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043B1 - 다기능 보안등 - Google Patents

다기능 보안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043B1
KR101829043B1 KR1020140112367A KR20140112367A KR101829043B1 KR 101829043 B1 KR101829043 B1 KR 101829043B1 KR 1020140112367 A KR1020140112367 A KR 1020140112367A KR 20140112367 A KR20140112367 A KR 20140112367A KR 101829043 B1 KR101829043 B1 KR 101829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s
control unit
storage device
security
imag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300A (ko
Inventor
이익흔
Original Assignee
김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관 filed Critical 김명관
Priority to KR102014011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0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mounted on top of the standard, e.g. for pedestrian z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보안등에 관한 것으로, 하단부가 지상에 고정되는 보안등 지주; 상기 보안등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며, 영상저장장치, 제어부, LED모듈, 전원공급수단, 복수의 브라켓, 복수의 카메라 및 복수의 레이저포인트가 구비된 보안등 헤드부; 및 상기 보안등 지주의 하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상기 영상저장장치 및 상기 제어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브라켓은 일정한 각도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상기 복수의 브라켓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포인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브라켓 또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공급수단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가공하여 상기 LED 모듈, 상기 영상저장장치, 상기 복수의 카메라, 상기 복수의 레이저포인트 및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보안등{Multifunctional security lights}
본 발명은 다기능 보안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된 LED모듈을 이용하여 어두운 도로를 환하게 비추는 기능 이외에도 내장된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정보를 내장된 영상저장장치에 저장하고, 내장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에서 영상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카메라의 방향도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보안등에 관한 것이다.
보안등(security lights)은 어두워서 범죄나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지역에 안전을 위해 설치한다. CCTV(closed-circuit television)는 범죄의 예방, 범인의 발견 및 체포의 용이성, 그리고 주요지역에 설치함으로써 한정된 경찰인력의 보완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위해 보안등과는 따로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다.
CCTV에는 대부분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조명이 이용되고 있는데, 보안등이 CCTV와 가까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보안등에서 발생되는 빛에 의한 간섭으로 인해 CCTV에서 촬영한 영상의 화질이 선명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CCTV의 촬영 사각지대가 존재하므로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범죄나 사고 등을 감시하는데는 한계가 있는데, CCTV의 설치 비용이 상당하여 많은 곳에 설치하는데는 무리가 있다.
특히, CCTV 영상을 전송받는 중앙관제센터에서는 복수의 CCTV의 영상을 동시에 관찰하여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CCTV가 설치된 각각의 구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어렵고, CCTV 영상을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비용, 전송받은 CCTV 영상을 관찰하기 위한 인력 및 CCTV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CCTV를 사용하는 보안 방식에는 고비용 저효율의 단점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안등과 CCTV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보안등에서 발생하는 빛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카메라로 해당 지역을 촬영하게 하며, 촬영각도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지역의 사각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을 내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은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보안등을 제공하는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인 다기능 보안등은 보안등 지주, 보안등 헤드부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보안등 지주는 하단부가 지상에 고정된다. 상기 보안등 헤드부는 상기 보안등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며, 영상저장장치, 제어부, LED모듈, 전원공급수단, 복수의 브라켓, 복수의 카메라 및 복수의 레이저포인트가 구비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보안등 지주의 하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상기 영상저장장치 및 상기 제어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상기 복수의 브라켓은 일정한 각도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상기 복수의 브라켓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포인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브라켓 또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공급수단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가공하여 상기 LED 모듈, 상기 영상저장장치, 상기 복수의 카메라, 상기 복수의 레이저포인트 및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촬영지역의 사각지대가 최소한이 되게 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촬영된 영상을 내부의 영상저장장치에 저장시켜 놓고 이를 필요에 따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실시간 송수신하는데 소비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안등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헤드부의 내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안등의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안등을 구성하는 보안등헤드부의 제1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안등을 구성하는 보안등헤드부의 제2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안등의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헤드부(200)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212)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다기능 보안등은 보안등 지주(100), 보안등 헤드부(200) 및 인터페이스(300)로 구분할 수 있다.
보안등 지주(100)는 하단부가 지상에 고정되고, 보안등 헤드부(200)는 보안등 지주(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인터페이스(300)는 보안등 지부(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보안등 헤드부(200)는 블랙박스부(210), 제어부(220), LED모듈(230) 및 전원공급수단(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블랙박스부(210)는 영상저장장치(211), 복수의 다관절 브라켓(212-1, 212-2), 복수의 구동부(213-1, 213-2), 복수의 카메라(214-1, 214-2), 복수의 레이저포인트(215-1, 215-2) 및 복수의 광차단부(216-1, 216-2)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300)는 외부에서 영상저장장치(211) 및 제어부(220)에 액세스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는 2개의 다관절 브라켓(212-1, 212-2) 중 하나의 다관절 브라켓(212-1)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제1몸체(212-1a), 제2몸체(212-1b) 및 제3몸체(212-1c)로 구성된 다관절 브라켓(212-1)은 일 실시 예일 뿐 브라켓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브라켓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관절 브라켓이 될 수도 있지만, 다양한 기능 및 다양한 형태의 브라켓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관절 브라켓(212-1)의 제1몸체(212-1a)의 상부는 보안등 헤드부(200)의 상면 내측에 결합되며, 제2몸체(212-1b)의 상부는 제1몸체(212-1a)의 하부와 체결된다. 제2몸체(212-1b)의 하부는 제3몸체(212-1c)의 상부와 체결되며, 제3몸체(212-1c)의 하부에는 카메라(214)가 결합된다. 제1몸체(212-1a)와 제2몸체(212-1b)가 체결된 부위 및 제2몸체(212-1b)와 제3몸체(212-1c)가 체결된 부위에는 각각 구동부(213-1a, 213-1b)가 구비된다.
구동부(213)는 전원공급수단(240)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제어부(220)는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의 지시에 따라 구동부(213)를 제어하여 브라켓(212)이 지향하는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카메라(214)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는 카메라(214)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전술한 바로 카메라(214)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각각의 카메라(214)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보안등헤드부(200)에 내설된 영상저장장치(211)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카메라(214)는 120°이상의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214)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보안등 헤드부(200)의 하면에는 각각의 카메라(214) 렌즈의 위치에 대응되게 홀을 형성하거나, 보안등 헤드부(200)의 하면을 투명하게 구성할 수 있다.
레이저포인트(215)는 카메라(214)의 촬영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브라켓(212)이나 각각의 카메라(214)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며, 레이저포인트(215)는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작동된다.
또한, 각각의 카메라(214)에는 광차단부(216)가 구비되어 LED모듈(230)에서 발생하는 빛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선명한 화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안등 헤드부(200)에는 음향감지센서(미도시)나 적외선감시센서(미도시) 등을 더 내설하는 경우, 해당 센서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안등 근처를 통행하는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물체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카메라(214)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음향감지센서나 적외선감시센서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였을 때 제어부(220)는 카메라(214)를 즉시 작동시킴으로써, 카메라(214)의 소비전력 및 촬영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음향감지센서나 적외선감시센서를 통해 제어부(220)는 물체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와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를 구분하여 LED모듈(230)의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LED모듈(230)에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전원공급수단(240)을 제어하여, 전원공급수단(240)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가공하여 영상저장장치(211), 복수의 구동부(213), 복수의 카메라(214), 복수의 레이저포인트(215), 제어부(220) 및 LED 모듈(230)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구동부(213)를 제어하여 브라켓(212)을 회동시킴으로써, 카메라(214)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며, 레이저포인트(215)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밖에도 타이머(미도시)가 구비되어 LED모듈(230)의 점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음향감지센서나 적외선감시센서를 통해 카메라(214)의 작동 및 LED모듈(230)의 밝기조절 등을 제어한다.
LED모듈(230)은 보안등헤드부(200)에 내설되며, 보안등헤드부(200) 하면의 일측에 형성된 홀 또는 투명한 패널을 통해 LED조명부가 노출된다.
LED모듈(230)의 상부에는 방열부(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경우 LED모듈(23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240)은 제어부(220)의 통제를 받아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가공하여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안등의 인터페이스(30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페이스(300)에는 USB포트(310)가 구비되며, 운용자(또는 관리자)가 USB저장장치를 USB포트(310)에 연결하여 영상저장장치(211)에 저장된 영상을 USB저장장치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300)에는 복수의 다관절 브라켓(212) 중 하나의 다관절 브라켓(212-1 또는 212-2)을 선택하는 제1입력부(320) 및 선택된 다관절 브라켓의 구동부(213-1 또는 213-2)를 제어하는 제2입력부(330)가 구비되며, 레이저포인트(215)의 점등명령 및 소등명령을 제어부(220)에 전달하는 레이저포인트 점소등부(340)가 구비된다. 동작의 일 예를 들면, 제1입력부(320)를 통해 조절하고자 하는 다관절 브라켓을 선택하고, 화살표 버튼으로 구성되는 제2입력부(330)는 선택된 브라켓 또는 카메라에 포함된 레이저포인트(215)가 지향하는 방향을 조절하는데 사용한다.
관리자가 휴대하는 포터블PC 및 USB포트(310)에는 상호간에 케이블이 연결되어, 포터블PC가 제어부(220)에 액세스 할 수 있다.
포터블PC는 노트북, PDA 및 테블릿PC 등을 포함한다.
관리자는 포터블PC의 모니터에 영상저장장치(211)에 저장된 이전의 영상을 출력하거나 현재 촬영중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포터블PC에는 복수의 다관절 브라켓(212) 중 하나의 다관절 브라켓(212-1 또는 212-2)를 선택한 후 선택된 다관절 브라켓의 구동부(213-1 또는 213-2)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관리자는 포터블PC에 출력되는 영상을 관찰하면서, 전술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카메라(214)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14)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포터블PC의 화면을 통해 확인하면서 포터블PC에 설치되어 있는 방향지시 버튼을 이용하여 카메라(214)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관리자가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카메라(214)의 방향을 조절하므로, 레이저포인트(215)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는 제어부(220)에 구비된 타이머의 시간을 조정하여, 일출몰시간에 따라 LED모듈(230)의 점소등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관리자가 포터블PC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터페이스(300)에 구비된 제1입력부(320) 및 제2입력부(330)를 이용하여 카메라(214)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레이저포인트 점소등부(340)를 이용하여 레이저포인트(215)를 점등시켜 카메라(214)의 촬영위치를 식별하면서 카메라(214)의 촬영각도를 조절한다.
또한, 인터페이스(300)에는 제어부(220)에 구비된 타이머를 조정하기 위한 타이머조정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관리자가 포터블PC를 휴대하지 않아도 제어부(220)에 구비된 타이머를 조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0)의 외관에는 커버를 씌운뒤 인터페이스(300) 및 커버에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관리자만이 인터페이스(300)를 이용할 수 있으며, 경보장치를 더 구비하여 제3자가 잠금장치를 강제로 오픈하는 것을 예방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안등을 구성하는 보안등헤드부(200)의 제1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안등을 구성하는 보안등헤드부(200)의 제2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안등헤드부(200)의 하부에는 LED모듈(230)에서 발광되는 빛을 아래로 발산시키는 투명패널과 카메라(214)가 외부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안등헤드부(200)의 내부에는 격벽이 구비되어 각 장치를 구획시킬 수 있으며, 보안등헤드부(200) 외부의 일측 하부에는 보안등 지주(100)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보안등 지주
200: 보안등 헤드부 210: 블랙박스부
211: 영상저장장치 212: 브라켓(또는 다관절 브라켓)
213: 구동부 214: 카메라
215: 레이저포인트 216: 광차단부
220: 제어부 230: LED모듈
240: 전원공급수단
300: 인터페이스 310: USB포트
320: 제1입력부 330: 제2입력부
340: 레이저포인트 점소등부

Claims (8)

  1. 하단부가 지상에 고정되는 보안등 지주;
    상기 보안등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며, 영상저장장치, 제어부, LED모듈, 전원공급수단, 복수의 브라켓, 복수의 카메라 및 복수의 레이저포인트가 구비된 보안등 헤드부; 및
    상기 보안등 지주의 하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상기 영상저장장치 및 상기 제어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브라켓은 일정한 각도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상기 복수의 브라켓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포인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브라켓 또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공급수단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가공하여 상기 LED 모듈, 상기 영상저장장치, 상기 복수의 카메라, 상기 복수의 레이저포인트 및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브라켓은 다관절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브라켓을 회동시키는 복수의 구동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브라켓이 지향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안등.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영상저장장치 및 상기 제어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USB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안등.
  5. 제4항에 있어서,
    외부의 포터블 PC는 상기 USB포트를 경유하여 상기 영상저장장치 및 상기 제어부에 액세스하며,
    상기 포터블PC는 상기 영상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거나, 상기 복수의 브라켓 중 하나의 브라켓을 선택하고, 선택된 브라켓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안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브라켓 중 하나의 브라켓를 선택하는 제1입력부 및 선택된 브라켓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입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안등.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레이저포인트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지시에 따라 또는 상기 제어부 자체의 지시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안등.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카메라에는,
    상기 LED모듈에서 발생되는 광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광차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안등.
KR1020140112367A 2014-08-27 2014-08-27 다기능 보안등 KR101829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367A KR101829043B1 (ko) 2014-08-27 2014-08-27 다기능 보안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367A KR101829043B1 (ko) 2014-08-27 2014-08-27 다기능 보안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300A KR20160025300A (ko) 2016-03-08
KR101829043B1 true KR101829043B1 (ko) 2018-02-13

Family

ID=5553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367A KR101829043B1 (ko) 2014-08-27 2014-08-27 다기능 보안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32B1 (ko) * 2017-02-20 2017-08-30 박기철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로고라이트
KR102229363B1 (ko) * 2020-08-14 2021-03-22 (주)세명이엔지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300A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1089U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ランプアッセンブリ
CN102736363A (zh) 照明装置
US8786765B1 (en) Moveable LED array flaps in IR LED camera
KR101439180B1 (ko) 조명 융합형 무선 감시 카메라 시스템
US20080079809A1 (en) Surveillance camera and surveillance camera system with laser positioning function
KR101173542B1 (ko) 센서등 일체형 cctv 카메라 장치
KR101829043B1 (ko) 다기능 보안등
KR101297759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적외선 led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5407A (ko) 감시카메라, 감시카메라를 이용하는 감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32172B1 (ko) Cctv 카메라 일체형 led 등기구
KR200443399Y1 (ko)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KR101806324B1 (ko) 다기능 감시카메라
KR101558255B1 (ko) 차량 경광등 보안 카메라 시스템
JP2017527154A (ja) 映像認識システムにより制御された照明装置
KR20060102967A (ko) 울타리 경계 시스템
KR102258747B1 (ko) Ptz 카메라와 외부 조명기가 연동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88564B1 (ko) 협각렌즈와 광각렌즈를 이용한 폐쇄회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KR101303230B1 (ko) 카메라 모듈이 채용된 led 보안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04309B1 (ko) 위치 추적 감시 카메라
KR200422158Y1 (ko) 렌즈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KR102381195B1 (ko) 원포인트 나사 조정으로 틸트와 로테이션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돔 타입 cctv 장치
KR102026405B1 (ko) 방범용 스마트 램프
KR20140087917A (ko) 씨씨티비 감시카메라 감시장치
US11910086B1 (en) Small form factor active illumination privacy shutter
KR101184560B1 (ko) 전방향 탐색이 가능한 열영상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