시 영역(80)은 15개의 작은 영역으로 배분되고, 각 영역은 그 중요도 등급에 따라 A1 ∼ A5, B1 ∼ B5, C1 ∼ C5 라는 이름으로 배분된다.
이 때, A 등급의 영역(A1 ∼ A5)은 중요도가 높으므로 이 영역들을 감시할 때에는 줌 렌즈(30)의 화각이 망원이고, B 등급의 영역(B1 ∼ B5)은 중요도가 보통이므로 줌 렌즈(30)의 화각이 표준이고, C 등급의 영역(C1 ∼ C5)은 중요도가 낮으므로 줌 렌즈(30)의 화각이 광각이다.
도 6은 도 5의 감시 시스템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도 5의 감시 시스템은 감시 영역을 중요도에 따라 15개의 감시 영역으로 배분하는 단계(S1)와, 배분된 각 영역에 대해 감시 회수와 감시 순서를 정하는 단계(S2)와, 첫 번째 순서의 감시 영역으로 감시 카메라(50)를 이동시키는 단계(S3)와, 감시 영역을 감시 회수만큼 감시하는 단계(S4)와, 감시 동작을 종료하라는 명령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5)와, 상기 단계(S5)에서 감시 동작을 종료하라는 명령이 없으면 다음 순서의 감시 영역으로 감시 카메라(50)를 이동시키는 단계(S6)에 의해 제어된다.
도 7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서 감시 영역(80)을 중요도에 따라 배분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서 감시 영역(80)은 9개의 작은 영역으로 배분되고, 각 영역은 그 중요도 등급에 따라 A, B, C로 배분되고, A 등급의 영역에 대한 줌 렌즈(30)의 화각은 망원이고, B 등급의 영역에 대해서는 표준이고, C 등급의 영역에 대해서는 광각이다.
감시 회수와 감시 순서는 미리 정해진다.
이 때, 출입문이나 비상구에는 외부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이 외부 센서에 의해 외부 신호가 감지되면 순서에는 상관없이 우선적으로 감시한다.
도 8은 도 7의 감시 시스템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도 7의 감시 시스템은 감시 영역을 중요도에 따라 9개의 감시 영역으로 배분하는 단계(S11)와, 배분된 각 영역에 대해 감시 회수와 감시 순서를 정하는 단계(S12)와, 첫 번째 순서의 감시 영역으로 감시 카메라(50)를 이동시키는 단계(S13)와, 외부 센서로부터 신호 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4)와, 상기 단계(S14)에서 외부 센서로부터 신호 입력이 있으면 외부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으로 감시 카메라(50)를 이동시키는 단계(S15)와, 감시 영역을 감시 회수만큼 감시하는 단계(S16)와, 감시 동작을 종료하라는 명령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7)와, 상기 단계(S17)에서 감시 동작을 종료하라는 명령이 없으면 다음 순서의 감시 영역으로 감시 카메라(50)를 이동시키는 단계(S18)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감시 영역(80)을 그 중요도에 따라 15개의 영역으로 나누고(S1), 각 영역에 대한 감시 회수와 감시 순서를 미리 정한다(S2).
그리고, 그 감시 순서와 감시 회수에 따라 감시 카메라가 각 영역을 감시하게 된다(S3, S4, S6).
예를 들어, 감시 순서가 A1 -> B1 -> C1 -> A2 -> C4 -> B2 -> A1 -> B3 -> C5 -> A5 -> B5 -> A5 -> C3 -> A3 -> … 등으로 결정되면, 감시 제어부(70)는 팬/틸트부(40)를 제어하여 감시 카메라(50)를 첫 번째 순서의 감시 영역인 A1 영역을 감시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3).
그리고, A 등급이기 때문에 감시 제어부(70)는 줌 렌즈(30)의 화각을 망원으로 구동하여 모니터(60)를 통한 좋은 화질로 정확하게 A1 영역을 감시한다(S4).
다음, 감시 제어부(70)는 다시 팬/틸트부(40)를 구동하여 감시 카메라(50)를 다음 순서인 B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S6), 줌 렌즈(30)의 화각을 표준으로 구동하여 B1 영역을 감시하고(S4), 미리 정해진 감시 순서에 따라 계속 감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감시 영역의 감시가 끝나면, 감시 동작을 종료하라는 명령이 있는가를 판단하여(S5), 만약 감시 동작을 종료하라는 명령이 있으면 감시 동작을 종료하고, 명령이 없으면 감시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다음, 도 7 및 도 8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감시 영역(80)을 그 중요도에 따라 9개의 영역으로 나누고(S11), 각 영역에 대한 감시 회수와 감시 순서를 미리 정한다(S12).
그리고, 그 감시 순서와 감시 회수에 따라 감시 카메라가 각 영역을 감시하게 된다(S13, S16, S18).
이 때, 각 영역 중에서 외부 출입이 빈번한 출입문이나 비상구 등에 설치된 외부 센서로부터 센서 신호를 입력받도록 하여, 감시 도중 외부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S14), 만약 외부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우선적으로 감시 카메라를 외부 센서가 설치된 영역으로 이동시켜(S15) 감시한다(S16).
이와 같이 함으로서 중요한 영역에 대하여 모니터(60)를 통한 화질이 좋아서 정확한 감시가 가능하고, 또한 집중적인 감시도 병행될 수 있다.
물론, 여기에서도 중요도에 따라 배분된 영역에 대한 화각도 다르다.
즉, A 영역의 줌 렌즈(30)의 화각은 망원이고, B 영역에 대해서는 표준이고, C 영역에 대해서는 광각이다.
한편, 외부 센서 신호가 없으면 미리 결정된 감시 순서와 감시 회수에 따라 감시한다.
여기에서, 감시 영역의 감시가 끝나면, 감시 동작을 종료하라는 명령이 있는가를 판단하여(S17), 만약 감시 동작을 종료하라는 명령이 있으면 감시 동작을 종료하고, 명령이 없으면 감시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감시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감시 영역을 배분하고, 배분된 감시 영역에 대한 감시 회수와 감시 화각 등을 조정하여 감시하고, 출입문이나 중요 감시 영역에 설치된 각종 센서와 연결하여 감시함으로서 효율적인 감시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정 영역을 감시하고, 감시 영역에 대한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카메라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장착되어 초점 거리를 광각으로부터 망원까지 변화시켜 상기 감시 카메라의 화각을 변화시키는 줌 렌즈와;
    상기 감시 카메라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팬/틸트부와;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입력받아서 모니터로 출력하고, 상기 팬/틸트부를 제어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상기 줌 렌즈를 제어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의 화각을 변화시키는 감시 제어부를 포함하며,
    전체 감시 영역을 중요도에 따라 미리 배분하고, 상기 배분된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의 화각과 감시 회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화각과 감시 회수에 따라 상기 전체 감시 영역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체 감시 영역은 그 중요도에 따라 A, B, C 등급으로 배분되고, A 등급의 영역에 대한 상기 줌 렌즈의 화각은 망원이고, 상기 B 등급의 영역에 대한 줌 렌즈의 화각은 표준이고, 상기 C 등급의 영역에 대한 줌 렌즈의 화각은 광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체 감시 영역은 그 중요도에 따라 배분되고, 배분된 영역 중 중요한 영역에 외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 센서와 상기 감시 제어부가 연결되며, 상기 외부 센서로부터 외부 감지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센서가 설치된 영역을 우선적으로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KR2019970022205U 1997-08-14 1997-08-14 감시 시스템 KR200278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205U KR200278541Y1 (ko) 1997-08-14 1997-08-14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205U KR200278541Y1 (ko) 1997-08-14 1997-08-14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024U KR19990009024U (ko) 1999-03-05
KR200278541Y1 true KR200278541Y1 (ko) 2002-08-24

Family

ID=5389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205U KR200278541Y1 (ko) 1997-08-14 1997-08-14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5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871B1 (ko) * 2002-03-14 2004-12-03 주식회사 씨티앤컴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KR100716306B1 (ko) 2006-11-14 2007-05-08 주식회사 지.피 코리아 산불감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51B1 (ko) * 2006-02-15 2007-06-08 주식회사 영국전자 엘리베이터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995392B1 (ko) * 2019-02-01 2019-07-02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871B1 (ko) * 2002-03-14 2004-12-03 주식회사 씨티앤컴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KR100716306B1 (ko) 2006-11-14 2007-05-08 주식회사 지.피 코리아 산불감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024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237B1 (ko) 화상처리장치
DE69032887T2 (de) Autofokusverfahren in einem Flüssigkristallprojektor
US5065172A (en) Zoom lens camera
JP2000083188A (ja) 監視カメラ装置
WO1994019212A3 (en) Automatic rearview mirror and vehicle interior monitoring system using a photosensor array
US4878080A (en) Camera zoom lens automatic magnification apparatus
JPH09271017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EP0695084A2 (en) Viewpoint detecting device
KR200278541Y1 (ko) 감시 시스템
US7098940B2 (en) Surveillance system for watching an object through an image
JPH06319073A (ja) レンズ焦点状態表示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レンズ焦点調節装置
US5576788A (en) Camera shake amount display apparatus for camera
US6940544B2 (en) Camera operating apparatus
JPH11275566A (ja) 監視カメラ装置
US5200603A (en) Source distance adjustment arrangement for uniform illumination of projection surface
JPH06311418A (ja) 自動焦点調節方法及び装置
US4870441A (en)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for focus detection
US4555733A (en) Image acquisition system
JP2000253383A (ja) 監視システム
US200402180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day and night modes of monitoring camera by measuring brightness in no video signal interval
EP0687922A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cking an image of an object for a video camera
US7680405B2 (en) Lens operation device and camera system
JPH09214946A (ja) 移動体追尾カメラシステム
KR20050023402A (ko) 차로 사고 검출 디바이스
KR100458871B1 (ko)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