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392B1 -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 Google Patents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392B1
KR101995392B1 KR1020190014008A KR20190014008A KR101995392B1 KR 101995392 B1 KR101995392 B1 KR 101995392B1 KR 1020190014008 A KR1020190014008 A KR 1020190014008A KR 20190014008 A KR20190014008 A KR 20190014008A KR 101995392 B1 KR101995392 B1 KR 101995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urveillance camera
output monitor
monitor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섭
Original Assignee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25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5V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한 가변형 설치구조, 예컨대, 어느 특정된 장소나 위치, 그리고, 대상물 등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부착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휴대용 사용구조, 예컨대, 별도 외부전원 연결을 필요치 않는 간소화된 구성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소형화 구조에 의해 일련의 취급성과 경제성, 그리고 호환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영상출력 모니터와, 소형감시카메라와, 제한 설정된 5V(볼트)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과, 영상신호전달 케이블로 이루어진 감시카메라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출력모니터는, 상부면 전방으로 돌출연장하는 차광갓을 형성하고;
상기 감시카메라는, 가변장착구와, 가변장착구 상부면에 힌지 회동구조로 접철 결합되는 카메라 렌즈본체로 형성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Multi-purpose surveillance camera}
본 발명은 다용도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V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한 가변형 설치 내지 휴대형 사용구조로서, 단순 CCTV의 용도로서 뿐만 아니라, 자동차, 자전거, 전동보드, 오토바이 등과 같은 주행수단의 후방용 감시카메라, 또는, 각종 공사현장에 있어, 진입이 용이하지 못한 공간내부를 확인하는 산업용 내시경카메라, 기타, 재난현장의 구조용 카메라 등등, 어느 특정된 대상이나 현장에 제한되거나 구애받음 없이 광범위한 용도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에 관한 것이다.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은 통상 개회로시스템(open circuit system)과 폐회로시스템(closed circuit system)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개회로시스템은 촬영된 영상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적인 TV방송을 의미하고, 폐회로시스템은 촬영된 영상정보를 특정의 목적으로 특정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폐회로시스템을 우리는 통상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라 지칭한다.
초기의 CCTV는 주로 공공시설물이나 주요산업시설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설치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었으나, 복잡 다양하게 변화되는 현대사회에 있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하는 범죄발생 피해가 큰 사회적문제로 대두되면서, 최근에는 학교, 병원, 관공서, 상가 등의 일반 건물은 물론 주택가 골목 등에 이르기까지 CCTV의 설치지역이 대폭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CCTV를 응용한 특정된 다른 용도의 카메라구성으로 차량용 영상 안전감시수단인 리어 뷰 모니터(Rear View Monitor) 시스템 있다.
예컨대,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 운전자는 주행방향인 전방의 상황은 쉽게 식별 판단할수 있으나, 차량의 후방은 운전자 시야의 사각지대로 식별자체가 불가능한 것인바,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 대다수의 차량에는 리어뷰 모니터 시스템, 즉 후방감시카메라가 기본구성으로 장착되고, 이러한,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차량후방 영상을 차량실내에 비치된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 출력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CCTV를 응용한 특정된 또 다른 용도의 카메라구성으로, 산업용 내시경카메라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산업용 내시경카메라 시스템은 각종 산업현장에 있어, 작업자의 진입이 용이하지 못한 협소한 공간부에 카메라를 진입시켜 내부의 상황을 식별 판단하거나, 각종 배관시설의 균열과 누수, 기타, 용접상태 등의 이상유무 등을 감시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용도의 감시카메라, 예컨대, 방법용 CCTV 시스템과, 리어 뷰 모니터(Rear View Monitor) 시스템, 그리고, 산업용 내시경카메라 시스템은 모두 전문화된 고가의 장비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일련의 설치관계 또한, 특정된 영상정보 취득을 목적으로, 특정된 장소나 위치에, 특정된 결합구조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상기 기존의 전문 감시카메라 시스템들은 상당한 설비투자 비용을 필요로 하고, 특히, 고가의 설비비용이 투자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기능은 어느 특정된 하나의 용도, 예컨대, 방범기능, 후방감시기능, 산업용 내시경기능 중 어느 하나의 용도에 제한 사용될 수 밖에 없는 호환성 결여의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용도의 감시카메라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전문화된 고가의 장비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일반적인 생활 편의기기, 예컨대, 가정내 보호자의 시선이 미치지 못하는 장소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아이들의 안전을 감시하는 용도 또는, 선택적인 위치별 탈착기능으로 운전자의 시선이 미치지 못하는 자동차의 사각지대를 보조적으로 감시하는 용도 또는, 야외 레저활동, 예컨대, 자전거나 전동퀵보드 등을 즐김에 있어, 간편한 휴대설치를 통해 그들 주행중인 자전거나 전동퀵보드의 후방 상황을 감시하는 용도, 그 외, 협소한 장소나 틈새에 물건을 떨어뜨려 잃어버린 경우 그들 틈새내부를 확인하는 용도 등으로는 결코 활용할수 없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과 간소화된 구조, 휴대 및 설치의 편리성, 그리고, 호환성이 우수한 다목적 용도, 예컨대, 일반 생활 편의기기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감시카메라의 개발을 절실한 해결과제로 남게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2343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4836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감시용카메라 시스템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5V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한 가변형 설치구조, 예컨대, 어느 특정된 장소나 위치, 그리고, 대상물 등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부착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휴대용 사용구조, 예컨대, 별도 외부전원 연결을 필요치 않는 간소화된 구성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소형화 구조에 의해 일련의 취급성과 경제성, 그리고 호환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방범 CCTV의 용도로서 뿐만 아니라, 레져용 주행수단, 예컨대, 자전거나 전동보드, 오토바이 등의 후방상황 식별용도, 그리고, 자동차의 사각시대 식별용도, 산업현장에서의 협소작업공간 확인용도, 일반 가정내에서의 유아안전 감시용도, 좁은 틈새나 공간내의 분실물 확인용도는 물론, 더 나아가, 스키나, 등산 과 같은 역동적 레저 활동을 촬영 저장하여 이를 현장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액션캠기능의 모니터 용도 등으로 또한, 다양하고 폭넓게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범용성과 실용성, 그리고, 효율성울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영상출력 모니터와, 소형감시카메라와, 제한 설정된 5V(볼트)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과, 영상신호전달 케이블로 이루어진 감시카메라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출력모니터는, 상부면 전방으로 돌출연장하는 차광갓을 형성하고;
상기 감시카메라는, 가변장착구와, 가변장착구 상부면에 힌지 회동구조로 접철 결합되는 카메라 렌즈본체로 형성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은, 특정된 장소나 위치, 그리고, 대상물 등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탈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설치구조로 형성하고, 아울러, 외부전원 연결을 필요치 않는 간소화 구성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사용구조로 형성되게 한 것으로, 이는, 취급성과 경제성, 그리고 호환성을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은, 5V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한 가변형 설치구조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형 사용구조로 형성하고, 그에 따라, 어느 특정된 하나의 용도에 제한되거나 구애받음 없이 다양한 분야별 형태, 예컨대, 일반가정용으로부터, 레저용, 도로주행용, 산업현장용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과 실용성, 그리고, 효율성울 향상되게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실시예 영상출력모니터의 배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일실시예 사용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실시예 소형감시카메라의 확대 작용상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일실시예 전원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이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이실시예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실시예 영상출력모니터의 확대 작동상태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실시예 소형감시카메라의 설치 사용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영상출력 모니터(1)와 소형 감시카메라(2)와, 전원케이블(3)과,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일실시예로서의 영상출력 모니터(1)는, 후술하는 소형 감시카메라(2)를 통해 촬영 전송되는 영상을 화면으로 실시간 출력되게 통상의 구성인바, 이와 같은, 영상출력 모니터(1)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4.3인치 크기의 모니터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그 영상출력 모니터(1)의 상부면에 태양광 등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영상 화면이 선명히 보여질수 있도록 하는 수단, 예컨대,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 연장하는 차광갓(11)을 일체로 더 형성하고, 영상출력 하부면에 각도조절 받침구(12)를 형성하며, 재차, 영상출력 모니터(1) 배면에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접속공(P1)과, 영상신호접속공(P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영상출력 모니터(1)에 있어, 각도조절 받침구(12)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 모니터(1)의 배면 중앙으로 연장 연결되며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일실시예로서의 소형 감시카메라(2)는 영상감시를 필요로하는 장소 내지 선택된 공간의 상황정보를 실시간 촬영하기 위해 마련된 수단인바, 이와 같은, 소형 감시카메라(2)는, 도 1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장착구(21)와, 상기 가변장착구(21) 상부면에 힌지 회동구조로 결합되는 카메라 렌즈본체(22)로 형성하되;
상기 가변장착구(21)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중앙부로 삽입 결합되는 마그네틱 탈착부재(211)와, 상부면에 원형구조로 함몰된 렌즈수용홈(212)과, 외측 일면에 내접 마찰저항돌기(213-1)를 갖는 힌지연결구(213)로 형성하고;
재차, 카메라 렌즈본체(22)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원형구조로 융기된 카메라렌즈(221)와, 상부 일면에 영상신호케이블 접속홀(222)과, 외측 일면에 외접 마찰저항돌기(223-1)를 갖는 회동연결축(223)으로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힌지연결구(213)와 회동연결축(223)에 의해 가변장착구(21)와 카메라 렌즈본체(22)를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시켜, 그 결합된 가변장착구(21)를 기준구성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본체(22)를 필요한 각도범위로 회동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실시예로서의 전원케이블(3)은, 일측단부에 USB커넥터(C)가 연결되고, 그 USB커넥터(C)를 자동차 등에 탑재된 USB전원포트(도시생략)에 접속시켜, 통상적 설정범위로 제한되어 있는 5V(볼트)의 USB포트 전원을 전술한 영상출력 모니터(1)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인바, 이와 같은, 전원케이블(3)은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필요에 따른 소정의 길이 구성으로 연장 형성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부호 J는 전원접속잭)
이때, 부연적인 설명으로, 전술한 일실시예 전원케이블(3)에 의해 공급되는 설정 제한된 5V(볼트)의 전원, 예컨대, USB포트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전원회로 다이어그램은,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다.
끝으로, 상기 일실시예로서의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은, 전술한 소형 감시카메라(1)에 의해 촬영된 감시영상 신호를 영상출력 모니터(1)로 전송하는 통상의 신호전달 수단인바, 이와 같은,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은,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필요에 따른 소정의 길이 구성으로 연장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의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은, 자동차 등과 같은 주행수단에 장착하여 측면 후방 등의 사각지대를 감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인바, 그에 따른 일련의 결합 설치사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실내측에 영상출력 모니터(1)를 설치하고,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에 의해 상기 영상출력 모니터(1)와 연결되는 소형감시카메라(2)를 차량의 실외측, 예컨대, 사이드미러 부근 적정 위치의 차량외관에 마그네틱 설치부재(211)에 의한 자력작용에 의해 소형 감시카메라(2)를 탈,부착 구조로 장착 설치한다.
이어, 상기 차량외관에 장착된 소형 감시카메라(2)에 있어, 카메라 렌즈본체(22)를,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범위로 각도를 조절하고, 그와 같은 각도조절에 의해 사이드미러로 식별 불가한 자동차 측면후방의 사각지대를 실시간 촬영 감시한다. 이후, 자동차 주행이 종료된 경우에 있어서는 카메라 렌즈본체(22)를 회동 접힘시켜 가변장착구(21)의 렌즈수용홈(212)에 카메라 렌즈(221)를 안전한 밀착삽입구조로 수납되게 하는 방식으로 일련의 사용관계를 갖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이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이실시예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실시예 영상출력모니터의 확대 작동상태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실시예 소형감시카메라의 설치 사용예도이다.
상기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영상출력 모니터(1')와 소형 감시카메라(2')와, 리튬 배터리팩(도시생략)과,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과, 모니터 거치부재(5)로 구성된다.(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실시예와 동일한 기능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명칭을 사용하고, 식별부호만을 달리하여 표기하기로 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이실시예로서의 영상출력 모니터(1')는, 전술한 일실시예의 영상출력 모니터(1)와 동일한 4.3인치 크기의 모니터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그 영상출력 모니터(11)의 상부면에 도 6 또는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을 향해 소정각도로 회동하는 차광갓(11')을 힌지결합시키고, 영상출력 모니터(1') 하부면에 도 6 또는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모니터 체결공(121')이 마련된 각도조절 받침구(12')를 형성시키며, 재차, 영상출력 모니터(1') 배면부에, 후술하는 리튬 배터리팩(도시생략)을 탈,부착 교환구조로 수용 하는 축전지 장착부(도시생략)와, 후술하는 이실시예의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이 접속되는 영상신호접속공(도시생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이실시예의 영상출력 모니터(1')에 있어, 상기 차광갓(11')은,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원호 형상으로 절곡되며, 그 절곡되는 내측면에 내접 저항요철돌기면(111')을 형성하고, 그와 같이 형성된, 내접 저항요철돌기면(111')을 재차, 영상출력 모니터(1')의 상단면과 접하는 구성으로 결합하되, 상기 내접 저항요철돌기면(111')과 접하는 영상출력 모니터(1')의 상단면은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외접 저항요철돌기면(13')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이실시예로서의 소형 감시카메라(2')는 전술한 일실시예의 소형 감시카메라(2)와 동일한 사용기능의 구성요소, 예컨대, 영상감시를 필요로하는 장소 내지 선택된 공간의 상황정보를 실시간 촬영하기 위해 마련된 수단인바, 이와 같은, 이실시예로서의 소형 감시카메라(2')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면에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결되는 좌,우 대칭분할구성의 체결고정편(21')이 마련되고, 전방면에 촬영렌즈(22')가 일체로 결합된 밴드형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실시예의 리튬 배터리팩(도시생략)은, 이실시예로 이루어진 영상출력 모니터(1')에 제한 설정된 5V(볼트)의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 예컨대, 5V(볼트)의 용량으로 상용화된 통상의 리튬 배터리팩을 선택 이용하는 것인바, 따라서, 이러한, 통상의 리퓸 배터리팩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실시예로서의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은, 전술한 일실시예의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과 같이, 소형 감시카메라(2')에 의해 촬영된 감시영상 신호를 영상출력 모니터(1')로 전송하는 통상의 신호전달 수단인바, 이와 같은, 이실시예의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케이블 라인에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다수개의 이격 배치구성으로 결착코일고리(41')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이실시예로 구성되는 상기 모니터 거치부재(5)는, 전술한 이실시예의 영상출력 모니터(1')를 탑재 고정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이실시예의 모니터 거치부재(5)는, 도 6또는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결착홈(511)이 구비된 좌,우 한쌍의 대칭 분할구성으로 수평체결관(51)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체결관(51)의 하부 중앙부에 "T"형 구조를 이루며 일체화 연결되는 구성, 예컨대, 후방 결착홈(521)이 구비된 수직체결관(52)을 일체로 연결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모니터 거치부재(5)에 있어, 상기 한쌍의 대칭분할 구성을 갖는 수평체결관(51)은, 도 6 또는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한쌍의 수평체결관(51) 상부면에 체결유도축(512)을 소정길이의 수직 돌출구조로 더 형성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실시예로서의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은, 자전거 등과 같은, 레저용 주행수단에 장착하여 후방 상황을 감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인바, 그에 따른 결합 설치 사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또는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거치부재(5)의 상부면, 예컨대, 수평체결관(51)의 체결유도축(512)에 모니터 체결공(121')을 삽입하여 너트체결에 의해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영상출력 모니터(1')를 결합 탑재시킨다.
이후, 상기 영상출력 모니터(1')가 탑재된 모니터 거치부재(5)를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은 설치방식, 예컨대, 한쌍의 수평체결관(51)으로 형성된 전방결착홈(511)을 자전거의 수평 핸들프레임(F1)에 삽입 걸림되게하고, 상기 수평핸들프레임(F1)에 수평체결관(51)이 걸림된 상태하에 재차, 수직체결관(51)의 후방결착홈(521)을 수평 핸들프레임(F1)을 연결지지하는 핸들축(F2) 외경부에 삽입 결합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함 없이도, 영상출력 모니터(1')가 탑재된 모니터 거치부재(5)를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자전거 또는 전동킥보드의 전방 주행프레임부에 결합설치한다.
이어, 감시영상을 촬영하는 이실시예로서의 소형 감시카메라(2')를 도 9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안장지지축(F3)에 설치하여, 자전거의 후방상황을 감시 촬영하도록 하고, 그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을 영상출력 모니터(1')로 전송할 수 있도록 이실시예 구성인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을 이용, 상기 소형 감시카메라(2')와 영상출력 모니터(1')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소형 감시카메라(2')와 영상출력 모니터(1')를 연결하는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은, 다수개의 구성으로 반복 형성된 결착코일고리(41)을 자전거의 프레임에 감착 고정시키는 형태로 연결하여, 선 늘어짐 등의 현상 없이 배선처리를 깔끔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설치 사용관계를 갖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구성에 있어, 상기 영상출력 모니터(1')로 결합 형성되는 차광갓(1')은 내접 저항요철돌기면(111')과, 외접 저항요철돌기면(13')의 접촉관계에 의해 헐거워짐 없는 저항 관계를 유지하며,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각도가 조절되고, 이러한, 선택적 각도조절에 의해 태양광 등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며 영상 화면을 항상 선명히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행한다.
한편, 또 다르게,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의 삼실시예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이실시예 구성에 있어, 소형 감시카메라(2')의 구성을 중량추(61)가 결합된 수중카메라(6)로 형성하고, 상기 중량추(61)가 결합된 수중카메라(6)를 방수 영상신호전달 케이블(62)의 끝단부에 일체로 연결 형성하며, 재차, 상기 수중카메라(6)와 연결된 방수 영상신호전달 케이블(62)에 탈착스톱퍼(도시생략), 예컨대, 탄성집게나 탄성클립, 기타 탄성고정밴드와 같은 탈착고정수단에 의해 결합위치가 선택적으로 가변조절되는 부력부재(63)를 더 설치 결합한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이실시예의 구성, 예컨대, 모니터 거치부재(5)에 탑재된 영상출력 모니터(1')에 수중카메라(6)와 부력부재(63)가 결합된 방수 영상신호전달 케이블(62)을 연결하고, 상기 부력부재(63)에 의한 수심조절과, 수중카메라(6)에 의한 수중촬영 기능에 의해 도 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어군탐지기능의 모니터로 사용한다.
부연설명으로, 상기 일실시예와 이실시예, 그리고 삼실시예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은, 각 실시예별 사용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선택 및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방범 CCTV의 용도, 산업현장에서의 협소작업공간 확인용도, 일반 가정내에서의 유아안전 감시용도, 좁은 틈새나 공간내의 분실물 확인용도 등으로 확대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장애인용 전동카트에 설치하여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의 도로주행시 후방상황을 안전하게 감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은, 일실시예와 이실시예로 적용되는 영상출력 모니터(1)(1')에 영상데이터 저장수단을 선택적으로 더 부가 구성하여, 스키나, 등산 과 같은 역동적 레저 활동영상을 촬영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파일을 현장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액션캠기능의 모니터 용도로 또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1,1 : 영상출력 모니터 2,2 : 소형 감시카메라
3 : 전원케이블 4,4' : 영상신호전달 케이블
5 : 모니터 거치부재 6 : 수중카메라
11,11' : 차광갓 12,12' : 각도조절 받침구
13' : 외접 저항요철돌기면 21 : 가변장착구
21' : 체결고정편 22 : 카메라 렌즈본체
22' : 촬영렌즈 41' : 결착코일고리
51 : 수평체결관 52 : 수직체결관
61 : 중량추 62 : 방수 영상신호전달 케이블
63 : 부력부재

Claims (5)

  1. 영상출력 모니터(1)와 소형 감시카메라(2), 그리고, USB커넥터 연결에 의해 상기 영상출력 모니터(1)에 제한 설정된 5V(볼트)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3)과, 상기 소형 감시카메라(2)의 촬영영상을 영상출력 모니터(1)로 실시간 전송하는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로 형성하고, 상기 영상출력 모니터(1)는, 상부면 전방으로 돌출연장하는 차광갓(11)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소형 감시카메라(2)는, 가변장착구(21)와, 가변장착구(21) 상부면에 힌지 회동구조로 접철되며, 촬영각도가 조절되는 카메라 렌즈본체(22)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가변장착구(21)는, 저면 중앙부로 삽입 결합된 마그네틱 탈착부재(211)와, 상부면에 원형구조로 함몰된 렌즈수용홈(212)과, 외측 일면에 내접 마찰저항돌기(213-1)를 갖는 힌지연결구(213)로 형성되고;
    소형 감시카메라(2)에 있어, 카메라 렌즈본체(22)는 하부면에 원형구조로 융기된 카메라렌즈(221)와, 상부 일면에 영상신호케이블 접속홀(222)과, 외측 일면에 외접 마찰저항돌기(223-1)를 갖는 회동연결축(223)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연결구(213)와 회동연결축(223)에 의해 가변장착구(21)와 카메라 렌즈본체(22)가 각도 조절구조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2. 삭제
  3. 영상출력 모니터(1')와 소형 감시카메라(2'), 그리고, 영상출력 모니터(1')에 제한 설정된 5V(볼트)의 전원을 공급하는 리튬 배터리팩과, 상기 소형 감시카메(2)라의 촬영영상을 영상출력 모니터(1')로 실시간 전송하는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로 이루어진 감시카메라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하되;
    상기 영상출력 모니터(1')는, 상부면에 전후 힌지 회동구조로 결합하는 차광갓(11')과, 하부면에 한쌍의 모니터 체결공(121')을 갖는 각도조절 받침구(12')로 형성되고;
    상기 영상출력 모니터(1')를 탑재 고정하는 모니터 거치부재(5)를 더 마련하되, 상기 모니터 거치부재(5)는 전방결착홈(511)과 체결유도축(512)이 구비된 좌,우 한쌍의 수평체결관(51)과, 수평체결관(51) 하부 중앙부에 "T"형 구조로 일체화 연결되는 후방 결착홈(521)이 구비된 수직체결관(52)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형 감시카메라(2')는, 후방면에 좌,우 대칭분할된 체결고정편(21')이 마련되고, 전방면에 촬영렌즈(22')가 일체로 결합된 밴드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영상신호전달 케이블(4')은, 그 케이블 라인에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다수개의 배열구성으로 결착코일고리(4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갓(11')은, 상부면 원호 형상으로 절곡되며, 절곡되는 내측면에 내접 저항요철돌기면(111')을 형성하고;
    상기 차광갓(11')의 내접 저항요철돌기면(111')을 영상출력 모니터(1')의 상단면과 접하는 구성으로 결합하되, 내접 저항요철돌기면(111')과 접하는 상기 영상출력 모니터(1')의 상단면은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외접 저항요철돌기면(13')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감시카메라(2')는, 중량추(61)가 결합된 수중카메라(6)로 형성되고;
    상기 중량추(61)가 결합된 수중카메라(6)는, 방수 영상신호전달 케이블(62)의 끝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수중카메라(6)와 연결된 방수 영상신호전달 케이블(62)에 탈착스톱퍼에 의해 결합위치가 가변 조절되는 부력부재(63)가 더 설치 형성되고;
    상기 부력부재(63)에 의한 수심조절과, 수중카메라(6)에 의한 수중촬영에 의해 어군탐지 모니터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KR1020190014008A 2019-02-01 2019-02-01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KR10199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008A KR101995392B1 (ko) 2019-02-01 2019-02-01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008A KR101995392B1 (ko) 2019-02-01 2019-02-01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392B1 true KR101995392B1 (ko) 2019-07-02

Family

ID=6725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008A KR101995392B1 (ko) 2019-02-01 2019-02-01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5237A (zh) * 2021-01-22 2021-06-08 陈红元 一种道路交通设备状态监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290A (ko) * 1997-04-30 1998-11-25 윤종용 액정모니터부착 비디오카메라
KR19990009024U (ko) * 1997-08-14 1999-03-05 이해규 감시 시스템
KR101123438B1 (ko) 2010-03-16 2012-03-23 새천년이엔씨 주식회사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1848363B1 (ko) 2018-01-08 2018-05-28 이화수 감시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290A (ko) * 1997-04-30 1998-11-25 윤종용 액정모니터부착 비디오카메라
KR19990009024U (ko) * 1997-08-14 1999-03-05 이해규 감시 시스템
KR101123438B1 (ko) 2010-03-16 2012-03-23 새천년이엔씨 주식회사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1848363B1 (ko) 2018-01-08 2018-05-28 이화수 감시카메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5237A (zh) * 2021-01-22 2021-06-08 陈红元 一种道路交通设备状态监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9359B2 (en) Flexible camera device
US10019632B2 (en) Remote surveillance sensor apparatus
KR101995392B1 (ko)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다용도 감시카메라 유닛
JP3489510B2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JP2006518554A (ja) 自動車用360°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US20080156670A1 (en) Multi-Functional Storage Apparatus
US10075624B2 (en) Wearable portable camera
US20110254955A1 (en) Detachable Universal Electronic Door Viewer
US20130201281A1 (en) Optical device for capturing images according to a 360° field
KR100743685B1 (ko) 접이식 카메라 거치대
CN110325785B (zh) 连接夹具
US8325235B1 (en) Lightweight compact portable surveillance systems
CN102625039A (zh) 分体组合式双显摄像装置
CN201238356Y (zh) 改进的便携式多功能音视频搜索仪
US10656502B1 (en) Rapid deployment surveillance system
CN202488561U (zh) 无线红外摄像机
CN106034229B (zh) 音频视频搜索采集系统
CA2314776A1 (en) Portable video surveillance device
JP2005333201A (ja) カメラ装置及び当該装置を有する自動車
CN210958590U (zh) 一种消防救援用探测装置
KR102138438B1 (ko) 스마트 랜턴
CN207947839U (zh) 全景鱼眼摄像机
JP2009008923A (ja) 情報収集用カメラ装置
CN213639833U (zh) 具有全网通通讯传输的特种头盔
KR200313745Y1 (ko) 탐지용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